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5758A -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시스템 - Google Patents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5758A
KR20070055758A KR1020050114134A KR20050114134A KR20070055758A KR 20070055758 A KR20070055758 A KR 20070055758A KR 1020050114134 A KR1020050114134 A KR 1020050114134A KR 20050114134 A KR20050114134 A KR 20050114134A KR 20070055758 A KR20070055758 A KR 20070055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girder
concrete
floor plate
ear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4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7683B1 (ko
Inventor
최병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14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7683B1/ko
Publication of KR20070055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7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7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Abstract

강 거더의 가설 중에 요구되는 소요강성에 기여하여 강 거더에 소요되는 강재 량을 줄일 수 있고, 브레이싱 부재의 사용량을 효율적으로 경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바닥 판의 타설시에도 별도의 가설 거푸집 및 지지 가설물이 불필요함으로써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한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강 거더(Steel Girders); 상기 강 거더의 상부에 배치되고, 콘크리트 재료로 사전에 조기 합성된(precast) 조기 합성 바닥 판; 상기 강 거더와 상기 조기 합성 바닥 판을 결합시켜 일체화하는 연결 수단; 및 상기 조기 합성 바닥 판의 상부에 포장되는 콘크리트 본 바닥 판;을 포함하고, 상기 조기 합성 바닥 판이 지지 가설물을 대신하며, 콘크리트 바닥 판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 시스템을 제공한다.
지지 가설물, 강 거더, 콘크리트 바닥 판, 조기 합성 거더 시스템, 조기 합성 바닥 판

Description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 시스템{Precast Girder System Having Steel Girders and Concrete Plates}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 시스템의 강 거더와 조기 합성 바닥 판의 분해 조립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 시스템에서 조기 합성 연결판을 이용하여 강 거더들을 서로 연결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 시스템에서 강재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강 거더들을 서로 연결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에 따른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 시스템
10... 강 거더(Steel Girders) 30.... 콘크리트 바닥 판
32... 조기 합성 바닥 판 34.... 종/횡방향 철근
36... 개구부 40....콘크리트 본 바닥 판
40a... 철근 44... 연결 재
50... 연결 수단 52... 스터드(Stud)
56... 콘크리트 층 60... 조기 합성 연결판
70.... 강재 데크 플레이트
t... 조기 합성 바닥 판의 두께
T... 콘크리트 본 바닥 판
본 발명은 강 거더(Steel Girders) 위에 콘크리트 바닥 판(Concrete Plates)을 설치한 강 합성 거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강 거더 제작 시에 콘크리트 바닥 판의 일부를 미리 장착하여 별도의 지지 가설물을 설치하지 않고도 가설 중에 강 거더의 소요강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바닥 판 타설 시에 거푸집으로도 쓰일 수 있는 경제적 시공이 가능한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강 합성 거더 시스템은 강 거더(Steel Girders) 위에 콘크리트 바닥 판(Concrete Plates)을 설치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강 거더 위에 형성된 콘크리 트 바닥 판의 강성을 활용하도록 거더를 설계하는 방식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교량 형식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강 합성 거더 시스템은 가설 중에 바닥 판용 거푸집과 동바리 등의 지지가설 구조물을 필요로 하며, 특히 강 거더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브레이싱(bracing) 부재 등의 가설이 필요하므로 이에 요구되는 부재들이 상당수 존재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강 합성 거더 시스템은 이러한 지지가설 구조물이나 브레이싱 부재들의 설치에 상당한 공사비를 소요하고, 콘크리트 바닥 판을 시공하기 위한 가설 거푸집의 비용도 크게 소요되는 것이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강 합성 거더 시스템은 강 거더 상에 콘크리트 바닥 판을 합성하기 전 단계에서는 강 거더의 단면을 요구 강성이 최대가 되는 최적의 단면으로 유지할 수 없으므로, 콘크리트 바닥 판의 시공시에 이와 같이 요구 강성이 최대가 되는 단면으로 강 거더를 유지하기 위하여 실제로 강 합성 거더 시스템의 사용 중에는 전혀 불필요한 부가적인 강재가 소모적으로 소요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부가적인 강재들은 전체 거더 시스템의 중량을 불필요하게 증대시키고, 재료비를 증대시키며, 시공을 어렵게 한다.
또한 이와 같은 부가적인 재료의 증가는 강 거더 시스템의 피로성능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강 합성 거더 시스템은 콘크리트 바닥 판의 시공시에 가설 거푸집 및 동바리 등 지지구조물의 설치과정이 필요하므로 이에 따른 공사비의 증대 및 작업자들의 안전 사고의 위험성이 증대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강 합성 거더 시스템이 필요한 분야에서는 콘크리트 바닥 판과 강 거더를 이용한 시공중에 별도의 브레이싱 부재들이 필요없이도 강 거더의 소요 강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바닥 판의 타설 시에 별도의 가설 거푸집이 필요없는 강 합성 거더 시스템이 요구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별도의 지지 가설물을 설치하지 않고도 강 거더의 가설 중에 소요강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바닥 판의 타설 시에도 별도의 가설 거푸집이 불필요함으로써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한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목적으로서, 시공중에 별도의 브레이싱 부재들이 필요없이도 강 거더의 소요 강성을 제공할 있음으로서 강 거더의 피로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지지구조물의 설치과정이 불필요하여 작업자들의 안전 사고의 위험성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 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 거더(Steel Girders);
상기 강 거더의 상부에 배치되고, 콘크리트 재료로 사전에 조기 합성된(precast) 조기 합성 바닥 판;
상기 강 거더와 상기 조기 합성 바닥 판을 결합시켜 일체화하는 연결 수단; 및
상기 조기 합성 바닥 판의 상부에 포장되는 콘크리트 본 바닥 판;을 포함하고 상기 조기 합성 바닥 판이 지지 가설물을 대신하며, 콘크리트 바닥 판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강 거더의 상부 측으로 돌출한 다수의 스터드(Stud); 상기 조기 합성 바닥 판에 형성되어 상기 스터드들이 삽입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에 충전되어 스터드에 경화됨으로써 상기 강 거더와 조기 합성 바닥 판을 일체화하는 콘크리트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기 합성 바닥 판의 상부 면에는 연결 재들이 다수 개 돌출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재들이 절곡된 철재 재료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본 바닥 판의 철근 위치에 대응하여 이를 고정시키도록 배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기 합성 바닥 판의 두께는 상기 조기 합성 바닥 판 위에 콘크리트 본 바닥 판이 타설되는 경우, 그 전체 두께의 20~40%를 차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 거더들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강 거더 사이를 이어 주는 조기 합성 연결판을 추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기 합성 연결판은 그 양단이 상기 강 거더의 조기 합성 바닥 판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본 바닥 판에 의해 서 상기 조기 합성 바닥 판에 일체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 거더들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강 거더 사이를 이어 주는 강재 데크 플레이트를 추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재 데크 플레이트는 그 위에 상기 콘크리트 본 바닥 판들이 타설됨으로서 상기 강 거더 상의 조기 합성 바닥 판들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 시스템(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 거더(Steel Girders)(10) 위에 콘크리트 바닥 판(Concrete Plates)(30)을 설치한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 시스템 (1)은 일정 길이의 강 거더(10)를 구비하며, 상기 강 거더(10)는 일반적인 박스 거더(Box Girder)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다른 형태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강 거더(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콘크리트 재료로 사전에 제작된(precast) 조기 합성 바닥 판(32)을 갖는다. 상기 조기 합성 바닥 판(3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종/횡방향 철근(34)이 배치되고, 콘크리트 프리 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되어 시공기간을 단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기 합성 바닥 판(32)은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연결 수단(50)을 이루기 위하여 다수개의 개구부(36)를 형성하고 상기 조기 합성 바닥 판(32)의 상부에는 콘크리트 본 바닥 판(40)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조기 합성 바닥 판(32)은 콘크리트 본 바닥 판(40)과 함께 결합되어 강 거더(10) 위에 콘크리트 바닥 판(Concrete Plates)(30)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조기 합성 바닥 판(32)은 데크 플레이트(미 도시)를 활용하여 상기 종/횡방향 철근(34)을 대신하여 보강하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강 거더(10)와 상기 조기 합성 바닥 판(32)을 결합시켜 일체화하는 연결 수단(50)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 수단(50)은 상기 강 거더(10)의 상부 측으로 돌출한 다수의 스터드(Stud)(52)를 포함하고, 상기 조기 합성 바닥 판(32)에 형성되어 상기 스터드(52)들이 삽입되는 개구부(36)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36)에 충전되어 스터드(52)에 경화됨으로써 상기 강 거더(10)와 조기 합성 바닥 판(32)을 일체화하는 콘크리트 층(56)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상기 강 거더(10)의 스터드(52)들은 상기 조기 합성 바닥 판(32)의 개구부(36)에 일치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36)의 빈 공간을 콘크리트 층(56)이 충전되어 이들을 함께 결합시킨다.
상기 개구부(36)의 빈공 간으로 충전되는 콘크리트 층(56)은 일반적인 그라우팅 콘크리트(Grouting Concrete)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강 거더(10)와 조기 합성 바닥 판(32)들은 서로 일체로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기 합성 바닥 판(32)의 상부 면에는 연결 재(44)들이 다수 개 돌출형성된 것이다. 상기 연결 재(44)들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형으로 절곡된 철재 재료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본 바닥 판(40)의 철근(40a) 위치에 대응하여 이를 고정시키도록 배치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콘크리트 본 바닥 판(40)에 필요한 종/횡 방향 철근(40a)들이 상기 연결 재(44)들에 결속되어 배치될 수 있고, 그 위에 콘크리트 층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조기 합성 바닥 판(32)의 두께(t)는 상기 조기 합성 바닥 판(32) 위에 콘크리트 본 바닥 판(40)이 타설되는 경우, 그 전체 두께(T)에 대해 t/T = 20~40%를 차지하는 것이다.
만일 상기에서 조기 합성 바닥 판(32)의 두께(t)가 20% 보다 얇은 경우에는 강도의 취약을 이룰 수 있고, 40% 보다 두꺼울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과도한 중량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강 거더(10)들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강 거더(10) 사이를 이어 주는 조기 합성 연결판(60)을 추가 포함한다. 상기 조기 합성 연결판(60)은 그 양단이 상기 강 거더(10)의 조기 합성 바닥 판(32)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본 바닥 판(40)에 의해서 상기 조기 합성 바닥 판(32)과 함께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조기 합성 연결판(60)을 구성하고 강 거더(10) 사이를 연결시킴으로써 다수의 강 거더(10)들을 하나로 연결하여 콘크리트 본 바닥 판(40)을 타설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다수의 강 거더(Steel Girders)(10) 위에 하나의 큰 콘크리트 바닥 판(Concrete Plates)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강 거더(10)들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강 거더(10) 사이를 이어 주는 강재 데크 플레이트(70)를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재 데크 플레이트(70)는 그 위에 상기 콘크리트 본 바닥 판(40)들이 타설됨으로 서 상기 강 거더(10) 상의 조기 합성 바닥 판(32)들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강 거더(10) 사이를 이어 주는 강재 데크 플레이트(70)를 추가 포함함으로써 다수의 강 거더(10)들을 하나로 연결하여 콘크리트 본 바닥 판(40)을 타설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다수의 강 거더(Steel Girders)(10) 위에 하나의 큰 콘크리트 바닥 판(Concrete Plates)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 시스템(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 거더(10)의 제작 시에 콘크리트 바닥 판의 일부를 이루는 조기 합성 바닥 판(32)을 마련하고, 이를 연결 수단(50)을 통하여 서로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강 거더(10)에 마련된 스터드(52)들이 조기 합성 바닥 판(32)의 개구부(36)로 삽입되고 콘크리트 층(56)에 의해서 서로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강 거더(10) 위에 장착된 조기 합성 바닥 판(32)은 이를 이용하여 교량 등을 시공하는 경우, 강 거더(10)의 설계 소요 강성의 일부를 담당하게 함으로써 별도의 브레이싱 부재들이 불필요하고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기 합성 바닥 판(32) 위에는 콘크리트 본 바닥 판(40)이 철근(40a) 들과 함께 시공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콘크리트 본 바닥 판(40)의 철근(40a)들은 조기 합성 바닥 판(32)에 마련된 연결 재(44)를 이용하여 결속되고, 그 위에 콘크리트 층이 타설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기 합성 바닥 판(32)의 상부에 콘크리트 본 바닥 판(40)이 타설되어 일체를 이루면 강 거더(Steel Girders)(10) 위에 하나의 콘크리트 바닥 판(Concrete Plates)(30)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와 같이 강 거더(10)의 제작 시에 장착되는 조기 합성 바닥 판(32)은 콘크리트 본 바닥 판(40)을 타설하기 위한 영구거푸집의 기능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브레이싱 부재(bracing member)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 강 거더(10)에 필요한 전체적인 중량을 크게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시공 원자재 및 시공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다수의 강 거더(10)들을 나란하게 배치하여 큰 폭의 구조물을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 조기 합성 연결판(60)이나 강재 데크 플레이트(70)들을 이용하면 쉽게 시공할 수 있음으로 시공 원자재 및 시공 원가를 더욱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강 거더(10) 들을 길게 이어서 긴 구조물을 시공하는 경우에도 강 거더(10) 위에 조기 합성 연결판(60)을 장착한 상태에서 이들 강 거더(10)들을 서로 연결하고 콘크리트 본 바닥 판(40)을 일시에 타설하면 쉽게 긴 길이의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음으로써 시공 원자재 및 시공 원가를 더욱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설 중에 요구되는 소요강성에 기여하여 강 거더에 소요되는 강재 량을 줄일 수 있고, 브레이싱 부재의 사용량을 효율적으로 경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바닥 판의 타설시에도 별도의 가설 거푸집 및 지지 가설물이 불필요함으로써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 거더 구조물의 시공중에 별도의 브레이싱 부재들이 필요없이도 강 거더의 소요 강성을 제공할 있음으로서 강 거더 시스템의 피로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콘크리트 타설에 필요한 가설 부재들이나 지지구조물의 설치과정이 불필요하여 작업자들의 안전 사고의 위험성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개선된 효과를 갖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기재된 것이며, 본 발명을 이와 같은 특정 구조로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9)

  1. 강 거더(Steel Girders);
    상기 강 거더의 상부에 배치되고, 콘크리트 재료로 사전에 조기 합성된(precast) 조기 합성 바닥 판;
    상기 강 거더와 상기 조기 합성 바닥 판을 결합시켜 일체화하는 연결 수단; 및
    상기 조기 합성 바닥 판의 상부에 포장되는 콘크리트 본 바닥 판;을 포함하고 상기 조기 합성 바닥 판이 지지 가설물을 대신하며, 콘크리트 바닥 판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강 거더의 상부 측으로 돌출한 다수의 스터드(Stud); 상기 조기 합성 바닥 판에 형성되어 상기 스터드들이 삽입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에 충전되어 스터드에 경화됨으로써 상기 강 거더와 조기 합성 바닥 판을 일체화하는 콘크리트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기 합성 바닥 판의 상부 면에는 연결 재들이 다수 개 돌출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재들이 절곡된 철재 재료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본 바닥 판의 철근 위치에 대응하여 이를 고정시키도록 배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기 합성 바닥 판의 두께는 상기 조기 합성 바닥 판 위에 콘크리트 본 바닥 판이 타설되는 경우, 그 전체 두께의 20~40%를 차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 거더들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강 거더 사이를 이어 주는 조기 합성 연결판을 추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기 합성 연결 판은 그 양단이 상기 강 거더의 조기 합성 바닥 판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본 바닥 판에 의해서 상기 조기 합성 바닥 판에 일체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 거더들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강 거더 사이를 이어 주는 강재 데크 플레이트를 추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 데크 플레이트는 그 위에 상기 콘크리트 본 바닥 판들이 타설됨으로서 상기 강 거더 상의 조기 합성 바닥 판들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 시스템.
KR1020050114134A 2005-11-28 2005-11-28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시스템 KR100727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134A KR100727683B1 (ko) 2005-11-28 2005-11-28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4134A KR100727683B1 (ko) 2005-11-28 2005-11-28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758A true KR20070055758A (ko) 2007-05-31
KR100727683B1 KR100727683B1 (ko) 2007-06-13

Family

ID=38277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4134A KR100727683B1 (ko) 2005-11-28 2005-11-28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76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247B1 (ko) * 2008-04-21 2010-07-1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합성 강박스거더의 압축플랜지 보강구조
CN105887649A (zh) * 2016-04-21 2016-08-24 浙江交通职业技术学院 一种采用分层栓钉连接件的钢-混凝土部分预制简支叠合梁结构及其制作工艺
KR101666109B1 (ko) * 2016-03-08 2016-10-13 (주)삼우아이엠씨 교량 바닥판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479B1 (ko) * 2010-03-05 2012-03-20 (주)삼현피에프 상자형 교량의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7925B2 (ja) * 1994-08-26 2001-10-15 タキロン株式会社 橋梁の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3579167B2 (ja) * 1996-02-16 2004-10-20 株式会社横河ブリッジ 路面用床版およびその敷設工法
KR100349865B1 (ko) 1999-05-29 2002-08-22 (주)청석엔지니어링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유거더 합성교의 연속화 공법
KR200220893Y1 (ko) 2000-10-19 2001-04-16 김근택 보조슬래브를 구비한 교량
KR200316089Y1 (ko) 2003-02-19 2003-06-12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유자형 빔 거더의 비틀림 방지구조
KR20060054725A (ko) * 2004-11-16 2006-05-23 주식회사 효성엘비데크 교량 슬래브용 피씨플레이트의 정착시공방법 및 그에적용되는 정착구
KR100601099B1 (ko) * 2004-12-24 2006-07-1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강상자형 교량 거더의 데크 폼
US20090047742A1 (en) * 2005-08-24 2009-02-19 University Of Medicine And Dentistry Of New Jersey Inhibition of mRNA Interferase-Induced Apoptosis in BAK-Deficient and BAK- and Bax-Deficient Mammalian Cell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247B1 (ko) * 2008-04-21 2010-07-1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합성 강박스거더의 압축플랜지 보강구조
KR101666109B1 (ko) * 2016-03-08 2016-10-13 (주)삼우아이엠씨 교량 바닥판 시공 방법
CN105887649A (zh) * 2016-04-21 2016-08-24 浙江交通职业技术学院 一种采用分层栓钉连接件的钢-混凝土部分预制简支叠合梁结构及其制作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7683B1 (ko)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305B1 (ko) 프리캐스트 전면벽체 및 프리캐스트 배면벽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제작방법
KR101301076B1 (ko) 프리캐스트 전면 및 배면벽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시공방법
KR100999019B1 (ko) 아치형상의 교량용 합성거더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20090050520A (ko) 리브드 하프피씨 바닥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12404A (ko) 리브드 하프피씨 바닥판
KR100812132B1 (ko) 콘크리트 슬래브 조립체
KR100483083B1 (ko) 바닥판 골조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복합형 바닥판
KR100728106B1 (ko)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부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
KR200383490Y1 (ko)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 철근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KR100727683B1 (ko)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시스템
KR10122926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20160010783A (ko)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강합성 거더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의 시공 방법
JP5184836B2 (ja) 合成鋼床版桁橋の施工方法
KR101191545B1 (ko)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KR100462966B1 (ko) 합성형 거더교의 단면형상을 개선한 p.s.c u-거더
KR100634344B1 (ko) 합성바닥판 및 그 연결구조
KR100990967B1 (ko) 조립형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0859312B1 (ko) 골판형 합성상판
KR200383489Y1 (ko)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 철근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JP3579167B2 (ja) 路面用床版およびその敷設工法
KR20090055935A (ko) 분절형 복합 박스 거더 제작방법
KR100748939B1 (ko) 이방향 골판형 합성상판
KR101050145B1 (ko)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연속교의 건설방법
CN210597875U (zh) 一种交叉梁
KR101688440B1 (ko) 빔의 상부 보강 부재, 빔의 상부 보강 부재가 설치된 빔, 및 이를 사용한 건설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