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912B1 - 전하 상태에 따른 분자 오비탈 분포 특성의 정량적 비교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하 상태에 따른 분자 오비탈 분포 특성의 정량적 비교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5912B1 KR101655912B1 KR1020130084621A KR20130084621A KR101655912B1 KR 101655912 B1 KR101655912 B1 KR 101655912B1 KR 1020130084621 A KR1020130084621 A KR 1020130084621A KR 20130084621 A KR20130084621 A KR 20130084621A KR 101655912 B1 KR101655912 B1 KR 1016559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ecular orbital
- mod
- neutral
- dscore
- lumo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C—COMPUTATIONAL CHEMISTRY; CHEMOINFORMATICS; 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
- G16C10/00—Computational theoretical chemistry, i.e.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oretical aspects of quantum chemistry, molecular mechanics, molecular dynamics or the like
Landscapes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NPB 분자의 구조 및 중성 상태에서의 LUMO의 분자 오비탈 분포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NPB 분자의 중성, 양이온, 음이온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HOMO-LUMO의 분자 오비탈 분포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DM 계산방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CD-MOT의 계산 과정을 FLOW-CHART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CD-MOT의 계산 과정에서 사용되는 3D-좌표에 대한 개념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CD-MOT의 계산 과정에서 사용되는 3D-좌표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D-MOT의 계산 과정을 나타낸 그림이다.
Claims (18)
- 분자의 중성, 음이온 및 양이온의 전하 상태에 따른 분자 오비탈(molecular orbital) 분포 특성의 정량적 비교방법으로,
a) 중성, 음이온 및 양이온 각각의 HOMO (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및 LUMO (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의 분자 오비탈 분포 특성의 정량적 차이인 MOD-Dscore 값을 하기 i) 내지 iii)의 방법에 의하여 얻는 단계:
i) 분자 오비탈(molecular orbital) 분포를 비교할 중성, 음이온 및 양이온 각각의 HOMO 및 LUMO 분자 오비탈에 대하여, 양자역학 계산법을 이용하여 이들의 분자 오비탈(molecular orbital) 분포를 계산하는 단계,
ii) 각 분자 오비탈에 대하여, 분자의 중심으로부터 출발해서 방사 방향 (radial direction)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증가하는 메쉬 (mesh)를 생성하여 계산하는 RDM (radially discrete mesh) 계산 방법을 통하여 (x,y,z)의 원자좌표 (atomic coordinates)를 이용한 구조 특성을 계산한 후, 상기 i)단계에서 계산된 분자 오비탈(molecular orbital) 분포와 매칭하여 RDM을 통한 구조 특성에 따른 분자 오비탈 분포를 구하는 단계, 및
iii) 상기 ii) 단계에서 구한 2개의 RDM을 통한 구조 특성에 따른 분자 오비탈(molecular orbital) 분포를 이용하여 하기 식 2의 MOD-Dscore (Molecular Orbital Distribution-Deviation Score) 값을 구하는 단계;
b) 상기 중성, 음이온 및 양이온 각각의 HOMO 및 LUMO의 MOD-Dscore 값을 3D-좌표에 도시하는 단계; 및
c) 3D-좌표에 도시된, 중성 및 음이온, 음이온 및 양이온, 양이온 및 중성의 HOMO 및 LUMO의 MOD-Dscore 값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하 상태에 따른 분자 오비탈 분포 특성의 정량적 비교 분석 방법.
(식 2)
MOD-Dscore=1.0-TPD
(상기 식에서 TPD는 하기 식 3과 같다.)
(식 3)
상기 식에서, Prof(Ak)와 Prof(Bk)는 각각 RDM(k)에 속하는 분자 오비탈 값을 나타내고, N은 RDM의 총 개수이다.)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ⅰ) 단계의 양자역학 계산법은 물질의 분자 구조에서 계산되는 각 지점에서의 오비탈 파동 함수(orbital wave function, ψ)의 제곱인 전자 밀도(ψ2)의 분포를 통하여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 상태에 따른 분자 오비탈 분포 특성의 정량적 비교 분석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ⅰ) 단계의 양자역학 계산법은 단일지점 에너지(single point energy) 계산 또는 기하학적 최적화 (geometry optimization) 계산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 상태에 따른 분자 오비탈 분포 특성의 정량적 비교 분석 방법.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DM (radially discrete mesh) 계산 방법의 RDM의 총 개수 (N)는 50 이상 300 이하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 상태에 따른 분자 오비탈 분포 특성의 정량적 비교 분석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DM (radially discrete mesh) 계산 방법의 RDM의 총 개수 (N)는 100 이상 300 이하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 상태에 따른 분자 오비탈 분포 특성의 정량적 비교 분석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중성, 음이온 및 양이온 각각의 HOMO 및 LUMO의 MOD-Dscore 값을 (M (중성), M (음이온), M (양이온))의 벡터(Vector)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 상태에 따른 분자 오비탈 분포 특성의 정량적 비교 분석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하기 식 4의 CD-MOT 값을 계산하여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 상태에 따른 분자 오비탈 분포 특성의 정량적 비교 분석 방법.
(식 4)
CD-MOT = (tr(CS2,CS1), tr(CS3,CS2), tr(CS1,CS3))
(상기 식 4에서 tr(CSx,CSy) = M(CSx)/M(CSy)이고, 상기 M(CSx)는 CSx상태에서의 HOMO 및 LUMO에 대한 MOD-Dscore 값이고, 상기 CS1은 중성 상태, CS2는 음이온 상태, CS3는 양이온 상태이다.) - 분자의 중성, 음이온 및 양이온의 전하 상태에 따른 분자 오비탈(molecular orbital) 분포 특성의 정량적 비교 분석 시스템으로,
a) 중성, 음이온 및 양이온 각각의 HOMO (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및 LUMO (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의 분자 오비탈 분포 특성의 정량적 차이인 MOD-Dscore 값을 하기 i) 내지 iii)의 방법에 의하여 얻는 MOD-Dscore 값 결정 모듈:
i) 분자 오비탈(molecular orbital) 분포를 비교할 중성, 음이온 및 양이온 각각의 HOMO 및 LUMO 분자 오비탈을 선택한 후, 양자역학 계산법을 이용하여 이들의 분자 오비탈(molecular orbital) 분포를 계산하는 단계,
ii) 각 분자 오비탈에 대하여, 분자의 중심으로부터 출발해서 방사 방향 (radial direction)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증가하는 메쉬 (mesh)를 생성하여 계산하는 RDM (radially discrete mesh) 계산 방법을 통하여 (x,y,z)의 원자좌표 (atomic coordinates)를 이용한 구조 특성을 계산한 후, 상기 i)단계에서 계산된 분자 오비탈(molecular orbital) 분포와 매칭하여 RDM을 통한 구조 특성에 따른 분자 오비탈 분포를 구하는 단계, 및
iii) 상기 ii) 단계에서 구한 2개의 RDM을 통한 구조 특성에 따른 분자 오비탈(molecular orbital) 분포를 이용하여 하기 식 2의 MOD-Dscore (Molecular Orbital Distribution-Deviation Score) 값을 구하는 단계;
b) 상기 중성, 음이온 및 양이온 각각의 HOMO 및 LUMO의 MOD-Dscore 값을 3D-좌표에 도시하는 3-D 도시 모듈; 및
c) 3D-좌표에 도시된, 중성 및 음이온, 음이온 및 양이온, 양이온 및 중성의 HOMO 및 LUMO의 MOD-Dscore 값을 비교하는 비교 모듈을 포함하는 전하 상태에 따른 분자 오비탈 분포 특성의 정량적 비교 분석 시스템.
(식 2)
MOD-Dscore=1.0-TPD
(상기 식에서 TPD는 하기 식 3과 같다.)
(식 3)
상기 식에서, Prof(Ak)와 Prof(Bk)는 각각 RDM(k)에 속하는 분자 오비탈 값을 나타내고, N은 RDM의 총 개수이다.)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MOD-Dscore 값 결정 모듈의 양자역학 계산법은 물질의 분자 구조에서 계산되는 각 지점에서의 오비탈 파동 함수(orbital wave function, ψ)의 제곱인 전자 밀도(ψ2)의 분포를 통하여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 상태에 따른 분자 오비탈 분포 특성의 정량적 비교 분석 시스템.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MOD-Dscore 값 결정 모듈의 양자역학 계산법은 단일지점 에너지(single point energy) 계산 또는 기하학적 최적화 (geometry optimization) 계산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 상태에 따른 분자 오비탈 분포 특성의 정량적 비교 분석 시스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MOD-Dscore 값 결정 모듈의 RDM (radially discrete mesh) 계산 방법의 RDM의 총 개수 (N)는 50 이상 300 이하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 상태에 따른 분자 오비탈 분포 특성의 정량적 비교 분석 시스템.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MOD-Dscore 값 결정 모듈의 RDM (radially discrete mesh) 계산 방법의 RDM의 총 개수 (N)는 100 이상 300 이하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 상태에 따른 분자 오비탈 분포 특성의 정량적 비교 분석 시스템.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3-D 도시 모듈은, 상기 중성, 음이온 및 양이온 각각의 HOMO 및 LUMO의 MOD-Dscore 값을 (M (중성), M (음이온), M (양이온))의 벡터(Vector)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 상태에 따른 분자 오비탈 분포 특성의 정량적 비교 분석 시스템.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비교 모듈은 하기 식 4의 CD-MOT 값을 계산하여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 상태에 따른 분자 오비탈 분포 특성의 정량적 비교 분석 시스템.
(식 4)
CD-MOT = (tr(CS2,CS1), tr(CS3,CS2), tr(CS1,CS3))
(상기 식 4에서 tr(CSx,CSy) = M(CSx)/M(CSy)이고, 상기 M(CSx)는 CSx상태에서의 HOMO 및 LUMO에 대한 MOD-Dscore 값이고, 상기 CS1은 중성 상태, CS2는 음이온 상태, CS3는 양이온 상태이다.)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4621A KR101655912B1 (ko) | 2013-07-18 | 2013-07-18 | 전하 상태에 따른 분자 오비탈 분포 특성의 정량적 비교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US14/902,438 US20160378955A1 (en) | 2013-07-18 | 2014-07-16 | Quantitative comparative analysis method for molecular orbital distributions according to state of charge, and system using same |
JP2016521233A JP6099821B2 (ja) | 2013-07-18 | 2014-07-16 | 電荷状態による分子軌道分布特性の定量的比較分析方法及びこれを利用したシステム |
PCT/KR2014/006426 WO2015009049A1 (ko) | 2013-07-18 | 2014-07-16 | 전하 상태에 따른 분자 오비탈 분포 특성의 정량적 비교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4621A KR101655912B1 (ko) | 2013-07-18 | 2013-07-18 | 전하 상태에 따른 분자 오비탈 분포 특성의 정량적 비교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0103A KR20150010103A (ko) | 2015-01-28 |
KR101655912B1 true KR101655912B1 (ko) | 2016-09-08 |
Family
ID=52346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84621A Active KR101655912B1 (ko) | 2013-07-18 | 2013-07-18 | 전하 상태에 따른 분자 오비탈 분포 특성의 정량적 비교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160378955A1 (ko) |
JP (1) | JP6099821B2 (ko) |
KR (1) | KR101655912B1 (ko) |
WO (1) | WO201500904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6382B1 (ko) * | 2013-07-15 | 2016-01-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분자 오비탈 유사성 편차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KR101586388B1 (ko) * | 2013-07-18 | 2016-01-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분자 오비탈 분포에 대한 정량적 비교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US20160378910A1 (en) * | 2015-06-25 | 2016-12-29 | Florida Institute of Technology, Inc. | Molecular active center identification using tunneling barriers and/or associated measurements for sub-molecular qsar |
KR102030229B1 (ko) * | 2016-11-09 | 2019-10-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73821A (ja) | 2010-02-24 | 2011-09-08 | Sumitomo Chemical Co Ltd | 化学物質の活性度の予測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817523B2 (ja) * | 2003-02-14 | 2006-09-06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質量分析データ解析システム |
CA2542447A1 (en) * | 2003-10-14 | 2005-04-28 | Verseon, Llc |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sis of molecular combination based on computations of shape complementarity using basis expansions |
WO2006035595A1 (ja) * | 2004-09-27 | 2006-04-06 |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 エロンゲーション法の分子軌道演算装置 |
US8454748B2 (en) * | 2005-12-27 | 2013-06-04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Method of calculating carrier mobility |
US7842758B2 (en) * | 2006-01-10 | 2010-11-30 |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 Conjugated materials featuring proquinoidal units |
JP2013115388A (ja) * | 2011-11-30 | 2013-06-10 | Toshiba Corp | 有機分子メモリおよび有機分子メモリ用有機分子 |
JP5998580B2 (ja) * | 2012-03-29 | 2016-09-28 | 富士通株式会社 | 決定プログラム、決定装置、および決定方法 |
-
2013
- 2013-07-18 KR KR1020130084621A patent/KR101655912B1/ko active Active
-
2014
- 2014-07-16 JP JP2016521233A patent/JP6099821B2/ja active Active
- 2014-07-16 US US14/902,438 patent/US2016037895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4-07-16 WO PCT/KR2014/006426 patent/WO201500904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73821A (ja) | 2010-02-24 | 2011-09-08 | Sumitomo Chemical Co Ltd | 化学物質の活性度の予測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5009049A1 (ko) | 2015-01-22 |
JP6099821B2 (ja) | 2017-03-22 |
KR20150010103A (ko) | 2015-01-28 |
JP2016528595A (ja) | 2016-09-15 |
US20160378955A1 (en) | 2016-12-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okail et al. | Self-verifying variational quantum simulation of lattice models | |
KR101655912B1 (ko) | 전하 상태에 따른 분자 오비탈 분포 특성의 정량적 비교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
KR101586388B1 (ko) | 분자 오비탈 분포에 대한 정량적 비교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
CN117198417A (zh) | 基于机器学习和目标优化的稳定晶体结构预测方法及系统 | |
KR101586386B1 (ko) | 배타적 분자 오비탈 분포를 갖는 분자 오비탈 라이브러리 및 이를 이용한 분자 오비탈 분포 영역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
KR101606092B1 (ko) | Homo-lumo 간의 분자 오비탈 분포의 정량적 비교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
KR101472417B1 (ko) | 순차적 블록 구성을 통한 분자 오비탈 특성 해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
Fernandez-Lima et al. |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studies of (CsI) n Cs+ cluster ions produced by 355 nm laser desorption ionization | |
Zhang et al. | SOH Estimation for Lithium-Ion Batteries Based on Health Indicators Extraction and MKRVR | |
KR101614430B1 (ko) | 특정 영역에 대한 분자 오비탈 분포의 정량적 비교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
KR101554362B1 (ko) | 세분화된 핵심 영역을 이용한 분자 오비탈의 정량적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
KR101692322B1 (ko) | 배타적 분자 오비탈 분포를 갖는 분자 오비탈 라이브러리 구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
Abdous et al. | Predicting the aggregation number of cationic surfactants based on ANN-QSAR modeling approaches: understanding the impact of molecular descriptors on aggregation numbers | |
Stiskalek et al. | The Velocity Field Olympics: Assessing velocity field reconstructions with direct distance tracers | |
KR101586382B1 (ko) | 분자 오비탈 유사성 편차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
KR101566993B1 (ko) | 복합적 미세 탐색을 통한 분자 오비탈 분포 경향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분자 오비탈 분포 경향 평가 시스템 | |
CN109580918A (zh) | 一种用于预测石脑油的分子组成的方法 | |
KR101578815B1 (ko) | 분자 오비탈의 핵심 영역 결정 방법, 이를 이용한 정량적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
KR101655909B1 (ko) | 분자 오비탈 유사성에 대한 정성적 판단의 타당성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
Liu et al. | Prediction of Ion Drift Times for a Proteome‐Wide Peptide Set Using 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Least‐Squares Support Vector Machine and Gaussian Process | |
KR20150006710A (ko) | 블록 서열 비교를 통한 정량적인 분자 오비탈 유사성 비교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
Hassani et al. | Calculation of Production Back Allocation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 |
KR101533745B1 (ko) | 정량적 검색이 가능한 분자 오비탈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 |
KR101655389B1 (ko) | 블록 연결 강하 측정을 통한 분자 오비탈 차이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 |
KR101622246B1 (ko) | 분자 오비탈에 대한 정성적 판단을 정량적 평가로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8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7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7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9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