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962B1 - 밀링 공구 및 밀링 인서트 - Google Patents

밀링 공구 및 밀링 인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962B1
KR101654962B1 KR1020130004591A KR20130004591A KR101654962B1 KR 101654962 B1 KR101654962 B1 KR 101654962B1 KR 1020130004591 A KR1020130004591 A KR 1020130004591A KR 20130004591 A KR20130004591 A KR 20130004591A KR 101654962 B1 KR101654962 B1 KR 101654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ling insert
cutting edge
milling
chip
bla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4260A (ko
Inventor
랄프 레토
페르 빅룬드
Original Assignee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66412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5496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filed Critical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30084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39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by a clamping member acting almost perpendicular on the cutting face
    • B23C5/2243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by a clamping member acting almost perpendicular on the cutting face for plate-like cutting inserts 
    • B23C5/2247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by a clamping member acting almost perpendicular on the cutting face for plate-like cutting inserts  having a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06Face-milling cutters, i.e. having only or primarily a substantially flat cutt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02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 B23C5/205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characterised by chip-breakers of speci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04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 B23C5/2208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for plate-like cutting inserts 
    • B23C5/2213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for plate-like cutting inserts  having a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98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secured by resilient/flexible means
    • B23C5/2301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secured by resilient/flexible means for plate-like cutting inserts 
    • B23C5/2304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secured by resilient/flexible means for plate-like cutting inserts  having a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04Overall shape
    • B23C2200/045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16Supporting or bottom surfaces
    • B23C2200/164Supporting or bottom surfaces discontinu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16Supporting or bottom surfaces
    • B23C2200/168Supporting or bottom surfaces with features related to inde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20Top or side views of the cutting edge
    • B23C2200/206Cutting edges having a wave-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28Angles
    • B23C2200/281Negative rake a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28Angles
    • B23C2200/283Negative cutting a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16Fixation of inserts or cutting bits in the tool
    • B23C2210/168Seats for cutting inserts, supports for replacable cutting b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9Rotary cutting tool
    • Y10T407/1906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holder [i.e., head]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1908Face or end mill
    • Y10T407/192Face or end mill with separate means to fasten tool to hol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0Profiled circular to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3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tool having plural alternatively usable cutting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의 원통체에 의해 한정되는 라운드형 기본 형상을 갖는 양면형의 인덱스 가능한 밀링 인서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원통체는 중심 축선 (C2) 과 동심이고, 또 상기 중심 축선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하는 그리고 중립면 (NP) 으로부터 등거리로 이격되는 2 개의 기준면들 사이에서 연장하고, 상기 밀링 인서트는 상기 기준면 (18a, 18b) 내에 위치되는 한 쌍의 대향하는 칩 면으로서, 상기 칩 면들 사이에서 중심 축선과 동심인 외피 표면 (19) 이 연장되는,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칩 면, 상기 칩 면들의 주변을 따르는 동일한 그리고 교대로 사용할 수 있는 다수의 절삭날 (20), 뿐만 아니라 수개의 사전 결정된 인덱스 위치들 중의 하나의 위치 내에 상기 밀링 인서트를 회전 고정하기 위한 로크 수단 (28, 29)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개의 절삭날 (20) 은, 상기 밀링 인서트가 측면도에서 평가되었을 때, 기준면으로부터 함몰되는 파의 골 형상을 갖고, 또 2 개의 날 부분 (22, 23) 을 포함하고, 상기 날 부분 (22, 23) 은 저점 (24) 을 통해 상호 내로 변형되고, 상기 날 부분 (22, 23) 중의 일차 날 부분 (22) 은 이차 날 부분 (23) 보다 길고, 또 상기 이차 날 부분 (23) 이 상기 저점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는 유사한 경사 각도보다 작은 경사 각도로 저점 (24) 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룬다. 추가하여, 본 발명은 문제의 밀링 인서트를 구비하는 밀링 공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밀링 공구 및 밀링 인서트{A MILLING TOOL AS WELL AS A MILLING INSERT}
제 1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한편으로 본체를,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양면형의 인덱스 가능한 밀링 인서트를 포함하는 밀링 공구로서, 상기 본체는 전단부 및 후단부뿐만 아니라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부와 후단부의 사이에 상기 본체가 회전할 수 있는 중심 축선이 연장하고, 또 상기 중심 축선과 회전 대칭의 외피 표면이 동심이고, 상기 시트는 상기 외피 표면과 상기 전단부 사이의 천이부 내에 위치되고, 상기 밀링 인서트는 중심 축선과 동심인 그리고 2 개의 기준면 사이에 연장하는 가상의 원통체에 의해 규정되는 라운드형 기본 형상을 갖고, 상기 2 개의 기준면은 상기 중심 축선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하고, 밀링 인서트는 한 쌍의 대향하는 칩 면들 및 상기 개개의 칩 면의 주변을 따라 다수의 동일한 그리고 교대로 사용할 수 있는 절삭날을 포함하고, 상기 칩 면들은 상기 기준면들 내에 위치되고, 또 상기 칩 면들 사이에서 상기 밀링 인서트의 중심 축선과 동심인 외피 표면이 연장하고, 상기 시트는 상기 본체 내에서 티핑-인 (tipping-in) 되는 그리고, 상기 밀링 인서트의 작동 중인 절삭날의 후방에 여유 (clearance) 를 제공할 목적으로, 축방향의 티핑-인 각도 뿐만 아니라 반경방향의 티핑-인 각도가 네거티브인 공간 위치 내에 위치되고, 상기 밀링 인서트는 체결 기구에 의해 상기 시트 내에 클램핑되고, 또 각각 상기 본체와 상기 밀링 인서트 내에서 공동 작용하는 고정 수단에 의해 수개의 인덱스 위치들 중의 하나의 위치 내에 회전 고정되는, 밀링 공구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중요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또한 양면형의 인덱스 가능한 밀링 인서트 자체에 관한 것이다.
밀링 가공을 포함하는 금속의 칩 제거 또는 절삭 기계가공을 위한 많은 영역에서, 공구 내에 포함되는 교환 가능한 밀링 인서트는 강해야 하고, 긴 사용 수명을 가져야 하고, 효율적인 칩 제거를 제공해야 할 뿐 아니라, 가장 중요하게는 문제의 용도에 가능한 많이 사용될 수 있는 절삭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밀링 분야에서, 다수의 절삭날 또는 절삭날 부분이 2 개의 칩 면의 주변들 중의 각 하나를 따라 형성될 수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모서리가 없는 밀링 인서트가 각 절삭날이 다소 취약한 모서리부를 갖는 다각형 밀링 인서트에 비해 상당히 강하고 또 내구성을 갖는 경우에는, 라운드형의 양면형 밀링 인서트가 적합하다.
예를 들면, US 2011/0103905 A1 및 WO 2010/017859 A1에 개시된 라운드형의 양면형 밀링 인서트는, 작동 중인 칩 제거 절삭날의 후방에 여유를 보장하기 위해, 본체 내의 부속 시트 (seat) 가 특별한 소위 티핑-인 공간 위치 내에 위치될 것을 요구하는데, 여기서 축방향의 티핑-인 각도 및 반경방향의 티핑-인 각도의 양자는, 밀링 인서트가 편면형 (single sided) 이고 또 포지티브 (positive) 절삭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가능한 포지티브 티핑-인 각도의 반대인, 네거티브 (negative) 이다. 일반적으로, 네거티브 절삭날은 무엇보다도 제거될 재료가 포지티브 절삭날의 경우와 같은 쐐기 작용에 의해 상승되기 보다는 회전 방향으로 밀링 인서트의 전방으로 가압되므로 포지티브 절삭날에 비해 더 무딘 절삭이다. 그러므로, 라운드형 기본 형상을 갖는 종래에 공지된 양면형 밀링 인서트의 단점은 무엇보다도 칩 형성이 숙달되기 곤란해질 수 있고, 또 밀링 작용은 거슬리는 고음을 발생시킨다는 것이고, 이것은 문제의 설비에서 열악한 작업 환경을 발생시키는 요인이다. 종래에 공지된 라운드형의 양면형 밀링 인서트의 추가의 단점은, 밀링 인서트의 네거티브 티핑-인 위치로 인해, 공구의 회전 축선에 수직한 평면 내에서 직선적인 공급에 추가하여 상당한 축선방향의 공급이 공구에 적용되는 즉시 밀링 인서트의 외피 표면이 생성된 표면과 충돌하므로 램핑 (ramping) 작용이 성공적으로 실행될 수 없다는 사실이다.
기술용어
본 발명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기 전에, 명확한 개념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해에 중요한 특정의 기본 개념이 명확해져야 하고, 또 이것은 공구 및 밀링 인서트의 각각의 본체의 형상에만 관련되는지 또는 작용 시의 그 기능에만 관련되는 것인지의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특징이 "공칭 (nominal)"으로서 기재된 경우, 이것은 밀링 인서트 그 자체, 즉 공구 본체에 결합되지 않은 밀링 인서트에만 관련되지만, 하나의 특징이 "기능적 (functional)"이라고 표시된 경우, 이것은 공구의 조립된 상태, 즉 본체의 시트 내에 장착된 밀링 인서트를 구비하는 공구의 조립된 상태에 관련된다. "칩 면"이라는 개념은 원주의 외피 표면이 개재하여 연장하는 밀링 인서트의 임의의 단부에 관련된다. 개개의 칩 면은 본체의 시트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측 또는 하측을 형성할 수 있다. 각 칩 면에는 각 절삭날에 가장 근접하는 다수의 부분 표면들이 포함된다. 이하, 상기 부분 표면들은 "칩 면들"이라고 부른다. 더욱이, "경사각"이라는 개념은 개개의 절삭날에 포함되는 2 개의 날 부분들 중의 각각 하나가 절삭날이 개재하여 연장하는 최고 위치의 단부 점들에 의해 접촉되는 기준면에 대해 경사지는 각도에 관련된다. 이하의 기재에서, "반전될 수 있는 (invertible)" 또는 "인덱스 가능한 (indexable)"이라는 개념도 각각 발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밀링 인서트가 "반전된다"고 함은 이전에 상방으로 노출된 칩 면이 다른 칩 면을 상방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시트의 접선 지지 표면 또는 저면을 향해 하방으로 회전되는 것을 의미한다. 밀링 인서트가 "인덱싱된다"고 함은 밀링 인서트가 탈착된 후에 그 중심 축선에서 약간 회전된 후, 다시 시트에 고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밀링 인서트의 반전 및 인덱싱의 목적은 통상적으로 이전의 작동 절삭날이 마모된 경우에 사용되지 않은 절삭날로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기서 개개의 각 절삭날은 본체에 대해 전적으로 동일한 공간 위치를 취해야 한다.
종래의 공지된 밀링 인서트의 단점을 방지하고, 또 라운드형의 기본 형상을 갖는 양면형인 문제의 밀링 공구용 밀링 인서트를 제공하는 목적이 본 발명의 기초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본체 내의 자체의 네거티브 티핑-인 공간 위치에도 불구하고, 더욱 상세하게는 절삭날이 용이한 절삭 상태가 되게 하는 한편 생성되는 소음의 수준을 최소화하고, 우수한 칩 형성을 보장하는 목적으로, 기능적으로 포지티브 절삭 공정을 가능하게 하는, 즉 절삭 공정 중에 작동 중인 절삭날이 생성된 표면으로부터 칩들을 쐐기 작용에 의해 분리시키고 또 취출시키는 절삭 공정을 가능하게 하는 라운드형의 양면형 밀링 인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의 목적은 밀링 공구를 대형 램핑 각도에서의 램핑 작용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밀링 인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하여, 본 발명은 비교적 큰 절삭 깊이로 효율적인 밀링을 가능하게 하는 절삭날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밀링 인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간단하고도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본체의 시트 내의 대응하는 고정 수단과 협동작용하여 밀링 인서트의 회전하는 경향에 효과적으로 대항하는 고정 수단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는 밀링 인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상기 주요 목적은 밀링 인서트의 개개의 절삭날이, 밀링 인서트를 측면도에서 보았을 때, 인접하는 기준면보다 낮은 파의 골 형상으로 제공됨으로써 그리고 2 개의 날 부분들로 형성됨으로써 달성되고, 이 2 개의 날 부분은 저점을 통해 서로 천이되고, 이 날 부분들 중의 일차 날 부분은 이차 날 부분보다 더 길고 또 이차 날 부분이 저점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는 대응하는 경사 각도보다 작은 경사 각도로 저점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룬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밀링 인서트가, 그 장착된 상태에서, 반경방향의 티핑-인 각도 뿐만 아니라 축방향의 티핑-인 각도가, 우수한 여유를 제공하기 위해, 네거티브인 위치로 티핑-인됨에도 불구하고, 기능적으로 포지티브인 절삭 공정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밀링 인서트는, 밀링 인서트의 외피 표면 내에 포함되고 적어도 이차 날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여유면이 밀링 인서트의 라운드형 형상을 한정하는 가상의 원통체로부터 벗어나는 방식으로, 더 정확하게는 이차 날 부분으로부터 중립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여유면이 피가공물의 재료와 충돌하지 않고 램핑 작용이 허용된다.
문제가 없는 램핑의 가능성을 더욱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밀링 인서트는 웨이스트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고, 이 웨이스트는 밀링 인서트의 중립면 내에 위치되고, 이 웨이스트로부터 원주의 여유면들은 칩 면들의 주변을 향해 분기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효율적인 여유면이 절삭날의 이차 날 부분에 인접하여, 뿐만 아니라 일차 날 부분에도 인접하여 제공된다. 다시 말하면, 효율적인 여유가 개개의 절삭날의 전체 길이를 따라 얻어진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평면도로 보았을 때, 일차 날 부분은 절삭날의 총 원호 길이의 최소 60 % 인 원호 길이를 구비한다. 이 실시형태의 이점은 밀링 인서트가 그 용이한 절삭 특성 및 청각적으로 유리한 특성을 유지하면서 비교적 큰 절삭 깊이로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제 1 날 부분은 개개의 절삭날의 총 길이의 최대 85 % 인 원호 길이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절삭날은 밀링 인서트의 파의 골이 지나치게 깊어지지 않는 한도 내에서 큰 절삭 깊이를 위해 적합한 설계로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밀링 인서트에 전체적으로 우수한 강도를 제공하는데 기여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하나의 칩 면을 따르는 절삭날은 다른 하나의 칩 면을 따르는 절삭날에 대해 예각의 원호 각도 (arc angle) 로 회전 각도방향으로 변위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절삭날의 파의 골 형상에도 불구하고, 최적의 벌크 강도를 보장하면서 밀링 인서트가 가능한 한 균일한 두께를 달성하는 이점이 얻어진다. 밀링 인서트의 2 세트의 절삭날을 상호에 관하여 적절한 원호 각도로 상호 변위시킴으로써, 램핑의 가능성, 더 정확하게는 큰 램핑 각도의 밀링이 추가로 개선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밀링 인서트를 부속 시트 내에 회전 고정하기 위해 요구되는 수단은 밀링 인서트의 2 개의 대향하는 칩 면들 중의 각 하나의 칩 면 내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설계자는 밀링 인서트의 외피 표면을 최상의 방법으로 자유롭게, 즉 외피 표면에 이와 같은 수단을 장착하지 않고, 형성하게 된다. 추가하여, 칩 면 내에 회전 고정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밀링 인서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지형학적 형상을 갖는 고정 수단을 용이하게 제공하기 위한 절삭날의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각 칩 면 내에 형성되는 회전 고정을 위한 연결 표면은 비교적 얇은, 무단 (endless) 칩 면을 통해 모든 절삭날을 따르는 연속적인 절삭날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이 칩 면은 내측의 칩 면의 지형학적 형상에 의존하지 않고 형성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절삭날의 레이크 각도는 절삭날의 길이를 따라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 은 조립된 작동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밀링 공구를 도시하는 저부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밀링 인서트 및 본체의 시트 또는 공구 헤드로부터 분리된 밀링 인서트를 위한 체결 나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와 동일한 상태의 본체 및 밀링 인서트의 측면도이다,
도 4 는 시트로부터 여전히 이격된 밀링 인서트를 갖는 본체의 전방으로부터의 단부도이다,
도 5 는 밀링 인서트의 특성의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을 갖는 가상의 기하학적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밀링 인서트의 조감도이다,
도 7 은 동일한 밀링 인서트의 측면도이다,
도 8 은 밀링 인서트의 평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에 따른 밀링 인서트의 대략 "3시" 와 "6시" 사이의 섹터의 확대도이다,
도 10 은 개개의 절삭날의 파의 골형 (wave trough-like) 또는 대체로 오목한 형상을 도시하는 도 9 의 X-X의 부분적으로 도식적인, 파단된, 상세 측면도이다,
도 11 은 도 10 에 따른 개개의 절삭날에 포함되는 2 개의 날 부분들의 경사각을 도시하는 기하학적 도면이다,
도 12 는 하향 칩 면의 형태의 밀링 인서트의 하측을 도시하는 하부 사시도이다,
도 13 은 도 12 에 도시된 것과 정확하게 동일한 회전 각도 위치에 있는 밀링 인서트의 상측을 도시하는 밀링 인서트의 조감도이다,
도 14 는 하나의 칩 면을 따른 절삭날의 세트가 대향하는 칩 면을 따른 대응하는 절삭날의 세트에 대해 변위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밀링 인서트의 조감도이다,
도 15 는 2 개의 칩 면의 지형학적 설계에서 표시되는 것과 동일한 변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6 은 도 15 의 XVI-XVI 단면도이다,
도 17 은 밀링 인서트의 기능적인 축방향의 티핑-인 위치를 도시하는 확대 상세 측면도이다,
도 18 은 동일한 밀링 인서트의 반경방향의 티핑-인 각도를 도시하는 하측으로부터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9 는 램핑 중에 밀링 공구를 도시하는 부분적으로 도식적인 측면도이다,
도 20 은 장착된 상태의 밀링 인서트의 위치를 도시하는 확대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 에는 라운드형의 기본 형상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양면형의 인덱스 가능한 밀링 인서트를 갖는 밀링 공구가 도시되어 있다. 이 공구는 소위 밀링 커터 헤드 형태의 본체 (1) 뿐만 아니라 밀링 인서트 (2) 를 포함한다. 이 공구에는 나사 형태의 체결 기구 (3) 가 또한 포함되고, 이 체결 기구는 본체 (1) 의 시트 (4) 에 밀링 인서트를 클램핑하는 목적을 갖는다. 실제로, 이 본체 (1) 는 강으로, 그리고 밀링 인서트 (2) 는 더 경질의 재료, 특히 초경합금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나사 (3) 는 강으로, 적절하게는 어느 정도의 고유 탄성을 갖는 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 본체 (1) 는 전단부 (5) 및 후단부 (6) 를 포함하고 (도 3 참조), 이 전단부 (5) 및 후단부 (6) 사이에, 본체가 회전할 수 있는, 더 정확하게는 화살표 (R) 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중심 축선 (C1) 이 연장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이 중심 축선 (C1) 은 공구의 회전 축선이다. 회전 대칭의 기본 형상을 갖는 부분 원추형 외피 표면 (7) 이 중심 축선 (C1) 과 동심이다. 본체의 전단부 (5) 는 링 형상의 표면 (8) 을 포함하고 (도 1 참조), 이 링 형상의 표면 (8) 은 중심 축선 (C1) 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하고, 또 링 형상의 표면 (8) 의 내측에는 컵 형상의 카운터싱크 (9) 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의 외피 표면 (7) 과 전단부 (5) 사이의 천이부에는, 내부에 시트 (4) 가 카운터싱크로 형성되어 있는 (회전 방향의) 후방 제한 벽 (11) 을 갖는 칩 포켓 (10)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시트 (4) 는 저면 (12) (이것의 특수한 설계는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아치형 측 지지면 (13) 으로 형성된다. 이 저면 (12) 은 작동 중에 밀링 인서트 (2) 상에 작용하는 접선방향 절삭력을 전달하는 한편, 측 지지 표면은 반경방향 및 축방향 힘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나사 (3) (이 나사는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스프링 편향된 (spring biased)" 것으로 표시된다) 가 체결된 경우, 이 나사는, 자체의 고유 탄성을 사용하여, 시트의 저면 (12) 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시트의 측 지지 표면 (13) 에 대해서 밀링 인서트를 가압한다.
시트의 저면 (12) 에는, 나사가 밀링 인서트의 중앙 관통 구멍 (17) 을 통해 삽입된 경우에, 나사 (3) 의 수나사산 (16) 이 체결될 수 있는 암나사산 (15) 을 갖는 중앙 구멍 (14) 이 개구되어 있다. 중앙 관통 구멍 (17) 뿐만 아니라 밀링 인서트 (2) 의 중심 축선은 전체적으로 C2로 표시되고, 한편 구멍 (14) 의 대응하는 중심 축선은 C3로 표시된다. 나사 (3) 의 단독의 중심 축선은 C4로 표시된다.
이 밀링 인서트는 양면형이므로, 이 밀링 인서트가 장착되는 시트는, 앞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이 밀링 인서트의 작동 중인 칩 제거 절삭날의 후방에 필요한 여유를 제공하기 위해 본체 (1) 내에서 특별한 티핑-인 또는 공간 위치, 즉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네거티브 (negative)"로 명명되는 티핑-인 위치를 취한다. 이 위치는 밀링 인서트의 특성이 더욱 명확해진 때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지만, 이미 도 3 및 도 4 에서 이 위치는 나사 구멍 (14) 의 중심 축선 (C3) 으로 나타나 있다. 따라서, 도 3 에서, 중심 축선 (C3) (또한 각각 C2 및 C4) 이, 본체의 중심 축선 (C1) 이 위치되어 있는 수직면에 대해 둔각 (ε) 으로 연장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ε는 95°이다. 일반적으로, 시트의 저면 (12) 은 C3에 수직하게 연장한다. 이것은 저면 (12) 이 C1과 일치하는 수직면에 대해 90°- 95°= -5°의 축방향의 티핑-인 각도로 경사지는 것을 의미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저면의 반경방향의 티핑-인 각도도 네거티브이다. 이것은 도 4 에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네거티브인 반경방향의 티핑-인 각도는 ζ로 표시되고, 절대값으로 8°이다.
이하에서, 도 6 내지 도 1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밀링 인서트의 설계가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먼저 도 5 가 참조되고, 도 5 는 밀링 인서트 (2) 에 특징을 부여하는 특징의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을 갖는 가상의 기하학적 도면을 도시한다. 도 5 에서, RP는 2 개의 동일한 기준면을 표시하고, 이 기준면들 사이에 중심 축선 (C2) (= 밀링 인서트 (2) 의 중심 축선) 과 동심인 원통체 (CY) 가 연장해 있다. 이 2 개의 기준면 (RP) 은 중심 축선 (C2) 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하고, 이것은 이 기준면들이 상호 평행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기준면 (RP) 들은 또한 중립면 (NP) 에 대해 평행하고, 이 중립면 (NP) 으로부터 등거리로 이격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이 중립면 (NP) 은 기준면 (RP) 들의 중간에 위치된다. 이 원통체 (CY) 는 중심 축선 (C2) 에 평행한 직선적 모선 (G) 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가정되는 회전면으로 이루어진다. 도 5 의 상측에 도시된 기준면 (RP) 은 도면에 공간감을 제공하도록 사선으로 표시되어 있다는 것이 또한 지적되어야 한다. 2 개의 기준면 (RP) 의 주변은 원통체 (CY) 에 접촉하는 경계선을 형성하는 원이다.
도 6 및 도 7 에서, 밀링 인서트에 포함되는 2 개의 대향하는 그리고 축방향으로 분리된 단부들은 도면부호 18로 표시되어 있고, 이 단부들은 이하에서 "칩 면"으로 표시되고, 이 칩 면들 사이에 원주의 외피 표면 (19) 이 연장된다. 각 칩 면 (18) 의 지형학적 형상은 동일하고, 또 4 개의 동일한 절삭날 (20) 이 개개의 칩 면의 주변을 따라 형성되는 특성을 갖는다. 각 절삭날은 그 전체가 2 개의 단부점 (21) 들 사이에 연장하고, 또 2 개의 부분 (22, 23) 을 포함하고, 이 부분 (22, 23) 들은 도면부호 24로 표시되는 점을 통해 서로 천이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밀링 인서트의 특징은 개개의 절삭날 (20) 이 개개의 기준면 (RP) 보다 낮은 파의 골 또는 오목부의 형상을 갖고, 날 부분 (22) 은 날 부분 (23) 보다 길고, 또 날 부분 (23) 이 점 (24) 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경사 각도보다 작은 경사 각도로 점 (24) 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것이다. 이하, 이 날 부분 (22) 은 "일차 날 부분"으로 표시되고, 날 부분 (23) 은 "이차 날 부분"으로 표시되고, 또 점 (24) 은 기준면 (RP) 에 대해 절삭날의 최하측에 위치하는 점이므로 "저점"으로 표시된다. 상기 단부점 (21) (도 7 및 도 5 참조) 은 개개의 기준면 (RP) 에 접촉할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 원통체 (CY) 에도 접촉한다.
도 8 내지 도 11 을 참조하면, 예시된 밀링 인서트가 각 칩 면을 따라 4 개의 절삭날 (20) 에 의해 형성된다. 이것은 개개의 절삭날이 90°인 원호 각도 (δ) (도 8 참조) 에 대응하는 총 길이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일차 날 부분 (22) 은 β로 표시되는 원호 각도를 포함하고, 한편 이차 날 부분 (23) 의 대응하는 원호 각도는 γ로 표시된다.
적어도 중간 정도의 깊이의 램프 밀링을 허용하기 위해, 적어도 이차 날 부분 (23) 에 인접하는 밀링 인서트의 외피 표면 (19) 은, 가상의 원통체 (CY) 로부터 벗어나는, 더 정확하게는 상기 날 부분 (23) 으로부터 중립면 (NP) 을 향하는 방향으로 벗어나는 여유면에 의해 형성된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여유면은 웨이스트 (25) 를 구비하는 밀링 인서트를 형성함으로써 실현되고, 이 웨이스트 (25) 는 중립면 (NP) 에 위치되고, 이 웨이스트로부터 원주의 여유면 (26) 들이 칩 면들의 주변을 향해 분기된다. 상기 웨이스트를 형성함으로써, 2 개의 여유면 (26) 들은 밀링 인서트를 따라 무단으로 연장하고, 또 일차 날 부분 (22) 뿐만 아니라 이차 날 부분 (23) 을 따라 연속적인 여유면을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공칭 여유 각도 (σ) (도 7 참조) 는 7°이다. 그러나, 이 각도는, 예를 들면, 3° ~ 12°의 범위 내에서 변화할 수 있다.
단지 도 8 에서, 4 개의 절삭날 (20) 들은 이 절삭날들을 구별하기 위해 접미사 a, b, c, d 가 추가되었다. 유사한 방식으로, 단부점 (21) 에 동일한 접미사가 부여되었다. 따라서, 절삭날 (20a) 은 제 1 단부점 (21a) 과 제 2 단부점 (21b) 사이에 연장하고, 단부점 (21b) 은 절삭날 (20b) 의 제 1 단부점을 형성한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칩 면 (18) 을 따르는 절삭날은, 더 정확하게는 밀링 인서트에 최적의 벌크 강도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램프 밀링을 위한 조건을 더욱 향상시킨다는 목적으로, 다른 칩 면을 따르는 절삭날에 관하여 예각의 원호 각도로 회전 각도방향으로 변위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절삭날을 변위시킴으로써, 대향하는 절삭날의 2 개의 저면이 동일한 축방향 범위의 선을 따라 배향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것에 의해 이 영역에서 밀링 인서트를 취약화하는 것이 방지된다. 회전 각도방향 변위에 의해, 따라서 밀링 인서트의 두께가 가능한 한 균일하게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도 9 내지 도 11 에서, 개개의 절삭날 (20) 의 파의 골 형상을 한정하기 위해, 2 개의 직선 기준선 (RL1 및 RL2) 이 도시되어 있고, 그 중 먼저 언급된 기준선은 단부점 (21a) 과 저점 (24) 사이에 연장하고, 한편 나중의 기준선은 저점 (24) 과 다른 단부점 (21b) 사이에 연장한다. 기준면 (RP) 에서, 기준선 (RL1) 은 기준면 (RP) 에 대해 각도 η을 형성하고, 기준선 (RL2) 은 각도 θ로 경사를 이룬다. 이들 각도 η 및 θ는 각각 파의 골의 깊이 (= 기준면 (RP) 과 저점 (24) 사이의 축방향의 거리) 뿐만 아니라 2 개의 날 부분의 길이에 의존한다. 깊이가 증가하면, 각도 η 및 θ 가 증가한다. 날 부분들의 길이가 감소되면,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이 실시예에서, 원호 각도 γ가 23°, 그리고 β가 67°이고, 동시에 밀링 인서트가 12 mm 의 절대 IC 측정치를 갖는 경우, η은 8°이고 θ는 22°이다.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일차 날 부분 (22) 은 (측면도에서 보았을 때) 점 (21) 과 점 (24) 사이에서 약간 볼록한 원호 형상을 갖고, 한편 이차 날 부분 (23) 은 오목/볼록 디자인을 갖는다. 그러나, 날 부분들이 기준면 (RP) 에 관하여 카운터싱크된 명백한 파의 골 또는 오목부를 함께 형성하는 한, 개개의 날 부분들의 날의 선 (line) 형상은 부수적이다.
완전을 기하기 위해, 밀링 인서트가 평면도 (예를 들면, 도 8 참조) 에서 평가되는 경우, 날 부분 (22) 뿐만 아니라 날 부분 (23) 은 볼록한 원호 형상을 갖는다는 것이 언급되어야 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일차 날 부분 (22) 의 원호 길이 (원호 각도 β) 는 절삭날의 총 원호 길이의 약 75 % 이다. 이 값은 더 큰 값 및 더 작은 값으로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일차 날 부분 (22) 은 절삭날의 총 원호 길이의 최소 60 % 에 달하는 원호 길이를 가져야 한다. 다른 한편, 일차 날 부분의 원호 길이는 상기 총 원호 길이의 85 % 를 초과하면 안 된다. 파의 골의 깊이 (DE) (도 11 참조), 즉 저점 (24) 과 기준면 (RP) 사이의 축방향 거리는 2 개의 기준면 (RP) 들 사이에서 측정된 밀링 인서트의 총 두께의 최소 10 % 내지 최대 25 % 이어야 한다.
2 개의 칩 면 (18) 들 중의 각 하나에, 장착된 상태의 밀링 인서트를 회전 고정시키는 목적을 갖는 하나의 세트의 암형 및 수형의 로크 (lock)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유리한 방식의 제작 기법에서, 상기 로크 부재는 절삭날 (20) 의 파 형상을 이용하여 제공되었다. 도면에서, 선 (28) 은 수형 부재를 형성하는 크레스트 (crests) 를 표시하고, 선 (29) 은 암형 부재를 형성하는 슈트 (chutes) 또는 골을 표시한다. 상기 크레스트 선 (28) 및 슈트 선 (29) 의 각각의 양측에는 경사진 플랭크 (flank) 표면 (30, 31) 이 제공되고, 이 경사진 플랭크 표면 (30, 31) 은 크레스트 (28) 의 하향 경사면 및 슈트 (29) 의 상향 경사면을 형성하고, 또 시트 (4) 의 저면 (12) 의 협동 작용하는 암형 부재 (28a) 및 수형 부재 (29a) 내에 포함되는 대응하는 지지면에 대한 접촉면의 역할을 한다 (도 2 참조). 따라서, 수형 로크 부재 (= 융기부 (28)) 와 암형 로크 부재 (=슈트 (29)) 의 개수는 이 경우에 4 개인 절삭날의 개수와 각각 일치한다. 일반적으로, 크레스트 (28) 는 절삭날의 단부점 (21) 에 인접하여 런아웃 (run out) 되고, 한편 슈트 (29) 는 저점 (24) 을 향해 런아웃된다. 그러나, 융기부 및 슈트는 각각, 상기 점들 (21, 24) 을 통해 반경방향의 평면에 관하여 반경방향으로 향하지 않고 경사지게 연장한다. 따라서, 시트 (4) 내의 표면 (12) 과 밀링 인서트 (2) 의 표면 (18) 은 협동 작용하는 연결면을 형성하고, 이 연결면은, 나사 (3) 가 체결되었을 때, 밀링 인서트의 회전에 대해 효과적으로 반대 작용한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 밀링 인서트에 작용하는 절삭력은 중심 축선 (C2) 상에서 시계 방향으로 밀링 인서트를 회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것이 지적되어야 한다. 이것은 회전력이 플랭크 표면 (31, 31a) 보다 큰 각도로 경사져 있는 각각의 플랭크 표면 (30, 30a) 에 의해 주로 전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1 의 각도 η과 θ를 비교하라.
도 8 을 참조하면, 회전 고정 로크 부재 (28, 29) 의 세트는 링 형상의 칩 면 (32) 을 통해 절삭날의 주변의 절삭날 선으로부터 분리되고, 이 칩 면 (32) 은 그 전체가 문제의 칩 면 (18) 의 부분 표면들을 형성한다는 것이 더욱 지적되어야 한다. 더 정확하게는, 각 링 형상의 칩 면 (32) 은 얇은 소위 보강 베벨 (33) 의 내측에 위치되고, 또 무단 원 (endless circle) 형상을 갖는 아치형 경계선 (34) 을 통해 내측 세트의 로크 부재로부터 한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칩 면 (32) 은 절삭날의 전체 길이를 따라 균일한 레이크 각도를 갖고, 한편 접촉면 (30, 31) 은 기준면 (RP) 에 관하여 칩 면과 다른 각도로 경사를 이룬다. 4 개의 칩 면 (32) 은 소위 반경 천이부 (35) 를 통해 서로 천이된다는 것이 또한 언급되어야 한다.
밀링 인서트 그 자체를 더 설명하기 전에, 램프 밀링 중인 문제의 공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 19 를 참조한다. 이 밀링 인서트의 2 개의 칩 면 (18) 을 구별하기 위해, 이 칩 면 (18) 은 접미사 a 및 b 가 추가되었다. 공구의 회전 방향에서 보았을 때, 칩 면 (18a) 은 전측을 형성하고, 칩 면 (18b) 은 후측을 형성한다. 도 19 에서, 전적으로 동일한 밀링 인서트가 도시되어 있고, 좌측의 것은 우측 위치로부터 1/2 회전 만큼 회전된 자세를 취하고 있다. 종래의 정면 밀링 가공에서, 공구가 회전 축선 (C1) 에 대해 수직한 평면 내에서 직선적으로, 더 상세하게는 화살표 (F1) 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밀링 인서트 (2) 는 그 작동 중인 절삭날 (20a) (도 8 참조) 을 따라서만 칩을 제거할 것이다. 그러나, 절삭날 (20a) 의 제 1 단부점 (21a) 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이 밀링 인서트는 생성된 표면으로부터 벗어난다.
램프 밀링이 실행되는 경우, 또한 축방향의 이송 동작 (F2) 이 공구에 가해지고, 그 결과 공구는 또한 사면 또는 경사진 표면 (S) 을 생성하면서 재료 내에서 하향 이동한다. 이와 관련하여, 피가공물의 재료는, 램핑 각도에 따라, 단부점 (21a) 에 인접하는 내측 절삭날 (20d) 의 이차 날 부분 (23) 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상승한다. 종래의 원통상 밀링 인서트의 경우와 같이, 최종 언급된 날 부분의 후방에 여유가 전혀 존재하지 않으면, 밀링 인서트의 외피 표면은 재료와 충돌함으로써 자유로운 절삭 기계가공을 불가능하게 할 것이다. 또한, 대향하는 칩 면 (18b) 에 인접하는 외피 표면을 따라 동일한 우려가 존재한다. 물론, 이와 같은 충돌의 결과는 램핑 각도가 커짐에 따라 악화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칩 면을 따르는 절삭날은, 다른 칩 면을 따르는 절삭날에 관하여, 더 정확하게는 램프 밀링 중에 밀링 인서트 (도 19 에서 18b) 의 후면과 피가공물의 재료의 충돌의 위험성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하는 특별한 방식으로, 회전 각도방향으로 변위되거나 "위상 변위"될 수 있다. 이 위상 변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구체적인 공구의 예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1) 공구의 절삭 직경은 51 mm 이다.
2) 밀링 인서트의 IC 측정치 (원통체 (CY) 의 직경) 는 12 mm 이다.
3) 밀링 인서트의 두께는 5.4 mm 이다.
절삭날들 사이의 이 위상 변위는 파라미터들 (일부가 공구 의존성임) 을 포함하는 식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도 8 에서, λ는, 한편으로, 하나의 칩 면을 따르는 저점 (24) 과 대향하는 칩 면을 따르는 저점 (24) 사이의 위상 변위 각도를 표시한다. 공구의 램핑 리세스의 위치결정을 위한 최적의 각도 (α) 가 존재한다. 이 각도는 공구의 개개의 설계, 무엇보다도 공구의 절삭 직경에 의존하고, 한편으로 중립면 (NP) 에 대해 수직한 대칭면 (도 8 에서, 점 (21a) 과 점 (21c) 사이에 연장하는 직선에 의해 표시됨) 과, 다른 한편으로 도 8 에 무작위로 삽입되는, 그리고 개개의 공구의 램핑 요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반경방향의 선 사이에서 측정된다. 실제로 전형적인 α의 값은 30° ~ 70°의 범위 내이다.
칩 면 당 절삭날의 총 개수는 n으로 표시되고, 여기서 δ = 360/n이고, δ는 원호 각도이다. α가 주어지면, 다음의 식에 따라 λ를 계산할 수 있다.
λ = 360/n (1 - k) - α
여기서 k = β/λ이다. 이 구체적인 공구의 실시예에서, α = 52.5°이므로
λ = 360/n (1 - k) - α = 360/4 (1 - 0.75) - α = - 30°가 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n은 3 ~ 6의 범위 내에서 변화될 수 있고, 즉, 각 칩 면은 항상 3 개 내지 6 개의 절삭날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α가 30° ~ 70°의 범위일 때) 인자 k는 0.6 ~ 0.85, 바람직하게는 0.7 ~ 0.8의 범위에 속해야 한다.
각도 λ의 전술한 위상 변위는 또한 도 12 내지 도 16 에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도 16 의 부분은 2 개의 직경방향으로 대향되는 단부점 (21) 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면부호 18a로 표시되는 (도 19 참조) 그리고 도 12 내지 도 16 에서 상방을 향하는 칩 면 상에서, 단면 XIII-III의 단부점 (21) 들은 상부의 기준면 (RPa) 에 접촉한다. 그러나, 전적으로 동일한 단면에서, 저점 (24) 들은, 위상 변위의 결과로서, 하부의 기준면 (RPb) 으로부터 이격된다.
더 명확하게는, 이 위상 변위는 도 14 와 조합하여 도 12 및 도 13 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고, 도 14 에서 전술한 각도 λ를 형성하는 2 개의 반경방향 평면이 2 개의 대향하는 칩 면들을 따라 저점 (24) 내에서 밀링 인서트의 주변을 횡단한다.
도 15 에서, 상방을 향하는 칩 면의 융기부 (28) 및 슈트 (29) 는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한편 하방을 향하는 칩 면의 대응하는 융기부 및 슈트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더욱이, 도 17 및 도 18 을 참조하면, 전자는 본체 (1) 내의 밀링 인서트 (2) 의 축방향으로 네거티브 티핑-인 각도 (τ) 를 보여주는 한편, 후자는 반경방향으로 네거티브 티핑-인 각도 (υ) 를 보여준다. 도면에서, 전술한 2 개의 기준면 (RP) 들 중의 하나는 망상 (screened) 표면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17 에서, 축방향으로 네거티브인 티핑-인 각도 (τ) 로 인해, 밀링 인서트 (2) 가 작동 중인 절삭날 (20a) 의 후방의 영역에서 생성된 평면 (S) 으로부터 벗어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반경방향으로 네거티브인 티핑-인 각도 (υ) 로 인해, 밀링 인서트 (2) 가 평면 (S) 의 주변을 따라 생성된 아치형 표면 (V) 으로부터 벗어난다.
본 발명에 따른 밀링 인서트의 기본적인 이점은, 카운터싱크된 파 형상으로 인해, 작동 중인 절삭날 (20a) 이 칩을 절삭날의 전방으로 가압하는 대신, 칩을 분리시켜 취출시키는 포지티브 절삭 공정을 보장하는 기능적으로 포지티브인 절삭 각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선택되는 절삭 깊이가 일차 날 부분 (22) 의 원호 길이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최적의 절삭 조건이 얻어지지만, 또한 이 공구를 이차 날 부분 (23) 이 사용되는 절삭 깊이를 위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밀링 인서트의 용이한 절삭을 실행하기 위한 중요한 인자는 일차 날 부분의 경사 각도 (η) 이다. 이 각도는 밀링 인서트 (2) 의 축방향으로 네거티브인 티핑-인 각도 (τ) 보다 최소 5°더 커야 한다. 그러므로, τ가 5°인 경우, η은 최소 10°이어야 한다. 실제로, η은 최소 15°내지 최대 30°인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도 20 을 참조하면, 여기서 RL3는 본체 (1) 의 중심선 (C1) 에 평행할 뿐만 아니라 본체의 전단부 표면 (8) 이 연장하는 평면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하는 기준선을 표시하고, 문제의 기준선은 중심 축선 (C3) 뿐만 아니라 작동 중인 절삭날 (20a) 의 제 1 단부점 (21a) 과 교차한다. 도 20 에서, 본체의 전단부 표면 (8) 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더욱 이격되는 밀링 인서트의 주변을 따르는 점인 상기 단부점 (21a) 은 "6시"의 위치에 위치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점 (21a) 으로부터 시계방향 뿐만 아니라 반시계방향인, 밀링 인서트의 주변을 따르는 임의의 점들은 단부면 (8) 이 위치되는 평면에 더 근접하여 위치된다. 인덱스 위치에 무관하게 밀링 인서트가 항상 상기 위치를 점유하기 위해, 시트 (점선으로 도시됨) 의 저면 (12) 내에 포함되는 로크 부재 (28a, 29a) 는 기준선 (RL3) 과 -30°의 각도를 형성한다.
도 20 에서, 로크 부재 (28a, 29a) 를 포함하는 저면 (12) 이 밀링 인서트 (2) 의 표면 연장부 (또는 직경) 보다 작은 표면 연장부 (또는 직경) 를 갖는 것이 또한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밀링 인서트가 그 주변을 따라 저면으로부터 지출 (corbel out) 되고, 칩 면의 하방으로 대면하는 주변을 따르는 절삭날이 로크 부재를 둘러싸는 (평면) 표면으로부터 여유를 두고 축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가능한 변형례
본 발명은 전술된,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문제의 밀링 공구는 하나 뿐만 아니라 임의의 개수의 밀링 인서트를 구비할 수 있다. 밀링 인서트를 웨이스트로부터 분기되는 원주의 또는 무단 여유면을 갖는 이중 포지티브로 형성하는 대신, 이차 날 부분에만 인접하는 필요한 여유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회전 고정 로크 수단을 칩 면에 위치시키는 대신, 이 회전 고정 로크 수단은, 예를 들면, 가능한 웨이스트에 인접하는 외피 표면 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정확하게 나사 대신, 또한 예를 들면 클램프와 같은 다른 체결 기구도 가능하다. 이 밀링 인서트는 각 개개의 인덱스 위치 내에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회전 고정될 수 있으므로, 더 정확하게는 생성된 표면을 와이핑하고, 또 이 생성된 표면에 우수한 평활도를 부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칩 제거 절삭날에 인접하는 특정의 이차 날 또는 와이퍼 날을 더 부가할 수 있다. 또한, 밀링 인서트는 시트의 저면과 칩 면 내의 로크 수단 사이의 접촉에 의해서만, 즉 실시예에 도시된 측 지지 표면의 도움을 받지 않고 부속 시트 내에 고정될 수 있다는 것이 지적되어야 한다. 또한, 절삭날의 레이크 각도는 절삭날의 전체의 길이 연장부를 따라 반드시 동일하게 클 필요는 없다는 것이 지적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절삭날의 레이크 각도는, 예를 들면 제 1 날 부분의 단부점에서의 최대값으로부터 제 2 날 부분까지 변화될 수 있다. 추가하여, 밀링 인서트의 시트는 본체 내의 원하는 위치 내에 고정되는, 예를 들면, 강보다 더 경질인 재료의 특별한 심 플레이트 (shim plate) 내에 형성될 수 있다.

Claims (17)

  1. 한편으로 본체 (1) 를,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양면형의 인덱스 가능한 밀링 인서트 (2) 를 포함하는 밀링 공구로서, 상기 본체 (1) 는 전단부 (5) 및 후단부 (6) 뿐만 아니라 시트 (4) 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부 (5) 와 후단부 (6) 의 사이에 상기 본체가 회전할 수 있는 중심 축선 (C1) 이 연장하고, 또 상기 중심 축선 (C1) 과 외피 표면 (7) 이 동심이고, 상기 시트 (4) 는 상기 외피 표면 (7) 과 상기 전단부 (5) 사이의 천이부 내에 위치되고, 상기 밀링 인서트 (2) 는 중심 축선 (C2) 과 동심인 그리고 2 개의 기준면 (RP) 사이에 연장하는 가상의 원통체 (CY) 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라운드형 기본 형상을 갖고, 상기 2 개의 기준면 (RP) 은 상기 중심 축선 (C2) 에 대해 수직으로 각각 연장하고, 상기 밀링 인서트는 한 쌍의 대향하는 칩 면 (18) 들 및 상기 칩 면의 주변을 따라 다수의 동일한, 그리고 교대로 사용할 수 있는 절삭날 (20) 을 포함하고, 상기 칩 면 (18) 들은 상기 기준면 (RP) 들 내에 위치되고, 또 상기 칩 면 (18) 들 사이에서 상기 밀링 인서트의 중심 축선 (C2) 과 동심인 외피 표면 (19) 이 연장하고, 상기 시트 (4) 는 상기 본체 (1) 내에서 티핑-인 (tipping-in) 되는 그리고, 상기 밀링 인서트의 작동 중인 절삭날 (20) 의 후방에 여유 (clearance) 를 제공할 목적으로, 축방향의 티핑-인 각도 (τ) 뿐만 아니라 반경방향의 티핑-인 각도 (υ) 가 네거티브인 공간 위치 내에 위치되고, 상기 밀링 인서트 (2) 는 체결 기구 (3) 에 의해 상기 시트 (4) 내에 클램핑되고, 또 각각 상기 본체 (1) 와 상기 밀링 인서트 내에서 공동 작용하는 로크 수단 (28, 29) 에 의해 수개의 인덱스 위치들 중의 하나의 위치 내에 회전 고정되고,
    상기 밀링 인서트를 측면도에서 보았을 때, 상기 밀링 인서트 (2) 의 개개의 절삭날 (20) 은 하나의 기준면 (RP) 으로부터 함몰되는 파의 골 (wave trough) 형상을 갖고, 또 저점 (24) 을 통해 서로 변형되는 2 개의 날 부분 (22, 23) 들을 포함하고, 상기 날 부분 (22, 23) 들 중 일차 날 부분 (22) 은 이차 날 부분 (23) 보다 더 길고 경사 각도 (η) 로 상기 저점 (24) 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고, 상기 경사 각도 (η) 는 상기 이차 날 부분 (23) 이 상기 저점 (24) 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경사 각도 (θ) 보다 더 작고, 상기 일차 날 부분 (22) 의 경사 각도 (η) 가 상기 밀링 인서트의 축방향으로 네거티브인 티핑-인 각도 (τ) 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 공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링 인서트 (2) 의 외피 표면 (19) 내에 포함되고 상기 개개의 절삭날 (20) 의 적어도 이차 날 부분 (23) 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여유면 (26) 이, 상기 날 부분 (23) 으로부터 중립면 (NP) 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상의 원통체 (CY) 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 공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링 인서트 (2) 는 상기 중립면 (NP) 내에 위치되는 웨이스트 (25) 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스트 (25) 로부터 원주의 여유면 (26) 들이 상기 칩 면 (18) 들의 주변을 향해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 공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링 인서트 (2) 의 하나의 칩 면 (18) 을 따르는 절삭날 (20) 은 다른 하나의 칩 면을 따르는 절삭날에 대해 예각의 원호 각도 (λ) 로 회전 각도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 공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개의 절삭날 (20) 의 일차 날 부분 (22) 은 상기 절삭날의 총 원호 길이 (total arc length) 의 최소 60 % 인 원호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 공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개의 절삭날 (20) 의 일차 날 부분 (22) 은 상기 절삭날의 총 원호 길이의 최대 85 % 인 원호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 공구.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 고정용 상기 로크 수단은, 한편으로, 상기 본체 (1) 의 시트 (4) 의 저면 (12) 에 포함되는 암형 및 수형 로크 부재 (28a, 29a) 의 세트이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밀링 인서트 (2) 의 2 개의 칩 면들 내의 수형 및 암형 로크 부재 (28, 29) 의 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 공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밀링 인서트의 개개의 칩 면 (18) 내의 대응하는 로크 부재 (각각 28, 29) 의 개수는 상기 밀링 인서트의 개개의 칩 면을 따르는 절삭날 (20) 의 개수와 동일하고, 상기 로크 부재의 형상은, 수형 부재로서 작용하는 크레스트 (28) 가 상기 절삭날의 단부점 (21) 을 향해 런아웃 (run out) 되는 한편, 암형 부재로서 작 용하는 슈트 (29) 가 상기 절삭날의 저점 (24) 을 향해 런아웃되는 방식으로, 상기 절삭날의 형상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 공구.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1) 및 밀링 인서트 내의 로크 수단 (28, 29) 은 각각, 상기 밀링 인서트 (2) 의 작동 중인 절삭날 (20a) 이 상기 본체의 전단부 (5) 로부터 전방의 방향으로 최대로 축방향으로 이격되는 단부점 (21a) 을 갖도록 위치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 공구.
  10. 가상의 원통체 (CY) 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라운드형 기본 형상을 갖는 양면형의 인덱스 가능한 밀링 인서트로서,
    상기 가상의 원통체 (CY) 는 중심 축선 (C2) 과 동심이고 또 2 개의 기준면 (RP) 들 사이에서 연장하고,
    상기 2 개의 기준면 (RP) 들은 상기 중심 축선 (C2) 에 대해 각각 수직하게 연장하고, 또 중립면 (NP) 으로부터 등거리로 이격되고,
    상기 밀링 인서트는, 상기 기준면 (RP) 내에 위치되는 한 쌍의 대향하는 칩 면 (18) 들; 상기 칩 면 (18) 들의 주변을 따라 동일한 그리고 교대로 사용할 수 있는 다수의 절삭날 (20); 및 수개의 사전에 결정된 인덱스 위치들 중의 하나에서 상기 밀링 인서트를 회전 고정하기 위한 로크 수단 (28, 29) 을 포함하고,
    상기 칩 면 (18) 들 사이에서 상기 중심 축선과 동심인 외피 표면 (19) 이 연장하고,
    상기 밀링 인서트를 측면도에서 보았을 때, 개개의 상기 절삭날 (20) 은 하나의 기준면 (RP) 으로부터 함몰되는 파의 골 형상을 갖고, 또 저점 (24) 을 통해 서로 변형되는 2 개의 날 부분 (22, 23) 들을 포함하고,
    상기 날 부분 (22, 23) 들 중 일차 날 부분 (22) 은 이차 날 부분 (23) 보다 더 길고 또 상기 이차 날 부분 (23) 이 상기 저점 (24) 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경사 각도 (θ) 보다 더 작은 경사 각도 (η) 로 상기 저점 (24) 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 인서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표면 (19) 에 포함되고 적어도 상기 이차 날 부분 (23) 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여유면 (26) 이, 상기 날 부분 (23) 으로부터 상기 중립면 (NP) 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상의 원통체 (CY) 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 인서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링 인서트는 상기 중립면 (NP) 내에 위치되는 웨이스트 (25) 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스트 (25) 로부터 원주의 여유면 (26) 들이 상기 칩 면 (18) 들의 주변을 향해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 인서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하나의 칩 면 (18) 을 따르는 절삭날 (20) 들은 다른 하나의 칩 면을 따르는 절삭날들에 대해 예각의 원호 각도 (λ) 로 회전 각도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 인서트.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개의 절삭날 (20) 의 일차 날 부분 (22) 은 상기 절삭날의 총 원호 길이의 최소 60 % 인 원호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 인서트.
  15.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개의 절삭날 (20) 의 일차 날 부분 (22) 은 상기 절삭날의 총 원호 길이의 최대 85 % 인 원호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 인서트.
  16.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 고정 수단은 상기 각 칩 면 (18) 내에 위치되는 수형 및 암형 로크 부재 (28, 29) 의 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 인서트.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세트의 대응하는 로크 부재 (각각 28, 29) 의 개수는 상기 각 칩 면을 따르는 절삭날 (20) 의 개수와 동일하고, 상기 로크 부재의 형상은, 수형 부재로서 작용하는 크레스트 (28) 가 상기 절삭날의 단부점 (21) 을 향해 런아웃되는 한편, 암형 부재로서 작용하는 슈트 (29) 가 상기 절삭날의 저점 (24) 을 향해 런아웃되는 방식으로, 상기 절삭날의 형상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 인서트.
KR1020130004591A 2012-01-16 2013-01-15 밀링 공구 및 밀링 인서트 KR1016549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250021A SE536343C2 (sv) 2012-01-16 2012-01-16 Fräsverktyg jämte dubbelsidigt indexerbart frässkär
SE1250021-1 2012-0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260A KR20130084260A (ko) 2013-07-24
KR101654962B1 true KR101654962B1 (ko) 2016-09-06

Family

ID=47664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591A KR101654962B1 (ko) 2012-01-16 2013-01-15 밀링 공구 및 밀링 인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33568B2 (ko)
EP (1) EP2614910B1 (ko)
JP (1) JP5992839B2 (ko)
KR (1) KR101654962B1 (ko)
CN (1) CN103203493B (ko)
SE (1) SE536343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36344C2 (sv) * 2012-01-30 2013-09-03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Fräsverktyg jämte frässkär där skäreggen har spetsig stigningsvinkel
US9573203B2 (en) * 2012-09-07 2017-02-21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Milling tool as well as a milling insert therefor
US9821384B2 (en) * 2013-04-27 2017-11-21 Kyocera Corporatio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ut product
EP2893997B1 (en) * 2014-01-08 2019-03-13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A milling tool
EP2933048B1 (en) * 2014-04-16 2017-02-01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An indexable cutting insert for milling tool
EP2946858B1 (en) * 2014-05-19 2019-07-10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Cutting tool insert and cutting tool insert holder
JP5712319B1 (ja) * 2014-06-18 2015-05-07 国立大学法人名古屋大学 刃先回転式ミーリング工具及びこれを用いた切削方法
EP3112066B1 (en) * 2015-07-03 2023-09-27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A tool, a cutting insert and a compacted powder part
US20170120351A1 (en) 2015-11-03 2017-05-04 Kennametal Inc. Double-sided cutting inserts with positive clearance face geometry
EP3338928B1 (en) * 2016-12-22 2022-03-30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Cutting insert and shoulder milling tool
EP3351329B1 (en) 2017-01-18 2023-08-02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Indexable cutting insert for a milling tool
EP3530391A1 (en) * 2018-02-26 2019-08-28 Seco Tools Ab Cutting insert and tool body for a milling tool
JP7356877B2 (ja) 2019-11-22 2023-10-05 日東工器株式会社 面取り装置
JP7356878B2 (ja) * 2019-11-22 2023-10-05 日東工器株式会社 面取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9106A (ja) * 1985-08-12 1987-02-20 Toshiba Corp 植刃式正面フライスの超硬チツプ
IL104800A (en) 1993-02-19 1998-04-05 Iscar Ltd Milling cutter
IL108115A (en) 1993-12-21 1997-02-18 Iscar Ltd Chip cutting tool
US5807031A (en) 1995-03-10 1998-09-15 Mitsubishi Materials Corp. Throw-away tip and throw-away type cutter
US6336776B1 (en) 1999-12-16 2002-01-08 Valenite Inc. Milling cutter and insert therefor
US6604893B2 (en) * 2001-07-27 2003-08-12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with wiper
KR20030061216A (ko) * 2002-01-11 2003-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동시 기록 재생장치
SE525913C2 (sv) * 2002-12-20 2005-05-24 Seco Tools Ab Skär, verktyg samt metod för montering av skär där skäret kan orienteras i önskad position
DE10312922B4 (de) 2003-03-22 2006-02-16 Walter Ag Schneidplatte und Fräswerkzeug
DE10317760B4 (de) * 2003-04-17 2005-08-25 Walter Ag Fräswerkzeug und Schneidplatte für ein solches
DE10361450A1 (de) 2003-12-23 2005-07-28 EMUGE-Werk Richard Glimpel GmbH & Co. KG Fabrik für Präzisionswerkzeuge Schneidelement und Werkzeug mit wenigstens einem Schneidelement
IL169491A (en) 2005-06-30 2009-06-15 Carol Smilovici Cutting insert
DE102006011581B4 (de) * 2006-03-10 2016-04-28 Kennametal Widia Produktions Gmbh & Co. Kg Schneideinsatz und Fräswerkzeug
DE102006023740B4 (de) 2006-05-18 2017-05-11 Kennametal Widia Produktions Gmbh & Co. Kg Schneideinsatz und Werkzeug, bestehend aus Werkzeughalter und Schneideinsatz
DE102006025293C5 (de) * 2006-05-31 2010-12-23 Kennametal Inc. Verfahren zur Bearbeitung eines Rades
KR100886455B1 (ko) 2006-12-27 2009-03-04 한국야금 주식회사 고능률 절삭 인서트
IL182100A (en) 2007-03-21 2010-11-30 Taegutec India Ltd Cutting insert for a milling cutter
IL182343A0 (en) 2007-04-01 2007-07-24 Iscar Ltd Cutting insert and tool for milling and ramping at high feed rates
JP5232852B2 (ja) * 2007-04-26 2013-07-10 テグ テック インディア ピー.リミテッド フライス削りカッタ用切削インサート
PL2271452T3 (pl) * 2008-03-18 2013-01-31 Pokolm Franz Josef Frez do obróbki wiórowej detali
DE102008037915B3 (de) 2008-08-14 2009-08-13 Kennametal Inc. Wendeschneidplatte
DE202008018646U1 (de) * 2008-08-31 2017-03-24 Iscar Ltd. Schneideinsatz
SE533269C2 (sv) * 2008-12-17 2010-08-03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Dubbelsidigt, indexerbart planfrässkär
US7976250B2 (en) 2009-02-12 2011-07-12 Tdy Industries, Inc. Double-sided cutting inserts for high feed milling
KR101081698B1 (ko) 2009-02-16 2011-11-09 한국야금 주식회사 양면형 절삭 인서트를 적용한 밀링 절삭공구
CN102317018B (zh) * 2009-03-24 2014-04-23 日立工具股份有限公司 刀片可换式旋转刀具
DE102009020373A1 (de) 2009-05-08 2010-11-11 Kennametal Inc. Fräser-Schneideinsatz
KR101103216B1 (ko) * 2009-05-19 2012-01-05 대구텍 유한회사 원형 형상을 갖는 양면형 절삭 삽입체 및 이를 사용하는 절삭 공구
US8985915B2 (en) 2009-05-28 2015-03-24 Kyocera Corporatio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achined product using the same
EP2450139B1 (en) 2009-06-29 2019-03-27 Kyocera Corporatio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cut product using the same
US8573903B2 (en) 2009-11-03 2013-11-05 Kennametal Inc. Round cutting insert with anti-rotation feature
AU331666S (en) 2009-11-03 2010-07-08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AT12527U1 (de) 2011-02-24 2012-07-15 Ceratizit Austria Gmbh Schneideinsatz zur spanabhebenden bearbeitung
US8657539B2 (en) 2011-03-28 2014-02-25 Kennametal Inc. Round cutting insert with reverse anti-rotation feature
JP5783025B2 (ja) * 2011-12-12 2015-09-24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エンドミ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260A (ko) 2013-07-24
EP2614910B1 (en) 2016-05-18
SE1250021A1 (sv) 2013-07-17
CN103203493A (zh) 2013-07-17
JP5992839B2 (ja) 2016-09-14
JP2013144356A (ja) 2013-07-25
US20140030034A1 (en) 2014-01-30
SE536343C2 (sv) 2013-09-03
EP2614910A1 (en) 2013-07-17
CN103203493B (zh) 2016-09-28
US9333568B2 (en) 201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4962B1 (ko) 밀링 공구 및 밀링 인서트
KR101036116B1 (ko) 절삭 인서트, 절삭 공구, 심 및 방법
KR102239123B1 (ko) 밀링 인서트 및 밀링 공구
KR101978078B1 (ko) 양면형 절삭 인서트 및 밀링 공구
EP2620243B1 (en) A milling tool as well as a milling insert
US20090000454A1 (en) Cutting tool with detachably connected inserts
EP2893997B1 (en) A milling tool
BG65051B1 (bg) Тангенциална индексируема режеща вложка и режещ инструмент
JP2017124464A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RU2470745C2 (ru) Режущая пластина и дисковая фреза
JP2017528330A (ja) 切削工具及び切屑除去工具用切削インサート
CN111712345B (zh) 用于铣削刀具的切削刀片和刀具本体
JP6528781B2 (ja) 切削インサート、工具ボデーおよび切削工具
JP7432611B2 (ja) フライス工具用の丸形切削インサート
JP2005028502A (ja) 面取りカッタおよび面取りカッタ用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2006281391A (ja) インサート及びインサート着脱式穴あけ工具
JP2004195563A (ja) 刃先交換式回転工具用インサート及び刃先交換式回転工具
WO2008121056A1 (e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of machining
JP5482190B2 (ja) 刃先交換式回転工具
JP3730010B2 (ja) スローアウェイ式正面フライスおよび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H02237702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