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345B1 -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차량 정보인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차량 정보인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345B1
KR101665345B1 KR1020150014246A KR20150014246A KR101665345B1 KR 101665345 B1 KR101665345 B1 KR 101665345B1 KR 1020150014246 A KR1020150014246 A KR 1020150014246A KR 20150014246 A KR20150014246 A KR 20150014246A KR 101665345 B1 KR101665345 B1 KR 101665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dule
portable terminal
consumab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3356A (ko
Inventor
김동환
이기호
이경민
오민우
황기현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4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345B1/ko
Publication of KR20160093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3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60K3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2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measuring vehicle parameters and indicating critical, abnormal or dangerous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차량 정보인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차량 정보인지 시스템은 엔진오일, 오일필터, 구동밸브, 연료필터 등의 차량 소모품의 교환시기 정보를 차량 주행거리 검출을 통해 판단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되는 한편 차량 소모품 교환관리가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수행되고, 이와 같은 차량 소모품 관리가 현재 보편화된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단말기와 휴대단말기에 설치되는 차량 소모품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됨으로써 최소화된 비용으로 차량 소모품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모듈을 이용한 차량 운행영상이 촬영되고, 휴대단말기에 설치되는 차량 블랙박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카메라모듈의 제어와 영상정보의 저장, 관리가 수행됨으로써 고가의 차량 블랙박스를 대신한 휴대단말기와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저가의 블랙박스 기능 사용이 가능해져 사용자의 비용절감과 차량 관리효율 증대가 도모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차량 정보인지 시스템은 사용자가 운행하는 차량의 설정 위치에 거치되고, GPS 수신기가 구비되어 차량 이동정보가 검출되며, 카메라모듈이 구비되어 차량 운행영상이 촬영되는 사용자용 휴대단말기와; 상기 사용자용 휴대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용 휴대단말기의 GPS 수신기로부터 차량 이동정보를 전달받아 차량 속도와 주행거리를 산출하며, 산출된 주행거리에 따른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를 판별하여 차량 소모품 교환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하게 되는 차량 소모품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사용자용 휴대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용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모듈로부터 차량 운행영상을 전달받아 저장, 관리하게 되는 차량 블랙박스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차량 정보인지 시스템{Smart vehicle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by Io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차량 정보인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엔진오일, 오일필터, 구동밸브, 연료필터 등의 차량 소모품의 교환시기 정보를 차량 주행거리 검출을 통해 판단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되는 한편 차량 소모품 교환관리가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수행되고, 이와 같은 차량 소모품 관리가 현재 보편화된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단말기와 휴대단말기에 설치되는 차량 소모품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됨으로써 최소화된 비용으로 차량 소모품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모듈을 이용한 차량 운행영상이 촬영되고, 휴대단말기에 설치되는 차량 블랙박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카메라모듈의 제어와 영상정보의 저장, 관리가 수행됨으로써 고가의 차량 블랙박스를 대신한 휴대단말기와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저가의 블랙박스 기능 사용이 가능해져 사용자의 비용절감과 차량 관리효율 증대가 도모되는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차량 정보인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 사고 및 차량을 이용한 사기, 뺑소니 등의 사고 발생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녹화 상황이 중요한 증거로 채택됨에 따라,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차량 블랙박스와 관련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74211호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등록번호 제10-1353479호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룸미러 블랙박스 조립체" 등이 안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차량용 블랙박스는 수십만원 이상의 고가로 판매되는 것임에 따라, 차량에 블랙박스를 설치할 경우 사용자의 비용부담이 증대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차량의 설치된 각종 장치나 부품의 상태를 점검하고, 필요시 적절한 유지보수 조치나 부품 교환을 수행하는 것은 차량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차량 상태를 자동으로 진단하는 기술들이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78649호 "차량용 진단장치의 진단 데이터 비교 분석 표시 및 저장 방법",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129053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차량 진단 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등이 안출되어 있다.
한편 엔진오일, 오일필터, 구동밸브, 연료필터와 같은 차량 소모품의 적절한 교환은 차량의 성능이나 안전사고 발생에 영향을 미치므로, 차량 소모품의 교환시기가 관리될 필요가 있는데, 종래에는 차량 소유자의 경험적 판단에 의존하여 차량 소모품이 교환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74211호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53479호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룸미러 블랙박스 조립체"
(특허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78649호 "차량용 진단장치의 진단 데이터 비교 분석 표시 및 저장 방법"
(특허문헌 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129053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차량 진단 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현재 보편화된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단말기의 GPS 수신기와 휴대단말기에 설치되는 차량 소모품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주행거리 정보 산출을 통해 각종 차량 소모품의 교환시기를 자동 판별하여 차량 소모품이 교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되는 한편 최소화된 비용으로 차량 소모품 관리를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모듈과 휴대단말기에 설치되는 차량 블랙박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고가의 차량 블랙박스를 대신한 저가의 블랙박스 기능 사용이 가능해져 사용자의 비용절감과 차량 관리효율 증대가 도모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차량 정보인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운행하는 차량의 설정 위치에 거치되고, GPS 수신기가 구비되어 차량 이동정보가 검출되며, 카메라모듈이 구비되어 차량 운행영상이 촬영되는 사용자용 휴대단말기와; 상기 사용자용 휴대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용 휴대단말기의 GPS 수신기로부터 차량 이동정보를 전달받아 차량 속도와 주행거리를 산출하며, 산출된 주행거리에 따른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를 판별하여 차량 소모품 교환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하게 되는 차량 소모품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사용자용 휴대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용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모듈로부터 차량 운행영상을 전달받아 저장, 관리하게 되는 차량 블랙박스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차량 정보인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차량 정보인지 시스템에서 상기 차량 소모품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GPS 수신기로부터 전달되는 차량 이동정보로부터 차량 속도를 산출하는 차량 속도산출모듈과; 차량의 운행시간이 검출되어 저장되는 차량 운행시간 검출모듈과; 차량 소모품 별 교환 주행거리가 설정되어 저장되는 교환 주행거리 설정모듈과; 차량 소모품이 교환된 시점이 입력되어 저장되는 차량 소모품 교환정보 입력모듈과; 차량 소모품 교환시점으로부터 현재까지의 누적 주행거리가 상기 차량 속도산출모듈, 차량 운행시간 검출모듈, 차량 소모품 교환정보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차량 속도, 차량 운행시간, 차량 소모품 교환 시점 정보로부터 산출되는 누적 주행거리 산출모듈과; 상기 누적 주행거리 산출모듈로부터 산출된 누적 주행거리와 상기 교환 주행거리 설정모듈에 설정된 교환 주행거리를 비교하고, 교환 주행거리 이상의 누적 주행거리를 갖는 차량 소모품을 검출하여 교환대상 차량 소모품 정보를 생성하는 교환대상 차량 소모품 체크모듈 및; 교환대상 차량 소모품 정보가 상기 사용자용 휴대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는 교환대상 차량 소모품 알림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차량 정보인지 시스템에서 상기 차량 소모품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용 휴대단말기의 화면창에 자동실행 메뉴를 출력하여 자동실행 메뉴의 원터치에 의해 차량 속도산출모듈, 차량 운행시간 검출모듈, 누적 주행거리 산출모듈, 교환대상 차량 소모품 체크모듈, 교환대상 차량 소모품 알림모듈이 자동 실행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 활성화모듈과; 차량 속도산출모듈, 차량 운행시간 검출모듈, 교환 주행거리 설정모듈, 차량 소모품 교환정보 입력모듈, 누적 주행거리 산출모듈, 교환대상 차량 소모품 체크모듈, 교환대상 차량 소모품 알림모듈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용 휴대단말기의 메모리카드에 자동 저장하는 메모리 자동저장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차량 소모품 교환정보 입력모듈은 교환이 완료된 차량 소모품 정보를 입력받아 차량 소모품이 교환된 시점을 산출하는 동시에 상기 누적 주행거리 산출모듈에 저장된 해당 차량 소모품에 연동된 누적 주행거리를 초기화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차량 정보인지 시스템에서 상기 차량 소모품은 엔진오일, 오일필터, 구동밸브, 연료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차량 정보인지 시스템에서 상기 차량 블랙박스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용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모듈을 제어하여 차량 운행영상이 실시간 촬영되도록 하는 영상 촬영제어모듈과; 상기 카메라모듈로부터 차량 운행영상을 전달받아 설정된 차량 사고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사고발생 여부판별모듈과; 설정된 차량 사고 발생시 상기 카메라모듈이 구간 촬영을 수행하도록 하고, 구간 촬영영상을 전달받아 상기 사용자용 휴대단말기의 메모리카드에 저장하는 구간 촬영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차량 정보인지 시스템에서 상기 차량 블랙박스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구간 촬영영상의 저장용량 및 저장 공간을 설정하는 영상저장 설정모듈과; 상기 차량 블랙박스 애플리케이션 운용을 위한 센서의 민감도를 설정하는 센서 설정모듈과; 알람 메시지의 생성 여부, 전송 여부를 관리하는 메시지 관리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차량 정보인지 시스템에 의하면,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용 휴대단말기의 GPS 수신기와 차량 소모품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주행거리 정보 산출을 통해 각종 차량 소모품의 교환시기를 자동 판별하여 차량 소모품이 교환되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되고, 최소화된 비용으로 차량 소모품 관리가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모듈과 휴대단말기에 설치되는 차량 블랙박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고가의 차량 블랙박스를 대신한 저가의 블랙박스 기능 사용이 가능해지도록 하므로, 사용자의 비용절감과 차량 관리효율 증대가 도모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차량 정보인지 시스템의 기본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차량 정보인지 시스템이 차량에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소모품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구성과 동작 흐름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블랙박스 애플리케이션과 구성과 동작 흐름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차량, 휴대단말기, 스마트 폰, 폰 카메라, 메모리카드 GPS 수신기, 차량 소모품, 엔진오일, 오일필터, 구동밸브, 연료필터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차량 정보인지 시스템(100)은 도 1에서와 같이 사용자용 휴대단말기(10), 차량 소모품 관리 애플리케이션(20), 차량 블랙박스 애플리케이션(3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용 휴대단말기(10)는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운행하는 차량(1)의 설정 위치에 거치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거치대(2)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용 휴대단말기(10)에는 GPS 수신기(13)가 구비되어 차량 이동정보가 검출되도록 하고, 카메라 모듈(12)이 구비되어 차량 운행영상이 촬영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사용자용 휴대단말기(10)로는 스마트 폰(10a)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 스마트 패드 등 다양한 휴대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차량 소모품 관리 애플리케이션(20)은 사용자용 휴대단말기(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용 휴대단말기(10)의 GPS 수신기(11)로부터 차량 이동정보를 전달받아 차량 속도와 주행거리를 산출하게 되며, 산출된 주행거리에 따른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를 판별하여 차량 소모품 교환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하게 된다. 여기서 차량 소모품에는 엔진오일, 오일필터, 구동밸브, 연료필터가 포함될 수 있는데, 차량 소모품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소모품 관리 애플리케이션(20)은 도 3에서와 같이 차량 속도산출모듈(21), 차량 운행시간 검출모듈(22), 교환 주행거리 설정모듈(23), 차량 소모품 교환정보 입력모듈(24), 누적 주행거리 산출모듈(25), 교환대상 차량 소모품 체크모듈(26), 교환대상 차량 소모품 알림모듈(27), 애플리케이션 활성화 모듈(28), 메모리 자동저장모듈(29)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차량 속도산출모듈(21)은 GPS 수신기(11)로부터 전달되는 차량 이동정보로부터 차량 속도를 산출하는 모듈이다. 차량 운행시간 검출모듈(22)은 차량의 운행시간이 검출되어 저장되는 모듈이다. 차량의 운행시간은 차량의 이동 여부의 검출로부터 검출될 수 있다. 교환 주행거리 설정모듈(23)은 차량 소모품 별 교환 주행거리가 설정되어 저장되는 모듈이다. 교환 주행거리는 현재 사용중인 차량 소모품이 차량에 설치된 시점에서 교체가 필요한 시점까지의 누적 주행거리를 말하는 것으로, 해당 차량 소모품의 특성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차량 소모품 교환정보 입력모듈(24)은 차량 소모품이 교환된 시점이 입력되어 저장되는 모듈이다. 누적 주행거리 산출모듈(25)은 차량 소모품 교환시점으로부터 현재까지의 누적 주행거리가 차량 속도산출모듈(21), 차량 운행시간 검출모듈(22), 차량 소모품 교환정보 입력모듈(24)로부터 입력되는 차량 속도, 차량 운행시간, 차량 소모품 교환 시점 정보로부터 산출되는 모듈이다.
교환대상 차량 소모품 체크모듈(26)은 도 4에서와 같이 누적 주행거리 산출모듈(25)로부터 산출된 누적 주행거리와 교환 주행거리 설정모듈(23)에 설정된 교환 주행거리를 비교하고, 교환 주행거리 이상의 누적 주행거리를 갖는 차량 소모품을 검출하여 교환대상 차량 소모품 정보를 생성하는 모듈이고, 교환대상 차량 소모품 알림모듈(27)은 교환대상 차량 소모품 정보가 사용자용 휴대단말기(10)를 통해 출력되는 모듈이다. 교환대상 차량 소모품 알림모듈(27)은 사용자용 휴대단말기(10)의 스피커를 통해 교환대상 차량 소모품 정보를 출력하거나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활성화 모듈(28)은 사용자용 휴대단말기(10)의 화면창에 자동실행 메뉴를 출력하여 자동실행 메뉴의 원터치에 의해 차량 속도산출모듈(21), 차량 운행시간 검출모듈(22), 누적 주행거리 산출모듈(25), 교환대상 차량 소모품 체크모듈(26), 교환대상 차량 소모품 알림모듈(27)이 자동 실행되도록 하는 모듈이다.
메모리 자동저장모듈(29)은 차량 속도산출모듈(21), 차량 운행시간 검출모듈(22), 교환 주행거리 설정모듈(23), 차량 소모품 교환정보 입력모듈(24), 누적 주행거리 산출모듈(25), 교환대상 차량 소모품 체크모듈(26), 교환대상 차량 소모품 알림모듈(27)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사용자용 휴대단말기(10)의 메모리 카드(13)에 자동 저장하는 모듈이다.
여기서 차량 소모품 교환정보 입력모듈(24)은 도 4에서와 같이 교환이 완료된 차량 소모품 정보를 입력받아 차량 소모품이 교환된 시점을 산출하는 동시에 누적 주행거리 산출모듈(25)에 저장된 해당 차량 소모품에 연동된 누적 주행거리를 초기화시키게 된다.
차량 블랙박스 애플리케이션(30)은 사용자용 휴대단말기(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용 휴대단말기(10)의 카메라 모듈(12)로부터 차량 운행영상을 전달받아 저장, 관리하게 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블랙박스 애플리케이션(30)은 영상 촬영제어모듈(31), 사고발생 여부 판별모듈(32), 구간 촬영 관리모듈(33)을 구비할 수 있다.
영상 촬영제어모듈(31)은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용 휴대단말기(10)의 카메라 모듈(12)을 제어하여 차량 운행영상이 실시간 촬영되도록 하는 모듈이다. 사고발생 여부 판별모듈(32)은 카메라 모듈(12)로부터 차량 운행영상을 전달받아 설정된 차량 사고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모듈이다. 구간 촬영 관리모듈(33)은 설정된 차량 사고 발생시 도 6에서와 같이 카메라 모듈(12)이 구간 촬영을 수행하도록 하고, 구간 촬영영상을 전달받아 사용자용 휴대단말기(10)의 메모리 카드(13)에 저장하는 모듈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블랙박스 애플리케이션(30)은 구간 촬영영상의 저장용량 및 저장 공간을 설정하는 영상저장 설정모듈(34), 차량 블랙박스 애플리케이션 운용을 위한 센서의 민감도를 설정하는 센서 설정모듈(35), 알람 메시지의 생성 여부, 전송 여부를 관리하는 메시지 관리모듈(36)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차량 정보인지 시스템(100)은 현재 보편화된 스마트 폰(10a)과 같은 사용자용 휴대단말기(10)에 구비되는 GPS 수신기(11)와 사용자용 휴대단말기(10)에 설치되는 차량 소모품 관리 애플리케이션(20)에 의한 주행거리 정보 산출을 통해 각종 차량 소모품의 교환시기를 자동 판별하여 차량 소모품이 교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되도록 하는 한편 최소화된 비용으로 차량 소모품 관리를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차량 정보인지 시스템(100)은 사용자용 휴대단말기(10)의 카메라 모듈(12)과 사용자용 휴대단말기(10)에 설치되는 차량 블랙박스 애플리케이션(30)을 통해 고가의 차량 블랙박스를 대신한 저가의 블랙박스 기능 사용이 가능해져 사용자의 비용절감과 차량 관리효율 증대가 도모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차량 정보인지 시스템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차량
2 : 거치대
10 : 사용자용 휴대단말기
10a : 스마트 폰
11 : GPS 수신기
12 : 카메라 모듈
13 : 메모리 카드
20 : 차량 소모품 관리 애플리케이션
21 : 차량 속도산출모듈
22 : 차량 운행시간 검출모듈
23 : 교환 주행거리 설정모듈
24 : 차량 소모품 교환정보 입력모듈
25 : 누적 주행거리 산출모듈
26 : 교환대상 차량 소모품 체크모듈
27 : 교환대상 차량 소모품 알림모듈
28 : 애플리케이션 활성화모듈
29 : 메모리 자동저장모듈
30 : 차량 블랙박스 애플리케이션
31 : 영상 촬영제어모듈
32 : 사고발생 여부 판별모듈
33 : 구간 촬영관리모듈
34 : 영상저장 설정모듈
35 : 센서 설정모듈
36 : 메시지 관리모듈
100 :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차량 정보인지 시스템

Claims (6)

  1. 사용자가 운행하는 차량의 설정 위치에 거치되고, GPS 수신기가 구비되어 차량 이동정보가 검출되며, 카메라모듈이 구비되어 차량 운행영상이 촬영되는 사용자용 휴대단말기와;
    상기 사용자용 휴대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용 휴대단말기의 GPS 수신기로부터 차량 이동정보를 전달받아 차량 속도와 주행거리를 산출하며, 산출된 주행거리에 따른 차량 소모품 교환시기를 판별하여 차량 소모품 교환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하게 되는 차량 소모품 관리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사용자용 휴대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용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모듈로부터 차량 운행영상을 전달받아 저장, 관리하게 되는 차량 블랙박스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되,
    상기 차량 소모품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GPS 수신기로부터 전달되는 차량 이동정보로부터 차량 속도를 산출하는 차량 속도산출모듈과;
    차량의 운행시간이 검출되어 저장되는 차량 운행시간 검출모듈과;
    차량 소모품 별 교환 주행거리가 설정되어 저장되는 교환 주행거리 설정모듈과;
    차량 소모품이 교환된 시점이 입력되어 저장되는 차량 소모품 교환정보 입력모듈과;
    차량 소모품 교환시점으로부터 현재까지의 누적 주행거리가 상기 차량 속도산출모듈, 차량 운행시간 검출모듈, 차량 소모품 교환정보 입력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차량 속도, 차량 운행시간, 차량 소모품 교환 시점 정보로부터 산출되는 누적 주행거리 산출모듈과;
    상기 누적 주행거리 산출모듈로부터 산출된 누적 주행거리와 상기 교환 주행거리 설정모듈에 설정된 교환 주행거리를 비교하고, 교환 주행거리 이상의 누적 주행거리를 갖는 차량 소모품을 검출하여 교환대상 차량 소모품 정보를 생성하는 교환대상 차량 소모품 체크모듈과;
    교환대상 차량 소모품 정보가 상기 사용자용 휴대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는 교환대상 차량 소모품 알림모듈과;
    상기 사용자용 휴대단말기의 화면창에 자동실행 메뉴를 출력하여 자동실행 메뉴의 원터치에 의해 차량 속도산출모듈, 차량 운행시간 검출모듈, 누적 주행거리 산출모듈, 교환대상 차량 소모품 체크모듈, 교환대상 차량 소모품 알림모듈이 자동 실행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 활성화모듈 및;
    차량 속도산출모듈, 차량 운행시간 검출모듈, 교환 주행거리 설정모듈, 차량 소모품 교환정보 입력모듈, 누적 주행거리 산출모듈, 교환대상 차량 소모품 체크모듈, 교환대상 차량 소모품 알림모듈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용 휴대단말기의 메모리카드에 자동 저장하는 메모리 자동저장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차량 블랙박스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용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모듈을 제어하여 차량 운행영상이 실시간 촬영되도록 하는 영상 촬영제어모듈과;
    상기 카메라모듈로부터 차량 운행영상을 전달받아 설정된 차량 사고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사고발생 여부판별모듈과;
    설정된 차량 사고 발생시 상기 카메라모듈이 구간 촬영을 수행하도록 하고, 구간 촬영영상을 전달받아 상기 사용자용 휴대단말기의 메모리카드에 저장하는 구간 촬영 관리모듈과;
    상기 구간 촬영영상의 저장용량 및 저장 공간을 설정하는 영상저장 설정모듈과;
    상기 차량 블랙박스 애플리케이션 운용을 위한 센서의 민감도를 설정하는 센서 설정모듈 및;
    알람 메시지의 생성 여부, 전송 여부를 관리하는 메시지 관리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차량 소모품 교환정보 입력모듈은
    교환이 완료된 차량 소모품 정보를 입력받아 차량 소모품이 교환된 시점을 산출하는 동시에 상기 누적 주행거리 산출모듈에 저장된 해당 차량 소모품에 연동된 누적 주행거리를 초기화시키되,
    상기 교환대상 차량 소모품 알림모듈은
    사용자용 휴대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교환대상 차량 소모품 정보와 알림음 중에서 설정된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차량 정보인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소모품은 엔진오일, 오일필터, 구동밸브, 연료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차량 정보인지 시스템.
  5. 삭제
  6. 삭제
KR1020150014246A 2015-01-29 2015-01-29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차량 정보인지 시스템 KR101665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246A KR101665345B1 (ko) 2015-01-29 2015-01-29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차량 정보인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246A KR101665345B1 (ko) 2015-01-29 2015-01-29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차량 정보인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356A KR20160093356A (ko) 2016-08-08
KR101665345B1 true KR101665345B1 (ko) 2016-10-12

Family

ID=56711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246A KR101665345B1 (ko) 2015-01-29 2015-01-29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차량 정보인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3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65406A (zh) * 2019-11-28 2020-03-06 湖南率为控制科技有限公司 基于车载gps授时系统的多传感器数据同步处理系统及方法
CN114893332A (zh) * 2022-06-29 2022-08-12 上海新动力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物联网的燃滤状态诊断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194B1 (ko) * 2005-10-17 2007-07-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정비 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4907658B2 (ja) * 2006-07-11 2012-04-0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部品監視システム
KR101474937B1 (ko) * 2012-01-27 2014-12-19 주식회사 케이티 블랙박스 기능과 내비게이션 기능을 구비한 통신 단말 및 영상 데이터 저장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9053A (ko) 2011-05-19 2012-11-28 (주)유앤아이테크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차량 진단 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KR101738025B1 (ko) * 2011-10-05 2017-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랙박스를 이용한 사고판단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353479B1 (ko) 2012-02-03 2014-01-21 최정락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룸미러 블랙박스 조립체
KR101374211B1 (ko) 2013-04-18 2014-03-13 이종훈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KR101478649B1 (ko) 2013-09-17 2015-01-06 주식회사 아이엑스 차량용 진단장치의 진단 데이터 비교 분석 표시 및 저장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194B1 (ko) * 2005-10-17 2007-07-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정비 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4907658B2 (ja) * 2006-07-11 2012-04-0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部品監視システム
KR101474937B1 (ko) * 2012-01-27 2014-12-19 주식회사 케이티 블랙박스 기능과 내비게이션 기능을 구비한 통신 단말 및 영상 데이터 저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356A (ko) 201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6643B2 (en) Providing a user interface experience based on inferred vehicle state
EP33190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unching start-stop function
CN106004883B (zh) 车辆违规提醒的方法及装置
EP32323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video data, terminal, and server
US9483944B2 (en) Prediction of free parking spaces in a parking area
US11216753B2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parking management method
US20120214463A1 (en) Detecting use of a mobile device by a driver of a vehicle, such as an automobile
US9311762B2 (en) Vehicle control system
US20150015709A1 (en) Monitoring a parking permit of a motor vehicle
CN110889351A (zh) 视频检测方法、装置、终端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05785969A (zh) 标识车辆撞击的起源以及关于撞击的数据的选择性交换
JP2012098105A (ja) 事故発生場所周辺の映像収集システム
CN104054033A (zh) 用于监视车辆环境的方法
JP2020098514A (ja) 記録制御装置、記録制御システム、記録制御方法、および記録制御プログラム
US10937319B2 (e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server, and mobile terminal
JP2018190199A (ja) 監視装置及び防犯システム
JP2013161238A (ja) ドライブレコーダ
CN106297407A (zh) 基于智能终端的行车安全提示方法及装置
KR101665345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차량 정보인지 시스템
CN114347950A (zh) 车辆异常处理方法、车载设备及电子设备
KR102319383B1 (ko) 블랙박스 영상을 이용하여 교통 법규 위반 차량을 자동으로 신고하는 장치 및 방법
JP6687869B1 (ja) 車両用記録制御装置、車両用記録装置、車両用記録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10147410A (ko)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2018190198A (ja) 監視装置及び防犯システム
CN109070748B (zh) 信息处理装置和显示数据决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