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616B1 - 경사면 평탄화장치 - Google Patents

경사면 평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616B1
KR101661616B1 KR1020150188891A KR20150188891A KR101661616B1 KR 101661616 B1 KR101661616 B1 KR 101661616B1 KR 1020150188891 A KR1020150188891 A KR 1020150188891A KR 20150188891 A KR20150188891 A KR 20150188891A KR 101661616 B1 KR101661616 B1 KR 101661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carriage
cylinder
frame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수경
Original Assignee
바우컴퍼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우컴퍼니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우컴퍼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8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0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screw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1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wheels turning round an axis, e.g. bucket-type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1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wheels turning round an axis, e.g. bucket-type wheels
    • E02F3/181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wheels turning round an axis, e.g. bucket-type wheels including a convey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76Graders, bulldozers, or the like with scraper plates or ploughshare-like elements; Levelling scarify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면 평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산, 언덕, 숲 등에 형성되는 비탈경사면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비탈경사면을 보다 용이하게 한번에 일정간격 및 일정깊이로 파쇄 및 평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경사면 평탄화장치{The slope flattening device}
본 발명은 산, 언덕, 숲 등에 형성되는 비탈경사면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비탈경사면을 보다 용이하게 한번에 일정간격 및 일정깊이로 파쇄 및 평탄화할 수 있는 경사면 평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토양을 굴삭하는 장비로서 아암의 선단에 결합되는 작업장치에 의하여 백호(back-ho), 클램셀(clam-shell), 셔블(shovel), 해머(hammer), 오렌지파일(orange-peel)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장비이다.
특히, 굴삭기는 택지조성사업, 도로 및 하수도 공사, 해천개조 및 치수공사, 터널 및 지하철 공사, 토석 채취작업, 임야개간공사, 토사 적재작업 등등의 다양한 작업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다양한 작업들은 주로 아암의 선단에 결합되는 버켓 등을 작업목적에 적합한 것으로 교체함으로서 가능하다.
한편, 종래에 작업 용지내의 지면을 평탄작업을 하고자 할 때 평탄작업장치를 이용하는바, 주로 버켓에 평탄작업판을 직접 결합시키도록 된 것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최근에는 굴삭기의 선단에 탈부착되어 지면을 안정적으로 평탄화할 수 있도록 한 굴삭기용 평탄장치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제10-1576556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제10-1576556호(굴삭기용 평탄장치)의 경우 산, 언덕, 숲 등에 형성되는 비탈경사면 둘레를 따라 이동하면서 일정깊이로 비탈경사면을 평탄화하기가 여의치 않음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제10-157655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산, 언덕, 숲 등에 형성되는 비탈경사면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비탈경사면을 보다 용이하게 한번에 일정간격 및 일정깊이로 파쇄 및 평탄화할 수 있는 경사면 평탄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행부와; 상기 주행부의 전측부에 설치되는 마스트레일과; 상기 마스트레일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에 설치되어 경사면을 평탄화하는 평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평탄화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평탄부는 경사면의 흙을 파쇄하는 파쇄부와, 상기 파쇄부에 의해 파쇄된 흙을 경사진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평탄부는 상기 캐리지에 좌우로 회전가능하도록 축고정되고, 상기 평탄부가 경사면에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평탄부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좌우회전부재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평탄부의 좌우회전부재는 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의 몸체는 상기 캐리지에 회전고정되고,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로드의 단부는 상기 평탄부에 회전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탄부는 상기 캐리지의 전측에 축고정되는 후측프레임과; 상기 후측프레임의 상부 전측에 형성되는 상측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파쇄부는 상기 상측프레임의 전측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되는 복수의 수직회전축과; 복수의 상기 수직회전축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파쇄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송부는 상측프레임의 후측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수평회전축과; 상기 수평회전축의 외면에 형성되는 이송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파쇄부의 복수의 수직회전축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고정링이 형성되고, 상기 파쇄블레이드는 복수의 상기 고정링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교대로 구비되는 복수의 상향경사날 및 복수의 하향경사날로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상향경사날은 복수의 상기 상향경사날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복수의 상기 고정링의 상부 외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지며, 복수의 상기 하향경사날은 복수의 상기 하향경사날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복수의 상기 고정링의 하부 외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복수의 상기 상향경사날의 내측면 및 복수의 상기 하향경사날의 내측면에 각각 상기 복수의 상기 수직회전축의 외면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날개판이 일정길이로 상하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후측프레임의 하측에 후측커버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후측커버의 하부는 상기 후측프레임의 하부 전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캐리지에 천공할 부위를 표시하는 마커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마커부는 상기 캐리지에 구비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로드의 단부에 구비되는 마커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주행부의 후측부에 천공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주행부의 후측부에 전단부가 축고정되고, 후단부에 상기 천공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천공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후단부가 축고정되고, 전단부가 주행부의 후측부에 축고정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단부를 좌우회전이동시키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좌우회전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마스트레일 하부가 상기 주행부의 전측부 하부에 축고정되고, 상기 주행부의 전측부 상부에는 상기 마스트레일 하부를 상기 주행부의 전측부 하부에 결합시키는 축을 기준으로 경사시키는 경사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산, 언덕, 숲 등에 형성되는 비탈경사면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비탈경사면을 보다 용이하게 한번에 일정간격 및 일정깊이로 파쇄 및 평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경사면 평탄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파쇄부와 이송부를 확대한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3은 파쇄부와 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배면사시도이고,
도 4는 평탄부가 경사면을 평탄화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마커부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은 천공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좌우회전부재가 지지프레임을 좌우회전이동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경사부재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경사면 평탄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파쇄부와 이송부를 확대한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3은 파쇄부와 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배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경사면 평탄화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주행부(10), 마스트레일(20), 캐리지(30) 및 평탄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주행부(10)의 하부에는 무한궤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퀴부재(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주행부(10)는 산, 언덕, 숲 등에 형성되는 비탈경사면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마스트레일(20)은 상기 주행부(10)의 전측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캐리지(3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마스트레일(20)의 내측에 상기 마스트레일(20)의 상하방향으로 승강부재(300)에 의해 승강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300)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축될 수 있는 유압실린더 등을 포함한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승강부재(300)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몸체(301)의 하측은 상기 마스트레일(20)의 후측 하부 중심부에 축결합될 수 있고, 상기 승강부재(300)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피스톤로드(302)의 상측은 상기 캐리지(30)의 후측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평탄부(40)는 상기 캐리지(30)의 전측에 설치되어 산, 언덕, 숲 등에 형성되는 비탈경사면을 평탄화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평탄부(40)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쇄부(410)와 이송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파쇄부(410)는 산, 언덕, 숲 등에 형성되는 비탈경사면의 흙을 파쇄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420)는 상기 파쇄부(410)에 의해 파쇄된 흙을 경사진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도 4는 평탄부가 경사면을 평탄화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평탄부(40)가 산, 언덕, 숲 등에 형성되는 비탈경사면의 흙을 수평으로 파쇄하면서 평탄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평탄부(40)는 상기 캐리지(30)의 전측에 상기 캐리지(3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평탄부(40)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산, 언덕, 숲 등에 형성되는 비탈경사면(3)에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평탄부(40)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좌우회전부재(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우회전부재(5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축되는 유압실린더 등을 포함한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회전부재(50)를 구성하는 실린더의 몸체(501)는 상기 캐리지(30)의 전측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축고정될 수 있다.
상기 좌우회전부재(50)를 구성하는 실린더의 피스톤로드(502)의 하단부는 상기 평탄부(40)의 후술할 상측프레임(440)의 상부 일측 또는 상부 타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축고정될 수 있다.
상기 평탄부(40)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측프레임(430)과 상측프레임(4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프레임(430)의 중심부 하측은 상기 캐리지(30)의 전측 하부 중심부에 축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측프레임(440)은 상기 후측프레임(430)의 상부 전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쇄부(410)는 복수의 수직회전축(411)과 파쇄블레이드(4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수직회전축(411)은 상기 상측프레임(440)의 전측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정역회전가능하게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측프레임(440)의 전측에는 복수의 상기 수직회전축(411)을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4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450)는 상기 상측프레임(440)의 전측 상부에 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수직회전축(411)으로 정역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박스(451)와; 상기 기어박스(451)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기어박스(451)의 상부에 수직구비되어 상기 기어박스(451)를 통해 복수의 상기 수직회전축(411)을 정역회전시키는 유압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동모터(45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파쇄블레이드(412)는 복수의 상기 수직회전축(411)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420)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회전축(421)과 이송스크류(4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회전축(421)은 상기 상측프레임(440)의 후측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정역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422)는 상기 수평회전축(421)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프레임(440)의 일측에는 상기 수평회전축(421)을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4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460)는 상기 상측프레임(44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평회전축(421)으로 정역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박스(461)와; 상기 기어박스(461)의 상부에 축결합되어 상기 기어박스(461)를 통해 상기 수평회전축(421)을 정역회전시키는 유압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동모터(462);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산, 언덕, 숲 등에 형성되는 비탈경사면(3)이 상기 주행부(10)의 일측상부에서 타측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질 경우, 상기 이송부(420)는 상기 파쇄부(410)에 의해 파쇄된 흙을 경사진 방향 즉, 상기 주행부(10)의 타측 방향으로 이송(도 4의 점섬 화살표 참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파쇄부(410)의 복수의 수직회전축(411)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고정링(413)이 일체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쇄블레이드(412)는 복수의 상기 고정링(413)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교대로 구비되는 복수의 상향경사날(412a) 및 복수의 하향경사날(412b)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상향경사날(412a)은 복수의 상기 상향경사날(412a)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복수의 상기 고정링(413)의 상부 외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상향경사날(412a)은 복수의 상기 수직회전축(411)을 따라 정역회전하면서 산, 언덕, 숲 등에 형성되는 비탈경사면(3)의 흙을 파쇄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하향경사날(412b)은 복수의 상기 하향경사날(412b)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복수의 상기 고정링(413)의 하부 외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하향경사날(412b)은 복수의 상기 수직회전축(411)을 따라 정역회전하면서 산, 언덕, 숲 등에 형성되는 비탈경사면(3)의 흙을 파해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상향경사날(412a)의 내측면 및 복수의 상기 하향경사날(412b)의 내측면에 각각 복수의 상기 상향경사날(412a) 및 복수의 상기 하향경사날(412b)과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복수의 상기 수직회전축(411)의 외면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날개판(412c)이 일정길이로 상하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날개판(412)은 복수의 상기 수직회전축(411)을 따라 정역회전하면서 복수의 상기 상향경사날(412a)에 의해 파쇄된 흙 및 복수의 상기 하향경사날(412b)에 의해 파해쳐진 흙을 상기 상측프레임(440)의 후측 하부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후측프레임(430)의 후측방향으로 흙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측프레임(430)의 하측에 후측커버(47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커버(470)의 상부는 상기 후측프레임(430)의 하측에 일체연결 또는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측커버(470)가 흙을 상기 후측커버(470)의 하부 전측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후측커버(470)의 하부는 상기 후측프레임(430)의 하부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만곡 또는 절곡된 상태로 연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캐리지(30)의 후측면 일측 또는 후측면 타측에는 비탈경사면(3)의 평탄화부위에 천공할 부위를 표시하는 마커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커부(60)는 유압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실린더(610)와 마커핀(6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커부(60)의 실린더(610)는 상기 캐리지(30)의 후측면 일측 또는 후측면 타측에 수직으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커핀(620)은 상기 실린더(610)의 피스톤로드(611)의 하단부에는 구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마커부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마커부(60)의 실린더(610)의 피스톤로드(611)의 길이가 신축되어 상기 마커핀(620)이 비탈경사면(3)의 평탄화부위에 일정깊이로 삽입되어 홈을 형성하면서 천공할 부위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천공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주행부(10)의 후측부에는 상기 주행부(10)의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하면서 상기 마커핀(620)이 표시한 천공할 부위를 일정깊이로 천공하는 천공부재(70)가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천공부재(70)를 통해 천공한 부위에는 나무 등의 식재하고자 하는 식재대상물이 식재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주행부(10)의 후측부에는 일예로, 상기 마커핀(620)이 표시한 천공할 부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등의 촬영부가 구비될 수 있고, 작업자는 상기 주행부(10)의 운전석에 구비되어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상기 마커핀(620)이 표시한 천공할 부위의 상부방향으로 상기 천공부재(70)가 위치하도록 상기 주행부(10)를 주행시킬 수 있다.
상기 천공부재(70)는 유압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실린더(710), 유압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동모터(720), 회전축(730) 및 스크류날(7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710)의 로드(711)의 하단부에 상기 구동모터(720)가 수직구비될 수 있고, 상기 실린더(710)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720)와 함께 상기 회전축(730) 및 상기 스크류날(740)이 승강운동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730)은 상기 구동모터(7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정역회전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날(740)은 상기 회전축(730)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730)을 따라 정역회전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좌우회전부재가 지지프레임을 좌우회전이동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주행부(10)가 산, 언덕, 숲 등에 형성되는 비탈경사면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 중에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마커핀(620)이 표시한 천공할 부위(P)의 일측 또는 타측방향에 상기 천공부재(70)가 위치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커핀(620)이 표시한 천공할 부위(P)의 상부방향에 상기 천공부재(70)를 보다 용이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주행부(10)의 후측부에 지지프레임(80)과 좌우회전부재(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80)의 전단부는 상기 주행부(10)의 후측부 상부 중앙에 축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80)의 후단부에 상기 천공부재(70)의 실린더(710)가 수직구비된 상태로 상기 지지프레임(80)은 상기 천공부재(70)를 일정높이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좌우회전부재(90)는 유압실린더 등을 포함한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좌우회전부재(90)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전단부는 상기 주행부(10)의 후측부 일측에 축고정될 수 있고, 상기 좌우회전부재(90)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후단부는 상기 지지프레임(80)의 일측면에 축고정될 수 있다.
상기 좌우회전부재(90)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전후길이가 신축됨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80)의 후단부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회전이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마커핀(620)이 표시한 천공할 부위(P)의 상부방향에 상기 천공부재(70)를 보다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 및 도 11은 경사부재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마스트레일(20)의 하부가 상기 주행부(10)의 전측부의 하부에 축고정될 수 있다.
상기 주행부(10)의 전측부 상부에는 상기 마스트레일(20) 하부를 상기 주행부(10)의 전측부 하부에 결합시키는 축(21)을 기준으로 사선방향으로 경사시키는 경사부재(1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재(110)는 유압실린더 등의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사부재(110)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전측은 상기 마스트레일(20)의 일측 중심부에 축고정될 수 있고, 상기 경사부재(110)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후측은 상기 주행부(10)의 전측부 상부에 축고정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재(110)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길이가 신축됨에 따라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축(21)을 기준으로 상기 마스트레일(20)이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산, 언덕, 숲 등에 형성되는 비탈경사면(3)을 사선방향으로 평탄화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산, 언덕, 숲 등에 형성되는 비탈경사면(3)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비탈경사면(3)을 보다 용이하게 한번에 일정간격 및 일정깊이로 파쇄 및 평탄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주행부, 20; 마스트레일,
30; 캐리지, 40; 평탄부.

Claims (14)

  1. 주행부(10)와;
    상기 주행부(10)의 전측부에 설치되는 마스트레일(20)과;
    상기 마스트레일(20)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는 캐리지(30)와;
    상기 캐리지(30)의 전측에 고정되는 후측프레임(430)과, 상기 후측프레임(430)의 상부 전측에 형성되는 상측프레임(440)과, 상기 상측프레임(440)의 전측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되는 복수의 수직회전축(411)과 복수의 상기 수직회전축(411)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파쇄블레이드(412)로 구성되어 경사면의 흙을 파쇄하는 파쇄부(410)와, 상기 상측프레임(440)의 후측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수평회전축(421)과 상기 수평회전축(421)의 외면에 형성되는 이송스크류(422)로 구성되어 상기 파쇄부(410)에 의해 파쇄된 흙을 경사진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420)로 이루어져 경사면을 평탄화하는 평탄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평탄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40)의 후측프레임(430)은 상기 캐리지(30)의 전측에 축고정되고, 상기 평탄부(40)가 경사면에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평탄부(40)를 상기 캐리지(30)의 좌우로 회전이동시키는 좌우회전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평탄화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회전부재(50)는 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의 몸체(501)는 상기 캐리지(30)에 회전고정되고,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로드(502)의 단부는 상기 평탄부(40)에 회전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평탄화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410)의 복수의 수직회전축(411)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고정링(413)이 형성되고,
    상기 파쇄블레이드(412)는 복수의 상기 고정링(413)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교대로 구비되는 복수의 상향경사날(412a) 및 복수의 하향경사날(412b)로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상향경사날(412a)은 복수의 상기 상향경사날(412a)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복수의 상기 고정링(413)의 상부 외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지며,
    복수의 상기 하향경사날(412b)은 복수의 상기 하향경사날(412b)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복수의 상기 고정링(413)의 하부 외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평탄화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상향경사날(412a)의 내측면 및 복수의 상기 하향경사날(412b)의 내측면에 각각 상기 복수의 상기 수직회전축(411)의 외면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날개판(412c)이 일정길이로 상하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평탄화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프레임(430)의 하측에 후측커버(47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평탄화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커버(470)의 하부는 상기 후측프레임(430)의 하부 전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평탄화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30)에 천공할 부위를 표시하는 마커부(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평탄화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부(60)는 상기 캐리지(30)에 구비되는 실린더(610)와;
    상기 실린더(610)의 피스톤로드(611)의 단부에 구비되는 마커핀(6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평탄화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10)의 후측부에 천공부재(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평탄화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10)의 후측부에 전단부가 축고정되고, 후단부에 상기 천공부재(70)가 구비되어 상기 천공부재(7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80)과;
    상기 지지프레임(80)에 후단부가 축고정되고, 전단부가 주행부(10)의 후측부에 축고정되어 상기 지지프레임(80)의 후단부를 좌우회전이동시키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좌우회전부재(9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평탄화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레일(20) 하부가 상기 주행부(10)의 전측부 하부에 축고정되고,
    상기 주행부(10)의 전측부 상부에는 상기 마스트레일(20) 하부를 상기 주행부(10)의 전측부 하부에 결합시키는 축(21)을 기준으로 경사시키는 경사부재(1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 평탄화장치.
  13. 삭제
  14. 삭제
KR1020150188891A 2015-12-29 2015-12-29 경사면 평탄화장치 KR101661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891A KR101661616B1 (ko) 2015-12-29 2015-12-29 경사면 평탄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891A KR101661616B1 (ko) 2015-12-29 2015-12-29 경사면 평탄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1616B1 true KR101661616B1 (ko) 2016-09-30

Family

ID=57079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891A KR101661616B1 (ko) 2015-12-29 2015-12-29 경사면 평탄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61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1623A (en) * 1975-09-22 1977-08-16 Miller Formless Co., Inc. Grade cutting machine
KR200296583Y1 (ko) * 2002-08-31 2002-11-29 박행제 트랙터의 버켓 결합구조
KR101576556B1 (ko) 2015-05-29 2015-12-10 김원기 굴삭기용 평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1623A (en) * 1975-09-22 1977-08-16 Miller Formless Co., Inc. Grade cutting machine
KR200296583Y1 (ko) * 2002-08-31 2002-11-29 박행제 트랙터의 버켓 결합구조
KR101576556B1 (ko) 2015-05-29 2015-12-10 김원기 굴삭기용 평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330131B2 (en) Cutting apparatus
CN106194171B (zh) 一种自适应性采掘一体机
US3314175A (en) Earth scraper
JP2007297859A (ja) 穴あけ具
CA2441988A1 (en) Vertical underground stump grinding apparatus
JP4234120B2 (ja) 地中連続壁の施設方法
KR101661616B1 (ko) 경사면 평탄화장치
EP0283286A2 (en) Apparatus for removing a surface layer from the ground
AU2018254652B2 (en) Cutting apparatus
US4098012A (en) Auger-type thin-keeled excavating machine
JP4997793B2 (ja) 掘削装置及び掘削方法
US5366029A (en) Large shaft over-reamer apparatus and method
US4640551A (en) Rock saw unit for hard rock earth formations
JP6863580B2 (ja) 根菜掘り取り機
JP3512012B2 (ja) 掘進機の掘進方法
US11047235B2 (en) Cutting apparatus
JP2004143740A (ja) 穿孔機
DE3011578A1 (de) Einrichtung zum maschinellen abteufen von seigeren schaechten
KR102266106B1 (ko) 암반 굴착 모니터링 시스템
DE19753349C2 (de) Unterwasser-Bodenabbaugerät
DE2542242A1 (de) Ausschachtgeraet
JP3085215B2 (ja) 掘進機
KR200443898Y1 (ko) 구동유닛 일체형 이동식 천공장치
JP3418286B2 (ja) 掘進機
JP2020101086A (ja) トンネル掘削機、及び、コンクリート又はモルタルの吹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