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448B1 - 푸시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시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448B1
KR101659448B1 KR1020110050143A KR20110050143A KR101659448B1 KR 101659448 B1 KR101659448 B1 KR 101659448B1 KR 1020110050143 A KR1020110050143 A KR 1020110050143A KR 20110050143 A KR20110050143 A KR 20110050143A KR 101659448 B1 KR101659448 B1 KR 101659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button
case
pedesta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920A (ko
Inventor
타카히사 키타하라
아츠시 이치무라
Original Assignee
도쿄파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쿄파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쿄파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04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64Limitation of actuating pressure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받침대(40) 상에 배치된 스위치(30)를 수용하는 케이스(10)의 상부에, 연질의 버튼(20)을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받침대(40)로서, 스위치(30)가 재치되는 베이스부(41)와, 베이스부(41)의 상면에 스위치의 본체부(32)보다 높게 본체부(32)의 주위를 둘러싸는 커버부(42)와, 베이스부(41)의 하면에 형성되어 케이스(10)의 내측에 걸림고정되는 스토퍼부(43)를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한 것을 이용하였다.

Description

푸시 스위치{PUSH SWITCH}
본 발명은, 연질의 버튼을 이용한 푸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9-146806호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체(111)와, 베이스체(111) 상에 배치된 스위치 기판(116) 및 스위치 본체(112)와, 스위치 본체(112) 상에 배치된 키 탑(Key Top; 114)과, 키 탑(114)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하여 스위치 본체(112)를 수용하는 케이스(115)를 구비하며, 스위치 본체(112)와 키 탑(114)과의 사이에, 케이스(115)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키 탑(114)을 유지시키는 탄성걸림결합부재(113)를 설치한 푸시 스위치(110)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4-327126호에는, 차량용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행하는 푸시 스위치로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도어 잠금 장치의 아웃사이드 핸들(125) 내에 장착되며, 연질의 버튼(121)의 보스(boss)부(122)에 의해 가압되는 스위치(123)에, 스위치 캡(124)을 씌운 푸시 스위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 캡(124)은, 아웃사이드 핸들(125)에 고정되는 스위치 케이스(126)의 개구의 둘레 가장자리에 끼움부착되며, 상기 스위치 케이스(126)에는 또한 스위치 플레이트(127)가 끼움부착되어 있다.
상기 푸시 스위치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버튼(121)이 눌려지면, 버튼(121)의 두께가 얇은 부분(131)이 변형됨으로써, 보스부(122)가 스위치 캡(124)을 가압하고, 그 가압력에 의해 스위치(123)를 눌러, 스위치가 온(ON)으로 된다.
도 5와 같은 푸시 스위치에서는, 키 탑(114)이 과도한 힘으로 가압되면, 탄성걸림결합부재(113)의 두께가 얇은 부분이 필요 이상으로 신장되어, 탄성걸림결합부재(113)의 하면이 스위치 본체(112)의 모서리부에 닿게 되면서, 탄성걸림결합부재(113)에 균열이 생겨 파손될 위험성이 있으므로, 내구성 및 신뢰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키 탑(114)이 과도한 힘으로 가압되면, 스위치 본체(112)나 스위치 기판(116)에 과도한 힘이 작용하여, 이들이 파손될 위험성도 있다.
뿐만 아니라, 스위치 본체(112)가 스위치 기판(116) 상에 재치(載置)되며, 이 스위치 기판(116)을 케이스(115) 내에서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체(111)를 마련해두고 있기 때문에, 부재의 수가 증가하여 비용 상승을 초래한다.
한편,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푸시 스위치에서는, 연질의 버튼(121)이 과도한 힘으로 가압되면, 버튼(121)의 단면(端面; 128)이 스위치 플레이트(127)의 단면(129)에 접촉하여, 가압 하중이 스위치 케이스(126)의 하부로 전달되고, 스위치 케이스(126)와 접촉하는 아웃사이드 핸들(125)의 하중받이부(130)로 도피하기 때문에, 과도한 하중이 스위치(123)에 작용하는 일이 없다.
그러나, 버튼(121)이 도면의 비스듬한 상방으로부터 과도한 하중으로 가압된 경우에는, 버튼(121)의 두께가 얇은 부분(131)이 필요 이상으로 신장되어, 버튼(121)의 두께가 얇은 부분(131)이나 보스부(122)가 스위치 플레이트(127)의 개구부분의 모서리부에 닿게 되어, 두께가 얇은 부분(131)이나 보스부(122)에 균열이 생겨 파손될 위험성이 있다.
또한, 스위치(123)는 기판(132)에 재치되며, 상기 스위치(123)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스위치 플레이트(127)를 설치하였으므로, 부재의 수가 증가하여 비용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게다가, 버튼(121)과 스위치 케이스(126)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푸시 스위치로서는 범용성이 결여되는 동시에, 부착시에 버튼(121)과 스위치 케이스(126)의 위치맞춤이 필요해지므로 작업성이 결여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부재의 수를 삭감하면서, 내구성 및 신뢰성이 높은 푸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는,
받침대(40);
상기 받침대 상에 배치되며, 본체부(32)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조작부(31)와, 단자(33)를 가지는 스위치(30);
상기 받침대 및 상기 스위치를 수용하는 통형상의 케이스(10);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며, 하면이 상기 스위치의 상기 조작부에 대면(對面)하고 있는 연질의 버튼(20);을 구비하며,
상기 받침대(40)는, 상기 스위치(30)가 재치되는 베이스부(41)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상기 스위치의 상기 본체부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주위를 둘러싸는 커버부(42)와,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걸림고정되는 스토퍼부(43)를 가지며,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는, 추가의 바람직한 특징으로서,
「상기 커버부(42)는, 상면의 모서리부가 곡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버튼의 내측에 대해 공간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과,
「상기 베이스부(41)의 하면에 장착된 터미널부재(45); 및
상기 터미널부재(45)에 접속된 리드선(50);을 가지며,
상기 스위치(30)의 상기 단자(33)는, 상기 터미널부재(45)에 접속되어 있는 것」과,
「상기 커버부(42)는, 상기 조작부(31)의 상면보다 낮은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에 의하면, 스위치(30)의 본체부(32)보다 높은 커버부(42)에 의해 본체부(32)의 주위를 둘러쌈으로써, 스위치에 과도한 힘이 작용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어, 내구성 및 신뢰성이 우수해진다. 또한, 스위치가 재치되는 베이스부(41)와, 스위치의 본체부 주위를 둘러싸는 커버부(42)와, 스토퍼부(43)를 일체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받침대(40)를 이용함으로써, 부재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푸시 스위치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커버부(42)의 상면 모서리부를 곡면형상으로 형성하고, 커버부(42)를 버튼(20)의 내측에 대해 공간을 두고 배치한 경우에는, 가압되는 연질의 버튼(20)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푸시 스위치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푸시 스위치의 단면도로서, (a)는 도 1 중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b)는 도 1 중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푸시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푸시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다른 푸시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푸시 스위치(1)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은 상면도, 도 2는 저면도, 도 3(a)는 도 1 중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b)는 도 1 중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푸시 스위치(1)는, 도시가 생략된 차량용 도어 핸들 장치에 장착되는 것이다. 사용자가 도어 잠금 장치를 작동시킬 때에는, 차량용 도어 핸들 장치로부터 노출된 푸시 스위치(1)의 버튼(20)을 가압함으로써 도어의 잠금이나 잠금해제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푸시 스위치(1)는, 케이스(10)와, 버튼(20)과, 스위치(30)와, 받침대(40)와, 리드선(50)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10)는 경질 수지에 의해 통형상으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며, 내측 상부에 걸림결합볼록부(11)를 가지며, 내측 하부에 걸림고정클로(12)를 가지고 있다.
참고로, 걸림결합볼록부(11)는 내측 전체 둘레에 형성되어 있고, 걸림고정클로(12)는 3군데에 형성되어 있다.
버튼(20)은, 고무 등의 탄성을 가지는 연질 수지로 형성되며, 상부 조작벽(21)과, 그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늘어뜨려진 사이드 둘레벽(22)을 구비하며, 하면에 개구를 가지고 있다.
상부 조작벽(21)의 중앙 하면에는, 조작돌기(2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둘레벽(22)에는, 걸림결합오목부(24)와 단차부(2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버튼(20)은, 케이스(10)의 걸림결합볼록부(11)에 걸림결합오목부(24)를 끼워넣도록 하여 케이스(10)에 장착된다.
또한, 푸시 스위치(1)를 도시되지 않은 도어 핸들에 부착시킬 때에는, 버튼(20)의 상부 조작벽(2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도어 핸들의 내측에 장착된다.
스위치(30)는, 원기둥 형상의 조작부(31)와,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부(32)와, 단자(33)를 가진다. 조작부(31)는, 본체부(32) 내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도 3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부(32) 내의 도시되지 않은 탄성부재에 의해 도 3의 상향으로 힘을 받고 있다.
상기 스위치(30)는 받침대(40) 상에 재치되며, 스위치(30)와 받침대(40)는 케이스(10) 내에 수용되어 있다.
받침대(40)는, 경질의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며, 스위치(30)가 재치되는 평판형상의 베이스부(41)와, 베이스부(41)의 상면에 형성된 커버부(42)와, 베이스부(41)의 하면에 형성된 스토퍼부(43)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부(42)는, 스위치(30)의 본체부(32)의 측면에 따라 본체부(32)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커버부(42)의 상면은, 본체부(32)의 상면보다 높고, 평상시(눌려지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의 조작부(31)의 상면보다 낮게 되어 있다.
또한, 커버부(42)의 상면 모서리부(44)는, 외측으로 볼록한 완만한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참고로, 상면 모서리부(44)의 단면(斷面) 형상은, 진원(眞圓)의 원호형상일 필요는 없으며, 임의의 타원(楕圓)의 원호형상이나 모따기된 모서리부도, 곡면형상으로 형성된 모서리부에 포함된다.
스토퍼부(43)는, 케이스(10)의 걸림고정클로(12)에 대응하는 3군데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걸림고정클로(12)에 각각 걸림고정된다.
이에 따라, 받침대(40)는, 베이스부(41)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버튼(20)의 단차부(25)에 끼워진 상태에서 케이스(10)의 내측에 고정된다. 또한, 커버부(42)는 버튼(20)의 내측에 대해 소정의 공간(간극)을 두고 배치되며, 버튼(20)의 조작돌기(23)는 스위치(30)의 조작부(31)에 근접 또는 접촉하여 대면한다.
베이스부(41)의 하면에는, 도전성 터미널부재(45)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터미널부재(45)는, 평판부(45a)와, 평판부(45a)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세워 설치된 접속부(45b)를 가지고 있다.
스위치(30)의 단자(33)는, 베이스부(41)와 평판부(45a)에 설치되어 있는 관통구멍을 통해 하방으로 인출되며, 평판부(45a)에 납땜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터미널부재(45)의 접속부(45b)에는, 리드선(5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리드선(50)은 케이스(10)의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푸시 스위치(1)는, 도 3의 (a)의 도면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버튼(20)의 상부 조작벽(21)이 가압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조작벽(21)이 탄성변형하여, 조작돌기(23)가 조작부(31)를 하방으로 눌러 스위치(30)를 온으로 하고, 리드선(50)에 의해 외부로 신호가 전달된다.
이때, 버튼(20)이 과도한 힘으로 가압되면, 상부 조작벽(21)의 내측이 스위치(30)의 본체부(32)보다 높은 커버부(42)의 상면에 접촉하게 되는데, 커버부(42)의 상면 모서리부(44)는 소정의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버튼(20)의 내측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어, 연질의 버튼(20)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버튼(20)의 스트로크량이 커버부(42)에 의해 규제되기 때문에, 과도한 하중이 스위치(30)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즉, 버튼(20)이 과도한 힘으로 가압되면, 버튼(20)의 내면이 커버부(42)에 접촉하여, 가압 하중이 커버부(4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부(41) 및 스토퍼부(43)를 통해 케이스(10)에 전달되기 때문에, 과도한 하중이 스위치(30)에 직접 작용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푸시 스위치에 의하면, 스위치의 본체부(32)보다 높은 커버부(42)에 의해 본체부(32)의 주위를 둘러싸고, 상기 커버부(42)의 상면 모서리부(44)를 곡면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버튼(20)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스위치(30)에 과도한 힘이 작용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 및 신뢰성이 우수해진다.
또한, 종래와 같이 스위치를 인쇄 배선 기판이나 플렉시블 기판 상에 배치한 경우에는, 이들 기판을 지지하는 스토퍼 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있는데, 본 실시예의 푸시 스위치에서는, 스위치(30)를 재치하는 베이스부(41)와, 과도한 하중을 받아내어 버튼(20)의 스트로크량을 규제하는 커버부(42)와, 스토퍼로서 기능하는 스토퍼부(43)를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한 받침대(40)를 이용함으로써, 부재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푸시 스위치에서는, 커버부(42)의 상면은, 평상시(눌려지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조작부(31)의 상면보다 낮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스위치(30)가 온으로 되기까지의 스트로크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푸시 스위치 전체의 높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에서는, 버튼(20)의 상부 조작벽(21)과 커버부(42) 간의 거리는, 버튼(20)을 눌러 스위치(30)가 온으로 되기까지의 스트로크의 거리와 거의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버튼(20)을 눌러 스위치(30)를 온으로 하는 것과 거의 동시에 상부 조작벽(21)의 내측이 커버부(42)에 접촉하여, 필요 이상의 하중이 스위치(30)에 가해지는 일 없이, 스위치를 한층 더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경질의 커버부(42)가 연질의 버튼(20)의 과도한 변형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여, 연질의 버튼(20)의 과도한 변형으로 인한 파손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내구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절한 변경 등이 가능함은 말할 것도 없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자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통형상으로 연속하여 형성한 커버부(42)에 의해 스위치의 본체부(32)의 측면 전체 둘레를 감쌌으나, 버튼(20)이 과도한 힘으로 가압된 경우에도 버튼(20)의 내측이 본체부(32)에 접촉하지 않는 형태라면, 커버부(42)를 몇 개로 분할하여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버튼(20)의 하면에 조작돌기(23)를 설치하였으나, 버튼(20)의 하면이 스위치의 조작부(31)를 하방으로 눌러, 스위치(30)를 온으로 할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면, 조작돌기(23)는 반드시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다.
1 : 푸시 스위치
10 : 케이스
20 : 버튼
21 : 상부 조작벽
23 : 조작돌기
30 : 스위치
31 : 조작부
32 : 본체부
33 : 단자
40 : 받침대
41 : 베이스부
42 : 커버부
43 : 스토퍼부
45 : 터미널부재
50 : 리드선

Claims (4)

  1. 받침대 상에 배치된 스위치와, 상기 받침대 및 상기 스위치를 수용하는 통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걸림결합하여 장착되는 연질의 버튼을 구비하는 푸시 스위치로서,
    상기 스위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조작부와, 단자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는, 내측벽의 하부에 걸림고정클로를 가지고,
    상기 버튼의 하면이, 상기 스위치의 상기 조작부에 대면(對面)하고 있으며,
    상기 받침대는, 상기 스위치가 재치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상기 스위치의 상기 본체부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주위를 둘러싸는 커버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측벽에 걸림고정되는 스토퍼부를 구비하며,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 것이고,
    상기 커버부는, 상면 모서리부가 곡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버튼의 내측에 대해 공간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대는,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기 걸림고정클로에 걸림고정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스위치의 단자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는 터미널부재에 접속되어, 상기 터미널부재에 리드선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내측의 상부에 걸림결합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버튼은, 상부 조작벽과 그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늘어뜨려진 사이드 둘레벽을 구비하며, 상기 사이드 둘레벽에는 걸림결합오목부와 단차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걸림결합볼록부에 상기 걸림결합오목부를 끼워넣도록 하여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받침대는, 상기 베이스부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상기 버튼의 상기 단차부에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3. 삭제
  4. 삭제
KR1020110050143A 2010-07-07 2011-05-26 푸시 스위치 KR101659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54683 2010-07-07
JP2010154683A JP5558235B2 (ja) 2010-07-07 2010-07-07 プッシュ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920A KR20120004920A (ko) 2012-01-13
KR101659448B1 true KR101659448B1 (ko) 2016-09-23

Family

ID=45428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143A KR101659448B1 (ko) 2010-07-07 2011-05-26 푸시 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006664A1 (ko)
JP (1) JP5558235B2 (ko)
KR (1) KR101659448B1 (ko)
CN (1) CN1023150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51304B2 (ja) 2012-03-23 2016-07-13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JP6234270B2 (ja) * 2014-02-25 2017-11-22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KR20170008425A (ko) 2015-07-14 2017-01-24 도쿄파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푸시 스위치
CN106710917B (zh) * 2015-07-20 2020-02-07 东京零件工业股份有限公司 按钮开关
US9761388B2 (en) 2015-07-20 2017-09-12 Tokyo Parts Industrial Co., Ltd. Push switch
JP6588832B2 (ja) * 2016-01-14 2019-10-09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ドアハンドル装置
US10637167B2 (en) 2018-05-01 2020-04-28 Tokyo Parts Industrial Co., Ltd. Switch mounting device and push switch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2511A (ja) 2005-06-07 2006-12-21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ラッチ解除操作装置
JP2008041544A (ja) * 2006-08-09 2008-02-21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ラッチ解除操作装置
JP2009054430A (ja) 2007-08-27 2009-03-12 Honda Motor Co Ltd 押しボタンスイッチ構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9929U (ja) * 1982-11-18 1984-05-3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プツシユスイツチ
US5382767A (en) * 1992-11-12 1995-01-17 Daiichi Denso Buhin Co., Ltd. Push-button switches
DE19856902C2 (de) * 1998-12-10 2001-02-08 Huf Huelsbeck & Fuerst Gmbh Äußerer Türgriff, insbesondere für Fahrzeuge, mit einer Bügel-Handhabe und mit einem darin integrierten Druckbetätiger
US20110011715A1 (en) * 2008-03-06 2011-01-20 Nec Corporation Switch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2511A (ja) 2005-06-07 2006-12-21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ラッチ解除操作装置
JP2008041544A (ja) * 2006-08-09 2008-02-21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ラッチ解除操作装置
JP2009054430A (ja) 2007-08-27 2009-03-12 Honda Motor Co Ltd 押しボタンスイッ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18794A (ja) 2012-01-26
US20120006664A1 (en) 2012-01-12
JP5558235B2 (ja) 2014-07-23
KR20120004920A (ko) 2012-01-13
CN102315037B (zh) 2015-04-01
CN102315037A (zh) 201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448B1 (ko) 푸시 스위치
JP5256066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9972457B2 (en) Push switch
JP5225179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8963030B2 (en) Push switch
JP5578959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5681505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7534972B2 (en) Electrical switch
CN112204690B (zh) 按压开关
US8206158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pick-up cap
US11462370B2 (en) Push switch
JP2012134075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20120097515A1 (en) Push-on switch having improved actuator
KR101068444B1 (ko) 정전용량 터치 스위치의 터치캡
US20120163908A1 (en) Button fixing structure
JP2020024884A (ja) スイッチ装置
KR101097375B1 (ko) 다단 동작 스위치
JP3104909U (ja) ディスクプレーヤ内蔵テレビジョンおよび電子機器
JP2011243479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12042629A (ja) 撮像装置
KR19990030213U (ko) 튜너의 섀시 결합구조
JP2005339805A (ja) キー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