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109B1 - 교량 바닥판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교량 바닥판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109B1
KR101666109B1 KR1020160027678A KR20160027678A KR101666109B1 KR 101666109 B1 KR101666109 B1 KR 101666109B1 KR 1020160027678 A KR1020160027678 A KR 1020160027678A KR 20160027678 A KR20160027678 A KR 20160027678A KR 101666109 B1 KR101666109 B1 KR 101666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deck
bridge deck
barrier wall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진원
김기헌
임진선
강대흥
Original Assignee
(주)삼우아이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아이엠씨 filed Critical (주)삼우아이엠씨
Priority to KR1020160027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1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2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consolidating or finishing laid-down unset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근 하부까지 제1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이의 경화, 특히 초결 전에 상부근을 발판 삼아 교량 바닥판 상면까지 제2콘크리트를 분리하여 타설함으로써 공기 단축 및 제1, 2콘크리트 사이의 일체성 확보가 가능한 교량 바닥판 시공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교량 바닥판 시공 방법은 (a) 교량 바닥판 형성을 위한 바닥 거푸집 상부에 하부근 및 상부근을 배근하는 단계; (b) 상기 상부근 하부까지 보통콘크리트인 제1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콘크리트 타설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제1콘크리트의 초결 전에 제1콘크리트 상면부터 교량 바닥판 상면까지 개질 콘크리트인 제2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량 바닥판 시공 방법{Construction method for bridge deck}
본 발명은 교량 바닥판 시공시 상부근 하부까지 제1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이의 경화, 특히 초결 전에 상부근을 발판 삼아 교량 바닥판 상면까지 제2콘크리트를 분리하여 타설함으로써 공기 단축 및 제1, 2콘크리트 사이의 일체성 확보가 가능한 교량 바닥판 시공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바닥판은 하중을 지지하는 하부 콘크리트 상부에 차륜과 직접 접촉하는 상부 포장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포장층은 내구성, 승차감 등을 고려하여 아스팔트 및 개질 콘크리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통상 하부 콘크리트 경화 후 타설되게 되므로 상부 포장층 형성을 위한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고 상하부층 간에 일체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종래 도 1에 도시된 워크브릿지를 이용하여 하부 콘크리트와 상부의 포장 콘크리트를 일정한 시간 차를 두고 분리 타설하는 워크브릿지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또는 도로 콘크리트 포장 층간 동시 시공방법에 대한 기술이 제안되었다(특허 제10-1351374호).
상기 워크브릿지는 일반 도로 구간에서는 특별한 문제가 없으나, 교량에서는 장비의 중량이 무거워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교량에서는 작업자가 교량 상부에서 직접 레미콘 트럭에서 공급된 콘크리트를 타설관을 통해 타설하여 작업을 진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하부 콘크리트층이 굳지 않은 상태에서는 작업자가 하부 콘크리트층 상부에 올라가 상부 포장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여전히 교량에서는 하부 콘크리트층 경화 후 상부 포장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공기가 지연되고, 교량 바닥판을 구성하는 하부 콘크리트층과 상부 포장 콘크리트층의 일체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한편, 상부 포장 콘크리트는 데크피니셔(4, Deck Finisher) 등의 마감 장비를 이용하여 표면을 마감 처리하여야 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바닥판 마감 장비의 자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최외측에 위치한 거더(1) 위에 주행을 위한 레일이 설치되는데, 결국 방호벽(3) 내측에 레일이 설치되어 레일과 방호벽(3) 사이의 구간은 마감 장비를 제거한 후 작업자가 들어가서 흙손 등으로 인력 마감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인력 마무리 구간(W)이 넓어 시공성이 떨어지고, 이 구간에 대한 다짐 불충분으로 강도 및 내구성 저하의 우려가 있다. 또한, 평탄성 불량으로 물이 괴어 있는 체수(滯水)가 발생하여 내구성 저하 및 미끄럼에 의한 사고의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방호벽(3) 부분의 철근 간섭으로 인하여 작업자는 마감될 교량 바닥판(3) 상부에서 인력 마감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작업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 상부에서의 작업이라 작업성이 떨어지고 공기 지연의 요인이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부층 슬래브를 분리 타설하여 교량 바닥판을 시공하는 경우, 하부 콘크리트층 양생 전에 상부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어 공기 단축이 가능하고 상하부 콘크리트층 간에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교량 바닥판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데크피니셔를 사용하여 교량 바닥판의 상부 표면 마감시 인력 마무리 구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교량 바닥판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방호벽 근처에서 교량 바닥판 상부 표면 마감시 작업자가 방호벽 철근과의 간섭 없이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교량 바닥판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a) 교량 바닥판 형성을 위한 바닥 거푸집 상부에 하부근 및 상부근을 배근하는 단계; (b) 상기 상부근 하부까지 보통콘크리트인 제1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2콘크리트는 교량 바닥판의 내구수명,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계수 및 제설제 살포량을 고려하여 두께가 결정되는 것으로 상기 제1콘크리트 타설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제1콘크리트의 초결 전에 제1콘크리트 상면부터 교량 바닥판 상면까지 개질 콘크리트인 제2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a) 단계에서 바닥 거푸집 외곽측 상면에는 방호벽 형성을 위해 방호벽 일정 높이 이하에 상부가 폐쇄된 후프근인 제1수직철근을 배근하는 한편, 교량 바닥판 외측으로 가설 작업대를 설치하여 상기 (c) 단계에서 작업자가 가설 작업대 상부에서 방호벽 주변의 제2콘크리트를 인력 마무리하며, 상기 교량 바닥판 외측에는 가설 작업대가 구비되고, 상기 가설 작업대 상부 또는 교량 바닥판 외곽측 상면의 방호벽 위치에는 데크피니셔 이동을 위한 레일이 설치되어,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데크피니셔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2콘크리트를 마무리하고, 데크피니셔의 면마무리 롤러와 방호벽 사이 인력 마무리 구간의 제2콘크리트는 작업자가 가설 작업대 상에서 인력 마무리하며, 상기 (c) 단계 이후에 하부가 폐쇄된 후프근으로 방호벽 상부까지 연장되는 제2수직철근을 하부가 제1수직철근 상부와 일정 면적 중복되게 겹침 이음되도록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방호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바닥판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부근 하부의 위치에서 교량 바닥판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를 분리 타설함으로써, 작업자가 상부근을 작업 발판 삼아 하부층인 제1콘크리트의 경화, 특히 초결 전에 상부층의 제2콘크리트를 용이하게 타설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단축 및 상하부층 콘크리트 간의 일체성 확보가 가능하다.
둘째, 교량 바닥판 외부의 가설 작업대 상부 또는 방호벽 위치에 마감 장비인 데크피니셔의 이동을 위한 레일을 설치함으로써, 인력 마무리 구간을 최소화하고 교량 바닥판 전 구간을 기계 장비로 마무리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단축, 시공성 증가 및 품질 향상이 가능하다.
셋째, 방호벽 철근을 상하 제1, 2수직철근으로 분리함으로써, 작업자가 외측의 가설 작업대에서 데크피니셔의 면마무리 롤러 가동 범위 외측의 최외곽 바닥판 일부만 인력 마무리는 경우 높이가 낮은 제1수직철근 너머로 작업할 수 있어 방호벽 철근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교량 바닥판 시공을 위한 워크브릿지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교량 바닥판 상부에 지지되는 데크피니셔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교량 바닥판 시공 방법의 각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가설 작업대 상부에 데크피니셔가 지지되는 교량 바닥판의 단면도.
도 5는 데크피니셔의 면마무리 롤러와 방호벽 사이의 인력 마무리 구간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작업자에 의한 인력 마무리 구간의 마감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제1수직철근과 겹침 이음되는 제2수직철근이 배근된 방호벽의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교량 바닥판 시공 방법의 각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교량 바닥판 시공 방법은 (a) 교량 바닥판(2) 형성을 위한 바닥 거푸집 상부에 하부근(21) 및 상부근(22)을 배근하는 단계; (b) 상기 상부근(22) 하부까지 보통콘크리트인 제1콘크리트(23)를 타설하는 단계; 및 (c) 교량 바닥판(2)의 내구수명,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계수 및 제설제 살포량을 고려하여 두께가 결정되는 것으로 상기 제1콘크리트(23) 타설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제1콘크리트(23)의 초결 전에 제1콘크리트(23) 상면부터 교량 바닥판(2) 상면까지 개질 콘크리트인 제2콘크리트(24)를 타설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a) 단계에서 바닥 거푸집 외곽측 상면에는 방호벽(3) 형성을 위해 방호벽(3) 일정 높이 이하에 상부가 폐쇄된 후프근인 제1수직철근(31)을 배근하는 한편, 교량 바닥판(2) 외측으로 가설 작업대(5)를 설치하여 상기 (c) 단계에서 작업자가 가설 작업대(5) 상부에서 방호벽(3) 주변의 제2콘크리트(24)를 인력 마무리하며, 상기 교량 바닥판(2) 외측에는 가설 작업대(5)가 구비되고, 상기 가설 작업대(5) 상부 또는 교량 바닥판(2) 외곽측 상면의 방호벽(3) 위치에는 데크피니셔(4) 이동을 위한 레일(44)이 설치되어,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데크피니셔(4)가 레일(44)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2콘크리트(24)를 마무리하고, 데크피니셔(4)의 면마무리 롤러(42)와 방호벽(3) 사이 인력 마무리 구간(W)의 제2콘크리트(24)는 작업자가 가설 작업대(5) 상에서 인력 마무리하며, 상기 (c) 단계 이후에 하부가 폐쇄된 후프근으로 방호벽(3) 상부까지 연장되는 제2수직철근(32)을 하부가 제1수직철근(31) 상부와 일정 면적 중복되게 겹침 이음되도록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방호벽(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단계에서는 바닥 거푸집 상부에 하부근(21) 및 상부근(22)을 배근한다(도 3의 (a)).
상기 바닥 거푸집은 복수의 거더(1) 상부에 거치된다.
상기 바닥 거푸집은 데크플레이트 등으로 구성 가능하며, 이 외에도 공지의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b) 상기 상부근(22) 하부까지 보통콘크리트인 제1콘크리트(23)를 타설한다(도 3의 (b)).
상기 제1콘크리트(23)는 충분한 강도를 발현할 수 있도록 배합비를 구성하여 상부근(22)의 하부 위치까지 타설한다.
상기 제1콘크리트(23)는 레미콘 등을 이용하여 타설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c) 상기 제1콘크리트(23) 타설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제1콘크리트(23)의 초결 전에 제1콘크리트(23) 상면부터 교량 바닥판(2) 상면까지 개질 콘크리트인 제2콘크리트(24)를 타설한다(도 3의 (c)).
따라서 상부근(22)의 하부에서부터 제2콘크리트(24)가 제1콘크리트(23)와 분리되어 타설되므로, 작업자가 상부근(22)을 작업 발판 삼아 상부층의 제2콘크리트(24) 타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콘크리트(24)는 제1콘크리트(23)의 경화 전에 타설되므로, 제1, 2콘크리트(23, 24)의 일체성이 증가되어 이들의 분리로 인한 내구성이나 강도 저하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제2콘크리트(24)는 내구성 및 마감성이 좋은 개질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개질 콘크리트는 물성이 민감하여 레미콘으로는 품질 관리가 어렵다. 따라서 모바일 믹서를 이용하여 정밀한 배합비에 의해 혼합하여 타설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콘크리트(24)는 상부근(22) 하부의 위치부터 교량 바닥판(2) 상면까지 타설되므로, 통상 피복두께와 마모층 두께를 합한 두께인 7.5㎝ 이상의 두께로 상부 콘크리트층을 형성한다. 따라서 두께가 5㎝인 콘크리트 교면 포장층에 비하여 타설 두께가 충분하므로,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를 확장할 수 있어 배합 자유도가 증가한다.
상기 제2콘크리트(24)의 두께는 교량 바닥판의 내구수명,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계수, 제설제 살포량에 따라 염화물의 침투 깊이를 산정한 후 콘크리트표준시방서(2009), ACI 318-95 및 CEB-FIP: Model Code 1990 등의 내구성 설계기준에 근거하여 조절 가능하다.
상기 염화물의 침투 깊이는 1차원 확산으로 가정할 경우 수학식 1과 같이 Fick의 제2법칙에 대하여 초기 및 경계조건을 이상화하여 수학식 2와 같이 해를 구하여 결정할 수 있고, 형상 및 경계조건이 보다 복잡한 경우 유한요소법 혹은 유한차분법으로 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6022375909-pat00001
여기서, Ct는 염화물량(㎏/㎥), Da는 겉보기 확산계수(㎡/yr), x는 깊이(m), t는 시간(yr)이다.
Figure 112016022375909-pat00002
여기서, Ci는 초기염화물량(최대 0.3㎏/㎥), CS는 표면염화물량(㎏/㎥))이다.
상기 (c) 단계에서, 제2콘크리트(24)는 제1콘크리트(23) 타설 후 제1콘크리트의 초결 전에 타설한다.
상기 제1콘크리트(23)의 초결은 ASTM C 403 "Standard Test Method for Time of Setting of Concrete Mixtures by Penetration Resistance" 시험 방법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제1콘크리트(23) 타설 후 초결 이후에 제2콘크리트(24)를 타설하면, 이어치는 경계면의 수분이 증발되어 제1, 2콘크리트(23, 24) 간의 일체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제1콘크리트(23)는 보통콘크리트이고, 제2콘크리트(24)는 세골재, 조골재, 물, 시멘트, 고로슬래그 및 플라이애쉬가 혼합된 개질 콘크리트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콘크리트(23)는 단순 하중 지지용으로 보통 콘크리트, 즉 OPC(Ordinary Portland Cement)로 구성되는 콘크리트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제2콘크리트(24)는 차륜이 직접 접촉될 뿐만 아니라 외부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염화물이 침투되는 구간으로, 균열 발생 억제, 수밀성 증가 등 내구성이 우수한 개질 콘크리트를 사용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개질 콘크리트는 세골재 30~45중량%, 조골재 30~45중량%, 물 4~7중량%, 시멘트 7~15중량%, 고로슬래그 7~10중량% 및 플라이애쉬 3~6중량%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고내구성을 요하는 환경에서는 라텍스 2~4중량% 또는 개질유황 1~3중량%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조성에 의해 구성되는 개질 콘크리트에 의하여 형성된 제2콘크리트층은 치밀하고 균열 발생이 억제되므로, 콘크리트 내부로 우수나 염화물 등 유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가설 작업대 상부에 데크피니셔가 지지되는 교량 바닥판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량 바닥판(2) 외측에는 가설 작업대(5)가 구비되고, 상기 가설 작업대(5) 상부(도 4의 (a)) 또는 교량 바닥판 외곽측 상면의 방호벽(3) 위치(도 4의 (b))에는 데크피니셔(4)의 이동을 위한 레일(44)이 설치되어,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데크피니셔(4)가 레일(44)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2콘크리트(24)를 마무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앞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교량 바닥판(2)은 데크피니셔(4) 이동을 위한 레일(44)이 교량 바닥판(2) 상부에 설치되므로, 레일(44)과 방호벽(3) 사이의 공간은 흙손 등을 이용한 인력 마무리에 의존하여 마감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레일(44)이 교량 바닥판(2) 상에 설치되므로 일부 구성이 교량 바닥판(2)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어 재활용이 불가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데크피니셔(4)의 이동을 위한 레일(44)을 교량 바닥판(2) 외부의 가설 작업대(5) 상부에 설치하여 교량 바닥판(2) 전 구간을 마감 장비를 이용하여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후술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피니셔(4)의 면마무리 롤러(42)와 방호벽(3) 사이의 공간만을 인력 마무리하면 되므로 종래 기술과 달리 인력 마무리 구간(W)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교량 바닥판(2) 마감의 품질 향상, 공기 절감이 가능하다.
상기 레일(44)은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분절되어 설치될 수 있으므로, 데크피니셔(4)가 해당 레일(44)이 설치된 구간만큼 이동한 후에는 바로 해체하여 전진시켜 재설치하도록 한다.
상기 가설 작업대(5)의 하부에는 가설 작업대(5)의 지지를 위한 비계(6)를 최외곽 거더(1) 측면에 설치할 수 있다.
도 5는 데크피니셔의 면마무리 롤러와 방호벽 사이의 인력 마무리 구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6은 작업자에 의한 인력 마무리 구간의 마감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7은 제1수직철근과 겹침 이음되는 제2수직철근이 배근된 방호벽의 단면도이다.
상기 (a) 단계에서 바닥 거푸집 외측 상면에는 방호벽(3) 형성을 위해 방호벽(3) 일정 높이 이하에 제1수직철근(31)을 배근하는 한편, 교량 바닥판(2) 외측으로 가설 작업대(5)를 설치하여 상기 (c) 단계에서 작업자가 가설 작업대(5) 상부에서 방호벽(3) 주변의 제2콘크리트(24)를 인력 마무리하며, 상기 (c) 단계 이후에 방호벽(3) 상부까지 연장되는 제2수직철근(32)을 제1수직철근(31)과 겹침 이음되도록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방호벽(3)을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교량 바닥판(2) 외측에 구비되는 가설 작업대(5) 상부에 데크피니셔(4)의 이동을 위한 레일(44)을 설치하는 경우, 인력 마무리 구간(W)을 최소화할 수는 있으나 교량 바닥판(2) 전체를 기계 마무리한다 하더라도 데크피니셔(4)의 면마무리 롤러(42)는 방호벽(3)의 수직철근과 인접한 부분은 시공할 수 없다. 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마무리 롤러(42)와 방호벽(3) 사이에는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하여 마감 작업을 진행하여야 하는 최소한의 인력 마무리 구간(W)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때, 방호벽(3)의 수직철근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교량 바닥판(2) 상부에서 마무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데크피니셔(4)에 의한 기계 마무리 면이 훼손되어 다시 인력 마무리를 추가로 수행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a) 단계에서 교량 바닥판(2) 시공을 위한 하부근(21)과 상부근(22)을 배근할 때 방호벽(3) 형성을 위하여 방호벽(3)의 일정 높이 이하에 제1수직철근(31)을 배근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c) 단계에서 제2콘크리트(24)를 타설할 때 방호벽(3) 주변, 즉 면마무리 롤러(42)와 방호벽(3) 사이 구간의 제2콘크리트(24)를 교량 바닥판(2) 외측의 가설 작업대(5) 상에 작업자가 위치하여 인력 마무리한다. 그리고 (c) 단계 이후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벽(3) 상부까지 연장되는 제2수직철근(32)을 제1수직철근(31)에 겹침 이음되도록 배근한 후 방호벽(3)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즉, 방호벽(3)의 수직철근을 상하 제1, 2수직철근(31, 32)으로 분리하여, 작업자가 제2콘크리트(24) 마무리시 높이가 낮은 제1수직철근(31) 너머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방호벽(3) 철근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량 바닥판(2)이 아닌 가설 작업대(5)에서 데크피니셔(4)의 면마무리 롤러(42)의 가동 범위 외측의 최외곽 교량 바닥판(2) 일부만 인력 마무리하면 된다.
도 4의 (b)와 같이 레일(44)이 방호벽(3)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 레일(44)의 상단을 제1수직철근(31)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데크피니셔(4)의 지지대(43)가 제1수직철근(31)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제1수직철근(31)은 상부가 폐쇄된 후프근이고 제2수직철근(32)은 하부가 폐쇄된 후프근으로, 상기 제1수직철근(31)의 상부와 제2수직철근(32)의 하부는 일정 면적 중복되게 겹침 이음할 수 있다.
상기 제1, 2수직철근(31, 32)의 단순 겹침 이음만으로는 충분한 이음 길이를 확보하기 어렵고, 이음 길이 확보시 작업자의 작업에 간섭될 우려가 있다.
이에 제1수직철근(31)의 상부를 사다리꼴의 후프근으로 형성하고, 제2수직철근(32)은 U형 철근으로 형성하여 후프근 부분과 겹치도록 인터라킹(interlocking) 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수직철근(31)의 상부를 폐쇄형으로 구성하면, 작업자가 작업시 돌출된 철근에 부상 입을 염려가 없어 안전하다.
1: 거더 2: 교량 바닥판
21: 하부근 22: 상부근
23: 제1콘크리트 24: 제2콘크리트
3: 방호벽 31: 제1수직철근
32: 제2수직철근 4: 데크피니셔
41: 트러스 42: 면마무리 롤러
43: 지지대 44: 레일
5: 가설 작업대 6: 비계
W: 인력 마무리 구간

Claims (7)

  1. (a) 교량 바닥판(2) 형성을 위한 바닥 거푸집 상부에 하부근(21) 및 상부근(22)을 배근하는 단계;
    (b) 상기 상부근(22) 하부까지 보통콘크리트인 제1콘크리트(23)를 타설하는 단계; 및
    (c) 교량 바닥판(2)의 내구수명,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계수 및 제설제 살포량을 고려하여 두께가 결정되는 것으로 상기 제1콘크리트(23) 타설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제1콘크리트(23)의 초결 전에 제1콘크리트(23) 상면부터 교량 바닥판(2) 상면까지 개질 콘크리트인 제2콘크리트(24)를 타설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a) 단계에서 바닥 거푸집 외곽측 상면에는 방호벽(3) 형성을 위해 방호벽(3) 일정 높이 이하에 상부가 폐쇄된 후프근인 제1수직철근(31)을 배근하는 한편, 교량 바닥판(2) 외측으로 가설 작업대(5)를 설치하여 상기 (c) 단계에서 작업자가 가설 작업대(5) 상부에서 방호벽(3) 주변의 제2콘크리트(24)를 인력 마무리하며,
    상기 교량 바닥판(2) 외측에는 가설 작업대(5)가 구비되고, 상기 가설 작업대(5) 상부 또는 교량 바닥판(2) 외곽측 상면의 방호벽(3) 위치에는 데크피니셔(4) 이동을 위한 레일(44)이 설치되어,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데크피니셔(4)가 레일(44)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2콘크리트(24)를 마무리하고, 데크피니셔(4)의 면마무리 롤러(42)와 방호벽(3) 사이 인력 마무리 구간(W)의 제2콘크리트(24)는 작업자가 가설 작업대(5) 상에서 인력 마무리하며,
    상기 (c) 단계 이후에 하부가 폐쇄된 후프근으로 방호벽(3) 상부까지 연장되는 제2수직철근(32)을 하부가 제1수직철근(31) 상부와 일정 면적 중복되게 겹침 이음되도록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방호벽(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바닥판 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027678A 2016-03-08 2016-03-08 교량 바닥판 시공 방법 KR101666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678A KR101666109B1 (ko) 2016-03-08 2016-03-08 교량 바닥판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678A KR101666109B1 (ko) 2016-03-08 2016-03-08 교량 바닥판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6109B1 true KR101666109B1 (ko) 2016-10-13

Family

ID=57173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678A KR101666109B1 (ko) 2016-03-08 2016-03-08 교량 바닥판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1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85076A (zh) * 2021-07-08 2021-11-02 中国建筑第六工程局有限公司 一种水上大跨双层现浇梁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5758A (ko) * 2005-11-28 2007-05-3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시스템
KR100760681B1 (ko) * 2006-05-22 2007-09-28 (주)대우건설 프리캐스트 방호벽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방호벽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5758A (ko) * 2005-11-28 2007-05-3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시스템
KR100760681B1 (ko) * 2006-05-22 2007-09-28 (주)대우건설 프리캐스트 방호벽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방호벽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85076A (zh) * 2021-07-08 2021-11-02 中国建筑第六工程局有限公司 一种水上大跨双层现浇梁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68878B (zh) 预制夹芯墙板的制作安装方法
CN105464244A (zh) 预制装配整体式剪力墙施工方法
CN110565900B (zh) 一种耐磨地坪施工工艺
CN106703834A (zh) 超大断面隧道二次衬砌整体模筑施工方法
CN109811878A (zh) 装配式建筑现浇叠合模壳一体化结构与施工方法
CN111455776B (zh) 地锚式钢结构悬挑人行道施工方法
KR101367657B1 (ko)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의 차수벽 시공 방법
CN111997066A (zh) 用于边坡加固的装配式预应力锚索框架梁制作及施工方法
JP4947779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敷設方法
KR101666109B1 (ko) 교량 바닥판 시공 방법
CN113005908A (zh) 一种跨线天桥的安装方法
CN104532746A (zh) 一种钢混叠合梁上部结构施工方法
JP2001248114A (ja) 鋼床版の補強方法及び鋼床版構造
AU2019203603B1 (en) Stair assembly and method
KR102120857B1 (ko) 교량 바닥판의 시공 시스템
Specification Standard
KR100509208B1 (ko) 고무화 아스팔트 및 폴리우레탄레진으로된 몰탈과스테인레스 배수로를 사용한 건축물 지하바닥 및 배수로시공방법
CN112761114A (zh) 一种渡槽贝雷梁设计施工方法
CN205918017U (zh) 一种与护栏一体化的预制楼梯、预制空调板
GB748104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building structures
KR101351374B1 (ko) 워크 브릿지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또는 도로 콘크리트 포장 층간 동시 시공방법
Singh et al. Concrete in Residential Construction
RU138515U1 (ru) Платформа и плита настила платформы
KR0171484B1 (ko) 교량의 상부 슬라브 거푸집 설치용 이동식 비계
JPH0480410A (ja) プラットホームの拡幅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