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989B1 - 자동차 조립용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조립용 지그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989B1
KR101665989B1 KR1020150068852A KR20150068852A KR101665989B1 KR 101665989 B1 KR101665989 B1 KR 101665989B1 KR 1020150068852 A KR1020150068852 A KR 1020150068852A KR 20150068852 A KR20150068852 A KR 20150068852A KR 101665989 B1 KR101665989 B1 KR 101665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fixing
support
electromagnet
inser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8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년
Original Assignee
김도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년 filed Critical 김도년
Priority to KR1020150068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9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용접되어 자동차의 차체를 구성하는 파트를 손쉽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자동차 조립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용 지그장치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바(12a)가 구비된 지지대(10)와, 상기 가이드바(12a)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파트(1,2)가 삽입되는 삽입부(21)가 형성된 고정대(20)와, 상기 삽입부(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21)에 삽입된 파트(1,2)를 고정하는 전자석(30)과, 상기 삽입부(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21)에 상기 파트(1,2)가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삽입감지수단(40)과, 상기 지지대(10)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대(20)가 상기 지지대(10)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감지하는 이격감지수단(50)과, 상기 삽입감지수단(40)과 이격감지수단(5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전자석(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0)으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파트(1,2)를 상기 삽입부(21)에 삽입하면 전자석(30)이 on되어 파트(1,2)를 고정하고, 파트(1,2)의 용접작업이 완료된 후 작업자가 파트(1,2)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자동으로 상기 전자석(30)이 off되어 파트(1,2)가 삽입부(21)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파트(1,2)를 고정하거나 고정해제 하는 것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조립용 지그장치{jig for assembling vehicle body}
본 발명은 상호 용접되어 자동차의 차체를 구성하는 파트를 손쉽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자동차 조립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제작할 때는 복수개의 파트를 상호 용접결합하여 차체를 제작하고, 상기 차체에 각종 구동장치와 조향장치 및 전자부품을 장착하여 제작한다.
이때, 상기 파트를 결합할 때는 차체를 지그장치에 고정한 후, 자동용접기 또는 수동용접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파트를 상호 용접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차량의 차체를 구성하는 파트를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지그장치는 상기 파트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며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지지부에 올려진 파트를 물어 고정하는 클램프기구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호 용접결합할 파트를 작업자가 상기 지지부에 올려놓고, 상기 클램프기구를 작동시켜 상기 클램프기구에 의해 각각의 파트가 고정되도록 한 후, 자동 또는 수동용접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파트를 상호 용접결합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자동차 조립용 지그장치는 파트를 물어 고정하는 클램프기구를 이용하게 되는데, 작업자가 파트를 지지부에 올려놓은 후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클램프기구를 구동하여 클램프기구를 작동시키고, 파트의 용접이 완료되면 다시 스위치를 조작하여 클램프기구의 고정을 해제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클램프기구에 의해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공고특허 10-1997-003574호, 등록특허 10-0182119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호 용접되어 자동차의 차체를 구성하는 파트를 손쉽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자동차 조립용 지그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호 용접되어 자동차의 차체를 구성하는 파트(1,2)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조립용 지그장치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바(12a)가 구비된 지지대(10)와, 상기 가이드바(12a)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파트(1,2)가 삽입되는 삽입부(21)가 형성된 고정대(20)와, 상기 삽입부(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21)에 삽입된 파트(1,2)를 고정하는 전자석(30)과, 상기 삽입부(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21)에 상기 파트(1,2)가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삽입감지수단(40)과, 상기 지지대(10)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대(20)가 상기 지지대(10)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감지하는 이격감지수단(50)과, 상기 삽입감지수단(40)과 이격감지수단(5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전자석(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삽입감지수단(4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삽입부(21)에 상기 파트(1,2)가 삽입되면 상기 전자석(30)을 on시켜 상기 파트(1,2)가 삽입부(21)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이격감지수단(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자석(30)에 의해 상기 파트(1,2)가 삽입부(21)에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파트(1,2)를 상측으로 당겨 상기 파트(1,2)와 전자석(30) 및 고정대(20)가 함께 지지대(10)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전자석(30)을 off시켜 상기 파트(1,2)가 삽입부(21)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용 지그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대(20)와 지지대(1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대(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용 지그장치가 제공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10)는 하부지지대(11)와, 상기 하부지지대(11)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바(12a)가 구비된 상부지지대(12)와, 상기 상부지지대(12)에 연결되어 상부지지대(12)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13)과, 상기 고정대(20)에 연결되어 고정대(20)의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회전각도측정수단(14)과, 상기 상부지지대(12)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대(20)가 상부지지대(12)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15)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가이드바(12a)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었을 때만 상기 고정수단(15)을 off시켜 상기 고정대(20)가 가이드바(12a)를 따라 상승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용 지그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용 지그장치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바(12a)가 구비된 지지대(10)와, 상기 가이드바(12a)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파트(1,2)가 삽입되는 삽입부(21)가 형성된 고정대(20)와, 상기 삽입부(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21)에 삽입된 파트(1,2)를 고정하는 전자석(30)과, 상기 삽입부(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21)에 상기 파트(1,2)가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삽입감지수단(40)과, 상기 지지대(10)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대(20)가 상기 지지대(10)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감지하는 이격감지수단(50)과, 상기 삽입감지수단(40)과 이격감지수단(5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전자석(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0)으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파트(1,2)를 상기 삽입부(21)에 삽입하면 전자석(30)이 on되어 파트(1,2)를 고정하고, 파트(1,2)의 용접작업이 완료된 후 작업자가 파트(1,2)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자동으로 상기 전자석(30)이 off되어 파트(1,2)가 삽입부(21)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파트(1,2)를 고정하거나 고정해제 하는 것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용 지그장치를 이용하여 조립되는 파트의일예를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용 지그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용 지그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용 지그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5는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용 지그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용 지그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로 구성된 2개의 파트(1,2)의 인접단이 상호 겹치도록 고정하여, 작업자가 상기 파트(1,2)를 상호 용접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파트(1,2)는 자성체인 철판을 성형하여 제작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자동차 조립용 지그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바(12a)가 구비된 지지대(10)와, 상기 가이드바(12a)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파트(1,2)가 삽입되는 삽입부(21)가 형성된 고정대(20)와, 상기 삽입부(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21)에 삽입된 파트(1,2)를 고정하는 전자석(30)과, 상기 삽입부(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21)에 상기 파트(1,2)가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삽입감지수단(40)과, 상기 지지대(10)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대(20)가 상기 지지대(10)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감지하는 이격감지수단(50)과, 상기 삽입감지수단(40)과 이격감지수단(5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전자석(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0)으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대(20)는 자성체인 금속재로 구성된 것으로, 측방향으로 연장된 패널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바(12a)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면에는 상기 파트(1,2)가 삽입되는 삽입부(21)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21)에 상기 파트(1,2)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파트(1,2)를 상호 용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대(20)와 지지대(10)의 사이, 즉, 상기 고정대(20)의 하측면과 후술하는 상부지지대(12)의 상면의 사이에는 상기 고정대(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22)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22)는 상기 가이드바(12a)의 외측에 끼움결합된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대(20)에 파트(1,2)를 결합하면 고정대(20)와 파트(1,2)의 무게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22)가 압축되는 정도의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파트(1,2)의 용접작업이 완료된 후 작업자가 상기 파트(1,2)와 고정대(20)를 상측으로 들어올릴 때, 상기 탄성부재(22)가 상기 고정대(20)를 적절한 힘으로 상측으로 밀어 올려, 작업자가 적은 힘으로 상기 파트(1,2)와 고정대(20)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전자석(30)은 상기 제어유닛(60)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 on되어 상기 파트(1,2)가 부착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파트(1,2)가 상기 삽입부(21)에 삽입된 상태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삽입감지수단(40)은 상기 삽입부(21)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21)의 내측으로 돌출된 푸쉬버튼(41)이 구비된 리미트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삽입부(21)에 상기 파트(1,2)를 삽입하면, 상기 파트(1,2)에 의해 상기 푸쉬버튼(41)이 눌려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파트(1,2)는 2개로 구성됨으로, 상기 삽입감지수단(40)과 전자석(30)은 각각 2개로 구성되어 상기 삽입부(21)의 내부 바닥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이격감지수단(50)은 상기 지지대(10)의 상면 중앙부에 구비되며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푸쉬버튼(51)이 구비된 리미트스위치를 이용한 것으로, 상기 고정대(20)가 하강되어 상기 상부지지대(12)에 근접되면 상기 푸쉬버튼(51)이 눌리고, 상기 고정대(20)가 상승되어 상기 상부지지대(12)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푸쉬(51)버튼이 돌출되어, 상기 고정대(20)가 상부지지대(12)로부터 이격된 것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삽입감지수단(40)의 신호를 수신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21)에 상기 파트(1,2)가 삽입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전자석(30)을 on시켜 상기 파트(1,2)가 삽입부(21)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이격감지수단(50)의 신호를 수신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대(20)가 상기 지지대(1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전자석(30)을 off시켜, 상기 전자석(30)에 의해 삽입부(21)에 고정된 파트(1,2)의 고정을 해제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파트(1,2)를 상기 삽입부(21)에 삽입하면, 상기 파트(1,2)가 전자석(30)에 의해 상기 고정대(20)의 삽입부(21)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 작업자가 파트(1,2)를 상호 용접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석(30)에 의해 상기 파트(1,2)가 삽입부(21)에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파트(1,2)를 상측으로 당기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파트(1,2)와 전자석(30) 및 고정대(20)가 함께 상기 상부지지대(12)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저유닛(60)이 상기 전자석(30)을 off시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파트(1,2)가 삽입부(21)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파트(1,2)가 상기 삽입부(21)에 삽입되면 자동으로 상기 전자석(30)이 on되어 파트(1,2)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됨으로, 작업이 완료된 후, 작업자가 상기 파트(1,2)를 상기 삽입부(21)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도 6에 도시한 상기 파트(1,2)와 함께 전자석(30)과 고정대(20)가 함께 상승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고정대(20)가 상승되면 상기 이격감지수단(50)이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이격감지수단(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자석(30)으로 off시키며,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파트(1,2)의 고정이 해제되어 파트(1,2)를 상기 삽입부(21)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 상기 파트(1,2)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것 만으로, 상기 파트(1,2)가 상기 삽입부(21)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대(10)는 하부지지대(11)와, 상기 하부지지대(11)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바(12a)가 구비된 상부지지대(12)와, 상기 상부지지대(12)에 연결되어 상부지지대(12)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13)과, 상기 상부지지대(12)의 회전축(12b)에 연결되어 고정대(20)의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회전각도측정수단(14)과, 상기 상부지지대(12)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대(20)가 상부지지대(12)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15)으로 구성되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파트(1,2)가 상기 고정대(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구동수단(13)으로 상부지지대(12)와 고정대(20)를 측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대(20)에 고정된 파트(1,2)를 측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지지대(11)는 넓은 패널형태로 구성되어 바닥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면 양측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지지바(11a)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지지대(12)는 양단이 상기 지지바(11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12b)이 구비되어, 둘레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지지바(11a)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면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바(12a)가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회전구동수단(13)은 상기 지지바(11a)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지지대(12)의 회전축(12b)에 연결된 구동모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구동수단(13)을 구동시키면, 상기 상부지지대(12)가 상기 회전축(12b)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회전각도측정수단(14)은 상기 상부지지대(12)의 회전축(12b)에 연결된 각도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구동수단(13)에 의해 상기 상부지지대(12)가 측방향으로 회전되면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단(15)은 상기 상부지지대(12)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유닛(60)에 의해 on-off 제어되는 전자석을 이용하는 것으로, on되면 상기 고정대(20)의 하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고정대(20)가 상부지지대(12)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회전각도측정수단(14)의 신호를 수신하여, 고정수단(15)을 on-off제어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유닛(60)에는 상기 회전구동수단(13)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61)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어스위치(61)를 조작하여 상기 회전구동수단(13)을 정역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상부지지대(12)와 상기 고정대(20) 및 고정대(20)에 고정된 파트(1,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회전각도측정수단(14)의 신호를 수신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지대(12)와 고정대(20)가 수직으로 세워져 있을 때는 상기 고정수단(15)을 off 시켜, 상기 고정대(20)가 상측으로 상승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파트(1,2)가 전자석(30)에 의해 고정대(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용접작업을 미친 후, 상기 파트(1,2)를 상측으로 들어올릴 때, 파트(1,2)와 고정대(20)가 함께 상승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제어스위치(61)를 조작하여, 상기 상부지지대(12)와 고정대(20)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면,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회전각도측정수단(14)의 신호를 측정하여 상기 고정수단(15)을 on시킴으로써, 의도하지 않게 상기 전자석(30)이 off되어, 상기 삽입부(21)에 고정된 파트(1,2)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고정대(20)는 상기 가이드바(12a)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22)에 의해 상기 지지대(10)로부터 이격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됨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지대(12)와 고정대(20)가 측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고정대(20)의 자중이나 상기 탄성부재(22)의 탄성에 의해 고정대(20)가 상기 지지대(10)로부터 이격되게 되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유닛(60)이 상기 이격감지수단(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자석(30)을 off시키게 된다.
따라서, 단순히 상기 삽입부(21)에 파트(1,2)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부지지대(12)와 고정대(20)를 측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파트(1,2)가 상기 삽입부(21)에 고정되지 못하고 추락하여 안전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부지지대(12)에는 고정수단(15)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지지대(12)에는 회전각도측정수단(14)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지지대(12)와 고정대(20)가 측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고정수단(15)이 on되어 고정대(20)가 지지대(10)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상기 전자석(30)이 off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 조립용 지그장치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바(12a)가 구비된 지지대(10)와, 상기 가이드바(12a)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파트(1,2)가 삽입되는 삽입부(21)가 형성된 고정대(20)와, 상기 삽입부(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21)에 삽입된 파트(1,2)를 고정하는 전자석(30)과, 상기 삽입부(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21)에 상기 파트(1,2)가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삽입감지수단(40)과, 상기 지지대(10)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대(20)가 상기 지지대(10)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감지하는 이격감지수단(50)과, 상기 삽입감지수단(40)과 이격감지수단(5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전자석(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0)으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파트(1,2)를 상기 삽입부(21)에 삽입하면 전자석(30)이 on되어 파트(1,2)를 고정하고, 파트(1,2)의 용접작업이 완료된 후 작업자가 파트(1,2)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자동으로 상기 전자석(30)이 off되어 파트(1,2)가 삽입부(21)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파트(1,2)를 고정하거나 고정해제 하는 것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대(20)와 지지대(10)의 사이에는 상기 고정대(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22)가 구비됨으로, 작업이 완료된 파트(1,2)를 들어올릴 때 상기 탄성부재(22)에 의해 고정대(20)가 상측으로 가볍게 들어올려지게 되어, 상기 파트(1,2)를 분리하는 것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22)가 없을 경우, 작업자가 상기 파트(1,2)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작업자의 힘을 이용하여 상기 파트(1,2)와 함께 고정대(20)를 상측으로 들어올려야 함으로, 힘이 많이 들게 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고정대(20)가 탄성부재(22)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됨으로, 상기 파트(1,2)를 들어올릴 때 적은 힘으로도 파트(1,2)와 함께 고정대(20)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10)는 하부지지대(11)와, 상기 하부지지대(11)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바(12a)가 구비된 상부지지대(12)와, 상기 상부지지대(12)에 연결되어 상부지지대(12)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13)과, 상기 고정대(20)에 연결되어 고정대(20)의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회전각도측정수단(14)과, 상기 상부지지대(12)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대(20)가 상부지지대(12)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15)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가이드바(12a)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었을 때만 상기 고정수단(15)을 off시켜 상기 고정대(20)가 가이드바(12a)를 따라 상승될 수 있도록 함으로, 상기 상부지지대(12)를 측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파트(1,2)의 각 부분, 특히 파트(1,2)의 측벽부분을 더욱 용이하게 용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삽입부(21)는 상기 파트(1,2)에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삽입부(21)의 형상은 상기 파트(1,2)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10. 지지대 20. 고정대
30. 전자석 40. 삽입감지수단
50. 이격감지수단 60. 제어유닛

Claims (3)

  1. 상호 용접되어 자동차의 차체를 구성하는 파트(1,2)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조립용 지그장치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바(12a)가 구비된 지지대(10)와,
    상기 가이드바(12a)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파트(1,2)가 삽입되는 삽입부(21)가 형성된 고정대(20)와,
    상기 삽입부(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21)에 삽입된 파트(1,2)를 고정하는 전자석(30)과,
    상기 삽입부(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21)에 상기 파트(1,2)가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삽입감지수단(40)과,
    상기 지지대(10)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대(20)가 상기 지지대(10)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감지하는 이격감지수단(50)과,
    상기 삽입감지수단(40)과 이격감지수단(5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전자석(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삽입감지수단(4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삽입부(21)에 상기 파트(1,2)가 삽입되면 상기 전자석(30)을 on시켜 상기 파트(1,2)가 삽입부(21)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이격감지수단(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자석(30)에 의해 상기 파트(1,2)가 삽입부(21)에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파트(1,2)를 상측으로 당겨 상기 파트(1,2)와 전자석(30) 및 고정대(20)가 함께 지지대(10)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전자석(30)을 off시켜 상기 파트(1,2)가 삽입부(21)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용 지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20)와 지지대(1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대(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용 지그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는
    하부지지대(11)와,
    상기 하부지지대(11)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바(12a)가 구비된 상부지지대(12)와,
    상기 상부지지대(12)에 연결되어 상부지지대(12)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13)과,
    상기 상부지지대(12)의 회전축(12b)에 연결되어 고정대(20)의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회전각도측정수단(14)과,
    상기 상부지지대(12)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대(20)가 상부지지대(12)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15)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가이드바(12a)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었을 때만 상기 고정수단(15)을 off시켜 상기 고정대(20)가 가이드바(12a)를 따라 상승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용 지그장치.
KR1020150068852A 2015-05-18 2015-05-18 자동차 조립용 지그장치 KR101665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852A KR101665989B1 (ko) 2015-05-18 2015-05-18 자동차 조립용 지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852A KR101665989B1 (ko) 2015-05-18 2015-05-18 자동차 조립용 지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989B1 true KR101665989B1 (ko) 2016-10-13

Family

ID=57174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852A KR101665989B1 (ko) 2015-05-18 2015-05-18 자동차 조립용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9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702B1 (ko) 2016-10-24 2018-07-04 윤복수 자동차용 클러치 조립용 고정장치
CN108919530A (zh) * 2018-05-25 2018-11-30 Tcl王牌电器(惠州)有限公司 磁保压装置及磁保压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574A (ko) 1995-06-29 1997-01-28 김주용 오토 프리버의 니들 자동 세척장치
KR0182119B1 (ko) 1996-10-18 1999-05-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보디용 지그의 조립 및 해체 전용치구
JP2001259879A (ja) * 2000-03-10 2001-09-25 Nippei Toyama Corp レーザ加工機用治具
KR20080043135A (ko) * 2006-11-13 2008-05-16 (주) 세원테크 차체 용접용 지그의 클램프
KR20090034561A (ko) * 2007-10-04 2009-04-08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레이저 용접용 전자석 지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574A (ko) 1995-06-29 1997-01-28 김주용 오토 프리버의 니들 자동 세척장치
KR0182119B1 (ko) 1996-10-18 1999-05-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보디용 지그의 조립 및 해체 전용치구
JP2001259879A (ja) * 2000-03-10 2001-09-25 Nippei Toyama Corp レーザ加工機用治具
KR20080043135A (ko) * 2006-11-13 2008-05-16 (주) 세원테크 차체 용접용 지그의 클램프
KR20090034561A (ko) * 2007-10-04 2009-04-08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레이저 용접용 전자석 지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702B1 (ko) 2016-10-24 2018-07-04 윤복수 자동차용 클러치 조립용 고정장치
CN108919530A (zh) * 2018-05-25 2018-11-30 Tcl王牌电器(惠州)有限公司 磁保压装置及磁保压设备
CN108919530B (zh) * 2018-05-25 2022-03-11 Tcl王牌电器(惠州)有限公司 磁保压装置及磁保压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4164B1 (ko) 리스폿 용접용 고정 장치
KR101197882B1 (ko) 클램프 확인 시스템, 용접 로봇 시스템, 클램프 지그 제어 장치 및 클램프 확인 방법
KR100653022B1 (ko) 변압기용 행거 자동용접장치
CN106239166A (zh) 一种扁钢弯曲钻孔设备
KR101665989B1 (ko) 자동차 조립용 지그장치
US20040046433A1 (en) Seat position detection unit
KR101136101B1 (ko) 튜브 용접선 정렬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1593306B1 (ko)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
KR20200005142A (ko) 로봇 툴 결합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782137B1 (ko) 자동차용 프로펠러 샤프트의 센터 베어링 조립장치
EP2008760A1 (en) Jig pallet
KR101694117B1 (ko) 랜스용 와이어로프의 자동 장력 조절 장치
JP2010082753A (ja) ワーク圧入装置
CN111618907A (zh) 机器人的固定装置、机器人及机器人系统
KR101136100B1 (ko) 튜브 용접선 정렬장치와 그 제어방법
US20150060235A1 (en) Magnet conveyance positionoing device
KR101451893B1 (ko) 크래쉬패드에의 에어백 슈트 장착장치
CN217362313U (zh) 变频器自动进柜定位安装设备
JP2003136452A (ja) レバー操作式機械装置の操縦用ロボット
KR20070009024A (ko) 러기지 트레이용 충격시험장치
CN110002363B (zh) 一种工件托运装置及工件托运方法
CN209759738U (zh) 一种缝纫机的抬压脚助力装置及缝纫机
KR101835526B1 (ko) 차량용 부품 용접 지그장치
CN110953957A (zh) 一种吊具检测装置
KR20180063705A (ko) 거더 내부 용접용 용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