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229B1 -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방법 - Google Patents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0229B1
KR102030229B1 KR1020160149072A KR20160149072A KR102030229B1 KR 102030229 B1 KR102030229 B1 KR 102030229B1 KR 1020160149072 A KR1020160149072 A KR 1020160149072A KR 20160149072 A KR20160149072 A KR 20160149072A KR 102030229 B1 KR102030229 B1 KR 102030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ization potential
light resistance
organic fluorescent
fluorescent material
eq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2030A (ko
Inventor
권인혜
김승하
김경훈
신동목
정찬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149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229B1/ko
Publication of KR20180052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1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solving equations, e.g. nonlinear equations, general mathematical optimization probl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29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29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 C09K2211/1033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with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88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xygen as the only heteroatom

Abstract

이온화 퍼텐셜 계산을 통하여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을 간단하게 예측할 수 있는,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방법은, 양자 계산을 이용하는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유기형광필름에 포함되어 있는 형광물질 단분자의 이온화 퍼텐셜(ionization potential; IP) 값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온화 퍼텐셜 값이 큰 물질일수록 내광성(photostability)이 높고, 상기 이온화 퍼텐셜 값이 작은 물질일수록 내광성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1]
IP = Ecat - Eneu
상기 수학식 1에 있어서, Ecat는 양이온 상태의 분자 에너지이고, Eneu는 중성 상태(절대온도 0 K, 기체상)의 분자 에너지이다.

Description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방법{Photostability prediction method of fluorescent material using a ionization potential}
본 발명은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온화 퍼텐셜 계산을 통하여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을 간단하게 예측할 수 있는,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형광안료나 유기형광염료와 같은 유기형광물질은 명시성 및 가시성이 우수하여 LCD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LCD용 색 변환 필름에 들어가는 물질 중 하나인 양자점(quantum dot, 자체적으로 발광하는 수 나노미터 크기의 반도체 결정)을 대체할 수 있는 유기형광물질을 개발하는 연구가 한창 진행 중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유기형광물질은 색 변환율은 좋으나, 광 퇴색(photobleaching, 또는 광 탈색) 현상에 의한 수명 감소에 의해 내광성(photostability)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광 퇴색 현상이란, 형광물질이 외부 에너지에 의해 여기(excitation, 勵起)된 후, 정상적인 발현(emission)을 거치지 않고 물질 내 새로운 결합이 형성되거나 구조가 파괴되거나 또는 다른 물질과 반응하는 등, 본래 형광물질의 구조 상태로 돌아올 수 없게 되어 형광 특성을 잃는 비가역적인 현상을 의미한다. 한편, 이와 유사하게 자기 소광(Self-quenching)이나 형광 공명 에너지 전이(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FRET)와 같은 형광발광(fluorescence)의 세기를 감소시키는 프로세스들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5-0079588호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광 퇴색 현상과 유사한 자기 소광(Self-quenching)이나 형광 공명 에너지 전이(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FRET)와 같은 형광발광(fluorescence)의 세기를 감소시키는 프로세스들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광 퇴색 현상의 정확한 메커니즘이나 해결 방법에 대한 연구결과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다만, 유기형광물질의 광 퇴색 현상은 주로 산소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됨에 따라, 산소와의 반응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광 퇴색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광 퇴색 현상을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유기형광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신규로 디자인한 물질을 모두 합성하여 실험을 진행할 수는 있지만, 광학 특성 및 내광성을 평가하기에는 많은 시간과 자원이 소요되기 때문에, 사전에 이를 효과적으로 스크리닝(screening)하거나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온화 퍼텐셜 계산을 통하여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을 간단하게 예측할 수 있는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자 계산을 이용하는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유기형광필름에 포함되어 있는 형광물질 단분자의 이온화 퍼텐셜(ionization potential; IP) 값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온화 퍼텐셜 값이 큰 물질일수록 내광성(photostability)이 높고, 상기 이온화 퍼텐셜 값이 작은 물질일수록 내광성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방법을 제공한다.
[수학식 1]
IP = Ecat - Eneu
상기 수학식 1에 있어서, Ecat는 양이온 상태의 분자 에너지이고, Eneu는 중성 상태(절대온도 0 K, 기체상)의 분자 에너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방법에 의하면, 이온화 퍼텐셜 계산을 통하여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을 간단하게 예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온화 퍼텐셜 계산을 통하여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을 예측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온화 퍼텐셜 계산 및 곡면적 계산을 통하여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을 예측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방법은, 양자 계산을 이용하는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유기형광필름에 포함되어 있는 형광물질 단분자의 이온화 퍼텐셜(ionization potential; IP, 또는 이온화 에너지) 값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온화 퍼텐셜 값이 큰 물질일수록 내광성(photostability)이 높고, 상기 이온화 퍼텐셜 값이 작은 물질일수록 내광성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1]
IP = Ecat - Eneu
상기 수학식 1에 있어서, Ecat는 양이온 상태의 분자 에너지이고, Eneu는 중성 상태(절대온도 0 K, 기체상)의 분자 에너지이다.
이와 같은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방법은,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을 단시간 내에 간단하게 예측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으로서, 기존에 신규로 디자인한 물질을 모두 합성하여 형광물질의 광학 특성 및 내광성을 평가하는데 많은 시간과 자원이 소요되던 것을 개선한 것이다.
상기 이온화 퍼텐셜 값, 보다 정확하게는 유기형광물질 단분자의 이온화 퍼텐셜 값(IP, 단위: eV)은, 전하가 제로(0)인 중성 상태의 분자로부터 전자를 빼앗아 양이온으로 이온화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온화 퍼텐셜 값이 큰 물질일수록 산소 분자로의 전자 이동(electron transfer)이 감소하여, 광 퇴색(photobleaching) 현상을 유발하는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이 더 적게 생성되기 때문에, 상기 이온화 퍼텐셜 값이 큰 물질일수록 광 퇴색에 강한, 또는, 내광성(photostability)이 높은 반면, 상기 이온화 퍼텐셜 값이 작은 물질일수록 광 퇴색에 약한, 또는, 내광성이 낮은 것이다.
즉, 상기 이온화 퍼텐셜 값이 큰 유기형광물질은 최고준위 점유 분자궤도(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HOMO)가 낮은 것과 연관이 있는데, HOMO가 높은 물질일수록 물질의 backbone, 즉, 중심이 되는 부분이 활성 산소종(ROS)에 의한 공격에 의해 구조가 파괴(destruction)되기 쉽다고 보고된 바, HOMO가 높은 것은 상대적으로 전자가 주변보다 풍부한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electron donating을 더 잘 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이는 주변에 electron acceptor 역할을 할 수 있는 반응 물질들(예를 들어, 활성 산소종)과 반응이 잘 일어날 수 있음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이온화 퍼텐셜 값이 클수록 주변 산소 분자로의 전자 이동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이온화 퍼텐셜 값이 클수록 전자 이동에 의한 광 퇴색 현상은 감소하고 내광성은 증가하는 것이다.
그밖에, 상기 유기형광물질은 형광 성분을 함유하여 내광성을 가지는 유기물로서, 통상의 유기형광안료나 유기형광염료가 될 수 있으며, 그 중 BODIPY-FL BODIPY-TR, IrDye 700DX(이상, 상품명), fluorescein, TMR(tetramethylrhodamine), naphthofluorescein, propidium, Lucifer Yellow 및 resorufin를 예시할 수 있고,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방법은, 지금까지 설명한 예측 방법에, 하기할 유기형광물질의 곡면적(surface area) 계산 값을 추가 활용한 방법을 더 제공한다. 즉, 상기 이온화 퍼텐셜 값 및 하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곡면적 계산 값의 선형결합(linear combination)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이는 내광성 예측지수(Photostability Prediction Index; PPI)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곡면적 계산 값은, 유기형광물질 원자들의 3차원 공간을 구를 이용한 구조체로 만든 후, 상기 구조체 표면에 구로 만든 프로브(probe)를 접촉시키면서 특정 원자의 위치에서 상기 프로브와 접촉하는 면적을 계산한 값으로서, 이와 같이, 유기형광물질 각 원자들의 곡면적(surface area) 계산이 수행되면, 산소(O2) 원자에 노출되는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을 예측할 수 있다. 즉, 유기형광물질 원자의 곡면적이 넓을수록, 산소 분자에 많이 노출되어 산소 원자가 공격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내광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크며, 반대로, 유기형광물질 원자의 곡면적이 좁을수록, 산소 분자에 적게 노출되어 산소 원자가 공격할 수 있는 확률이 낮아지기 때문에, 내광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적은 것이다. 한편, 이(곡면적 계산)에 대한 설명은, 본 출원인에 의한 대한민국 특허 출원 10-2016-XXXXXXX호(출원일: 2016.11.XX)에 보다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해당 출원 명세서를 참조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이온화 퍼텐셜 값(Yi라 함) 및 곡면적 계산 값(Xi라 함)을 구한 후에는, 이를 하기 수학식 2에 대입하여, Xi 및 log(Yi)의 선형결합(linear combination) 또는 내광성 예측지수(Photostability Prediction Index; PPI)를 도출함으로써,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을 예측할 수 있으며, 내광성 예측지수(PPI) 값이 0을 초과하면 내광성이 80 % 이상이고, 0 미만이면 내광성이 80 % 미만이다.
[수학식 2]
PPI = a·ki·Xi + b·log Yi
상기 수학식 2에 있어서, Xi는 곡면적 계산 값이고, Yi는 이온화 퍼텐셜 값이고, 비례상수 a는 1 초과 100 미만의 실수이고, 비례상수 b는 0.01 초과 1 미만의 실수이며, ki는 Xi > 0일 때 -1이고 Xi = 0일 때 1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방법을 이용하면, 광 퇴색 현상에 강한 유기형광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던, 신규 디자인된 염료 분자의 합성이나 소자 제작, 그리고 평가 단계를 거치지 않고도(즉, 많은 시간 및 자원의 소요 없이도), 물질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신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을 효율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양자 계산을 이용하는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유기형광물질인 4 종의 초록 염료(green dye)에 대한 이온화 퍼텐셜(ionization potential; IP, 또는 이온화 에너지) 값을 계산하였다.
[수학식 1]
IP = Ecat - Eneu
상기 수학식 1에 있어서, Ecat는 양이온 상태의 분자 에너지이고, Eneu는 중성 상태(절대온도 0 K, 기체상)의 분자 에너지이다.
[실시예 1]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평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온화 퍼텐셜 계산을 통하여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을 예측한 그래프이다. 상기 실시예 1로부터 4 종의 유기형광염료에 대한 이온화 퍼텐셜 값을 계산한 후 그에 따른 각각의 내광성을 1,000 시간(hr) 동안 확인하여 하기 표 1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각각의 이온화 퍼텐셜 값과 내광성의 상관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온화 퍼텐셜 값이 증가함에 따라 내광성 또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이온화 퍼텐셜 값이 큰 물질일수록 산소 분자로의 전자 이동이 감소하여, 광 퇴색 현상을 유발하는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이 더 적게 생성됨으로써, 이온화 퍼텐셜 값이 커질수록 광 퇴색 현상은 감소하고, 내광성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온화 퍼텐셜 값 내광성(%)
green dye 1 6.799 80
green dye 2 7.006 86
green dye 3 7.162 87
green dye 4 7.773 92
[실시예 2]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구를 이용하여 유기형광물질 원자들의 3차원 공간을 구조체로 만든 후, 구조체 표면에 구로 만든 프로브(probe)를 접촉시키며, 특정 원자 위치에서 프로브와 접촉하는 면적을 계산한 곡면적 계산 값(Xi)과, 양자 계산을 통한 절대온도 0 K 및 기체상(gas phase)의 중성 상태 분자 에너지(Ecat)와 양이온 상태의 분자 에너지(Eneu)의 차이 값(Yi = Ecat - Eneu, 이온화 퍼텐셜 값)을 하기 수학식 2에 대입하여, 총 10 종의 유기형광물질에 대한 Xi 및 log(Yi)의 선형결합(linear combination) 또는 내광성 예측지수(Photostability Prediction Index; PPI)를 계산하였다.
[수학식 2]
PPI = a·ki·Xi + b·log Yi
상기 수학식 2에 있어서, Xi는 곡면적 계산 값이고, Yi는 이온화 퍼텐셜 값이고, 비례상수 a는 1 초과 100 미만의 실수이고, 비례상수 b는 0.01 초과 1 미만의 실수이며, ki는 Xi > 0일 때 -1이고 Xi = 0일 때 1이다.
[실시예 2]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평가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온화 퍼텐셜 계산 및 곡면적 계산을 통하여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을 예측한 그래프이다. 상기 실시예 2로부터 10 종의 유기형광물질에 대한 내광성 예측지수(PPI)를 계산하여 내광성 예측지수와 내광성과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결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광성 예측지수가 0을 초과하는 유기형광물질들의 내광성은 80 % 이상인 반면, 내광성 예측지수가 0 미만인 유기형광물질들의 내광성은 80 %에 미치지 못하였다(정확하게는 70 % 미만). 한편, 상기 실시예 2 또는 도 2에 나타낸 내광성은, 청색 LED 백라이트를 dye 필름에 조사해서 특정 파장 영역에서 발광하는 피크(peak)를 휘도계로 측정하여 얻은 광자(photon)의 수를, 초기 대비 1,000 시간이 경과한 후 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Claims (9)

  1. 양자 계산을 이용하는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유기형광필름에 포함되어 있는 형광물질 단분자의 이온화 퍼텐셜(ionization potential; IP) 값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온화 퍼텐셜 값이 큰 물질일수록 내광성(photostability)이 높고, 상기 이온화 퍼텐셜 값이 작은 물질일수록 내광성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방법.
    [수학식 1]
    IP = Ecat - Eneu
    상기 수학식 1에 있어서, Ecat는 양이온 상태의 분자 에너지이고, Eneu는 중성 상태(절대온도 0 K, 기체상)의 분자 에너지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 퍼텐셜 값이 큰 물질일수록 산소 분자로의 전자 이동(electron transfer)이 감소하여, 광 퇴색 현상을 유발하는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이 더 적게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형광물질은 fluorescein, TMR(tetramethylrhodamine), naphthofluorescein, propidium, Lucifer Yellow 및 resoruf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은, 상기 이온화 퍼텐셜 값 및 곡면적 계산 값의 선형결합(linear combination) 또는 내광성 예측지수(PPI)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곡면적 계산 값은, 유기형광물질 원자들의 3차원 공간을 구를 이용한 구조체로 만든 후, 상기 구조체 표면에 구로 만든 프로브(probe)를 접촉시키면서 특정 원자의 위치에서 상기 프로브와 접촉하는 면적을 계산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기형광물질 각 원자의 곡면적(surface area) 계산이 수행되면, 산소(O2) 원자에 노출되는 정도를 파악하여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기형광물질 원자의 곡면적이 넓을수록 산소 분자에 많이 노출되어 내광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크고, 상기 유기형광물질 원자의 곡면적이 좁을수록 산소 분자에 적게 노출되어 내광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방법.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 퍼텐셜 값 및 곡면적 계산 값을 하기 수학식 2에 대입하여, 내광성 예측지수(PPI)가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방법.
    [수학식 2]
    PPI = a·ki·Xi + b·log Yi
    상기 수학식 2에 있어서, Xi는 곡면적 계산 값이고, Yi는 이온화 퍼텐셜 값이고, 비례상수 a는 1 초과 100 미만의 실수이고, 비례상수 b는 0.01 초과 1 미만의 실수이며, ki는 Xi > 0일 때 -1이고 Xi = 0일 때 1이다.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내광성 예측지수(PPI) 값이 0을 초과하면 내광성이 80 % 이상이고, 0 미만이면 내광성이 80 %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방법.
KR1020160149072A 2016-11-09 2016-11-09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방법 KR102030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072A KR102030229B1 (ko) 2016-11-09 2016-11-09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072A KR102030229B1 (ko) 2016-11-09 2016-11-09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030A KR20180052030A (ko) 2018-05-17
KR102030229B1 true KR102030229B1 (ko) 2019-10-08

Family

ID=62486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072A KR102030229B1 (ko) 2016-11-09 2016-11-09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2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32804A1 (en) * 2020-10-19 2023-02-02 Lg Chem, Ltd. Photostability Prediction Method of Organic Material Using La-Dart-M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9183A1 (ja) 2012-02-29 2013-09-0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982B1 (ko) 2012-10-25 2018-12-27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형광체 함유 수지 시트 및 발광 장치
KR101606092B1 (ko) * 2013-07-18 2016-03-24 주식회사 엘지화학 Homo-lumo 간의 분자 오비탈 분포의 정량적 비교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1586388B1 (ko) * 2013-07-18 2016-0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자 오비탈 분포에 대한 정량적 비교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1655912B1 (ko) * 2013-07-18 2016-09-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하 상태에 따른 분자 오비탈 분포 특성의 정량적 비교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1560102B1 (ko) * 2014-11-20 2015-10-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 발광 소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9183A1 (ja) 2012-02-29 2013-09-0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030A (ko)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shida et al. Recent advances in instrumentation for absolute emission quantum yield measurements
Steckel et al. Quantum dots: The ultimate down‐conversion material for LCD displays
Dorenbos Relation between Eu2+ and Ce3+ f↔ d-transition energies in inorganic compounds
Yersin et al. The triplet state of organo-transition metal compounds. Triplet harvesting and singlet harvesting for efficient OLEDs
Bednarkiewicz et al. Photon avalanche in lanthanide doped nanoparticle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super-resolution imaging
KR20170115498A (ko) 유기 el 발광 장치 및 전자 기기
Koepke et al. Excited state spectroscopy of chromium ions in various valence states in glasses
Halivni et al. Inkjet printed fluorescent nanorod layers exhibit superior optical performance over quantum dots
JP2016503892A (ja) 発光団を有する試料構造の高空間分解イメージング方法
KR102030229B1 (ko) 이온화 퍼텐셜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방법
Feld et al. Perovskite quantum dots for super‐resolution optical microscopy: where strong photoluminescence blinking matters
KR102026513B1 (ko) 곡면적 계산을 이용한 유기형광물질의 내광성 예측 방법
Altıntas et al. FRET enabled light harvesting within quantum dot loaded nanofibers
TWI352731B (ko)
CN112088298B (zh) 使用光致发光光谱的用于oled制造的计量
Szukalska et al. White Lasing and White Fluorescence from the Simplified Two‐Dyes Organic System
Faizan et al. Ab-initio prediction of structural, electronic and magnetic properties of Hexafluoromanganete (IV) complexes
Singh et al. White light from dispersible lanthanide-doped LaVO 4 core–shell nanoparticles
Babcock et al. Ultraviolet superradiance from mega-networks of tryptophan in biological architectures
Kumar et al. Acetylsalicylic acid sensitized lasing luminescence of terbium complex in PVA: a case of energy avalanche via 1, 10-Phenanthroline
Wang et al. White light upconversion through precise manipulation of energy transfer channels in a core-shell-shell nanostructure
Davis et al. Luminescence of Atomic Barium in Rare Gas Matrices: A Two-Dimensional Excitation/Emission Spectroscopy Study
Silly et al. Evidence of mixed-valence hydrated europium-chloride phase in vacuum by means of optical and electronic spectroscopies
Kariaka et al. Dual near infrared and visible highly luminescent samarium complexes based on dimethyl-N-benzoylamidophosphate
Omagari Energy transfer processes in polynuclear lanthanide complex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