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355B1 -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355B1
KR101666355B1 KR1020150062833A KR20150062833A KR101666355B1 KR 101666355 B1 KR101666355 B1 KR 101666355B1 KR 1020150062833 A KR1020150062833 A KR 1020150062833A KR 20150062833 A KR20150062833 A KR 20150062833A KR 101666355 B1 KR101666355 B1 KR 101666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uide
welding
vertical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0933A (ko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케이원스틸주식회사
김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원스틸주식회사, 김정수 filed Critical 케이원스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2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355B1/ko
Publication of KR20160130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0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08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 B21F27/1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with soldered or welded cros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12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1F27/121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f tubular form, e.g. as reinforcements for pipes or pillars
    • B21F27/127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f tubular form, e.g. as reinforcements for pipes or pillars by bending preformed m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02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1/008Manufacturing of metallic grids or mats by spot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다수의 드림에 감겨 전방으로 연속 제공되는 다수의 제1세로철선과 소정의 크기로 절단되어 상기 제1세로철선의 상부에 연속 안치되는 가로철선을 스폿 용접(spot welding)하는 다수의 제1용접기로 구성되는 용접부와, 상기 용접부를 연속적으로 승·하강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용접부 및 이송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세로철선과 수평 이격되되, 상기 제1세로철선보다 낮은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세로철선이 전방으로 연속 제공되도록 하는 전송부;와, 상기 제1세로철선의 상부에 안치된 가로철선의 일 끝단을 절곡하고, 그 절곡된 끝단이 상기 제2세로철선의 상부에 안치되도록 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로 인해 상기 가로철선의 끝단이 절곡되어 상기 제2세로철선에 적층되는 동시에, 상기 제2세로철선에 상기 가로철선이 결합되도록 스폿 용접을 수행하는 제2용접기;와, 상기 절곡부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전송부를 통해서 제공되는 상기 제2세로철선을 소정의 간격으로 성형하여 "U" 형상의 확장부를 형성하는 성형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장치에 절곡부를 설치하여 가로철선의 일 끝단을 "ㄴ" 형상으로 자동으로 절곡하는 동시에, 전송부를 통해 전방으로 전송되는 제2세로철선을 제2용접기를 통하여 절곡된 가로철선에 용접 결시킬 수 있어 작업의 공정을 절감하고 자동화함으로,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성형부로 인해 제2세로철선에 일정한 간격으로 확장부를 미리 형성하여 통상 수로관의 입구에 내장 위치되는 특성상 제2세로철선을 "└┘" 형상으로 성형하는 과정에서 늘어나는 길이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함으로, 종래의 용접철망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제2세로철선을 별도의 길이로 절단 준비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더욱 제품의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조절수단 및 제2조절수단을 통해서 제2세로철선의 좌우 위치를 적합하게 설정할 수 있어, 통상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는 수로관의 입구에 적합하게 제2세로철선의 위치를 조절하여 장치의 사용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Waterway pipe welded wire mesh that is embedded into the wire welding and molding device}
본 발명은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의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장치에 절곡부를 설치하여 가로철선의 일 끝단을 "ㄴ" 형상으로 자동으로 절곡하는 동시에, 전송부를 통해 전방으로 전송되는 제2세로철선을 제2용접기를 통하여 절곡된 가로철선에 용접 결시킬 수 있어 작업의 공정을 절감하고 자동화함으로,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단이 개방된 상태의 배수관이나 노관 등을 포함하는 수로관은 논이나 밭 또는 배수지역 등에 설치되어 농업용수나 우수 또는 하수 등을 송수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수로관은 콘크리트로 타설된 것으로, 수로관의 내측에는 소정 직경의 철선이 메쉬(mesh) 형태로 용접된 용접철망이 내장되어 있다. 수로관에 내장된 용접철망은 수로관의 강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수로관이 외부의 힘에 의한 취성이나 연성에 견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로관(9)은 다수의 수로관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수로관(9) 일단은 다른 수로관(9)의 타단이 삽입 안치될 수 있도록 "ㄴ"형상의 절곡된 입구(9a)를 갖도록 제작된다.
따라서,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로관(9)에 내장되는 용접철망(6) 역시 수로관(9)의 입구(9a)에 위치되는 용접철망(6)의 끝단이 "ㄴ"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도록 제작된다.
이러한, 종래의 용접철망(6)이 제조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장치를 통해서 다수의 드림에 감겨 전방으로 연속 제공되는 다수의 제1세로철선(1)과 상기 제1세로철선(1)의 상부에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가로철선(2)을 메쉬(mesh) 형태로 고정되도록 스폿 용접한 후,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한다.
그런 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수로관(9)의 입구(9a)에 위치되는 가로철선(2)을 별도의 절곡장치를 통해서 "ㄴ" 형상으로 1차 절곡한 후,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접철망(6)을 수로관(9)의 형상인 "└┘" 모양으로 2차 절곡한다.
그런 후,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절곡된 상기 가로철선(2)에 별도로 "└┘" 절곡된 제2세로철선(7)을 위치시켜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스폿 용접을 수행하여 결합되게 함으로 수로관(9)에 내장되는 용접철망(6)의 형상으로 제작된다.
즉, 상기와 같이 용접철망(6)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용접철망(6)의 철선 용접장치를 통해서 메쉬 형태의 용접철망으로 제작한 후, 절곡장치를 통해서 가로철선(2)의 일 끝단을 절곡한 후,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서 상기 가로철선(2)의 절곡된 부분에 제2세로철선(7)을 용접하는 일련의 과정이 필요하므로, 다수의 공정이 다수의 장치를 통해서 수행되어 공정이 복잡하고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2세로철선(7)을 수작업을 통해 용접 결합함으로 인위적인 실수로 인한 불량품 발생률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용접철망(6)의 제2세로철선(7)은 상기 수로관(9)의 입구(9a)에 위치도는 것으로, 상기 제1세로철선(1)보다 길이가 길고, "└┘" 형상으로 미리 제작이 요구되어 상기 제1세로철선(1)과는 개별적으로 절단하여 성형하고 준비해야함으로, 더욱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작업의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통상의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장치에 절곡부를 설치하여 가로철선의 일 끝단을 "ㄴ" 형상으로 자동으로 절곡하는 동시에, 전송부를 통해 전방으로 전송되는 제2세로철선을 제2용접기를 통하여 절곡된 가로철선에 용접 결시킬 수 있어 작업의 공정을 절감하고 자동화함으로,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더욱이, 성형부로 인해 제2세로철선에 일정한 간격으로 확장부를 미리 형성하여 통상 수로관의 입구에 내장 위치되는 특성상 제2세로철선을 "└┘" 형상으로 성형하는 과정에서 늘어나는 길이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함으로, 종래의 용접철망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제2세로철선을 별도의 길이로 절단 준비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더욱 제품의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제1조절수단 및 제2조절수단을 통해서 제2세로철선의 좌우 위치를 적합하게 설정할 수 있어, 통상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는 수로관의 입구에 적합하게 제2세로철선의 위치를 조절하여 장치의 사용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는 다수의 드림에 감겨 전방으로 연속 제공되는 다수의 제1세로철선과 소정의 크기로 절단되어 상기 제1세로철선의 상부에 연속 안치되는 가로철선을 스폿 용접(spot welding)하는 다수의 제1용접기로 구성되는 용접부와, 상기 용접부를 연속적으로 승·하강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용접부 및 이송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세로철선과 수평 이격되되, 상기 제1세로철선보다 낮은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세로철선이 전방으로 연속 제공되도록 하는 전송부;와, 상기 제1세로철선의 상부에 안치된 가로철선의 일 끝단을 절곡하고, 그 절곡된 끝단이 상기 제2세로철선의 상부에 안치되도록 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로 인해 상기 가로철선의 끝단이 절곡되어 상기 제2세로철선에 적층되는 동시에, 상기 제2세로철선에 상기 가로철선이 결합되도록 스폿 용접을 수행하는 제2용접기;와, 상기 절곡부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전송부를 통해서 제공되는 상기 제2세로철선을 소정의 간격으로 성형하여 "U" 형상의 확장부를 형성하는 성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송부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것으로,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상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면 상기 회전축을 타고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되는 이송체와, 상기 이송체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이송체와 함께 이송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제2세로철선이 관통되며, 전방으로 이송시 수축하여 상기 제2세로철선을 압착 결속하여 상기 제2세로철선과 함께 이송되고, 후방으로 복귀시 팽창하여 상기 제2세로철선의 압착을 해제하는 쐐기형의 웨지가 내장되는 하나 이상의 전송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송체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는 제1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1조절수단은 상기 이송체와 전송체 사이에 형성되되, 내부에는 상기 전송체가 이송되는 전·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안내홈을 갖는 제1안내가이드와, 상기 전송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되, 하부는 상기 제1안내홈을 타고 이송되도록 상기 제1안내홈에 결속되며, 상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전송체를 안내하는 제1안내돌기와, 상기 제1안내돌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송체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제1결합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곡부는 상기 가로철선의 일 끝단 상부에 위치되어 연속적으로 승·하강하는 것으로, 하강하는 과정에서 하부가 상기 가로철선과 접촉되어 상기 가로철선의 일 끝단을 가압하여 절곡하는 절곡돌기와, 상기 가로철선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로철선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절곡돌기가 상기 가로철선을 절곡시 상기 가로철선이 용이하게 절곡되도록 상기 가로철선의 일 끝단을 받치는 제1받침돌기와, 상기 절곡돌기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절곡돌기를 연속적으로 승·하강시키는 제1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제1실린더가 결합 결속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2세로철선과 가로철선이 교차되는 지점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용접기는 상기 제1실린더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절곡돌기와 함께 승·하강되도록 하며, 하강하는 상기 절곡돌기로 인해 절곡되어 상기 제2세로철선에 적층되는 상기 가로철선이 상기 제2용접기의 스폿 용접을 통해 상기 제2세로철선에 용접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성형부는 상기 제2세로철선의 상부에 위치되어 연속적으로 승·하강하는 것으로, 하강하는 과정에서 하부가 상기 제2세로철선과 접촉되어 상기 제2세로철선에 "U" 형상의 확장부가 형성되도록 가압하는 성형돌기와, 상기 성형돌기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성형돌기를 연속적으로 승·하강시키는 제2실린더와, 상기 제2세로철선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부는 상기 제2세로철선을 지지하는 제2받침돌기와, 상부는 상기 제2세로철선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2받침돌기와 전방으로 수평 이격되되, 하부에는 제2안내돌기가 형성되는 제3받침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제2받침돌기와 제3받침돌기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하강하는 상기 성형돌기가 유입되어 상기 성형돌기에 가압되는 상기 제2세로철선에 용이하게 "U" 형상의 확장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받침부와, 상기 제3받침돌기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부에는 상기 제3받침돌기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안내돌기가 삽입되는 제2안내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3받침돌기는 상기 제2안내홈을 타고 좌우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제2안내가이드와, 상기 제3받침돌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3받침돌기가 상기 제2안내가이드를 타고 좌우 이송되도록 하는 제3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받침돌기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는 제2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2조절수단은 상기 제2안내가이드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부에는 상기 제2안내가이드가 위치되도록 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부에는 상기 제3받침돌기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3안내홈을 갖는 제3안내가이드와, 상기 지지판을 수직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제3안내홈을 타고 이송되도록 상기 제3안내홈에 결속되어 상기 지지판을 안내하는 제2안내돌기와, 상기 제2안내돌기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판()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제2결합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에 의하면, 통상의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장치에 절곡부를 설치하여 가로철선의 일 끝단을 "ㄴ" 형상으로 자동으로 절곡하는 동시에, 전송부를 통해 전방으로 전송되는 제2세로철선을 제2용접기를 통하여 절곡된 가로철선에 용접 결시킬 수 있어 작업의 공정을 절감하고 자동화함으로,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성형부로 인해 제2세로철선에 일정한 간격으로 확장부를 미리 형성하여 통상 수로관의 입구에 내장 위치되는 특성상 제2세로철선을 "└┘" 형상으로 성형하는 과정에서 늘어나는 길이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함으로, 종래의 용접철망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제2세로철선을 별도의 길이로 절단 준비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더욱 제품의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조절수단 및 제2조절수단을 통해서 제2세로철선의 좌우 위치를 적합하게 설정할 수 있어, 통상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는 수로관의 입구에 적합하게 제2세로철선의 위치를 조절하여 장치의 사용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로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을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의 전송부 및 제1조절수단의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의 절곡부 및 제2용접기의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의 성형부 및 제2조절수단의 분리 사시도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의 전송부 및 제1조절수단의 A-A 단면도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의 성형부 및 제2조절수단의 B-B 단면도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의 제1조절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도 3에 도시된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의 제2조절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도 3에 도시된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의 전송부와 절곡부 및 용접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도 3에 도시된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의 전송부와 절곡부와 성형부 및 용접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의 정면도를,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의 측면도를,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의 평면도를,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의 요부 사시도를,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의 요부 분리 사시도를,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의 전송부 및 제1조절수단의 분리 사시도를,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의 절곡부 및 제2용접기의 분리 사시도를,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의 성형부 및 제2조절수단의 분리 사시도를,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의 전송부 및 제1조절수단의 A-A 단면도를,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의 성형부 및 제2조절수단의 B-B 단면도를,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의 제1조절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14는 도 3에 도시된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의 제2조절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15는 도 3에 도시된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의 전송부와 절곡부 및 용접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16은 도 3에 도시된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의 전송부와 절곡부와 성형부 및 용접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100)는, 다수의 드림에 감겨 전방으로 연속 제공되는 다수의 제1세로철선(1)과 소정의 크기로 절단되어 상기 제1세로철선(1)의 상부에 연속 안치되는 가로철선(2)을 스폿 용접(spot welding)하는 다수의 제1용접기(3a)로 구성되는 용접부(3)와, 상기 용접부(3)를 연속적으로 승·하강시키는 이송부(4)와, 상기 용접부(3) 및 이송부(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를 포함하는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장치에 있어서,
전송부(10)와, 절곡부(20)와, 제2용접기(30)와, 성형부(40)를 더 포함하고 있다.
도 6 내지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송부(10)는 상기 제1세로철선(1)과 수평 이격되되, 상기 제1세로철선(1)보다 낮은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세로철선(7)이 전방으로 연속 제공되도록 하는 것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11)와, 상기 모터(11)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것으로, 외주면에는 나사산(12a)이 형성되는 회전축(12)과, 상기 회전축(12) 상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축(12)이 회전하면 상기 회전축(12)의 나사산(12a)을 타고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되는 이송체(13)와, 상기 이송체(13)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이송체(13)와 함께 이송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제2세로철선(7)이 관통되며, 전방으로 이송시 수축하여 상기 제2세로철선(7)을 압착 결속하여 상기 제2세로철선(7)과 함께 이송되고, 후방으로 복귀시 팽창하여 상기 제2세로철선(7)의 압착을 해제하는 쐐기형의 웨지(14a)가 내장되는 하나 이상의 전송체(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전송부(10)를 통해 상기 제2세로철선(7)이 전방으로 이송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11)가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회전축(12)이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하는 상기 회전축(12)을 타고 상기 이송체(13)가 전방으로 이송되며, 이때 상기 전송체(14)는 상기 이송체(13)와 함께 전방으로 이송되면서 내부의 웨지(14a)는 후방으로 밀리면서 수축되어 상기 제2세로철선(7)을 압착함으로 상기 전송체(14)와 함께 상기 제2세로철선(7)이 전방으로 이송되며,
반대로, 상기 모터(11)가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회전축(12)이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하는 상기 회전축(12)을 타고 상기 이송체(13)가 후방으로 이송되며, 이때 상기 전송체(14)는 상기 이송체(13)와 함께 후방으로 이송되면서 내부의 웨지(14a)가 전방으로 밀리면서 팽창하여 상기 제2세로철선(7)의 압착을 해제함으로 상기 전송체(14)만 후방으로 이송되어 복귀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11)의 회전은 상기 제어부(5)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전송체(14)를 적합하게 전방 및 후방으로 이송시켜 상기 제2세로철선(7)이 적합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100)의 쐐기형의 상기 웨지(14a)로는 수축 및 팽창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조각으로 구성된 조립체(14a')와 그 외주면에 형성되는 탄성 링(14a'')으로 구성되는 통상의 웨지조립체가 사용되며, 상기 웨지(14a)가 효과적으로 수축 및 팽창하도록 상기 웨지(14a)가 내장되는 상기 전송체(14)의 내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됨은 물론이다.
또한, 통상적으로 수로관(9)의 크기는 사용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으로, 상기 제2세로철선(7)의 좌우 위치를 적합하게 선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2세로철선(7)을 전방으로 전송하는 상기 전송체(14)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는 제1조절수단(50)을 더 포함하여 장치의 사용편의성을 확보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상기 제1조절수단(50)은, 도 6 내지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체(13)와 전송체(14) 사이에 형성되되, 상부에는 상기 전송체(14)가 이송되는 전·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안내홈(51a)을 갖는 제1안내가이드(51)와, 상기 전송체(14)를 수직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부 외주면에는 나사산(52a)이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제1안내홈(51a)을 타고 이송되도록 상기 제1안내홈(51a)에 결속되어 상기 전송체(14)를 안내하는 제1안내돌기(52)와, 상기 제1안내돌기(52)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전송체(14)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제1결합볼트(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조절수단(50)을 통해서 상기 전송체(14)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안내돌기(52)에 체결된 상기 제1결합볼트(53)의 결속을 해제한 후, 상기 전송체(14)의 좌우 위치를 적합하게 조절하되, 이때 상기 전송체(14)는 상기 제1안내가이드(51)의 제1안내홈(51a)을 타고 좌우 이송되는 상기 제1안내돌기(52)로 인해 안정적으로 좌우 안내되며, 상기 전송체(14)의 좌우 위치조절이 완료되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볼트(53)를 상기 제1안내돌기(52)에 체결하여 상기 전송체(14)의 위치를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도 6과 도 7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곡부(20)는 상기 제1세로철선(1)의 상부에 안치된 가로철선(2)의 일 끝단을 절곡하고, 그 절곡된 끝단이 상기 제2세로철선(7)의 상부에 안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가로철선(2)의 일 끝단 상부에 위치되어 연속적으로 승·하강하는 것으로, 하강하는 과정에서 하부가 상기 가로철선(2)과 접촉되어 상기 가로철선(2)의 일 끝단을 가압 절곡하는 절곡돌기(21)와, 상기 가로철선(2)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로철선(2)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절곡돌기(21)가 상기 가로철선(2)을 가압 절곡시 상기 가로철선(2)이 용이하게 절곡되도록 상기 가로철선(2)의 일 끝단을 받치는 제1받침돌기(22)와, 상기 절곡돌기(21)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절곡돌기(21)를 연속적으로 승·하강시키는 제1실린더(23)와, 상기 제1실린더(23)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제1실린더(23)가 결합 결속되는 고정프레임(24)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즉,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린더(23)가 작동하여 상기 절곡돌기(21)를 하강시키면, 상기 절곡돌기(21)의 하부가 상기 가로철선(2)의 일 끝단을 가압하게 되고, 그러면 상기 가로철선(2)의 일 끝단을 받치는 상기 제1받침돌기(22)를 기준으로 상기 가로철선(2)의 일 끝단이 안정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세로철선(7)의 접촉 안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실린더(23)의 작동으로 인해 하강하는 상기 절곡돌기(21)의 하강 길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제1실린더(23)가 고정되는 상기 고정프레임(24)을 상기 이송부(4)로 인해 연속적으로 승·하강하는 상기 용접부(3)에 고정 결합하여 상기 용접부(3)와 함께 승·하강하게 함으로, 상기 제1실린더(23)의 하강 길이를 절감하여 사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100)의 제1실린더(23)의 작동은 상기 제어부(5)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가로철선(2)의 일 끝단이 상기 제2세로철선(7)에 적합하게 적층되게 절곡함은 물론이다.
도 6과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용접기(30)는 상기 절곡부(20)로 인해 상기 가로철선(2)의 끝단이 절곡되어 상기 제2세로철선(7)에 적층되는 동시에, 상기 제2세로철선(7)에 상기 가로철선(2)이 결합되도록 스폿 용접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제2세로철선(7)과 가로철선(2)이 교차되는 지점의 상부에 위치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용접기(30)는 상기 제1실린더(23)의 로드(23a)에 연결되어 상기 제1실린더(23)의 작동으로 상기 절곡돌기(21)와 함께 승·하강되도록 구성하여, 하강하는 상기 절곡돌기(21)로 인해 절곡되어 상기 제2세로철선(7)에 적층되는 상기 가로철선(2)이 곧바로 상기 제2용접기(30)의 스폿 용접을 통해 상기 제2세로철선(7)에 용접 결합되도록 하여 장치의 구조가 간편하게 구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6과 도 7과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부(40)는 상기 절곡부(20)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전송부(10)를 통해서 제공되는 상기 제2세로철선(7)에 소정의 간격으로 "U" 형상의 확장부(8)를 성형하는 것으로,
상기 제2세로철선(7)의 상부에 위치되어 연속적으로 승·하강하는 것으로, 하강하는 과정에서 하부가 상기 제2세로철선(7)과 접촉되어 상기 제2세로철선(7)에 "U" 형상의 확장부(8)가 형성되도록 가압하는 성형돌기(41)와, 상기 성형돌기(41)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성형돌기(41)를 연속적으로 승·하강시키는 제2실린더(42)와, 상기 제2세로철선(7)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부는 상기 제2세로철선(7)을 지지하는 제2받침돌기(43a)와, 상부는 상기 제2세로철선(7)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2받침돌기(43a)와 전방으로 수평 이격되되, 하부에는 제2안내돌기(43b')가 형성되는 제3받침돌기(43b)를 포함하여, 상기 제2받침돌기(43a)와 제3받침돌기(43b)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하강하는 상기 성형돌기(41)가 유입되어 상기 성형돌기(41)에 가압되는 상기 제2세로철선(7)에 용이하게 "U" 형상의 확장부(8)가 형성되도록 하는 받침부(43)와, 상기 제3받침돌기(43b)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부에는 상기 제3받침돌기(43b)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안내돌기(43b')가 삽입되는 제2안내홈(44a)이 형성되어 상기 제3받침돌기(43b)는 상기 제2안내홈(44a)을 타고 좌우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제2안내가이드(44)와, 상기 제3받침돌기(43b)와 연결되어 상기 제3받침돌기(43b)가 상기 제2안내가이드(44)를 타고 좌우 이송되도록 하는 제3실린더(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성형부(40)의 작동을 통해서 상기 제2세로철선(7)에 확장부(8)를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실린더(42)가 작동하여 상기 성형돌기(41)가 하강하면, 하강하는 상기 성형돌기(41)는 상기 받침부(43)에 지지되는 상기 제2세로철선(7)을 가압하게 되는데 이때,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하는 상기 성형돌기(41)는 상기 제2받침돌기(43a)와 제3받침돌기(43b)의 이격된 공간으로 유입되므로 상기 제2세로철선(7)에 자연적으로 "U" 형상의 확장부(8)가 형성되며,
상기 제2세로철선(7)에 확장부(8)가 형성된 후, 상기 제2세로철선(7)이 전방으로 이송되어야 하는데, 상기 제2세로철선(7)에 형성된 확장부(8)가 상기 제3받침돌기(43b)에 걸려 상기 제2세로철선(7)의 전방 이송이 곤란함으로 이때는,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실린더(44)가 작동하여 상기 제3받침돌기(43b)가 상기 제2안내가이드(44)의 안내를 받아 일 측면으로 이송되도록 하여 상기 제2세로철선(7)의 이송이 원활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제3받침돌기(43b)는 상기 제2세로철선(7)에 확장부(8)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성형돌기(41)가 하강하는 경우에는,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세로철선(7)을 지지할 수 있는 위치로 상기 제3실린더(45)로 인해 이송되고,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돌기(41)의 하강으로 인해 상기 제2세로철선(7)에 확장부(8)가 형성되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제2세로철선(7)의 이송에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성형돌기(41)를 이송하는 상기 제2실린더(42) 및 상기 제3받침돌기(43b)를 이송하는 상기 제3실린더(45)의 작동은 상기 제어부(5)의 제어를 통해서 작동되도록 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100)는 제2실린더(42)의 작동으로 인해 하강하는 상기 성형돌기(41)의 하강 길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제2실린더(42)는 연속적으로 승·하강하는 상기 제1실린더(23)의 로드(23a)에 연결 고정되어 상기 제2실린더(42)로 인해 하강하는 상기 성형돌기(41)의 하강 길이를 최소화하여 상기 제2실린더(42)의 사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수로관(9)의 크기는 사용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제1조절수단(50)을 통해 상기 제2세로철선(7)의 좌우 위치를 적합하게 조절하게 되므로,
조절된 상기 제2세로철선(7)을 상기 제3받침돌기(43b)에서 용이하게 받칠 수 있도록 상기 제3받침돌기(43b)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는 제2조절수단(60)를 더 포함하여 장치의 사용편의성을 확보함이 바람직하며,
도 6과 도 7과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조절수단(60)은 상기 제2안내가이드(44)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부에는 상기 제2안내가이드(44)가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판(61)과, 상기 지지판(61)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부에는 상기 제3받침돌기(43b)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3안내홈(62a)을 갖는 제3안내가이드(62)와, 상기 지지판(61)을 수직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부 외주면에는 나사산(63a)이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제3안내홈(62a)을 타고 이송되도록 상기 제3안내홈(62a)에 결속되어 상기 지지판(61)을 안내하는 제2안내돌기(63)와, 상기 제2안내돌기(63)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판(61)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제2결합볼트(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2조절수단(60)을 통해서 상기 제3받침돌기(43b)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안내돌기(63)에 체결된 상기 제2결합볼트(64)의 결속을 해제한 후, 상기 성형부(40)의 제3받침돌기(43b)를 지지하는 상기 제2안내가이드(44)가 안치되는 상기 지지판(61)의 좌우 위치를 적합하게 조절하여 상기 제3받침돌기(43b)의 위치를 조절하되, 이때 상기 지지판(61)은 상기 제3안내가이드(62)의 제3안내홈(62a)을 타고 좌우 이송되는 상기 제2안내돌기(63)로 인해 안정적으로 좌우 안내되며, 상기 지지판(61)의 좌우 위치조절로 인해 상기 제3받침돌기(43b)의 위치조절이 완료되면,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결합볼트(64)를 상기 제2안내돌기(63)에 체결하여 상기 지지판(61)의 위치를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100)는 통상의 수로관(9)에 내장되는 용접철망(6)의 철선 용접장치에 상기 절곡부(20)를 설치하여 가로철선(2)의 일 끝단을 "ㄴ" 형상으로 자동으로 간편히 절곡하는 동시에, 상기 전송부(10)를 통해 전방으로 전송되는 제2세로철선(7)을 제2용접기(30)를 통하여 절곡된 가로철선(2)에 용접 결시킬 수 있어 작업의 공정을 절감하고 자동화함으로,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성형부(40)로 인해 상기 제2세로철선(7)에 일정한 간격으로 확장부(8)를 미리 형성하여 통상 수로관(9)의 입구(9a)에 내장 위치되는 특성상 상기 제2세로철선(7)을 "└┘" 형상으로 성형하는 과정에서 늘어나는 길이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함으로, 종래의 용접철망(6)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제2세로철선(7)을 별도의 길이로 절단 준비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더욱 제품의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조절수단(50) 및 제2조절수단(60)을 통해서 상기 제2세로철선(7)의 좌우 위치를 적합하게 설정할 수 있어, 통상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는 수로관(9)의 입구(9a)에 적합하게 상기 제2세로철선(7)의 위치를 조절하여 장치의 사용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하여 용접철망(6)을 성형한다.
통상 수로관(9)의 크기가 다양하게 형성됨에 따라 제2세로철선(7)의 좌우 위치를 적합하게 조절해야함으로, 먼저 상기 제2세로철선(7)을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2세로철선(7)이 관통되어 유통되는 전송체(14)의 위치를 조절한다.
즉,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절수단(50)의 제1안내돌기(52)에 체결된 제1결합볼트(53)의 결속을 해제한 후, 상기 전송체(14)의 좌우 위치를 적합하게 조절하되, 이때 상기 전송체(14)는 제1안내가이드(51)의 제1안내홈(51a)을 타고 좌우 이송되는 제1안내돌기(52)로 인해 안정적으로 좌우 안내되며, 상기 전송체(14)의 좌우 위치조절이 완료되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볼트(53)를 상기 제1안내돌기(52)에 체결하여 상기 전송체(14)의 위치를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제2세로철선(7)의 위치를 설정한다.
그런 후, 성형부(40)가 작동시 받침부(43)에서 상기 제2세로철선(7)을 용이하게 받칠 수 있도록 상기 제1조절수단(50)에 의해서 조절된 상기 제2세로철선(7)의 위치를 보상하기 위해서,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조절수단(60)의 제2안내돌기(63)에 체결된 상기 제2결합볼트(64)의 결속을 해제한 후, 상기 성형부(40)의 제3받침돌기(43b)를 지지하는 제2안내가이드(44)가 안치되는 지지판(61)의 좌우 위치를 적합하게 조절하여 상기 제3받침돌기(43b)의 위치를 조절하되, 이때 상기 지지판(61)은 제3안내가이드(62)의 제3안내홈(62a)을 타고 좌우 이송되는 상기 제2안내돌기(63)로 인해 안정적으로 좌우 안내되며, 상기 지지판(61)의 좌우 위치조절로 인해 상기 제2세로철선(7)을 용이하게 받칠 수 있도록 상기 제3받침돌기(43b)의 위치조절이 완료되면,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결합볼트(64)를 상기 제2안내돌기(63)에 체결하여 상기 지지판(61)의 위치를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1조절수단(50)과 제2조절수단(60)의 조절을 통해서 상기 제2세로철선(7)의 위치 조절이 완료되면, 본 발명의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100)를 작동시켜 용접철망(6)을 제작한다.
먼저,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부(10)의 모터(11)를 작동시켜 회전축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되는 상기 회전축(12)을 타고 이송체(13)가 전방으로 이송되며, 이때 상기 전송체(14)는 상기 이송체(13)와 함께 전방으로 이송되면서 내부의 웨지(14a)는 후방으로 밀리면서 수축되어 상기 제2세로철선(7)을 압착함으로 상기 전송체(14)와 함께 상기 제2세로철선(7)이 전방으로 이송되며,
상기 전송체(14)로 인해 상기 제2세로철선(7)이 전방으로 이송이 완료되면,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20)의 제1실린더(23)가 작동으로 인해 절곡돌기(21)가 하강하면서, 상기 가로철선(2)의 일 끝단을 가압하게 되고, 그러면 상기 가로철선(2)의 일 끝단을 받치는 제1받침돌기(22)를 기준으로 상기 가로철선(2)의 일 끝단이 안정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세로철선(7)의 접촉 안치되는 동시에,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용접기(30) 역시 상기 제1실린더(23)의 작동으로 인해 하강하므로, 상기 절곡돌기(21)의 가압으로 상기 가로철선(2)이 절곡되어 상기 제2세로철선(7)에 접촉 안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2용접기(30)에서 스폿 용접이 수행되어 상기 가로철선(2)이 상기 제2세로철선(7)에 견고히 용접 결합된다.
이때, 통상의 용접부(3)의 용접기(3a)를 통해서 상기 가로철선(2)과 제1세로철선(7) 역시 스폿 용접이 수행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가로철선(2)과 제1세로철선(1) 및 제2세로철선(7)의 용접이 완료되면,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11) 및 제1실린더(23)가 작동하여 상기 전송체(14)와 절곡돌기(21) 및 제2용접기(30)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송체(14)는 후방으로 이송되면서 내부의 웨지(14a)가 전방으로 밀리면서 팽창하여 상기 제2세로철선(7)의 압착을 해제함으로 상기 제2전송체(14)만 후방으로 이송되어 복귀된다.
즉, 상기와 같이 전송부(10) 및 절곡부(20)의 동작으로 인해 일단이 절곡된 가로철선(2)과 제2세로철선(7)이 연속적으로 스폿 용접이 수행되면서 메쉬 형태의 용접철망(6)으로 제작된다.
여기서, 주기적으로 작동하는 상기 성형부(40)가 동작하는 경우에는,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송부(10)의 작동으로 상기 제2세로철선(7)이 전방으로 이송된 후, 절곡부(20)의 제1실린더(23)가 작동으로 인해 절곡돌기(21)가 하강하면서 상기 가로철선(2)의 일 끝단을 가압하여 상기 제2세로철선(7)에 접촉 안치되면,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부(40)의 제2실린더(42)가 작동하여 상기 성형돌기(41)가 하강하면, 하강하는 상기 성형돌기(41)는 받침부(43)에 지지되는 상기 제2세로철선(7)을 가압하게 되는데, 이때 하강하는 상기 성형돌기(41)는 상기 제2받침돌기(43a)와 제3받침돌기(43b)의 이격된 공간으로 유입되므로 상기 제2세로철선(7)에 자연적으로 "U" 형상의 확장부(8)가 형성되며,
상기 제2세로철선(7)에 확장부(8)가 형성된 후,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세로철선(7)이 전방으로 이송되어야 하는데, 상기 제2세로철선(7)에 형성된 확장부(8)가 상기 제3받침돌기(43b)에 걸려 상기 제2세로철선(7)의 전방 이송이 곤란함으로, 이때는 상기 제3실린더(44)가 작동하여 상기 제3받침돌기(43b)가 상기 제2안내가이드(44)의 안내를 받아 일 측면으로 이송되도록 하여 상기 제2세로철선(7)의 이송이 원활하도록 한다.
즉,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받침돌기(43b)는 상기 제2세로철선(7)에 확장부(8)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성형돌기(41)가 하강하는 경우에 상기 제2세로철선(7)을 지지할 수 있는 위치로 상기 제3실린더(45)로 인해 이송되고,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돌기(41)의 하강으로 인해 상기 제2세로철선(7)에 확장부(8)가 형성되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제2세로철선(7)의 이송에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성형부(40)로 인해 상기 제2세로철선(7)에 확장부(8)가 형성되면 상기 제2실린더(42)와 제3실린더(45)의 작동으로 상기 성형돌기(41) 및 제3받침돌기(43b)가 원위치로 복귀되며,
동시에, 도 1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린더(23)에 의해 하강한 상기 제2용접기(30)에서 상기 가로철선(2)과 제2세로철선(7)에 스폿 용접을 수행하게 되며, 용접이 완료되면 상기 전송부(10) 및 절곡부(20)가 다시 원상 복귀된다.
본 발명의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100)에 의해 성형이 완료된 용접철망(6)은 통상의 절곡장치(미도시)를 통해서 전체적으로 수로관(9)의 형상인 "└┘" 형상으로 절곡되는데, 이때 수로관(9)의 입구(9a)에 위치하는 상기 제2세로철선(7)의 특성상 상기 제2세로철선(7)을 절곡하는 과정에서 늘어나는 길이를 상기 확장부(8)에서 보상하여 한번에 간편히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용접철망(6)의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제1세로철선 2. 가로철선
3. 용접부 3a. 제1용접기
4. 이송부 5. 제어부
6. 용접철망 7. 제2세로철선
8. 확장부 9. 수로관
9a. 입구
10. 전송부 11. 모터
12. 회전축 13. 이송체
14. 전송체 14a. 웨지
20. 절곡부 21. 절곡돌기
22. 제1받침돌기 23. 제1실린더
24. 고정프레임 30. 제2용접기
40. 성형부 41. 성형돌기
42. 제2실린더 43. 받침부
43a. 제2받침돌기 43b. 제3받침돌기
44. 제2안내가이드 44a. 제2안내홈
45. 제3실린더 50. 조절수단
51. 제1안내가이드 51a. 제1안내홈
52. 제1안내돌기 53. 제1결합볼트
60. 제2조절수단 61. 지지판
62. 제3안내가이드 62a. 제3안내홈
63. 제2안내돌기 64. 제2결합볼트
100.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

Claims (6)

  1. 다수의 드림에 감겨 전방으로 연속 제공되는 다수의 제1세로철선(1)과 소정의 크기로 절단되어 상기 제1세로철선(1)의 상부에 연속 안치되는 가로철선(2)을 스폿 용접(spot welding)하는 다수의 제1용접기(3a)로 구성되는 용접부(3)와, 상기 용접부(3)를 연속적으로 승·하강시키는 이송부(4)와, 상기 용접부(3) 및 이송부(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를 포함하는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세로철선(1)과 수평 이격되되, 상기 제1세로철선(1)보다 낮은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세로철선(7)이 전방으로 연속 제공되도록 하는 전송부(10);
    상기 제1세로철선(1)의 상부에 안치된 가로철선(2)의 일 끝단을 절곡하고, 그 절곡된 끝단이 상기 제2세로철선(7)의 상부에 안치되도록 하는 절곡부(20);
    상기 절곡부(20)로 인해 상기 가로철선(2)의 끝단이 절곡되어 상기 제2세로철선(7)에 적층되는 동시에, 상기 제2세로철선(7)에 상기 가로철선(2)이 결합되도록 스폿 용접을 수행하는 제2용접기(30); 및
    상기 절곡부(20)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전송부(10)를 통해서 제공되는 상기 제2세로철선(7)에 소정의 간격으로 "U" 형상의 확장부(8)를 성형하는 성형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송부(10)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11)와, 상기 모터(11)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것으로, 외주면에는 나사산(12a)이 형성되는 회전축(12)과, 상기 회전축(12) 상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축(12)이 회전하면 상기 회전축(12)의 나사산(12a)을 타고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되는 이송체(13)와, 상기 이송체(13)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이송체(13)와 함께 이송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제2세로철선(7)이 관통되며, 전방으로 이송시 수축하여 상기 제2세로철선(7)을 압착 결속하여 상기 제2세로철선(7)과 함께 이송되고, 후방으로 복귀시 팽창하여 상기 제2세로철선(7)의 압착을 해제하는 쐐기형의 웨지(14a)가 내장되는 하나 이상의 전송체(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체(14)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는 제1조절수단(5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1조절수단(50)은,
    상기 이송체(13)와 전송체(14) 사이에 형성되되, 상부에는 상기 전송체(14)가 이송되는 전·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안내홈(51a)을 갖는 제1안내가이드(51)와,
    상기 전송체(14)를 수직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부 외주면에는 나사산(52a)이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제1안내홈(51a)을 타고 이송되도록 상기 제1안내홈(51a)에 결속되어 상기 전송체(14)를 안내하는 제1안내돌기(52)와,
    상기 제1안내돌기(52)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전송체(14)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제1결합볼트(5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40)는,
    상기 제2세로철선(7)의 상부에 위치되어 연속적으로 승·하강하는 것으로, 하강하는 과정에서 하부가 상기 제2세로철선(7)과 접촉되어 상기 제2세로철선(7)에 "U" 형상의 확장부(8)가 형성되도록 가압하는 성형돌기(41)와,
    상기 성형돌기(41)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성형돌기(41)를 연속적으로 승·하강시키는 제2실린더(42)와,
    상기 제2세로철선(7)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부는 상기 제2세로철선(7)을 지지하는 제2받침돌기(43a)와, 상부는 상기 제2세로철선(7)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2받침돌기(43a)와 전방으로 수평 이격되되, 하부에는 제2안내돌기(43b')가 형성되는 제3받침돌기(43b)를 포함하여, 상기 제2받침돌기(43a)와 제3받침돌기(43b)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하강하는 상기 성형돌기(41)가 유입되어 상기 성형돌기(41)에 가압되는 상기 제2세로철선(7)에 용이하게 "U" 형상의 확장부(8)가 형성되도록 하는 받침부(43)와,
    상기 제3받침돌기(43b)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부에는 상기 제3받침돌기(43b)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안내돌기(43b')가 삽입되는 제2안내홈(44a)이 형성되어 상기 제3받침돌기(43b)는 상기 제2안내홈(44a)을 타고 좌우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제2안내가이드(44)와,
    상기 제3받침돌기(43b)와 연결되어 상기 제3받침돌기(43b)가 상기 제2안내가이드(44)를 타고 좌우 이송되도록 하는 제3실린더(4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받침돌기(43b)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는 제2조절수단(6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2조절수단(60)은,
    상기 제2안내가이드(44)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부에는 상기 제2안내가이드(44)가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판(61)과,
    상기 지지판(61)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부에는 상기 제3받침돌기(43b)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3안내홈(62a)을 갖는 제3안내가이드(62)와,
    상기 지지판(61)을 수직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부 외주면에는 나사산(63a)이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제3안내홈(62a)을 타고 이송되도록 상기 제3안내홈(62a)에 결속되어 상기 지지판(61)을 안내하는 제2안내돌기(63)와,
    상기 제2안내돌기(63)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판(61)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제2결합볼트(6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
KR1020150062833A 2015-05-05 2015-05-05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 KR101666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833A KR101666355B1 (ko) 2015-05-05 2015-05-05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833A KR101666355B1 (ko) 2015-05-05 2015-05-05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933A KR20160130933A (ko) 2016-11-15
KR101666355B1 true KR101666355B1 (ko) 2016-11-18

Family

ID=57525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833A KR101666355B1 (ko) 2015-05-05 2015-05-05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3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007565A1 (it) * 2017-01-24 2018-07-24 M E P Macch Elettroniche Piegatrici Spa Apparato e metodo per realizzare una rete metallica
CN109794700B (zh) * 2019-03-13 2024-04-12 深圳市驭智装备技术有限公司 铁网自动焊接机
CN111992866A (zh) * 2020-09-23 2020-11-27 大连益丰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钢丝网托盘自动化焊接边丝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327Y1 (ko) 2002-05-29 2002-09-10 최수열 직물형 용접철망 제조기
KR100503194B1 (ko) 2003-08-25 2005-07-25 이기국 가스센서용 코일 제조장치
KR101138224B1 (ko) 2009-11-24 2012-04-24 이강선 수로관용 용접철망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226B1 (ko) * 2004-10-19 2007-03-14 나성수 콘크리트 수로관용 용접철망의 소켓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327Y1 (ko) 2002-05-29 2002-09-10 최수열 직물형 용접철망 제조기
KR100503194B1 (ko) 2003-08-25 2005-07-25 이기국 가스센서용 코일 제조장치
KR101138224B1 (ko) 2009-11-24 2012-04-24 이강선 수로관용 용접철망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933A (ko) 2016-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6352B1 (ko)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제조방법
KR101666355B1 (ko) 수로관에 내장되는 용접철망의 철선 용접 및 성형장치
WO2019153918A1 (zh) 全自动床垫弹簧边框制作方法及其设备
CN101214524A (zh) 一体化钢丝网架成型机
WO2006119595A1 (en) System for serial line for cutting and bending of steel bars, rods and coils for manufacture of stirrups and longitudinal girders as well as assembly of steel armatures for beams, pillars, base plates, blocks, stakes, drums and other structural elements of reinforced concrete
CN211053006U (zh) 一种便于调节的汽车零部件焊接设备
CN105290278A (zh) 一种螺旋网罩生产设备
CN107225315B (zh) 一种弧形网片焊网机
CN216212862U (zh) 电感自动绕线机
DE602006000739T2 (de) Gerät zum Einschliessen von freien Endwindungen einer Federanordnung für Matratzen
US5415209A (en) Feeder device for machines for manufacturing electrically welded metallic nets
CN212525832U (zh) 一种盾构管片钢筋笼的弧形网片焊接成型机
KR101749745B1 (ko) 턴테이블 방식 티그용접장치
CN201168758Y (zh) 一体化钢丝网架成型机
KR100694226B1 (ko) 콘크리트 수로관용 용접철망의 소켓 제조장치
CN209998727U (zh) 一种盘条钢筋接头焊接修整一体机
CN104550574B (zh) 钢筋骨架机箍筋箱主筋支撑及调整装置
CN107263006A (zh) U形管焊接夹持模具
WO2013018067A2 (en) Automatic machine for the uninterrupted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metallic and reticular cages supplied with transversal stirrups externally formed as regards the longitudinal bars and directly electro- welded on the same
CN111774510A (zh) 一种盾构管片钢筋笼的弧形网片焊接系统
CN210754882U (zh) 一种金属片编织线焊接机构
EP23986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reinforcements for reinforced concrete
EP1110656A1 (en) A machine for manufacturing electro-welded metal reinforcements
CN220427345U (zh) 新型数控型网片焊机
KR20160132306A (ko) 포지셔너 방식 티그용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