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811B1 - 산소를 함유하는 마스크 팩 - Google Patents

산소를 함유하는 마스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811B1
KR101655811B1 KR1020140076595A KR20140076595A KR101655811B1 KR 101655811 B1 KR101655811 B1 KR 101655811B1 KR 1020140076595 A KR1020140076595 A KR 1020140076595A KR 20140076595 A KR20140076595 A KR 20140076595A KR 101655811 B1 KR101655811 B1 KR 101655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pack
oxygen
present
contents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064A (ko
Inventor
조항의
이진재
박선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076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811B1/ko
Publication of KR20160000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소를 함유하는 마스크 팩에 관한 것으로, 산소캡슐 및 산소 주입구가 장착된 본 발명의 마스크 팩은 산소를 마스크 팩 내용물에 직접 주입한 것으로, 피부에 내용물의 흡수를 촉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의 신선도를 높일 수 있어 미용 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어 마스크 팩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산소를 함유하는 마스크 팩{Mask pack containing oxygen}
본 발명은 산소를 함유하는 마스크 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산소 캡슐이 장착된 하이드로겔 마스크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용 마스크 팩은 부직포에 물 또는 화장수를 첨가하거나 기능성이 있다고 알려진 추출물 등을 첨가하여 만들어진다. 그러나 부직포는 합성 고분자로 제조되는데, 화장수나 기능성 추출물을 첨가하면 뻣뻣하게 되어 사용감이 좋지 않다. 또한 부직포를 화장액 등의 첨가제에 적셔서 지속적인 미용액의 흡수를 유도한 제형의 경우에는 피부에 대한 부착성이 낮으며, 미용액이 공기에 노출됨으로 인해 야기되는 미용성분들의 변성을 피하기 어렵고, 초기에 너무 고농도의 미용성분이 피부와 접촉함으로 인한 피부 자극 발생의 소지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부직포 마스크 팩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하이드로겔은 하이드로겔만으로는 외형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합성수지나 부직포, 메쉬, 망에 부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부직포에서 하이드로겔이 떨어져 나가는 경우가 많았으며 합성수지 등을 사용한 하이드로겔의 경우 생체 적합성 및 안정성 측면에서 많은 평가와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기존에 개발된 창상 피복제 등은 수분을 포함하지 않는 건조 필름으로서 상처의 수분 등을 흡수하기 때문에 화장용 마스크 팩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하였다. 이는 일반적으로 견 피브로인의 경우, 수용액 상태에서 굳힐 경우 수분은 함유하나 강도가 약하고 부스러져 필름 형태의 제품으로 가공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의 견 피브로인을 이용한 필름은 건조, 동결 건조, 알코올 처리 등의 방법을 통하여 수분을 제거한 형태로만 개발되어 화장용 마스크 팩으로는 전혀 사용할 수가 없었다.
이에 피부 수분 보충을 위해 마스크 팩의 액상 내용물에 산소를 함유시킨 제품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산소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에 화장용 마스크 팩을 제조함에 있어, 수분 함량이 높고 동시에 충분한 강도를 가진 화장용 하이드로겔 형태의 마스크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내용물의 피부 흡수율을 높일 수 있는 마스크 팩을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하던 중 압축 산소 캡슐을 이용하여 내용물에 직접 산소를 주입함으로써 내용물의 피부 흡수율을 높여주고 피부에 보다 신선한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장용 마스크 팩을 제조함에 있어, 산소 함유량을 높여 피부에 내용물의 흡수를 촉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의 신선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충분한 강도를 가진 화장용 하이드로겔 마스크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산소캡슐 및 산소 주입구가 장착된 마스크 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마스크 팩은 산소를 마스크 팩 내용물에 직접 주입한 것으로, 피부에 내용물의 흡수를 촉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의 신선도를 높일 수 있어 미용 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어 마스크 팩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산소 함유 마스크 팩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산소 함유 마스크 팩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산소캡슐 및 산소 주입구가 장착된 마스크 팩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마스크 팩은 하이드로겔 마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소캡슐에는 함유되는 산소량에 따라 적절하게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주입되는 산소의 양 또한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또한, 산소캡슐에는 산소를 주입하기 위한 조절가능한 버튼이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공기를 주입하거나 주입하지 않을 수 있도록 조절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소 주입구는 마스크 팩에서 임의의 부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주입될 산소의 양에 따라 1개 이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산소 함유 마스크 팩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마스크 팩은 산소를 마스크 팩 내용물에 직접 주입한 것으로, 피부에 내용물의 흡수를 촉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의 신선도를 높일 수 있어 미용 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어 마스크 팩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마스크 팩에 산소캡슐과 산소 주입구가 장착된 산소 함유 마스크 팩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기존의 마스크 팩을 준비하였다.
<시험예 1> 피부 흡수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의 산소 함유 마스크 팩과 비교예 1의 기존의 마스크 팩에 대한 피부 흡수효과를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Dermal Equivalent(DE) -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 1x105 cells/㎖ 세포를 인체의 결합조직을 이루는 섬유조직과 유사한 콜라겐 젤 구조에 콜라겐 수용액 3mg/㎖ : 5X DMEM : 2.2% 소듐바이카보네이트와 200mM Hepes 완충액이 포함된 0.05N 수산화나트륨이 7:2:1로 혼합된 배지에 접종하여 5% CO2, 37℃에서 7일 동안 배양 - 를 3㎛ 다공성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된 막에 의해 안쪽과 바깥쪽이 구분된 플레이트의 안쪽에 넣고 섬유아세포가 배양된 Dermal Equivalent(DE) 표면위에 표피 각질형성세포 1x105 cells/ml 세포를 접종하여 Dermal Equivalent(DE) 표면위에 표피 각질형성세포 1x105 cells/ml 세포를 접종하여 EGF(Epidermal Growth Factor, 상피세포 성장인자)와 BPE(Bovine pituitary extract, 소 뇌하수체 추출물)가 함유된 K-SFM(Keratinocyte-SFM; Keratinocyte serum free medium, 케라티노사이트 혈청 부재 배지) 배지를 안쪽과 바깥쪽에 넣고 7일 동안 배양한다. 그 후 플레이트 안쪽의 배지를 버려 공기가 배양세포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하고 바깥쪽에 10% FBS(Fetal bovine serum, 우태아 혈청)가 함유된 K-SFM과 EGF가 들어있지 않은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둘베코스 개질화된 이글 배지). 이 동량으로 혼합된 배지를 넣어 2주간 배양하여 다층의 표피와 진피가 형성된 인공피부를 얻는다. 여기에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맨 위층의 인공피부조직에 적용하여 4시간 배양한 후 10% FBS가 함유된 K-SFM과 EGF가 들어있지 않은 DMEM이 동량으로 혼합된 배지에서 인공피부의 표피와 진피를 침투하여 통과된 성분의 양을 HPLC(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침투량 810 50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산소를 직접 주입하는 마스크 팩은 비교예 1의 기존의 마스크 팩에 비해 16배 이상의 피부 흡수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산소를 직접 주입함으로 인하여 내용물의 피부침투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시험예 2> 안정성 시험
상기 실시예 1의 산소 함유 마스크 팩과 비교예 1의 기존의 마스크 팩에 대한 안정성을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화장료의 안정성을 시험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마스크 팩을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불투명 초자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하고, 또한 4℃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완전히 차광된 냉장고내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한 후, 분리 정도 및 변색정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제품 분리 및 변색 정도를 다음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제품 변색 평가 기준
0: 변화 없음
1: 극히 조금 분리(변색)
2: 조금 분리(변색)
3: 조금 심하게 분리(변색)
4: 심하게 분리(변색)
5: 극히 심하게 분리(변색)
실시예 1 비교예 1
45℃ 0 3.5
4℃ 0 0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마스크 제형은 4℃에서 변색이나 분리 증상이 없이 안정하였다. 한편, 45℃에서는 본 발명의 산소 함유 마스크 팩은 변색이 일어나지 않았으나, 비교예 1의 마스크 팩은 조금 심하게 변색이 일어나 불안정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1의 산소 함유 마스크 팩과 기존의 마스크 팩을 비교하기 위하여, 20 내지 3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내용물의 피부 흡수도, 신선도 및 전체적인 만족도를 관찰하였다.
평가 기준
1: 매우 불만족
2: 불만족
3: 보통
4: 만족
5: 매우 만족
실시예 1 비교예 1
피부 흡수도 및 3 5
신선도 2.5 5
전체적인 만족도 2.8 5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산소 함유 마스크 팩은 비교예 1의 마스크 팩에 비하여 우수한 관능평가 결과를 수득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마스크 팩은 산소를 마스크 팩 내용물에 직접 주입한 것으로, 피부에 내용물의 흡수를 촉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의 신선도를 높일 수 있어 미용 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어 마스크 팩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6)

  1. 산소를 함유하고 산소를 주입하기 위한 조절가능한 버튼이 장착되어 있는 산소캡슐 및 산소 주입구가 장착된 마스크 팩.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주입구가 마스크 팩에서 임의의 부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주입구가 마스크 팩에 1개 이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KR1020140076595A 2014-06-23 2014-06-23 산소를 함유하는 마스크 팩 KR101655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595A KR101655811B1 (ko) 2014-06-23 2014-06-23 산소를 함유하는 마스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595A KR101655811B1 (ko) 2014-06-23 2014-06-23 산소를 함유하는 마스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064A KR20160000064A (ko) 2016-01-04
KR101655811B1 true KR101655811B1 (ko) 2016-09-09

Family

ID=55164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595A KR101655811B1 (ko) 2014-06-23 2014-06-23 산소를 함유하는 마스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8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326A (ko) 2018-07-24 2020-02-03 김선아 산소 공급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팩 세트
KR20200028715A (ko) 2018-09-07 2020-03-17 김선아 마스크팩 카트리지, 산소 주입기, 및 상기 마스크팩 카트리지 및 산소 주입기를 구비한 마스크팩 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196B1 (ko) * 2016-09-12 2018-06-20 김문배 화장용 산소시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산소마스크
KR102029105B1 (ko) 2017-12-05 2019-10-07 주식회사 오투코리아 인큐베이팅 마스크
KR20190083865A (ko) 2018-01-05 2019-07-15 송병준 마스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404Y1 (ko) * 2001-08-02 2002-03-18 하동주 안면 피부 미용기
KR200289102Y1 (ko) 2002-05-09 2002-09-13 최한종 고농도 용존 산소수를 이용한 안면, 두피 및 모발피부미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5374A (ko) * 2004-09-16 2006-03-21 홍선표 안면 산소 공급장치
JP2014129312A (ja) * 2012-12-30 2014-07-10 Shinshu Univ シート状パック基材及びシート状パッ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404Y1 (ko) * 2001-08-02 2002-03-18 하동주 안면 피부 미용기
KR200289102Y1 (ko) 2002-05-09 2002-09-13 최한종 고농도 용존 산소수를 이용한 안면, 두피 및 모발피부미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326A (ko) 2018-07-24 2020-02-03 김선아 산소 공급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팩 세트
KR20200028715A (ko) 2018-09-07 2020-03-17 김선아 마스크팩 카트리지, 산소 주입기, 및 상기 마스크팩 카트리지 및 산소 주입기를 구비한 마스크팩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064A (ko) 2016-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811B1 (ko) 산소를 함유하는 마스크 팩
Zhang et al. Design of a biofluid-absorbing bioactive sandwich-structured Zn–Si bioceramic composite wound dressing for hair follicle regeneration and skin burn wound healing
US9327033B2 (en) Degradation-stabilised, biocompatible collagen matrices
CN103505377B (zh) 一种具皮肤活性的多肽组合物
KR20180128097A (ko) 비 인간 줄기세포의 배양 상등액을 원료로 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 재생 촉진제, 및 단백질의 이온 도입 방법
US20100239621A1 (en) Gel sheet and cosmetic preparation in sheet form using the same
CN105176914A (zh) 自体表皮细胞和成纤维细胞同时制备方法及其生物美容产品
CN105012933A (zh) 含有林蛙皮多肽的微创修复凝胶
KR100849020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가수분해 콜라겐 펩타이드를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9488A (ko) 스피큘을 포함하는 용해성 필름 및 이의 용도
CN106691923A (zh) 用于美容修复的组合物和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915655B1 (ko) 드래곤블러드수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8721137A (zh) 一种用于修复皮肤的冻干粉
KR101858464B1 (ko) 광금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9222534A (zh) 一种枕套
KR20180069487A (ko) 스피큘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Zhao et al. Role of rat autologous skin fibroblasts and mechanism underlying the repair of depressed scars
Billingham et al. A note on the specificity of the corneal epithelium
CN104922007A (zh) 一种除皱精华素
CN108096177A (zh) 一种复合干细胞因子美容组合物及其应用
KR20070119971A (ko) 나노 은이 함유된 피부개선 기능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
JPH11152204A (ja) シート状化粧料
RU2430743C2 (ru)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ое раневое покрытие
Quintana et al. Bacterial cellulose membrane enriched with fibroblast growth factor associated with photobiomodulation: In vitro evaluation
JP6718440B2 (ja) 美容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皮膚外用剤、並びに遊走付与剤、皮膚状態を向上させる美容方法に用いられる成分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