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533B1 -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 - Google Patents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533B1
KR101662533B1 KR1020150019906A KR20150019906A KR101662533B1 KR 101662533 B1 KR101662533 B1 KR 101662533B1 KR 1020150019906 A KR1020150019906 A KR 1020150019906A KR 20150019906 A KR20150019906 A KR 20150019906A KR 101662533 B1 KR101662533 B1 KR 101662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button panel
shift lever
panel
out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9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7739A (ko
Inventor
김은식
이정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9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533B1/ko
Publication of KR20160097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2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push butt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변속레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공이 형성된 센터페시아에 배치되며, 그 상부가 센터페시아에 결합되고 하부에 스텝모터가 연결되는 버튼판넬, 상기 버튼판넬의 외측면에 부착되며, 변속신호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버튼부 및 상기 버튼판넬의 내측면에 부착되며, 버튼부로부터 발생된 변속신호를 차량의 TCU(Transmission Control Unit)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텝모터의 작동에 따라 버튼판넬은 중공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버튼부의 조작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운전자가 가장 편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시인성이 향상되는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CAPABLE OF CONTROLLING POSITION}
본 발명은 전자식 변속레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이 센터페시아에 결합되고 타측에 스텝모터가 연결된 버튼판넬이 스텝모터의 작동에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자가 취향에 따라 버튼부의 조작 위치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는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변속기란 엔진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차량의 주행 상태에 알맞도록 회전력과 속도를 바꾸어 구동 바퀴에 전달하는 장치로 수동 변속기와 자동 변속기로 구분된다.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는 운전석 주위의 콘솔면 또는 핸들에 장착된 변속레버를 조작하여 수동변속기 또는 자동변속기의 변속단을 자신이 원하는 변속단으로 변경할 수 있다.
수동변속기는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상태에 맞는 기어를 선택하면 케이블이나 로드 등을 통해 운전자가 원하는 움직임을 변속기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작동되고, 자동변속기는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움직이면 케이블을 통해 인히비터 스위치를 구동시켜 운전자가 원하는 움직임을 변속기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특히, 최근에는 기계식 변속레버 대신 변속기와 변속레버 사이의 기계적 연결구조를 액츄에이터와 ECU를 통해 전기적 연결구조로 대체한 전자식 변속레버의 사용이 늘고 있다.
전자식 변속레버는 기계적인 케이블 연결구조가 없는 대신 운전자의 변속 의지를 전자적인 신호로 변환해 주는 위치 센서부를 구비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변속레버의 조작력이나 조작감이 기계식 변속레버보다 우수하며 그 조작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전자식 변속레버의 종류로는, 차량의 콘솔면 위에 돌출되어 있는 전자식 변속레버를 앞뒤로 조작하는 방식의 레버 타입 전자식 변속레버, 차량의 콘솔면 상에 장착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전자식 변속레버를 좌우로 돌려서 조작하는 다이얼 타입 전자식 변속레버, 차량의 핸들 측면에 장착된 전자식 변속레버를 상하로 조작하는 컬럼 타입 전자식 변속레버 또는 차량의 변속단이 표시된 버튼을 눌러서 조작하는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레버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 레버 타입 전자식 변속레버는, 조작시 운전자가 팔 전체를 전후 방향이나 좌우 방향으로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직선운동 궤적이 상당히 길다는 문제점이 있고, 기계식 변속레버의 조작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조작되어 기계식 변속레버 대비 전자식 변속레버만의 큰 장점이 없으며, 변속레버가 콘솔면 위로 돌출되어 있어 차량 충돌시 운전자의 머리가 변속레버에 부딪혀 상해를 입을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다이얼 타입 전자식 변속레버는, 조작시 직선운동 궤적은 거의 없지만 운전자가 손목을 회전하여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손목에 무리를 주고 운전자가 조작하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컬럼 타입 전자식 변속레버는, 핸들과 거리가 가깝다는 장점이 있지만 운전자가 팔을 꺾어서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동적 궤적이 상당히 길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레버의 경우 그 조작이 직관적이라는 장점이 있는 반면, 차량의 한정된 공간에 P단, R단, N단 및 D단 버튼을 모두 표시함과 동시에 다른 기능성 버튼을 배치해야하므로 버튼 간의 간격이 좁아지고 버튼 간 구분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레버는 획일화된 변속버튼이 센터페시아 면에 고정되어 있어 운전자가 마음대로 위치를 바꿀 수 없으므로, 조작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자신의 취향대로 버튼부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가장 편한 위치에서 조작할 수 있으며 시인성이 좋아지는 전자식 변속레버의 필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스텝모터의 작동에 따라 버튼판넬이 팝업되어 운전자가 가장 편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시인성이 향상되는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하나의 버튼판넬을 이용하여 버튼부의 위치를 가변함으로써, 생산원가가 현저히 절감되며 차량의 상품성이 현저히 증대되는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중공이 형성된 센터페시아에 배치되며, 일측이 센터페시아에 결합되고 타측에 스텝모터가 연결되는 버튼판넬; 상기 버튼판넬의 외측면에 부착되며, 변속신호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버튼부; 및 상기 버튼판넬의 내측면에 부착되며, 버튼부로부터 발생된 변속신호를 차량의 TCU(Transmission Control Unit)로 전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스텝모터의 작동에 따라 버튼판넬은 중공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버튼부의 조작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는, 상기 센터페시아의 중공을 구획하는 다수의 구획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유도가이드; 및 상기 구획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버튼판넬에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슬롯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는, 상기 버튼판넬의 일단에 배치되며, 버튼판넬의 외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제 1 외측홈; 상기 버튼판넬의 타단에 배치되며, 버튼판넬의 외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제 2 외측홈; 및 상기 버튼판넬 상에서 제 1 외측홈과 제 2 외측홈의 사이에 배치되며, 버튼판넬의 내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내측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외측홈, 제 2 외측홈 및 내측홈에 의해 버튼판넬은 일정한 형상으로 중공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에서 상기 제 1 외측홈, 제 2 외측홈 및 내측홈은 다수의 버튼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다수 개로 나뉘어 형성되고, 다수의 제 1 외측홈, 제 2 외측홈 및 내측홈은 다수의 버튼부마다 각각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버튼부의 돌출 위치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에서 상기 버튼판넬은, 그 좌측이 센터페시아에 결합되고 우측에 스텝모터가 연결되며, 상기 스텝모터는 좌우로 이동되어 버튼판넬을 중공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버튼판넬이 중공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자의 체형, 선호 위치 등에 따라 버튼부의 조작 위치를 운전자가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운전자가 가장 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버튼부를 둘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인성이 가장 좋은 위치에 버튼부를 둘 수 있어 변속레버의 조작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도가이드 및 슬롯부를 이용하여 버튼판넬의 팝업시 버튼팝업이 안정적으로 팝업될 수 있도록 하며, 제 1 외측홈, 제 2 외측홈 및 내측홈을 이용하여 버튼판넬이 항상 일정한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버튼부마다 제 1 외측홈, 제 2 외측홈 및 내측홈의 위치를 다르게 구성하여 팝업된 버튼부 사이에 단차를 줌으로써, 운전자의 변속 오조작을 방지함과 동시에 미관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하나의 버튼판넬을 이용하여 버튼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메커니즘을 매우 단순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전자식 변속레버의 생산원가가 현저히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시 버튼판넬이 자동으로 팝업되도록 구성하여 웰컴 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버튼부의 배치를 다양하게 할 수 있어 디자인 자유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궁극적으로 차량의 상품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가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를 외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를 내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외측홈, 제 2 외측홈 및 내측홈이 형성된 버튼판넬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외측홈, 제 2 외측홈 및 내측홈이 형성된 버튼판넬의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팝업 전·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팝업 전·후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가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를 내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가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를 외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를 내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는, 차량의 운전석 주위에 배치된 센터페시아(10)에 장착되고, 전자식 변속레버가 차지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컵홀더 등의 수납공간이나 각종 기능버튼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된다.
상기 센터페시아(10)에는 후술되는 스텝모터(25)를 작동시켜 버튼판넬(20)을 팝업시키기 위한 위치조절버튼(14)이 설치되며, 운전자는 위치조절버튼을 눌러 버튼판넬의 팝업 정도를 자신의 취향대로 조절하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조절버튼(14)은 센터페시아(10) 상에 설치되어 있지만, 차량의 종류, 차량 디자인의 변화, 다른 부품과의 관계 등을 고려하여 위치조절버튼(14)은 차량 내부의 어디에든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터페시아(10)에는 중공(11)이 형성되며, 버튼판넬(20)이 이러한 중공(11)을 덮을 수 있도록 센터페시아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튼판넬(20)은, 상부가 센터페시아(10)에 융착을 통해 완전히 고정 결합되고 하부는 스텝모터(25)와 연결되어 센터페시아와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판넬(20)의 내측 하부에는 지지부(27)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하로 이동 가능한 스텝모터의 연결로드(26)가 이러한 지지부(27)에 결합되어 버튼판넬(20)을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버튼판넬(20)은 상부가 완전히 고정된 상태에서 그 하부에 연결된 연결로드(26)가 스텝모터(25)의 작동에 따라 상향 이동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버튼판넬(20)은 하나의 판넬(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27)는 버튼판넬(2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판넬(20)의 외측면에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변속신호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버튼부(30)가 부착되고, 상기 버튼판넬(20)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버튼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어부(40)가 부착된다.
상기 제어부(40)는, 버튼부(30)로부터 발생된 변속신호를 인식하여 차량의 TCU(Transmission Control Unit, 미도시)로 전달함으로써, 운전자의 변속의지를 차량의 변속기(미도시)에 반영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40)를 통해 변속신호를 차량의 TCU로 전달하고, 차량의 TCU에서 변속기를 제어하여 변속단을 변경하는 과정은 종래 전자식 변속레버의 변속단을 변경하는 과정과 유사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다수의 버튼부(30)는, 구체적으로 P단 버튼부(30a), R단 버튼부(30b), N단 버튼부(30c), D단 버튼부(30d)로 구분되고, 각각의 버튼부(30)에 대응하여 P단 제어부(40a), R단 제어부(40b), N단 제어부(40c), D단 제어부(40d)가 구성된다.
물론, 상기 다수의 버튼부(30)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단 버튼부는 버튼판넬에 형성하지 않고 차량의 내부에 별도로 구성하고, 버튼판넬에는 R단 버튼부, N단 버튼부, D단 버튼부만 구성하는 방식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터페시아의 중공(11)은 다수의 구획부(12)에 의해 구획되고(도시된 실시예에서는 3개의 구획부에 의해 4개의 공간으로 구획), 상기 구획부(12)에는 다수의 유도가이드(13)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상기 구획부(12) 및 유도가이드(13)는, 버튼판넬(20)의 팝업시 버튼판넬이 안정적으로 팝업될 수 있도록 버튼판넬의 좌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유도가이드(13)는 버튼판넬(20)에서 팝업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버튼판넬의 안정적인 팝업을 도와주며, 구획부(12)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버튼판넬(20)에는 구획부(12)의 위치에 대응하여 버튼판넬(20)을 세로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슬롯부(21)가 형성되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3개의 구획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3개의 슬롯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버튼판넬(20)에 형성된 다수의 슬롯부(21)에 따라 다수의 버튼부(30)는 P단 버튼부(30a), R단 버튼부(30b), N단 버튼부(30c) 및 D단 버튼부(30d)로 나누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외측홈, 제 2 외측홈 및 내측홈이 형성된 버튼판넬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외측홈, 제 2 외측홈 및 내측홈이 형성된 버튼판넬의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팝업 전·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팝업 전·후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판넬(20)의 상부 외측면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제 1 외측홈(22)이 함몰 형성되고, 버튼판넬의 하부 외측면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제 2 외측홈(23)이 함몰 형성되며, 버튼판넬의 중앙 내측면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내측홈(24)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내측홈(24)은 제 1 외측홈(22)과 제 2 외측홈(23)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외측홈(22), 제 2 외측홈(23) 및 내측홈(24)에 의해 버튼판넬(20)은 항상 일정한 형상으로 중공(1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도 7(a) 및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판넬(20)의 팝업 전, 버튼판넬(20)은 센터페시아(10) 면과 수평한 면을 이룰 수 있도록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도 7(b)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위치조절버튼(14)을 눌러 스텝모터(25)를 작동시키면, 연결로드(26)는 상향 이동되어 버튼판넬(20)을 팝업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버튼판넬(20)은 제 1 외측홈(22), 제 2 외측홈(23) 및 내측홈(24)에 의해 일정한 형상으로 팝업되며,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버튼판넬(20) 측면의 형상은 삼각형을 이루게 된다.
도 8(b)에 도시된 것처럼 팝업된 버튼판넬(20)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 하부 꼭짓점(스텝모터와 가장 가까운 꼭짓점)은 제 2 외측홈(23)이 배치되는 부분이고, 상부 꼭짓점(스텝모터와 가장 먼 꼭짓점)은 제 1 외측홈(22)이 배치되는 부분이며, 돌출 꼭짓점(삼각형 형상 중 돌출된 부분의 꼭짓점)은 내측홈(24)이 배치되는 부분이다.
도시된 것처럼 운전자는 자신의 체형이나 취향에 따라 위치조절버튼(14)을 자유롭게 조작하여 버튼판넬(20)이 팝업되는 정도를 자유롭게 조정함으로써, 최적의 버튼 조작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형이 작은 운전자는 운전석을 앞으로 당겨서 앉으므로 버튼판넬(20)을 최대한 상승시키는 것이 유리하고, 체형이 큰 운전자는 운전석을 뒤로 밀어서 앉으므로 버튼판넬을 조금만 상승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버튼을 선호하는 운전자에게는 버튼판넬(20)을 최대한 상승시키는 것이 유리하고, 수평방향으로 누르는 버튼을 선호하는 운전자에게는 버튼판넬을 조금만 상승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외측홈(22), 제 2 외측홈(23) 및 내측홈(24)은 다수의 버튼부(30)의 위치에 대응하여 다수 개로 나뉘어 형성되고, 다수의 제 1 외측홈, 제 2 외측홈 및 내측홈은 다수의 버튼부마다 각각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버튼부(30)의 돌출 위치가 각각 다르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외측홈(22)은, P단 버튼부(30a)의 위치에 대응되는 P단 제 1 외측홈(22a), R단 버튼부(30b)의 위치에 대응되는 R단 제 1 외측홈(22b), N단 버튼부(30c)의 위치에 대응되는 N단 제 1 외측홈(22c) 및 D단 버튼부(30d)의 위치에 대응되는 D단 제 1 외측홈(22d)으로 구분된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제 2 외측홈(23)은 P단 제 2 외측홈(23a), R단 제 2 외측홈(23b), N단 제 2 외측홈(23c) 및 D단 제 2 외측홈(23d)으로 구분되고, 상기 내측홈(24)은 P단 내측홈(24a), R단 내측홈(24b), N단 내측홈(24c) 및 D단 내측홈(24d)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P단 제 1 외측홈(22a)은 R단 제 1 외측홈(22b)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되고, R단 제 1 외측홈(22b)은 N단 제 1 외측홈(22c)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되며, N단 제 1 외측홈(22c)은 D단 제 1 외측홈(22d)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되어, 계단형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P단 제 2 외측홈(23a), R단 제 2 외측홈(23b), N단 제 2 외측홈(23c) 및 D단 제 2 외측홈(23d)도 계단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P단 내측홈(24a), R단 내측홈(24b), N단 내측홈(24c) 및 D단 내측홈(24d)도 계단형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판넬(20)의 팝업시, P단 버튼부(30a), R단 버튼부(30b), N단 버튼부(30c) 및 D단 버튼부(30d)는 계단형으로 돌출되며, 운전자는 한눈에 버튼부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변속 오조작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1 외측홈(22), 제 2 외측홈(23) 및 내측홈(24)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 외측홈, 제 2 외측홈 및 내측홈과 마찬가지로 버튼부(30)의 위치에 대응하여 다수 개로 나뉘어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P단 제 1 외측홈(22a) 및 N단 제 1 외측홈(22c)은 R단 제 1 외측홈(22b) 및 D단 제 1 외측홈(22d)보다 각각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되고, P단 제 2 외측홈(23a) 및 N단 제 2 외측홈(23c)도 R단 제 2 외측홈(23b) 및 D단 제 2 외측홈(23d)보다 각각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되며, P단 내측홈(24a) 및 N단 내측홈(24c)도 R단 내측홈(24b) 및 D단 내측홈(24d)보다 각각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판넬(20)의 팝업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P단 버튼부(30a) 및 N단 버튼부(30c)는 R단 버튼부(30b) 및 D단 버튼부(30d)보다 각각 상대적으로 상부에서 돌출된다.
이에 따라, 변속 오조작이 방지되는 효과뿐만 아니라, 차량의 충돌사고시 운전자가 무의식적으로 버튼부(30)를 눌렀을 때, P단 및 N단, 즉 정지단이 무조건 다른 변속단보다 먼저 조작되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피해를 최대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가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를 내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버튼판넬(20)은, 그 좌측이 센터페시아(10)에 결합되고 우측에 스텝모터(25)가 연결되며, 상기 스텝모터(25)는 좌우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튼판넬에서 다수의 버튼부가 좌우로 나란히 배치된 상태에서 팝업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버튼판넬(20)에서 다수의 버튼부(30)는 상하로 나란히 배치된 상태에서 팝업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와 버튼부의 배치 방법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작동 방식은 거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수의 버튼부(30)는 운전자와 90°를 이루어 운전자가 변속단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손과의 위치도 더욱 가까워져 변속 조작이 더욱 쉬워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는, 도 13 및 도 14처럼 버튼부(30)가 상하로 배치된 상태에서 팝업되고, 도 11 및 도 12처럼 제 1 외측홈(22), 제 2 외측홈(23) 및 내측홈(24)이 다수 개로 나뉘어 구성된다.
이에 따라, 차량의 충돌사고시 운전자가 무의식적으로 버튼부(30)를 눌렀을 때 정지단(P단, N단)이 먼저 조작됨과 동시에 D단 버튼부(30d)가 최상단에 배치되어 운전자가 D단 조작을 쉽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센터페시아 11 : 센터페시아의 중공
12 : 구획부 13 : 유도가이드
14 : 위치조절버튼 20 : 버튼판넬
21 : 슬롯부 22 : 제 1 외측홈
22a : P단 제 1 외측홈 22b : R단 제 1 외측홈
22c : N단 제 1 외측홈 22d : D단 제 1 외측홈
23 : 제 2 외측홈 23a : P단 제 2 외측홈
23b : R단 제 2 외측홈 23c : N단 제 2 외측홈
23d : D단 제 2 외측홈 24 : 내측홈
24a : P단 내측홈 24b : R단 내측홈
24c : N단 내측홈 24d : D단 내측홈
25 : 스텝모터 26 : 연결로드
27 : 지지부 30 : 버튼부
30a : P단 버튼부 30b : R단 버튼부
30c : N단 버튼부 30d : D단 버튼부
40 : 제어부 40a : P단 제어부
40b : R단 제어부 40c : N단 제어부
40d : D단 제어부

Claims (6)

  1. 중공이 형성된 센터페시아에 배치되며, 일측이 센터페시아에 결합되고 타측에 스텝모터가 연결되는 버튼판넬; 상기 버튼판넬의 외측면에 부착되며, 변속신호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버튼부; 및 상기 버튼판넬의 내측면에 부착되며, 버튼부로부터 발생된 변속신호를 차량의 TCU(Transmission Control Unit)로 전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판넬의 일단에 배치되며, 버튼판넬의 외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제 1 외측홈; 상기 버튼판넬의 타단에 배치되며, 버튼판넬의 외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제 2 외측홈; 및 상기 버튼판넬 상에서 제 1 외측홈과 제 2 외측홈의 사이에 배치되며, 버튼판넬의 내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내측홈; 을 더 포함하되,
    다수의 상기 버튼부는 P단 버튼부, R단 버튼부, N단 버튼부 및 D단 버튼부로 나누어지고,
    상기 제 1 외측홈, 제 2 외측홈 및 내측홈은 다수의 버튼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다수 개로 나뉘어 형성되며,
    다수의 제 1 외측홈, 제 2 외측홈 및 내측홈은 다수의 버튼부마다 각각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버튼부의 돌출 위치가 계단형 또는 P단 버튼부와 N단 버튼부가 R단 버튼부와 D단 버튼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페시아의 중공을 구획하는 다수의 구획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유도가이드; 및
    상기 구획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버튼판넬에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슬롯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판넬은, 그 상측이 센터페시아에 결합되고 하측에 스텝모터가 연결되며,
    상기 스텝모터는 상하로 이동되어 버튼판넬을 중공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판넬은, 그 좌측이 센터페시아에 결합되고 우측에 스텝모터가 연결되며,
    상기 스텝모터는 좌우로 이동되어 버튼판넬을 중공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
KR1020150019906A 2015-02-10 2015-02-10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 KR101662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906A KR101662533B1 (ko) 2015-02-10 2015-02-10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906A KR101662533B1 (ko) 2015-02-10 2015-02-10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739A KR20160097739A (ko) 2016-08-18
KR101662533B1 true KR101662533B1 (ko) 2016-10-05

Family

ID=56874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9906A KR101662533B1 (ko) 2015-02-10 2015-02-10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5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51347B (zh) * 2017-06-05 2021-08-27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推压式换档装置
CN109404524B (zh) * 2018-10-08 2020-04-10 宁波高发汽车控制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按键式换挡器的控制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2583A (ja) * 2001-03-27 2002-10-02 Nippon Kentetsu Co Ltd 洗濯機の蓋開閉構造
KR101303564B1 (ko) 2012-08-23 2013-09-09 에스엘 주식회사 자동차의 변속기 노브 각도 및 위치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6816A (ko) * 2011-09-06 2013-03-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튼식 기어 조작기구
KR101982858B1 (ko) * 2013-02-28 2019-08-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팝업식 변속레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2583A (ja) * 2001-03-27 2002-10-02 Nippon Kentetsu Co Ltd 洗濯機の蓋開閉構造
KR101303564B1 (ko) 2012-08-23 2013-09-09 에스엘 주식회사 자동차의 변속기 노브 각도 및 위치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739A (ko)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53038A1 (en) Pop-up type electronic auto shift lever
US10830337B2 (en) Multifunctional electronic gear shift lever for simultaneous manipula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499224B1 (ko) 부채형 전자식 변속레버
KR101527054B1 (ko) 큐브 타입 전자식 변속레버
KR101982859B1 (ko) 회전 타입 전자식 변속 레버
KR101511561B1 (ko) 슬라이드 조작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KR100604441B1 (ko) 자동변속기용 햅틱 변속 장치
KR101527059B1 (ko) 회전바 타입 전자식 변속레버
KR101612368B1 (ko) 드라이브 바이 와이어 시스템용 레버
KR101488371B1 (ko) 룰렛형 전자식 자동 변속레버
KR102105842B1 (ko) 시연형 전자식 변속레버 및 그 제어방법
KR101954191B1 (ko) 이중 힌지를 이용한 변속제어장치
KR101662533B1 (ko)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
KR101488367B1 (ko) 플랩형 전자식 자동 변속레버
KR101746445B1 (ko) 원통형 전자식 변속 레버
US9032830B2 (en) Transmission shift selector assembly
KR101704253B1 (ko)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
KR101439160B1 (ko) 전자식 변속 레버
KR101439137B1 (ko)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JP6003785B2 (ja) 車両のシフト装置
JP2014094695A (ja) 車両のシフト装置
EP2639803B1 (en) Steering switch device
KR101612377B1 (ko) 주사위형 전자식 변속레버 및 그 제어방법
US9360105B2 (en) Organ type electronic shift lever
KR101662542B1 (ko) 양방향 분할형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