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660B1 - 냉장고용 축냉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축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7660B1
KR101667660B1 KR1020140153456A KR20140153456A KR101667660B1 KR 101667660 B1 KR101667660 B1 KR 101667660B1 KR 1020140153456 A KR1020140153456 A KR 1020140153456A KR 20140153456 A KR20140153456 A KR 20140153456A KR 101667660 B1 KR101667660 B1 KR 101667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efrigerator
cooling
air circulation
ax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4876A (ko
Inventor
연석현
Original Assignee
(주)성진스크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진스크린 filed Critical (주)성진스크린
Priority to PCT/KR2014/01066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152488A1/ko
Publication of KR20150114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6/00Devices using a combination of a cooling mode associated with refrigerating machinery with a cooling mode not associated with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축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냉장고 내부의 수용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축냉물질이 구비되는 축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에 축냉물질이 저장된 축냉장치를 일체로 형성하여 냉장고의 정전 또는 제상시 내부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음식물이나 식재료 등의 변질 또는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용 축냉장치{Cool storage apparatus for refrigerators}
본 발명은 냉장고용 축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냉된 냉열 또는 냉기를 냉장고의 내부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용 축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장 또는 냉동을 통하여 냉장고의 내부에 음식물, 식재료, 식품을 냉장 또는 냉동보관하는 가전제품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프레온 가스(CFC : ChloroFluoroCarbon) 또는 중간대체물질인 HCFC(HydroChloroFluoroCarbon) 등과 같은 냉매를 압축, 응축, 팽창시키는 과정에서 냉매가 상 변화되면서 발생되는 온도차를 이용하여 열 교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신선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냉장고는 통상 외형 몸체를 이루는 본체 내부에 앞면이 개방된 저장실로서 냉동실과 냉장실이 구획되어 있으며, 냉동실과 냉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는 본체 앞면부에 힌지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에는 냉장고의 내부 공간 측벽에 취부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이 구비되어 음식물을 수납하게 된다.
또한 근래의 냉장고에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 그에 알맞은 최적의 온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별도의 온도대를 유지하게 하거나, 냉동실에서 냉동 또는 냉각된 식자재 -1℃로 녹여서 조리 또는 식용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특선실이 형성된다.
즉 상기 냉장고의 특선실은 냉장실의 상부측에 서랍 형식으로 설치되어 생선 및 특별히 신선도를 요하는 식품을 보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발명의 배경이 되는 특허문헌 1의 냉장고 특선실은 냉기 누출 방지와 특선실 선반을 넣고 꺼냄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제거를 위한 구성만을 개시하고 있을 뿐, 냉장고의 도어의 잦은 개폐 또는 냉장고의 정전, 제상시와 같은 상황에서 고내의 냉기 방출을 억제하거나, 압축기의 재가동에 따른 소비전력을 줄이거나, 냉장실의 이상 작동시 보관중인 식품의 신선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지 못하고 있다.
즉, 특허문헌 1의 냉장고 특선실은 정전시 음식물의 부패 또는 변질이 일어나고, 냉장고 오작동에 따른 급속한 해동 또는 제상시 특선실 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 보상 유지 기능이 전혀 없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특허문헌 1의 냉장고 특선실은 내부 온도가 통상적으로 -1℃로 유지되어야 하나, 정전이나 제상시 등의 상황에는 상기 내부 온도의 유지가 불가능하다.
또한 특허문헌 2의 냉장고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복수개의 축냉팩과, 축냉팩의 상부에 위치한 열전달판을 구비하고 있는 선반을 포함하고 있을 뿐, 특선실 전용으로서 신선도 유지 및 오작동에 의한 급속한 해동 방지에 적합한 축냉수단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리고 특허문헌 2의 냉장고는 축냉팩의 냉기가 냉장고의 상측부에서 하향으로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냉기 분배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서, 냉기의 하향 대류 작용 효율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냉장고의 제1하우징의 저면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냉기 발산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고, 이로 인하여, 냉기의 발산 작용이 상대적으로 떨어짐과 함께, 축냉장치의 구조적 강성도 상대적으로 약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축냉장치는 복수개의 구성품을 조립하여 제작한 것으로서, 조립 공차 또는 틈새에 음식물로부터 유출된 액체 등의 이물질이 끼고, 청소가 불편하거나, 낀 상태의 이물질로 인하여 위생 문제가 발생될 수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35639호 대한민국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2507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축냉물질을 저장하는 축냉부를 본체의 내부 또는 바닥에 형성하여 냉기 발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체의 바닥부에 엠보싱부와 방열핀 형태의 냉기 분배부를 형성하여 구조적인 안정과 함께 냉기 발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체의 하부에 공기 순환 냉각부를 장착하여 냉장고의 정전 또는 제상시 축냉된 냉기로 적정 온도를 유지하여 음식물과 식재료의 부폐 및 과도한 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축냉장치는 냉장고 내부의 수용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축냉물질이 구비되는 축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축냉부는 본체를 구성하는 바닥부, 양측벽부, 배면부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의 양측에는 냉장고 내부 측면의 슬라이드 장착홈에 착·탈 가능하도록 가이드 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축냉부는 바닥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바닥부의 상부를 구성하는 상부 바닥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닥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 바닥판에는 요철 형상 또는 반복된 직각 웨이브 형상으로 이루어진 엠보싱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엠보싱부를 구성하는 돌출부에는 방열핀 형태의 냉기 분배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하부 중앙으로 내부에 축냉물질이 구비되는 공기 순환 냉각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하부 양측으로 공기 순환부가 배치되고, 상기 공기 순환부와 공기 순환부의 사이에는 보조 냉각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축냉물질이 구비되는 공기 순환 냉각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바퀴가 구비되는 이동 대차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냉부의 축냉물질에는 축광물질이 함유되고, 상기 본체는 축광물질로부터 발광하는 빛이 본체의 재질을 투과할 수 있도록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재질로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에 축냉물질이 저장된 축냉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냉장고의 정전 또는 제상시 내부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음식물이나 식재료 등의 변질 또는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엠보싱부 또는 방열핀 형태의 냉기 분배부를 통해 구조적인 안정과 함께 냉기 발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장고의 정전 또는 휴지 시간 동안 특선실 내의 온도 유지와 음식물 변질 방지 및 해동시간 지연에 따른 신선도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공기 순환 냉각부를 통해 냉장실 내부의 온도 상승을 더욱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선도 유지 상태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축냉부를 구성하는 축냉물질에 축광물질을 함유하여 냉장고의 정전시 축광물질로부터 발광되는 빛으로 냉장고의 어두운 내부를 밝게 비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선실 내부에 보관중인 물품을 상대적으로 선명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축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축냉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 - A선 단면도.
도 4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축냉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축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축냉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 - A선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축냉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원발명인 냉장고용 축냉장치(10)는 냉장고(1)의 내부 수용공간(3)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장착되고 축냉물질(40)이 구비되는 축냉부(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20)는 내충격성, 내저온취화성, 유연성, 가공성, 투명성, 내화학성, 내수성, 전기절연성 등이 우수한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20)는 냉장실의 상부 측에 서랍 형식으로 설치될 수 있는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생선 또는 특별히 신선도를 요하는 식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20)는 양문형 냉장고, 단문형 냉장고, 김치 냉장고 중 어느 하나의 냉장고(1)의 내부 수용공간(3)에 배치될 수 있는 크기로 바닥부(21), 양측벽부(22), 배면벽부(23), 가이드 부(24)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20)의 정면쪽은 개방되게 형성되어 손잡이 형태의 입구턱(25)이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20)의 개방된 정면 부위에는 미 도시된 본체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20)는 내부에 장착되는 축냉부(30)에 축냉물질(40)이 저장될 수 있도록 바닥부(21)에 주입구(미도시)가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주입구는 축냉부(30)의 내부에 축냉물질(40)을 충진한 후, 마개에 의해 1차 밀봉하고, 마개와 축냉물질 주입구 사이는 초음파 융착을 통해 2차로 밀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본체(20)의 하부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21)는 본체(20)의 내부에 보관되는 식자재와 음식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21)는 상부를 구성하는 상부 바닥판(21a)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닥 돌기(21c)가 형성되고,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 바닥판(21b)에는 요철 형상 또는 반복된 직각 웨이브 형상으로 이루어진 엠보싱부(21d)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축냉부 장착공간(21e)이 형성된다.
즉 상기 바닥부(21)는 축냉부 장착공간(21e)을 기준으로 상부에 바닥 돌기(21c)가 형성되는 상부 바닥판(21a)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요철 형상 또는 반복된 직각 웨이브 형상의 엠보싱부(21d)를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 바닥판(21a)에 형성되는 바닥 돌기(21c)는 본체(20)에 보관되는 대상물을 지지하여, 냉기가 대상물과 상부 바닥판(21a)의 사이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축냉부 장착공간(21e)에 장착되는 축냉부(30)의 형상은 상부 바닥판(21a)과 엠보싱부(21d)를 포함하는 하부 바닥판(21b)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축냉부(30)의 내부에 수용되는 축냉물질(40)의 체적 형상은 축냉부(30)와 대응하게 형성됨으로써 상대적으로 넓은 냉기 발산 면적을 가질 수 있고, 냉기를 상향, 좌우향 및 전후향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많은 냉기를 하향으로 공급하여 냉기의 하향 대류 작용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바닥부(21)의 양측에 일체형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양측벽부(22)는 본체(20)의 내부로 냉기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양측벽부(22)는 도시된 도 1 내지 3과 같이 전방 측의 높이가 후방 측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20)의 내부로 냉기가 원활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양측벽부(22)의 형상은 도시된 도면 이외에도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바닥부(21)의 배면에 일체형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배면벽부(23)는 바닥부(21) 및 양측벽부(22)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배면벽부(23)의 높이는 냉기가 특선실인 본체(20)의 음식물 저장 공간에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양측벽부(22)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양측벽부(22)의 양측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부(24)는 본체(20)의 양측면에 마련된 일종의 스키드 바(skid bar)로서, 상기 본체(20)를 냉장고(1)의 내부 수용공간(3)으로부터 입출시키는 것을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 부(24)는 본체(20)의 양측에 장착되어 냉장실의 슬라이드 홈에 슬라이드 결합방식으로 착·탈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 부(24)의 후방 저면에는 슬라이드 홈의 안착부에 대응하여 정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장착되는 축냉부(30)는 내부에 구비되는 축냉물질(40)을 이용하여 냉열 또는 냉기를 냉장고의 내부 수용공간(3)에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축냉부(30)는 냉장고의 정상 작동시 냉기 또는 냉열을 축냉하고 있다가, 냉장고의 비정상 작동시(예: 정전, 제상, 사용자의 온도 설정 실수) 상기 충냉된 냉기를 방출함으로써, 상기 본체(20)의 내부 수용공간(3) 또는 본체(20)의 아래쪽의 선반 등에 놓인 식자재를 신선하게 보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축냉부(30)는 냉장고의 정전 또는 제상시 냉장고의 내부 수용공간(3) 온도를 최대한 유지하거나 적어도 일정 시간 동안 냉장고의 내부 수용공간(3) 온도가 약냉으로 되는 것을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축냉부(30)의 내부에는 냉기 또는 냉열을 저장 및 발산하는 축냉물질(40)이 저장 또는 충진된다.
여기서 상기 축냉물질(40)은 특선실의 사용처, 용량, 크기를 고려하여 축냉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통상적인 축냉물질 군으로부터 선택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축냉물질 군에는 실온에서 액체 상태이고, 냉장고의 고내의 냉기에 의해, 또는 냉동고로부터 나온 영하 온도의 냉기에 의해 고체상태로 상 변화하는 물질로서, 물 또는 액체에 통상의 축냉제를 함유한 혼합물, 또는 물과 PCM(phase change material)의 혼합물인 수용액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냉부(30)의 축냉물질(40)에는 냉장고의 문이 열릴 때 내부 수용공간(3)의 전등 불빛을 흡수하여 저장하는 축광물질(40a)이 함유될 수 있다.
즉 상기 축광물질(40a)이 함유되는 축냉물질(40)은 빛을 흡수 및 저장하여 축광된 빛을 냉장고의 내부 수용공간(3)에 비춤으로써, 냉장고의 정전과 같이 냉장고 내부의 전등이 소등상황에서 사용자가 음식물을 식별하여 꺼내는데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축냉물질(40)과 축광물질(40a)의 배합 비율은 축냉부(30)의 기본 기능인 온도 유지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적정한 축광빛을 발생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으므로 특정 수치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반복된 최적화 실험을 통해 확인한 예시적인 수치에 따르면, 축냉물질(40)과 축광물질(40a)의 비율이 80 : 20 비율로부터 90 : 10 비율 구간의 어느 한 비율일 때 냉장고에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축냉 성능과 축광 성능을 모두 만족할 수 있음을 확인한 바 있다.
이때 상기 본체(20)는 축광물질(40a)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상기 본체(20)의 재질을 투과하여 냉장고의 내부를 밝게 비추도록,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재질로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성형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다음으로 상기 냉장고용 축냉장치(10)는 도시된 도 5 내지 8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시된 도 5의 냉장고용 축냉장치(10)는 냉장고의 정상 작동시 냉기를 더욱 효율적으로 축냉시키거나 냉장고의 비정상 작동시 냉기를 더욱 효율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냉장고용 축냉장치(10)는 축냉물질(40)이 구비되는 축냉부(30)가 본체(20)의 바닥부(21) 뿐만 아니라 양측벽부(22)와 배면벽부(23)의 내부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양측벽부(22) 및 배면벽부(23)의 축냉부(30)는 바닥부(21)의 축냉부(30)와 공간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21)를 구성하는 하부 바닥판(21b)의 저면에는 엠보싱부(21d)가 형성되고, 상기 엠보싱부(21d)를 구성하는 돌출부(21f)에는 하부 수직방향으로 방열핀 형태의 냉기 분배부(26)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냉기 분배부(26)의 하향 돌출 길이, 사이즈, 개수, 돌출 방향(예: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 혹은 경사 방향) 등의 설계 수치적 사항은 본체(20)의 사용처 또는 용량, 크기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으므로, 특정 수치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 분배부(26)는 본체(20)의 성형 또는 제작 과정에서 하부 바닥판(21b)에 일체형으로 제작되거나, 접착, 결합, 인서트 사출 등을 통해서 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냉기 분배부(26)는 하향으로 돌출된 형상적 특징에 따라서 축냉부(30)의 냉기가 방출되는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냉기의 하향 대류 작용을 더욱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6의 냉장고용 축냉장치(10)는 본체(20)의 하부 중앙으로 내부에 축냉물질(52)이 구비되는 공기 순환 냉각부(50)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냉장고용 축냉장치(10)는 본체(20)의 하부 중앙에 축냉물질(52)이 구비되는 공기 순환 냉각부(50)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여, 냉장고의 정상 작동시 냉기를 더욱 효율적으로 축냉시키고, 냉장고의 비정상 작동시 냉기를 더욱 효율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공기 순환 냉각부(50)는 냉장고의 내부 수용공간(3)에 수용되는 냉기의 하향 대류 작용을 유도하여 냉기를 더욱더 효율적으로 축냉시키면서도 냉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7의 냉장고용 축냉장치(10)는 본체(20)의 하부 양측으로 공기 순환부(51a)가 배치되고, 상기 공기 순환부(51a)와 공기 순환부(51a)의 사이에는 보조 냉각부(52a)가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축냉물질(53a)이 구비되는 공기 순환 냉각부(50)가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냉장고용 축냉장치(10)는 본체(20)의 하부 양측과 중앙에 축냉물질(53a)이 구비되는 공기 순환부(51a)와 보조 냉각부(52a)를 일체로 구성하여 냉장고의 정상 작동시 냉기를 더욱 효율적으로 축냉시키고, 냉장고의 비정상 작동시 냉기를 더욱 효율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공기 순환 냉각부(50)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공기 순환부(51a)를 통해 냉장고의 내부 수용공간(3)에 수용되는 냉기를 구획별로 하향 대류 작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냉장고의 내부 수용공간(3)의 온도가 동시에 올라가거나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8의 냉장고용 축냉장치(10)는 축냉물질(40)이 구비되는 축냉부(30)가 구비되는 본체(20)를 바퀴(62)가 구비되는 이동 대차(60)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냉장고용 축냉장치(10)는 축냉물질(40)이 구비되는 축냉부(30)가 구비되는 본체(20)를 이동 대차(60)의 내부 공간(61)에 수용한 후 바퀴(62)를 이용하여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냉장고용 축냉장치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내충격성, 내저온취화성, 유연성, 가공성, 투명성, 내화학성, 내수성, 전기절연성 등이 우수한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바닥부(21), 양측벽부(22), 배면벽부(23), 가이드 부(24)가 일체로 구성되는 본체(2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바닥부(21)의 내부에는 축냉부(30)의 장착을 위하여 축냉부 장착공간(21e)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21)에 형성되는 주입구를 통해 축냉부(30)의 내부에 축냉물질(40)을 충진한 후, 마개에 의해 1차 밀봉하고, 마개와 축냉물질 주입구 사이는 초음파 융착을 통해 2차로 밀봉하면 냉장고용 축냉장치(10)의 조립은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냉장고용 축냉장치의 형성과정은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 냉장고(1)의 내부 수용공간(3)으로 냉장고용 축냉장치(10)를 선택적으로 장착한 후 상기 냉장고(1)를 설정된 냉장 제어를 통해서 적정 온도 또는 설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1)를 구성하는 도어의 잦은 개폐 또는 냉장고(1)의 정전 또는 제상시에는 냉장고(1)의 내부 수용공간(3)의 온도가 정상적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설정 온도 이상으로 온도 상승이 이루어지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냉장고(1)는 축냉부(30)가 구비되는 본체(20)를 통해 냉장고(1)의 내부 수용공간(3) 온도 상승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즉 상기 냉장고(1)는 축냉부(30)로부터 발생된 냉기가 축냉부(30)의 축냉물질(40) 용량에 대응한 시간 동안 내부 수용공간(3)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여, 본체(20)의 저장 공간에 위치한 식자재, 식품, 음식물 등의 상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축냉부(30)를 갖는 본체(20)는 내부 수용공간(3)의 상부측에 위치하고, 냉기 특성상 하향 대류 작용(F)을 일으킨다. 따라서, 상기 본체(20)의 축냉부(30)로부터 발생된 냉기에 의해서, 상기 본체(20)의 아래쪽에 위치한 복수 개의 선반(5) 상에 보관중인 음식물, 냉장 보관 물품 등이 안전하게 냉장 보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축냉부(30)가 위치한 본체(20)의 바닥부(21)의 저면에는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엠보싱부(21d)가 마련되어 있되, 상기 엠보싱부(21d)가 일반적인 평평한 저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적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상기 넓은 표면적에 대응하게 하향 대류 작용(F)의 냉기 공급량 또는 공급 효율이 증가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상기 본체(20)의 아래쪽에 위치한 음식물, 냉장 보관 물품이 상대적으로 더욱 신선하게 보관될 수 있다.
이렇게 하향 대류 작용(F)을 하는 냉기는 내부 수용공간(3)의 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 보상 유지 기능을 실현함으로써, 내부 수용공간(3) 내부 전체의 온도 저하를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인 냉장고용 축냉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냉장고용 축냉장치, 20 : 본체,
21 : 바닥부, 22 : 양측벽부,
23 : 배면벽부, 24 : 가이드 부,
25 : 입구턱, 26 : 냉기 분배부,
30 : 축냉부, 40 : 축냉물질,
50 : 공기 순환 냉각부, 60 : 이동 대차.

Claims (8)

  1. 냉장고 내부의 수용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축냉물질이 구비되는 축냉부;를 포함하며,
    상기 축냉부는 바닥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바닥부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 바닥판에는 요철 형상 또는 반복된 직각 웨이브 형상으로 이루어진 엠보싱부가 형성되고,
    상기 엠보싱부를 구성하는 돌출부에는 냉기 공급량을 분배를 위한 냉기 분배부가 형성되는 냉장고용 축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냉부는 본체를 구성하는 바닥부, 양측벽부, 배면부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의 양측에는 냉장고 내부 측면의 슬라이드 장착홈에 착·탈 가능하도록 가이드 부가 형성되는 냉장고용 축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축냉부는 바닥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바닥부의 상부를 구성하는 상부 바닥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닥 돌기가 형성되는 냉장고용 축냉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 중앙으로 내부에 축냉물질이 구비되는 공기 순환 냉각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냉장고용 축냉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 양측으로 공기 순환부가 배치되고, 상기 공기 순환부와 공기 순환부의 사이에는 보조 냉각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축냉물질이 구비되는 공기 순환 냉각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냉장고용 축냉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바퀴가 구비되는 이동 대차를 통해 이동되는 냉장고용 축냉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냉부의 축냉물질에는 축광물질이 함유되고,
    상기 본체는 축광물질로부터 발광하는 빛이 본체의 재질을 투과할 수 있도록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재질로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성형되는 냉장고용 축냉장치.
KR1020140153456A 2014-04-02 2014-11-06 냉장고용 축냉장치 KR101667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10660 WO2015152488A1 (ko) 2014-04-02 2014-11-07 냉장고용 축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9059 2014-04-02
KR1020140039059 2014-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876A KR20150114876A (ko) 2015-10-13
KR101667660B1 true KR101667660B1 (ko) 2016-10-20

Family

ID=54348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456A KR101667660B1 (ko) 2014-04-02 2014-11-06 냉장고용 축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6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396B1 (ko) * 2017-11-23 2019-05-16 (주)지아이엠텍 축냉제가 내장된 덕트를 구비하는 선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997B1 (ko) * 2020-07-28 2020-09-14 김서현 항노화 식용유지 보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6881A (ja) * 1998-12-21 2000-07-04 Daikin Ind Ltd 保冷庫用蓄冷器
KR200320682Y1 (ko) * 2003-05-01 2003-07-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축냉식 냉장고 선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아이스박스
JP2005291673A (ja) * 2004-04-05 2005-10-20 Inoac Corp 蓄冷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858B1 (ko) 1999-08-26 2002-03-07 김순택 녹색발광 형광체, 그것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형광막을 구비한 투사형 음극선관
KR20070058803A (ko) * 2005-12-05 2007-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야광 냉장고
KR101697113B1 (ko) 2010-09-06 2017-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6881A (ja) * 1998-12-21 2000-07-04 Daikin Ind Ltd 保冷庫用蓄冷器
KR200320682Y1 (ko) * 2003-05-01 2003-07-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축냉식 냉장고 선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아이스박스
JP2005291673A (ja) * 2004-04-05 2005-10-20 Inoac Corp 蓄冷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396B1 (ko) * 2017-11-23 2019-05-16 (주)지아이엠텍 축냉제가 내장된 덕트를 구비하는 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876A (ko) 201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6537B1 (ko) 축냉제가 내장된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N103339454B (zh) 冷藏库
KR20140119443A (ko) 냉장고
TWI452250B (zh) refrigerator
KR20040067643A (ko) 온도조절 챔버를 구비한 냉장고
KR101667660B1 (ko) 냉장고용 축냉장치
JP2011064444A (ja) 冷蔵庫
JP2007163066A (ja) 冷蔵庫
JP2010139218A (ja) 冷蔵庫
KR200320682Y1 (ko) 축냉식 냉장고 선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아이스박스
US10443914B2 (en)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JP2011038686A (ja) 冷蔵庫
JP2015148403A (ja) 冷蔵庫
JP4316408B2 (ja) 省スペース型冷蔵庫
US11268748B2 (en) Indirect air cooling for an ice maker within a refrigerator door
WO2015152488A1 (ko) 냉장고용 축냉장치
JP2017110823A (ja) 冷蔵庫
US11060790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2169573A1 (ja) 冷蔵庫
JP2009216372A (ja) 冷蔵庫
JP6714970B2 (ja) 冷蔵庫
JP2014145550A (ja) 冷蔵庫
JP6039924B2 (ja) 冷蔵庫
JP2008107068A (ja) 冷却貯蔵庫
JP2003294356A (ja) 冷蔵庫の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