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702B1 - 자동차용 클러치 조립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클러치 조립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702B1
KR101874702B1 KR1020160138413A KR20160138413A KR101874702B1 KR 101874702 B1 KR101874702 B1 KR 101874702B1 KR 1020160138413 A KR1020160138413 A KR 1020160138413A KR 20160138413 A KR20160138413 A KR 20160138413A KR 101874702 B1 KR101874702 B1 KR 101874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jaw
link
guide groove
operation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4639A (ko
Inventor
윤복수
Original Assignee
윤복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복수 filed Critical 윤복수
Priority to KR1020160138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702B1/ko
Publication of KR20180044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2Clamps with slid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4Clamps for work of special prof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6Details, e.g. jaws, jaw attachments
    • B25B5/163Jaws or jaw attach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6Details, e.g. jaws, jaw attachments
    • B25B5/166Slideways; Guiding and/or blocking means for jaws ther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심부에는 조립대상부품을 삽입할 수 있는 부품삽입구가 연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부품삽입구와 방사상으로 복수의 죠가이드홈이 외측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저면에는 부품삽입구 둘레로 승강가이드홈이 형성된 메인바디, 메인바디의 승강가이드홈 상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하는 링형상의 수평단면을 가지는 승강바디, 메인바디의 중심부를 향해 조여지거나 메인바디의 외측을 향해 이동하도록 메인바디의 죠가이드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며, 저면에는 수평이동걸림홈이 형성된 죠, 메인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며, 일단이 승강바디 저면에 밀착 배치되는 제1링크와, 일단이 제1링크에 연결된 상태로 타단은 메인바디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2링크 및, 죠의 수평이동걸림홈에 삽입 걸림되는 제3링크로 구성된 링크부재, 제2링크와 연결된 상태로 메인바디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작업자가 파지한 상태로 링크부재를 회전되게 하는 조작핸들, 승강바디의 상단에 접하도록 메인바디의 승강가이드홈에 삽입 결합하며, 작업자에 의한 조작핸들의 작동이 해제시, 링크부재가 승강바디를 하방으로 밀림되게 하면서 죠는 메인바디의 중심부로 조여지는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스프링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조립용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클러치 조립용 고정장치{A Assembling jig of clutch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부품의 조립,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클러치 조립을 위해 클램핑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조립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부품을 조립하는 공정에서는 조립하고자 하는 차량부품을 고정시켜 주기 위해 지그를 이용한다. 이러한 종래의 지그는 조립하고자 하는 차량부품인 조립대상물의 표면을 감싸면서 조립이 용이하도록 고정시켜 주는 상부지그와 하부지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종래의 조립용 지그는 조립대상물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부지그와 하부지그가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이들 지그는 조립대상물의 높이에 맞게 베이스플레이트에 볼트체결 또는 용접 등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조립용 지그는 조립하고자 하는 특정 조립대상물의 단면 형상에 맞게 조립형 지그가 제작되기 때문에 여러 차종에 장착되는 조립대상물이 비슷하지 않으면, 조립대상물의 형상에 따라 조립용 지그를 새로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조립용 지그는 다른 조립대상물을 조립하기 위해 재활용할 수 없기 때문에 각각의 조립대상에 따른 조립용 지그의 설계 및 조립이 필요함에 따라 많은 시간과 함께 비용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차량용 클러치는 플라이휠과 클러치판의 중심을 정확하게 맞추고 클러치축을 결합하게 되는데, 종래의 조립용 지그로는 상호간의 중심을 정확하게 일치시키며 조립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된 선출원의 차량부품 조립용 지그는,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5612호(2011.05.04)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차량 부품 종류에 상관없이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고정함과 더불어 클러치의 조립시에는 클러치 구성부품 상호간의 중심을 정확하게 일치시키며 조립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조립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중심부에는 조립대상부품을 삽입할 수 있는 부품삽입구가 연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부품삽입구와 방사상으로 복수의 죠가이드홈이 외측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부품삽입구 둘레로 승강가이드홈이 형성된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승강가이드홈 상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하는 링형상의 수평단면을 가지는 승강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중심부를 향해 조여지거나 상기 메인바디의 외측을 향해 이동하도록 상기 메인바디의 죠가이드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며, 저면에는 수평이동걸림홈이 형성된 죠, 상기 메인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며, 일단이 상기 승강바디 저면에 밀착 배치되는 제1링크와, 일단이 상기 제1링크에 연결된 상태로 타단은 상기 메인바디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죠의 수평이동걸림홈에 삽입 걸림되는 제3링크로 구성된 링크부재, 상기 제2링크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메인바디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작업자가 파지한 상태로 상기 링크부재를 회전되게 하는 조작핸들, 상기 승강바디의 상단에 접하도록 상기 메인바디의 승강가이드홈에 삽입 결합하며, 상기 작업자에 의한 조작핸들의 작동이 해제시, 상기 링크부재가 상기 승강바디를 하방으로 밀림되게 하면서 상기 죠는 상기 메인바디의 중심부로 조여지는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스프링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조립용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의 외측면에는 상기 조작핸들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하도록 승강가이드홈에 연통되게 핸들가이드홈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바디의 핸들가이드홈에는 상기 조작핸들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 위치를 한정하도록 상기 조작핸들이 걸림되게 하는 핸들스토퍼가 삽입상태로 결합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죠가이드홈은 상기 부품삽입구를 기준으로 90°간격으로 이격되게 4개가 형성되며, 상기 죠는 4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클러치 조립용 고정장치는, 메인바디의 죠가이드홈에 죠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죠는 링크부재에 의해 조작핸들과 승강바디를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조립하고자 하는 부품의 종류나 크기에 상관없이 죠에 의한 가압을 통해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승강바디는 고정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밀림되면서, 죠가 메인바디의 중심부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는 바, 부품의 안정적인 고정을 유지하여 부품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클러치 조립용 고정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클러치 조립용 고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클러치 조립용 고정장치의 죠 이동에 따른 상태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클러치 조립용 고정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클러치 조립용 고정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클러치 조립용 고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자동차용 클러치 조립용 고정장치는, 메인바디(100), 승강바디(200), 죠(300), 링크부재(400), 조작핸들(50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메인바디(100)는 조립대상부품을 안착 상태로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즉, 상기 메인바디(100)는 상면에 조립대상부품,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클러치의 플라이휠(도면미도시)을 안착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바디(100)의 중심부에는 조립대상부품,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클러치의 축(도면미도시) 부분을 수직하게 삽입 지지할 수 있도록 부품삽입구(110)가 연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같이, 상기 메인바디(100)는 내측면과 외측면을 원형으로 형성한 원형 고리의 단면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각형 고리의 단면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면에는 상기 부품삽입구(110)에서 상기 메인바디(100) 외측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복수의 죠가이드홈(120)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죠가이드홈(120)에는 이후 설명될 죠(300)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때, 상기 죠가이드홈(120)은 상기 부품삽입구(110)를 중심으로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면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부품삽입구(110)를 기준으로 90°간격으로 이격되게 4개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죠가이드홈(120)에 설치되는 죠(300)가 상기 부품삽입구(110)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메인바디(100)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조립대상부품을 안정적인 가압상태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메인바디(100)의 저면에는 이후 설명될 승강바디(200)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승강가이드홈(130)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승강가이드홈(130)은 상기 메인바디(100)의 저면에 상기 부품삽입구(110) 둘레로 원형링 형상의 수평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승강바디(200)가 상하방향으로 일정높이 승강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100)의 외측면에는 상기 승강가이드홈(130)에 연통되는 핸들가이드홈(140)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핸들가이드홈(140)은 이후 설명될 조작핸들(500)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기 조작핸들(500)의 상하이동에 따른 링크부재(40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바디(100)의 핸들가이드홈(140)에는 조작핸들(500)을 상부방향으로 더 이상 슬라이딩 이동하지 않도록 걸림시키는 제1걸림블럭(150a) 및 조작핸들(500)을 하부방향으로 더 이상 슬라이딩 이동하지 않도록 걸림시키는 제2걸림블럭(150b)으로 구성되는 핸들스토퍼(150)를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걸림블럭(150a)의 저면 및 상기 제2걸림블럭(150b)의 상면에는 걸림홈(150c)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걸림홈(150c)에는 조작핸들(500)의 상하이동에 따라 조작핸들(500)의 일측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걸림돌기(510a,510b)가 선택적으로 대응되게 삽입되면서, 조작핸들(500)을 고정상태로 유지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면에는 조립대상부품을 안착 배치시, 정확한 위치에 안착 배치되도록 상기 조립대상부품을 걸림시키는 부품안착대(1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바디(200)는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메인바디(100)의 승강가이드홈(13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도록 상기 승강가이드홈(130)에 대응되는 원형링 형상의 수평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승강바디(200)는 조작핸들(500)의 승강에 따른 링크부재(4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메인바디(100)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바디(200)의 상면 일측에는 이후 설명될 고정스프링(600)의 하단을 삽입상태로 걸림 배치되게 하도록 스프링안착홈(210)이 형성된다.
상기 죠(300)는 상기 메인바디(100)의 죠가이드홈(12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어, 상기 메인바디(100)의 중심부를 향해 조여지면서 상기 조립대상부품을 가압상태로 고정되게 하거나 상기 메인바디(100)의 외측을 향해 이동하면서 상기 조립대상부품을 고정상태를 해제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죠(3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부품삽입구(110)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메인바디(100)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조립대상부품을 안정적인 가압상태로 고정되게 할 수 있도록 4개를 설치한다.
상기 링크부재(400)는 조작핸들(500)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죠(300)를 상기 메인바디(100)의 죠가이드홈(120)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함과 더불어 상기 승강바디(200)를 상기 메인바디(100)의 승강가이드홈(130)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러한, 상기 링크부재(400)는 상기 메인바디(1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401)로 연결 결합한 상태로 상기 죠(300) 및 상기 승강바디(200)와 조작핸들(500)을 상호 연결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링크부재(400)는 제1링크(410), 제2링크(420), 제3링크(4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링크(410)는 상기 승강바디(200) 저면에 연결된다. 즉, 상기 제1링크(410)의 일단은 상기 승강바디(200) 저면에 밀착상태로 연결 배치되며, 상기 제1링크(410)의 타단은 제2링크(420)에 연결 결합한다.
상기 제2링크(420)는 상기 제1링크(410)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바디(100) 외측에 돌출된 상태로 조작핸들(500)에 연결된다. 즉, 상기 제2링크(420)의 일단은 상기 제1링크(410)의 타단으로부터 직선형으로 연장되도록 연결 결합되며, 상기 제2링크(420)의 타단은 조작핸들(500)에 연결된다.
상기 제3링크(430)는 상기 죠(300)의 저면에 연결된다. 즉, 상기 제3링크(430)의 일단은 상기 죠(300)의 수평이동걸림홈(310)에 삽입상태로 걸림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3링크(430)의 타단은 상기 제1링크(410)와 상기 제2링크(420)를 연결되는 부분에 수직하게 연결 결합한다.
이같이, 상기 링크부재(400)는 상기 메인바디(100) 상에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승강바디(200)와 상기 죠(300) 및 조작핸들(500)을 상호 연동되게 한다.
상기 조작핸들(500)은 작업자로 하여금 상기 링크부재(400)의 회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조작핸들(500)은 상기 메인바디(100)의 핸들가이드홈(14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핸들(500)의 일단에는 상기 링크부재(400)의 제2링크(430)의 타단을 삽입상태로 걸림 연결할 수 있도록 링크연결홈(501)이 형성된다.
더불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조작핸들(500)의 일측 상면 및 하면에는 걸림돌기(510a,510b)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510a,510b)는 상기 조작핸들(500)의 상하 이동시, 상기 메인바디(100)에 구비된 제1걸림블럭(150a) 및 제2걸림블럭(150b)의 걸림홈(150c)에 삽입 걸림되면서, 상기 조작핸들(500)이 상방으로 이동된 위치 또는 하방으로 이동된 위치를 고정유지되게 한다.
상기 고정스프링(600)은 작업자에 의한 상기 조작핸들(500)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상기 죠(300)가 상기 메인바디(100)의 중심부로 조임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힘을 전달하면서,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면에 안착 배치되는 조립대상부품을 안정적으로 가압 고정되게 한다. 즉, 상기 고정스프링(600)은 상기 승강바디(200)를 하방으로 밀림되게 힘을 가하면서 상기 승강바디(200)에 연결된 상기 링크부재(400)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3링크(430)에 의해 상기 죠(300)가 상기 메인바디(100)의 중심부로 밀림 이동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스프링(600)은 상기 메인바디(100)의 승강가이드홈(130)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스프링(600)의 상단은 상기 메인바디(100)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고정스프링(600)의 하단은 상기 승강바디(200)의 스프링안착홈(210)에 삽입상태로 걸림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 실시예의 자동차용 클러치 조립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조립대상부품인 클러치의 조립 방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죠(300)가 상기 메인바디(100)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메인바디(100)의 외측을 향해 이동되게 배치한다. 즉, 작업자는 상기 조작핸들(500)을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한다. 그러면, 상기 링크부재(400)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3링크(430)에 의해 상기 죠(300)가 상기 메인바디(100)의 죠가이드홈(120)에서 상기 메인바디(100)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배치된다.
이렇게, 상기 죠(300)가 상기 메인바디(100)의 중심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이동되게 배치한 후에, 상기 메인바디(100) 상에 조립대상부품,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이휠을 상기 메인바디(100)의 부품안착대(160)에 안착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핸들(500)을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한다. 그러면, 상기 링크부재(400)가 다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3링크(430)에 의해 상기 죠(300)가 상기 메인바디(100)의 죠가이드홈(120)에서 상기 메인바디(100) 중심부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플라이휠의 외측면을 가압상태로 고정한다.
이때, 상기 죠(300)는 작업자에 의한 상기 조작핸들(500)의 상방 이동되게 하는 힘을 제거하더라도 상기 고정스프링(600)의 밀림힘에 의한 상기 승강바디(200)의 하방 이동된 위치를 유지함에 따른 상기 링크부재(400)의 회전상태가 유지되면서 상기 죠(300)가 상기 플라이휠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이후, 상기 메인바디(100)의 부품삽입구(110)로 클러치의 축 부분을 삽입하면서, 상기 플라이휠에 정확하게 조립이 이루어게 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클러치 조립용 고정장치는, 상기 메인바디(100)의 죠가이드홈(120)에 상기 죠(30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죠(300)는 상기 링크부재(400)에 의해 상기 조작핸들(500)과 상기 승강바디(200)를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조립하고자 하는 부품의 종류나 크기에 상관없이 상기 죠(300)에 의한 가압을 통해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바디(200)는 상기 고정스프링(600)에 의해 하방으로 밀림되면서, 상기 죠(300)가 상기 메인바디(100)의 중심부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는 바, 상기 부품의 안정적인 고정을 유지하여 부품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메인바디 110: 부품삽입구
120: 죠가이드홈 130: 승강가이드홈
140: 핸들가이드홈 150: 핸들스토퍼
160: 부품안착대 200: 승강바디
300: 죠 310: 수평이동걸림홈
400: 링크부재 410: 제1링크
420: 제2링크 430: 제3링크
500: 조작핸들 600: 고정스프링

Claims (3)

  1. 중심부에는 조립대상부품을 삽입할 수 있는 부품삽입구가 연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부품삽입구와 방사상으로 복수의 죠가이드홈이 외측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부품삽입구 둘레로 승강가이드홈이 형성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승강가이드홈 상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하는 링형상의 수평단면을 가지는 승강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중심부를 향해 조여지거나 상기 메인바디의 외측을 향해 이동하도록 상기 메인바디의 죠가이드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며, 저면에는 수평이동걸림홈이 형성된 죠와;
    상기 메인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며, 일단이 상기 승강바디 저면에 밀착 배치되는 제1링크와, 일단이 상기 제1링크에 연결된 상태로 타단은 상기 메인바디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죠의 수평이동걸림홈에 삽입 걸림되는 제3링크로 구성된 링크부재와;
    상기 제2링크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메인바디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작업자가 파지한 상태로 상기 링크부재를 회전되게 하는 조작핸들; 및
    상기 승강바디의 상단에 접하도록 상기 메인바디의 승강가이드홈에 삽입 결합하며, 상기 작업자에 의한 조작핸들의 작동이 해제시, 상기 링크부재가 상기 승강바디를 하방으로 밀림되게 하면서 상기 죠는 상기 메인바디의 중심부로 조여지는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스프링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조립용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의 외측면에는 상기 조작핸들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하도록 승강가이드홈에 연통되게 핸들가이드홈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바디의 핸들가이드홈에는 상기 조작핸들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 위치를 한정하도록 상기 조작핸들이 걸림되게 하는 핸들스토퍼가 삽입상태로 결합 설치된 자동차용 클러치 조립용 고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죠가이드홈은 상기 부품삽입구를 기준으로 90°간격으로 이격되게 4개가 형성되며,
    상기 죠는 4개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조립용 고정장치.
KR1020160138413A 2016-10-24 2016-10-24 자동차용 클러치 조립용 고정장치 KR101874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413A KR101874702B1 (ko) 2016-10-24 2016-10-24 자동차용 클러치 조립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413A KR101874702B1 (ko) 2016-10-24 2016-10-24 자동차용 클러치 조립용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639A KR20180044639A (ko) 2018-05-03
KR101874702B1 true KR101874702B1 (ko) 2018-07-04

Family

ID=62244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413A KR101874702B1 (ko) 2016-10-24 2016-10-24 자동차용 클러치 조립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7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344B1 (ko) * 2020-06-30 2022-06-24 (주)대일하이테크 환형 부품용 지그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34487A1 (fr) 2006-05-24 2007-11-29 Jin Feng Wang Appareil à plaque de serrage semi-automatique
JP2013031920A (ja) 2012-09-25 2013-02-14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固定機構
KR101505814B1 (ko) 2013-10-18 2015-04-07 주식회사 지이엠 바이스장치
KR101665989B1 (ko) 2015-05-18 2016-10-13 김도년 자동차 조립용 지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34487A1 (fr) 2006-05-24 2007-11-29 Jin Feng Wang Appareil à plaque de serrage semi-automatique
JP2013031920A (ja) 2012-09-25 2013-02-14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固定機構
KR101505814B1 (ko) 2013-10-18 2015-04-07 주식회사 지이엠 바이스장치
KR101665989B1 (ko) 2015-05-18 2016-10-13 김도년 자동차 조립용 지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639A (ko) 2018-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2697B2 (en) Clamping device for adjoining board materials
CN202344284U (zh) 汽车转向节加工夹具
KR101201912B1 (ko) 핀위치결정지그 및 핀장착장치
JP6219499B2 (ja) 係止装置
JP6353796B2 (ja) 出力装置および出力システム
CN106976475B (zh) 车辆及其转向系统、可调式转向管柱
KR101874702B1 (ko) 자동차용 클러치 조립용 고정장치
JP2017538615A (ja) キャスター及びキャスター付きホワイトボード
JP2012526019A (ja) キャッピングヘッドおよびボトルのキャッピング装置
KR101048504B1 (ko) 플런저 타입의 위치결정 핀 조립체
WO2018073862A1 (ja) 空気ばね及び台車
JP4839829B2 (ja) ワーク位置決め装置
KR101915356B1 (ko) 와셔 체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셔 체결 방법
JP6275176B2 (ja) パーキング解除ユニット
JP2010051980A (ja) 位置決め部保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ワーク位置決め方法
KR101588848B1 (ko) 타워 받침용 스키드
CN205387248U (zh) 螺栓收纳箱
KR200478623Y1 (ko) 차량패널 로케이팅핀 장치
KR101654477B1 (ko) 자동차용 프론트 댐퍼 어셈블리의 탑마운트 인슐레이터 회전방지 지그
US8033226B2 (en) Locking mechanism for reconfigurable pallets
CN210852619U (zh) 一种低成本的汽车转向管柱手柄夹紧机构
EP3670981B1 (en) Membrane puncturing mechanism
KR20170119996A (ko) 슬래브 폼의 드롭헤드 어셈블리
US11167404B2 (en) Separable rotary table
KR101732180B1 (ko) 맨홀 뚜껑 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