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856B1 -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856B1
KR101664856B1 KR1020150185834A KR20150185834A KR101664856B1 KR 101664856 B1 KR101664856 B1 KR 101664856B1 KR 1020150185834 A KR1020150185834 A KR 1020150185834A KR 20150185834 A KR20150185834 A KR 20150185834A KR 101664856 B1 KR101664856 B1 KR 101664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
small
unit
tilt
slid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남선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185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8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856B1/ko
Priority to US16/060,028 priority patent/US10625832B2/en
Priority to PCT/KR2016/014972 priority patent/WO201711144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by transfer of solid ball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63B15/0083Masts for sailing ships or b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2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4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gyroscopes direct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63B2015/0016Masts characterized by mast configuration or construction
    • B63B2015/005Masts characterized by mast configuration or construction with means for varying mast position or orientation with respect to the hull
    • B63B2015/0058Masts characterized by mast configuration or construction with means for varying mast position or orientation with respect to the hull comprising active mast inclin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63B2015/0016Masts characterized by mast configuration or construction
    • B63B2015/005Masts characterized by mast configuration or construction with means for varying mast position or orientation with respect to the hull
    • B63B2015/0075Masts characterized by mast configuration or construction with means for varying mast position or orientation with respect to the hull with mast foot adapted for being moved, e.g. athwartsh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6Unmanned surface vessels, e.g. remotely contro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2043/04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outboard booms supporting ballast, other than solid ballast or persons, e.g. carrying water-filled bags
    • B63B273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소형선의 수평을 보정하는 장치로서, 소형선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감지유닛, 적어도 일부가 상기 소형선의 갑판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1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1슬라이딩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방향과 수직방향인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2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부에는 별도의 마스트가 안착되어 일정높이 이상에서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위치조절유닛 및 상기 제2슬라이딩부와 상기 마스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마스트의 상하위치를 조절하는 상하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울기감지유닛에서 감지된 상기 기울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위치조절유닛을 통해 상기 마스트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소형선의 무게중심을 보정하는 수평제어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마스트는 상기 소형선이 기울기와 관계없이 평형상태를 유지 할 수 있는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Level Control Device Of Small Ships With A Variable Mast}
본 발명은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간으로 소형선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소형선의 수평을 보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선은 경량이나, 20노트 이상 고속으로 기동하는 활주선형으로서, 활주시 트림(Trim) 및 파랑 등 기울기에 따라 속도 및 조종성능, 내항성능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고속 활주상태에서 트림 및 파랑에 따른 횡동요 및 종동요 기울기를 제어하기 위한 부가장비들이 필요하다.
또한, 기존에는 선미에 트림탭이나 인터셉터 등을 이용하여 트림 및 기울기변화를 제어하였으나, 이로 인하여 저항이 증가함으로써 추력성능을 떨어뜨리고, 조종성을 낮추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응답성이 떨어져, 급격히 변화하는 해상상태에서 동적 거동 제어가 힘든 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소형선에 기울기감지유닛이 구비되어 소형선의 기울기를 감지하고, 수평제어유닛에 입력한 목표값과 기울기감지유닛에서 측정된 계측값을 비교하여, 발생되는 오차값을 줄이기 위해 위치조절유닛을 제어하여 기울기 값을 보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위치조절유닛은 소형선의 길이방향과 폭방향 및 높이에 따른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구동모터가 구비되어 정밀하게 오차값을 보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소형선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소형선에서 발생하는 전복사고나 안전사고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소형선의 운용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는, 소형선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감지유닛, 적어도 일부가 상기 소형선의 갑판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1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1슬라이딩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방향과 수직방향인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2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부에는 별도의 마스트가 안착되어 일정높이 이상에서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위치조절유닛 및 상기 제2슬라이딩부와 상기 마스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마스트의 상하위치를 조절하는 상하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울기감지유닛에서 감지된 상기 기울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위치조절유닛을 통해 상기 마스트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소형선의 무게중심을 보정하는 수평제어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마스트는 상기 소형선이 기울기와 관계없이 평형상태를 유지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제어유닛은 상기 소형선의 기울기에 대해 기 설정된 목표값과 상기 기울기감지유닛에서 측정된 계측값을 비교하고, 발생되는 오차값에 대응하여 상기 마스트를 이동시킴으로 소형선의 무게중심을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울기감지유닛은 상기 소형선의 일측에 구비되고, 소형선의 횡경사 및 종경사를 실시간으로 계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유닛은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1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1슬라이딩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방향과 수직방향인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2슬라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조절유닛은 상기 제2슬라이딩부와 상기 마스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마스트의 상하위치를 조절하는 상하지지부(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지지부(M)는 복수 개의 단위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다관절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조절유닛은 별도의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상기 제1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2슬라이딩부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는 수평제어유닛이 구비되어 측정된 계측값과 기 설정된 목표값을 비교하여 위치조절유닛을 통해 대상물의 위치를 조절함으로 오차값을 실시간으로 보정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는 소형선의 기울기에 대응하기 위해 위치조절유닛이 소형선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될 뿐만 아니라 다관절구조의 상하지지부(M)를 더 포함하여 트림과 파랑 등으로 변화에 대응하여 소형선의 기울기를 대처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는 위치조절유닛이 모터에 의해 조절되어 수평제어유닛에 의해 오차값을 정밀하게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에서 위치조절유닛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에서 소형선의 종경사에 따른 위치조절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에서 소형선의 종경사에 따른 오차값에 대응하여 위치조절유닛이 조절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에서 소형선의 횡경사에 따른 위치조절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에서 소형선의 횡경사에 따른 오차값에 대응하여 위치조절유닛이 조절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에서 위치조절유닛의 상하지지부(M)가 길이방향으로 늘어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에서 일련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고속으로 주행하는 소형선(V)이 전복되는 속도 및 조종성능, 내항성능 등의 요인을 제거하여 소형선(V)의 운용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발명으로, 아래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는 크게 기울기감지유닛, 위치조절유닛(100), 수평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기울기감지유닛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소형선(V)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형선(V)의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형선(V)이 해상에서 고속으로 주행한다는 점과 운행 중에 발생되는 파랑 등의 영향으로 상기 소형선(V)의 요잉(Yawing) 또는 피칭(Pitching) 현상에 따른 상기 소형선(V)의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울기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기울기감지유닛은 자이로센서(Gyrosensor)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형선(V)에서 x축, y축, z축인 3축방향을 따라 무게중심이 편향되는 경우를 계측하여 상기 소형선(V)의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위치조절유닛(10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소형선(V)의 갑판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부에는 별도의 마스트(E)가 안착되어 일정높이 이상에서 위치하도록 지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선의 상부에 상기 위치조절유닛(10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위치조절유닛(100)은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1슬라이딩부(120) 및 상기 제1슬라이딩부(1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방향과 수직방향인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2슬라이딩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소형선(V)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소형선(V)의 폭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유닛(100)은 상기 제1슬라이딩부(120)와 상기 제2슬라이딩부(140)가 상기 소형선(V)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슬라이딩부(140)의 상부에는 상기 마스트(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스트(E)는 상기 제2슬라이딩부(140)의 상부에서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들이 설치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소형선(V)의 경우 무게가 전체에서 상당부분을 차지하므로 상기 위치조절유닛(100)에 의해 위치가 조절되는 것 만으로도 소형선(V)의 무게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소형선(V)은 고속무인선 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마스트(E)는 상기 소형선(V)을 제어하는 레이더, 열화상카메라 및 각종 안테나 등의 중량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당업자에 따라 상기 소형선(V)에 필요한 다양한 객체들이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스트(E)는 'T'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형선(V)이 기울어지는 기울기에 상관없이 평형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슬라이딩부와 힌지로 결합되거나 유니버셜조인트(Universal Jont) 형태로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유닛(100)은 위치 이동을 위해 이동되도록 별도의 레일부(R)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조절유닛(100)은 상기 복수 개가 적층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기울기에 대응하여 이동되도록 레일부(R)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R)는 상기 소형선(V)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로 형성되는 제1레일(R1)와 상기 제1레일(R1)과 수직방향으로 제2레일(R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일부(R)는 상기 위치조절유닛(100)이 기울기에 대응하여 이동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좀 더 자세한 내용은 도 2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 수평제어유닛은 상기 기울기감지유닛에서 감지된 상기 기울기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조절유닛(100)을 통해 상기 마스트(E)의 위치를 조절하며, 상기 소형선(V)의 무게중심을 보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제어유닛은 상기 소형선(V)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울기감지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소형선(V)의 기울기를 보정하고자 상기 위치조절유닛(100)을 기울기에 대응하여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평제어유닛은 상기 소형선(V)의 기울기에 대해 기 설정된 목표값과 상기 기울기감지유닛에서 측정된 계측값을 비교하고, 발생되는 상기 오차값에 대응하여 상기 마스트(E)를 위치 이동 시킴으로 소형선의 무게중심을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목표값은 상기 기울기감지유닛에서 측정된 상기 계측값을 보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값으로, 상기 소형선(V)이 해수면에서 평행한 상태를 가질 때의 기울기를 '0'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상기 소형선(V)이 전복되는 한계치인 임계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목표값과 상기 계측값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위치조절유닛(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제어유닛은 상기 기울기감지유닛에서 실시간으로 감지된 상기 소형선(V)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목표값과 상기 계측값을 비교하여 상기 소형선(V)이 기울어지는 기울기를 해수면과 평행하게 보정할 수 있다.
다음 도 2를 통해 상기 수평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위치조절유닛(100)이 제어되기 위한 움직임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에서 위치조절유닛(100)을 나타낸 평면도 이다.
상기 위치조절유닛(100)은 상기 소형선(V)의 상부에서 상기 소형선(V)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보정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방향은 상기 도면에 도시된 좌표와 같이 상기 소형선(V)의 폭 방향을 나타내며,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소형선(V)의 길이방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레일부(R)는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부(R)는 상기 소형선(V)의 상부에서 복수 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부(R)의 상부에는 상기 제1슬라이딩부(120)와 상기 제2슬라이딩부(140)가 제1레일(R1)와 상기 제2레일(R2)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레일(R1)은 상기 제1슬라이딩부(120)가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레일(R2)은 상기 제2슬라이딩부(140)가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슬라이딩부(120)는 도시된 좌표상 x축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슬라이딩부(140)는 y축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위치조절유닛(100)은 상기 소형선(V)상에서 상기 x축과 상기 y축에 대응하여 위치이동이 가능하며 따라서 상기 수평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소형선(V)의 기울어지는 기울기에 대응하여 상기 계측값이 상기 목표값으로 보정되도록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레일부(R)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뿐 상기 위치조절유닛(100)이 소형선의 길이방향 및 폭 방향으로 상기 수평제어유닛이 상기 위치조절유닛(100)을 제어할 수 있을 만큼의 위치이동이 가능하다면 레일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상기 수평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위치조절유닛(100)이 위치이동 되는 모습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에서 소형선의 종경사에 따른 위치조절유닛(100)이 조절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에서 소형선의 상기 종경사에 따른 상기 오차값에 대응하여 위치조절유닛(100)이 조절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에서 소형선의 횡경사에 따른 위치조절유닛(100)이 조절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에서 소형선의 상기 횡경사에 따른 오차값에 대응하여 위치조절유닛(100)이 조절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소형선(V)은 해상에서 활주하면서 파랑에 의해 기울어지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좌표에서 상기 소형선(V)의 길이방향은 상기 x축으로 나타내었으며, 상기 소형선(V)의 폭 방향을 상기 y축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소형선(V)이 상기 x축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상기 횡경사, 상기 y축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상기 종경사로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소형선(V)의 상기 x축방향 기울기를 상기 횡경사, 상기 y축방향의 기울기는 상기 종경사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울기감지유닛은 상기 소형선(V)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소형선(V)의 상기 횡경사 및 상기 종경사를 실시간으로 계측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제어유닛에 의해 보정되도록 위치이동 된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소형선(V)이 상기 종경사 기울어지면 상기 기울기감지유닛이 상기 소형선(V)의 상기 종경사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제어유닛은 상기 기울기감지유닛에서 감지된 상기 종경사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위치조절유닛(100)을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종경사를 보정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형선(V)이 파랑 등의 발생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기울기감지유닛이 상기 종경사의 각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며 상기 수평제어유닛이 상기 위치조절유닛(100)을 상기 종경사의 각도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울기감지유닛은 상기 자이로센서로 형성된다고 언급하였지만, 상기 자이로센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뿐 상기 소형선(V)이 해수면과 평행한 상태에서 발생되는 상기 종경사 및 상기 횡경사의 각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면 상기 자이로센서로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됨은 물론이다.
계속해서 도 5 및 도 6에서는 상기 소형선(V)의 상기 횡경사에 상기 기울기감지유닛이 반응하여 상기 수평제어유닛이 상기 횡경사를 보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형선(V)의 상기 종경사의 각도를 상기 기울기감지유닛이 감지하고 상기 수평제어유닛이 상기 기울기감지유닛에서 감지된 상기 종경사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조절유닛(100)을 위치이동 시켜서 보정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보면, 상기 소형선(V)이 좌측 상기 종경사를 가지면서 상기 기울기감지유닛이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상기 수평제어유닛이 상기 위치조절유닛(100)을 이에 반대방향인 우측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종경사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형선(V)의 좌측 또는 우측 상기 종경사 또는 상기 횡경사를 상기 기울기감지유닛이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상기 위치조절유닛(100)을 위치이동 시켜서 보정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형선(V)의 기울기는 상기 종경사 상기 횡경사를 표기하였지만 상기 x축 상기 y축 뿐만 아니라 xy축을 포함한 소형선의 둘레에 따른 모든 각도의 기울기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형선(V)의 무게뿐만 아니라 파랑 등의 예측하기 어려운 외부힘이 더해지는 상황에서는 상기 위치조절유닛(100)의 상기 x축 및 상기 y축의 이동만으로 보정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을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마스트(E)의 하중만 늘리는 것은 소형선의 전체적인 하중을 증가시키게 되어 고속 운항 및 연료 손실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형선(V)의 갑판에서 수직방향인 z축 방향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x축, 상기 y축 및 상기 z축을 포함하는 3축을 이용하여 모멘트 힘을 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에서 위치조절유닛(100)의 상하지지부(M)가 길이방향으로 늘어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위치조절유닛(100)은 상기 제2슬라이딩부(140)와 상기 마스트(E)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마스트(E)의 상하위치를 조절하는 상기 상하지지부(M)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하지지부(M)는 복수 개의 단위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절접가능하게 연결되는 다관절구조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마스트(E)가 안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지지부(M)는 상기 제2슬라이딩부(140)의 상면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관절부 또한 회전 가능한 유니버셜 조인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지지부(M)는 상하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소형선(V)의 상기 x축 및 상기 y축을 포함하여 다각도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제어장치는 전술한바와 같이 상기 소형선(V)에서 상당무게를 차지하는 마스트(E)를 이용하여 상기 소형선(V)의 기울기를 보정하여 상기 소형선의 무게중심을 조절하는 장치로, 다관절구조를 이용하여 기울기에 대응하여 위치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마스트(E)는 상기 상하지지부(M)와 힌지로 결합되거나 유니버셜조인트의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소형선(V)이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마스트(E)는 평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지지부(M)는 상기 수평제어유닛에 의해 제어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상하지지부(M)는 상기 소형선(V)의 상기 횡경사 및 상기 종경사에 대응하여 상기 x축, 상기 y축 및 상기 z축으로 상기 마스트(E)을 이동시켜서 기울기를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형선(V)이 좌측 상기 종경사의 기울기로 기울어지면 상기 기울기감지유닛이 이를 감지하여 상기 계측값을 측정하고 상기 수평제어유닛은 상기 목표값과 상기 계측값에서 발생되는 상기 오차값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조절유닛(100)을 위치이동 시킨다.
이 때 상기 위치조절유닛(100)은 이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이 되는데 상기 마스트(E)가 상기 소형선(V)의 무게중심과 인접하게 형성되어서 상기 오차값을 보정하는데 한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스트(E)를 상기 소형선(V)으로부터 상부로 길게 이격시키고 이격된 높이로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마스트(E)이 상기 소형선(V)으로부터 이격된 높이만큼의 상기 종경사 모멘트를 제공하여 상기 종경사에 대응하여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유닛(100)은 별도의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상기 제1슬라이딩부(120)와 상기 제2슬라이딩부(140) 및 상기 상하지지부(M)의 위치이동을 실시간으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상하지지부(M)의 다관절형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일 뿐, 상부로 길이가 연장되고 상기 x축 및 상기 y축으로 기울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면 텔레스코픽(Telescopic)구조가 상기 소형선(V)상에 힌지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에서 일련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이다.
상기 소형선(V)이 구동되는 전후로 상기 수평제어유닛에 상기 목표값을 설정한다(S01).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목표값은 상기 소형선(V)이 기울기를 갖지 않거나 전복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울기감지유닛이 동작하여 상기 소형선(V)의 상기 종경사 및 상기 횡경사를 포함하여 기울기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S02).
감지된 기울기는 상기 수평제어유닛에 의해 실시간으로 계측되어 상기 계측값과 기 설정된 상기 목표값과 비교하여 상기 오차값을 도출한다(S03).
그리고 상기 수평제어유닛은 상기 오차값이 상기 목표값에 도달하도록 상기 위치조절유닛(100)을 실시간으로 이동시킨다(S04).
여기서 상기 오차값이 상기 목표값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한다(S05).
상기 오차값이 상기 목표값에 도달하였다면 상기 위치조절유닛(100)은 정지하게 되고(S06), 상기 오차값이 상기 목표값에 도달하지 못했다면 상기 수평제어유닛은 상기 오차값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조절유닛(100)을 위치이동 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위치조절유닛 120: 제1슬라이딩부
140: 제2슬라이딩부 V: 소형선
E: 마스트 R: 레일부
R1: 제1레일부 R2: 제2레일부

Claims (7)

  1. 소형선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감지유닛;
    적어도 일부가 상기 소형선의 갑판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1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1슬라이딩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방향과 수직방향인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2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부에는 별도의 마스트가 안착되어 일정높이 이상에서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위치조절유닛; 및
    상기 제2슬라이딩부와 상기 마스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마스트의 상하위치를 조절하는 상하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울기감지유닛에서 감지된 상기 기울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위치조절유닛을 통해 상기 마스트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소형선의 무게중심을 보정하는 수평제어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마스트는 상기 소형선이 기울기와 관계없이 평형상태를 유지하는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제어유닛은,
    상기 소형선의 기울기에 대해 기 설정된 목표값과 상기 기울기감지유닛에서 측정된 계측값을 비교하고, 발생되는 오차값에 대응하여 상기 마스트를 이동시킴으로 소형선의 무게중심을 보정하는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감지유닛은,
    상기 소형선의 일측에 구비되고, 소형선의 횡경사 및 종경사를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지지부는,
    복수 개의 단위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다관절구조로 형성되는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유닛은,
    별도의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상기 제1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2슬라이딩부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하는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
KR1020150185834A 2015-12-24 2015-12-24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 KR101664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834A KR101664856B1 (ko) 2015-12-24 2015-12-24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
US16/060,028 US10625832B2 (en) 2015-12-24 2016-12-21 Device for controlling horizontality of small ship by using variable mast
PCT/KR2016/014972 WO2017111446A1 (ko) 2015-12-24 2016-12-21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834A KR101664856B1 (ko) 2015-12-24 2015-12-24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4856B1 true KR101664856B1 (ko) 2016-10-11

Family

ID=57161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834A KR101664856B1 (ko) 2015-12-24 2015-12-24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25832B2 (ko)
KR (1) KR101664856B1 (ko)
WO (1) WO201711144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26418A (zh) * 2019-10-22 2020-03-27 广州文冲船厂有限责任公司 一种艉管轴承斜度实际测量方法、装置、介质及终端设备
KR102123994B1 (ko) * 2020-04-20 2020-06-17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센서장비용 정렬장치를 포함하는 차세대 함정용 마스트
KR102351484B1 (ko) 2021-10-13 2022-01-1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선박용 해양수거장비의 평형유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31113B4 (de) 2018-12-06 2022-07-28 ConVi GmbH Wasserfahrzeug
CN111232147A (zh) * 2020-03-02 2020-06-05 中国舰船研究设计中心 船用高置减摇水舱
USD940045S1 (en) * 2020-03-09 2022-01-04 Naval Group Ship mast
CN117818830B (zh) * 2024-03-04 2024-05-14 珠海俊捷船艇科技有限公司 船舶压载系统及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56242A1 (en) * 2007-01-03 2008-07-03 Susquehanna Yacht Manufacturing, Inc. Foldable Mast Assembly for a Sailing Vessel
KR20090007779U (ko) * 2008-01-28 2009-07-31 홍광선 접이식 돛을 가지는 선박
KR20110064829A (ko) * 2009-12-09 2011-06-15 한국과학기술원 종동요 및 횡동요를 저감시키는 해상 부유물의 수평 유지 장치
KR20120056427A (ko) * 2010-11-25 2012-06-04 신승우 소형 요트용 마스트 가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2233C2 (sv) * 1992-12-22 1995-09-18 Christensen J A Kontrollenhet
US20080237173A1 (en) * 2007-03-30 2008-10-02 Remedial (Cyprus) Pcl Arm assembly and methods of passing a pipe from a first vessel to a second vessel using the arm assembly
KR101561160B1 (ko) * 2009-05-11 2015-10-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밸러스트 시스템
BRPI1001193A2 (pt) * 2010-02-11 2012-07-03 Vinicius De Carvalho Cal aperfeiçoamento em grua e processo de controle de contrapeso em uma grua, em tempo real
KR101447868B1 (ko) * 2012-11-30 2014-10-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 추진 선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56242A1 (en) * 2007-01-03 2008-07-03 Susquehanna Yacht Manufacturing, Inc. Foldable Mast Assembly for a Sailing Vessel
KR20090007779U (ko) * 2008-01-28 2009-07-31 홍광선 접이식 돛을 가지는 선박
KR20110064829A (ko) * 2009-12-09 2011-06-15 한국과학기술원 종동요 및 횡동요를 저감시키는 해상 부유물의 수평 유지 장치
KR20120056427A (ko) * 2010-11-25 2012-06-04 신승우 소형 요트용 마스트 가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26418A (zh) * 2019-10-22 2020-03-27 广州文冲船厂有限责任公司 一种艉管轴承斜度实际测量方法、装置、介质及终端设备
KR102123994B1 (ko) * 2020-04-20 2020-06-17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센서장비용 정렬장치를 포함하는 차세대 함정용 마스트
KR102351484B1 (ko) 2021-10-13 2022-01-1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선박용 해양수거장비의 평형유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25832B2 (en) 2020-04-21
US20180362125A1 (en) 2018-12-20
WO2017111446A1 (ko) 201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4856B1 (ko) 가변형 마스트를 이용한 소형선의 수평 제어 장치
US8494725B2 (en) Stabilization of a mast for vehicles and ships
US78966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a position of an object
KR101807416B1 (ko) 발사체 회수를 위한 지지 장치
CN111372848A (zh) 机动水翼装置
DK178218B1 (en) A method of operating a boat
GB2440520A (en) Motion Compensated Aircraft Platform
KR102405169B1 (ko) 갱웨이용 자세 유지 장치
JP5989853B2 (ja) 水平維持装置を備えるバージ船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7019595A (ja) フォークリフトにおける荷取り方法及びフォークリフト
US200700715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a Position of an Object
US4178871A (e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hydrofoil craft
JP6951063B2 (ja) 水中航走体および水中航走体の姿勢制御方法
US10845812B2 (en) Method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a marine vessel near an object
US10144257B2 (en) Amphibious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attitude of vehicle body of amphibious vehicle
KR101408346B1 (ko) 선박의 안티롤링시스템
KR20220038685A (ko) 풍력 터빈을 조립하기 위한 호이스팅 장치
CN113382948A (zh) 起重机及起重机的路径生成系统
JP6487365B2 (ja) 船舶用自動操舵装置
JP4275199B2 (ja) 作業機のブーム制御装置
JP4163289B2 (ja) 振れ検出装置の校正方法
JP7429961B2 (ja) 模型船試験自動化システム
KR20200049050A (ko) 수중지지장치
KR102150500B1 (ko) 해양 구조물 운반을 위한 바지선 및 평형 유지 방법
EP38925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turning of a hydrofo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