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227B1 - 시트트랙 타울 바 메커니즘 - Google Patents

시트트랙 타울 바 메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227B1
KR101659227B1 KR1020150074233A KR20150074233A KR101659227B1 KR 101659227 B1 KR101659227 B1 KR 101659227B1 KR 1020150074233 A KR1020150074233 A KR 1020150074233A KR 20150074233 A KR20150074233 A KR 20150074233A KR 101659227 B1 KR101659227 B1 KR 101659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lock
latch
sea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4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사 고미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50074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15C or U-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시트트랙 타울 바 메커니즘은 아우터 트랙(1, Outer Track)과 형성된 락 온(Lock On)이 락 오프(Lock Off)로 전환되는 아우터 래치(30, Outer Latch)를 조작하는 아우터 엔드(21)와, 이너 트랙(5, Outer Track)과 형성된 락 온(Lock On)이 락 오프(Lock Off)로 전환되는 이너 래치(40, Outer Latch)를 조작하는 "ㄷ"자 단면형상의 이너 엔드(23)가 형성된 타울바(20, Towel Bar)가 포함됨으로써, 타울 바(Towel Bar)의 릴리즈 위치(위(Up)에서 밑으로 내려진 다운(Down)상태)에서 락 온 상태(Lock On Status)로 전환될 때 하프 락(Half Lock Status)이 형성되지 않고, 특히 시트벨트 앵커(70, Seat Belt Anchor)가 장착된 이너 트랙(5)의 락 온(Lock On)이 항상 먼저 이루어짐으로써 전체적인 안정성도 크게 강화되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시트트랙 타울 바 메커니즘{Towel Bar Mechanism of Seat Track Device}
본 발명은 시트트랙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한쌍의 아우터 트랙(Outer Track)과 이너 트랙(Inner Track)중 시트벨트 앵커(Seat Belt Anchor)가 장착된 이너 트랙(Inner Track)의 락 온(Lock On)이 항상 먼저 이루어지고 반면 락 오프(Lock Off)는 항상 나중에 이루어질 수 있는 시트트랙 타울 바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트(특히, 운전석 시트와 조수석 시트)는 차량 바닥에 고정된 시트 트랙장치와 함께 설치됨으로써 탑승자의 조작으로 시트의 전후 간격이 조절되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편리성을 제공하는 시트 트랙장치는 로어 레일(Lower Rail)과 이에 슬라이딩 이동(Sliding Motion)되는 어퍼 레일(Upper Rail)로 이루어진 한쌍의 아우터 트랙(Outer Track) 및 이너 트랙(Inner Track)과, 간격 조정된 시트를 구속시하거나 구속 해제하는 한쌍의 아우터 래치(Outer Latch) 및 이너 래치(Inner Latch)로 구성된다.
통상, 한쌍의 아우터 트랙(Outer Track) 및 이너 트랙(Inner Track)에는 로어 레일과 어퍼 레일에 윈도우 홀(Window Hole)이 천공되고, 한쌍의 아우터 래치(Outer Latch) 및 이너 래치(Inner Latch)에는 윈도우 홀(Window Hole)에 끼워져 락 온(Lock On)되고 이탈해 락 오프(Lock Off)되는 래치 투스(Latch Tooth)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시트 트랙장치는에 타울 바(Towel Bar)가 더 포함되고, 위로 올려지는 타울 바(Towel Bar)가 시트를 락 온(Lock On)에서 락 오프(Lock Off)로 전환하는 반면, 밑으로 내려지는 타울 바(Towel Bar)가 시트를 락 오프(Lock Off)에서 락 온(Lock On)으로 전환시켜 준다.
이러한 타울 바(Towel Bar)의 조작은 탑승자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시트의 전후 간격 조정이 타울바(Towel Bar)를 통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국내특허공개 10-2004-0073033(2004년08월19일)
하지만, 타울 바(Towel Bar)를 이용한 시트 트랙장치는 타울 바(Towel Bar)를 이용해 한쌍의 아우터 래치(Outer Latch) 및 이너 래치(Inner Latch)가 눌려지거나 눌림 해제됨으로써, 아우터 래치(Outer Latch) - 아우터 트랙(Outer Track)과 이너 래치(Inner Latch) - 이너 트랙(Inner Track)이 각각 락 온(Lock On)이나 또는 락 오프(Lock Off)로 전환되는 방식이고, 이러한 방식이 적용됨으로써 시트의 전후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불완전한 락 온(Lock On)이 형성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불완전한 락 온(Lock On)은 아우터 트랙(Outer Track)과 이너 트랙(Inner Track)이 갖는 단품 조립치수 편차와 차체의 조립 위치 치수 정도 편차등에 기인되는 측면과, 타울 바(Towel Bar)가 가하는 눌림 상태가 해제(Release)된 아우터 래치(Outer Latch)와 이너 래치(Inner Latch)의 탄성력(Elastic Spring Force)에 의한 자유로운 움직임으로 인해 기인되는 측면 일 수 있다.
이에 더해 타울 바(Towel Bar)의 조작이 해제될 때, 아우터 래치(Outer Latch) - 아우터 트랙(Outer Track) 또는 이너 래치(Inner Latch) - 이너 트랙(Inner Track)이 완전히 치합된 인도우 락 온(Window Lock On)에 관계없이 내려놓아 짐으로써, 시트가 안정적인 윈도우 락 온(Window Lock On)으로 고정되지 못하고 불안정한 윈도우 프레임 온(Window Frame On)으로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위험성이 매우 높을 수밖에 없다.
상기와 같은 윈도우 프레임 온(Window Frame On)이 일어나면, 시트를 전후방향으로 더 움직여주는 주어야 하는 불편을 초래하고, 이러한 조작 불편은 소비자의 불만을 가져옴은 물론 비록 소비자의 태도로 인한 것이더라도 곧 상품성 저하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특히, 시트의 전후 방향 이동 후에도 윈도우 프레임 온(Window Frame On)이 해소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될 경우, 시트와 시트트랙장치가 하프 락 상태(Half Lock Status)로 됨으로써 조그마한 충격에도 시트의 움직임이 일어날 수 있어 안전상 위험도 초래될 수 있다.
만약, 윈도우 프레임 온(Window Frame On)이 시트벨트 앵커(Seat Belt Anchor)가 장착된 이너 트랙에서 발생되고, 이를 그대로 방치할 경우 안전상 위험 경항은 더욱 높아질 수밖에 없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은 타울 바(Towel Bar)가 조작될 때 이너 트랙(Inner Track)이 항상 나중에 락 오프(Lock Off)되고, 타울 바(Towel Bar)가 조작 후 릴리즈 위치(Release Position)로 복귀될 때 항상 먼저 락 온(Lock Off)됨으로써 항상 시트의 잠금 상태가 안정적으로 확보될 수 있고, 특히 시트벨트 앵커(Seat Belt Anchor)가 장착된 이너 트랙에서 하프 락(Half Lock Status)이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시트트랙장치의 전체적인 안정성도 크게 강화될 수 있는 시트트랙 타울 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트트랙 타울 바 메커니즘은 한쪽에 아우터 엔드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ㄷ"자 단면형상의 개런티간격을 갖는 이너 엔드가 형성되며, 위로 올려줌으로써 상기 아우터 엔드와 상기 이너 엔드가 아래로 내려가고 밑으로 내려줌으로써 위로 올라가는 타울바와;
차체 바닥에 고정되어 시트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아우터 트랙과 결합되고, 상기 아우터 엔드와 접촉되어 상기 아우터 트랙과 형성된 락 온(Lock On)이 락 오프(Lock Off)로 전환되는 아우터 래치와;
상기 시트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아우터 트랙에 간격을 두고 차체 바닥에 고정된 이너 트랙과 결합되고, 상기 이너 엔드의 개런티간격에 접촉되어 상기 이너 트랙과 형성된 락 온(Lock On)이 락 오프(Lock Off)로 전환되는 이너 래치;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아우터 래치가 상기 락 온(Lock On)에서 상기 락 오프(Lock Off)로 전환되는 아우터 오프 간격(A)은 상기 이너 래치가 상기 락 온(Lock On)에서 상기 락 오프(Lock Off)로 전환되는 이너 오프 간격(B)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거리이다.
상기 아우터 래치는 회전중심인 힌지핀과 결합된 힌지 헤드와, 상기 힌지 헤드에서 한쪽에서 연장되어 상기 아우터 엔드에 접촉된 상태로 움직이는 컨택터와, 상기 힌지 헤드에서 다른쪽에서 연장되어 상기 아우터 트랙의 윈도우 홀에서 빠져 나오거나 들어가는 투스(Tooth)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래치는 회전중심인 힌지핀과 결합된 힌지 헤드와, 상기 힌지 헤드에서 한쪽에서 연장되어 상기 이너 엔드의 개런티간격사이에서 움직이는 컨택터와, 상기 힌지 헤드에서 다른쪽에서 연장되어 상기 이너 트랙의 윈도우 홀에서 빠져 나오거나 들어가는 투스(Tooth)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 엔드는 상기 타울 바에서 이어져 직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너 엔드는 상기 타울 바에서 이어져 상기 개런티간격을 형성한다.
상기 이너 엔드는 직선을 이루는 어퍼 이너 엔드와, 상기 어퍼 이너 엔드에 대해 상기 개런티간격을 갖는 로어 이너 엔드로 구성된다.
상기 아우터 트랙은 차체 바닥에서 고정된 로어 레일과, 상기 시트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상기 로어 레일과 조립된 어퍼 레일로 구성되고, 상기 로어 레일과 상기 어퍼 레일에는 상기 아우터 래치의 투스(Tooth)가 끼워지는 윈도우 홀(Window Hole)이 각각 천공되며; 상기 이너 트랙은 차체 바닥에서 고정된 로어 레일과, 상기 시트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상기 로어 레일과 조립된 어퍼 레일로 구성되고, 상기 로어 레일과 상기 어퍼 레일에는 상기 이너 래치의 투스(Tooth)가 끼워지는 윈도우 홀(Window Hole)이 각각 천공되어진다.
상기 이너 트랙에는 측면부위로 시트벨트용 시트벨트 앵커(Seat Belt Anchor)가 장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타울 바(Towel Bar)의 조작과 조작 후 릴리즈 위치(Release Position)로 복귀될 때 락 온(Lock Off)이 확실하게 형성됨으로써 항상 시트의 잠금 상태가 안정적으로 확보될 수 있고, 특히 간격 조정된 시트가 하프 락(Half Lock Status)을 발생시키는 윈도우 프레임 온(Window Frame On)으로 고정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울 바(Towel Bar)가 조작될 때 이너 트랙(Inner Track)이 항상 나중에 락 오프(Lock Off)되고, 타울 바(Towel Bar)가 조작 후 릴리즈 위치(Release Position)로 복귀될 때 항상 먼저 락 온(Lock Off)됨으로써 시트벨트 앵커(Seat Belt Anchor)가 장착된 이너 트랙에서 하프 락(Half Lock Status)이 형성되지 않고, 이로부터 시트트랙장치의 전체적인 안정성도 크게 강화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너 트랙과 아우터 트랙의 단품 조립치수 편차와 차체의 조립 위치 치수 정도 편차등에 관계없이 타울 바와 연동되어 안정적으로 작동됨으로써 시트트랙장치의 작동성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울 바(Towel Bar)와 래치(Latch)의 연동 구조 개선을 통해 안정적인 락 온(Lock On)이 구현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변경이나 부품 추가등이 없고, 특히 설계 변경에 따른 가격 및 중량 상승도 거의 없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울 바(Towel Bar)와 래치(Latch)의 연동 구조 개선을 통해 가격 및 중량 상승이 거의 없이 설계 변경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조립성도 거의 그대로 유지될 수 있고, 특히 시트 트랙의 조립라인에 대한 변경도 거의 없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트랙 타울 바 메커니즘이 장착된 시트트랙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트랙 타울 바 메커니즘의 세부 구성도이며,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울 바의 업(Up)시 시트트랙 타울 바 메커니즘이 락 오프(Lock Off)에서 락 온(Lock On)으로 전환되는 작동상태이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울 바의 다운(Down)의 시트트랙 타울 바 메커니즘이 락 온(Lock On)에서 락 오프(Lock Off)로 전환되는 작동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트랙 타울 바 메커니즘이 장착된 시트트랙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트랙(Seat Track)은 차체 바닥에서 고정되고 시트(60)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움직임(Sliding Motion)이 가능하도록 시트(60)의 한쪽 저면부위와 결합된 아우터 트랙(1, Outer Track)과, 차체 바닥에서 아우터 트랙(1, Outer Track)과 간격을 두고 고정되고 시트(60)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움직임(Sliding Motion)이 가능하도록 시트(60)의 반대쪽 저면부위와 결합된 이너 트랙(5, Inner Track)과, 한쪽의 끝부위가 아우터 트랙(1, Outer Track)으로 위치된 반면 반대쪽 끝부위가 이너 트랙(5, Inner Track)으로 위치된 타울 바 메커니즘(10, Towel Bar Mechanism)으로 구성된다.
상기 아우터 트랙(1)은 차체 바닥에서 고정된 로어 레일(2)과, 시트(60)의 저면에 결합되어 시트(60)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움직임(Sliding Motion)이 가능하도록 로어 레일(2)과 조립된 어퍼 레일(3)로 구성되고, 상기 로어 레일(2)과 어퍼 레일(3)에는 윈도우 홀(4, Window Hole)이 각각 천공된다.
상기 로어 레일(2)과 어퍼 레일(3)의 조립 구조는 통상의 아우터 트랙(1)을 구성하는 로어 레일과 어퍼 레일의 조립 구조와 동일하다.
상기 윈도우 홀(4)은 로어 레일(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천공되고, 또한 어퍼 레일(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천공되며, 이는 통상의 아우터 트랙(1)에 천공된 윈도우 홀과 동일하다.
상기 이너 트랙(5)은 차체 바닥에서 고정된 로어 레일(6)과, 시트(60)의 저면에 결합되어 시트(60)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움직임(Sliding Motion)이 가능하도록 로어 레일(6)과 조립된 어퍼 레일(7)로 구성되고, 상기 로어 레일(6)과 어퍼 레일(7)에는 윈도우 홀(8, Window Hole)이 각각 천공된다.
상기 로어 레일(6)과 어퍼 레일(7)의 조립 구조는 통상의 이너 트랙(5)을 구성하는 로어 레일과 어퍼 레일의 조립 구조와 동일하다.
상기 윈도우 홀(8)은 로어 레일(6)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천공되고, 또한 어퍼 레일(7)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천공되며, 이는 통상의 아우터 트랙(1)에 천공된 윈도우 홀과 동일하다.
통상, 상기 이너 트랙(5)의 측면부위로는 시트벨트용 시트벨트 앵커(70,Seat Belt Anchor)가 장착된다.
상기 타울 바 메커니즘(10)은 위로 가해진 힘으로 올라가고 아래로 가해진 힘으로 내려가는 타울 바(20,Towel Bar)와, 자체적인 탄성력(Elastic Force)을 갖고 타울 바(20)의 한쪽 끝부위와 연계되어 움직여 아우터 트랙(1)의 윈도우 홀(4)에 끼워져 락 온(Lock On)되거나 빠져나와 락 오프(Lock Off)되는 아우터 래치(30)와, 자체적인 탄성력(Elastic Force)을 갖고 타울 바(20)의 한쪽 끝부위와 연계되어 움직여 이너 트랙(5)의 윈도우 홀(8)에 끼워져 락 온(Lock On)되거나 빠져나와 락 오프(Lock Off)되는 이너 래치(40)와, 아우터 래치(30)와 이너 래치(40)에서 각각 발생되는 각운동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힌지핀(50)으로 구성된다.
상기 타울 바(20)에는 한쪽으로 아우터 래치(30)와 연동되는 아우터 엔드(21)가 구비되고, 반대쪽으로 이너 래치(40)와 연동되는 이너 엔드(23)가 구비된다.
한편, 도 2(가)는 타울 바(20)와 아우터 래치(30) 및 아우터 트랙(1)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타울 바(20)의 아우터 엔드(21)는 타울 바(20)가 밑으로 내려간 위치에서 아우터 래치(30)를 눌러주고, 이로 인해 아우터 래치(30)는 힌지핀(50)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아우터 트랙(1)의 윈도우 홀(4)에서 빠져 나온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를 아우터 오프 간격(A)으로 정의하며, 상기 아우터 오프 간격(A)은 락 오프 간격(Lock Off Distance)과 오버 트레블 간격(Over Travel Distance)을 함께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 래치(30)는 회전중심인 힌지핀(50)과 결합된 힌지 헤드(31)와, 힌지 헤드(31)에서 한쪽에서 연장되어 타울 바(20)의 아우터 엔드(21)로 눌려지는 컨택터(32, Contactor)와, 힌지 헤드(31)에서 다른쪽에서 연장되어 아우터 트랙(1)의 윈도우 홀(4)에서 빠져 나오거나 들어가는 투스(33, Tooth)를 포함한다.
상기 컨택터(32)와 상기 투스(33)는 힌지 헤드(31)를 중간위치로 하여 서로 반대쪽으로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 래치(30)에는 자체적인 탄성력(Elastic Force)을 생성하는 스프링이 포함되며, 이는 통상적인 래치구성과 동일하다.
또한, 도 2(나)는 타울 바(20)와 이너 래치(40) 및 아우터 트랙(1)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타울 바(20)의 이너 엔드(23)는 타울 바(20)가 밑으로 내려간 위치에서 이너 래치(40)를 눌러주고, 이로 인해 이너 래치(40)는 힌지핀(50)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이너 트랙(1)의 윈도우 홀(8)에서 빠져 나온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를 이너 오프 간격(B)으로 정의하며, 상기 이너 오프 간격(B)은 락 오프 간격(Lock Off Distance)과 오버 트레블 간격(Over Travel Distance)을 함께 포함한다.
상기 이너 오프 간격(B)은 아우터 오프 간격(A)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이동거리로 형성되는데, 이를 통해 락 온(Lock On)이 이루어질 때 아우터 래치(30)에 비해 이너 래치(40)가 이너 트랙(5)의 윈도우 홀(8)에 먼저 끼워지고, 반면 락 오프(Lock Off)가 이루어질 때 아우터 래치(30)에 비해 이너 래치(40)가 이너 트랙(5)의 윈도우 홀(8)에서 나중에 빠져나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너 엔드(23)는 타울 바(20)에서 수평하게 이어진 어퍼 이너 엔드(24)와, 타울 바(20)에서 절곡된 후 상기 어퍼 이너 엔드(24)와 수평을 이루는 로어 이너 엔드(25)로 구성된다.
상기 어퍼 이너 엔드(24)와 상기 로어 이너 엔드(25)가 형성하는 이격거리는 개런티간격(Ha)을 형성하고, 상기 개런티간격(Ha)이 형성됨으로써 이너 오프 간격(B)의 이동거리는 아우터 오프 간격(A)의 이동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통상, 상기 개런티간격(Ha)은 한쪽이 개방된 "ㄷ"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너 래치(40)는 회전중심인 힌지핀(50)과 결합된 힌지 헤드(41)와, 힌지 헤드(41)에서 한쪽에서 연장되어 타울 바(20)의 이너 엔드(23)로 눌려지는 컨택터(42, Contactor)와, 힌지 헤드(41)에서 다른쪽에서 연장되어 이너 트랙(5)의 윈도우 홀(8)에서 빠져 나오거나 들어가는 투스(43, Tooth)를 포함한다.
상기 컨택터(42)와 상기 투스(43)는 힌지 헤드(41)를 중간위치로 하여 서로 반대쪽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너 래치(40)에는 자체적인 탄성력(Elastic Force)을 생성하는 스프링이 포함되며, 이는 통상적인 래치구성과 동일하다.
한편, 도 3과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타울 바(20)의 업(Up)시 타울 바 메커니즘(10)이 락 오프(Lock Off)에서 락 온(Lock On)으로 전환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도 3(가)는 탑승자가 타울 바(20)를 다운(Down)시켜 시트(60)의 전후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상태로서, 이러한 상태에서 아우터 래치(30)가 타울 바(20)의 아우터 엔드(21)로 눌려져 아우터 트랙(1)의 윈도우 홀(4)에서 완전히 빠져나온 락 오프 상태(KA, Lock Off Status)로 전환되고, 더불어 이너 래치(40)가 타울 바(20)의 이너 엔드(23)로 눌려져 이너 트랙(5)의 윈도우 홀(8)에서 완전히 빠져나온 락 오프 상태(KB, Lock Off Status)로 전환된다.
이때, 상기 이너 엔드(23)는 개런티간격(Ha)을 갖는 어퍼 이너 엔드(24)와 로어 이너 엔드(25)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어퍼 이너 엔드(24)는 이너 래치(40)의 컨택터(42)에 접촉된 상태인 반면 상기 로어 이너 엔드(25)는 컨택터(42)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아우터 래치(30)가 락 오프 상태(KA, Lock Off Status)로 되면, 힌지핀(50)이 결합된 힌지헤드(31)의 한쪽부위를 이루는 컨택터(32)는 최대한 밑으로 눌려진 상태가 되고, 반면 투스(33)는 힌지핀(50)을 회전중심으로 최대한 위로 올라감으로써 아우터 트랙(1)과 아우터 오프 간격(A)을 형성한다.
상기 아우터 오프 간격(A)은 락 오프 간격(Lock Off Distance)과 오버 트레블 간격(Over Travel Distance)을 함께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너 래치(40)가 락 오프 상태(KB, Lock Off Status)로 되면, 힌지핀(50)이 결합된 힌지헤드(41)의 한쪽부위를 이루는 컨택터(42)는 최대한 밑으로 눌려진 상태가 되고, 반면 투스(43)는 힌지핀(50)을 회전중심으로 최대한 위로 올라감으로써 이너 트랙(5)과 이너 오프 간격(B)을 형성한다.
상기 이너 오프 간격(B)은 락 오프 간격(Lock Off Distance)과 오버 트레블 간격(Over Travel Distance)을 함께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아우터 오프 간격(A)의 락 오프 간격(Lock Off Distance)과 이너 오프 간격(B)은 락 오프 간격(Lock Off Distance)은 동일한 거리로 형성되는 반면, 아우터 오프 간격(A)의 오버 트레블 간격(Over Travel Distance)은 이너 오프 간격(B)의 오버 트레블 간격(Over Travel Distance)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아우터 래치(30)와 이너 래치(40)가 동시에 락 온(Lock On)이 이루어질 때, 아우터 래치(30)에 비해 이너 래치(40)가 이너 트랙(5)의 윈도우 홀(8)에 먼저 끼워질 수 있고, 이러한 작용은 시트벨트용 시트벨트 앵커(70)로 인해 상대적으로 고 강성이 요구되는 이너 트랙(5)의 강성조건을 충족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타울 바(20)는 상승력(Fu)을 받아 위로 올라가는 업(Up)상태로 전환됨으로써 시트(60)가 고정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3(나)는 타울 바(20)에 상승력(Fu)이 더 가해짐으로써 아우터 래치(30)가 타울 바(20)의 아우터 엔드(21)로부터 받는 눌림력이 약화되고, 동시에 이너 래치(40)가 타울 바(20)의 이너 엔드(23)로부터 받는 눌림력도 약화되기 시작하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이너 엔드(23)의 어퍼 이너 엔드(24)는 이너 래치(40)의 컨택터(42)에서 떨어지는 반면 로어 이너 엔드(25)는 컨택터(42)와 접촉되는 상태로 전환된다.
그러므로, 이너 래치(40)는 힌지핀(50)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투스(43)가 밑으로 내려가 이너 트랙(5)의 윈도우 홀(8)과 접촉되는 윈도우 프레임 온(KBb, Window Frame On)으로 전환된다.
상기와 같이 이너 래치(40)가 윈도우 프레임 온(KBb, Window Frame On)으로 전환됨은 이너 래치(40)의 이너 오프 간격(B)에서 오버 트레블 간격(Over Travel Distance)이 없어졌음을 의미한다.
반면,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아우터 엔드(21)는 아우터 래치(30)의 컨택터(32)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아우터 래치(30)는 힌지핀(50)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투스(33)가 밑으로 내려가 아우터 트랙(1)의 윈도우 홀(4)로 근접될 수 있다.
하지만, 아우터 래치(30)는 아우터 오프 간격(A)에서 오버 트레블 간격(Over Travel Distance)이 아직 존재함으로써 투스(33)가 아우터 트랙(1)의 윈도우 홀(4)과 접촉되는 윈도우 프레임 온(Window Frame On)으로 전환되지 못하고 이동 락 오프(KAa, Moving Lock Off)를 유지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는, 아우터 오프 간격(A)의 오버 트레블 간격(Over Travel Distance)이 이너 오프 간격(B)의 오버 트레블 간격(Over Travel Distance)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됨에 기인된다.
한편, 도 4(가)는 가해진 상승력(Fu)으로 타울 바(20)가 더 업(Up)됨으로써, 아우터 래치(30)가 타울 바(20)의 아우터 엔드(21)로부터 받는 눌림력이 거의 없어지고, 동시에 이너 래치(40)가 타울 바(20)의 이너 엔드(23)의 개런티간격(Ha)내에서 움직임으로써 이너 래치(40)의 컨택터(42)가 이너 엔드(23)의 어퍼 이너 엔드(24)와 접촉된다.
상기와 같은 이너 래치(40)의 움직임은 자체적인 탄성력(Elastic Force)에 기인된다.
그러므로, 이너 래치(40)는 힌지핀(50)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투스(43)가 밑으로 내려가 이너 트랙(5)의 윈도우 홀(8)에 끼워지는 이동 락 온(KBbb, Moving Lock On)으로 전환된다.
반면,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아우터 래치(30)는 컨택터(32)가 아우터 엔드(21)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아우터 래치(30)의 자체적인 탄성력(Elastic Force)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되고, 이로 인해 아우터 래치(30)의 투스(33)는 아우터 트랙(1)의 윈도우 홀(4)과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는 윈도우 프레임 온(KAab, Window Frame On)으로 전환된다.
상기와 같이 아우터 래치(30)가 윈도우 프레임 온(KBab, Window Frame On)으로 전환됨은 아우터 래치(30)의 아우터 오프 간격(A)에서 오버 트레블 간격(Over Travel Distance)이 없어졌음을 의미한다.
한편, 도 4(나)는 타울 바(20)가 최대로 업(Up)됨으로써 아우터 래치(30)가 타울 바(20)의 아우터 엔드(21)로부터 받는 눌림력이 완전히 없어지고, 동시에 이너 래치(40)의 컨택터(42)는 타울 바(20)의 이너 엔드(23)의 로어 이너 엔드(25)에 의해 위로 상승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이너 래치(40)는 이너 트랙(5)의 윈도우 홀(8)에 완전히 끼워져 치합된 락 온(KBbc, Lock On)으로 전환되고, 또한 아우터 래치(30)는 아우터 트랙(1)의 윈도우 홀(4)에 완전히 끼워져 치합된 락 온(KAac, Lock On)으로 전환된다.
상기 이너 래치(40)의 락 온(KBbc, Lock On)은 이너 트랙(5)의 로어레일(6)과 어퍼레일(7)을 완전하게 관통한 이너 온 간격(b)으로 이너 래치(40)의 투스(43)가 치합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아우터 래치(30)의 락 온(KAac, Lock On)은 아우터 트랙(1)의 로어레일(2)과 어퍼레일(3)을 완전하게 관통한 아우터 온 간격(a)으로 아우터 래치(30)의 투스(33)가 치합된 상태를 의미한다.
한편, 도 5와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타울 바(20)의 다운(Up)시 타울 바 메커니즘(10)이 락 온(Lock On)에서 락 오프(Lock Off)로 전환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도 5(가)는 시트(60)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도록 타울 바(20)가 다운(Down)되는 상태로서, 이러한 상태는 전술한 도 4(나)와 동일한 상태이다.
다만, 이 경우 최대로 올라간 타울 바(20)에는 하방향으로 하강력(Fd)이 가해짐으로써 타울 바(20)는 밑으로 다운(Down)되는 상태이다.
도 5(나)는 타울 바(20)에 하강력(Fd)이 더 가해짐으로써 아우터 래치(30)가 타울 바(20)의 아우터 엔드(21)로부터 받는 눌림력이 증가되고, 동시에 이너 래치(40)가 타울 바(20)의 이너 엔드(23)로부터 받는 눌림력도 증가되기 시작하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이너 엔드(23)의 로어 이너 엔드(25)는 이너 래치(40)의 컨택터(42)에서 떨어지는 반면 어퍼 이너 엔드(24)는 컨택터(42)와 접촉되는 상태로 전환된다.
그러므로, 이너 래치(40)는 어퍼 이너 엔드(24)가 가하는 눌림력으로 힌지핀(50)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투스(43)가 이너 트랙(5)의 윈도우 홀(8)로부터 빠져 나오려고 움직이게 된다.
하지만, 이너 래치(40)의 컨택터(42)는 어퍼 이너 엔드(24)와 로어 이너 엔드(25)사이의 개런티간격(Ha)내에서 움직임으로써, 이너 래치(40)의 투스(43)는 이너 트랙(5)의 윈도우 홀(8)에 치합된 이동 락 온(KBbd, Moving Lock On)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도 5(나)의 이너 래치(40)의 이동 락 온(KBbd, Moving Lock On)은 도 4(가)의 이너 래치(40)의 이동 락 온(KBbb, Moving Lock On)과 동일한 상태이다.
반면,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아우터 래치(30)의 컨택터(32)는 타울바(20)의 아우터 엔드(21)로 눌러짐으로써 힌지핀(50)을 회전중심으로 투스(3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로 인해 아우터 트랙(1)의 윈도우 홀(4)로부터 빠져 나오려고 움직이게 된다.
하지만, 아우터 래치(30)의 투스(33)는 윈도우 프레임 온(Window Frame On)을 유지함으로써 이동 락 온(KAad, Moving Lock On)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6(가)는 가해진 하강력(Fd)으로 타울 바(20)가 더 다운(Down)됨으로써, 아우터 래치(30)는 타울 바(20)의 아우터 엔드(21)로부터 받는 눌림력이 더욱 증가되고, 동시에 이너 래치(40)가 타울 바(20)의 이너 엔드(23)로부터 받는 눌림력도 더욱 증가되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이너 래치(40)는 힌지핀(50)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됨으로써 이너 래치(40)의 투스(43)는 이너 트랙(5)의 윈도우 홀(8)에서 더 빠져나오지만, 이너 래치(40)의 투스(43)는 이너 트랙(5)의 윈도우 홀(8)과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는 윈도우 프레임 온(KBbe, Window Frame On)을 유지한다.
이때, 도 6(가)의 이너 래치(40)의 윈도우 프레임 온(KBbe, Window Frame On)은 도 3(가)의 이너 래치(40)의 윈도우 프레임 온(KBb, Window Frame On)과 동일한 상태이다.
반면,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아우터 래치(30)는 힌지핀(50)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됨으로써 아우터 래치(30)의 투스(33)는 아우터 트랙(1)의 윈도우 홀(4)에서 완전히 빠져나오고, 이로 인해 아우터 래치(30)는 이동 락 오프(KAae, Moving Lock Off)로 전환된다.
이때, 도 6(가)의 아우터 래치(30)의 이동 락 오프(KAae, Moving Lock Off)는 도 3(나)의 아우터 래치(30)의 이동 락 오프(KAa, Moving Lock Off)와 동일한 상태이다.
한편, 도 6(나)는 타울 바(20)가 최대로 다운(Down)됨으로써 아우터 래치(30)가 락 오프(KA, Lock Off)로 전환되고, 더불어 이너 래치(40)도 락 오프(KB, Lock Off)로 전환된 상태이다.
그러므로, 상기 아우터 래치(30)는 아우터 트랙(5)과 아우터 오프 간격(A)을 형성하고, 상기 이너 래치(40)는 이너 트랙(5)과 이너 오프 간격(B)을 형성한다.
이는 전술한 도 3(가)와 동일한 상태이지만, 도 3(가)는 시트(60)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도록 타울 바(20)를 위로 올려 주려는 상태인 반면, 도 6(나)는 시트(60)의 고정상태가 유지되도록 타울 바(20)를 완전히 밑으로 내려준 상태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트랙 타울 바 메커니즘은 아우터 트랙(1, Outer Track)과 형성된 락 온(Lock On)이 락 오프(Lock Off)로 전환되는 아우터 래치(30, Outer Latch)를 조작하는 아우터 엔드(21)와, 이너 트랙(5, Outer Track)과 형성된 락 온(Lock On)이 락 오프(Lock Off)로 전환되는 이너 래치(40, Outer Latch)를 조작하는 "ㄷ"자 단면형상의 이너 엔드(23)가 형성된 타울바(20, Towel Bar)가 포함됨으로써, 타울 바(Towel Bar)의 릴리즈 위치(위(Up)에서 밑으로 내려진 다운(Down)상태)에서 락 온 상태(Lock On Status)로 전환될 때 하프 락(Half Lock Status)이 형성되지 않고, 특히 시트벨트 앵커(70, Seat Belt Anchor)가 장착된 이너 트랙(5)의 락 온(Lock On)이 항상 먼저 이루어짐으로써 전체적인 안정성도 크게 강화될 수 있다.
1 : 아우터 트랙(Outer Track) 2,6 : 로어 레일
3,7 : 어퍼 레일 4,8 : 윈도우 홀(Window Hole)
5 : 이너 트랙(Inner Track)
10 : 타울 바 메커니즘(Towel Bar Mechanism)
20 : 타울 바(Towel Bar) 21 : 아우터 엔드
23 : 이너 엔드 24 : 어퍼 이너 엔드
25 : 로어 이너 엔드 30 : 아우터 래치
31,41 : 힌지 헤드 32,42 : 컨택터(Contactor)
33,43 : 투스(Tooth) 40 : 이너 래치
50 : 힌지핀 60 : 시트
70 : 시트벨트 앵커(Seat Belt Anchor)
A : 아우터 오프 간격 B : 이너 오프 간격
a : 아우터 온 간격 b : 이너 온 간격
Ha : 개런티간격

Claims (7)

  1. 한쪽에 아우터 엔드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ㄷ"자 단면형상의 개런티간격을 갖는 이너 엔드가 형성되며, 위로 올려줌으로써 상기 아우터 엔드와 상기 이너 엔드가 아래로 내려가고 밑으로 내려줌으로써 위로 올라가는 타울 바와;
    차체 바닥에 고정되어 시트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아우터 트랙과 결합되고, 상기 아우터 엔드와 접촉되어 상기 아우터 트랙과 형성된 락 온(Lock On)이 락 오프(Lock Off)로 전환되는 아우터 래치와;
    상기 시트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아우터 트랙에 간격을 두고 차체 바닥에 고정된 이너 트랙과 결합되고, 상기 이너 엔드의 개런티간격에 접촉되어 상기 이너 트랙과 형성된 락 온(Lock On)이 락 오프(Lock Off)로 전환되는 이너 래치;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트랙 타울 바 메커니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래치가 상기 락 온(Lock On)에서 상기 락 오프(Lock Off)로 전환되는 아우터 오프 간격(A)은 상기 이너 래치가 상기 락 온(Lock On)에서 상기 락 오프(Lock Off)로 전환되는 이너 오프 간격(B)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트랙 타울 바 메커니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래치는 회전중심인 힌지핀과 결합된 힌지 헤드와, 상기 힌지 헤드에서 한쪽에서 연장되어 상기 아우터 엔드에 접촉된 상태로 움직이는 컨택터와, 상기 힌지 헤드에서 다른쪽에서 연장되어 상기 아우터 트랙의 윈도우 홀에서 빠져 나오거나 들어가는 투스(Tooth)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래치는 회전중심인 힌지핀과 결합된 힌지 헤드와, 상기 힌지 헤드에서 한쪽에서 연장되어 상기 이너 엔드의 개런티간격사이에서 움직이는 컨택터와, 상기 힌지 헤드에서 다른쪽에서 연장되어 상기 이너 트랙의 윈도우 홀에서 빠져 나오거나 들어가는 투스(Toot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트랙 타울 바 메커니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엔드는 상기 타울 바에서 이어져 직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너 엔드는 상기 타울 바에서 이어져 상기 개런티간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트랙 타울 바 메커니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너 엔드는 직선을 이루는 어퍼 이너 엔드와, 상기 어퍼 이너 엔드에 대해 상기 개런티간격을 갖는 로어 이너 엔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트랙 타울 바 메커니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트랙은 차체 바닥에서 고정된 로어 레일과, 상기 시트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상기 로어 레일과 조립된 어퍼 레일로 구성되고, 상기 로어 레일과 상기 어퍼 레일에는 상기 아우터 래치의 투스(Tooth)가 끼워지는 윈도우 홀(Window Hole)이 각각 천공되며;
    상기 이너 트랙은 차체 바닥에서 고정된 로어 레일과, 상기 시트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상기 로어 레일과 조립된 어퍼 레일로 구성되고, 상기 로어 레일과 상기 어퍼 레일에는 상기 이너 래치의 투스(Tooth)가 끼워지는 윈도우 홀(Window Hole)이 각각 천공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트랙 타울 바 메커니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너 트랙에는 측면부위로 시트벨트용 시트벨트 앵커(Seat Belt Anchor)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트랙 타울 바 메커니즘.
KR1020150074233A 2015-05-27 2015-05-27 시트트랙 타울 바 메커니즘 KR101659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233A KR101659227B1 (ko) 2015-05-27 2015-05-27 시트트랙 타울 바 메커니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233A KR101659227B1 (ko) 2015-05-27 2015-05-27 시트트랙 타울 바 메커니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9227B1 true KR101659227B1 (ko) 2016-09-22

Family

ID=57102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4233A KR101659227B1 (ko) 2015-05-27 2015-05-27 시트트랙 타울 바 메커니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22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3033A (ko) 2003-02-12 2004-08-19 주식회사 윤 영 차량의 시트이송트랙용 록킹장치
KR20080029104A (ko) * 2006-09-28 2008-04-03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트랙 레버
JP2009132265A (ja) * 2007-11-30 2009-06-18 Gifu Auto Body Industry Co Ltd シートトラックスライド装置
KR20100030415A (ko) * 2008-09-10 2010-03-18 다이모스(주) 양 방향 락킹 타입 시트 트랙 락킹 장치
US20120168595A1 (en) * 2009-10-08 2012-07-05 Magna Seating Inc. Sliding Easy Entry Release Mechanism With Rest In Full Rear Posi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3033A (ko) 2003-02-12 2004-08-19 주식회사 윤 영 차량의 시트이송트랙용 록킹장치
KR20080029104A (ko) * 2006-09-28 2008-04-03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트랙 레버
JP2009132265A (ja) * 2007-11-30 2009-06-18 Gifu Auto Body Industry Co Ltd シートトラックスライド装置
KR20100030415A (ko) * 2008-09-10 2010-03-18 다이모스(주) 양 방향 락킹 타입 시트 트랙 락킹 장치
US20120168595A1 (en) * 2009-10-08 2012-07-05 Magna Seating Inc. Sliding Easy Entry Release Mechanism With Rest In Full Rear Pos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8061B2 (en) Longitudinally adjustable vehicle seat
US8469328B2 (en) Lock mechanism for seat track slide device
US9873359B2 (en) Child safety seat
US9758062B2 (en) Rail for a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comprising such a rail
US9731630B2 (en) Seat slide device
US20120132777A1 (en) Lock mechanism for seat track slide device
CN103813935B (zh) 用于机动车辆座椅的座椅配件
US10112640B2 (en) Steering column assembly having a restriction assembly
CN103158585A (zh) 用于交通工具座椅的主动啮合锁定机构
EP2875990B1 (en) Vehicle seat
CN108515884B (zh) 易进入汽车中排座椅
CN103842207A (zh) 用于座椅调节器组件的形状配合接合闭锁件
KR101659227B1 (ko) 시트트랙 타울 바 메커니즘
JP2003252086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1837428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US10040374B2 (en) Seat slide device
US8382185B2 (en) Tilt-down vehicle seat
JP2016005523A (ja) 回転チルトシート
GB2410057A (en) Inertia controlled seat track locking mechanism
KR101593849B1 (ko) 헤드레스트 슬라이딩 장치
JP2011063049A (ja) 乗物シート用レバー装置
JP2007030639A (ja) 座席位置復帰メモリー機構付き自動車用スライドシート
JP2007230333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1598713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JP5278780B2 (ja) 車両用ウォークイ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