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761B1 - 인공치아용 결정화유리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치아용 결정화유리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761B1
KR101654761B1 KR1020140168618A KR20140168618A KR101654761B1 KR 101654761 B1 KR101654761 B1 KR 101654761B1 KR 1020140168618 A KR1020140168618 A KR 1020140168618A KR 20140168618 A KR20140168618 A KR 20140168618A KR 101654761 B1 KR101654761 B1 KR 101654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rimary
cooling
mixtur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4696A (ko
Inventor
방재철
박승범
이경호
조성진
유종학
최인구
유성학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68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761B1/ko
Publication of KR20160064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4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4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A61K6/842Rare earth met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우수한 물성 및 심미성을 갖는 인공치아용 결정화유리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용 결정화유리 제조 방법은 (a) MgO, Al2O3, SiO2 및 핵생성 시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을 1차 분쇄하는 단계; (c) 상기 1차 분쇄된 혼합물을 1차 용융한 후, 냉각하여 1차 유리를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1차 유리를 2차 분쇄하는 단계; (e) 상기 2차 분쇄된 1차 유리를 2차 용융한 후, 냉각하여 2차 유리를 형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2차 유리를 결정화 열처리한 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공치아용 결정화유리 제조 방법 {METHOD OF MANUFACTURING GLASS-CERAMICS FOR DENTAL APPLICATIONS}
본 발명은 인공치아용 결정화유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한 물성 및 심미성을 갖는 인공치아용 결정화유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게 되면서, 치주질환이나 치아우식증과 같은 치아에 관련된 질환 문제가 사회적인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경제소득의 증가 및 생활문화의 향상으로 인하여 개개인의 심미적 치과 재료에 대한 관심이 증대함에 따라 그 수요가 급성장하고 있다.
치과 보철분야에서 심미수복(aesthetic restoration) 개발자들은 환자의 경제적 측면과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충족시키기 위해 자연 치아에 가까운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세라믹은 화학적 불활성, 내마모성, 생체적합성에 심미성을 겸비하고 있어, 치과 보철분야의 심미수복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도재는 내부의 코핑(coping)과 이라 불리우는 하부와 크라운(Crown)이라 불리우는 상부를 포함한다.
도재의 하부로 금속을 사용하는 금속도재관(PFM; Porcelain Fused to Metal Crown)은 금속이 비치거나 부식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그 사용이 줄어들고 있으며, 완전도재관(all-ceramics) 수복 시스템들로 대체되고 있고, 이의 적용 범위도 전치부에서 구취부까지 확장되고 있다.
완전 도재관은 자연치에 가까운 색상을 구현할 수 있고, 보철물 내부에 금속이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법랑질과 상아질의 광학적 특성의 재현이 가능하며, 화학적인 안정성 및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세라믹 고유의 물성인 취성 때문에 인장응력 및 충격에 약하고, 소성 시 수축이 커서 정밀한 치수 제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완전도재관으로 사용되는 기존의 수복 재료로는 유리 침투 세라믹스, 지르코니아 등이 있다.
유리 침투 세라믹스는 다공성의 세라믹스에 용융 유리를 침투시켜 제조한 것이다. 유리 침투 세라믹스 재질의 크라운의 경우, 기계적 강도는 우수하나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과도가 낮아 심미성이 떨어지고, 제작과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지르코니아는 안정화 지르코니아 조성을 사용하여 높은 강도 및 인성을 갖기에 코핑용, 크라운용, 상부지지대 등 적용부위가 넓다. 그러나, 지르코니아 블록 생산 방법은 그 공정이 복잡하고, 고가의 장비를 활용해야 하며, 색상 구현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지르코니아가 다소 탁한 고유색을 가지고 있는 것에 기인하여 지르코니아 재질의 코핑 혹은 크라운의 경우, 심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유리 침투 세라믹스 및 지르코니아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3710호(2012.07.05. 공개, 이하 문헌 1)에서는 리튬 디실리케이트 결정을 포함하는 치아용 고강도 결정화유리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문헌 1에 의하면 리튬 디실리케이트 결정을 포함하는 결정화 유리는 리튬 디실리케이트 결정을 형성하는 성분으로 작용하는 Li2CO3 5∼30중량% 및 SiO2 60∼75중량%, 핵 형성제 역할을 하는 P2O5 0.01∼5중량%, 유리전이온도와 연화점을 증가시키고 결정화유리의 화학적 내구성을 증진하기 위한 Al2O3 0.1∼10중량%, 리튬 디실리케이트 결정의 생성온도를 낮추고 생성되는 결정의 크기를 미세화하며 화학적 내구성을 증진하기 위한 ZnO 0.01∼10중량%, 유리 형성을 위한 용융 시에 점도를 감소시켜 리튬 디실리케이트 결정의 생성온도를 낮추고 상기 결정의 크기를 작게 하기 위한 B2O3 0.1∼6.5중량%, 및 유리 형성을 위한 용융 시에 용융성을 좋게 하기 위한 알칼리 산화물 0.1∼7중량%를 포함하는 출발원료를 혼합한 후, 이를 용융시켜 성형몰드에 투입한 상태에서 급냉하여 1차 유리를 형성하고, 이를 결정화 열처리하는 과정으로 제조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5776호(2014.06.19. 공개, 이하 문헌 2)에서는 1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리튬 실리케이트 유리 세라믹 및 리튬 실리케이트 유리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문헌 2에서는 출발 유리를 480~560℃의 온도에서 열 처리에 적용하여 핵을 갖는 유리를 형성하고, 핵을 갖는 유리를 700~750℃의 온도에서 열 처리에 적용하여 주 결정 상으로서 리튬 디실리케이트를 갖는 유리 세라믹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문헌 1 및 문헌 2에서는 Li2O와 SiO2를 출발물질로 이용하여 리튬 실리케이트계 결정화 유리를 제조한다. 이러한 리튬 실리케이트계 결정화 유리의 경우, 심미성이 우수하며, 자연치와 가장 유사한 특성을 발휘하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리튬 실리케이트계 결정화 유리는 가격이 비싸고, 특히, 리튬 성분의 불안정성으로 인하여,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우수한 물성 및 심미성을 갖는 인공치아용 결정화유리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수한 물성 및 심미성을 갖는 인공치아용 결정화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아용 결정화유리 제조 방법은 (a) MgO, Al2O3, SiO2 및 핵생성 시드(seed)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을 1차 분쇄하는 단계; (c) 상기 1차 분쇄된 혼합물을 1차 용융한 후, 냉각하여 1차 유리를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1차 유리를 2차 분쇄하는 단계; (e) 상기 2차 분쇄된 1차 유리를 2차 용융한 후, 냉각하여 2차 유리를 형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2차 유리를 결정화 열처리한 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혼합물은 MgO 12±1중량%, SiO2 46±1중량%, Al2O3 32±1중량% 및 핵생성 시드 10±1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핵생성 시드는 ZrO2 또는 TiO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차 분쇄는 볼 밀링으로 수행되고, 상기 2차 분쇄는 유발(乳鉢)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2차 용융 후, 상기 용융물을 몰드에 투입한 상태에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의 냉각은 워터 퀀칭(water quenching) 방식으로 수행되고, 상기 (e) 단계 및 (f) 단계의 냉각은 노냉(cooling in furnace)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정화 열처리는 950~1150℃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결정화 열처리 이전, 800~900℃에서 상기 2차 유리를 예비 열처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아용 결정화유리는 인공치아용 결정화 유리로서, MgAl2Si3O10 결정상이 주상이고, 추가적인 상으로 MgAl2O4 결정상 및 ZrO2 또는 TiO2 결정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인공치아용 결정화 유리는 굴곡강도 300MPa 이상, 파괴인성 2.5MPa·m1/2, 비커스 경도 600MPa 이상 및 1mm 두께 기준 가시광 투과율 35%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용 결정화유리 제조방법은 SiO2, MgO 및 Al2O3를 포함하는 원료 물질을 이용하여 1차 유리 형성, 2차 유리 형성 및 결정화 열처리를 포함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굴곡강도 300MPa 이상, 파괴인성 2.5MPa·m1/2, 비커스 경도 600MPa 이상 및 1mm 두께 기준 가시광 투과율 35% 이상을 나타내는 결정화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결정화 유리는 우수한 물성과 심미성을 나타낼 수 있어, 인공치아의 코핑, 크라운 등의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아용 결정화유리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은 인공치아용 결정화유리 시편 1의 DTA 열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는 인공치아용 결정화유리 시편 1의 x-선 회절 상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용 결정화유리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아용 결정화유리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도시된 인공치아용 결정화유리 제조 방법은 혼합물 마련 단계(S110), 1차 분쇄 단계(S120), 1차 유리 형성 단계(S130), 2차 분쇄 단계(S140), 2차 유리 형성 단계(S150) 및 결정화 열처리 단계(S160)를 포함한다.
우선, 혼합물 마련 단계(S110)에서는 MgO, Al2O3, SiO2 및 핵생성 시드(seed)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마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용 결정화 유리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는 MgO, Al2O3, SiO2 및 핵생성 시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용 결정화 유리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는 vita shade guide A, B, C 계열의 색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착색원소 등의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원료는 분말 상태일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SiO2 46±1중량%, MgO 12±1중량%, Al2O3 32±1중량% 및 핵생성 시드 10±1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O2는 결정 및 유리 망상 구조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SiO2는 MgO, SiO2, Al2O3 및 핵생성 시드 전체 중량(이하, 혼합물 전체 중량)의 46±1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O2의 함량이 45중량% 미만일 경우, 유리의 광 투과율이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SiO2의 함량이 47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강도 및 인성이 불충분할 수 있다.
MgO는 결정화도 향상 및 점도 감소에 기여한다. 상기 MgO는 혼합물 전체 중량의 12±1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gO 첨가량이 11중량% 미만인 경우, 그 첨가 효과가 불충분하고, 13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광 투과율이 저하될 수 있다.
Al2O3는 굴곡강도 및 파괴인성 향상에 기여한다. Al2O3는 혼합물 전체 중량의 32±1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2O3의 함량이 31중량% 미만일 경우, 굴곡강도 및 파괴인성 향상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Al2O3의 함량이 33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결정화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핵생성 시드는 결정화를 위한 핵 형성제로 작용한다. 이러한 핵생성 시드는 ZrO2 및 TiO2 중에서 1종 이상일 수 있다. 핵생성 시드의 함량은 혼합물 전체 중량의 10±1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핵생성 시드의 함량이 9중량% 미만에서는 결정화가 불충분하며, 11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광투과율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다음으로, 1차 분쇄 단계(S120)에서는 혼합물을 1차 분쇄한다. 1차 분쇄는 분말 상태의 원료의 고른 혼합 및 분쇄가 용이한 볼 밀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1차 유리 형성 단계(S130)에서는 상기 1차 분쇄된 혼합물을 1차 용융한 후, 냉각하여 1차 유리를 형성한다. 용융은 대략 1500℃ 이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냉각은 공정 시간 단축 및 2차 분쇄가 용이하도록 워터 퀀칭(water quenching) 방식으로 수행하여, 1차 유리가 유리조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차 용융만을 실시하는 경우, 유리의 균질도가 낮고 크랙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1차 용융을 통하여 1차 유리를 형성하고, 2차 용융을 통하여 2차 유리를 형성한다. 그 결과, 결정화 유리 조성 및 물성의 균질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다음으로, 2차 분쇄 단계(S140)에서는 상기 1차 유리를 2차 분쇄한다. 2차 분쇄는 대략 1mm 이하의 크기가 되도록 유발(乳鉢)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2차 유리 형성 단계(S150)에서는 상기 2차 분쇄된 1차 유리를 2차 용융한 후, 냉각하여 2차 유리를 형성한다.
이때, 성형을 위하여, 2차 용융 후, 상기 용융물을 몰드에 투입한 상태에서 냉각할 수 있다.
이때, 냉각은 노냉(cooling in furnace)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차 유리는 이미 성형된 상태이고, 공냉 도는 수냉을 적용할 경우 2차 유리에 내부응력이 심하게 형성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크랙이 발생할 수 있는 바, 2차 유리의 냉각은 노냉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결정화 열처리 단계(S160)에서는 상기 2차 유리를 결정화 열처리한 후, 냉각하여, 최종 인공치아용 결정화유리를 제조한다.
결정화 열처리는 950~1150℃에서 대략 2~4시간 정도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화 열처리온도가 950℃ 미만에서는 결정화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결정화 열처리온도가 1150℃를 초과하여도 더 이상 효과없이 제조 비용 및 시간만 증가할 수 있다.
냉각은 노냉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결정화 열처리 이전, 800~900℃에서 상기 2차 유리를 예비 열처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2단계로 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결정화 열처리를 다단으로 수행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결정화 유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결정화 유리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MgAl2Si3O10 결정상이 주상이고, 추가적인 상으로 MgAl2O4 결정상 및 ZrO2 또는 TiO2 결정상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주상은 결정화 유리 내에 있는 결정상들 중 x-선 회절 상분석에서 피크 강도가 가장 높은 회절각을 갖는 결정상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정화 유리는 기계적 물성 측면에서, 굴곡강도 300MPa 이상, 파괴인성 2.5MPa·m1/2, 비커스 경도 600MPa 이상 및 1mm 두께 기준 가시광 투과율 35%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1. 시편의 제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인공치아용 결정화유리 시편 1~2를 제조하였다.
우선 결정화유리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 분말들에 대하여 수분을 없애기 위하여 120℃에서 120분동안 건조 공정을 수행하였다.
수분 제거 후, 각 시편을 제조하기 위한 원료 분말들을 ball jar에 투입하였다. 원료 조성은 표 1과 같다.
[표 1] (단위 : 중량%)
Figure 112014115930840-pat00001
이후, 20시간동안 볼 밀링하여 1차 분쇄 및 혼합하였다.
이후, 결과물을 용융로에 투입하고, 10℃/분의 승온 속도로 1580℃까지 승온한 후 180분동안 1차 용융한 후, 워터 퀀칭을 수행하여, 조각 상태의 1차 유리를 형성하였다. 이후, 120℃에서 30분동안 건조하였다.
이후, 건조된 시편에 대하여 유발을 실시하여, 1mm 이하의 크기로 2차 분쇄하였다.
이후, 2차 분쇄된 결과물을 용융로에 투입하고, 10℃/분의 승온 속도로 1580℃까지 승온한 후 180분동안 2차 용융한 후, 성형을 위하여 용융물을 그라파이트 몰드에 투입하였다.
이후, 790℃로 예열된 전기로에 그라파이트 몰드를 투입한 후, 1시간 유지한 후 상온까지 노냉을 수행하여 2차 유리를 형성하였다.
이후, 2차 유리를 5℃/분의 승온 속도로 1000℃까지 승온한 후, 180분동안 유지하여 결정화 열처리한 후, 상온까지 노냉하여, 인공치아용 결정화유리 시편 1~2를 제조하였다.
2. 특성 평가
표 2는 인공치아용 결정화유리 시편 1~2의 기계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표 2]
Figure 112014115930840-pat00002
표 2를 참조하면, 시편 1의 경우, 굴곡강도 300MPa 이상, 파괴인성 2.5MPa·m1/2, 비커스 경도 600MPa 이상 및 1mm 두께 기준 가시광 투과율 35% 이상을 모두 만족하나, Al2O3 함량이 불충분한 시편 2의 경우 파괴인성 및 굴곡강도가 목표치에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도 2은 인공치아용 결정화유리 시편 1의 DTA 열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을 참조하면, 시편 1의 유리천이온도는 대략 810℃ 정도이고, 결정화온도가 대략 963℃ 정도임을 볼 수 있다.
도 3는 인공치아용 결정화유리의 시편 1의 x-선 회절 상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시편 1에 따른 결정화유리는 MgAl2Si3O10 결정상이 주상이고, 추가적인 상으로 MgAl2O4 결정상 및 ZrO2 또는 TiO2 결정상이 포함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a) MgO, Al2O3, SiO2 및 핵생성 시드(seed)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을 1차 분쇄하는 단계;
    (c) 상기 1차 분쇄된 혼합물을 1차 용융한 후, 냉각하여 1차 유리를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1차 유리를 2차 분쇄하는 단계;
    (e) 상기 2차 분쇄된 1차 유리를 2차 용융한 후, 냉각하여 2차 유리를 형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2차 유리를 결정화 열처리한 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물은 MgO 12±1중량%, SiO2 46±1중량%, Al2O3 32±1중량% 및 핵생성 시드 10±1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용 결정화 유리 제조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핵생성 시드는 ZrO2 또는 TiO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용 결정화 유리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분쇄는 볼 밀링으로 수행되고,
    상기 2차 분쇄는 유발(乳鉢)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용 결정화 유리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2차 용융 후, 상기 용융물을 몰드에 투입한 상태에서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용 결정화 유리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냉각은 워터 퀀칭(water quenching) 방식으로 수행되고,
    상기 (e) 단계 및 (f) 단계의 냉각은 노냉(cooling in furnace)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용 결정화 유리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 열처리는 950~1150℃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용 결정화 유리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 열처리 이전, 800~900℃에서 상기 2차 유리를 예비 열처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용 결정화 유리 제조 방법.
  9. 인공치아용 결정화 유리로서,
    MgAl2Si3O10 결정상이 주상이고, 추가적인 상으로 MgAl2O4 결정상 및 ZrO2 또는 TiO2 결정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용 결정화 유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치아용 결정화 유리는
    굴곡강도 300MPa 이상, 파괴인성 2.5MPa·m1/2, 비커스 경도 600MPa 이상 및 1mm 두께 기준 가시광 투과율 35% 이상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용 결정화 유리.
KR1020140168618A 2014-11-28 2014-11-28 인공치아용 결정화유리 제조 방법 KR101654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618A KR101654761B1 (ko) 2014-11-28 2014-11-28 인공치아용 결정화유리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618A KR101654761B1 (ko) 2014-11-28 2014-11-28 인공치아용 결정화유리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696A KR20160064696A (ko) 2016-06-08
KR101654761B1 true KR101654761B1 (ko) 2016-09-06

Family

ID=56193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618A KR101654761B1 (ko) 2014-11-28 2014-11-28 인공치아용 결정화유리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76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6136A (ja) * 1996-07-26 1998-02-10 Tokuyama Corp 歯科用セラミックス
JP3879876B2 (ja) * 1997-06-16 2007-02-14 株式会社トクヤマ セラミックス歯冠用陶材組成物
DE19852516A1 (de) * 1998-11-13 2000-05-25 Degussa Keramische Dentalrestau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696A (ko)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125B1 (ko) 리튬 다이실리케이트 유리-세라믹, 그 제조방법 및 그 용도
US9745218B2 (en) Lithium silicate glass ceramic for fabrication of dental appliances
CN106458715B (zh) 包含SiO2作为主晶相的玻璃陶瓷
JP6993093B2 (ja) Al2O3未含有のケイ酸リチウムガラス組成物
CN110139840B (zh) 硅酸锂玻璃陶瓷
CN112645601A (zh) 包含过渡金属氧化物的焦硅酸锂-磷灰石玻璃陶瓷
KR20140075776A (ko) 1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리튬 실리케이트 유리 세라믹 및 리튬 실리케이트 유리
JP7321666B2 (ja) ケイ酸リチウムガラスセラミックを含むまたは含有する成形体の製造方法ならびに成形体
CN106365456A (zh) 二硅酸锂微晶玻璃、其制备方法及用于牙科材料的应用
CN106458714B (zh) 包含石英混合晶相的玻璃陶瓷
Laczka et al. Mechanical properties of a lithium disilicate strengthened lithium aluminosilicate glass‐ceramic
CN108328932A (zh) 一种Ce、Er、Tb、Y共掺的齿科微晶玻璃及其制备和应用
JP2019064912A (ja) 高い遮蔽性を有する高強度ケイ酸リチウムガラス組成物
KR101616947B1 (ko) 인공치아용 결정화 유리의 착색 방법
JP2016519042A (ja) 高強度で半透明のMg−高温石英固溶体ガラスセラミックス
JP2000500730A (ja) 高硬質の透明な雲母−ガラスセラミック
CN107056072A (zh) 一种锂钾共掺齿科微晶玻璃及其制备和应用
CN108467205A (zh) 一种Ce、V、Er共掺的齿科微晶玻璃及其制备和应用
KR101654761B1 (ko) 인공치아용 결정화유리 제조 방법
Khater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nstatite-leucite glass-ceramics for dental restoration
KR101799026B1 (ko) 인공치아용 미저라이트계 결정화 유리 및 이의 착색 방법
CN109824351A (zh) 一种高强度齿科修复用陶瓷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20230148339A (ko) 석영 고용체 상을 갖는 유리 세라믹
KR20180011898A (ko) 리튬 디실리케이트를 이용한 치과용 세라믹 잉곳 및 그 제조방법
KR101636749B1 (ko) 불소를 함유한 지르코니아 코어용 도재 형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