KR101678808B1 - 차량의 도난방지구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난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808B1
KR101678808B1 KR1020150113131A KR20150113131A KR101678808B1 KR 101678808 B1 KR101678808 B1 KR 101678808B1 KR 1020150113131 A KR1020150113131 A KR 1020150113131A KR 20150113131 A KR20150113131 A KR 20150113131A KR 101678808 B1 KR101678808 B1 KR 101678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ounting
cover
sea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혜창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3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30Vehicles applying the vehicle anti-thef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차량의 도난방지구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의 도난방지구는: 차량의 전장부품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안착부와 연결되고, 전장부품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안착부와 연결되고, 전장부품에 결합된 커넥터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도난방지구{BURGLARPROOF DEVICE OF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도난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자의 도난을 방지하도록 자동차의 전장부품에 장착되는 차량의 도난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시동장치에서 운전자는 시동키를 시동스위치에 꽂고 시동위치로 돌려 초기시동을 걸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시동장치는 시동키를 쉽게 복사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을 도난당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키 시스템을 이용한 시동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스마트키 시스템을 이용한 시동장치는 운전자가 소유하고 다니는 스마트키와, 스마트키와 쌍방향 통신을 통해 정당한 운전자임을 판단하는 제어유닛과, 제어유닛의 신호에 따라 엔진을 시동 가능상태로 유지시켜주는 엔진작동유닛과,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차량에 시동을 걸게 되는 시동스위치로 구성된다.
스마트키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메모리 등의 반도체 칩이 내장되어, 일정거리 내에서 고유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스마트키는 제어유닛으로부터 인증요청신호를 수신받고, 미리 저장되어 있던 고유의 인증신호를 송신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스마트키는 운전자가 항상 몸에 지니고 다니게 되며, 운전석에 앉았을 때 제어유닛과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제어유닛은 스마트키에 인증신호를 요청하고, 스마트키로부터 인증신호를 받아 정당한 운전자인지를 판단한 후, 그에 따른 출력신호를 엔진작동유닛으로 보내 엔진 시동가능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엔진 시동가능 상태에서 운전자가 시동스위치를 누르면 차량의 시동이 걸리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키 시스템이 적용된 경우에도 차량의 도어를 파손시켜 차량의 내부로 침입한 후에 제어유닛 등의 전장부품을 탈거, 교체하는 등의 방식으로 차량의 도난이 발생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48170호(2010.03.12. 등록, 고안의 명칭: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스마트키 시동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전장부품으로부터 커넥터가 이탈되는 것을 구속함으로써 차량 도난에 걸리는 시간을 보다 지연시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도난방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난방지구는: 차량의 전장부품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장부품에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장부품에 결합된 커넥터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장부품은, 상기 커넥터가 결합되는 커넥터결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에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가 안착되는 안착지지부; 및 상기 하우징 상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가 삽입되는 장착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전장부품과 상기 차량의 전자제어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이 결합되는 커넥터부; 및 상기 커넥터부와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결합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결합부를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커넥터결합부와의 접촉력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레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레버부를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지지부는, 상기 안착부가 안착되는 안착홈부; 및 상기 안착홈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와 상기 안착홈부 사이의 틈새를 커버하도록 상기 안착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안전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홈부는, 상기 하우징 상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 상기 삽입홈부의 개방부에 상기 장착부의 인입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인입안내부; 및 상기 삽입홈부의 측면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에 형성된 후크부가 체결되는 걸림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전장부품에 안착되고, 상기 장착부와 연결되는 안착연장부; 및 상기 안착연장부에서 상기 커넥터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커버부와 연결되며, 상기 안착연장부와 상기 커넥터간의 틈새를 커버하는 이격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전장부품에 형성된 장착홈부에 삽입되는 장착지지부; 및 상기 장착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장착홈부에 형성된 걸림홈부에 체결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지지부는, 상기 장착홈부에 슬라이딩 조립되는 패널부; 및 상기 패널부의 중간부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후크부가 위치되는 중간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중간홀부의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장착지지부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탄성목부; 및 상기 탄성목부에서 상기 걸림홈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부에 스냅피트 체결되는 고정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를 커버하는 수평커버부; 및 상기 수평커버부에서 상기 커넥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상에 형성되는 중공의 유격부에 삽입되는 수직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버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커버하도록 상기 커버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안착부에서 상기 커넥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보조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안착부와 상기 커넥터, 상기 전장부품의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의 공간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안착부의 단부에서 상기 커넥터 또는 상기 전장부품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폐쇄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난방지구에 의하면, 차량의 전장부품에 결합된 커넥터를 커버하여 전장부품에 대한 커넥터의 이탈을 구속함으로써, 차량 도난에 걸리는 시간을 보다 지연시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도난방지구에 해당되는 저중량 및 소형의 부품을 추가로 제작하고, 전장부품의 장착홈부에 체결하는 간단한 조립에 의해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전장부품의 제작 시 세트로 적용할 수 있어 차종에 상관없이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에 커넥터를 커버하기 위한 별도의 브라켓부재를 차종에 따라 다른 디자인으로 개발, 적용하던 것과 비교해, 그 개발과 적용, 평가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난방지구를 전장부품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난방지구를 전장부품에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조립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난방지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난방지구를 도 3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난방지구를 전장부품에 장착한 상태를 도 5와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A-A'선 단면을 도 7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5의 B-B'선 단면을 도 9와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난방지구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난방지구를 전장부품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난방지구를 전장부품에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조립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난방지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난방지구를 도 3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난방지구를 전장부품에 장착한 상태를 도 5와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A-A'선 단면을 도 7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5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5의 B-B'선 단면을 도 9와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난방지구(3)는 차량의 전장부품(1)으로부터 커넥터(2)가 이탈되는 것을 구속하도록 차량의 전장부품(1)에 장착된다. 전장부품(1)으로는 스마트키 시스템을 이용한 시동장치의 제어유닛을 적용할 수 있다.
스마트키 시스템의 제어유닛은 스마트키에 인증신호를 요청하고, 스마트키로부터 인증신호를 받아 정당한 운전자인지를 판단한 후, 그에 따른 출력신호를 엔진작동유닛으로 보내, 배터리에서 차량 시동용 점화코일로의 전원을 공급하고, 연료탱크에서 엔진으로 연료공급이 가능한 엔진 시동가능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엔진 시동가능 상태에서, 운전자가 시동스위치를 눌러 차량의 시동을 걸게 된다.
차량의 도어를 파손시킨 후 차량의 내부로 침입한 침입자는 전장부품(1)을 탈거, 교체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 차량의 시동을 걸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전장부품(1)과 차량의 전자제어장치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2)를 전장부품(1)과 분리시켜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난방지구(3)는 차량의 전장부품(1)으로부터 커넥터(2)가 이탈되는 것을 구속함으로써, 차량 도난에 걸리는 시간을 보다 지연시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는 효과를 거두게 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난방지구(3)의 장착 대상이 되는 전장부품(1)과 커넥터(2)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 상의 x방향을 전후방향, y방향을 좌우방향, z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설정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장부품(1)은 하우징(11), 안착지지부(13), 장착홈부(14)를 포함한다.
하우징(11)은 전장부품(1)의 내용물을 커버하는 케이스를 이룬다. 하우징(11)에는 커넥터(2)가 결합되는 커넥터결합부(12)가 함몰되게 형성된다. 도 7,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결합부(12)는 접속홈부(121)와 체결홈부(122)를 포함한다.
접속홈부(121)는 커넥터(2)의 하부가 삽입가능하게 하우징(11)의 상부에 함몰되게 형성된다. 체결홈부(122)는 커넥터(2)의 결합부(22)가 체결되는 부분으로, 접속홈부(121)의 내부에 측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결합부(12)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복수개가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안착지지부(13)는 도난방지구(3)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하우징(11)의 상부에 마련된다. 안착지지부(13)는 커넥터결합부(12)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도난방지구(3)의 전후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도 2,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지지부(13)는 안착홈부(131)와 안전턱부(132)를 포함한다.
안착홈부(131)는 도난방지구(3)의 안착부(31)와 폐쇄커버부(35)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하우징(11)의 상부에 형성된다. 안착홈부(131)는 안착부(31), 폐쇄커버부(35)의 하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안전턱부(132)는 안착홈부(131)보다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안착홈부(131)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안착홈부(131)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에 따라 안전턱부(132)는 안착부(31)와 안착홈부(131), 폐쇄커버부(35)와 안착홈부(131) 사이의 틈새를 커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틈새는 공구를 삽입할 수 있을 정도의 유격을 의미한다. 안전턱부(132)에 의해 도난방지구(3)와 하우징(11)간의 틈새가 보다 좁아지거나 노출되지 않아, 공구를 이용해 도난방지구(3)를 탈거하는 것이 보다 곤란해진다.
장착홈부(14)는 도난방지구(3)의 장착부(32)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안착지지부(13) 상에 함몰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착부(32)는 전후방향으로 배열되는 2개가 구비되고, 장착홈부(14)는 이에 대응되는 2개소에 형성된다. 도 9,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착홈부(14)는 삽입홈부(141), 인입안내부(143), 걸림홈부(144)를 포함한다.
삽입홈부(141)는 장착부(32)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하우징(11)의 상부에 형성된 안착홈부(131) 상에 더 함몰되게 형성된다. 삽입홈부(141)는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삽입홈부(141)의 개방된 상부를 개방부(142)라 한다.
인입안내부(143)는 개방부(142) 상에 장착부(32)의 인입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인입안내부(143)는 삽입홈부(141)의 상부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장착부(32)를 삽입홈부(141)에 삽입 시, 장착부(32)의 하단부는 인입안내부(143)와 접하여 삽입홈부(141)의 내측으로 하향 안내된다. 인입안내부(143)에 의해 장착부(32)의 삽입이 용이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걸림홈부(144)는 장착부(32)의 후크부(324)가 체결되는 부분으로, 삽입홈부(141)의 내부에 측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장착부(32)는 개방부(142)를 통해 삽입홈부(141)의 내부로 하향 삽입되고, 삽입홈부(141)를 따라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때, 장착부(32) 상에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후크부(324)의 고정턱부(326)가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부(144)에 삽입되고, 걸림홈부(144)의 상단부에 걸려 도난방지구(3) 전체의 상향 이동이 구속된다.
도 2,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는 커넥터부(21), 결합부(22), 유격부(26)를 포함한다.
커넥터부(21)는 전장부품(1)과 차량의 전자제어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선, 와이어의 단자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커넥터결합부(12)의 접속홈부(121)에 끼워진다. 결합부(22)는 커넥터결합부(12)에 착탈가능하게 스냅피트 체결되는 부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부(22)는 레버부(221)와 체결턱부(222)를 포함한다.
레버부(221)는 커넥터부(21)의 하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레버부(221)의 하부는 고정단부가 되고, 상부는 자유단부가 된다. 레버부(221)는 커넥터부(21)와 함께 커넥터결합부(12)의 접속홈부(121)로 삽입되고, 접속홈부(121)의 측면부와의 접촉력이나 외력에 의해 상부가 측방향으로 젖혀지는 탄성변형을 하게 된다.
체결턱부(222)는 커넥터결합부(12)의 체결홈부(122)에 체결되는 부분으로, 레버부(221)의 측면부 상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커텍터부(21)는 접속홈부(121)의 내부로 하향 삽입되고, 접속홈부(121)를 따라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때, 레버부(221) 상에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체결턱부(222)가 체결홈부(122)에 삽입되고,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홈부(122)의 상단부에 걸려 커넥터(2) 전체의 상향 이동이 구속된다.
유격부(26)는 결합부(22)와 커넥터부(21)의 사이에 중공되게 형성된다. 레버부(221)가 커넥터부(21)의 하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됨에 따라, 유격부(26)는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유격부(26)를 활용해 결합부(22)의 레버부(221)가 커넥터부(21)에 근접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탄성변형될 수 있다.
커넥터(2)를 커넥터결합부(12)에 끼우는 간단한 조립에 의해 결합부(22)를 커넥터결합부(12)에 체결할 수 있다. 레버부(221)의 상부를 커넥터부(21)에 근접한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체결턱부(222)를 체결홈부(122)의 외부로 빼낼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커넥터(2)를 커넥터결합부(12)를 상향 이동시킴으로써 커넥터(2)를 커넥터결합부(12)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구(3)는 커넥터(2)를 커버함에 있어서, 전선과의 간섭을 피하면서 커넥터(2)의 이탈을 안정적으로 구속할 수 있도록 결합부(22)를 커버하는 구조를 가진다. 도난방지구(3)를 이용해 결합부(22)를 사방에서 커버함으로써 도난방지구(3)의 해제 없이는 전장부품(1)으로부터 커넥터(2)를 분리시키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전장부품(1)의 외부로 노출된 결합부(22)의 상면부를 수평면부(23), 결합부(22)의 좌측면부를 제1수직면부(24), 우측면부를 제2수직면부(25)라 한다(도 2 참조).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구(3)는 안착부(31), 장착부(32), 커버부(33), 보조커버부(34), 폐쇄커버부(35)를 포함한다.
안착부(31)는 전장부품(1)의 안착지지부(13)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커넥터(2)의 배열 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커넥터(2)의 좌측에 제1수직면부(24)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부(31)는 안착연장부(311)와 이격연장부(312)를 포함한다.
안착연장부(311)는 전장부품(1)의 안착지지부(13)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안착연장부(311)의 하부는 장착부(32)와 연결된다. 이격연장부(312)는 안착연장부(311)의 상부에서 커넥터(2)측으로, 즉 우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안착연장부(311)의 우측부는 커버부(33)와 연결된다. 안착연장부(311)는 결합부(22)의 제1수직면부(24)와 마주하게 되고, 이격연장부(312)는 안착연장부(311)와 제1수직면부(24)의 사이의 틈새를 커버하게 된다.
장착부(32)는 전장부품(1)의 장착홈부(14)에 장착되는 부분으로, 안착연장부(311)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된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착부(32)는 장착지지부(321)와 후크부(324)를 포함한다.
장착지지부(321)는 후크부(324)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안착연장부(311)의 하부에 하향 연장되게 형성되고, 장착홈부(14)에 삽입된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착지지부(321)는 패널부(322)와 중간홀부(323)를 포함한다.
패널부(322)는 후크부(324)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패널 형상을 가지고 장착홈부(14)의 삽입홈부(141)에 슬라이딩 조립된다. 중간홀부(323)는 후크부(324)를 배치할 수 있는 중공의 공간부를 이루는 부분으로, 패널부(322)의 중간부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후크부(324)는 장착홈부(14)의 걸림홈부(144)에 스냅피트 체결되는 부분으로, 패널부(322)와 일체로 연결되고, 중간홀부(323)에 내부에 위치된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크부(324)는 탄성목부(325)와 고정턱부(326)를 포함한다.
탄성목부(325)는 패널부(322)의 하부로부터 중간홀부(323)의 내부로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탄성목부(325)는 측방향으로의 변위 없이 패널부(322)와 나란하게 연장된다. 고정턱부(326)는 탄성목부(325)의 상부에 탄성목부(315)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된다. 탄성목부(325)의 하부는 고정단부가 되고, 고정턱부(326)는 자유단부가 된다. 고정턱부(326)는 걸림홈부(144)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탄성목부(325)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홈부(144)에 스냅피트 체결된다.
장착부(32)는 개방부(142)를 통해 삽입홈부(141)의 내부로 하향 삽입되고, 삽입홈부(141)를 따라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때, 장착부(32) 상에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턱부(326)가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부(144)에 삽입되고, 걸림홈부(144)의 상단부에 걸려 도난방지구(3) 전체의 상향 이동이 구속된다.
커버부(33)는 커넥터(2)의 결합부(22)를 커버하는 부분으로, 이격연장부(312)의 우측부에 일체로 연결된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부(33)는 수평커버부(331)와 수직커버부(332)를 포함한다.
수평커버부(331)는 결합부(22)의 레버부(221)보다 확장된 전후방향 너비를 가지고 이격연장부(312)의 우측부에 우측으로 더 연장되게 형성된다. 수평커버부(331)는 결합부(22)의 수평면부(23)를 커버한다. 수직커버부(332)는 수평커버부(331)의 우측단부에서 유격부(26)측으로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수직커버부(322)는 유격부(26)에 삽입되고, 결합부(22)의 제2수직면부(25)를 커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부(33)는 복수개의 커넥터(2),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개의 결합부(22)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가 형성된다. 복수개의 커버부(33)는 이격간격을 두고 전후방향으로 배열된다.
보조커버부(34)는 커버부(33) 사이의 틈새를 커버하는 부분으로, 이격연장부(312)의 우측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커버부(33)의 사이에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보조커버부(34)는 커넥터(2)의 커넥터부(21)까지 연장되게 형성되어, 이격연장부(312)의 우측단부와 커넥터부(21) 사이의 틈새를 통해 공구가 인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폐쇄커버부(35)는 안착부(31)와 전장부품(1), 커넥터(2)의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의 공간부를 폐쇄하도록 안착부(31)의 전후방향 양단부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안착부(31)의 전후방향 양단부와 커넥터(2), 전장부품(1)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커버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폐쇄커버부(35)는 안착연장부(311)로부터 커넥터(2)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거나, 이격연장부(312)로부터 전장부품(1)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쇄커버부(35)는 안착연장부(311)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커넥터(2)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형상을 가진다. 폐쇄커버부(35)는 안착연장부(311)로부터 결합부(22)의 제1수직면부(24) 또는 커넥터(2)의 좌측면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되어, 안착부(31)의 양단부와 커넥터(2) 사이의 틈새를 통해 공구가 인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난방지구(3)를 전장부품(1)에 장착 시 안착부(31)가 결합부(22)의 제1수직면부(24)를 커버하고, 수평커버부(331)가 결합부(22)의 수평면부(23)를 커버하며, 수직커버부(332)가 결합부(22)의 제2수직면부(25)를 커버하게 된다. 또한, 보조커버부(34)가 커버부(33)의 사이를 커버하고, 폐쇄커버부(35)가 안착부(31)의 양단부와 커넥터(2) 사이를 커버하게 된다. 또한, 전장부품(1)의 안전턱부(132)가 안착부(31)의 하부와 안착홈부(131)의 사이를 커버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난방지구(3)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커넥터(2)의 결합부(22)를 사방에서 커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난방지구(3)를 해제하지 않고서는 커넥터(2)의 해제가 곤란하고, 도난방지구(3)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장착부(32)의 조작이 필요한데 전장부품(1)의 내부에 가려져 위치하게 됨으로써, 장착부(32)의 조작 또한 곤란하다.
이에 따라, 커넥터(2)를 전장부품(1)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결합부(22), 장착부(32)의 조작이 전장부품(1), 커넥터(2)의 손상 없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전장부품(1)은 합성수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도난방지구(3)는 강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금속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난방지구(3)에 의하면, 차량의 전장부품(1)에 결합된 커넥터(2)를 커버하여 전장부품(1)에 대한 커넥터(2)의 이탈을 구속함으로써, 차량 도난에 걸리는 시간을 보다 지연시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도난방지구(3)에 해당되는 저중량 및 소형의 부품을 추가로 제작하고, 전장부품(1)의 장착홈부(14)에 체결하는 간단한 조립에 의해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전장부품(1)의 제작 시 세트로 적용할 수 있어 차종에 상관없이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에 커넥터(2)를 커버하기 위한 별도의 브라켓부재를 차종에 따라 다른 디자인으로 개발, 적용하던 것과 비교해, 그 개발과 적용, 평가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전장부품 2 : 커넥터
3 : 도난방지구 11 : 하우징
12 : 커넥터결합부 13 : 안착지지부
14 : 장착홈부 21 : 커넥터부
22 : 결합부 23 : 수평면부
24 : 제1수직면부 25 : 제2수직면부
26 : 유격부 31 : 안착부
32 : 장착부 33 : 커버부
34 : 보조커버부 35 : 폐쇄커버부
121 : 접속홈부 122 : 체결홈부
131 : 안착홈부 132 : 안전턱부
141 : 삽입홈부 142 : 개방부
143 : 인입안내부 144 : 걸림홈부
221 : 레버부 222 : 체결턱부
311 : 안착연장부 312 : 이격연장부
321 : 장착지지부 322 : 패널부
323 : 중간홀부 324 : 후크부
325 : 탄성목부 326 : 고정턱부
331 : 수평커버부 332 : 수직커버부

Claims (13)

  1. 차량의 전장부품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장부품에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장부품에 결합된 커넥터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장부품은,
    상기 커넥터가 결합되는 커넥터결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에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가 안착되는 안착지지부; 및
    상기 하우징 상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가 삽입되는 장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난방지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전장부품과 상기 차량의 전자제어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이 결합되는 커넥터부; 및
    상기 커넥터부와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결합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결합부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난방지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커넥터결합부와의 접촉력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레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레버부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난방지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지지부는,
    상기 안착부가 안착되는 안착홈부; 및
    상기 안착홈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와 상기 안착홈부 사이의 틈새를 커버하도록 상기 안착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안전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난방지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부는,
    상기 하우징 상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
    상기 삽입홈부의 개방부에 상기 장착부의 인입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인입안내부; 및
    상기 삽입홈부의 측면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에 형성된 후크부가 체결되는 걸림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난방지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전장부품에 안착되고, 상기 장착부와 연결되는 안착연장부; 및
    상기 안착연장부에서 상기 커넥터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커버부와 연결되며, 상기 안착연장부와 상기 커넥터간의 틈새를 커버하는 이격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난방지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전장부품에 형성된 장착홈부에 삽입되는 장착지지부; 및
    상기 장착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장착홈부에 형성된 걸림홈부에 체결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난방지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지지부는,
    상기 장착홈부에 슬라이딩 조립되는 패널부; 및
    상기 패널부의 중간부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후크부가 위치되는 중간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난방지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중간홀부의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장착지지부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탄성목부; 및
    상기 탄성목부에서 상기 걸림홈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부에 스냅피트 체결되는 고정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난방지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를 커버하는 수평커버부; 및
    상기 수평커버부에서 상기 커넥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상에 형성되는 중공의 유격부에 삽입되는 수직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난방지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커버하도록 상기 커버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안착부에서 상기 커넥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보조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난방지구.
  13. 제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와 상기 커넥터, 상기 전장부품의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의 공간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안착부의 단부에서 상기 커넥터 또는 상기 전장부품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폐쇄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난방지구.
KR1020150113131A 2015-08-11 2015-08-11 차량의 도난방지구 KR101678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131A KR101678808B1 (ko) 2015-08-11 2015-08-11 차량의 도난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131A KR101678808B1 (ko) 2015-08-11 2015-08-11 차량의 도난방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8808B1 true KR101678808B1 (ko) 2016-11-24

Family

ID=57705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131A KR101678808B1 (ko) 2015-08-11 2015-08-11 차량의 도난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8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846A (ko) * 2018-10-23 2020-05-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제어장치용 도난 방지구조
US11858434B2 (en) 2019-06-05 2024-01-02 Hyundai Mobis Co., Ltd. Electronic control unit for vehicle having fixing member for coupling a cover portion and a base por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94198A1 (en) * 2008-06-03 2009-12-03 Honda Motor Co., Ltd. Theft Deterrent Shield For Electronic Device
JP2010089643A (ja) * 2008-10-08 2010-04-22 Keihin Corp 車両の盗難防止装置
US9022162B2 (en) 2011-06-23 2015-05-05 Honda Motor Co., Ltd. Vehicle anti-theft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94198A1 (en) * 2008-06-03 2009-12-03 Honda Motor Co., Ltd. Theft Deterrent Shield For Electronic Device
JP2010089643A (ja) * 2008-10-08 2010-04-22 Keihin Corp 車両の盗難防止装置
US9022162B2 (en) 2011-06-23 2015-05-05 Honda Motor Co., Ltd. Vehicle anti-theft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846A (ko) * 2018-10-23 2020-05-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제어장치용 도난 방지구조
KR102552718B1 (ko) * 2018-10-23 2023-07-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제어장치용 도난 방지구조
US11858434B2 (en) 2019-06-05 2024-01-02 Hyundai Mobis Co., Ltd. Electronic control unit for vehicle having fixing member for coupling a cover portion and a base por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5109B2 (en) Motorcycle
US10348019B1 (en) Connector assembly with locking feature
US9540062B2 (en) Motorcycle
KR101678808B1 (ko) 차량의 도난방지구
JP4867862B2 (ja) コネクタの抜き取り防止装置
JP2010242442A (ja) 車両のドア操作ハンドル
CN101011958A (zh) 车辆强制安全带
WO2019006278A1 (en) JUNCTION BOX ASSEMBLY WITH GATE-SHAPED TERMINAL COVER RESTRAINT SYSTEM AND REMOVABLE GATE-SHAPE TERMINAL COVER
EP3106377B1 (en) Lid supporting structure
JP6499060B2 (ja) 車両用アウトハンドル装置
KR101830403B1 (ko)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999789B1 (ko) 범퍼와 헤드램프 결합 구조
JPWO2007013632A1 (ja) エアバッグ装置
US10246901B2 (en) Lock assembly with removable cover
JP4262132B2 (ja) 電気接続箱のカバー固定構造
US7362211B2 (en) Removably mounted wireless vehicle control and method
KR101339311B1 (ko) 차량의 무선통신장치
KR102299822B1 (ko) 차량용 제어장치
KR100609754B1 (ko) 차량용 안전스위치
JP7444082B2 (ja) 電気接続箱
KR102474812B1 (ko)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장치
KR101850460B1 (ko)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61B1 (ko)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59B1 (ko)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58B1 (ko)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