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901B1 - 현수장치용 안전벨트 - Google Patents

현수장치용 안전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901B1
KR101664901B1 KR1020140113363A KR20140113363A KR101664901B1 KR 101664901 B1 KR101664901 B1 KR 101664901B1 KR 1020140113363 A KR1020140113363 A KR 1020140113363A KR 20140113363 A KR20140113363 A KR 20140113363A KR 101664901 B1 KR101664901 B1 KR 101664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lcro tape
leg
velcro
seat belt
elastic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5899A (ko
Inventor
정부환
Original Assignee
정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부환 filed Critical 정부환
Priority to KR1020140113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901B1/ko
Publication of KR20160025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7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secured to the patient, e.g. with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수장치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독립 보행이 힘든 환자들의 보행운동을 도와주는 현수장치에 결합되는 안전벨트로서, 복잡한 부속품없이 쉽고 빠르게 착용이 가능하며, 우수한 고정 기능을 제공하며, 착용 후 통증이 전혀 없으며, 다양한 체형의 이용자가 이용 가능한 현수장치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잡한 부속품없이 간단하게 현수장치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쉽고 빠르게 착용이 가능하며, 착용 후 통증이 전혀 없는 현수장치용 안전벨트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현수장치용 안전벨트{Suspension Safety belt.}
본 발명은 현수장치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독립 보행이 힘든 환자들의 보행운동을 도와주는 현수장치에 결합되는 안전벨트로서, 복잡한 부속품없이 쉽고 빠르게 착용이 가능하며, 우수한 고정 기능을 제공하며, 착용 후 통증이 전혀 없으며, 다양한 체형의 이용자가 이용 가능한 현수장치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이다.
고령자나 재활환자에게 있어서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매일 정해진 시간동안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최근 고령화와 각종 사고나 질병으로 인하여 서거나 보행이 힘든 장애인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장애인들은 건강한 삶과 기능적 회복을 위하여 충분한 운동을 하여야 하며, 보행을 재활운동의 최종 목표로 삼고 있다.
스스로 일어서거나 보행이 힘든 장애인들은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천정이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현수장치의 도움을 받아서 장애인의 재활 및 보행운동을 실시하여야 하며, 현수장치는 안전사고예방과 충분한 재활운동을 위해서도 꼭 필요한 장치이다.
따라서, 최근 각종 사고나 질병으로 인하여 서거나 독립보행이 힘든 사람들의 보행 및 재활운동을 위해 현수장치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수장치는 이용자의 안전을 위한 것이므로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이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용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기 전에는 현수장치의 기능을 전혀 수행할 수가 없는 특징이 있다.
또한, 최근의 현수장치들은 고가의 모터나 각종 장치들을 추가하여 현수장치의 기능에만 중점을 두고 개발하고 있지만, 안전벨트의 중요성은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 안전벨트 착용상의 문제점인 복잡한 착용법과 착용 후 매달렸을 때 발생하는 통증으로 인하여 이용자가 사용을 기피하고, 고가의 현수장치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환자의 몸에 직접 착용하는 안전벨트는 보다 쉽고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착용 후 매달려도 통증이 없는 현수장치용 안전벨트 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각종 재활용 현수장치와 안전벨트들이 시판되고 있으나, 본 발명과 관련있는 안전벨트는 착용 후, 사타구니 및 겨드랑이에 통증이 발생하며, 착용에 많은 시간이 걸리며, 부속품이 많이 달려 있어서 착용이 복잡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허문헌인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0758751호(2007.09.14)인 고령자 및 재활환자용 안전재킷의 경우에는 사타구니 부위에 대한 지지를 수행할 수 없어 겨드랑이에 상당한 통증을 유발시키게 되며, 매달릴 경우 이용자의 체중으로 인하여 안전벨트가 상부로 빠질 수도 있다.
따라서, 현수장치에 사용하는 안전벨트는 허리와 복부를 두르는 허리벨트(몸체부)와 허리벨트(몸체부)의 하부에 매달리거나 넘어져도 허리벨트가 빠지지 않고 고정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허벅지나 사타구니를 감아서 고정하도록 하는 하지 고정수단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은 종래의 다양한 종류의 현수장치용 안전벨트에 대한 단점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첫째,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저귀처럼 감는 타입의 경우에는 남자의 경우에는 낭심에 상당한 통증을 유발시켜 사용이 불가하며, 착용감과 착용 후 모양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장점은 착용이 쉽고 빠른 부분이다.
둘째,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타구니 사이로 감싸는 끈 방식의 경우에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으로서 착용이 쉽고 빠른 편이지만, 비탄성 재질의 끈을 사타구니에 감아서 사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이 또한 사타구니 통증을 더욱 심하게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세째,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사타구니 사이로 감싸는 비탄성재질의 끈에 탄성재질의 천을 감는 끈 방식의 경우에는 상기 끈 방식의 통증을 줄이기 위한 방식으로서 실제 통증 감소 효과가 거의 없는 문제점과 두꺼워져서 보행에 불편함을 제공하게 된다.
네째, 도 1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벅지에 감는 방식의 경우에는 사타구니 사이로 감싸는 끈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사타구니 통증이 거의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착용이 불편하고 착용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과 허벅지를 감고 있어서 보행에 방해를 일으키며, 허리벨트와 허벅지 벨트가 분리되어 복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현수장치용 안전벨트는 몸체부에 지지벨트가 결합되어 이동할 수 없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뚱뚱한 체형의 이용자가 허리벨트를 착용할 경우에 몸체고리부가 옆구리 쪽으로 돌아가서 매달리게 되면 균형을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용자의 다양한 체형에 맞추어 사용할 수가 없어서 체형별로 다양한 크기의 안전벨트를 구비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현수장치용 안전벨트는 현수용 안전벨트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인 고정기능을 위하여 허리벨트(몸체부) 하부의 하지고정수단을 비탄성재질로만 사용하였다.
반면에 탄성재질만을 사용하는 현수용 안전벨트를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체중에 의해 허리벨트가 상부로 밀려 올라가서 겨드랑이에 통증을 유발하며, 고정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이유로 탄성재질을 사용할 수 가 없었다.
또한, 하지고정수단과 허리벨트(몸체부)의 결합 방식으로 벨크로를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벨크로는 탈착이 쉽고 빠른 장점이 있으나, 고정기능이 약하기 때문에 매달릴 경우에 체중에 의해 벨크로가 떨어져서 허리벨트가 상부로 밀려올라 갈수 있으며, 도 11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클립은 탈착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으나 쉽게 빠지지 않는 장점이 있어서 벨크로로 고정하지 않고 벨트클립으로 결합하도록 되어 있었다.
따라서, 보다 쉽고 빠르며 간편한 착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체형의 환자가 이용 가능하고, 복잡한 부속품이 없이 간단한 형태를 제공하면서 착용 후 통증이 전혀 없는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현수장치용 안전벨트를 제안하게 된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0758751호(2007.09.14)
본 발명의 현수장치용 안전벨트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복잡한 부속품없이 쉽고 빠르게 착용이 가능하며, 우수한 고정 기능을 제공하며, 착용 후 통증이 전혀 없는 현수장치용 안전벨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좌우 한쌍의 하지고정수단의 표면 혹은 내면에 하지고정수단의 폭과 같은 폭 혹은 하지고정수단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늘어나지 않는 섬유재질의 스토퍼섬유부를 결합시켜 일정 길이 이상 늘어나지 않게 하여 매달릴 경우에 하지고정수단이 계속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하지고정수단을 구성하여 피부와 접촉하는 부분은 하지고정수단에 의해 늘어나도록 하여 통증이 전혀 없는 현수장치용 안전벨트를 제공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허리벨트(몸체부)에 하지고정수단을 감아서 부착시키는 수단으로 이중으로 결합하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는 이중부착고정수단을 사용하여 쉬운 탈착이 가능하며, 고정력이 우수한 현수장치용 안전벨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5 목적은 몸체부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두 개 이상의 몸체고리부를 구비하여 다양한 체형의 이용자가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현수장치용 안전벨트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몸체부의 하단에 형성되며, 탄성 재질의 밴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일면에 부착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좌우 한 쌍의 하지고정수단(400);
상기 하지고정수단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지고정수단의 부착수단에 부착시켜 다리 부위를 감싸도록 하는 부착고정부(4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상반신 몸체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1 벨크로테이프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 영역에 상기 제1 벨크로테이프의 개수와 상응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가 상반신 몸체 영역을 감쌀 시에 상기 몸체부의 타측 영역의 제1 벨크로테이프에 부착시켜 상기 몸체부를 부착 고정하는 제1 벨크로테이프부착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며, 사용자의 사타구니 부위의 양 다리를각각 둘레방향으로 감쌈에 따라 일측에 형성된 제2 벨크로테이프부착부가 타측의 엉덩이 영역에 위치한 제2 벨크로테이프 또는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1 벨크로테이프에 부착 고정되는 한 쌍의 하지고정부, 상기 한 쌍의 하지고정부의 각각 일측에 연장 형성되며, 하지고정부가 사타구니 부위의 양 다리를 각각 둘레방향으로 감쌈에 따라 일측에 형성된 제3 벨크로테이프부착부가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 형성된 상기 제1 벨크로테이프 또는 상기 제2 벨크로테이프에 부착 고정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하지고정부와 함께 2중으로 부착 고정되는 이중부착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하지고정부 각각은 탄성재질의 하지고정부와 상기 탄성재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늘어나지 않는 비탄성재질의 하지고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재질의 하지고정부가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일정 길이 이상 늘어나지 않도록 상기 비탄성재질의 하지고정부가 상기 탄성재질의 하지고정부와 결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장치용 안전벨트를 제공한다.
또한, 일측 단부에 몸체고리결합부를 구비며, 상기 몸체부의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벨트, 상기 몸체부의 수평방향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몸체 체격에 따라 상기 몸체고리결합부의 체결 위치가 변경되도록 하는 몸체고리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잠금돌출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를 등 뒤쪽으로부터 가슴쪽으로 감쌀 시에 상기 잠금돌출부가 삽입 체결되는 잠금요홈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비탄성재질의 하지고정부의 길이 및 폭은 상기 탄성재질의 하지고정부의 길이 및 폭보다 같거나 작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벨크로테이프는 상기 몸체부의 수직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2단 이상으로 수평방향으로 형성 구비된다.
또한, 제1 벨크로테이프는 상기 몸체부의 수평방향으로 2단 이상 구비되는 수평방향 제1 벨크로테이프와 상기 몸체부의 수직방향으로 2단 이상으로 구비되는 수직방향 제1 벨크로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돌출부 및 상기 잠금요홈부는 수평방향 제1 벨크로테이프 사이 공간에 형성된다.
또한, 몸체부에서 일측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벨트와 상기 몸체부에서 타측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지고정부는 수직방향 동일 선상에 각각 연장 형성되며, 하지고정부는 사용자의 양쪽 다리 굵기에 따라 상기 하지고정부에 마련된 제2 벨크로테이프부착부가 상기 제1 벨크로테이프에 부착 고정된다.
본 발명에 의해, 복잡한 부속품없이 쉽고 빠르게 착용이 가능하며, 우수한 고정 기능을 제공하며, 착용 후 통증이 전혀 없으며, 다양한 체형의 이용자가 이용 가능한 현수장치용 안전벨트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좌우 한쌍의 하지고정수단의 표면 혹은 내면에 하지고정수단의 폭과 같은 폭 혹은 하지고정수단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늘어나지 않는 섬유재질의 스토퍼섬유부를 결합시켜 일정 길이 이상 늘어나지 않게 하여 매달릴 경우에 하지고정수단이 계속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허리벨트(몸체부)의 하부에 하지고정수단을 구성하여 피부와 접촉하는 부분은 하지고정수단에 의해 늘어나도록 하여 통증이 전혀 없는 현수장치용 안전벨트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허리벨트(혹은 몸체부)에 하지고정수단을 감아서 부착시키는 수단으로 이중으로 결합하는 벨크로를 사용하여 쉬운 탈착이 가능하며, 고정력이 우수한 현수장치용 안전벨트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허리벨트(혹은 몸체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한 개 이상의 몸체고리부를 구성하여 이용자의 체형에 따라 몸체고리결합부를 이동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체형의 이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현수장치용 안전벨트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현수장치용 안전벨트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10은 현수장치용 안전벨트의 정면 사진이며, 도 3은 배면 사진이며, 도 4는 현수장치에 장착된 사진이며, 도 5는 환자가 착용한 정면 사진이며, 도 6은 환자가 착용한 측면 사진이며, 도 7은 사타구니를 감싸는 정면 사진이며, 도 8은 현수장치에 결합된 정면 사진이며, 도 9는 하지고정수단의 표면 혹은 내면에 늘어나지 않는 섬유재질의 스토퍼섬유부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하지고정수단이 늘어나는 예를 든 촬영사진이며, 도 10은 정면 사진이다.
도 11a 내지 11e는 종래의 현수장치용 안전벨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지고정수단 촬영사진이며, 도 13은 이중부착고정수단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4는 이중부착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현수장치용 안전벨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현수장치용 안전벨트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10은 현수장치용 안전벨트의 정면 사진이며, 도 3은 배면 사진이며, 도 4는 현수장치에 장착된 사진이며, 도 5는 환자가 착용한 정면 사진이며, 도 6은 환자가 착용한 측면 사진이며, 도 7은 사타구니를 감싸는 정면 사진이며, 도 8은 현수장치에 결합된 정면 사진이며, 도 9는 하지고정수단의 표면 혹은 내면에 늘어나지 않는 섬유재질의 스토퍼섬유부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하지고정수단이 늘어나는 예를 든 촬영사진이며, 도 10은 정면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수장치용 안전벨트는 몸체부(100), 벨크로테이프(200), 벨크로테이프부착부(210), 몸체고리부(230), 잠금요홈부(250), 잠금돌출부(270), 지지벨트(300), 현수장치연결고리(310), 몸체고리결합부(330), 하지고정수단(400), 부착고정부(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0)는 사용자의 가슴, 배, 등 부위를 안전하게 감싸기 위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몸체부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종래의 다양한 형태의 몸체부(혹은 안전벨트)에 본 발명의 하지고정수단을 구성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한다할 수 있다.
현수장치용 안전벨트는 일반적으로 몸을 감싸는 몸체부와 하지를 고정하는 하지고정수단과 현수장치에 결합되는 지지벨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일반적인 안전벨트에 탄력성을 가지고 있는 하지고정수단을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며, 다시 강조하자면, 어떠한 형태의 종래의 안전벨트든 하지고정수단이 탄력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한다할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부의 수평 방향으로 적어도 한 개 이상 벨크로테이프(200)를 구성하고, 상기 벨크로테이프의 어느 일측에 벨크로테이프에 부착시켜 몸체를 감싸도록 하는 벨크로테이프부착부(210)를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예시에는 위, 아래로 2 개의 벨크로테이프와 벨크로테이프부착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벨크로 타입 이외에 다른 결속구 등을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고리 형상의 몸체고리부(230)를 적어도 한 개 이상 구성하여 지지벨트에 형성된 몸체고리결합부를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고리결합부(330)는 지지벨트의 끝단에 형성시키며, 몸체고리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팔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키게 되며, 이용자의 체형에 따라 몸체고리결합부와 몸체고리부의 결합 위치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몸체부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몸체고리부(230)를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수평 방향으로 잠금요홈부(250)를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하게 되는데, 잠금돌출부와 탈부착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예시에서는 한 개를 구성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비탄성 재질을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두 개 이상 구성할 경우에 두 개 이상이 비탄성 재질의 끝단에 결합되게 된다.
이때, 잠금돌출부(270)를 비탄성 재질의 다른 끝단에 구성하여 잠금요홈부에 형성된 홈에 결합시켜 몸체를 감싸는 몸체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팔이 삽입되어 어깨가 안착되도록 좌우 한 쌍의 지지벨트(300)를 몸체부의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게 된다.
또한, 지지벨트를 현수장치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지지벨트에 장착되는 고리 형상의 현수장치연결고리(310)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사타구니를 감싸기 위하여 몸체부의 하단에 좌우 한 쌍의 하지고정수단(400)을 형성하게 되는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재질의 밴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일면이 벨크로테이프로 형성되게 된다.
벨크로테이프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타구니를 감싼 후 하지고정수단의 일측에 형성된 부착고정부가 하지고정수단에 부착되어 다리 부위 특히, 사타구니 부분을 감싸게 되는 것이다.
즉, 부착고정부(410)를 하지고정수단의 일측에 형성하고 있어 하지고정수단에 부착되면 다리 부위를 감싸게 되는 것이다.
한편, 좌우 한쌍의 하지고정수단의 표면 혹은 내면에 늘어나지 않는 섬유재질의 스토퍼섬유부(430)를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를 통해 하지고정수단이 일정 거리 이상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탄성재질의 하지고정수단만을 구성하게 되면 사타구니의 탄성 부위가 몸무게에 의해(현수장치에 결합시) 늘어나서 몸체부가 겨드랑이 부위까지 올라가 겨드랑이에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지고정수단의 내면에 스토퍼섬유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다른 방식으로는 하지고정수단의 표면에 스토퍼섬유부를 구성하고, 다시 탄성재질의 하지고정수단을 비탄성재질인 스토퍼섬유부의 상면에 덮히도록 구성하게 되면 스토퍼섬유부가 보이지 않게 된다.
이는 몸체부의 몸체 고정 기능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환자가 매달릴 경우에 늘어나지 않는 섬유재질의 스토퍼섬유부가 늘어나지 않도록 막아주므로 몸체부가 겨드랑이까지 올라오지 않게 되고, 피부와 접촉하는 탄성재질이 늘어나서 통증이 생기지 않는다.
이때, 다른 실시예에 따라 늘어나지 않는 섬유재질의 스토퍼섬유부(430)를 하지고정수단에 결합시키게 된다.
요약하자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지고정수단(400)은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며, 탄성 재질의 밴드 형상을 가지고 있게 된다.
또한, 일면에 부착수단이 형성되어 있어서, 부착고정부를 어느 위치든 부착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부착수단은 벨크로 타입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부착고정부(410)는 하지고정수단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지고정수단의 부착수단에 부착시켜 다리 부위를 감싸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부착고정부(410)는 벨크로테이프 이외에 도 11e와 같이 클립으로 구성되어도 무관하다.
또한, 도 12와 같이, 좌우 한쌍의 하지고정수단의 표면 혹은 내면에 결합되어 있는 늘어나지 않는 섬유재질의 스토퍼섬유부(430)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스토퍼섬유부에 의해 탄성재질인 하지고정수단이 무한정 늘어나서 옆구리에 가해지는 통증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일정 길이 이상 늘어나지 않게 하여 매달릴 경우에 하지고정수단이 계속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섬유부(430)의 폭은 좌우 한쌍의 하지고정수단의 폭보다 같거나 작도록 구성하여 접촉되는 피부의 통증을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섬유부의 폭(d2)은 하지고정수단의 폭(d1)보다 작도록 구성하게 되면, 도면부호 'd3'의 폭이 양측으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d3'의 폭으로 인하여 도 9와 같이, 탄성재질인 하지고정수단이 늘어날 수 있게 되어 이와 접촉되는 피부 부위에 통증이 전혀 없게 된다.
요약하자면, 스토퍼섬유부의 폭이 하지고정수단의 폭보다 크면 통증 완화 기능을 없어지게 되므로 스토퍼섬유부의 폭을 하지고정수단의 폭보다 크게 구성하면 안될 것이다.
한편,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지고정수단(400)의 끝단에 탄성 재질로 구성되는 이중부착고정수단(420)을 설치 구성하여 하지고정수단이 하측으로 늘어나면서 부착고정부(410)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만약, 부착고정부 1개만 사용한다면, 비탄성재질인 스토퍼섬유부가 하지고정수단의 전체 길이가 늘어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부착고정부(410)에 힘이 가중되어 환자가 매달릴 경우에 상기 부착고정부는 하지고정수단으로부터 분리될 수 밖에 없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재질의 이중부착고정수단(420)을 구성하게 되는데, 끝단에는 부착고정부와 같이 벨크로테이프가 구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중 구조를 도입하게 되면 쉬운 탈착이 가능하며, 고정력이 우수한 현수장치용 안전벨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이중부착고정수단이 늘어나면서 부착고정부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부착고정수단을 하지고정수단의 끝단에 결합시키되, 중앙이 갈라지도록 형성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결국,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에 의하면, 복잡한 부속품없이 쉽고 빠르게 착용이 가능하며, 우수한 고정 기능을 제공하며, 착용 후 통증이 전혀 없는 현수장치용 안전벨트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몸체부
200 : 벨크로테이프
210 : 벨크로테이프부착부
230 : 몸체고리부
250 : 잠금요홈부
270 : 잠금돌출부
300 : 지지벨트
310 : 현수장치연결고리
330 : 몸체고리결합부
400 : 하지고정수단
410 : 부착고정부

Claims (7)

  1. 사용자의 상반신 몸체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1 벨크로테이프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 영역에 상기 제1 벨크로테이프의 개수와 상응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가 상반신 몸체 영역을 감쌀 시에 상기 몸체부의 타측 영역의 제1 벨크로테이프에 부착시켜 상기 몸체부를 부착 고정하는 제1 벨크로테이프부착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며, 사용자의 사타구니 부위의 양 다리를각각 둘레방향으로 감쌈에 따라 일측에 형성된 제2 벨크로테이프부착부가 타측의 엉덩이 영역에 위치한 제2 벨크로테이프 또는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1 벨크로테이프에 부착 고정되는 한 쌍의 하지고정부,
    상기 한 쌍의 하지고정부의 각각 일측에 연장 형성되며, 하지고정부가 사타구니 부위의 양 다리를 각각 둘레방향으로 감쌈에 따라 일측에 형성된 제3 벨크로테이프부착부가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 형성된 상기 제1 벨크로테이프 또는 상기 제2 벨크로테이프에 부착 고정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하지고정부와 함께 2중으로 부착 고정되는 이중부착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하지고정부 각각은,
    탄성재질의 하지고정부와 상기 탄성재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늘어나지 않는 비탄성재질의 하지고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재질의 하지고정부가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일정 길이 이상 늘어나지 않도록 상기 비탄성재질의 하지고정부가 상기 탄성재질의 하지고정부와 결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장치용 안전벨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 단부에 몸체고리결합부를 구비며, 상기 몸체부의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벨트,
    상기 몸체부의 수평방향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몸체 체격에 따라 상기 몸체고리결합부의 체결 위치가 변경되도록 하는 몸체고리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잠금돌출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를 등 뒤쪽으로부터 가슴쪽으로 감쌀 시에 상기 잠금돌출부가 삽입 체결되는 잠금요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장치용 안전벨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탄성재질의 하지고정부의 길이 및 폭은,
    상기 탄성재질의 하지고정부의 길이 및 폭보다 같거나 작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장치용 안전벨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벨크로테이프는,
    상기 몸체부의 수직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2단 이상으로 수평방향으로 형성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장치용 안전벨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벨크로테이프는,
    상기 몸체부의 수평방향으로 2단 이상 구비되는 수평방향 제1 벨크로테이프와
    상기 몸체부의 수직방향으로 2단 이상으로 구비되는 수직방향 제1 벨크로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돌출부 및 상기 잠금요홈부는 수평방향 제1 벨크로테이프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장치용 안전벨트.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서 일측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벨트와 상기 몸체부에서 타측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지고정부는 수직방향 동일 선상에 각각 연장 형성되며,
    하지고정부는,
    사용자의 양쪽 다리 굵기에 따라 상기 하지고정부에 마련된 제2 벨크로테이프부착부가 상기 제1 벨크로테이프에 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장치용 안전벨트.
  7. 삭제
KR1020140113363A 2014-08-28 2014-08-28 현수장치용 안전벨트 KR101664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363A KR101664901B1 (ko) 2014-08-28 2014-08-28 현수장치용 안전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363A KR101664901B1 (ko) 2014-08-28 2014-08-28 현수장치용 안전벨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6025A Division KR20160026815A (ko) 2015-12-10 2015-12-10 현수장치용 안전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899A KR20160025899A (ko) 2016-03-09
KR101664901B1 true KR101664901B1 (ko) 2016-10-11

Family

ID=55536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363A KR101664901B1 (ko) 2014-08-28 2014-08-28 현수장치용 안전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9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4414A (ko) 2020-02-17 2021-08-25 정부환 충격완화 보행 훈련 보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0751A1 (en) 2016-03-13 2017-09-21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Flexible members for anchoring to the body
KR102020658B1 (ko) 2018-01-19 2019-09-10 정부환 보행 훈련 장치
KR102031496B1 (ko) * 2018-07-30 2019-10-11 김태민 척추 교정 치료용 수직 견인장치
EP4180094A1 (en) * 2021-11-16 2023-05-17 Alex Auraei Exercise machine for hanging exercis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5246A (ja) 2006-01-11 2007-07-26 Care-Medics Co Ltd 吊り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0191A (en) * 1990-10-30 1992-01-14 Sanchez George S Sports harness
JPH0535137U (ja) * 1991-10-16 1993-05-14 株式会社コイケ 歩行リハビリ吊具
US5814001A (en) * 1997-07-25 1998-09-29 Orthomerica Products, Inc. Orthopedic hip and leg abductor
US20100000546A1 (en) 2006-07-12 2010-01-07 Hong Jae Park Safe jacket for senior and patient who need remedial exercise and exerci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5246A (ja) 2006-01-11 2007-07-26 Care-Medics Co Ltd 吊り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4414A (ko) 2020-02-17 2021-08-25 정부환 충격완화 보행 훈련 보조 장치
KR102295896B1 (ko) 2020-02-17 2021-08-30 정부환 충격완화 보행 훈련 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899A (ko)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4901B1 (ko) 현수장치용 안전벨트
US9272178B2 (en) Resistance training device
ES2726939T3 (es) Conjunto de bandas de pernera y arnés de seguridad que lo incluye
JP5444575B1 (ja) 人体吊上げ用ハーネス
CN111110481B (zh) 用于移乘器的安全绑带、身体防护结构以及移乘器
JP2007185246A (ja) 吊り具
JP2004073445A (ja) 吊下げ用歩行補助具
US20120330203A1 (en) Orthopedic Knee Brace Supplemental Support
JP2017179663A (ja) 骨盤補強ベルト
KR101176168B1 (ko) 환자용 리프팅 시스템
KR20160026815A (ko) 현수장치용 안전벨트
KR101927638B1 (ko) 밴드를 이용한 힙업기구
KR20210002830A (ko) 차량형 심폐소생술 보조장치
KR101186778B1 (ko) 보행보조용 안전재킷
KR20160057099A (ko) 현수장치용 안전재킷
CN111202660A (zh) 助行防护装置
KR101931211B1 (ko) 무릎 보호대 및 무릎 보호대를 갖는 하의
KR20210034775A (ko) 웨어러블 근골격계 보호대
KR200461609Y1 (ko) 아기띠용 발받침화 및 이를 구비한 아기띠
KR100731961B1 (ko) 다리깁스 고정기
KR200310711Y1 (ko) 운동벨트
JP6974118B2 (ja) 装着具
JP2013099498A (ja) 腰痛防止具
KR101530283B1 (ko) 어깨 걸이식 아기띠
JP3205743U (ja) 結束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