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932B1 - Connecting devices for power transmission to tie a working machine - Google Patents

Connecting devices for power transmission to tie a work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932B1
KR101656932B1 KR1020140093363A KR20140093363A KR101656932B1 KR 101656932 B1 KR101656932 B1 KR 101656932B1 KR 1020140093363 A KR1020140093363 A KR 1020140093363A KR 20140093363 A KR20140093363 A KR 20140093363A KR 101656932 B1 KR101656932 B1 KR 101656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tor
coupling
shaft
working machine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3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11978A (en
Inventor
이리중
Original Assignee
이리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리중 filed Critical 이리중
Priority to KR1020140093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932B1/en
Publication of KR20160011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9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9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A01B71/06Special adaptations of coupling means between power take-off and transmission shaft to the implement or mach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전달이 가능한 작업기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렉터의 동력을 작업기에 전달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기의 종류 및 제조사에 따른 형태, 구조 및 간격 등이 상이하더라도 모든 트랙터에 연결되어질 수 있도록 하되, 작업자가 트렉터에 착석한 채로 작업기를 트렉터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연결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작업기의 호환성을 높이고 작업의 능률성을 높일 수 있는 동력전달이 가능한 작업기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machine connecting apparatus capable of transmitting pow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ork machine connecting apparatus capable of transmitting power of a tractor to a work machine, The worker can be connected to the tractor while the worker is seated on the tractor while the worker is seated on the tractor, thereby improving the compatibility of the worker and enhancing the efficiency of the work. .

Description

동력전달이 가능한 작업기 연결장치 {Connecting devices for power transmission to tie a working machin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ng device for power transmission,

본 발명은 동력전달이 가능한 작업기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렉터의 동력을 작업기에 전달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기의 종류 및 제조사에 따른 형태, 구조 및 간격 등이 상이하더라도 모든 트랙터에 연결되어질 수 있도록 하되, 작업자가 트렉터에 착석한 채로 작업기를 트렉터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연결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작업기의 호환성을 높이고 작업의 능률성을 높일 수 있는 동력전달이 가능한 작업기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machine connecting apparatus capable of transmitting pow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ork machine connecting apparatus capable of transmitting power of a tractor to a work machine, The worker can be connected to the tractor while the worker is seated on the tractor while the worker is seated on the tractor, thereby improving the compatibility of the worker and enhancing the efficiency of the work. .

일반적으로 여러가지 농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방안으로 편리한 구조와 특성을 갖는 트랙터가 사용 되어지고 있으며, 트랙터는 차체, 엔진, 동력전달장치, 주행장치, 동력취출장치, 작업기 연결장치, 유압장치 및 전기장치로 이루어져 있다.Generally, a tractor having a convenient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is used as a means for performing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work, and a tractor is used for a car body, an engine, a power transmission device, a traveling device, a power take-off device, a working device connection device, Lt; / RTI >

트랙터의 후방에 플라우(Plow), 해로우(Harrow), 로터베이터 등의 작업기를 부착하여 경운, 쇄토작업, 병충해방제, 양수 및 탈곡 등 각종 농작업에 사용되어지고 있다.Plow, harrow, and rotor baler are attached to the rear of the tractor for tilling, crushing, pest control, pumping, and threshing.

또한, 작업기는 전방에 별도의 작업기 연결부가 구비되어 트랙터의 후방에 결합된 상부링크, 상기 상부링크의 양측 하부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좌우 리프트로드 및 좌우 리프트로드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하부링크로 이루어진 트랙터 연결부에 의하여 3점 히치로 결합되어지고, 작업기의 구동축은 동력취출장치(PTO:Power Take Off)에 결합되어 구동되어질 수 있게 된다.The working machine includes an upper link coupled to a rear portion of the tractor with a separate working machine connection portion at the front, left and right lift rods pivotally coupled to one sides of the lower link at both sides of the upper link, And the drive shaft of the working machine can be coupled to a power take off (PTO) to be driven.

그러나 트랙터에 작업기를 결합시키기 위해 구비된 상부링크, 좌우 리프트로드 및 하부링크로 이루어진 트랙터 연결부와 작업기에 결합된 작업기 연결부의 형태와 구조 및 간격이 제조사별로 상이함으로써, A사의 트랙터에 B사의 작업기를 결합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작업자가 A사의 트랙터를 보유하고 있을 경우, A사에서 지정해주는 작업기만 사용할 뿐 B사의 다른 작업기를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이 없어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shape, the structure, and the spacing of the tractor connecting portion composed of the upper link, the left and right lift rod and the lower link and the working machine connecting portion coupled to the working machine provided for coupling the working machine to the tractor differ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There was a problem that it could not be combined. That is, when the worker has the tractor of the company A, there is a lot of inconvenience because only the worker designated by the company A is used but only the other worker of the company B can use it.

뿐만 아니라 트랙터와 작업기를 동일한 A사로 구비한다 하더라도 작업기의 종류에 따라 작업기 연결부의 형태와 구조 및 간격이 모두 상이함으로써, 즉, 경운, 두둑 및 고랑을 만드는 휴립, 파종, 표면을 얕게 갈아 잡초를 없애는 중경제초 등의 연이은 작업이 이루어지게 될 경우, 하나의 트랙터에 쟁기작업기, 회전경운작업기, 배토작업기, 파종작업기 및 중경체조작업기 등을 신속하게 결합시키지 못해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even if the tractor and the working machine are provided with the same A yarn, the shape, the structure and the interval of the connecting part of the working machine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orking machine, that is, the tiller, sowing, When a successive work such as chiken weeding is performed, a plow working machine, a rotary tilling work machine, a plow working machine, a seeding work machine and a chongqing gymnastic work machine can not be quickly combined in one tractor, and work time is delayed.

또한, 장기간 사용하는 과정에서 작업기 연결부위가 마모나 변형 및 파손되었을 경우, 부분적인 점검과 수리 및 교환에 어려움이 있었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Further, whe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working machine is worn, deformed or damaged in a long-term use process, it is difficult to perform partial inspection, repair and exchange, and there is another problem that it takes much tim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To solve this problem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743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9252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7431호에 개시된 결속구는 트렉터 PTO축에 연결되는 조인트축 고정부와 작업기 구동축을 연결하는 연장조인트축을 숫스플라인을 통해 연결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트랙터에 앉은 채로 유압실린더를 조작하여 작업기를 트랙터에 연결하고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Korean Patent No. 10-1137431, Korean Patent No. 10-0969252, and Korean Patent No. 10-1137431 disclose a joint that connects a joint shaft fixing portion connected to a tractor PTO shaft and an extension joint shaft connecting a work machine drive shaft So that the operator can operate the hydraulic cylinder while sitting on the tractor, connecting the working machine to the tractor and transmitting the power.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문헌의 경우, 트렉터 PTO축에 연결되는 조인트축 고정부의 숫스플라인과 작업기 구동축을 연결하는 연장조인트축이 동축으로, 즉, 일직선상에 놓이는 경우에만 작업자가 트랙터에 앉은 채로 유압실린더의 조작으로 작업기의 연결이 가능하므로 이를 맞추기 위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수직지지프레임(320)과 수평결합편(350)을 작업기의 종류별로 볼트조절하여 세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 prior art documents, only when the extension joint shaft connecting the male spline of the joint shaft fixing portion connected to the tractor PTO shaft and the work machine drive shaft is coaxial, that is, in a straight line, It is troublesome for the operator to manually adjust the vertical support frame 320 and the horizontal joining piece 350 by adjusting the bolt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ork machine.

여기서, 상기 번거로움 뿐만아니라 구조적으로도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20)의 고정관통홀(321)과 수평결합편(350)의 가변관통홀(351)의 간격이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 구동축 높이를 반영하지 못하므로 상기 트렉터 PTO축과 상기 작업기 구동축의 동축화를 정확하게 구현하지 못함에 따라 내구성 저하의 문제가 있고,Not only this hassle but also the structural distance between the fixed through hole 321 of the vertical support frame 320 and the variable through hole 351 of the horizontal coupling piece 350 reflects the height of various types of working machine drive shaft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urability of the PTO shaft and the work machine driving shaft can not be exactly coincided with each other,

또한 축간 연결이 스플라인을 통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기 구동축을 연결하는 연장조인트축을 상기 숫스플라인을 통해 탈부착할 경우 스플라인의 이가 쉽게 마모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Further, since the shaft-to-shaft connection is made through the spline, when the extended joint shaft connecting the work machine driving shaft is detachably attached through the male spline, the spline may be easily worn out.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87170호에 개시된 연결장치는 톱 링크 하단에 마련된 좌우 한쌍의 로아 링크의 후단에 연결 장치가 연결되어 있고, 그 연결 장치에 로터리 작업기가 착탈자재 및 승강자재에 연결되고 있으며, 트랙터 본체의 PTO축과 로터리 작업기의 입력축이 요크 조인트(joint)를 통해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어, 작업자가 트랙터에 앉은 채로 유압실린더를 조작하여 작업기를 트랙터에 연결하고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the connecting devic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87170, a connecting device is connected to a rear end of a pair of right and left lower links provided at a lower end of a top link, and a rotary working machine is attached to the connecting / And the PTO shaft of the tractor body and the input shaft of the rotary working machine are spline coupled through a yoke joint so that the operator can operate the hydraulic cylinder while sitting on the tractor to connect the working machine to the tractor and transmit the power .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문헌의 경우 역시, 트렉터 PTO축을 연결하는 연결구와 작업기 구동축이 동축으로, 즉, 일직선상에 놓이는 경우에만 작업기의 연결이 가능하므로 동축이 아닌 작업기의 경우 별도의 동축화 작업없이 연결을 통해 동력전달이 불가능하며, 또한 축간 연결이 스플라인을 통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기 구동축을 탈부착할 경우 스플라인의 이가 쉽게 마모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 prior art documents,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the working machine only when the connecting port connecting the tractor PTO shaft and the driving machine driving shaft are coaxial, that is, in a straight line. It is impossible to transmit the power through the spline and the spline is worn easily when the driving shaft of the working machine is detachably attach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7431호Korean Patent No. 10-113743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9252호Korean Patent No. 10-096925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7431호Korean Patent No. 10-113743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87170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8717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이 가능한 작업기 연결장치는 트랙터의 동력을 작업기에 전달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기의 종류 및 제조사에 따른 형태, 구조 및 간격 등이 상이하더라도 작업자가 트렉터에 착석한 채로 작업기를 트랙터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연결구조를 제공하되, 작업자가 트랙터에 착석한 채로 작업기를 트랙터에 탈부착하기 위한 동작 이전에 작업기와 PTO축을 동축으로 설정하는 작업 등의 그 어떤 작업단계도 요구됨이 없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므로써, 경운, 두둑 및 고랑을 만드는 휴립, 파종, 표면을 얕게 갈아 잡초를 없애는 중경제초 등의 연이은 다른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부분적인 점검과 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for connecting a work machine capable of transmitting power, which can transmit the power of a tractor to a work machine, The operator is able to attach and detach the working machine to the tractor while being seated on the tractor even if the worker is seated on the tractor while the operator is seated on the tractor, Coaxial setting, etc., to provide a structure that eliminates the need for any work steps, so that other sequential operations such as tillage, shedding and furrow making, sowing, shallow ground surface weeding, And that partial inspection and exchange can be made easily. And that a task.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이 가능한 작업기 연결장치는 트랙터와 작업기를 결속하는 작업기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이 가능한 작업기 연결장치는 트랙터 후방에 연결되는 트랙터 결속구, 작업기 전방에 마련되는 작업기 결속구 및 트랙터의 PTO의 동력을 작업기의 구동축에 전달하는 조인트축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인트축 고정부는 트랙터 조인트축 고정부와 작업기 조인트축 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트랙터 조인트축 고정부는 트랙터(T)의 PTO와 연결되는 PTO 유니버셜조인트, 상기 PTO 유니버셜조인트에 연결되는 PTO 커플링축, 트랙터 결속구에 결합된 PTO 커플링축 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플링축을 지지하는 PTO 커플링축 베어링세트, 상기 베어링세트에 형성되어 상기 PTO 커플링축 가이드부에 연결된 복수의 탄성지지스프링, 상기 커플링축의 말단에 형성된 PTO 결속구 원추기어커플링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기 조인트축 고정부는 작업기 가이드축, 상기 작업기 가이드축에 연결되는 작업기 커플링축, 상기 커플링축을 지지하기 위하여 작업기 결속구 내부에 설치된 작업기 커플링축 베어링세트, 상기 커플링축 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PTO 결속구 원추기어커플링에 대응되는 구조를 갖는 트랙터 결속구 원추기어커플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connecting a working machine to a tractor, the apparatus comprising: a tractor coupling unit connected to a rear of the tractor; And a joint shaft fixing part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PTO of the tractor to the driving shaft of the working machine, wherein the joint shaft fixing part is composed of a tractor joint shaft fixing part and a working machine joint shaft fixing part, The tractor joint shaft fixing unit includes a PTO universal joint connected to the PTO of the tractor T, a PTO coupling shaft connected to the PTO universal joint, a PTO coupling shaft guide coupled to the tractor coupling, A coupling shaft bearing set formed on the bearing set, the PTO coupling shaft guide portion Wherein the working machine joint shaft fixing portion includes a working machine guide shaft, a working machine coupling shaft connected to the working machine guide shaft, and a coupling shaft connected to the coupling shaft, A working machine coupling shaft bearing set installed inside the working machine coupling shaft to support the PTO coupling shaft, and a tractor coupling shaft cone gear coupling formed at the end of the coupling shaft and corresponding to the PTO coupling shaft conical gear coupling. do.

또한, 상기 원추기어 커플링은 평판형 원판부와 그 중심에 형성된 콘형 원추부를 포함하며, 상기 평판형 원판부에는 그 원주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기어부가 돌출형성되어 서로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nical gear coupling includes a plate-like disk portion and a cone-shaped conical portion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gear portion protru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lanar disk portion is protruded and engaged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베어링 세트는 오일주입구가 형성된 조인트측 하우징, 상기 조인트축 하우징과 결합되는 커플링측 하우징, 상기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어 베어링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earing set includes a joint-side housing having an oil inlet formed therein, a coupling-side housing coupled to the joint shaft housing, and an oil chamber formed between the housing and supplying oil to the bearing.

또한, 상기 복수의 탄성지지스프링은 인장스프링과 압축스프링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lurality of elastic support springs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a tension spring and a compression spring.

또한, 상기 트랙터 결속구는 트랙터 결속프레임, 상기 트랙터 결속 프레임의 상부 중앙에 걸림후크가 돌출형성되고, 트랙터 결속 프레임의 하부에는 트랙터 결속프레임 가로빔이 형성되고, 상기 트랙터 결속프레임 가로빔에는 트랙터(T)에 구비된 로워링크(T-2)에 힌지결합되는 하부링크 연결부 및 결속편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작업기 결속구는 상기 트랙터 결속구의 외형에 대응되는 작업기 결속프레임, 상기 작업기 결속프레임 상부 중앙에 걸림후크에 걸려지는 걸림축이 돌출형성되고, 작업기 결속프레임의 하부에는 작업기 결속프레임 가로빔이 형성되고, 상기 작업기 결속프레임 가로빔에는 상기 결속편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게 결속축이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ractor fastening frame includes a tractor fastening frame, a hook hook protruding from the upper center of the tractor fastening frame, a tractor fastening frame transverse beam formed below the tractor fastening frame, A lower link connection portion and a binding piece hinged to a lower link T-2 provided on the lower link T-1 and the upper link linking portion are hinge-connected to the upper link link T- And a binding shaft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a position where the binding piece is formed on the working machine binding frame transverse beam, wherein the binding shaft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transverse beam of the working machine binding frame, .

또한, 상기 작업기 결속프레임의 상부에는 상부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브라켓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구멍에 볼트 조립되는 높이조절 간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n upper bracket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ork machine binding frame, and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bracket to form a height adjusting gap for assembling the bolts into the holes.

또한, 상기 가로빔에는 폭조절 간격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폭조절 간격구는 작업기의 로워링크에 결속핀(P-3)으로 핀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width adjusting gap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horizontal beam, and the width adjusting gap may be connected to a lower link of the working machine by a binding pin (P-3).

또한, 상기 트랙터 결속구에는 결속축 언로킹부가 형성되되, 상기 결속축 언로킹부는 핸들, 일단이 상기 핸들에 힌지연결되는 연결편, 상기 연결편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결속축 언로킹부 연결부에 힌지연결되는 연결봉, 상기 연결봉에 연결되는 작동편, 일단이 상기 작동편에 힌지연결되는 탄성스프링, 상기 탄성스프링의 타단에 힌지연결되는 구속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inding shaft unlocking portion may include a handle, a connecting piece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handle, a hing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iece, and hinged to the binding shaft unlocking portion connecting portion A connecting rod, an operating piec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an elastic spring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operating piece, and a restraining piece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spring.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이 가능한 작업기 연결장치는 쟁기, 회전경윤기, 배토기, 파종기, 중경제초기, 비료살포기, 붐스프레이, 트레일러 등 작업기의 종류 및 제조사에 따른 형태, 구조 및 간격 등이 상이하더라도 작업자는 트랙터에 착석한 채로 작업기를 트랙터에 탈부착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작업기의 호환성을 높여 모든 형태와 구조 및 간격이 상이한 작업기가 하나의 트랙터에 사용되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지닌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vice for connecting a work machine capable of transmitting power, including a plow, a turning glaze, an ejector, a seeder, a chrysler, a fertilizer spreader, a boom sprayer, a trailer, The worker can attach and detach the working machine to the tractor while being seated on the tractor. Therefore, the working machine having all the different shapes, structures and intervals can be used for one tractor by improving the compatibility of the working machine. Specifically, it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작업기의 구동축 위치가 기종별로 상이하더라도, 즉 트랙터의 PTO축과 작업기의 구동축이 동일축선상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작업자는 이를 동축으로 조정하는 작업공정 없이, 트랙터에 착석한 채로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 연결장치를 연결하는 동작만으로 자연스럽게 동축으로 조정되므로 작업자의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Even if the PTO axis of the tractor and the driving axis of the working machine are not located on the same axis line, even if the position of the driving axis of the working machine differ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machine, And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operator is improved because the coaxial operation is naturally adjusted only by the operation of connecting the connecting device.

둘째, PTO에서 작업기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존의 스플라인 결합구조를 기어구조로 개선함으로써, 트랙터와 작업기를 빈번히 탈부착하더라도 동력전달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트랙터의 PTO축과 작업기의 구동축의 동축화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Second, by improving the existing spline coupling structure that transfers power from the PTO to the working machine to the gear structu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urability according to the power transmission even if the tractor and the working machine are frequently attached and detached, .

셋째, 작업기의 폭길이가 기종별로 상이하더라도, 즉 작업기의 간격이 상이하더라도 폭조절 간격구를 통해 작업기의 폭길이에 대응하도록 설계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irdly, even if the lengths of the widths of the working machin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at is, even if the intervals of the working machines are different, the compatibility of th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roved by designing the widths of the working machines to correspond to the widths of the working machines.

넷째, 작업기 연결부와 트랙터 연결부의 연결을 트랙터 작업좌석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즉, 작업자가 연결장치의 체결을 위해 트랙터에서 내렸다 올랐다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함으로써, 작업능률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Fourth, there is an effect of maximizing the work efficiency by making it possible to adjust the connection between the work machine connecting portion and the tractor connecting portion by the tractor working seat, that is, by eliminating the troubles that the worker has come down from the tractor for fastening the connec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이 가능한 작업기 연결장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이 가능한 작업기 연결장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이 가능한 작업기 연결장치 분리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이 가능한 작업기 연결장치 트랙터 결속구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이 가능한 작업기 연결장치 작업기 결속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이 가능한 작업기 연결장치 작업기 결속구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이 가능한 작업기 연결장치 조인트축 고정부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이 가능한 작업기 연결장치 조인트축 고정부의 작업기 조인트축 고정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이 가능한 작업기 연결장치 PTO 커플링축 연결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이 가능한 작업기 연결장치 요부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이 가능한 작업기 연결장치 결속축 언로킹부 정면도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device of a working machine capable of transmitting p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device of a working machine capable of transmitting p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side view of a connecting device of a working machine capable of transmitting p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ctor coupling apparatus for a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working machine coupling device for a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view of a joining apparatus for a work machine connecting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p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ide view of a joint shaft fixing part of a connecting device of a working machine capable of transmitting p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ork machine connecting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p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PTO coupling shaft connected to a work machine connecting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p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ide view of a connecting portion of a connecting device of a working machine capable of transmitting p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front view of the unlocking portion of the binding shaft of the connecting device of the working machine capable of transmitting p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general term that is widely used at present. However, in some cases, there is a term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this cas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meaning.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 작업기 결속장치(A)는 트랙터(T)에 작업기(W)를 용이하게 결속하여 작업기(W)의 기능에 따라 여러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트랙터(T)의 후방에 미리 결합된 트랙터 결속구(100)에 작업기(W)의 전방에 미리 결합된 작업기 결속구(200)가 조인트축 고정부(300)에 의해 원터치식으로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A tractor T binding apparatus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ctor T fastening apparatus for easily tying a work machine W to a tractor T so that various operations can be performed quickly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work machine W, The work machine coupling means 200 coupled in advance to the front of the working machine W is coupled to the tractor coupling means 100 previously coupled to the rear of the work machine W by means of the joint shaft fixing means 300 in a one-touch manner.

즉, 작업기의 종류별로 구동축의 위치가 상이하더라도 트랙터의 PTO축과 작업기 구동축의 중심을 맞추기 위한 작업을 별도로 시행하지 않고 상기 중심축이 자동으로 맞춰질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트랙터 결속구(100)에 형성된 트랙터 조인트축 고정부(310)를 작업기 조인트축 고정부(320)의 높낮를 추종하면서 동조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즉, 종류별로 그 위치가 상이하더라도 작업기 구동축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고, PTO축이 연결된 트랙터 조인트축 고정부(310)가 작업기 구동축의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동조화되어 동축됨을 의미한다.That is, even if the position of the drive shaft differ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orking machine, in order to automatically align the center axis of the tractor with the center of the PTO shaft of the tractor and the driving shaft of the working machine, Is achieved by synchronizing the formed tractor joint shaft fixing portion (310) with the high and low speed of the work machine joint shaft fixing portion (320). That is, even if the position is different for each type, it means that the tractor joint shaft fixing part 310, to which the PTO shaft is connected, is automatically coaxed and coaxed with the position of the driving shaft of the working machine, with reference to the position of the driving shaft of the working machine.

이는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작업기의 종류별로 상이한 구동축의 높낮이를 PTO축과 동축으로 맞추기 위하여, 작업자가 PTO축이 연결된 트랙터 조인트축을 수동으로 위아래 위치이동 시키면서 상쇄시키는 종래기술과 대비하여 볼 때,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완전히 달리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This is because, as described above, in contrast to the prior art in which the worker manually shifts the tractor joint axis to which the PTO shaft is connected by shifting the height of the different drive shafts coaxially with the PTO axis, Can be said to b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technical idea.

이로써, 본 발명은 작업자가 경운, 두둑 및 고랑을 만드는 휴립, 파종, 표면을 얕게 갈아 잡초를 없애는 중경제초 등의 연이은 작업 중에도 작업자는 작업기 연결작업을 위해 트랙터에서 하차할 필요가 없는 반면, 종래기술은 작업기 종류별로 구동축의 다양한 높낮이에 맞춰 PTO축이 연결된 트랙터 조인트축을 수동으로 위치이동 시키기 위해 트랙터에서 하차해야 하는 차이가 있다.
Thus,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the operator to get off the tractor for connecting the working machine during the subsequent operations such as tillage, shedding of the tiller and the tiller, sowing of the worker, sowing,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it is necessary to get off the tractor in order to manually move the tractor joint axis to which the PTO shaft is connected in accordance with various elevations of the drive shaft.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구성간 결합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To this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트랙터 결속구(10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부가 개방된 ∩형의 트랙터 결속 프레임(110)의 상부 중앙에 하기할 작업기 결속구(200)의 걸림축(220)이 걸려지도록 하는 걸림후크(120)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후크(120)가 형성되는 결속 프레임(110) 저부에는 트랙터의 톱링크(T-1)에 연결된 유압실린더(S)가 유압실린더 결속핀(P-1)에 의해 힌지연결되는 유압실린더 연결부(140)가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4, the tractor binding unit 100 includes an engaging shaft 220 of a work machine binding member 200 to be mounted at an upper center of an inverted ∩ type tractor binding frame 110 And a hydraulic cylinder S connected to the top link T-1 of the tractor is coupled to the hydraulic cylinder at the bottom of the binding frame 110 where the hooking hook 120 is formed. And a hydraulic cylinder connecting portion 140 hinged by the pin P-1 is formed.

상기 트랙터 결속 프레임(110)의 하부에는 하부가 개방된 ∩형을 가로지르며 폐쇄시키는 트랙터 결속프레임 가로빔(15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트랙터 결속프레임 가로빔(150) 말단에는 트랙터(T)에 구비된 로워링크(T-2)에 트랙터 로워링크(T-2) 결속핀(P-2)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하부링크 연결부(160)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로빔(150) 측부에는 작업기 결속구(200)의 결속축(230)이 걸림 고정되어지는 결속편(13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A tractor binding frame transverse beam 150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ractor binding frame 110 so as to intersect and close an ∩-shaped open bottom. The tractor binding frame transverse beam 150 has a tractor T A lower link connecting portion 160 hinged by a tractor lower link T-2 binding pin P-2 is formed on a lower link T-2 provided on a side of the transverse beam 150, And binding pieces 130 to which the binding shafts 230 of the working machine binders 200 are fastened.

또한, 상기 트랙터 결속 프레임(110)의 상부에는 하기할 결속축 언로킹부(500)가 설치되기 위한 결속축 언로킹부 연결부(170)가 상기 프레임(110)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트랙터 결속 프레임(110)의 내부공간에는 PTO의 구동력이 작업기(W)로 전달되어질 수 있게 조인트축 고정부(300)가 볼트에 의해 고정설치 되는 트랙터 조인트고정부 설치브라켓(180)이 형성되어 있다.
A coupling shaft unlocking portion connecting portion 17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ctor coupling frame 110 to provide a coupling shaft unlocking portion 500 to be coupled to the tractor coupling frame 110, The joint shaft fixing portion 300 is fixed to the inner space of the body 110 by bolts so that the driving force of the PTO can be transmitted to the working machine W.

상기 작업기 결속구(20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쟁기, 회전경운기, 배토기, 파종기, 중경제초기, 비료살포기, 붐스프레이, 트레일러 등 모든 형태와 구조 및 간격이 상이하며 개별적인 작업이 가능한 다양한 모든 작업기(W)가 하나의 트랙터(T)에 신속하게 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1 to 3 and 5 to 6, the working machine binding apparatus 200 includes all types and structures such as a plow, a rotary tiller, an excavator, a planter, a chrysler mower, a fertilizer spreader, a boom sprayer, a trailer, And all the various working machines W having different intervals and capable of individual operations can be quickly coupled to one tractor T. [

이를 위해, 상기 작업기 결속구(200)는 트랙터 결속구(100)의 외형에 대응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형의 작업기 결속프레임(210)의 상부 중앙에 상부브라켓(240)이 상향돌출되고 상기 상부브라켓(240)의 일측에 상기 걸림후크(120)에 결합되어지는 걸림축(220)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상부브라켓(240)의 타측으로 작업기 상부링크 결속핀(P-4)에 의해 연결되는 높이조절 간격구(270)가 형성되어 있다. The upper bracket 240 is protruded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portion of the ∩ type work machine binding frame 210 which is opened downward to correspond to the outer shape of the tractor binding tool 100, A latching shaft 22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racket 240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latching hook 120 and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bracket 240 by the upper link coupling pin P- A height adjusting gap 270 is formed.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간격구(270)는 작업기의 기종별로 크기가 달라지고 그 크기에 따라 폭과 높이가 달라지므로 이때 그 높이조절을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핵심적 특징이 상기 트랙터 결속구(100)와 상기 작업기 결속구(200)에 형성된 조인트축 고정부(300)의 중심을 동축으로 고정되게 설정해 놓는 것이므로, 작업기의 높낮이가 기종별로 가변되는 것은 상기 높이조절 간격구(270)를 통해 흡수한다. Here, the height adjustment spacers 270 are provided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eight adjusting spacers 270 according to sizes of the apparatuses and widths and heights of the apparatuses according to sizes thereof.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enter of the joint 100 and the center of the joint shaft fixing part 300 formed in the working machine binding joint 200 are fixed coaxially with each other, Lt; / RTI >

이를 위해, 상부브라켓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 간의 간격을 상기 높이조절 간격구(270)가 위치이동하며 볼트조립되면서 높낮이를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To this end,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bracket, and the height adjusting spacers 270 are moved in position to absorb the height while the bolts are assembled.

상기 작업기 결속 프레임(210)의 하부에는 하부가 개방된 ∩형를 가로지르며 폐쇄시키는 작업기 결속프레임 가로빔(25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업기 결속프레임 가로빔(250)에는 상기 결속편(130)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게 결속축(230)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결속축(230)이 상기 결속편(130)에 삽입되어지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로빔(250)에는 폭조절 간격구(26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폭조절 간격구(260)는 작업기의 로워링크에 결속핀(P-3)으로 핀연결되어 있다. A work machine binding frame transverse beam 250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orking machine binding frame 210 to intersect and close an ∩-shaped opening having a lower portion. The transverse beam 250 of the working machine binding frame 250 includes the binding piece 130 And a coupling shaft 230 is protruded from the coupling shaft 230 so that the coupling shaft 23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iece 130. A width adjusting gap 260 is formed in the horizontal beam 250 And the width adjusting gap 260 is pin-connected to the lower link of the working machine with a binding pin P-3.

여기서, 상기 폭조절간격구(260)는 작업기의 기종별로 크기가 달라지고 그 크기에 따라 폭과 높이가 달라지므로 작업기의 로어링크의 폭에 대응되도록 작업기 결속프레임 가로빔(250)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폭조절을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Since the width of the width adjusting gap 260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working machine and the width and the height of the width adjusting gap 260 var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orking machine, Width adjustment.

또한, 상기 작업기 결속 프레임(210)의 내부공간에는 PTO의 구동력이 작업기(W)로 전달되어질 수 있게 조인트축 고정부(300)가 고정설치 되는 작업기 조인트고정부 설치브라켓(280)가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working machine joint fixing part mounting bracket 280 is fixedly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working machine binding frame 210 so that the driving force of the PTO can be transmitted to the working machine W .

상기 조인트축 고정부(30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트랙터(T)의 PTO와 작업기(W)의 구동축이 결합되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트랙터 조인트축 고정부(310)와 작업기 조인트축 고정부(320)로 구성된다.1 to 3 and 7 to 10, the joint shaft fixing part 300 has a function of coupling the PTO of the tractor T and the drive shaft of the working machine W, A shaft fixing part 310 and a work machine joint shaft fixing part 320.

상기 트랙터 조인트축 고정부(310)는 트랙터(T)의 PTO와 연결되는 PTO 유니버셜조인트(311), 상기 PTO 유니버셜조인트(311)에 연결되어 트랙터 결속 프레임(110)의 트랙터 조인트고정부 설치브라켓(180)에 볼트 결합되는 PTO 커플링축 가이드부(312)를 관통하는 PTO 커플링축(313), 상기 커플링축(313)을 지지하기 위하여 PTO 커플링축 가이드부(312) 내부에 설치된 PTO 커플링축 베어링세트(315), 상기 베어링세트의 원주를 따라, 좀더 정확히는 베어링세트 외륜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PTO 커플링축 가이드부(312)에 연결되는 복수의 탄성지지스프링(316), 상기 커플링축(313)의 말단에 형성된 PTO 결속구 원추기어커플링(317)을 포함한다.The tractor joint shaft fixing unit 310 includes a PTO universal joint 311 connected to the PTO of the tractor T and a tractor joint fixing bracket 311 connected to the PTO universal joint 311, A PTO coupling shaft 313 penetrating through a PTO coupling shaft guide part 312 which is bolted to the PTO coupling shaft guide part 312 and a PTO coupling shaft bearing part 312 installed inside the PTO coupling shaft guide part 312 to support the coupling shaft 313, (315), a plurality of elastic support springs (316)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earing set, more precisely along the bearing set outer ring and connected to the PTO coupling shaft guide part (312) And a PTO coupling spherical cone gear coupling 317 formed on the yoke.

여기서, 상기 PTO 커플링축 가이드부(312)는 상기 탄성지지스프링(316)의 원활한 설치 및 상기 PTO 커플링축(313)의 관통을 위하여 그 내부는 중공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중공을 형성하는 내벽(312-2)을 따라 복수의 탄성지지스프링(316)이 상기 베어링세트(315)에 연결된다.Here, the PTO coupling shaft guide portion 312 has a hollow inside for smoothly installing the elastic support spring 316 and penetrating the PTO coupling shaft 313, and the inner wall A plurality of resilient support springs 316 are connected to the bearing set 315 along a plurality of bearings 312-2.

상기 탄성지지스프링(316)은 바람직하게는 상하좌우 4개소 정도에 설치하는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작업기 구동축에 PTO 축이 동축으로 동조화되는 과정에서 상기 PTO 커플링축 베어링세트(315)과 PTO 커플링축 가이드부(312) 사이에 형성되어 그 사이에서 유동하는 상기 탄성지지스프링(316)의 유동 방향을 고려한 것이다.Preferably, the elastic support springs 316 are installed at about four positions o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TO coupling shaft 315. This is because the PTO coupling shaft bearing set 315 and the PTO coupling shaft 316, And the flow direction of the elastic support spring 316 formed between the guide portions 312 and flowing therebetween is taken into consideration.

아울러 상기 탄성지지스프링(316)은 상기 유동방향과 더불어 상기 베어링세트의 하중을 지지하고 있음을 고려하여 상기 베어링세트을 지지하고 있는 하부 탄성지지스프링(316)은 압축스프링으로 형성하고, 상기 베어링세트을 인양하고 있는 상부 탄성지지스프링(316)은 인장스프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복수의 탄성지지스프링(316)은 인장스프링과 압축스프링이 복합적으로 채택된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elastic support spring 316 supports the load of the bearing set together with the flow direction, the lower elastic support spring 316 supporting the bearing set is formed as a compression spring, The upper elastic support spring 316 is preferably formed of a tension spring. That is, the plurality of elastic supporting springs 316 means that a tension spring and a compression spring are used in combination.

아울러,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하좌우 탄성지지스프링(316)에 가해지는 하중을 고려함으로써 압축 및 인장력을 달리함으로써, 그 설계수명을 최대치로 상승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Further, it is more desirable to increase the design life span by maximizing the compression and tensile force by considering the load a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right and left elastic support springs 316.

트랙터 및 작업기의 운행 여건상 오프로드에서의 작업이 자명하므로 당연히 진흙 등의 이물질이 상기 탄성지지스프링(316)을 오염시킬 수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PTO 커플링축 가이드부(312)의 내벽을 막는 커버(319)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operation of the tractor and the working machine is self-evident in the off-road operation, foreign matter such as mud may naturally contaminate the elastic support spring 316. In order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elastic support spring 316,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cover 319 for blocking the light.

또한, 상기 베어링세트(315)가 상기 가이드부(312)에서 하기할 작업기 결속구 원추기어커플링(327)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그 위치가 가변되어야 하므로 그 가변 유격을 고려하여 상기 커버(319)는 연질 또는 신축성 재질의 것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position of the bearing set 315 must be chang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cone gear coupling 327 of the work machine coupling to be performed in the guide portion 312, It is preferable to adopt a flexible or stretchable material.

아울러, 상기 커버(391)가 상기 가이드부(312)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312)에는 가이드홈(312-1)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312-1)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상기 커버(319)에는 가이드돌기(319-3)을 형성하고, 상기 PTO 커플링축(313)이 삽입될 있도록 절개선(319-2)을 형성하고 또한 PTO 커플링축에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안착홈(319-1)을 중앙에 형성하는 거이 바람직하다.A guide groove 312-1 is formed in the guide portion 312 so that the cover 391 can be attached to the guide portion 312. The guide groove 312-1 is formed in the guide groove 312-1, A guide protrusion 319-3 is formed on the PTO coupling shaft 319 and an incision 319-2 is formed such that the PTO coupling shaft 313 is inserted. -1) is preferably formed at the center.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원추기어커플링(317)은 하기할 작업기 결속구 원추기어커플링(327)과 맞물려 트랙터(T)의 PTO의 출력을 작업기(W)의 구동축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평판형 원판부(317-1)와 그 중심에 형성된 콘형 원추부(317-3)을 포함한다. 2, the conical gear coupling 317 is engaged with a cone gear coupling 327 of a work machine coupling to be described below to transmit the output of the PTO of the tractor T to the drive shaft of the working machine W A flat disc portion 317-1, and a cone-shaped conical portion 317-3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상기 평판형 원판부(317-1)는 그 원주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기어부(317-2)가 돌출형성되어 하기할 작업기 결속구의 평판형 원판부(327-1)에 돌출형성된 기어부(327-2)와 맞물려 PTO의 출력이 작업기에 전달되는 것이다. The planar disc portion 317-1 includes a gear portion 327-1 protruding from a planar disc portion 327-1 of a work machine binding port to which a gear portion 317-2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circumference is protruded, -2) and the output of the PTO is transmitted to the working machine.

즉, 상기 콘형 원추부(317-3)는 하기할 작업기 결속구의 콘형 원추부(327-3)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호 결속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원추부(317-3, 327-3)를 콘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트랙터 결속구(100)와 작업기 결속구(200)가 상호 연결시 작업기 결속구 원추기어커플링(327)의 원추가 트랙터 결속구 원추기어커플링(317)의 원추를 따라 축심을 향해 진행하게 하여, 상기 트랙터 결속구 원추기어커플링(317)이 상기 탄성지지스프링(316)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작업기의 구동축, 즉 작업기 결속구 원추기어커플링(327)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그 위치를 가변하게 되어 작업기 구동축과 트랙터 PTO축이 동축이 되어 PTO의 동력이 작업기에 전달되는 것이다.That is, the cone-like conical portion 317-3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nical conical portion 327-3 of the work machine coupling means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conical portions 317-3 and 327-3 are cone- The tractor binding opening 100 and the working machine binding opening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move the shaft center along the cone of the circular additional tractor binding cylindrical gear coupling 317 of the working machine binding spherical cylindrical gear coupling 327 The tractor coupling conical gear coupling 317 is moved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drive shaft of the working machine, that is, the working machine coupling concave gear coupling 327 while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upport spring 316 So that the power of the PTO is transferred to the working machine by making the working machine driving shaft and the tractor PTO shaft coaxial.

여기서, 본원의 실시예는 트랙터 결속구 원추기어커플링(317)을 암형으로 하고, 작업기 결속구 원추기어커플링(327)을 숫형으로 하였으나, 이는 상기 암수의 형태가 바뀌어도 무방하며, 그 형태에 대한 선택은 통상의 기술자가 설계적 유불리를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할 수 있다.He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ical gear coupling 317 of the tractor coupling and the coupling of the cone coupling 327 of the working machine coupling are made of male type, but the shape of the male and female coupling may be changed, The choice of the proper design can be made by an ordinary technician considering the design merit.

상기 작업기 조인트축 고정부(320)는 작업기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작업기 가이드축(321), 상기 작업기 가이드축(321)에 연결되어 작업기 결속 프레임(210)의 작업기 조인트고정부 설치브라켓(280)을 관통하는 작업기 커플링축(323), 상기 커플링축을 지지하기 위하여 작업기 조인트고정부 설치브라켓(280) 내부에 설치된 작업기 커플링축 베어링세트(325), 상기 커플링축 (323)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PTO 결속구 원추기어커플링(317)에 대응되는 구조를 갖는 트랙터 결속구 원추기어커플링(317)을 포함한다.The work machine joint shaft fixing part 320 includes a working machine guide shaft 321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of the working machine and a working machine joint fixing part mounting bracket 280 connected to the working machine guide shaft 321, A working machine coupling shaft bearing set 325 installed inside the work machine joint fixing station bracket 280 to support the coupling shaft and a working machine coupling shaft bearing set 325 formed at the end of the coupling shaft 323, And a tractor coupling portion conical gear coupling 317 having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spherical gear coupling 317.

여기서, 상기 커플링축(313, 323) 및 결속구 원추기어커플링(317, 327)은 서로 각형 스플라인 또는 인벌류트 스플라인, 또는 세레이션으로 축이음되어 있다.
Here, the coupling shafts 313 and 323 and the coupling spherical cone gear couplings 317 and 327 are axially splined to each other by a square spline, an involute spline, or a serration.

아울러, 상기 베어링 세트(315, 325)는 통상적으로 4,500RPM에 까지 달하는 PTO축의 고속회전을 작업기축에 전달하여야 하기 때문에 원통 롤러 베어링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않는다. In addition, since the bearing sets 315 and 325 are required to transmit the high-speed rotation of the PTO shaft, which usually reaches 4,500 RPM, to the work axis, it is preferable to adopt a cylindrical roller bearing.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주지하는 바와 같이 원통 롤러 베어링은 일반적으로 외주에 궤도면을 가지는 내륜과, 내주에 궤 도면을 가지는 외륜과, 내륜의 궤도면과 외륜의 궤도면 사이에 전동(轉動) 가능하게 배치된 복수의 원통 롤러와, 원통 롤러를 원주에 소정 간격으로 유지하는 리테이너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원통 롤러 베어링은 원통 롤러의 전동면과 궤도륜의 궤도면이 선접촉하기 때문에 레이디얼 하중의 부하능력이 높아 고속 회전에도 적합하지만, 그 반면 볼베어링에 비해서 고속회전 시의 발열량이 크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As is known, a cylindrical roller bearing generally includes an inner ring having an orbit surface on the outer periphery, an outer ring having an inner periphery on the inner periphery, and a plurality of cylinders arranged to be able to roll between the raceway surface of the inner ring and the raceway surface of the outer ring. And a retainer for holding the cylindrical roll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circumference. Since the rolling surface of the cylindrical roller and the raceway surface of the raceway are in lin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ylindrical roller bearing is suitable for high-speed rotation because of its high load capacity for radial load. On the other hand, It is holding.

따라서, 상기 발열을 억제하고자 오일냉각을 채택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베어링 하우징에 오일챔버를 형성하여 원통 롤러 베어링의 롤러에 오일이 상시 공급되도록 하였다.Therefore, in order to suppress the heat generation, oil cooling is adopted. In this embodiment, an oil chamber is formed in the bearing housing so that oil is always supplied to the roller of the cylindrical roller bearing.

이로서, 오일을 통한 냉각 뿐만 아니라 롤러의 유체마찰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오일을 수시로 공급하지 않아도 되어 유지보수의 용이성도 확보할 수 있다.As a result, it is not necessary to supply the oil, which is necessarily required for the friction of the rollers with the fluid, from time to time as well as the cooling through the oil, thereby ensuring ease of maintenance.

이를 위하여,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베어링 세트(315, 325)는, 여기서 PTO 커플링축 베어링세트(315)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오일주입구가 형성된 조인트측 하우징(315-1), 상기 조인트축 하우징과 결합되는 커플링측 하우징(315-2), 상기 하우징(315-1, 315-2) 사이에 형성되어 베어링(315-3)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챔버(31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0, the bearing sets 315 and 325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 PTO coupling shaft bearing set 315 as an example. The bearing sets 315 and 325 include a joint side housing 315-1 formed with an oil inlet, A coupling side housing 315-2 coupled to the housing and an oil chamber 315-4 formed between the housings 315-1 and 315-2 to supply oil to the bearing 315-3 .

여기서, 상기 PTO 커플링축 베어링세트(315)의 경우는 상기 조인트측 하우징(315-1)에 상기 탄성지지스프링(316)이 연결되어 PTO 커플링축 가이드부(312)의 내벽(312-2)에 연결된다.
Here, in the case of the PTO coupling shaft bearing set 315, the elastic support spring 316 is connected to the joint-side housing 315-1 so as to be coupled to the inner wall 312-2 of the PTO coupling shaft guide portion 312 .

상기 결속축 언로킹부(50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결속축(230)이 상기 결속편(130)에 걸림되어 트랙터 결속구(100)와 작업기 결속구(200)가 완전결합되었을 때, 상기 결속구(100, 200)가 서로 분리되지 않고 소정의 작업을 완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속장치로서, 특히, 작업자가 트랙터의 좌석에 착석한 상태로 결속여부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1 to 3 and 11, the coupling shaft 230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piece 130 and is coupled to the tractor coupling part 100 and the working machine coupling part 200 The bind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binding members (100, 200)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an complete a predetermined operation when the binding members (100, 200) And the like.

이를 위하여, 상기 결속축 언로킹부(500)는 4개의 관절로 구성되어 있는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트랙터 좌석에서 작동 가능한 핸들(510), 일단이 상기 핸들에 힌지연결되는 연결편(520), 상기 연결편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결속축 언로킹부 연결부(170)에 힌지연결되는 연결봉(530), 상기 연결봉에 연결되는 한쌍의 작동편(540), 일단이 상기 작동편에 각각 힌지연결되는 한쌍의 탄성스프링(550), 상기 탄성스프링의 타단에 각각 힌지연결되는 한쌍의 구속편(560)을 포함한다.For this purpose, the binding shaft unlocking part 500 is composed of four joints. Specifically, the binding shaft unlocking part 500 includes a handle 510 operable in a tractor seat, a connecting piece 520 hinged to one end of the handle, A connecting rod 530 coupled to the other end and hinged to the coupling shaft unlocking portion connecting portion 170, a pair of actuating pieces 540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a pair of elastic springs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actuating piece, 550), and a pair of restraint pieces (560) hingedly connected to the other ends of the elastic springs.

따라서, 작업자가 트랙터의 좌석에 착석한 상태로 상기 핸들(510)을 조작하면, 상기 연결편(520)은 상기 연결봉(530)을 회전시키고, 상기 연결봉에 연결되어 있는 작동편(540)이 상기 연결봉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탄성스프링(550)을 누르면 상기 탄성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구속편(560)이 상기 결속편(130)의 일측을 폐쇄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로서, 상기 결속편(130)에 삽입된 결속축(230)이 상기 구속편(560)에 막혀 결속편을 벗어나지 못하게 되어 트랙터 결속구(100)와 작업기 결속구(200)가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when the operator manipulates the handle 510 while being seated in the seat of the tractor, the connecting piece 520 rotates the connecting rod 530, and the operating piece 540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540 rotates, The constraining piece 560 is lowered while closing one side of the binding piece 130 by the tensile force of the elastic spring. As a result, the binding shaft 230 inserted into the coupling piece 130 is blocked by the constraining piece 560 and can not be released from the binding piece, so that the tractor binding device 100 and the working device binding device 200 are held together It will be done.

여기서, 상기 구속편의 말단은 테이퍼지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결속편(130) 진입하면서 상기 결속축(230)을 상기 결속편에 완전삽입이 되도록 결속편(130) 측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하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nd of the restraint piece may be tapered so as to push the binding shaft 230 toward the binding piece 130 so that the binding shaft 230 is fully inserted into the binding piece 130 while entering the binding piece 130.

아울러, 상기 연결봉(530)의 양 말단에는 스프링(531)이 너트(532)에 의해 조여져 있어 상기 구속편이 언로킹 상태에 있을 경우, 즉, 트랙터와 작업기가 분리되어 있을 경우, 작업자에 의해 탄성력을 넘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결속축 언로킹부(500)가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하지 않도록 조여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pring 531 is tightened by the nut 532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rod 530 and the constraining piece is in the unlocking state, that is, when the tractor and the working machin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unlocking shaft unlocking part 500 tightens the unshifting shaft unlocking part 500 so as not to fall freely due to its own weight unless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reto.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트랙터 작업기 결속장치(A)를 이용하여 트랙터(T)에 작업기(W)가 결속되어지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binding the work machine W to the tractor T using the tractor work machine binding apparatus A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as follows.

트랙터 결속구(100)와 작업기 결속구(200)는 항상 트랙터(T)와 작업기(W) 각각에 결합 되어진 상태로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트랙터에 착석하여 트랙터를 작업하고자 하는 작업기로 이동시킨 후, 유압실린더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면 트랙터(T)의 후방에 구비된 트랙터 결속구(100)는 하부링크 연결부(160)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때 트랙터 결속구(100)와 함께 회전되는 걸림후크(120)를 걸림축(220)에 걸리도록 한다. The tractor binding unit 100 and the working machine binding unit 200 are always coupled to the tractor T and the working machine W, respectively. In this state, the operator is seated on the tractor and moves the tractor to the work machine to be operated. When the hydraulic cylinder is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tractor binding port 10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tractor T moves the lower link connecting portion 160 The engaging hook 120 is rotated with the tractor coupling 100 so that the engaging hook 120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shaft 220.

이어서 걸림축(220)이 걸림후크(120)의 선단에 걸려지면 유압실린더를 다시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작업기 결속구(20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트랙터 결속구(100)를 향해 끌려오면서 작업기 결속구(200)와 트랙터 결속구(100)가 일체로 결합되게 한다.When the hydraulic cylinder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again when the engaging shaft 220 is hooked to the tip of the engaging hook 120, the working machine coupling hole 200 is pulled toward the tractor coupling hole 100 rotating in the clockwise direction, (200) and the tractor binding joint (100) are integrally joined.

여기서, 트랙터 결속구(100)와 작업기 결속구(200)가 상호 결합시 작업기 결속구 원추기어커플링(327)의 원추가 트랙터 결속구 원추기어커플링(317)의 원추를 따라 축심을 향해 진행하면서 상기 탄성지지스프링(316)에 의해 신축지지되는 베어링세트(315)에 연결된 트랙터 결속구 원추기어커플링(317)이 상기 작업기 결속구 원추기어커플링(327)의 위치에 대응하면서 그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원추기어커플링(327)이 동축이되면서 평판형 원판부(317-1, 327-2)가 서로 치합되어 동력전달을 위한 준비를 마치게 된다.Here, when the tractor binding member 100 and the working machine binding member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along the cone of the circular additional tractor binding cylindrical guide gear coupling 317 of the working machine binding spherical guiding gear coupling 327 toward the axial center While the tractor coupling pinion gear coupling 317 connected to the bearing set 315 which is extended and supported by the elastic support spring 316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pin 327 of the working machine coupling pinion gear, So that the conical gear coupling 327 is coaxial with the plate-like disk portions 317-1 and 327-2 engaged with each other to complete preparation for power transmission.

여기서, 상기 커버(319)는 연질 또는 신축성 재질이므로 트랙터 결속구 원추기어커플링(317)의 위치가 가변되더라도 그 가변량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게 되고, 트랙터 결속구 원추기어커플링(317)의 가변량에 따른 PTO축과의 위치편차는 상기 PTO 유니버셜조인트(311)가 흡수하게 된다.Since the cover 319 is made of a soft or stretchable material, even if the position of the conical gear coupling 317 is variable, the variable amount of the conical gear coupling 317 can be sufficiently absorbed, The PTO universal joint 311 absorbs the positional deviation with respect to the PTO shaft according to the variable amount.

이 상태에서 결속축(230)은 자연스럽게 결속편(130)에 각각 삽입되어 안착된 상태가 된다.In this state, the binding shafts 230 are naturally inserted into the binding pieces 130 and are put in a state of being seated.

이어서, 작업자는 트랙터에 계속해서 착석한 채로 핸들(510)을 밀게되면 구속편(560)이 상기 결속편(130)의 일측을 폐쇄하면서 하강하여 상기 결속편(130)에 삽입된 결속축(230)이 상기 구속편(560)에 막혀 결속편을 벗어나지 못하게 되어 트랙터 결속구(100)와 작업기 결속구(200)가 완전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평판형 원판부(317-1, 327-2)가 서로 치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탄성지지스프링(316)은 상기 결속구(100, 20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더 이상 유동하지 않고 그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Then, when the operator pushes the handle 510 while being seated on the tractor, the restraint piece 560 descends while closing one side of the binding piece 130, and the binding shaft 230 inserted into the binding piece 130 Is blocked by the restraint piece 560 and can not be released from the binding piece, so that the tractor binding unit 100 and the working machine binding unit 200 are kept in a fully bound state. Therefore, since the plate-like disk portions 317-1 and 327-2 are maintained in a state where they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elastic support spring 316 does not flow any more when the binding ports 100 and 200 are engaged The position is maintained.

이후, 필요한 작업을 마친 후 트랙터(T)와 작업기(W)의 분리는 핸들(510)을 당김과 동시에 역동작을 통해 분리되어지게 된다.
Thereafter, after the necessary work is completed, the separation of the tractor T and the work machine W is separated through the reverse operation simultaneously with pulling the handle 51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cover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echnical scop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트랙터 결속구
110: 트랙터 결속프레임 120: 걸림후크
130: 결속편 140: 유압실린더 연결부
150: 트랙터 결속프레임 가로빔 160: 하부링크 연결부
170: 결속축 언로킹부 연결부 180: 트랙터 조인트고정부 설치브라켓
200: 작업기 결속구
210: 작업기 결속프레임 220: 걸림축
230: 결속축 240: 상부브라켓
250: 작업기 결속프레임 가로빔 260: 폭조절 간격구
270: 높이조절 간격구 280: 작업기 조인트고정부 설치브라켓
300: 조인트축 고정부
310: 트랙터 조인트축 고정부
311: PTO 유니버셜조인트 312: PTO 커플링축 가이드부
313: PTO 커플링축 315: PTO 커플링축 베어링세트
316: 탄성지지스프링 317: PTO 결속구 원추기어커플링
319: 커버
320: 작업기 조인트축 고정부
321: 작업기 가이드축 323: 작업기 커플링축
325: 작업기 커플링축 베어링세트 327: 작업기 결속구 원추기어커플링
500: 결속축 언로킹부
510: 핸들 520: 연결편
530: 연결봉 540: 작동편
550: 탄성스프링 560: 구속편
100: tractor coupling
110: tractor binding frame 120: hooking hook
130: joint part 140: hydraulic cylinder connection part
150: tractor binding frame, horizontal beam 160: lower link connection
170: coupling shaft unlocking part connecting part 180: tractor joint fixing part mounting bracket
200: Machine coupling
210: working machine binding frame 220:
230: coupling shaft 240: upper bracket
250: Working machine binding frame Horizontal beam 260: Spacing adjustment gap
270: Height adjusting spacer 280: Work machine joint fixing station bracket
300: joint shaft fixing portion
310: Tractor joint shaft fixing section
311: PTO universal joint 312: PTO coupling shaft guide part
313: PTO coupling shaft 315: PTO coupling shaft bearing set
316: resilient support spring 317: PTO coupling sleeve conical gear coupling
319: cover
320: Work machine joint shaft fixing portion
321: Machine guide shaft 323: Machine coupling shaft
325: Working machine coupling axis bearing set 327: Working machine coupling assembly Conical gear coupling
500: Union shaft unlocking part
510: handle 520: connecting piece
530: connecting rod 540:
550: elastic spring 560:

Claims (8)

트랙터와 작업기를 결속하는 작업기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이 가능한 작업기 연결장치는 트랙터 후방에 연결되는 트랙터 결속구(100), 작업기 전방에 마련되는 작업기 결속구(200) 및 트랙터의 PTO의 동력을 작업기의 구동축에 전달하는 조인트축 고정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조인트축 고정부(300)는 트랙터 조인트축 고정부(310)와 작업기 조인트축 고정부(320)로 구성되고,
상기 트랙터 조인트축 고정부(310)는 트랙터(T)의 PTO와 연결되는 PTO 유니버셜조인트(311), 상기 PTO 유니버셜조인트(311)에 연결되는 PTO 커플링축(313), 트랙터 결속구(100)에 결합된 PTO 커플링축 가이드부(312)에 설치되어 상기 커플링축(313)을 지지하는 PTO 커플링축 베어링세트(315), 상기 베어링세트(315)에 형성되어 상기 PTO 커플링축 가이드부(312)에 연결된 복수의 탄성지지스프링(316), 상기 커플링축(313)의 말단에 형성된 PTO 결속구 원추기어커플링(317)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기 조인트축 고정부(320)는 작업기 가이드축(321), 상기 작업기 가이드축(321)에 연결되는 작업기 커플링축(323), 상기 커플링축을 지지하기 위하여 작업기 결속구(200) 내부에 설치된 작업기 커플링축 베어링세트(325), 상기 커플링축 (323)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PTO 결속구 원추기어커플링(317)에 대응되는 구조를 갖는 트랙터 결속구 원추기어커플링(3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이 가능한 작업기 연결장치.
1. A work machine coupling device for coupling a tractor and a work machine,
The work machine coupling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the power includes a tractor coupling unit 100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tractor, a working machine coupling unit 200 provided in front of the working machine, and a joint shaft fixing unit 200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PTO of the tractor to the driving shaft of the working machine 300)
The joint shaft fixing part 300 includes a tractor joint shaft fixing part 310 and a working machine joint shaft fixing part 320,
The tractor joint shaft fixing part 310 includes a PTO universal joint 311 connected to the PTO of the tractor T, a PTO coupling shaft 313 connected to the PTO universal joint 311, A PTO coupling shaft bearing set 315 mounted on the coupled PTO coupling shaft guide portion 312 and supporting the coupling shaft 313 and a PTO coupling shaft bearing 315 formed on the PTO coupling shaft guide portion 312, A plurality of elastic supporting springs 316 connected to the coupling shaft 313 and a PTO coupling pin conical gear coupling 317 formed at the end of the coupling shaft 313,
The work machine joint shaft fixing part 320 is installed in the work machine coupling shaft 200 to support the coupling shaft 321, a working machine coupling shaft 323 connected to the working machine guide shaft 321, A working machine coupling shaft bearing set 325 and a tractor coupling wing conical gear coupling 327 formed at the end of the coupling shaft 323 and corresponding to the PTO coupling wedge cone gear coupling 317 Wherein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compris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추기어 커플링(317, 327)은 평판형 원판부(317-1, 327-1)와 그 중심에 형성된 콘형 원추부(317-3, 327-3)를 포함하며,
상기 평판형 원판부(317-1, 327-1)에는 그 원주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 기어부(317-2, 327-2)가 돌출형성되어 서로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이 가능한 작업기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ical gear couplings 317 and 327 include planar disk portions 317-1 and 327-1 and conical concentric portions 317-3 and 327-3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gear portions 317-2 and 327-2 protru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late-like disk portions 317-1 and 327-1 are protrudingly formed and engaged with each other.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세트(315, 325)는 오일주입구가 형성된 조인트측 하우징(315-1, 325-1), 상기 조인트측 하우징과 결합되는 커플링측 하우징(315-2, 325-2), 상기 하우징(315-1, 315-2, 325-1, 325-2) 사이에 형성되어 베어링세트(315-3, 325-3)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챔버(315-4, 32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이 가능한 작업기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earing sets 315 and 325 include joint side housings 315-1 and 325-1 formed with oil injection holes, coupling side housings 315-2 and 325-2 coupled with the joint side housings, And oil chambers 315-4 and 325-4 which are formed between the bearing sets 315-3 and 325-3 for supplying oil to the bearing sets 315-3 and 325-3 Features a connecting device for power transmiss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지지스프링(316)은 인장스프링과 압축스프링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이 가능한 작업기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elastic support springs (316) ar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tension spring and a compression spr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랙터 결속구(100)는 트랙터 결속프레임(110), 상기 트랙터 결속 프레임(110)의 상부 중앙에 걸림후크(120)가 돌출형성되고, 트랙터 결속 프레임(110)의 하부에는 트랙터 결속프레임 가로빔(150)이 형성되고, 상기 트랙터 결속프레임 가로빔(150)에는 트랙터(T)에 구비된 로워링크(T-2)에 힌지결합되는 하부링크 연결부(160) 및 결속편(13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작업기 결속구(200)는 상기 트랙터 결속구(100)의 외형에 대응되는 작업기 결속프레임(210), 상기 작업기 결속프레임(210) 상부 중앙에 걸림후크(120)에 걸려지는 걸림축(220)이 돌출형성되고, 작업기 결속프레임(210)의 하부에는 작업기 결속프레임 가로빔(250)이 형성되고, 상기 작업기 결속프레임 가로빔(250)에는 상기 결속편(130)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게 결속축(230)이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이 가능한 작업기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ctor binding unit 100 includes a tractor binding frame 110 and a hooking hook 120 protruding from an upper center of the tractor binding frame 110. A tractor binding frame 110 A lower link connecting portion 160 and a binding piece 130 hinged to a lower link T-2 provided on a tractor T are formed in the transverse beam 150 of the tractor- And,
The work machine binding tool 200 includes a working machine binding frame 210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tractor binding tool 100 and a hooking shaft 220 hooked to the hook 120 at the center of the upper portion of the working machine binding frame 210, A working machine binding frame transverse beam 250 is formed below the working machine binding frame 210 and a transverse beam 250 is formed on the working machine binding frame transverse beam 250 so as to correspond to a position where the binding piece 130 is formed, (230) is protruded from the main body (20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 결속프레임(210)의 상부에는 상부브라켓(240)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브라켓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구멍에 볼트 조립되는 높이조절 간격구(27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이 가능한 작업기 연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n upper bracket (24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ork machine binding frame (210), and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bracket to form a height adjusting gap (270) Transmissible work machine connection devic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로빔(250)에는 폭조절 간격구(26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폭조절 간격구(260)는 작업기의 로워링크에 결속핀(P-3)으로 핀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이 가능한 작업기 연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 width adjusting gap 260 is slidably coupled to the horizontal beam 250 and the width adjusting gap 260 is connected to a lower link of the working machine by a binding pin P- Connecting device for power transmiss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랙터 결속구(100)에는 결속축 언로킹부(500)가 형성되되,
상기 결속축 언로킹부(500)는 핸들(510), 일단이 상기 핸들에 힌지연결되는 연결편(520), 상기 연결편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결속축 언로킹부 연결부(170)에 힌지연결되는 연결봉(530), 상기 연결봉에 연결되는 작동편(540), 일단이 상기 작동편에 힌지연결되는 탄성스프링(550), 상기 탄성스프링의 타단에 힌지연결되는 구속편(5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이 가능한 작업기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ctor binding unit 100 is provided with a binding shaft unlocking unit 500,
The binding shaft unlocking part 500 includes a handle 510, a connecting piece 520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handle, a connecting rod 530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iece and hinged to the binding shaft unlocking part connecting part 170 , An actuating piece (540)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an elastic spring (550)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actuating piece, and a restraining piece (560)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spring Transmissible work machine connection device.
KR1020140093363A 2014-07-23 2014-07-23 Connecting devices for power transmission to tie a working machine KR1016569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363A KR101656932B1 (en) 2014-07-23 2014-07-23 Connecting devices for power transmission to tie a work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363A KR101656932B1 (en) 2014-07-23 2014-07-23 Connecting devices for power transmission to tie a work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978A KR20160011978A (en) 2016-02-02
KR101656932B1 true KR101656932B1 (en) 2016-09-12

Family

ID=55354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363A KR101656932B1 (en) 2014-07-23 2014-07-23 Connecting devices for power transmission to tie a work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93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586B1 (en) 2022-08-16 2023-04-2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Control device for plowing depth of trac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2231A1 (en) 2006-12-14 2008-06-19 Priepke Edward H Automatic latch for three point hitch quick coupler and pto connection module
US7575077B2 (en) 2006-11-22 2009-08-18 Cnh America Llc Lever connect PTO module for three-point hitch quick coupler
KR100958602B1 (en) 2010-02-03 2010-05-18 장진만 Tractor binding equipment for farm working machinery
KR100969252B1 (en) 2010-02-03 2010-07-09 장진만 Tractor farm working machinery binding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7170A (en) 2003-09-19 2005-04-07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Adapter device and implement-coupling device of transferable agricultural machine using the same
KR101137431B1 (en) 2010-02-03 2012-04-20 장진만 Discrete type tractor binding equipment for farm working machiner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75077B2 (en) 2006-11-22 2009-08-18 Cnh America Llc Lever connect PTO module for three-point hitch quick coupler
US20080142231A1 (en) 2006-12-14 2008-06-19 Priepke Edward H Automatic latch for three point hitch quick coupler and pto connection module
KR100958602B1 (en) 2010-02-03 2010-05-18 장진만 Tractor binding equipment for farm working machinery
KR100969252B1 (en) 2010-02-03 2010-07-09 장진만 Tractor farm working machinery binding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586B1 (en) 2022-08-16 2023-04-2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Control device for plowing depth of tr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978A (en) 201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2298B1 (en) Connecting devices to tie a working machine
US10827671B2 (en) Depth adjustment system for seed planting units of an agricultural implement and related assemblies
US10912243B2 (en) Depth adjustment system for seed planting units of an agricultural implement and related assemblies
KR101760173B1 (en) Tractor connect a device with a position variable working machine solidarity device
US10820464B2 (en) Depth adjustment features for a seed planting unit of an agricultural implement
CA3042798C (en) Depth adjustment features for a seed planting unit of an agricultural implement
CA2848688C (en) Double sided double telescoping drive coupling
EP1884151B1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coupling a combine feeder interface and a combine header.
KR100969252B1 (en) Tractor farm working machinery binding equipment
US20090229501A1 (en) Planter with direct hydraulic seed drive
KR100958602B1 (en) Tractor binding equipment for farm working machinery
KR101656932B1 (en) Connecting devices for power transmission to tie a working machine
KR101804684B1 (en) Multiple work machine for rotor cultivators
KR102567154B1 (en) Farm working machinery connecting device for tractor
EP2947977B1 (en) Cardan drive
US7104339B2 (en) Automatically engaging coupler with flexible shaft for a seeding machine
JP5479299B2 (en) Agricultural machine
US20140378236A1 (en) Double ended extendable driveshaft for auto header hookup
KR20120024114A (en) Weeder
KR102111298B1 (en) garlic seeding machine
KR100646013B1 (en) Power trans device by flexible shaft in agricultural filds
KR200433405Y1 (en) Fertilizer Distributor
JP7093994B2 (en) Connection position adjustment mechanism and agricultural work machine
JP2006094711A (en) Ditching wheel-driving apparatus of no-tilling direct sowing machine
KR100776589B1 (en) Fertilizer distributor by flexible sh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