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194B1 -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기반으로 한 복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기반으로 한 복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194B1
KR101655194B1 KR1020150058991A KR20150058991A KR101655194B1 KR 101655194 B1 KR101655194 B1 KR 101655194B1 KR 1020150058991 A KR1020150058991 A KR 1020150058991A KR 20150058991 A KR20150058991 A KR 20150058991A KR 101655194 B1 KR101655194 B1 KR 101655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means
lottery
traffic
fee payment
transpor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8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3885A (ko
Inventor
김만이
Original Assignee
김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이 filed Critical 김만이
Priority to KR1020150058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194B1/ko
Publication of KR20150053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4Betting or bookmaking, e.g. Internet bet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교통요금 결제수단, 무선통신수단 및 제어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복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복권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무선통신수단이 복권매입을 위해 전자태그가 부여된 교통요금 결제수단으로부터 결제요청을 수신하여 제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서버가 상기 무선통신수단에 의해 독출된 상기 결제수단의 전자태그정보로부터 복권구매 이력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서버가 상기 복권구매 이력이 일주일 내 구매비용이 1만원 내지 20만원이내이고, 복권구매횟수가 20매 이내로 검출되는 경우, 상기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복권구매요금을 징수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서버가 상기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사용횟수와 하이패스 통행, 도로통행, 환승 및 주차로 인해 발생한 요금에 관한 정보를 수치로 환산하고, 상기 환산된 수치를 이용한 당첨규칙을 적용하여 당첨금 및 복권의 당첨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서버가 당첨자에게 당첨금을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당첨금은 1만원부터 2000만원 이내로 책정되어 있으며, 상기 당첨자가 그룹웨어로 결성된 통합 구매자 중 하나로 판명된 경우, 상기 통합 구매자들의 교통요금 결제수단이 검출될 수 있는 교통 관련 공간의 전자 표시판, SNS, SMS를 통한 발송, 가입 시 등록된 온오프라인 주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당첨 사실을 알림하고, 복권 당첨금을 분할 지급하되, 통합 구매자들의 교통요금 결제수단에 지급하여 적립되게 해주거나,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소유자인 회원이 회원가입 시 요청한 계좌정보나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전자태그에 저장된 입금정보로 당첨금을 지급하여 적립한다.

Description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기반으로 한 복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TTERY SERVICE CONNECTED WITH CARD FOR PAYING}
본 발명은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기반으로 한 복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교통요금 결제수단에 부여된 전자태그를 키오스크, 개찰구, 주차장과 같은 공간에 구비된 Wifi,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모듈, M2M(Machine to Machine)/IOT(Internet of things)과 같은 무선 통신이나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를 통해 검출하고, 해당 서버를 통해 상기 전자태그의 정보, 즉 사용자가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통해 이동한 구간, 하이패스 통행 납부, 도로 통행료 납부 및 주차료 납부를 포함하는 환승 정보를 독출하여, 독출된 정보가 미리 설정된 복권 구매 이력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따라 복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국의 도시철도와 광역철도, 그리고 의정부 및 용인 경전철에는 노인 무임승차제도가 시행중이다. 한국철도공사가 운용하는 광역철도의 노인 무임승차는 적자의 절반에 대해 국고 보조를 받고 있는 반면, 서울시를 비롯한 지자체가 운영하는 도시철도의 노인 무임승차에 따른 비용은 각 지자체가 떠안고 있다.
2013년 한해 전국 도시철도 적자 총액 약 8,000억원 중 노인무임승차로 인한 적자는 약 4,000억원에 이르며, 특히 서울 지하철 적자의 2/3, 그 중에서도 노인들이 집중적으로 이용하는 1~4호선 적자의 86%가 노인 무임승차에 기인한다.
이와 같은 무임승차로 인한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4760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358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태그가 부여된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교통 이용 요금을 결제하면, 개찰구나 키오스크(kiosk), 주차장과 같은 공간에 구비된 Wifi,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모듈, M2M(Machine to Machine)/IOT(Internet of things) 과 같은 무선 통신망이나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를 통해 검출하고, 해당 서버를 통해 상기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전자태그의 정보, 즉 사용자가 교통 수단을 통해 이동한 구간, 하이패스 통행 납부, 도로 통행료 납부 및 주차료 납부를 포함하는 환승 정보를 독출하여, 한도가 설정된 복권 구매 요금 및 구매 횟수에 부합되는지 판단하고, 부합하는 조건 하에서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이동한 거리,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이용 횟수, 하이패스 통행 납부, 도로 통행료 납부 및 주차료 납부를 포함하는 환승 정보를 수치로 환산한 정보에 비례하도록 복권을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이용 횟수 및 이용 요금에 따라 누적 포인트제를 적용하고, 더불어 소정의 당첨 규칙을 적용하여 복권을 추첨하여 당첨금을 지급하되,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발급할 때 미리 저장된 회원정보와 당첨자가 동일한지 본인인증을 거쳐 당첨금을 지급하는 복권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통요금 결제수단, 무선통신수단 및 제어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복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복권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무선통신수단이 복권매입을 위해 전자태그가 부여된 교통요금 결제수단으로부터 결제요청을 수신하여 제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서버가 상기 무선통신수단에 의해 독출된 상기 결제수단의 전자태그정보로부터 복권구매 이력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서버가 상기 복권구매 이력이 일주일 내 구매비용이 1만원 내지 20만원이내이고, 복권구매횟수가 20매 이내로 검출되는 경우, 상기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복권구매요금을 징수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서버가 상기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사용횟수와 하이패스 통행, 도로통행, 환승 및 주차로 인해 발생한 요금에 관한 정보를 수치로 환산하고, 상기 환산된 수치를 이용한 당첨규칙을 적용하여 당첨금 및 복권의 당첨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서버가 당첨자에게 당첨금을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당첨금은 1만원부터 2000만원 이내로 책정되어 있으며, 상기 당첨자가 그룹웨어로 결성된 통합 구매자 중 하나로 판명된 경우, 상기 통합 구매자들의 교통요금 결제수단이 검출될 수 있는 교통 관련 공간의 전자 표시판, SNS, SMS를 통한 발송, 가입 시 등록된 온오프라인 주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당첨 사실을 알림하고, 복권 당첨금을 분할 지급하되, 통합 구매자들의 교통요금 결제수단에 지급하여 적립되게 해주거나,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소유자인 회원이 회원가입 시 요청한 계좌정보나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전자태그에 저장된 입금정보로 당첨금을 지급하여 적립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기반으로 한 복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복권 매입을 위해 교통요금 결제수단에 부여된 전자태그를 검출하는 식별 수단 및 상기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결제 요청시 상기 전자태그의 검출을 통해 복권구매 이력을 확인하고, 상기 복권구매이력이 일주일 이내 구매비용이 1만원 내지 20만원이내이고, 복권구매횟수가 20매 이내로 검출되는 경우 상기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복권 구매 요금을 징수하며, 상기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사용횟수와 하이패스 통행, 도로통행, 환승 및 주차로 인해 발생한 요금에 관한 정보를 수치로 환산하고, 상기 환산된 수치를 이용한 당첨 규칙을 적용하여 당첨금 및 복권의 당첨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당첨자가 그룹웨어로 결성된 통합 구매자 중 하나로 판명된 경우, 상기 통합 구매자들의 교통요금 결제수단이 검출될 수 있는 교통 관련 공간의 전자 표시판, SNS, SMS를 통한 발송, 가입 시 등록된 온오프라인 주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당첨 사실을 알림하고, 복권 당첨금을 분할 지급하되, 통합 구매자들의 교통요금 결제수단에 지급하여 적립되게 해주거나,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소유자인 회원이 회원가입 시 요청한 계좌정보나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전자태그에 저장된 입금정보로 당첨금을 지급하여 적립시키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태그가 부여된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환승정보를 포함한 대중교통요금, 하이패스요금, 도로통행료, 주차요금을 결제함과 동시에,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통한 이용요금, 이동 거리 및 이용횟수에 따른 누적 포인트에 비례하는 당첨 확률을 구현하는, 교통요금 결제를 기반으로 한 복권 제공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이용하고자하는 사람들의 증가로 이어지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교통요금 결제를 기반으로 한 복권 제공 서비스는 무임승차로 인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해결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더불어, 개인 차량을 이용하기보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편에 누적 포인트 적립이나 복권 당첨 확률을 높게 설정하여, 시민들의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임으로써, 교통비 절감과 이산화탄소 배출을 저감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사람, 사물, 공간, 데이터와 같은 모든 것이 인터넷으로 서로 연결되어 정보가 생성, 수집, 공유, 활용되는 사물 인터넷 시대에 본 발명의 복권 제공 시스템은 공공, 산업 및 개인 생활 전 분야에 창조적 혁신을 유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이용한 복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복권은 일명 “서민 뚜벅이 교통복권”으로 지칭하여 관계부처에서 교통 관련 제도의 기반을 구축하는데 이용할 수 있겠다.
도 1은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이용한 복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찰구에 구비된 복권 서비스 실행 수단 및 각종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이용한 복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찰구에 구비된 복권 서비스 실행 수단 및 각종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이용한 복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필수적으로 무선 통신수단(100) 및 제어 수단(130)을 포함하며, 밴(VAN) 서버(110), 다기능 단말 센서 리더부(120) 및 통합구매사용 서버(140)를 더 포함한다.
무선 통신 수단(100)은 복권 매입을 위해 교통요금 결제수단에 부여된 전자태그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수단(100)은 지하철 이용 환경일 경우에는 개찰구나 키오스크(kiosk), 주차장 등에 구비되고, 예를 들어 버스 이용 환경에서는 버스 요금을 지불하는 수단에 인접한 버스 공간 내에 무선 통신 수단(100)이 구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수단(100)은 RFID 리더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바코드 리더기, Wifi 모듈, M2M(Machine to machine) 모듈, IoT(Internet of things) 모듈 및 위치기반서비스(LBS)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위치기반서비스(LBS)는 위성항법장치(GPS)와 연결되는 칩을 교통요금 결제수단에 부착하여, 칩이 부착된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로 여기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기반정보를 기반으로 복권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기반서비스(LBS)는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소지자의 동선을 인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교통요금 결제수단은 복권 매입을 위해 예를 들어, 발행시 카드사 서버 또는 밴 서버와 같은 해당 관련 서버에 의해 통신 통장이나 현금 결제 수단에 전자태그가 부여될 수 있다. 전자태그는 고유 식별 바코드, 통신 번호, 일련번호, QR 코드, 비콘(Beacon) 스티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USN(Ubiquitous sensor network) 바코드, NFC 모듈, 스마트 폰에 내장된 센서, USIM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태그는 무선 통신 수단(100)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전자태그는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소지하는 소유자의 회원정보(예를 들어, 결제 카드 발급 시 회원가입을 위해 승인된 고유 정보)를 포함한다.
교통요금 결제수단은 각종 대중교통카드,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카드, 후불카드, IC 카드, 선불 교통카드, 티머니(T-money), 스마트폰 교통카드, NFC 전자지갑, 인터넷을 이용한 포털 결제, 애플페이, 알리페이와 같은 핀 테크를 이용한 결제, 바코드가 부여된 통장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 기능일 수 있다.
교통요금 결제수단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구입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게이트에 설치된 단말 센서를 통해 요금을 충전할 수 있다.
제어수단(130)은 개괄적으로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이용한 복권 제공 시스템에서 교통요금 결제수단에 부여된 전자태그를 검출 및 독출하여, 전자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산출하여, 궁극적으로 복권 제공 서비스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수단(130)은 B2B(Business to business) 결제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음에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어수단(130)은 상기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결제 요청시 상기 전자태그의 검출을 통해 복권구매 이력을 수집하고, 상기 복권구매 이력 및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이용에 관한 정보들을 산출하여, 산출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통하여 복권 구매 요금을 징수한다.
이와 달리, 복권구매 이력이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않거나 대중교통 카드 소유자가 65세 이상의 무인교통 사용자나 장애인인 경우 복권 구매 기능이 실행되지 않도록 한다. 단, 이들도 대중교통 수단을 유료로 이용하고자 하여 본 발명의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구매하여 이용하는 경우에는 복권 매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어 수단(130)은 구간 게이트 위치 산출부, 식별정보 판독부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구간 게이트 위치 산출부는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독출하여 사용자가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이동한 거리, 구간, 주차 및 환승 정보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식별정보 판독부는 교통요금 결제수단에 부여된 전자태그를 판독하여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이용한 횟수, 복권을 구매한 횟수, 당첨 횟수를 포함하는 복권 구매 이력을 검출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설정된 기간 내에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이용 횟수에 따라 적립 누적 포인트를 저장할 수 있다. 참고로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적립식 포인트에 코드 식별라벨을 표시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적립식 바코드 식별 포인트 리필할 수 있는 제도를 시행할 수 있다.
카드 포인트, 통장 포인트, 통장 통합 포인트 및 포인트 결제도 태그라벨로 넣을 수 있다. 또한 NFC 비접촉식 결제, 인터넷 통신 결제에 있어서도 결제 창에 태그라벨이 표시되고, 포인트 적립을 할 수 있다.
제어수단(130)은 교통 복권 제공을 위한 통합관리시스템에서 클라우드 서버의 규모를 이용하여 IP방식 환경이나 단말 환경, 모듈센서, CCTV, USB가 탑재된 환경에서 통합 관리 체제를 관리하는 맥락에서, 전국 버스 교통 정보 및 전국 지하철 교통 정보를 활용할 수 있고, 전국도로교통 영수증이나 주차장 관련 결제 바코드, 누적 포인트제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의 환승구간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해당 사용자의 교통요금 결제수단에 부착된 칩을 통해 LBS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밴(VAN) 서버(110)는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발급, 회원가입, 회원인증, 교통요금 결제, 당첨금 지급 등의 기능을 실행한다. 밴 서버(100)는 제어 수단(130)으로부터 당첨금 결제를 요청받는 경우, 온라인 결제를 통해 당첨된 교통요금 결제수단에 적립하거나,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소유자인 회원이 회원가입 시 요청한 계좌 정보나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전자태그에 저장된 입금 정보, 구체적으로 선불 교통카드, 티머니(T-money), 스마트폰 교통카드, NFC 전자지갑과 바코드가 부여된 태그식별 통장으로 당첨금을 지급하여 적립해준다.
다기능 단말센서 리더부(120)는 RFID 리더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바코드 리더기, Wifi 모듈, M2M(Machine to machine) 모듈, IoT(Internet of things) 모듈 및 위치기반서비스(LBS)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이용하여 교통요금 결제수단에 부여된 전자태그를 독출하는 기능을 한다.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전자태그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유 식별 바코드, USN 식별 바코드, 통신 번호, 일련번호, QR 코드, 비콘(Beacon) 스티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라벨, NFC 모듈, 스마트 폰에 내장된 센서, USIM, 웨어러블 포털 센서, 디지털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 이와 같은 전자태그는 다기능 단말 센서 리더부(120)를 통해 검출될 수 있다.
통합구매사용 서버(140)는 SNS 그룹웨어나 HTML5 웹 기반의 해당 서버 이용 환경을 기반으로 결성된 통합 구매자들의 복권 구매 및 복권 당첨금 분할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구매사용 서버(140)는 복권을 단체로 구매하여 당첨금을 공동으로 분배하기로 한 사용자들의 전자태그를 검출하여 이를 관리할 수 있다.
즉, 통합구매사용 서버(140)는 통합 구매자들에게 교통요금 결제수단이 검출될 수 있는 교통 관련 공간의 전자 표시판, SNS 주소, SMS를 이용한 발송을 통해 당첨 사실을 알림해주고, 또한 당첨자는 인터넷 PC 등을 통해 통합구매사용 서버(140)에 접속하여 당첨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통합구매사용 서버(140)는 당첨금을 통합구매자들의 교통요금 결제수단에 지급하여 적립되게 해주거나,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소유자인 회원이 회원가입 시 요청한 계좌 정보나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전자태그에 저장된 입금 정보, 구체적으로 선불 교통카드, 티머니(T-money), 스마트폰 교통카드, NFC 전자지갑, 바코드가 부여된 코드식별 통신 통장으로 당첨금을 지급하여 적립해준다.
물론 여기서 복권을 그룹으로 구매하기로 결성된 통합 구매자들 각각의 교통수단을 이용한 이동 거리나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이용 횟수 등은 서로 다를 수 있다.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이용한 복권의 통합 매입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당일동안 한 명이 20매의 복권을 구입했을 때의 당첨확률보다 5명이 모여 100매의 복권을 공유하는 경우의 복권 당첨 확률이 훨씬 높으므로 사용자들의 흥미를 부여하고, 궁극적으로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통합 구매자들을 구성하는 그룹은 직장, 동료, 지인 등을 포함하고, 해당관련서버에 회원 등록된 회원들 간의 결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수단(130)은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제한된 복권 구매 요금 및 제한된 복권 구매 횟수, 누적 포인트에 부합하는 경우, 복권 구매 요금을 징수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당일 내에 복권 구매 요금은 1만원에서부터 20만원까지로 제한되고, 복권 구매 횟수는 20매 구매로 제한되며, 당첨금은 1만원부터 2000만원까지 책정됨으로써, 일반인에게 사행성이나 중독성을 야기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제어 수단(130)은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지하철, 버스, 기차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며, 하이패스 통행 납부, 도로 통행료 납부 및 주차료 납부를 포함하는 환승을 포함하는 이용률 및 누적 포인트에 비례하여 상기 복권 당첨 확률이 높게 설정되게 한다.
이에 따라 대중교통 이용자들에게는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이용률을 높이게 되고, 궁극적으로는 무임승차로 인한 손실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제어 수단(130)은 소정의 당첨 규칙을 적용하여 당첨금 및 복권의 당첨여부를 결정하고, 당첨자에게 당첨금을 지급하되, 교통요금 결제수단 소유자의 본인 인증이 확인되면 당첨금을 지급한다.
여기서, 본인 인증은 회원가입 시 미리 저장된 회원정보에 기초하여 얼굴인식, 홍채인식, 지문인식, 생체인식, CCTV 영상 감지 인식, 번호인식, 아이디 및 비밀번호 인증, 주민등록번호 인증, 바코드 사용 센서 인식, USB에 저장된 데이터 인식, 웨어러블 포털 센서, 디지털 터치 센서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고, 더불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USN(Ubiquitous sensor network) 바코드, NFC 바코드, QR 코드,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 USIM 칩으로 CD/ATM기를 이용하는 기술, Wifi, M2M(Machine to Machine)/IOT(Internet of things)과 같은 사물 인터넷 통신 및 무선 통신이나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를 이용하는 기술, 나노 센서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웹페이지를 이용한 본인인증 시, 상기 웹페이지는 HTML5의 사진, 동영상, 음성 등을 실행하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실된 교통요금 결제수단이나 타 명의의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소유한 자에게는 복권 당첨이 취소되고, 당첨금도 지급되지 않으며,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이용 또한 거절될 수 있다.
당첨 규칙은 예를 들어, 매주의 월요일부터 금요일 오후 11시까지 각 교통 관련 공간의 전자태그 검출 수단이 인지한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전자태그를 이용하여 구매된 복권을 대상으로 하고, 토요일에 전자태그의 식별정보를 가지고 1등부터 아차상까지 순위별로 당첨을 결정하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태그가 부여된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환승정보를 포함한 대중교통요금, 하이패스요금, 도로통행료, 주차요금을 결제함과 동시에,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통한 이용요금, 이동 거리 및 이용횟수에 따른 누적 포인트에 비례하는 당첨 확률을 구현하는, 교통요금 결제를 기반으로 한 복권 제공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이용하고자하는 사람들의 증가로 이어지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교통요금 결제를 기반으로 한 복권 제공 서비스는 무임승차로 인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해결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더불어, 개인 차량을 이용하기보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편에 누적 포인트 적립이나 복권 당첨 확률을 높게 설정하여, 시민들의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임으로써, 교통비 절감과 이산화탄소 배출을 저감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사람, 사물, 공간, 데이터와 같은 모든 것이 인터넷으로 서로 연결되어 정보가 생성, 수집, 공유, 활용되는 사물 인터넷 시대에 본 발명의 복권 제공 시스템은 공공, 산업 및 개인 생활 전 분야에 창조적 혁신을 유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이용한 복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복권은 일명 “서민 뚜벅이 교통복권”으로 지칭하여 관계부처에서 교통 관련 제도의 기반을 구축하는데 이용할 수 있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의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통요금결제 수단을 기반으로 한 복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복권 매입을 위해 전자태그가 부여된 결제 카드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결제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결제 카드에 부여된 상기 전자태그를 독출하여 복권구매 이력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복권구매 이력이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결제 카드를 통하여 복권 구매 요금을 징수하는 단계와, 소정의 당첨 규칙을 적용하여 당첨금 및 복권의 당첨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당첨자에게 당첨금을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당첨자에게 당첨금을 지급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 카드 소유자의 본인 인증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카드 소유자의 본인인증이 확인되면, 당첨금을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인 인증은 밴 서버에 미리 저장된 결제 카드 소유자의 회원정보에 기초하여 얼굴인식, 홍채인식, 지문인식, 생체인식, CCTV 영상 감지 인식, 번호인식, 아이디 및 비밀번호 인증, 주민등록번호 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고, 더불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USN(Ubiquitous sensor network) 바코드, NFC 바코드, QR 코드, 결제 앱 서비스 이용 시에는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 USIM 칩으로 CD/ATM기를 이용하는 기술, 나노 센서 인식, 차량 번호판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웹페이지를 이용한 본인인증 시, 상기 웹페이지는 HTML5의 사진, 동영상, 음성 등을 실행하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당첨금 지급 실행을 위해 제어 수단(130)으로부터 당첨금 결제를 요청받은 밴 서버(110)는 온라인 결제를 통해 당첨된 교통요금 결제수단에 적립하거나,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소유자인 회원이 회원가입 시 벤 서버(110)에 요청한 계좌 정보나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전자태그에 저장된 입금 정보, 구체적으로 선불 교통카드, 티머니(T-money), 스마트폰 교통카드, NFC 전자지갑, 고유식별 태그라벨이 부여된 통장으로 당첨금을 지급하여 적립해준다.
당첨 사실 알림은 당첨된 사용자가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개찰구를 출입 또는 출타할 경우, 개찰구에 구비된 전자 전광판을 통해 표시되거나, 사용자가 교통요금 결제수단 발급시 회원가입을 위해 입력한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연락처를 통해 당첨 사실이 전달되거나, 마찬가지로 회원정보로서 저장된 SNS 주소, SMS를 이용한 발송을 통해 당첨 사실이 전달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복권 구매 이력이란,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제한된 복권 구매 요금 및 제한된 복권 구매 횟수, 교통요금 결제 수단의 이용횟수에 따른 누적 포인트에 부합하는 이력을 말한다. 예를 들어, 복권 구매 요금은 당일 1만원에서부터 20만원까지로 제한되고, 복권 구매 횟수는 당일 20매 구매로 제한되며, 당첨금은 1만원부터 2000만원까지 하고, 향후 조정 가능토록 함으로써, 일반인에게 사행성이나 중독성을 야기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소정의 당첨 규칙은 상기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지하철, 버스, 기차, 차량, 주차장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며, 환승을 포함하는 이동 구간(거리), 하이패스 통행 납부, 도로 통행료 납부 및 주차료 납부를 포함하는 환승 정보에 비례하여 상기 복권 당첨 확률이 높게 설정된다.
교통요금 결제수단은 밴(VAN)사로부터 미리 부여된 전자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태그는 고유 식별 바코드, 통신 번호, 일련번호, QR 코드, 비콘(Beacon) 스티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라벨, NFC 모듈, 스마트폰에 내장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전자태그는 상기 무선 통신망으로서 RFID 리더기, NFC 리더기, 바코드 리더기, M2M(Machine to machine) 모듈, IoT(Internet of things)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검출된다.
교통요금 결제수단은 전자태그에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소지하는 소유자의 회원정보(발급 시 회원가입을 위해 승인된 고유 정보)를 포함한다.
교통요금 결제수단은 각종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카드, 선불 교통카드, IC 카드, 티머니(T-money), 스마트폰 교통카드, NFC 전자지갑, 고유식별 태그라벨이 부여된 통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전자태그 독출 시 복권 구매자가 SNS 그룹웨어로 결성된 통합 구매자 중 하나인 경우, 제어 수단은 SNS 그룹웨어로 결성된 통합 구매자들의 복권 구매, 통합 구매자들의 SNS로 당첨 사실에 대한 알림 및 복권 당첨금 분할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외에도, 통합 구매자들의 교통요금 결제수단이 검출될 수 있는 교통 관련 공간의 전자 표시판, SNS, SMS를 통한 발송, 가입 시 등록된 온오프라인 주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당첨 사실을 알림하고, 복권 당첨금을 분할 지급할 수 있다. 복권 당첨금 분할 지급 시, 통합구매자들의 교통요금 결제수단에 지급하여 적립되게 해주거나,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소유자인 회원이 회원가입 시 요청한 계좌 정보나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전자태그에 저장된 입금 정보, 구체적으로 선불 교통카드, 티머니(T-money), 스마트폰 교통카드, NFC 전자지갑, IC 카드, 고유식별 태그라벨이 부여된 통장으로 당첨금을 지급하여 적립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무선 통신수단 110: 밴 서버
130: 제어 수단 120:다기능 단말센서 리더부
140: 통합구매사용 서버

Claims (14)

  1. 교통요금 결제수단, 무선통신수단 및 제어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복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복권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수단이 복권매입을 위해 전자태그가 부여된 교통요금 결제수단으로부터 결제요청을 수신하여 제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서버가 상기 무선통신수단에 의해 독출된 상기 결제수단의 전자태그정보로부터 복권구매 이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서버가 상기 복권구매 이력이 일주일 내 구매비용이 1만원 내지 20만원이내이고, 복권구매횟수가 20매 이내로 검출되는 경우, 상기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복권구매요금을 징수하는 단계;
    상기 제어서버가 상기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사용횟수와 하이패스 통행, 도로통행, 환승 및 주차로 인해 발생한 요금에 관한 정보를 수치로 환산하고, 상기 환산된 수치를 이용한 당첨규칙을 적용하여 당첨금 및 복권의 당첨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서버가 당첨자에게 당첨금을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당첨금은 1만원부터 2000만원 이내로 책정되어 있으며,
    상기 당첨자가 그룹웨어로 결성된 통합 구매자 중 하나로 판명된 경우, 상기 통합 구매자들의 교통요금 결제수단이 검출될 수 있는 교통 관련 공간의 전자 표시판, SNS, SMS를 통한 발송, 가입 시 등록된 온오프라인 주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당첨 사실을 알림하고, 복권 당첨금을 분할 지급하되, 통합 구매자들의 교통요금 결제수단에 지급하여 적립되게 해주거나,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소유자인 회원이 회원가입 시 요청한 계좌정보나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전자태그에 저장된 입금정보로 당첨금을 지급하여 적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기반으로 한 복권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첨자에게 당첨금을 지급하는 단계는,
    상기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소지한 소유자의 본인 인증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소지한 소유자의 본인인증이 확인되면, 당첨금을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인 인증은 밴 서버에 미리 저장된 결제 카드 소유자의 회원정보에 기초하여 홍채인식, 지문인식, 생체인식, CCTV 영상 감지 인식, 번호인식, 아이디 및 비밀번호 인증, 주민등록번호 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고, 더불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USN(Ubiquitous sensor network) 바코드, NFC 바코드, QR 코드,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 USIM 칩으로 CD/ATM기를 이용하는 기술, 나노 센서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며, 웹페이지를 이용한 본인인증 시, 상기 웹페이지는 HTML 5의 사진, 동영상, 음성을 실행하는 기능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기반으로 한 복권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첨자에게 당첨금을 지급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태그 독출에 의해 상기 당첨자가 SNS 그룹웨어로 결성된 통합 구매자 중 하나로 판명된 경우, 상기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소유자인 회원이 회원가입 시 요청한 계좌 정보나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전자태그에 저장된 입금 정보는, 구체적으로 선불 교통카드, IC 카드, 티머니(T-money), 스마트폰 교통카드, NFC 전자지갑, Wifi 모듈 또는 M2M(Machine to machine) 모듈 또는 IoT(Internet of things) 가 활용되고 적용되는 모듈 및 센서를 구비한 사물통신기반을 활용한 전자지갑 혹은 고유식별 태그라벨 중 하나이상의 기능이 부여된 통장으로 당첨금을 지급하여 적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기반으로 한 복권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권구매 이력은,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제한된 복권 구매 요금, 제한된 복권 구매 횟수 및 최소 누적 포인트에 부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기반으로 한 복권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첨 규칙은,
    상기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지하철, 버스, 기차, 차량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며, 환승을 포함하는 이동 구간(거리), 하이패스 통행 납부, 도로 통행료 납부 및 주차료 납부를 포함하는 환승 정보에 비례하여 상기 복권 당첨 확률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기반으로 한 복권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요금 결제수단은 밴(VAN)사로부터 미리 부여된 전자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태그는 고유 식별 바코드, 통신 번호, 일련번호, QR 코드, 비콘(Beacon) 스티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라벨, NFC 모듈, 웨어러블 포털 센서, 디지털 터치 센서, 스마트폰에 내장된 센서, USIM, 디지털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전자태그는 무선 통신망으로서 RFID 리더기, NFC 비접촉식 리더기, 바코드 리더기, M2M(Machine to machine) 모듈, IoT(Internet of things) 모듈, 위치기반서비스(LBS)를 구현하는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기반으로 한 복권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요금 결제수단은 상기 전자태그에 소유자의 회원정보(상기 교통요금 결제수단 발급 시 회원가입을 위해 승인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기반으로 한 복권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요금 결제수단은 각종 대중교통카드,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카드, 후불카드, IC 카드, 선불 교통카드, 티머니(T-money), 스마트폰 교통카드, NFC 전자지갑, 접촉식 결제, 핀 테크 기반의 결제 전용 애플리케이션, 누적 적립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이고, 여기서 상기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적립식 포인트에 코드 식별라벨을 표시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적립식 바코드 식별 포인트 리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기반으로 한 복권 서비스 제공 방법.
  9. 복권 매입을 위해 교통요금 결제수단에 부여된 전자태그를 검출하는 식별 수단; 및
    상기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결제 요청시 상기 전자태그의 검출을 통해 복권구매 이력을 확인하고, 상기 복권구매이력이 일주일 이내 구매비용이 1만원 내지 20만원이내이고, 복권구매횟수가 20매 이내로 검출되는 경우 상기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복권 구매 요금을 징수하며,
    상기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사용횟수와 하이패스 통행, 도로통행, 환승 및 주차로 인해 발생한 요금에 관한 정보를 수치로 환산하고, 상기 환산된 수치를 이용한 당첨 규칙을 적용하여 당첨금 및 복권의 당첨여부를 결정하며,
    당첨자가 그룹웨어로 결성된 통합 구매자 중 하나로 판명된 경우, 상기 통합 구매자들의 교통요금 결제수단이 검출될 수 있는 교통 관련 공간의 전자 표시판, SNS, SMS를 통한 발송, 가입 시 등록된 온오프라인 주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당첨 사실을 알림하고, 복권 당첨금을 분할 지급하되, 통합 구매자들의 교통요금 결제수단에 지급하여 적립되게 해주거나,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소유자인 회원이 회원가입 시 요청한 계좌정보나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전자태그에 저장된 입금정보로 당첨금을 지급하여 적립시키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기반으로 한 복권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요금 결제수단에 부여된 전자태그는 고유 식별 바코드, 통신 번호, 일련번호, QR 코드, 비콘(Beacon) 스티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라벨, NFC 모듈, 스마트폰에 내장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전자태그는 무선 통신망으로서 RFID 리더기, NFC 리더기, 바코드 리더기, M2M(Machine to machine) 모듈, IoT(Internet of things)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기반으로 한 복권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독출하여 이동 구간을 산출하는 구간 게이트위치 산출부;
    상기 교통요금 결제수단에 부여된 전자태그를 판독하여 교통요금 결제수단 이용횟수, 복권 구매 횟수, 당첨횟수를 포함하는 복권구매 이력을 검출하는 식별정보 판독부; 및
    상기 교통요금 결제수단의 사용횟수에 따라 적립 포인트를 저장하되,상기 적립 포인트는 코드 식별라벨로 표시되며 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기반으로 한 복권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소정의 당첨 규칙을 적용하여 당첨금 및 복권의 당첨여부를 결정하고, 당첨자에게 당첨금을 지급하되, 상기 교통요금 결제수단 소유자의 본인 인증이 확인되면 당첨금을 지급하며, 상기 본인 인증은 회원가입 시 미리 저장된 회원정보에 기초하여 얼굴인식, 홍채인식, 지문인식, 생체인식, CCTV 영상 감지 인식, 번호인식, 아이디 및 비밀번호 인증, 주민등록번호 인증, USB 모듈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고, 더불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USN(Ubiquitous sensor network) 바코드, NFC 바코드, QR 코드,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 USIM 칩으로 CD/ATM기를 이용하는 기술, 나노 센서 인식, 웨어러블 포털 센서, 디지털 터치 센서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고, 웹페이지를 이용한 본인인증 시, 상기 웹페이지는 HTML5의 사진, 동영상, 음성을 실행하는 기능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기반으로 한 복권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제한된 복권 구매 요금, 제한된 복권 구매 횟수 및 누적 포인트에 부합하는 경우, 복권 구매 요금을 징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기반으로 한 복권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지하철, 버스, 기차, 차량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며, 환승을 포함하는 이동 구간(거리), 하이패스 통행 납부, 도로 통행료 납부 및 주차료 납부를 포함하는 환승 정보에 비례하여 상기 복권 당첨 확률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기반으로 한 복권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50058991A 2015-04-27 2015-04-27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기반으로 한 복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655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991A KR101655194B1 (ko) 2015-04-27 2015-04-27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기반으로 한 복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991A KR101655194B1 (ko) 2015-04-27 2015-04-27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기반으로 한 복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497A Division KR20150011503A (ko) 2013-07-23 2013-07-23 뚜벅이 교통복권에 탑재된 lbs위치정보공간 m2m/iot통신모튤 바코드 usim/usn테그센서 식별사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885A KR20150053885A (ko) 2015-05-19
KR101655194B1 true KR101655194B1 (ko) 2016-09-22

Family

ID=53390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8991A KR101655194B1 (ko) 2015-04-27 2015-04-27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기반으로 한 복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194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605B1 (ko) 2001-06-20 2004-09-07 시큐아이닷컴 주식회사 전자 복권시스템 및 그것의 운영방법
KR20030012304A (ko) * 2001-07-31 2003-02-12 주식회사 예스아이비 신용 카드의 교통 카드 기능 사용 내역에 따른 인터넷복권 발급 시스템 및 방법
KR100853584B1 (ko) 2002-01-24 2008-08-2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위치기반 복권추첨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23293B1 (ko) * 2002-10-15 2005-10-24 최종백 복권서비스 제공방법 및 방법에 사용되는 시스템, 카드 및카드판독장치
KR20060109410A (ko) * 2006-10-01 2006-10-20 차희장 포인트 발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885A (ko) 2015-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90846C2 (ru) Система пассажирских перевозок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илетов в такой системе
US11341476B2 (en) Dynamic vehicle parking management platform
US6609655B1 (en) Smart card system for providing financial, travel, and entertainment-related services
US20050168352A1 (en) Citation free parking method
CN107111792B (zh) 用于在交通网络中售检票及验票的方法和系统
WO200602651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blic street parking using rf and rfid technology
JP6695683B2 (ja) 駐車場管理装置、駐車場管理方法、駐車場管理プログラム、登録装置、登録方法、及び駐車場管理システム
US20180225650A1 (en) Transaction payment processing system implementing a virtual exchange platform
JP7004531B2 (ja) サービス料金精算用端末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5011116A1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parking time of a vehicle in a parking lot
JP4629399B2 (ja) 駐車場利用料金精算システム
KR101655194B1 (ko) 교통요금 결제수단을 기반으로 한 복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18669A (ko) 하이패스 통행요금 할인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3055414A (ja) クーポン発行装置、クーポン発行システム、クーポン発行方法およびクーポン発行プログラム
JP2020119601A (ja) 駐車場管理装置、駐車場管理方法、駐車場管理プログラム、登録装置、登録方法、及び駐車場管理システム
Patil et al. Smart Toll Booth System Using Smart Contract
KR101286694B1 (ko) N f c 태그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정보 제공 방법
JP2001283271A (ja) 駐車場料金決済システム
KR100863884B1 (ko) Obu를 이용한 포인트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Mehendale et al. To study the implications of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using RFID technology
JP2022124378A (ja) 車両運賃算出システム及び車両運賃算出装置
JP6649079B2 (ja) 改札機
JP2010113536A (ja) 経費清算システム、経費清算サーバ、経費清算方法、及び経費清算用プログラム
JP2024041211A (ja) 入出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出場管理プログラム
JP2007249528A (ja) 通行車両管理システム及び通行車両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