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878B1 - 수평회전/상하이동 가능 소화조 교반기 - Google Patents

수평회전/상하이동 가능 소화조 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878B1
KR101658878B1 KR1020150105799A KR20150105799A KR101658878B1 KR 101658878 B1 KR101658878 B1 KR 101658878B1 KR 1020150105799 A KR1020150105799 A KR 1020150105799A KR 20150105799 A KR20150105799 A KR 20150105799A KR 101658878 B1 KR101658878 B1 KR 101658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ester
impeller
guide frame
rotat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효형
홍성민
조일형
박영진
김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진 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진 엔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진 엔테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7/16
    • B01F15/00448
    • B01F15/00668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02F11/04Anaerobic treatment; Production of methane by such processes
    • B01F2215/005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이 발명의 소화조 교반기는 소화조에 고정되는 지지대(100)와, 소화조 내의 슬러지를 한 쪽 측방향으로 교반하는 임펠러(200)와, 임펠러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300)과, 임펠러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수단(400), 및 임펠러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방향 회전수단(500)을 포함하며, 상하 이동수단(400)은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프레임(410)과,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드부(420)를 포함하고, 수평방향 회전수단(500)은 가이드 프레임을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510)와, 가이드 프레임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520)를 포함한다. 이 발명은 모터가 소화조 내부의 슬러지에 침전되지 않은 소화조의 외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교반기의 임펠러가 수평회전 및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터의 유지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소화조 내부의 사공간을 없애고 슬러지의 교반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수평회전/상하이동 가능 소화조 교반기{Agitator of anaerobic digester for possible horizontal rotation and vertical movement}
이 발명은 유기성 폐자원의 혐기성 소화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소화조 교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가 혐기성 소화조의 외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교반기의 임펠러가 수평회전 및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소화조의 내부의 사공간을 없애고 슬러지의 교반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평회전/상하이동 가능 소화조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유기성 폐자원의 혐기성 소화조를 운영하는데 사용되는 교반기술은, 유입되는 유기성 폐자원과 혐기성 미생물의 접촉빈도를 높여 소화효율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상부와 하부의 온도를 미생물의 생육조건에 맞게 균등하게 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슬러지의 교반은 혐기성 소화조 내에 존재하는 혐기성 소화 미생물을 다량 포함한 기존의 소화조 슬러지와 새로 유입되는 농축 슬러지를 골고루 혼합하여 섞이게 함으로써, 혐기성 소화 미생물을 새로 유입된 슬러지와 잘 접촉시켜 소화를 촉진함과 더불어, 소화조 내에 퇴적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매우 중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29046호에는 혐기성 소화조의 회전식 가스 교반장치에 대해 공개되어 있다. 이 기술은 구조가 간단하며, 소화조 슬러지의 교반효과가 우수하고 소화가스의 누출이 없이 개구부가 작은 기존의 혐기성 소화조에도 설치가 가능하고 유지관리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이 기술은 중심축에 가스를 주입하고 이를 상하, 회전시키면서 주변의 가스압을 이용하여 혐기성소화조 내의 슬러지를 교반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49069호에는 외부 충격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혐기성 소화 처리장치 및 방법에 대해 공개되어 있다. 이 기술은 고농도의 유기성 폐기물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 혐기성 소화처리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온도가 섭씨 영하 이하로 내려가는 겨울철에도 미생물이 사멸되지 않고 혐기성 소화조가 정상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외부 온도와 관계없이 혐기성 소화처리장치를 1년 내내 운영할 수 있도록 하고, 혐기성 소화처리장치 내부에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의 혼합성 및 교반성을 향상시키며 교반장치의 고장 시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12989호에는 기계식 교반장치를 구비한 소화조에 대해 공개되어 있다. 이 기술은 소화조 상부에 위치한 모터 및 감속기어 등이 설치되어 발생하는 하중을 지지하고 교반시에 발생하는 소용돌이 현상을 방지하도록 설계 제작된 슬러지 처리를 위한 소화조에 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39741호에는 기계적 교반형 혐기성 소화조에 대해 공개되어 있다. 이 기술은 소화조 내의 소화액의 혼합수단으로 설치된 교반기의 축과 이를 지지하는 베어링 사이나 감속기에 연결되는 회전 틈새 사이로 누출되는 바이오가스의 누출을 방지하고, 소화조 하부에 침적 정체되는 고형물이 생성하지 않게 하여 혼합 효과를 최적화함으로써, 혐기성 발효를 촉진시켜 바이오가스의 수율을 높일 수 있는 혐기성 소화조에 대해 공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선행 특허문헌에서 알 수 있듯이, 혐기성 소화조에 이용되고 있는 교반기술은 크게 기계식과 가스식 교반으로 나누며, 최근(2015년 05월 현재) 국내의 혐기성 소화조에 적용되는 기술의 형태는 대부분이 기계식으로 개선되고 있다. 이는 가스식 교반시 공기(산소가 포함된 형태)의 주입시에는 혐기성 미생물에 독성을 줄 수 있으므로 대부분이 혐기성 소화가스를 이용하는데 이는 에너지로 활용할 수 있는 가스의 손실 및 혐기성 소화조 내에 충진물을 밀어줄 수 있는 풍압이 크게 작용되어야 하므로, 이에 대한 동력 손실 및 유지관리가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기계식 교반의 경우 소화조 외부와 내부에 모터가 있는 경우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여기서, 모터가 소화조 외부에 존재한다는 것은 모터가 소화조 내부의 슬러지에 침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동하도록 설치한 것을 의미하고, 모터가 소화조 내부에 존재한다는 것은 모터가 소화조 내부의 슬러지에 침전된 상태에서 작동하도록 설치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모터가 소화조 외부에 있는 경우는 유지관리가 용이하지만, 고정된 형태에서 구동이 되기 때문에 사공간의 각도 변형 및 교반력에 대한 한계성이 있다. 그리고, 모터가 소화조 내부에 있는 경우는 모터의 방열 및 유지관리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장비가 구동되는지 여부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2904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4906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1298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39741호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모터가 혐기성 소화조의 외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교반기의 임펠러가 수평회전 및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소화조 내부의 사공간을 없애고 슬러지의 교반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평회전/상하이동 가능 소화조 교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수평회전/상하이동 가능 소화조 교반기는, 소화조에 고정되는 지지대와, 상기 소화조 내의 슬러지를 한 쪽 측방향으로 교반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임펠러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수단, 및 상기 임펠러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방향 회전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 이동수단은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방향 회전수단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는 상기 소화조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형태로 상기 소화조의 상부에 설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단에 장착되는 제1 모터와, 상기 제1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임펠러에 전달하는 전동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전동모듈은 상기 제1 모터에 결합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상기 임펠러를 연결하는 베벨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샤프트가 내장되는 파이프 형태의 상하 이동부재와, 상기 상하 이동부재의 하단부에 연통 장착되며 상기 베벨기어가 내장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상하 이동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레일과 접하여 회전하는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와, 상기 한 쌍의 레일 중 어느 한 쪽의 일부 구간에 형성되는 래크와, 상기 래크와 맞물리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이 상기 지지대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다수쌍의 지지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부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환형 기어와, 상기 환형 기어에 맞물리는 구동 기어, 및 상기 구동 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3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전부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이 상기 지지대에 대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다수쌍의 지지 롤러는 도브테일 구조로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는 각각의 조절볼트에 의해 상기 가이드 프레임과의 밀착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동수단, 상하 이동수단 및 수평방향 회전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의 꼬임을 방지하는 전기 슬립링을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부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모터가 소화조 내부의 슬러지에 침전되지 않은 소화조의 외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교반기의 임펠러가 수평회전 및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터의 유지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소화조 내부의 사공간을 없애고 슬러지의 교반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상하 이동수단 및 수평방향 회전수단을 통해 임펠러를 상하, 좌우로 그 위치를 변경하면서 슬러지를 교반함에 따라, 혐기성 소화조 내의 상하부 온도편차를 줄일 수 있으며, 한 방향으로만 구동할 때의 혐기성 소화조 내의 고형물의 점착성에 대한 누적율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평회전/상하이동 가능 소화조 교반기가 소화조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소화조 교반기의 중요부분을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소화조 교반기를 선 A-A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소화조 교반기를 선 B-B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소화조 교반기를 선 C-C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아래에서, 이 발명에 따른 수평회전/상하이동 가능 소화조 교반기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평회전/상하이동 가능 소화조 교반기가 소화조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소화조 교반기의 중요부분을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상세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소화조 교반기를 선 A-A, B-B 및 C-C를 따라 각각 절취한 단면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소화조 교반기는 혐기성 소화조에 고정되는 지지대(100)와, 혐기성 소화조 내의 슬러지를 한 쪽 측방향으로 교반하는 임펠러(200)와, 상기 임펠러(200)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300)과, 상기 임펠러(200)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수단(400), 및 상기 임펠러(20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방향 회전수단(5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00)는 혐기성 소화조의 상부에 설치 고정되는 것으로서, 혐기성 소화조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형태로 설치 고정된다. 즉, 지지대(100)는 그 둘레 부분이 혐기성 소화조의 입구 상단 둘레를 따라 밀봉하면서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 고정된다. 이러한 지지대(100)는 구체적으로 후술할 구동수단(300), 상하 이동수단(400) 및 수평방향 회전수단(500)의 구성요소들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지지대(100)는 일부 구성요소들을 내장 보관할 수 있는 하우징 형태를 가지며, 또한, 내부에 내장되는 구성요소들을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창을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임펠러(200)는 구동수단(300)에 의해 소화조 교반기 내부의 한 쪽 측방향에 대해 교반력을 갖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임펠러(200)가 위치하는 한 쪽 측방향 이외의 부분에서는 슬러지에 대한 실질적인 교반이 이루어지 않는다. 또한, 임펠러(200)는 구동수단(300)의 샤프트의 하단 부분, 즉 소화조 교반기의 하부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임펠러(200)가 위치하는 소화조 교반기의 상부쪽을 향할수록 슬러지의 교반력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임펠러(200)가 위치하는 한 쪽 측방향 이외의 부분에서도 슬러지에 대한 원활한 교반이 가능하도록 임펠러(20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방향 회전수단(500)을 구비한 것이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임펠러(200)가 위치하는 소화조 교반기의 상부쪽에서도 슬러지에 대한 원활한 교반이 가능하도록 임펠러(200)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수단(400)을 구비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임펠러(20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관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구동수단(300)은 임펠러(200)와 연결되어 임펠러(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후술할 상하 이동수단(400)의 슬라이드부의 상단에 장착되는 제1 모터(310)와, 제1 모터(310)의 회전력을 임펠러(200)에 전달하는 전동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1 모터(310)는 공지의 기어드 모터 등으로 구성되어, 임펠러(20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전동모듈은 제1 모터(310)에 결합되는 샤프트(320)와, 샤프트(320)와 임펠러(200)를 연결하는 베벨기어(도시안됨)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제1 모터(310)의 회전력을 임펠러(200)에 전달한다.
상기 상하 이동수단(400)은 임펠러(200)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지지대(10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프레임(410)과, 가이드 프레임(410)의 내부를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드부(420)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부(420)는 샤프트(320)가 내장되는 파이프 형태의 상하 이동부재(421)와, 상하 이동부재(421)의 하단부에 연통 장착되며 베벨기어가 내장되는 기어박스(4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하 이동수단(400)은 상하 이동부재(421)와 기어박스(422)에 의하여 그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용 공간부가 형성되며, 이러한 수용 공간부에 샤프트(320)와 베벨기어가 임펠러(200)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각각 내장 설치된다.
한편, 임펠러(200)는 기어박스(422)에 장착되어 구동수단(300)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혐기성 소화조 내의 슬러지를 교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420)는 상하 이동부재(4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423)과, 가이드 프레임(410)에 설치되어 한 쌍의 레일(423)과 접하여 회전하는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424)와, 한 쌍의 레일(423) 중 어느 한 쪽의 일부 구간에 형성되는 래크(rack, 425)와, 래크(425)와 맞물리는 피니언(pinion, 426), 및 피니언(426)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42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가이드 롤러(424), 피니언(426) 및 제2 모터(427)는 가이드 프레임(410)에 장착되어 지지된다.
상기 수평방향 회전수단(500)은 임펠러(20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가이드 프레임(410)을 지지대(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510)와, 가이드 프레임(410)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510)는 가이드 프레임(410)이 지지대(10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대(10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다수쌍의 지지 롤러(5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520)는 가이드 프레임(410)의 상부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환형 기어(521)와, 환형 기어(521)에 맞물리는 구동 기어(522)와, 구동 기어(522)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3 모터(523), 및 가이드 프레임(410)이 지지대(100)에 대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다수쌍의 지지 롤러(511), 구동 기어(522) 및 제3 모터(523)는 지지대(100)에 장착되어 지지된다.
한편, 상기 다수쌍의 지지 롤러(511)는 도브테일 구조로 지지대(100)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지지대(100)에 장착되는 각각의 조절볼트(512)에 의해 가이드 프레임(410)과의 밀착력이 조절된다.
이 실시예의 소화조 교반기는 제1, 제2, 제3 모터(310, 427, 52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한 전기 슬립링(600)을 가이드 프레임(410)의 상부에 더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소화조 교반기를 회전시키더라도 전기 슬립링(600)을 통해 전선의 꼬임을 방지할 수가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수평회전/상하이동 가능 소화조 교반기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구동수단(300)의 제1 모터(310)에 전원을 공급해 제1 모터(31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샤프트(320), 베벨기어를 거쳐 임펠러(200)에 동력이 전달되어, 임펠러(200)가 위치하는 소화조 교반기 내부의 한 쪽 측방향에 대해 교반력을 갖게 된다.
이렇게 교반하다가 임펠러(200)가 위치하는 소화조 교반기의 상부 또는 하부 쪽에서도 슬러지에 대한 교반이 필요할 경우에는, 상하 이동수단(400)을 이용해 임펠러(200)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임펠러(200)를 작동시키면 된다. 즉, 상하 이동수단(400)의 제2 모터(427)에 전원을 공급해 제2 모터(427)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래크(425)와 맞물린 피니언(426)이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드부(420)가 가이드 프레임(41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고, 그로 인해 임펠러(200)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작동시켜 임펠러(200)가 원하는 위치에 위치하면 제2 모터(427)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그 위치에서 임펠러(200)를 작동시켜 슬러지를 교반하면 된다. 한편, 제2 모터(427)의 작동시에도 제1 모터(310)를 중지하지 않고 계속 작동시켜 임펠러(200)가 동작하는 상태에서도 임펠러(200)의 위치를 변경하여도 무방하다. 이렇게 상하 이동수단(400)을 이용해 임펠러(200)의 교반위치를 혐기성 소화조 내부의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슬러지에 대한 원활한 교반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하 이동수단(400)을 통해 혐기성 소화조 내부의 상부와 하부에서의 사공간을 줄일 수가 있다.
한편, 임펠러(200)가 위치하는 한 쪽 측방향 이외의 부분에서도 슬러지의 교반이 필요할 경우에는, 수평방향 회전수단(500)을 이용해 임펠러(20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임펠러(200)를 작동시키면 된다. 즉, 수평방향 회전수단(500)의 제3 모터(523)에 전원을 공급해 제3 모터(523)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환형 기어(521)와 맞물린 구동 기어(522)가 회전함에 따라 가이드 프레임(410)이 지지대(10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로 인해 임펠러(200)도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작동시켜 임펠러(200)가 원하는 위치에 위치하면 제3 모터(523)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그 위치에서 임펠러(200)를 작동시켜 슬러지를 교반하면 된다. 한편, 제3 모터(523)의 작동시에도 제1 모터(310)를 중지하지 않고 계속 작동시켜 임펠러(200)가 동작하는 상태에서도 임펠러(200)의 위치를 변경하여도 무방하다. 이렇게 수평방향 회전수단(500)을 이용해 임펠러(200)의 교반위치를 혐기성 소화조 내부의 좌우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슬러지에 대한 원활한 교반이 가능하게 된다. 즉, 수평방향 회전수단(500)을 통해 혐기성 소화조 내부의 좌우 수평방향에서의 사공간을 줄일 수가 있다.
즉, 이 실시예의 소화조 교반기는 제1, 제2, 제3 모터(310, 427, 523)가 소화조 내부의 슬러지에 침전되지 않은 소화조의 외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임펠러(200)가 수평회전 및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터들의 유지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소화조 내부의 사공간을 없애고 슬러지의 교반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소화조 교반기는 상하 이동수단(400) 및 수평방향 회전수단(500)을 통해 임펠러(200)를 상하, 좌우로 그 위치를 변경하면서 슬러지를 교반함에 따라, 혐기성 소화조 내의 상하부 온도편차를 줄일 수 있으며, 한 방향으로만 구동할 때의 혐기성 소화조 내의 고형물의 점착성에 대한 누적율을 낮출 수가 있다.
이상에서 이 발명의 수평회전/상하이동 가능 소화조 교반기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이 발명이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 또한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지지대 200 : 임펠러
300 : 구동수단 400 : 상하 이동수단
500 : 수평방향 회전수단 600 : 전기 스립링

Claims (8)

  1. 소화조에 고정되는 지지대와, 상기 소화조 내의 슬러지를 한 쪽 측방향으로 교반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임펠러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수단, 및 상기 임펠러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방향 회전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소화조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형태로 상기 소화조의 상부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상하 이동수단은 상기 지지대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상하 수직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방향 회전수단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상기 지지대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회전/상하이동 가능 소화조 교반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단에 장착되는 제1 모터와, 상기 제1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임펠러에 전달하는 전동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전동모듈은 상기 제1 모터에 결합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상기 임펠러를 연결하는 베벨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회전/상하이동 가능 소화조 교반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샤프트가 내장되는 파이프 형태의 상하 이동부재와, 상기 상하 이동부재의 하단부에 연통 장착되며 상기 베벨기어가 내장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상하 이동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레일과 접하여 회전하는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와, 상기 한 쌍의 레일 중 어느 한 쪽의 일부 구간에 형성되는 래크와, 상기 래크와 맞물리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회전/상하이동 가능 소화조 교반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이 상기 지지대에 대해 수평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다수쌍의 지지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부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환형 기어와, 상기 환형 기어에 맞물리는 구동 기어, 및 상기 구동 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3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회전/상하이동 가능 소화조 교반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이 상기 지지대에 대해 원활하게 수평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회전/상하이동 가능 소화조 교반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다수쌍의 지지 롤러는 도브테일 구조로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는 각각의 조절볼트에 의해 상기 가이드 프레임과의 밀착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회전/상하이동 가능 소화조 교반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 상하 이동수단 및 수평방향 회전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의 꼬임을 방지하는 전기 슬립링을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부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회전/상하이동 가능 소화조 교반기.
KR1020150105799A 2015-05-22 2015-07-27 수평회전/상하이동 가능 소화조 교반기 KR1016588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72075 2015-05-22
KR1020150072075 2015-05-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878B1 true KR101658878B1 (ko) 2016-09-22

Family

ID=57102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799A KR101658878B1 (ko) 2015-05-22 2015-07-27 수평회전/상하이동 가능 소화조 교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8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1151A (zh) * 2017-12-31 2018-06-22 潘明芳 一种酸性废水的处理方法
KR20190034826A (ko) 2017-09-25 2019-04-03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와류형 믹싱기와 수직형 완속 교반장치를 구비한 부상분리식 수처리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1802A (ja) * 1994-11-10 1996-05-28 Nippon Gear Co Ltd 電動調節式撹拌装置
KR200216624Y1 (ko) * 1998-12-16 2001-05-02 윤순채 발효조의 교반장치
KR20050029046A (ko) 2003-09-19 2005-03-24 (주)범한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혐기성 소화조의 회전식 가스 교반장치
KR100833124B1 (ko) * 2007-02-09 2008-05-28 배현호 혐기성 소화조의 기계식 교반장치의 지지구조
KR20100012989A (ko) 2008-07-30 2010-02-09 주식회사 피엠씨코리아 기계식 교반장치를 구비한 소화조
KR101322601B1 (ko) * 2013-07-15 2013-10-29 주식회사 영진 엔테크 수중교반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1802A (ja) * 1994-11-10 1996-05-28 Nippon Gear Co Ltd 電動調節式撹拌装置
KR200216624Y1 (ko) * 1998-12-16 2001-05-02 윤순채 발효조의 교반장치
KR20050029046A (ko) 2003-09-19 2005-03-24 (주)범한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혐기성 소화조의 회전식 가스 교반장치
KR100833124B1 (ko) * 2007-02-09 2008-05-28 배현호 혐기성 소화조의 기계식 교반장치의 지지구조
KR20100012989A (ko) 2008-07-30 2010-02-09 주식회사 피엠씨코리아 기계식 교반장치를 구비한 소화조
KR101322601B1 (ko) * 2013-07-15 2013-10-29 주식회사 영진 엔테크 수중교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826A (ko) 2017-09-25 2019-04-03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와류형 믹싱기와 수직형 완속 교반장치를 구비한 부상분리식 수처리 시스템
CN108191151A (zh) * 2017-12-31 2018-06-22 潘明芳 一种酸性废水的处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14952A (ko) 교반장치
CN202022785U (zh) 角度可调式潜水搅拌推流设备安装系统
KR101799240B1 (ko) 가축분료 및 고농도 유기물 소화조의 교반판축 길이 가변형 유성기어식동력전달구조
TW200633794A (en) High speed treatment machine for organic waste
KR101658878B1 (ko) 수평회전/상하이동 가능 소화조 교반기
CN107537395A (zh) 一种双速搅拌系统及其搅拌方法
CN111482152A (zh) 一种电机硅钢片涂层液加工用反应装置
CN104254257A (zh) 用于无水污染条件下湿咖啡豆加工的模块化系统
CN209443333U (zh) 一种沥青融化搅拌装置
CN206868088U (zh) 一种风能搅拌污水处理设备
CN108607449A (zh) 一种化工搅拌设备
CN108546169A (zh) 一种农业有机肥发酵用自动化程度高的发酵装置
CN108101169A (zh) 一种工业造纸废水处理装置
CN209320004U (zh) 基于开式齿轮传动的双轴混凝土搅拌设备
KR102381356B1 (ko) 회전왕복형 수중교반장치
KR101809433B1 (ko) 가축분료 및 고농도 유기물 소화조의 교반 스크류 축길이 가변형 유성기어식동력전달구조
CN205517396U (zh) 环氧树脂复合物用行星搅拌釜
CN212559650U (zh) 一种污水处理微生物调节剂混合装置
CN212440825U (zh) 一种污水处理药剂溶液制备机
KR101538123B1 (ko) 슬러지 유압구동형 교반장치
CN209519670U (zh) 84消毒液搅拌装置
KR200325092Y1 (ko) 혐기성 소화조의 교반기
CN215654831U (zh) 一种垃圾处理厂用污水处理设备
CN108527648A (zh) 一种水利工程水泥快速搅拌装置
CN115233486B (zh) 一种纸浆原料增白剂的辅助加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