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816B1 - 링크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링크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816B1
KR101662816B1 KR1020130016460A KR20130016460A KR101662816B1 KR 101662816 B1 KR101662816 B1 KR 101662816B1 KR 1020130016460 A KR1020130016460 A KR 1020130016460A KR 20130016460 A KR20130016460 A KR 20130016460A KR 101662816 B1 KR101662816 B1 KR 101662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information
content
user
original content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4512A (ko
Inventor
이채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6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816B1/ko
Publication of KR20140104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4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크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개시한다. 즉, 서비스페이지 상에서 상기 링크정보와 관련된 사용자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링크정보에 대응되는 원본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상기 원본컨텐츠를 표시하지 않고 상기 원본컨텐츠와 관련하여 생성된 대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원본컨텐츠와 상기 대체컨텐츠 모두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네비게이션 실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해주어 통화료 부담을 줄여줌과 동시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Description

링크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SYSTEM AND METHOD FOR PROVIDNG RINK INFORMATION,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모바일(Mobile) 환경에서 제공되는 서비스페이지에서 링크정보와 관련한 사용자이벤트 발생 시, 링크된 원본컨텐츠를 렌더링(Rendering)하여 생성한 대체컨텐츠를 서비스페이지 상에 표시하는 미리보기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은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로 인해 이동통신기술과 접목되어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현대인들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무선인터넷에 접속하여, 웹 서핑(Web Surfing), 메일 송수신, 인터넷 게임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이때, 현재 개발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모바일 환경에서 웹사이트 서핑을 하는 것은 작은 화면, 키패드(Key Pad), 텍스트(Text) 입력 등과 같은 제한된 환경에서 웹 서핑(WEP Surfing)을 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자유로운 네비게이션이 불가능해 사용자의 실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더욱이, 종래의 PC(Personal Computer) 환경에서는 파일탐색 중 선택된 파일을 미리보기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고 있으나, 모바일 환경에서는 웹 서핑시의 링크정보에 대한 미리보기 기능이 전혀 개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해당 링크 접속에 따른 시간이 오래 걸리고, 이로 인해 그만큼 사용자의 서비스 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서비스페이지 상에서 상기 링크정보와 관련된 사용자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링크정보에 대응되는 원본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상기 원본컨텐츠를 표시하지 않고 상기 원본컨텐츠와 관련하여 생성된 대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원본컨텐츠와 상기 대체컨텐츠 모두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네비게이션 실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해주어 통화료 부담을 줄여줌과 동시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서비스장치는, 링크정보가 포함된 서비스페이지를 사용자장치에 제공하는 제공부; 및 상기 서비스페이지 상에서 상기 링크정보와 관련된 사용자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링크정보에 대응되는 원본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상기 원본컨텐츠를 표시하지 않고 상기 원본컨텐츠와 관련하여 생성된 대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원본컨텐츠와 상기 대체컨텐츠 모두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페이지 상에 포함된 상기 링크정보가 다수인 경우, 상기 다수의 링크정보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선호도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선호도가 가장 높은 링크정보부터 사용자선호도가 낮아지는 순서에 따라 상기 다수의 링크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링크정보를 상기 대체컨텐츠의 표시가 가능한 링크정보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선호도는, 상기 사용자이벤트 발생 시, 상기 원본컨텐츠의 표시횟수 대비 상기 대체컨텐츠의 표시횟수의 비율을 기초로 판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링크정보 중 상기 대체컨텐츠의 표시횟수보다 상기 원본컨텐츠의 표시횟수가 더 많은 특정 링크정보를 나머지 링크정보보다 상기 사용자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링크정보 각각에 대해 판단된 상기 사용자선호도에, 각각의 링크정보에 대해 판단되는 인기도를 추가 적용하여 상기 다수의 링크정보 중 상기 대체컨텐츠의 표시가 가능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링크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기도는, 일정시간 동안 상기 다수의 링크정보 각각에 대하여 확인되는 상기 원본컨텐츠 표시횟수 간의 차이를 기초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체컨텐츠는, 상기 원본컨텐츠의 컨텐츠 유형에 따라 상기 원본컨텐츠의 컨텐츠용량보다 작은 크기의 컨텐츠용량을 갖도록 생성되며, 상기 컨텐츠 유형은,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체컨텐츠는, 상기 원본컨텐츠가 상기 텍스트인 경우, 전체 텍스트 중 적어도 일부의 텍스트만을 포함하도록 생성되며, 상기 원본컨텐츠가 상기 이미지인 경우, 상기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장치에 적합한 해상도를 갖도록 조절하여 생성되며, 상기 원본컨텐츠가 상기 동영상인 경우에는, 상기 동영상에 포함된 다수의 프레임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이미지를 포함하는 상기 이미지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원본컨텐츠와 상기 대체컨텐츠 모두를 표시하도록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이벤트가 발생된 시점부터 상기 원본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표시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인 다운로드시간 동안에만 상기 대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링크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장치가 서비스페이지를 요청하는 요청단계; 서비스장치가 링크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서비스페이지를 상기 사용자장치에 제공하는 제공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서비스페이지 상에서 상기 링크정보와 관련된 사용자이벤트의 발생을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링크정보에 대응되는 원본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상기 원본컨텐츠를 표시하지 않고 상기 원본컨텐츠와 관련하여 생성된 대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원본컨텐츠와 상기 대체컨텐츠 모두를 표시하도록 하는 표시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은 링크정보가 포함된 서비스페이지를 사용자장치에 제공하는 제공단계; 상기 서비스페이지 상에서 상기 링크정보와 관련된 사용자이벤트의 발생을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사용자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링크정보에 대응되는 원본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상기 원본컨텐츠를 표시하지 않고 상기 원본컨텐츠와 관련하여 생성된 대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원본컨텐츠와 상기 대체컨텐츠 모두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제어단계 이전에, 상기 서비스페이지 상에 포함된 상기 링크정보가 다수인 경우, 상기 다수의 링크정보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선호도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선호도가 가장 높은 링크정보부터 사용자선호도가 낮아지는 순서에 따라 상기 다수의 링크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링크정보를 상기 대체컨텐츠의 표시가 가능한 링크정보로서 결정하는 결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선호도는, 상기 사용자이벤트 발생 시, 상기 원본컨텐츠의 표시횟수 대비 상기 대체컨텐츠의 표시횟수의 비율을 기초로 판단되며,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다수의 링크정보 중 상기 대체컨텐츠의 표시횟수보다 상기 원본컨텐츠의 표시횟수가 더 많은 특정 링크정보를 나머지 링크정보보다 상기 사용자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다수의 링크정보 각각에 대해 판단된 상기 사용자선호도에, 각각의 링크정보에 대해 판단되는 인기도를 추가 적용하여 상기 다수의 링크정보 중 상기 대체컨텐츠의 표시가 가능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링크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기도는, 일정시간 동안 상기 다수의 링크정보 각각에 대하여 확인되는 상기 원본컨텐츠 표시횟수 간의 차이를 기초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원본컨텐츠와 상기 대체컨텐츠 모두를 표시하도록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이벤트가 발생된 시점부터 상기 원본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표시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인 다운로드시간 동안에만 상기 대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링크정보 제공 시스템은 링크정보가 포함된 서비스페이지를 요청하며, 상기 링크정보에 대응되는 원본컨텐츠 및 상기 링크정보와 관련하여 생성된 대체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사용자장치; 및 상기 서비스페이지를 상기 사용자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페이지 상에서 상기 링크정보와 관련된 사용자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원본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상기 원본컨텐츠를 표시하지 않고 상기 대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원본컨텐츠와 상기 대체컨텐츠 모두를 표시하도록 하는 서비스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링크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의하면, 모바일(Mobile) 환경에서 제공되는 서비스페이지에서 링크정보와 관련한 사용자이벤트 발생 시, 링크된 원본컨텐츠를 렌더링하여 생성한 대체컨텐츠를 서비스페이지 상에 표시하는 미리보기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네비게이션 실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해주어 통화료 부담을 줄여줌과 동시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정보 제공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정보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정보 제공 시스템은, 특정 서비스와 관련한 서비스페이지를 요청하는 사용자장치(100), 서비스페이지를 사용자장치(100)에 제공하는 서비스장치(200), 서비스페이지에 포함된 링크정보의 원본컨텐츠를 수집하여 대체컨텐츠를 생성하는 수집장치(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정보 제공 시스템은 전술한 구성 이외에 수집장치(300)와 연동하여 수집된 원본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400) 및 링크정보에 대응되는 원본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제공장치(50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장치(100)는 모바일 환경에서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서비스장치(200)가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예: SNS, Social Network Service)와 관련한 서비스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를 지칭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스마트폰, 테블릿 PC, 및 PDA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전술한 모바일 환경보다 상대적으로 인터넷 연결 속도가 빠르고, 멀티태스킹이 용이한 데스크탑 환경에서 동작하는 장치 또한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장치(200)는 사용자장치(100)를 대상으로 특정 서비스(예: SNS, Social Network Service)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서비스페이지에 다양한 링크정보(예: URL)를 등록하여 제공하도록 동작하게 된다.
수집장치(300)는 서비스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대체컨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하기 위한 서버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서비스페이지 상에 링크정보가 등록되는 경우에, 등록된 링크정보를 기초로 컨텐츠제공장치(500)에 접속하여 원본컨텐츠를 획득하고, 원본컨텐츠와 관련한 대체컨텐츠를 생성하여 서비스장치(200)에 제공하도록 동작하게 된다.
캐시장치(400)는 수집장치(300)와의 연동하여 수집장치(300)에서 수집한 원본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캐시 서버를 지칭하게 된다.
컨텐츠제공장치(500)는 서비스페이지에 등록된 링크정보에 해당하는 웹 서버를 지칭하는 것으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으로 구성된 다양한 원본컨텐츠를 수집장치(300)에 제공하도록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원본컨텐츠는 예컨대, 뉴스, 블로그, 쇼핑, 이미지, 동영상, 기타 다양한 컨텐츠가 해당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페이지에서 링크정보와 관련한 사용자이벤트(예: 클릭, 드래그, 터치, 포인트 지시) 발생하는 경우, 링크정보에 해당하는 원본컨텐츠를 대신하여 대체컨텐츠를 서비스페이지 상에 표시하는 미리보기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스마트폰이 널리 대중화되면서, 다양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를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하는 사용자의 비중이 늘고 있다.
이에, 사용자들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서 자신들이 등록한 링크정보를 서로 공유함으로써, 다양한 컨텐츠를 소비하거나 권장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링크정보에 해당하는 원본컨텐츠를 자신의 사용자장치(100)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현재 이용중인 서비스페이지에서 페이지 전환을 수행하여 컨텐츠제공장치(300)에서 제공하는 원본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표시하게 된다.
이 경우 인터넷 연결 속도가 빠르고, 멀티태스킹이 쉬운 데스크탑 환경에서 특별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전술한 데스크탑 환경보다 상대적으로 퍼포먼스가 떨어지고, 인터넷 연결 속도가 느린 모바일 환경에서 이러한 링크정보를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
이렇듯, 모바일 환경에서는 링크정보에 해당하는 원본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페이지 전환을 수행하는데 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것뿐만 아니라, 다시 원래의 서비스페이지로 복귀하기 위해서도 별도의 사용자 조작 및 복귀까지의 추가 시간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모바일(Mobile) 환경에서 제공되는 서비스페이지에서 링크정보와 관련한 사용자이벤트 발생 시, 링크된 원본컨텐츠를 렌더링하여 생성한 대체컨텐츠를 서비스페이지 상에 표시하는 미리보기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서비스장치(200)는 서비스페이지에 링크정보를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장치(200)는 사용자(작성자)가 서비스페이지에 링크정보(예: URL)를 등록하게 되면 해당 링크정보를 수집장치(300)에 전달하여 링크정보에 대응되는 원본컨텐츠에 대한 대체컨텐츠를 요청하고, 해당 요청을 수신한 수집장치(300)로부터 원본컨텐츠를 렌더링하여 생성한 대체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게 된다.
아울러, 서비스장치(200)는 서비스페이지에 등록된 링크정보에 대한 대체컨텐츠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장치(200)는 사용자장치(100)로부터 서비스페이지가 요청되면,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되어 있는 링크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링크정보가 다수인 경우에는 각 링크정보에 대한 대체컨텐츠 제공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장치(200)는 다수의 링크정보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선호도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선호도가 가장 높은 링크정보부터 사용자선호도가 낮아지는 순서에 따라 상위 N개의 링크정보에 대해서만 대체컨텐츠의 표시가 가능한 링크정보로서 결정하게 하거나, 사용자선호도뿐만 아니라 링크정보 각각의 인기도를 추가 반영하여 대체컨텐츠의 표시가 가능한 링크정보를 최종 결정할 수 있다.
아울러, 서비스장치(200)는 링크정보가 포함된 서비스페이지를 사용자장치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장치(200)는 서비스페이지에 포함된 다수의 링크정보에 대한 대체컨텐츠 제공 여부가 결정되면, 대체컨텐츠의 표시가 가능한 것으로 결정된 링크정보에 대해서만 대체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미리보기 아이콘을 서비스페이지 상에 추가로 생성하여 사용자장치(100)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장치(100)로 하여금 링크정보와 함께 미리보기 아이콘을 함께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미리보기 아이콘은 예컨대,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으로 구분되는 원본컨텐츠의 컨텐츠 유형에 따라 상이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서비스페이지에 링크된 원본컨텐츠의 컨텐츠 유형을 짐작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서비스장치(200)는 링크정보와 관련한 사용자이벤트 발생에 따라 사용자장치(100)에서 대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장치(200)는 링크정보와 관련한 사용자이벤트가 발생되면, 해당 링크정보에 대응되는 대체컨텐츠를 사용자장치(100)에 전달하여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서비스페이지를 열람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장치(100)에서 표시중인 대체컨텐츠를 통해 원본컨텐츠의 개략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이벤트는, 서비스페이지를 열람하는 사용자가 링크정보와 관련하여 추가 제공된 미리보기 아이콘을 선택(Click), 드래그, 또는 터치한 경우 내지는 사용자장치(100)가 UI로서 제공하는 포인터를 미리보기 아이콘의 위치에 위치시킨 경우에 해당될 수 있으며, 아울러, 링크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Click), 드래그, 또는 터치한 경우 또한 해당될 수 있다.
그 밖에, 사용자장치(100)에서 서비스페이지가 표시되는 시점 자체가 전술한 사용자이벤트로서 인지되어 서비스페이지 상의 링크정보와 관련하여 대체컨텐츠를 표시할 수도 있다.
수집장치(300)는 서비스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대체컨텐츠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집장치(300)는 사용자에 의해 서비스페이지 상에 링크정보가 등록되는 경우에 서비스장치(200)로부터 대체컨텐츠 생성 요청이 수신되면, 컨텐츠제공장치(500)로부터 링크정보에 대응되는 원본컨텐츠의 리소스(예: HTML, 이미지, 동영상 파일)를 수집하고, 수집된 원본컨텐츠의 리소스를 기초로 대체컨텐츠를 생성하여 서비스장치(200)에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수집장치(300)는 서비스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링크정보에 대응되는 원본컨텐츠의 리소스가 캐시장치(400)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먼저 확인하고,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만 전술한 원본컨텐츠의 리소스를 수집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수집된 원본컨텐츠의 리소스는 캐시장치(400)에 저장하여 이후 활용하게 된다.
아울러, 수집장치(300)는 원본컨텐츠의 컨텐츠 유형에 따라 상기 원본컨텐츠의 컨텐츠용량보다 작은 크기의 컨텐츠용량을 갖도록 대체컨텐츠를 생성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원본컨텐츠의 유형은, 예를 들어,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될 수 있다.
이에, 원본컨텐츠가 상기 텍스트인 경우, 수집장치(300)는 전체 텍스트 중 적어도 일부의 텍스트(예: 첫 번째 문단의 200자, 문서 제목, 요약)만을 포함하도록 대체컨텐츠를 생성하며, 원본컨텐츠가 상기 이미지인 경우에는 상기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장치(100)에 적합한 해상도를 갖도록 조절함으로써, 대체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원본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에는, 수집장치(300)는 상기 동영상에 포함된 다수의 프레임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프레임이미지를 썸네일 형태로 묶어 하나의 대표이미지로 구성한 다음, 구성된 대표이미지를 사용자장치(100)에 적합한 해상도를 갖도록 조절함으로써 대체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2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200)는 링크정보가 포함된 서비스페이지를 제공하는 제공부(210), 및 링크정보에 대한 사용자이벤트 발생에 따라 사용자장치(100)에서 대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2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20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링크정보를 서비스페이지에 등록하기 위한 등록부(230) 및 대체컨텐츠 제공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부(24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제공부(210), 제어부(220), 등록부(230), 및 결정부(240)를 포함하는 서비스장치(200)의 각 구성은 프로세서의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등록부(230)는 서비스페이지에 링크정보를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등록부(230)는 사용자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페이지 상에 링크정보(예: URL)를 등록하게 된다.
이때, 등록부(230)는 사용자(작성자)가 자신의 서비스페이지에 링크정보를 등록하게 되면 해당 링크정보를 수집장치(300)에 전달하여 링크정보에 대응하는 대체컨텐츠를 요청하고, 해당 요청을 수신한 수집장치(300)로부터 링크정보에 해당되는 원본컨텐츠를 렌더링하여 생성한 대체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게 된다.
아울러, 결정부(240)는 서비스페이지에 등록된 링크정보에 대한 대체컨텐츠 제공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정부(240)는 사용자장치(100)로부터 서비스페이지가 요청되면,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되어 있는 링크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링크정보가 다수인 경우에는 각 링크정보에 대한 대체컨텐츠 제공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는, 서비스페이지에 등록된 모든 링크정보에 대해 대체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데이터트래픽을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결정부(240)는 다수의 링크정보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선호도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선호도가 가장 높은 링크정보부터 사용자선호도가 낮아지는 순서에 따라 상위 N개의 링크정보에 대해서만 대체컨텐츠의 표시가 가능한 링크정보로서 결정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선호도는, 사용자장치(100)로부터 수집되는 이력정보 즉, 링크정보와 관련한 사용자이벤트 발생 시 상기 원본컨텐츠의 표시횟수 대비 상기 대체컨텐츠의 표시횟수의 비율을 기초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페이지 상에 링크정보 A 내지 D가 존재하며, 각 링크정보에 대한 원본컨텐츠의 표시횟수와 상기 대체컨텐츠의 표시횟수는 다음 [표 1]과 같이 도식화할 수 있다.
링크정보 원본컨텐츠 표시횟수 대체컨텐츠 표시횟수
링크정보 A 6 20
링크정보 B 1 5
링크정보 C 20 54
링크정보 D 2 3
이와 관련하여, 각 링크정보의 사용자선호도는 아래 [수식 1]을 통해 판단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링크정보 A는 0.30, 링크정보 B는 0.20, 링크정보 C는 0.37, 링크정보 D는 0.67로 각각의 사용자선호도를 판단할 수 있다.
[수식 1]
사용자선호도 = 원본컨텐츠의 표시횟수 / 대체컨텐츠의 표시횟수
이에, 사용자선호도가 가장 높은 링크정보 D부터 링크정보C, 링크정보 A, 그리고 링크정보 B의 순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링크정보를 대체컨텐츠의 표시가 가능한 링크정보로서 결정하게 된다.
덧붙여, 결정부(240)는 전술한 사용자선호도뿐만 아니라 링크정보 각각의 인기도를 추가 반영하여 대체컨텐츠의 표시가 가능한 링크정보를 최종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인기도는 컨텐츠제공장치(500)로부터 수집되는 이력정보 즉, 일정시간 동안 상기 다수의 링크정보 각각에 대하여 확인되는 원본컨텐츠 표시횟수 간의 차이를 기초로 판단될 수 있다.
이때, 결정부(240)는 다수의 링크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원본컨텐츠에 일정시간 동안(예: 1시간) 접속한 접속자의 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접속자의 수를 각 링크정보에 해당하는 원본컨텐츠 표시횟수로 상정하고, 이를 정규화된 점수(1.0점 ~ 0.1점)를 각 링크정보에 대한 인기도로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장치(200)는 다수의 링크정보 각각에 대해 판단된 사용자선호도에 인기도를 추가 적용하여 각 링크정보에 대한 적합도를 판단하고,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적합도가 가장 높은 링크정보부터 적합도가 낮아지는 순서에 따라 상위 N개의 링크정보에 대해서만 대체컨텐츠의 표시가 가능한 링크정보로서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서비스페이지 상에 링크정보 A 내지 D가 존재하며, 각 링크정보에 대한 사용자선호도와 인기도는 다음 [표 2]과 같이 도식화할 수 있다.
링크정보 사용자선호도 인기도
링크정보 A 0.30 0.3
링크정보 B 0.20 0.4
링크정보 C 0.37 0.3
링크정보 D 0.67 1
이와 관련하여, 각 링크정보의 적합도는 아래 [수식 2]을 통해 판단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링크정보 A는 0.9, 링크정보 B는 0.8, 링크정보 C는 0.97, 링크정보 D는 0.67로 각각의 적합도를 판단할 수 있다.
[수식 2]
적합도 = 사용자선호도 * 인기도
이에, 적합도가 가장 높은 링크정보 C부터 링크정보A, 링크정보 B, 그리고 링크정보 D의 순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링크정보를 대체컨텐츠의 표시가 가능한 링크정보로서 결정하게 된다.
제공부(210)는 링크정보가 포함된 서비스페이지를 사용자장치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공부(210)는 서비스페이지에 포함된 다수의 링크정보에 대한 대체컨텐츠 제공 여부가 결정되면, 대체컨텐츠의 표시가 가능한 것으로 결정된 링크정보에 대해서만 대체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미리보기 아이콘을 서비스페이지 상에 추가로 생성하여 사용자장치(100)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장치(100)로 하여금 링크정보와 함께 미리보기 아이콘을 함께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220)는 링크정보와 관련한 사용자이벤트 발생에 따라 사용자장치(100)에서 대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링크정보와 관련한 사용자이벤트가 발생되면, 해당 링크정보에 대응되는 대체컨텐츠를 사용자장치(100)에 전달하여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서비스페이지를 열람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장치(100)에서 표시중인 대체컨텐츠를 통해 원본컨텐츠의 개략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220)는 사용자장치(100)에서 원본컨텐츠와 대체컨텐츠 모두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으며, 원본컨텐츠와 상기 대체컨텐츠 모두를 표시하도록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이벤트가 발생된 시점부터 상기 원본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표시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인 다운로드시간 동안에만 서비스페이지 상에 대체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정보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링크정보에 대응되는 원본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상기 원본컨텐츠를 표시하지 않고 상기 원본컨텐츠와 관련하여 생성된 대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원본컨텐츠와 상기 대체컨텐츠 모두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실제 링크정보에 접속하지 않더라도 대략적인 원본컨텐츠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필요한 경우에만 원본컨텐츠를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트래픽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정보 제공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서비스장치(200)는 사용자(작성자)가 자신의 서비스페이지에 링크정보(예: URL)를 등록하게 되면 해당 링크정보를 수집장치(300)에 전달하여 링크정보에 대응하는 대체컨텐츠 생성을 요청한다(S110-S120)
이에, 수집장치(300)는 사용자에 의해 서비스페이지 상에 링크정보가 등록되는 경우에 서비스장치(200)로부터 대체컨텐츠 생성 요청이 수신되면, 컨텐츠제공장치(500)로부터 링크정보에 대응되는 원본컨텐츠의 리소스(예: HTML, 이미지, 동영상 파일)를 수집하고, 수집된 원본컨텐츠의 리소스를 기초로 대체컨텐츠를 생성하여 서비스장치(200)에 전달하게 된다(S130-S160).
그런 다음, 서비스장치(200)는 사용자장치(100)로부터 서비스페이지가 요청되면,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되어 있는 링크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링크정보가 다수인 경우에는 각 링크정보에 대한 대체컨텐츠 제공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S170-S180).
이때, 서비스장치(200)는 다수의 링크정보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선호도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선호도가 가장 높은 링크정보부터 사용자선호도가 낮아지는 순서에 따라 상위 N개의 링크정보에 대해서만 대체컨텐츠의 표시가 가능한 링크정보로서 결정하게 하거나, 사용자선호도뿐만 아니라 링크정보 각각의 인기도를 추가 반영하여 대체컨텐츠의 표시가 가능한 링크정보를 최종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장치(200)는 서비스페이지에 포함된 다수의 링크정보에 대한 대체컨텐츠 제공 여부가 결정되면, 대체컨텐츠의 표시가 가능한 것으로 결정된 링크정보에 대해서만 대체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미리보기 아이콘을 서비스페이지 상에 추가로 생성하여 사용자장치(100)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장치(100)로 하여금 링크정보와 함께 미리보기 아이콘을 함께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S190).
이후, 서비스장치(200)는 링크정보와 관련한 사용자이벤트가 발생되면, 해당 링크정보에 대응되는 대체컨텐츠를 사용자장치(100)에 전달하여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서비스페이지를 열람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장치(100)에서 표시중인 대체컨텐츠를 통해 원본컨텐츠의 개략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200-S230).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2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등록부(230)는 사용자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서비스페이지 상에 링크정보(예: URL)를 등록하게 된다(S310).
이때, 등록부(230)는 사용자가 자신의 서비스페이지에 링크정보를 등록하게 되면 해당 링크정보를 수집장치(300)에 전달하여 링크정보에 대응되는 원본컨텐츠에 대한 대체컨텐츠를 요청하고, 해당 요청을 수신한 수집장치(300)로부터 원본컨텐츠를 렌더링하여 생성한 대체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게 된다(S320-S330).
그리고 나서, 결정부(240)는 사용자장치(100)로부터 서비스페이지가 요청되면,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되어 있는 링크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링크정보가 다수인 경우에는 각 링크정보에 대한 대체컨텐츠 제공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S340-S370).
이때, 결정부(240)는 다수의 링크정보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선호도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선호도가 가장 높은 링크정보부터 사용자선호도가 낮아지는 순서에 따라 상위 N개의 링크정보에 대해서만 대체컨텐츠의 표시가 가능한 링크정보로서 결정하게 된다.
덧붙여, 결정부(240)는 전술한 사용자선호도뿐만 아니라 링크정보 각각의 인기도를 추가 반영하여 대체컨텐츠의 표시가 가능한 링크정보를 최종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다음, 제공부(210)는 서비스페이지에 포함된 다수의 링크정보에 대한 대체컨텐츠 제공 여부가 결정되면, 대체컨텐츠의 표시가 가능한 것으로 결정된 링크정보에 대해서만 대체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미리보기 아이콘을 서비스페이지 상에 추가로 생성하여 사용자장치(100)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장치(100)로 하여금 링크정보와 함께 미리보기 아이콘을 함께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S380).
이후, 제어부(220)는 링크정보와 관련한 사용자이벤트가 발생되면, 해당 링크정보에 대응되는 대체컨텐츠를 사용자장치(100)에 전달하여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서비스페이지를 열람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장치(100)에서 표시중인 대체컨텐츠를 통해 원본컨텐츠의 개략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390-S400).
이때, 제어부(220)는 사용자장치(100)에서 원본컨텐츠와 대체컨텐츠 모두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으며, 원본컨텐츠와 상기 대체컨텐츠 모두를 표시하도록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이벤트가 발생된 시점부터 상기 원본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표시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인 다운로드시간 동안에만 서비스페이지 상에 대체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정보 제공 방법에 따르면, 서비스페이지 상에 등록된 링크정보에 대응되는 원본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상기 원본컨텐츠를 표시하지 않고 상기 원본컨텐츠와 관련하여 생성된 대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원본컨텐츠와 상기 대체컨텐츠 모두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실제 링크정보에 접속하지 않더라도 대략적인 원본컨텐츠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필요한 경우에만 원본컨텐츠를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트래픽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링크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따르면, 모바일 환경에서 제공되는 서비스페이지에서 링크정보와 관련한 사용자이벤트 발생 시, 링크된 원본컨텐츠를 렌더링하여 생성한 대체컨텐츠를 서비스페이지 상에 표시하는 미리보기 기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사용자장치
200: 서비스장치
210: 제공부 220: 제어부
230: 등록부 240: 결정부
300: 수집장치
400: 캐시장치
500: 컨텐츠제공장치

Claims (16)

  1. 링크정보가 포함된 서비스페이지를 사용자장치에 제공하는 제공부; 및
    상기 서비스페이지 상에서 상기 링크정보와 관련된 사용자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링크정보에 대응되는 원본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상기 원본컨텐츠를 표시하지 않고 상기 원본컨텐츠와 관련하여 생성된 대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원본컨텐츠와 상기 대체컨텐츠 모두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원본컨텐츠와 상기 대체컨텐츠 모두를 표시하도록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이벤트가 발생된 시점부터 상기 원본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표시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인 다운로드시간 동안에만 상기 대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페이지 상에 포함된 상기 링크정보가 다수인 경우, 상기 다수의 링크정보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선호도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선호도가 가장 높은 링크정보부터 사용자선호도가 낮아지는 순서에 따라 상기 다수의 링크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링크정보를 상기 대체컨텐츠의 표시가 가능한 링크정보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선호도는,
    상기 사용자이벤트 발생 시, 상기 원본컨텐츠의 표시횟수 대비 상기 대체컨텐츠의 표시횟수의 비율을 기초로 판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링크정보 중 상기 대체컨텐츠의 표시횟수보다 상기 원본컨텐츠의 표시횟수가 더 많은 특정 링크정보를 나머지 링크정보보다 상기 사용자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링크정보 각각에 대해 판단된 상기 사용자선호도에, 각각의 링크정보에 대해 판단되는 인기도를 추가 적용하여 상기 다수의 링크정보 중 상기 대체컨텐츠의 표시가 가능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링크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기도는,
    일정시간 동안 상기 다수의 링크정보 각각에 대하여 확인되는 원본컨텐츠 표시횟수 간의 차이를 기초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컨텐츠는,
    상기 원본컨텐츠의 컨텐츠 유형에 따라 상기 원본컨텐츠의 컨텐츠용량보다 작은 크기의 컨텐츠용량을 갖도록 생성되며,
    상기 컨텐츠 유형은,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컨텐츠는,
    상기 원본컨텐츠가 상기 텍스트인 경우, 전체 텍스트 중 적어도 일부의 텍스트만을 포함하도록 생성되며,
    상기 원본컨텐츠가 상기 이미지인 경우, 상기 사용자장치에서 출력 가능한 해상도를 갖도록 상기 이미지를 조절하여 생성되며,
    상기 원본컨텐츠가 상기 동영상인 경우에는, 상기 동영상에 포함된 다수의 프레임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이미지를 포함하는 상기 이미지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8. 삭제
  9. 삭제
  10. 링크정보가 포함된 서비스페이지를 사용자장치에 제공하는 제공단계;
    상기 서비스페이지 상에서 상기 링크정보와 관련된 사용자이벤트의 발생을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사용자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링크정보에 대응되는 원본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상기 원본컨텐츠를 표시하지 않고 상기 원본컨텐츠와 관련하여 생성된 대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원본컨텐츠와 상기 대체컨텐츠 모두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원본컨텐츠와 상기 대체컨텐츠 모두를 표시하도록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이벤트가 발생된 시점부터 상기 원본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표시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인 다운로드시간 동안에만 상기 대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어단계 이전에,
    상기 서비스페이지 상에 포함된 상기 링크정보가 다수인 경우, 상기 다수의 링크정보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선호도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선호도가 가장 높은 링크정보부터 사용자선호도가 낮아지는 순서에 따라 상기 다수의 링크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링크정보를 상기 대체컨텐츠의 표시가 가능한 링크정보로서 결정하는 결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선호도는,
    상기 사용자이벤트 발생 시, 상기 원본컨텐츠의 표시횟수 대비 상기 대체컨텐츠의 표시횟수의 비율을 기초로 판단되며,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다수의 링크정보 중 상기 대체컨텐츠의 표시횟수보다 상기 원본컨텐츠의 표시횟수가 더 많은 특정 링크정보를 나머지 링크정보보다 상기 사용자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다수의 링크정보 각각에 대해 판단된 상기 사용자선호도에, 각각의 링크정보에 대해 판단되는 인기도를 추가 적용하여 상기 다수의 링크정보 중 상기 대체컨텐츠의 표시가 가능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링크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인기도는,
    일정시간 동안 상기 다수의 링크정보 각각에 대하여 확인되는 원본컨텐츠 표시횟수 간의 차이를 기초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5. 삭제
  16. 삭제
KR1020130016460A 2013-02-15 2013-02-15 링크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662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460A KR101662816B1 (ko) 2013-02-15 2013-02-15 링크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460A KR101662816B1 (ko) 2013-02-15 2013-02-15 링크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995A Division KR101875685B1 (ko) 2016-09-28 2016-09-28 링크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512A KR20140104512A (ko) 2014-08-29
KR101662816B1 true KR101662816B1 (ko) 2016-10-07

Family

ID=51748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460A KR101662816B1 (ko) 2013-02-15 2013-02-15 링크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8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685B1 (ko) * 2016-09-28 2018-07-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링크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9188B2 (en) * 2003-10-23 2007-01-02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ng content in an item
EP1800228A1 (en) * 2004-09-27 2007-06-27 Brows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browsing
US20070074125A1 (en) * 2005-09-26 2007-03-29 Microsoft Corporation Preview information for web-browsing
KR101229495B1 (ko) * 2006-11-03 2013-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웹 페이지의 탭 인덱스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512A (ko) 2014-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2118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8497883B2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JP5816670B2 (ja) 電子ドキュメント内の関心領域を選択し、表示するための方法とデバイス
EP25138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ndering web pages utilizing external rendering rules
US20080222273A1 (en) Adaptive rendering of web pages on mobile devices using imaging technology
US10389792B2 (en) Output function dividing system
US10244026B2 (en) Converting content for display o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browser context and based on characteristic of external device
JP6224786B1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配信装置
JP5937262B1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配信装置および配信方法
JP6223310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配信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装置
US9147006B2 (en) Requesting computer data assets
JP6095815B1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配信装置
JP6224682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配信装置
KR101662816B1 (ko) 링크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875685B1 (ko) 링크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JP6706977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配信装置
JP6158903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配信装置
JP6113124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配信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装置
JP6695833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配信装置
JP2018194749A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配信装置
JP6431021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配信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装置
JP6580095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配信装置
JP2017129999A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配信装置
KR101372580B1 (ko) 브라우저 ui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70131326A (ko) 단말 장치, 웹 서버 및 이들에 의한 검색 결과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