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288B1 -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288B1
KR101665288B1 KR1020160033761A KR20160033761A KR101665288B1 KR 101665288 B1 KR101665288 B1 KR 101665288B1 KR 1020160033761 A KR1020160033761 A KR 1020160033761A KR 20160033761 A KR20160033761 A KR 20160033761A KR 101665288 B1 KR101665288 B1 KR 101665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urface
weight
parts
heat
surfac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도
김영섭
김성민
Original Assignee
김정도
김영섭
김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도, 김영섭, 김성민 filed Critical 김정도
Priority to KR1020160033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2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08K3/0033
    • C08K3/0075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0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16Solid sphe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8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 E01C23/085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using power-driven tools, e.g. vibratory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18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applying prefabricated markings
    • E01C23/185Tape- or sheet-shape markers or 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8Elements representing tex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A) 100중량부; 점착성 수지(B) 50 내지 70 중량부; 무기충전재(C) 80 내지 150 중량부; 실리카 비드(E) 30 내지 50 중량부; 및 안료(F) 10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은 내마모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재귀반사율 및 내슬립성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은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다양한 디자인의 구현이 가능하며 심미성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을 이용한 시공방법은 시공시간을 최소화하며, 시공방법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THERMAL BONDING FILM FOR ROAD SURFACE MARKING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공시간이 단축되며 시공방법이 용이한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표면에는 차선, 우회전 금지, 유턴 금지, 속도제한, 일시정지 주차방법지시, 횡단지시 등의 다양한 노면표시들이 표시되어 있다.
노면표시는 도로교통의 안전과 원활한 소통을 도모하고 도로구조를 보존하기 위한 것으로, 독자적으로 또는 교통안전표지와 신호기를 보완하여 도로 이용자에게 규제 또는 지시의 내용을 전달한다.
노면표시는 규제표시와 지시표시로 분류된다. 규제표시는 도로의 교통안전, 소통 및 도로구조 보존과 관련한 각종 제한, 금지 등의 규제내용을 전달하는 표시로 정의되며, 지시표시는 도로의 교통안전, 소통 및 도로구조 보존과 관련한 도로의 통행방법, 통행구분 등의 지시내용을 전달하는 표시로 정의된다.
이와 같은 노면표시는 통상적으로 도로 표면상에 도료를 도포하여 인쇄한 후 경화시켜 시공하여 왔다.
노면표시용 도료는 크게 일반도료, 융착식 도료, 상온경화형 도료로 구별된다.
일반도료는 유기 용매나 물에 입자를 희석한 유기화합물로서, 단일 또는 복수성분으로 구성된다. 솔, 롤러, 스프레이 또는 적절한 기타 방법으로 시공하며, 용매나 물의 증발 또는 화학 반응에 의해서 밀착된 피막이 형성된다.
융착식 도료는 착색안료, 체질안료, 유리알, 충전용 재료 및 합성수지를 주원료로 한다. 시공시 가열 용해하여 사용하며, 덩어리나 과립형 또는 분말형태로 공급된다. 무용매 차선표시 재료로서, 냉각에 의해 밀착된 피막이 형성되는 제품이다.
상온경화형 도료는 단일 또는 복수성분형태로 공급되는 재료로서, 시스템유형에 따라 여러 성분들이 다양한 비율로 혼합될 수 있고, 적절한 도색장비로 시공된다. 오직 화학반응에 의해서만 표면에 밀착된 피막이 형성된다.
도료를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은 도로라는 외부환경에서 현장 시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균일한 두께로 도색이 되지 않아 재귀반사성 또는 심미성이 저하되고, 건조 시간 동안 교통 체증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시공방법은 내후성이 좋지 못하여 내구 연한 이내에 변색 또는 탈색이 이루어져 시인성이 저하되고, 내마모성과 기계적 강도가 약하여 재시공이 필요하게 될 수 있다. 특히, 변색 또는 탈색이 진행된 상태에서는 우천시 시인성이 더욱 저하되고, 재시공을 위한 도로통제는 막대한 국고손실과 도로 정체를 유발할 수 있다.
도로 차선 작업에는 대부분 휘발성 유성페인트가 사용되기 때문에 시공시 뿐만 아니라 도색 후의 차량 통행으로 인한 마모과정에서도 수질 또는 환경오염의 우려가 발생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내마모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재귀반사율 및 내슬립성이 우수한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다양한 디자인의 구현이 가능하며 심미성이 우수한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시공시간을 최소화하며, 시공방법이 용이한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을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A) 100중량부; 점착성 수지(B) 50 내지 70 중량부; 무기충전재(C) 80 내지 150 중량부; 실리카 비드(E) 30 내지 50 중량부; 및 안료(F) 10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A)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염화비닐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성 수지(B)는 C5계 수지 및 C9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제1 점착성 수지와 로진수지, 폴리부텐, 프로세스 오일 및 로진변성체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2 점착성 수지를 1 : 1 내지 1 : 1.5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충전재(C)는 탄산칼슘(CaCO3), 탄산마그네슘(MgCO3), 헌타이트(huntite), 및 하이드로마그네사이트(hydromagnesi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 비드(D)는 평균입경(D50)이 200 내지 800㎛이다.
상기 안료는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티탄(TiO2), 산화크롬(Cr2O3),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철(Fe2O3), 및 산화코발트(Co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은 평균입경(D50)이 1 내지 20㎛인 유기계 광확산제 1 내지 5중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기계 광확산제는 아크릴계 입자, 실록산계 입자, 멜라민계 입자, 폴리카보네이트계 입자 및 스티렌계 입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도로 표면을 세척하는 단계; 도로 표면을 가열하는 단계; 도로 표면에 템플레이트(template)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템플레이트를 스탬핑(stamping)하여 도로 표면에 음각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음각 패턴에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을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을 가열하여 열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로 표면의 가열 온도는 90 내지 250℃이고, 가열 시간은 10 내지 25분이며, 상기 열융착 온도는 150 내지 200℃이고, 열융착 시간은 10 내지 20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도로 표면을 세척하는 단계; 도로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을 가열하여 열융착시키는 단계; 상기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 위에 템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템플레이트를 스탬핑하여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상에 음각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템플레이트를 제거한 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도로 표면을 세척하는 단계; 도로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을 가열하여 열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은 내마모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재귀반사율 및 내슬립성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은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다양한 디자인의 구현이 가능하며 심미성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을 이용한 시공방법은 시공시간을 최소화하며, 시공방법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의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의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의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와 "하부"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으로서, 시 관점에 따라 "상부"가 "하부"로 "하부"가 "상부"로 변경될 수 있고,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조를 개재한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조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A), 점착성 수지(B), 탄산칼슘(C), 실리카 비드(D), 및 안료(E)를 포함한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A)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염화비닐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고무에 가장 가까운 엘라스토머로 알려져 있으며 탄성을 부여하는 연질상(soft segment)와 강성을 부여하는 경질상(hard segment)로 이루어진 2-phase 구조를 지니고 있다.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대표적 예시는 폴리(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폴리(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 폴리(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 폴리(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SEPS) 등이다.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경도 범위가 넓고, 내굴곡성 및 내마모성이 양호하며, 밀도가 낮고, 리사이클성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상기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엘라스토머 중 가장 가벼운 비중을 가지며,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EPDM)는 EPDM 고무의 연질상과 폴리프로필렌의 경질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질상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특유의 고무 탄성을 발현하고, 성형 가공 시에는 경질상이 용융/가소화하여 독특한 성형 가공성을 발현한 후 다시 경화함으로써 소성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상기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경도 범위가 넓고, 내후성이 우수하며, 경제적이고, 각종 폴리올레핀 소재와의 상용성이 높고, 리사이클성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에틸렌/스티렌 랜덤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스티렌 랜덤 공중합체의 물리적 성질은 해당 공중합체의 분자량이 충분히 클 때 스티렌 함량에 의해 강한 영향을 받는다. 즉, 스티렌 함량이 20 mol% 이하일 때는 에틸렌 사슬에 의해 결정성 구조를 가지게 되고, 80~120 수준의 내열성을 나타내게 되며 강한 기계적 물성을 가지게 된다. 반면에 스티렌 함량이 커지면, 결정성이 약화되고 아울러 내열성과 기계적 믈성이 감소된다. 에틸렌/스티렌 교대(alternating) 구조에서 입체 규칙성이 있을 때 결정성이 나타나지만 결정화도나 결정화 속도에 있어서는 때때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60 mol% 이상의 스티렌 함량을 지닌 공중합체의 경우, 아이소탁틱 스티렌 사슬들이 다수 포함되나 아이소탁틱 스티렌 사슬은 결정화 속도가 낮아 내열성 수지로서 적용하는 데 어려움이 생긴다. 반면에 낮은 스티렌 함량을 가진 공중합체는 -60 수준에서 내한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스티렌 함량이 늘어남에 따라 내한성은 약화되며 30 mol% 수준에서는 -10 수준이 되며 50 mol% 수준에서는 내한성이 상온수준이 된다. 스티렌 함량이 15~50 mol% 에서는 유연성과 응력 완화 성질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 TPE)와 염화비닐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polyvinyl chloride elastomer)가 얼로이(alloy)된 복합 수지일 수 있다.
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 TPU)는 일반적으로 분자구조 내에 우레탄기(-NHCOO-)를 가지고 있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 소프트세그먼트(무정형 또는 고무상영역)를 구성하는 폴리올과 하드세그먼트(결정상 영역)를 구성하는 글리콜 및 디이소시아네이트의 3성분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블록공중합체이며, 분자 내에 수소 결합 및 강한 전기음성도 때문에 극성이 매우 큰 폴리머이다. 이러한 고분자 내부의 강한 결합력 때문에 높은 탄성력을 가지며 내유성, 내용제성, 내마모성, 인열강도, 내한성이 우수하고 기존의 극성계 고분자인 폴리염화비닐과의 상용성도 우수하다. 폴리에테르(Poly Ether) 또는 폴리에스터(poly ester) 베이스의 TPU가 좋으나 PVC와 블렌딩시 내수성에 문제가 없고 우레탄기(-NHCOO-)자체의 우수한 특성 때문에 폴리에스터 베이스의 TPU가 경제성 측면에서 적합하다. 또한 경도의 경우 Shore A 경도 75~90이 바람직하다. 경도가 90이상을 상회할 경우 고분자의 결정상(Crystalline) 영역의 비율이 높아 PVC와 상용성이 떨어지고 두 수지간의 가공 온도 차이에 의해 가공시 계면 분리의 가능성이 높아지며, 경도가 75 미만으로 낮은 경우에는 내마모성, 인열강도가 낮아져서 불리하게 된다.
염화비닐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는 가격이 저렴하면서 압출가공성이 뛰어나고 고분자 내에 염소기(Cl)를 가지고 있어 난연성이 우수하다. 또한 일반적인 가소제와 흡착 상용성이 좋아 PVC와 가소제를 먼저 믹서에 투입하여 약 15~20분 가소화를 시키고 난 후 TPU를 투입할 경우 PVC에 흡착되어진 가소제가 PVC 메트릭스에서 TPU 메트릭스로 이행되는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어 복합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상기 점착성 수지(B)는 통상 분자량이 수백에서 수천인 무정형 올리고머로서 상온에서 액상 또는 고형인 열가소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성 수지는 C5계 수지 및 C9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제1 점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성 수지는 로진수지, 폴리부텐, 프로세스 오일 및 로진변성체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2 점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성 수지는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7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점착성 수지는 제1 점착성 수지와 제2 점착성 수지를 1 : 1 내지 1 : 1.5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중량비 범위에서 우수한 점착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무기충전제(C)로는 탄산칼슘(CaCO3), 탄산마그네슘(MgCO3), 헌타이트(huntite), 하이드로마그네사이트(hydromagnesite)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무기충전제는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80 내지 1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의 우수한 내구성과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 비드(D)는 광확산 효과와 더불어 내슬립성을 갖도록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실리카 비드는 평균입경(D50)이 200 내지 800㎛일 수 있다.
상기 실리카 비드는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의 내슬립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안료(E)는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에 색상을 부여하기 위하여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안료는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티탄(TiO2), 산화크롬(Cr2O3),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철(Fe2O3) 및 산화코발트(Co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산화티탄은 백색안료 중 가장 높은 굴절율을 가지고 정확한 입도와 분산성을 가지고 있어 은폐력, 착색력이 우수하고 화학적으로나 물리적으로 매우 안정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갈색안료를 제조하기 위해 산화알루미늄(Al2O3) 및 산화티탄(TiO2)을 사용하며, 이에 발색제로서 산화크롬(Cr2O3)을 혼합하여 소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회색안료를 제조하기 위해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탄, 안정화제 및 산화코발트를 혼합하여 소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티탄(TiO2)에 안정화제로서 산화마그네슘(MgO) 또는 산화철(Fe2O3)을 첨가하고 발색제로서 산화코발트(CoO)를 첨가한 후 이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 소성하여 회색안료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A)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5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은 광확산제(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확산제(F)는 유기계 광확산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계 광확산제는 아크릴계 입자, 실록산계 입자, 멜라민계 입자, 폴리카보네이트계 입자, 스티렌계 입자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계 광확산제는 평균입경(D50)이 1 내지 20㎛인 구상의 가교 미립자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확산제는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A)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의 기계적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우수한 광확산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은 필요에 따라 첨가제(G)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표면평활제, 가소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난연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표면평활제는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을 시공 후 차량의 오일이나 타이어 자국 등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폴리에틸렌 왁스를 사용할 있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A)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5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은 상기 성분들을 공지의 방법으로 혼합한 조성물을 롤-코팅 등의 방법으로 필름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된 필름을 가열하여 열융착 방식으로 도로 표면에 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의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의 시공방법은 도로 표면을 세척하는 단계(S10); 도로 표면을 가열하는 단계(S11); 도로 표면에 템플레이트(10)를 설치하는 단계(S12); 상기 템플레이트를 스탬핑하여 도로 표면에 음각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S13); 상기 음각 패턴에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11)을 정렬하는 단계(S14); 및 상기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을 열융착시키는 단계(S15)를 포함할 수 있다.
시공 대상인 도로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등일 수 있다.
도로 표면을 세척하는 단계(S10)는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의 접착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오염이 심한 경우에는 고압세척기를 이용하여 시공 대상 도로 표면을 세척을 하여도 무방하다.
도로 표면을 가열하는 단계(S11)는 노면의 습기를 제거함과 동시에 템플레이트를 이용한 음각 패턴을 용이하게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노면과 규격에 따른 적외선 히터 장비를 선택하여 아스팔트 도로를 균일하게 가열한다. 장비가 전,후,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일정하게 가열하는 동안 온도계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여 시공 대상 면적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외선 히터 장비의 가열 온도는 90 내지 250℃이며, 10 내지 25분 동안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템플레이트(10)는 플라스틱 소재 또는 스틸 소재일 수 있다. 콤팩타 장비를 통하여 스탬핑하거나, 롤러를 이용하여 가압함으로써 도로 표면에 템플레이트 형상에 상응하는 음각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음각 패턴의 깊이는 5 내지 15mm일 수 있다. 상기 음각 패턴을 형성하고 템플레이트를 제거한 후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11)을 정렬한다.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11)은 상기 템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된 음각 패턴에 정확히 들어 맞도록 템플레이트의 형상을 그대로 반영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렬된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은 적외선 히터 장비를 이용하여 150 내지 200℃의 온도로 10 내지 20분 동안 가열하여 열융착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의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의 시공방법은 도로 표면을 세척하는 단계(S20); 도로 표면에 프라이머(20)를 도포하는 단계(S21); 상기 프라이머(20)가 도포된 도로 표면에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21)을 배치하는 단계(S22); 상기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21)을 가열하여 열융착시키는 단계(S23); 상기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21) 위에 템플레이트(22)를 설치하는 단계(S24); 상기 템플레이트(22)를 스탬핑(stamping)하여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상에 음각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S25) 및 상기 템플레이트를 제거한 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의 시공방법은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을 먼저 열융착시킨 후 템플레이트를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의 열융착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의 배치 전 프라이머를 먼저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의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의 시공방법은 도로 표면을 세척하는 단계(S30); 도로 표면에 프라이머(30)를 도포하는 단계(S31); 상기 프라이머(30)가 도포된 도로 표면에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31)을 배치하는 단계(S32) 및 상기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31)을 가열하여 열융착시키는 단계(S33)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Haake internal mixer를 이용하여 180℃, 100rpm 조건에서 폴리(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0중량부, 점착성 수지로서 C5 수지(이스트만 PICCOTAC 1095) 40 중량부 및 로진 수지 30 중량부, 무기충전재로서 탄산칼슘(CaCO3) 100 중량부, 평균입경(D50)이 750㎛인 실리카 비드 30 중량부, 백색 안료로서 산화티탄(TiO2) 15 중량부 및 광확산제로서 평균입경(D50)이 15㎛인 아크릴 입자 3 중량부를 혼합하여 용융 혼련시킨 후, 상기 혼합물을 165℃의 캘린더 롤(Calender Roll)을 이용하여 두께 7 mm의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은 도 1의 템플레이트 형상으로 가공하였다.
아스팔트 도로 표면을 세척하고 하고 적외선 히터를 이용하여 상기 도로 표면을 115℃로 가열하였다. 상기 가열된 도로 표면상에 도 1과 같이 템플레이트를 배치한 후 스탬핑하여 깊이가 7mm인 음각 패턴을 형성하였다. 상기 형성된 음각 패턴 상에 상기 제조된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을 배치 정렬하였다. 상기 정렬된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은 적외선 히터 장비를 이용하여 190℃의 온도로 15분 동안 가열하여 열융착시켜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의 시공을 완료하였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9)

  1. 열가소성 엘라스토머(A) 100중량부;
    점착성 수지(B) 50 내지 70 중량부;
    무기충전재(C) 80 내지 150 중량부;
    실리카 비드(D) 30 내지 50 중량부;
    안료(E) 10 내지 15 중량부; 및
    유기계 광확산제(F)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성 수지(B)는 C5계 수지 및 C9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제1 점착성 수지와 로진수지, 폴리부텐, 프로세스 오일 및 로진변성체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2 점착성 수지를 1 : 1 내지 1 : 1.5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실리카 비드(D)는 평균입경(D50)이 200 내지 800㎛이며,
    상기 유기계 광확산제(F)는 평균입경(D50)이 1 내지 20㎛인 구상의 가교 미립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A)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염화비닐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충전제(C)는 탄산칼슘(CaCO3), 탄산마그네슘(MgCO3), 헌타이트(huntite) 및 하이드로마그네사이트(hydromagnesi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티탄(TiO2), 산화크롬(Cr2O3),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철(Fe2O3) 및 산화코발트(Co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계 광확산제는 아크릴계 입자, 실록산계 입자, 멜라민계 입자, 폴리카보네이트계 입자 및 스티렌계 입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
  6. 도로 표면을 세척하는 단계;
    도로 표면을 가열하는 단계;
    도로 표면에 템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템플레이트를 스탬핑(stamping)하여 도로 표면에 음각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음각 패턴에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을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을 가열하여 열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의 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표면의 가열 온도는 90 내지 250℃이고, 가열 시간은 10 내지 25분이며,
    상기 열융착 온도는 150 내지 200℃이고, 열융착 시간은 10 내지 2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의 시공방법.
  8. 도로 표면을 세척하는 단계;
    도로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을 가열하여 열융착시키는 단계;
    상기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 위에 템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템플레이트를 스탬핑(stamping)하여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상에 음각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템플레이트를 제거한 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의 시공방법.
  9. 삭제
KR1020160033761A 2016-03-22 2016-03-22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65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761A KR101665288B1 (ko) 2016-03-22 2016-03-22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761A KR101665288B1 (ko) 2016-03-22 2016-03-22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288B1 true KR101665288B1 (ko) 2016-10-12

Family

ID=57173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761A KR101665288B1 (ko) 2016-03-22 2016-03-22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28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483B1 (ko) 2019-12-20 2020-08-21 주식회사 아스팔트아트 고내구성, 고시인성 및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로 노면용 그래픽 필름
KR102213636B1 (ko) 2020-09-16 2021-02-09 에코리엔트샤인 (주) 우수한 시인성을 갖는 노면표시용 친환경 축광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
KR20210119259A (ko) 2020-03-24 2021-10-05 주식회사 그린팩토리 디자인 보드 시공방법
KR20220037001A (ko) 2020-09-16 2022-03-24 에코리엔트샤인 (주)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축광석재용 친환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바닥 시공방법
KR102387539B1 (ko) 2020-12-04 2022-04-19 주식회사 그린팩토리 디자인 보드 조성물
KR20220164109A (ko) 2021-06-03 2022-12-13 에코리엔트샤인 (주) 자체발광 마스터배치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사출성형된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30124133A (ko) 2022-02-17 2023-08-25 에코리엔트샤인 (주) 축광 탄성칩 조성물, 이를 함유하는 탄성바닥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4246A (ko) * 2005-02-24 2006-08-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축광 역반사시트를 이용한 차선표시용 테이프
KR100914853B1 (ko) * 2009-04-21 2009-09-04 홍종일 노면표지용 열 접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045007B1 (ko) * 2010-06-21 2011-06-30 한국쓰리엠 주식회사 노면 표시 선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4246A (ko) * 2005-02-24 2006-08-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축광 역반사시트를 이용한 차선표시용 테이프
KR100914853B1 (ko) * 2009-04-21 2009-09-04 홍종일 노면표지용 열 접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045007B1 (ko) * 2010-06-21 2011-06-30 한국쓰리엠 주식회사 노면 표시 선의 시공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483B1 (ko) 2019-12-20 2020-08-21 주식회사 아스팔트아트 고내구성, 고시인성 및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로 노면용 그래픽 필름
KR20210119259A (ko) 2020-03-24 2021-10-05 주식회사 그린팩토리 디자인 보드 시공방법
KR102213636B1 (ko) 2020-09-16 2021-02-09 에코리엔트샤인 (주) 우수한 시인성을 갖는 노면표시용 친환경 축광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
KR20220037001A (ko) 2020-09-16 2022-03-24 에코리엔트샤인 (주)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축광석재용 친환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바닥 시공방법
KR102387539B1 (ko) 2020-12-04 2022-04-19 주식회사 그린팩토리 디자인 보드 조성물
KR20220164109A (ko) 2021-06-03 2022-12-13 에코리엔트샤인 (주) 자체발광 마스터배치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사출성형된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30124133A (ko) 2022-02-17 2023-08-25 에코리엔트샤인 (주) 축광 탄성칩 조성물, 이를 함유하는 탄성바닥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5288B1 (ko) 노면표시용 열융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US10889947B2 (en) Thermoplastic pavement marking tapes
US11286368B2 (en) Durable retroreflective elements with a blend of beads
KR100978213B1 (ko) 노면표시용 열가소성 핫멜트 부착식 노면시트용 조성물, 노면시트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
CN107405860A (zh) 弹性地板产品以及其制造方法
KR101527913B1 (ko) 장기접착성ㆍ내열성ㆍ내한성ㆍ내마모성ㆍ내충격성을 갖는 융착식 도로노면 표시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US20030012599A1 (en) Markings on roads with a fixed road surface, such as asphalt, concrete or the like for motor vehicles
KR102177185B1 (ko) 내오염성, 내한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융착식 플라스틱 노면표지용 도료
CN105683312A (zh) 无底漆油漆组合物、其制造方法以及包含其的制品
KR101472358B1 (ko) 노면표지용 융착식 도료
KR101607560B1 (ko) 폴리우레아 수지 주제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노면표시선 시공방법
KR101488816B1 (ko) 미끄럼 방지 기능과 시인성이 향상된 노면표시선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선 시공방법
KR101613074B1 (ko) 유연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노면 표지용 도료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424743B1 (ko) 도로용 융착식 도료, 이를 이용한 도로 부착용 테이프 및 그의 제조방법
US20220170218A1 (en) Thermoplastic pavement marking tapes
JP6899379B2 (ja) イオン性コポリマーコアを含む耐久性のある再帰反射素子
KR102400257B1 (ko) 노면표지용 융착식 시트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지용 융착식 시트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CN100543073C (zh) 热塑性树脂膜
KR20210119259A (ko) 디자인 보드 시공방법
KR101923028B1 (ko) 용융형 도로 표시용 조성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636866B1 (ko) 고무계열 바인더 수지를 이용한 용융형 도로표지용 도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2701B1 (ko)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한 3d프린트 방식의 자착식 교통 표지 제조방법
KR102520772B1 (ko) 노면표지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및 시공장치
KR20040025056A (ko) 폐식용유를 이용한 골재 바인더용 고분자 조성물
KR20230115773A (ko) 표면개질된 코디어라이트를 포함하는 노면 표지용 융착식 도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