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268B1 - 부품선별기 - Google Patents
부품선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7268B1 KR101657268B1 KR1020160050040A KR20160050040A KR101657268B1 KR 101657268 B1 KR101657268 B1 KR 101657268B1 KR 1020160050040 A KR1020160050040 A KR 1020160050040A KR 20160050040 A KR20160050040 A KR 20160050040A KR 101657268 B1 KR101657268 B1 KR 1016572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component
- rear end
- guide
- exten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2—Jigging conveyors comprising helical or spiral channels or conduits for elevation of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부품을 나선형의 부품 이송로를 따라 상방으로 이송시키면서 불량품을 선별하는 부품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부품 이송로의 후단에 원호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후단에 하방으로 단턱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플레이트와 동일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이격 형성되는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후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2플레이트의 외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길이선별부를 포함하여 부품의 다양한 치수에 따른 선별이 가능한 부품선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품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의 다양한 치수별로 불량품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한 부품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서브 프레임은 엔진과 변속기의 설치를 위한 것으로 마운팅 볼트와 마운팅 너트를 이용하여 차체에 용접 고정된다. 따라서 서브 프레임을 차체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가 불량일 경우, 예컨대, 마운팅 너트의 길이, 직경 등이 정해진 규격과 다르거나 탭가공이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서브 프레임의 조립 공차가 발생하여 차량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에 사용되는 체결부재는 통상 불량품의 선별 과정을 거쳐 완성차 제조 업체로 출고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체결부재의 선별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하였다.
즉, 종래기술에 의하면 작업자가 체결부재를 하나씩 육안으로 관찰하여 체결부재의 이상 여부를 검사함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선별 공정의 신뢰성에 차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제품 품질과 생산성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 인건비도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피더 형태의 부품선별기(1)를 이용하여 볼트 등의 부품(2)을 선별하는 방식이 널리 알려져 있으나 지금까지 개발된 부품선별기의 경우 구조가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부품의 실질적인 선별보다는 부품을 일정하게 정렬시키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부품의 길이, 직경, 관통 여부 등에 따라 불량품을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는 부품선별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부품을 나선형의 부품 이송로를 따라 상방으로 이송시키면서 불량품을 선별하는 부품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부품 이송로의 후단에 원호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후단에 하방으로 단턱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플레이트와 동일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이격 형성되는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후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2플레이트의 외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길이선별부;를 포함하는 부품선별기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보다 짧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3플레이트의 연결 부분에는 상방으로 만곡된 가이드편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편의 상부에는 탭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플레이트의 내측에는 후단으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플레이트의 외측과 상부에는 측벽과 상부 플레이트가 각각 설치되되, 상기 측벽은 부품의 길이보다 짧은 높이의 불량품 배출구를 가지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부품의 길이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플레이트의 후단에는 유선형의 부품 배출로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부품 배출로에는 부품의 관통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환봉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품 배출로는 상기 제3플레이트에 대해 하방으로 단턱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환봉은 상기 부품 배출로의 곡률반경보다 큰 곡률반경으로 비틀린 형태를 가지되, 선단부가 상기 부품 배출로에서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품 배출로의 상부에는 덮개가 형성되되, 상기 덮개의 선단부는 외측 후단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지며, 상기 덮개의 선단부가 위치하는 상기 부품 배출로의 외측면은 절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작업에 의존하던 부품의 선별 공정이 자동화됨으로써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품 이송로의 배출구 측에 다양한 구조의 선별수단이 구비됨으로써 보다 많은 항목별로 불량품을 선별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제반 효과로 인해 부품의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부품선별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품선별기의 요부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품선별기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부품선별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부품선별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라인피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이송수단, 에어분사장치, 광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이송수단의 동작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품선별기의 요부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품선별기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부품선별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부품선별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라인피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이송수단, 에어분사장치, 광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이송수단의 동작 상태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품선별기의 요부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품선별기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품선별기(130)는 종래의 부품선별기에 다수의 선별수단을 부가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바 이하 부품선별기의 기본적인 구성과 작동 방식에 대해 설명한 후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부품선별기(130)는 내측에 나선형의 부품 이송로(131)가 형성되고, 내부에 구비된 진동체의 수평방향, 수직방향 진동에 의해 진동함으로써 부품(10)을 부품 이송로(131)를 따라 상부로 이송시킨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서 부품(10)은 몸체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마운팅 너트나 내측에 탭가공이 된 가이드 너트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부품(10)의 종류가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유사한 형태의 부품도 모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경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부품선별기(130)의 상부에 부품(10)과 접촉 가능한 수직봉을 일정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수직봉의 회동 각도를 센서로 측정하여 부품(10)의 공급량을 결정하는 디텍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부품선별기(130)의 부품 이송로(131) 후단에 부품(10)의 선별수단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되는 바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품선별기(130)는 제1플레이트(132)와, 제2플레이트(133)와, 제3플레이트(134)와, 가이드 플레이트(135) 및 길이선별부(136)를 포함한다.
제1플레이트(132)는 부품 이송로(131)의 후단에 연장 형성되고, 제2플레이트(133)는 제1플레이트(132)의 외측으로 확장되어 제1플레이트(132)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3플레이트(134)는 제2플레이트(133)의 후단에 하방으로 단턱지게 형성되어 제2플레이트(133)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제1플레이트(132)를 기준으로 제2플레이트(133)는 외측에 형성되고, 제3플레이트(134)는 하방에 형성되어 있으나, 제1플레이트(132)와, 제2플레이트(133) 및 제3플레이트(134)는 순차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부품선별기(13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된 원호 형상을 가진다.
가이드 플레이트(135)는 제1플레이트(132)와 제2플레이트(133) 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가이드 플레이트(135)는 제1플레이트(132)와 제2플레이트(133), 즉,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하여 형성된다.
가이드 플레이트(135)를 상방으로 이격 형성하면 가이드 플레이트(135)와 바닥 사이에 연속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부품(10)이 부품 이송로(131)에서 제1플레이트(132)로 진입할 경우 부품(10)의 플랜지부는 가이드 플레이트(135)에 걸리고, 몸체는 가이드 플레이트(135)와 바닥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측방향으로 노출되어 제2플레이트(133) 상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부품(10)은 부품선별기(13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제1플레이트(132)와 제2플레이트(133)를 따라 계속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길이선별부(136)는 가이드 플레이트(135)의 후단에 형성되는데, 가이드 플레이트(135)와 동일선상에 형성되지 않고, 가이드 플레이트(135)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이격하여 수직하게 형성된다. 즉, 길이선별부(136)의 경우 가이드 플레이트(135)가 끝나는 부분에서 제2플레이트(133)의 외측단부로부터 상향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
길이선별부(136)를 상술한 바와 같이 배치하면 플랜지부가 가이드 플레이트(135)에 걸쳐진 상태로 이송되던 부품(10)이 가이드 플레이트(135)를 벗어나면서 플랜지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고, 이와 동시에 부품(10)의 몸체 하단부가 길이선별부(136)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계속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부품(10)의 길이가 정상일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계속적인 이송이 가능하나 부품(10)의 길이가 정해진 규격보다 길 경우에는 가이드 플레이트(135)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길이선별부(136)에 걸리게 된다.
길이선별부(136)에 걸린 불량품을 부품(10)의 이송 라인에서 제거하기 위하여 제1플레이트(132)는 가이드 플레이트(135) 대비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제1플레이트(132)가 종료되는 지점이 가이드 플레이트(135)의 중간에 위치하면 불량품이 제1플레이트(132)를 벗어날 때 불량품의 플랜지가 가이드 플레이트(135) 뿐 아니라 제2플레이트(133)의 내측에 걸쳐지고, 이 상태로 길이선별부(136)에 의해 이송이 저지될 경우 불량품이 전체적으로 기울어지면서 부품선별기(130)의 진동에 의해 제2플레이트(133)의 내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제2플레이트(133)의 하부에는 낙하된 불량품을 수거하기 위한 불량품 수거함(도면 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선별 과정을 거친 부품(10)은 제3플레이트(134)를 따라 계속적으로 이송된다. 이 경우, 부품(10)은 제1플레이트(132)와 제2플레이트(133) 상에서는 몸체의 외주면이 바닥과 접하는 수평 상태로 이송되고, 제3플레이트(134)에서는 헤드부가 바닥과 접하는 직립 상태로 이송된다.
부품(10)의 수평 상태에서 직립 상태로의 전환은 제2플레이트(133)에 대해 하방으로 단턱지게 형성된 제3플레이트(134)와 탭(138)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2플레이트(133)와 제3플레이트(134)의 연결 부분에는 가이드편(137)이 형성되고, 이러한 가이드편(137)의 상부에 탭(138)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부품(10)이 제2플레이트(133)의 후단에 이르게 되면 몸체가 탭(138)과 충돌함으로써 헤드부가 제3플레이트(134)를 향해 떨어지고, 이로 인해 부품(10)은 직립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부품(10)의 상태 전환을 위해 탭(138)은 제2플레이트(133)의 후단으로부터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탭(138)이 제2플레이트(133)의 후단에 바로 형성되면 부품(10)이 제3플레이트(134)로 전혀 진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탭(138)과 충돌함으로써 제2플레이트(133)의 내측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반면, 탭(138)이 제2플레이트(133)의 후단으로부터 이격 형성되면 부품(10)이 제3플레이트(134)로 일정 부분 진입한 상태에서 탭(138)과 충돌하기 때문에 제3플레이트(134)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한편, 탭(138)의 하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편(137)은 상방으로 만곡된 형태를 가진다. 즉, 부품(10)은 제3플레이트(134)에 직립한 상태로 안착되기 때문에 제2플레이트(133)에서와 달리 높이방향으로 불안정할 수 밖에 없고, 이러한 불안정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가이드편(137)을 상방으로 만곡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안착된 부품(10)의 상단부가 지지되도록 한 것이다.
제3플레이트(134)로 진입한 부품(10)은 제3플레이트(134)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송되는데, 부품(10)의 안정적인 이송을 위하여 제3플레이트(134)의 내측에는 가이드부재(139)가 형성된다. 가이드부재(139)는 제3플레이트(134)의 내측에 후단으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부품(10)이 제3플레이트(134)에 안착된 후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가이드편(137)과 가이드부재(139)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직립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제3플레이트(134)의 측부와 상부에는 부품(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부재(146)와 가이드 플레이트(140)가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부품선별기(130)는 다른 선별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는 바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부품선별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선별기(130)는 제3플레이트(134)의 외측에 수직하게 형성된 측벽(141)과, 측벽(141)의 상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상부 플레이트(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측벽(141)에는 불량품 배출구(141a)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불량품 배출구(141a)는 부품(10)의 길이보다 짧은 높이를 가지며, 상부 플레이트(142)는 부품(10)의 길이와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3플레이트(134)를 따라 직립한 상태로 이송되는 부품(10)의 길이가 정해진 규격과 동일하면 부품(10)이 측벽(141)과 상부 플레이트(142)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계속적으로 이송되는 반면 부품(10)의 길이가 정해진 규격보다 짧으면 불량품 배출구(141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부품선별기(130)의 하부에는 불량품 배출구(141a)를 통해 배출된 불량품을 수거하기 위한 불량품 수거함(도면 미도시)이 추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3플레이트(134)의 후단에는 부품 배출로(143)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부품 배출로(143)는 반원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지고 대략 S자로 만곡된 유선형으로 이루어지며, 제3플레이트(134)에 대해 하방으로 단턱지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부품(10)이 부품 배출로(143)에 진입하게 되면 직립 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부품 배출로(143)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부품 배출로(143)에는 환봉(144)이 설치된다. 환봉(144)은 가이드 너트와 같은 부품(10)을 관통 여부에 따라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 부품 배출로(143)와 유사하게 대략 S자로 만곡된 형태를 가진다.
이 경우, 환봉(144)의 곡률반경은 부품 배출로(143)의 곡률반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환봉(144)의 곡률반경이 부품 배출로(143)의 곡률반경과 동일하면 환봉(144)이 부품 배출로(143)의 후단으로 빠지기 쉽고, 부품 배출로(143)의 곡률반경보다 작으면 부품(10)이 이송 과정에서 환봉(144)과 부품 배출로(143) 사이에 끼워져 후단으로 배출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환봉(144)은 비틀린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환봉(144)이 평탄한 형태로 이루어지면 환봉(144)이 전체적으로 부품 배출로(143)와 접하기 때문에 부품(10)이 환봉(144)의 선단부에서 통과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환봉(144)을 비틀린 구조로 형성하여 환봉(144)의 선단부가 부품 배출로(143)에서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부품(10)이 원활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부품 배출로(143)의 상부에는 덮개(145)가 형성될 수 있다. 덮개(145)는 환봉(144)과 부품(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외에 부품(10)을 직경에 따라 선별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를 위해, 덮개(145)의 선단부는 외측 후단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지고, 이러한 선단부가 위치하는 부품 배출로(143)의 외측면은 다른 부분에 비해 더 낮게 절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부품(10)의 직경이 정해진 규격보다 클 경우 부품(10)이 부품 배출로(143) 상에서 슬라이딩되다가 덮개(145)의 선단부와 충돌하여 경사부를 따라 외측으로 밀려나가면서 절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부품(10)의 직경에 따른 선별이 가능해진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품선별기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부품선별기를 에어분사장치, 광학장치 등과 조합하여 부품선별장치를 구성할 경우 부품의 선별 후 이물질 제거, 광학적 검사까지 가능한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된 부품선별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부품선별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라인피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이송수단, 에어분사장치, 광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이송수단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부품선별장치(100)는 호퍼(110)와, 컨베이어(120)와, 부품선별기(130)와, 라인피더(150)와, 이송수단(160)과, 에어분사장치(170) 및 광학장치(180)를 포함한다.
호퍼(110)는 부품(10)의 저장을 위한 것으로 공지된 통상의 호퍼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컨베이어(120)는 부품(10)의 이송을 위한 것으로 호퍼(110)로부터 공급되는 부품(10)을 상방으로 이송시킨다. 컨베이어(120)로는 Z형 단면 구조를 가지는 컨베이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부품(10)을 상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부품선별기(130)는 본 발명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라인피더(150)는 부품선별기(130)의 제3플레이트(134)와 연결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송레일(151) 및 이송레일(151)의 상부에 형성되는 덮개(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레일(151)은 컨베이어 등과 같이 공지된 방식으로 회전하면서 부품(10)을 이송시키며, 덮개(152)는 장공이 형성된 연결부재(153)와 볼트(154) 등을 이용하여 부품(10)의 길이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조립된다.
따라서 부품선별기(130)의 제3플레이트(134)로부터 공급되는 부품(10)은 라인피더(150)의 이송레일(151)에 순차적으로 진입하여 일정한 속도로 이송된다. 이 경우, 제3플레이트(134)와 이송레일(151)은 완전히 접촉되지 않고,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제3플레이트(134)에서는 부품(10)이 진동에 의해 이송되지만 라인피더(150)에서는 부품(10)이 이송레일(151)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이송되고, 이송레일(151)은 이송수단(160), 에어분사장치(170), 광학장치(180)가 배치된 받침대(20)와 연결되므로 부품선별기(130)의 진동이 전달되면 이물질 제거 및 검사 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송수단(160)은 부품(10)의 이물질 제거와 광학적 검사에 적합하도록 부품(10)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라인피더(150)의 후단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이송수단(16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10)의 이송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1가이드레일(161)과, 제1가이드레일(16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가이드플레이트(162)와, 제1가이드플레이트(162) 상에 부품(10)의 이송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제2가이드레일(163)과, 제2가이드레일(16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가이드플레이트(164) 및 제2가이드플레이트(164)에 설치되며, 전단에 부품(10)의 이송을 위한 삽입구(165a)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구비되는 부품이송플레이트(165)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1가이드플레이트(162)와 제2가이드플레이트(164)는 스텝 모터 등을 이용하여 제1가이드레일(161)과 제2가이드레일(163) 상에서 슬라이딩됨으로써 전후좌우 방향으로 정확한 위치 제어가 가능하다.
이송수단(160)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8을 추가적으로 참고하여 설명하면, 라인피더(150)로부터 공급된 부품(10)이 부품이송플레이트(165)의 삽입구(165a)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가이드플레이트(164)가 이송라인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부품(10)을 이송시킨다. 부품(10)의 이송이 완료되면 제1가이드플레이트(162)가 후퇴하고, 제2가이드플레이트(164)가 역방향으로 슬라이딩된 후 다시 제1가이드플레이트(162)가 전진함으로써 삽입구(165a)에 다른 부품이 삽입되어 동일한 방식으로 순차적인 이송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과정에서 후술하는 에어분사장치(170)와 광학장치(180)에 의한 이물질 제거 및 광학적 검사가 실시된다.
에어분사장치(170)는 부품(10)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이송수단(16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에어분사장치(170)는 지지대(171)와, 지지대(171)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72)와, 베이스 플레이트(17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모터(173) 및 베이스 플레이트(172)에 설치되는 제1분사노즐(174) 및 제2분사노즐(175)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부품(10)이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과정에서 에어분사장치(170)의 제1분사노즐(174)과 제2분사노즐(175)이 상하로 이동하여 부품(10)의 탭가공 부위에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분사노즐(174)과 제2분사노즐(175)의 분사구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분사노즐(174)의 분사구가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면 제2분사노즐(175)의 분사구는 전후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각 분사노즐(174)(175)의 분사구 방향을 다르게 구성하면 부품(10)의 탭가공 부위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전체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광학장치(180)는 에어분사장치(170)의 후단, 즉, 이송수단(160)의 타측 상부에 설치된다. 광학장치(180)는 카메라(181)를 이용하여 부품(10)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불량 여부를 판별하게 되며, 검사 결과는 모니터(182)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이 적용된 부품선별장치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부품선별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호퍼(110)에 저장된 부품(10)이 컨베이어(120)로 공급되어 컨베이어(120)를 타고 상승한 후 부품선별기(130)의 내측으로 낙하된다. 부품선별기(130)는 진동에 의해 부품(10)을 상방으로 이송시키고, 이송된 부품(10)은 부품 이송로(131)의 후단에 형성된 다수의 선별수단을 이용하여 길이, 직경, 관통 여부에 따라 선별된 후 라인피더(150)로 공급된다. 라인피더(150)로 공급된 부품(10)은 직립한 상태로 일렬로 정렬되면서 이송수단(160)으로 진입하여 하나씩 이송된다. 이 과정에서 부품(10)의 탭가공 부위가 에어분사노즐(170)에 의해 청소되고, 이물질이 제거된 부품(10)을 광학장치(180)가 촬영하여 탭가공 부위의 이상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부품 20 : 받침대
100 : 부품선별장치 110 : 호퍼
120 : 컨베이어 130 : 부품선별기
131 : 부품 이송로 132 : 제1플레이트
133 : 제2플레이트 134 : 제3플레이트
135 : 가이드 플레이트 136 : 길이선별부
137 : 가이드편 138 : 탭
139 : 가이드부재 140 : 가이드 플레이트
141 : 측벽 141a : 불량품 배출구
142 : 상부 플레이트 143 : 부품 배출로
143a : 외측면 144 : 환봉
145 : 덮개 146 : 연결부재
150 : 라인피더 151 : 이송레일
152 : 덮개 153 : 연결부재
154 : 볼트 160 : 이송수단
161 : 제1가이드레일 162 : 제1가이드플레이트
163 : 제2가이드레일 164 : 제2가이드플레이트
165 : 부품이송플레이트 165a : 삽입구
170 : 에어분사장치 171 : 지지대
172 : 베이스 플레이트 173 : 모터
174 : 제1분사노즐 175 : 제2분사노즐
180 : 광학장치 181 : 카메라
182 : 모니터
100 : 부품선별장치 110 : 호퍼
120 : 컨베이어 130 : 부품선별기
131 : 부품 이송로 132 : 제1플레이트
133 : 제2플레이트 134 : 제3플레이트
135 : 가이드 플레이트 136 : 길이선별부
137 : 가이드편 138 : 탭
139 : 가이드부재 140 : 가이드 플레이트
141 : 측벽 141a : 불량품 배출구
142 : 상부 플레이트 143 : 부품 배출로
143a : 외측면 144 : 환봉
145 : 덮개 146 : 연결부재
150 : 라인피더 151 : 이송레일
152 : 덮개 153 : 연결부재
154 : 볼트 160 : 이송수단
161 : 제1가이드레일 162 : 제1가이드플레이트
163 : 제2가이드레일 164 : 제2가이드플레이트
165 : 부품이송플레이트 165a : 삽입구
170 : 에어분사장치 171 : 지지대
172 : 베이스 플레이트 173 : 모터
174 : 제1분사노즐 175 : 제2분사노즐
180 : 광학장치 181 : 카메라
182 : 모니터
Claims (9)
- 부품을 나선형의 부품 이송로를 따라 상방으로 이송시키면서 불량품을 선별하는 부품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부품 이송로의 후단에 원호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후단에 하방으로 단턱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플레이트와 동일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이격 형성되는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후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2플레이트의 외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길이선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플레이트의 외측과 상부에는 측벽과 상부 플레이트가 각각 설치되되, 상기 측벽은 부품의 길이보다 짧은 높이의 불량품 배출구를 가지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부품의 길이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3플레이트의 후단에는 유선형의 부품 배출로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부품 배출로에는 부품의 관통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환봉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선별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보다 짧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선별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3플레이트의 연결 부분에는 상방으로 만곡된 가이드편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편의 상부에는 탭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선별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플레이트의 내측에는 후단으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선별기.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배출로는 상기 제3플레이트에 대해 하방으로 단턱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선별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봉은 상기 부품 배출로의 곡률반경보다 큰 곡률반경으로 비틀린 형태를 가지되, 선단부가 상기 부품 배출로에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선별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배출로의 상부에는 덮개가 형성되되, 상기 덮개의 선단부는 외측 후단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지며, 상기 덮개의 선단부가 위치하는 상기 부품 배출로의 외측면은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선별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0040A KR101657268B1 (ko) | 2016-04-25 | 2016-04-25 | 부품선별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0040A KR101657268B1 (ko) | 2016-04-25 | 2016-04-25 | 부품선별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57268B1 true KR101657268B1 (ko) | 2016-09-20 |
Family
ID=57102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0040A KR101657268B1 (ko) | 2016-04-25 | 2016-04-25 | 부품선별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7268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639397A (zh) * | 2017-11-06 | 2018-01-30 | 长沙理工大学 | 一种链式全自动打火机筒体插盘机 |
KR101823335B1 (ko) | 2017-09-12 | 2018-01-31 | 김수열 | 차량용 브라켓 부품 자동 용접시스템 |
KR101879640B1 (ko) * | 2018-02-07 | 2018-07-18 | 주식회사 에스탑 | 부품 절삭분의 자동 제거기능을 갖는 비젼 선별기 |
CN110143425A (zh) * | 2018-12-26 | 2019-08-20 | 浙江顺风鸟实业有限公司 | 一种用于有柄纽扣的送料装置 |
KR102559353B1 (ko) * | 2023-04-13 | 2023-07-26 | 디케이인터네셔널 주식회사 | 부품 선별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0943Y1 (ko) * | 1993-01-21 | 1996-02-03 | 임배섭 | 선별장치 |
KR0118080Y1 (ko) * | 1992-10-06 | 1998-04-23 | 윤중용 | 불량스크루의 선별장치 |
JP2008073626A (ja) * | 2006-09-22 | 2008-04-03 | Nitto Seiko Co Ltd | 部品検査装置 |
KR20080077766A (ko) * | 2007-02-21 | 2008-08-26 | 주식회사 서울금속 | 스크류 선별장치 |
-
2016
- 2016-04-25 KR KR1020160050040A patent/KR10165726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18080Y1 (ko) * | 1992-10-06 | 1998-04-23 | 윤중용 | 불량스크루의 선별장치 |
KR960000943Y1 (ko) * | 1993-01-21 | 1996-02-03 | 임배섭 | 선별장치 |
JP2008073626A (ja) * | 2006-09-22 | 2008-04-03 | Nitto Seiko Co Ltd | 部品検査装置 |
KR20080077766A (ko) * | 2007-02-21 | 2008-08-26 | 주식회사 서울금속 | 스크류 선별장치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23335B1 (ko) | 2017-09-12 | 2018-01-31 | 김수열 | 차량용 브라켓 부품 자동 용접시스템 |
CN107639397A (zh) * | 2017-11-06 | 2018-01-30 | 长沙理工大学 | 一种链式全自动打火机筒体插盘机 |
KR101879640B1 (ko) * | 2018-02-07 | 2018-07-18 | 주식회사 에스탑 | 부품 절삭분의 자동 제거기능을 갖는 비젼 선별기 |
CN110143425A (zh) * | 2018-12-26 | 2019-08-20 | 浙江顺风鸟实业有限公司 | 一种用于有柄纽扣的送料装置 |
KR102559353B1 (ko) * | 2023-04-13 | 2023-07-26 | 디케이인터네셔널 주식회사 | 부품 선별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57268B1 (ko) | 부품선별기 | |
KR101650489B1 (ko) | 부품선별장치 | |
JP6556098B2 (ja) | 工作機械及びワークパーツを排出する方法 | |
CN106425468B (zh) | 弹簧插板自动化装配机及其操作方法 | |
CN109499916B (zh) | 管接头视觉检测方法 | |
US8522956B2 (en) | Apparatus for, and method of, separating cylindrical bodies | |
KR101723299B1 (ko) | 케이지 너트 검사장치 | |
US10118201B2 (en) | Inspection and sorting machine | |
US9782802B2 (en) | Method and device for the automated handling of stacks of flat mail items | |
US6446632B1 (en) | Proces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eliminating defective and/or incorrectly positioned cigarettes | |
CN109677867B (zh) | 用于驱动轴扣环组装防错的分选装置 | |
KR101823335B1 (ko) | 차량용 브라켓 부품 자동 용접시스템 | |
EP2112502B1 (de)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rüfung von Behälter-Preforms | |
CN113547326A (zh) | 一种自动上料的攻丝标记设备 | |
CN113351509B (zh) | 一种管状零件检测装置 | |
CN114130691A (zh) | 供料装置 | |
CN210126911U (zh) | 一种自动上料、检测及分装流水线 | |
CN112207055B (zh) | 一种夹片外形自动检测系统 | |
CN215656462U (zh) | 一种泡腾片检测机 | |
KR102394453B1 (ko) | 비젼 자동 검사기 | |
JP2013046909A (ja) | 物品分類装置 | |
CN211652577U (zh) | 胶套缺陷识别检测系统 | |
CN107597595B (zh) | 一种全自动主喷嘴加工系统 | |
KR20190085608A (ko) | 너트정렬장치 | |
US20160122926A1 (en) | Device for separating need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