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745B1 -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745B1
KR101654745B1 KR1020150025060A KR20150025060A KR101654745B1 KR 101654745 B1 KR101654745 B1 KR 101654745B1 KR 1020150025060 A KR1020150025060 A KR 1020150025060A KR 20150025060 A KR20150025060 A KR 20150025060A KR 101654745 B1 KR101654745 B1 KR 101654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pod
plate
vehicle
upper plat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2684A (ko
Inventor
박명호
민선기
홍석민
김태형
이현태
Original Assignee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25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745B1/ko
Publication of KR20160102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60Q7/02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to be attached to overhanging loads or extending parts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는 자동차의 이상 상태를 경보하기 위해 설치하는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주행 자동차(10)의 후방 하부에 부착 설치되는 보관함(200)과; 상기 보관함(200)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에는 전개용의 삼각대를 연결하는 연결용 와이어(wire)(210)와; 상기 연결용 와이어(wire)(210)에 연결되어 자동차로부터 분리되어 후방으로 전개하면서 주행도로면에 세워지는 전개형 삼각대(300);를 구비하되, 상기 전개형 삼각대(300)는, 자동차(10) 내부에서 탑승자의 작동 조작이 있거나 또는 주행하는 자동차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자동으로 주행 자동차(10)의 후방 하부의 보관함(200)으로부터 분리되어 전개되는 구조로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Drop-Type Tripod Apparatus for Cars}
본 발명은 자용차용 삼각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에 사고 또는 이상 상황이 발생시 뒤따르는 차량에 경보를 하기 위한 삼각대 장치를 자동으로 전개하는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사고 또는 고장이나 차량에서 이상 발생시에 차량을 세우고,후방에 삼각대 등의 안전장치를 세우고 있다.
통상적으로 차량 뒷편에 트렁크 부분에 삼각대 및 간단한 정비용 장치를 탑재하고 운행하면서 사고 발생시에는 차량을 세우고, 삼각대 등을 차량의 후방에 인위적으로 설치하여 해당 차량이 문제가 있음을 경보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도로, 자동차전용도로, 또는 고속도로 등과 같이 빠른 속력으로 주행하는 자동차에서 운전자 또는 동승인이 내려서 경보용의 삼각대를 후방에 설치하는 것은 매우 위험할 뿐 아니라, 추가의 후속사고까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야간 주행시 발생하는 사고시에는 더욱 위험한 상태에 노출되고 있어 인명 사고 및 대물 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높아 진다는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경보장치의 설치 방안이 연구되고 있었다.
현지 주행하는 차량의 사고시에는 차량의 후방 100미터 이상의 지점에 삼각대를 세워 후방의 차량에게 경보하도록 의무화하고 있으나, 고속주행에 따른 위험이 상존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차량의 사고시에 차량의 내부에서 간단한 조작 또는 자동으로 삼각대를 후방에 전개하여 설치하여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에 안전하게 경보할 수 있는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의 사고 또는 위험시에 신속하게 삼각대를 전개하여 설치한 이후에, 사고의 처리 또는 상황이 종료된 다음에 안전하게 설치된 삼각대를 회수함으로써 삼각대를 도로상에서 제거하고 이로 인한 사고의 발생위험을 제거하는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는, 주행 자동차(10)의 후방 하부에 부착 설치되는 보관함(200)과; 상기 보관함(200)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에는 전개용의 삼각대를 연결하는 연결용 와이어(wire)(210)와; 상기 연결용 와이어(wire)(210)에 연결되어 자동차로부터 분리되어 후방으로 전개하면서 주행도로면에 세워지는 전개형 삼각대(300);를 구비하되, 상기 전개형 삼각대(300)는, 자동차(10) 내부에서 탑승자의 작동 조작이 있거나 또는 주행하는 자동차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자동으로 주행 자동차(10)의 후방 하부의 보관함(200)으로부터 분리되어 전개되는 구조를 갖추고 자동차의 이상 상태를 경보하기 위해 설치하는 삼각대 장치로서, 상기 전개형 삼각대(300)는, 삼각대의 일측이 상기 연결용 와이어(wire)(210)에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홈(321)을 가지는 삼각형상의 본체(320)와, 상기 본체(320)와 분리되어 덮개를 형성하는 상판(35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삼각형상의 본체(320)는, 그 내부에 조명 또는 빛 반사를 위한 제2보조판(322)과, 상기 와이어 연결홈(321)과 대향하는 면에 중심을 잡기 위한 직선형의 철구조로 되는 제1 본체축(324)과, 상기 제1본체축(324)과는 다른 일측에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덮개를 형성하는 상판(350)을 끼워결합하기 위한 돌출부(326)를 구비하고, 상기 상판(350)은,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측이 상기 본체(320)와 끼움 결합되고, 그 내부에 조명 또는 빛 반사를 위한 제1보조판(352)과, 상기 본체(320)에 형성된 제1본체축(324)과 축 결합되는 직선형의 철구조로 되는 제2 상판축(354)과, 상기 본체(320)에 형성된 돌출부(326)와 끼워 맞춤되어 고정 및 분리하기 위한 구조의 오목홈부(356),를 구비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차량의 사고시에 차량의 내부에서 간단한 조작 또는 자동으로 삼각대를 후방에 전개하여 설치하여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에 안전하게 경보할 수 있는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를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구현한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자동차의 사고 또는 위험시에 신속하게 삼각대를 전개하여 설치한 이후에, 사고의 처리 또는 상황이 종료된 다음에 안전하게 설치된 삼각대를 회수함으로써 삼각대를 도로상에서 제거하고 이로 인한 사고의 발생위험을 제거하는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의 개요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전개형 삼각대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전개형 삼각대의 외형 구조 및 전개시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의 각 보조판을 전개하기 위한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를 전개 또는 회수하기 위한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의 무선통신을 위한 개념을 도시한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100)는, 주행 자동차(10)의 후방 하부에 부착 설치되는 보관함(200)과; 상기 보관함(200)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에는 전개용의 삼각대를 연결하는 연결용 와이어(wire)(210)와; 상기 연결용 와이어(wire)(210)에 연결되어 자동차로부터 분리되어 후방으로 전개하면서 주행도로면에 세워지는 전개형 삼각대(300);를 구비하되, 상기 전개형 삼각대(300)는, 자동차(10) 내부에서 탑승자의 작동 조작이 있거나 또는 주행하는 자동차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자동으로 주행 자동차(10)의 후방 하부의 보관함(200)으로부터 분리되어 전개되는 구조를 갖추고 자동차의 이상 상태를 경보하기 위해 설치하는 삼각대 장치로서, 상기 전개형 삼각대(300)는, 삼각대의 일측이 상기 연결용 와이어(wire)(210)에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홈(321)을 가지는 삼각형상의 본체(320)와, 상기 본체(320)와 분리되어 덮개를 형성하는 상판(35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삼각형상의 본체(320)는, 그 내부에 조명 또는 빛 반사를 위한 제2보조판(322)과, 상기 와이어 연결홈(321)과 대향하는 면에 중심을 잡기 위한 직선형의 철구조로 되는 제1 본체축(324)과, 상기 제1본체축(324)과는 다른 일측에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덮개를 형성하는 상판(350)을 끼워결합하기 위한 돌출부(326)를 구비하고, 상기 상판(350)은,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측이 상기 본체(320)와 끼움 결합되고, 그 내부에 조명 또는 빛 반사를 위한 제1보조판(352)과, 상기 본체(320)에 형성된 제1본체축(324)과 축 결합되는 직선형의 철구조로 되는 제2 상판축(354)과, 상기 본체(320)에 형성된 돌출부(326)와 끼워 맞춤되어 고정 및 분리하기 위한 구조의 오목홈부(356),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의 개요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전개형 삼각대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주행하는 자동차(차량)(10)에서 사고가 발생하거나 이상 상황이 발생하여 주차 또는 정차를 하게 되면, 그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에게 경보하기 위하여 전개형 삼각대(300)를 설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100)는 자동차(10)의 후측 밑면(하부)에 별도의 보관함(200)을 설치하여 보관한다. 상기 보관함(200)에는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에는 전개용의 삼각대를 연결하는 연결용 와이어(wire)(210)를 통해 상기 연결용 와이어(wire)(210)에 연결되어 자동차로부터 분리되어 후방으로 전개하면서 주행도로면에 세워지는 전개형 삼각대(3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개형 삼각대(300)는, 삼각대의 일측이 상기 연결용 와이어(wire)(210)에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홈(321)을 가지는 삼각형상의 본체(320)와, 상기 본체(320)와 분리되어 덮개를 형성하는 상판(35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삼각형상의 본체(320)는, 그 내부에 조명 또는 빛 반사를 위한 제2보조판(322)과, 상기 와이어 연결홈(321)과 대향하는 면에 중심을 잡기 위한 직선형의 철구조로 되는 제1 본체축(324)과, 상기 제1본체축(324)과는 다른 일측에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덮개를 형성하는 상판(350)을 끼워결합하기 위한 돌출부(326)를 구비하고,
상기 상판(350)은,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측이 상기 본체(320)와 끼움 결합되고, 그 내부에 조명 또는 빛 반사를 위한 제1보조판(352)과, 상기 본체(320)에 형성된 제1본체축(324)과 축 결합되는 직선형의 철구조로 되는 제2 상판축(354)과, 상기 본체(320)에 형성된 돌출부(326)와 끼워 맞춤되어 고정 및 분리하기 위한 구조의 오목홈부(356),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용 와이어(wire)(210)를 통해 와이어 연결홈(321)이 고정된다.
상기 삼각형상의 본체(320)는, 그 내부에 조명 또는 빛 반사를 위한 제2보조판(322)을 설치한다.
또, 상기 와이어 연결홈(321)과 대향하는 면에 중심을 잡기 위한 직선형의 철구조로 되는 제1 본체축(324)을 설치한다. 상기 제1 본체축(324)은 본체(32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원형의 철강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체(320)에는 상기 제1본체축(324)과는 다른 일측에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덮개를 형성하는 상판(350)을 끼워결합하기 위한 돌출부(326)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본체(320)로부터 상기 제2보조판(322)은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격자형태의 돌출부(326)를 설치하여 후술하는 오목홈부(356)와 결합 및 분리되도록 작용한다.
상기 상판(350)은, 상기 본체(320)와 대응하는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측이 상기 본체(320)와 끼움 결합되며, 그 내부에 조명 또는 빛 반사를 위한 제1보조판(352)을 구비한다.
또, 상기 본체(320)에 형성된 제1본체축(324)과 축 결합되는 직선형의 원형의 철구조로 되는 제2 상판축(354)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본체(320)에 형성된 돌출부(326)와 끼워 맞춤되어 고정 및 분리하기 위한 구조의 오목홈부(356)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본체축(324)과 제2 상판축(354)은, 도시한 바와 같이,본체와 축 결합된다. 내부에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부(358) 및 이들을 고정하는 고정장치(357)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100)의 작동은 자동차(10)의 내부에서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스위치(도시는 생략)조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작동은 기계적인 연결에 의해 상기 스위치와 보관함(200)이 작동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자동차(10)가 주행 중 외부로부터 과도한 충격(이것은 수치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이아니라, 차량의 추돌이나 충돌 및 급 정거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포괄적으로 의미함)이 발생할 때 보관함(200)으로부터 상기 전개형 삼각대(300)가 개방되어 주행 도로상에 전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전개형 삼각대의 외형 구조 및 전개시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의 각 보조판을 전개하기 위한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를 각각 도시한다.
상기 제1보조판(352)과 제2보조판(322)은 그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 결합을 견고하게 하도록 한다. 또, 상기 전개형 삼각대(300)의 전개시에는 충격에 의해 상기 상판(350)에 설치되는 제1보조판(352)이 먼저 전개된 후, 상기 본체(320)에 설치되는 제2보조판(322)이 전개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보조판(352)과 제2보조판(322)은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높이 및 위치를 끼워맞출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으로, 상기 제1보조판(352)과 제2보조판(322)은 순차적으로 전개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본체축(324)과 상기 제2 상판축(354)은 탄성력을 가진 스프링부(358)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충격시 도로상에 전개할 때는 상기 상판(350)에 설치되는 제1보조판(352)이 먼저 개방 된 후, 그 충격을 받아 상기 상판(350)이 개방된다.
또한, 상기 제1보조판(352)이 전개하면서 상기 스프링부(358)의 탄성작용에 의해 상기 제2보조판(322)을 지지하는 고정장치(357)를 해제하여 순차전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작용함으로써 전개형 삼각대(300)는 연결용 와이어(wire)(210)에 연결된 상태로 주행하는 도로상에 전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보조판(352)과 상기 제2보조판(322)에는 반사용 미러(거울) 또는 조명장치(LED 조명 등)를 설치하여 야간에도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조명장치 등의 점멸을 위한 전원은 상기 제1보조판(352)과 상기 제2보조판(322) 내부에 전원부를 설치하여 활용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본체축(324)과 상기 제2 상판축(354)은 탄성력을 가진 스프링부(358)를 개재하여 연결되는데, 상기 스프링부(358)는 상기 제1보조판(352)과 상기 제2보조판(322)를 지지하는 고정장치(357)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사고 처리 및 상황이 종료된 후에는 자동차(10)의 후방 하단에 장치된 연결용 와이어(wire)(210)에 전개형 삼각대(300)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용 와이어(wire)(210)는 그 길이를 100미터 혹은 그 이상으로 하여 완전하게 풀어졌을 때 전개형 삼각대(300)를 안전거리를 확보하면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개형 삼각대(300)에는 무선 신호 발생장치 및 GPS 송신기 등을 장착하여 원격으로 차량의 사고 위치를 알리는 기능을 부가 할 수도 있어, 안전사고 예방 및 신속한 인명구조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초음파 장치와 같은 무선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차(10)와 전개형 삼각대(3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운전자 등의 탑승자에게 알려 참고할 수 있게 한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를 회수하기 위한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를 참조하면, 전자제어장치(ECU)(230)로부터 가변저항(240)을 연결하고, 상기 가변저항(240)은 회수용 모터(250)에 연결된다. 상기 회수용 모터(250)가 회전하면서 가변저항(240)을 변동시키게 된다.
상기 회수용 모터(250)는 엑추에이터(260)에 연결되어, 자가용의 실내에서 운전자의 스위치 작동 또는 충격이 발생할 때 상기 전개형 삼각대(300)를 주행 도로상으로 투척하게 된다. 상기 회수용 모터(250)와 엑추에이터(260)는 가동용 전원(242)이 공급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100)의 전개형 삼각대(300)를 회수 또는 전개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세부구성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를 참조하면, 전개형 삼각대(300)는 엑추에이터(260)를 통해 지상으로 투하된다. 이때, 엑추에이터(260)에 장착된 고정너클(262)이 본체(320)의 바닥면에 파여진 빗면 모양의 홈(262h)으로 들어가 펼쳐지도록 한다.
이후, 상황 종료후에는 상기 전개형 삼각대(300)를 회수할 때 다시 상기 빗면 모양의 홈(262h)을 통해 접혀 들어오도록 작동한다. 이로써 투하 및 회수시에도 자동차 내부의 전원장치를 통해 회수용 모터(250)와 엑추에이터(260)를 작동시켜 안전하고 간편하게 회수 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의 무선통신을 위한 개념을 도시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그 기술적인 사상이 동일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및 부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것들은 모두 본원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자동차 200: 보관함
210: 연결용 와이어(wire) 300: 전개형 삼각대
320: 본체 321: 와이어 연결홈
322: 제2보조판 324: 제1 본체축
326: 돌출부 350: 상판
352: 제1보조판 354: 제2 상판축
356: 오목홈부 357: 고정장치
358: 스프링부
100: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

Claims (4)

  1. 삭제
  2. 주행 자동차(10)의 후방 하부에 부착 설치되는 보관함(200)과; 상기 보관함(200)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에는 전개용의 삼각대를 연결하는 연결용 와이어(wire)(210)와; 상기 연결용 와이어(wire)(210)에 연결되어 자동차로부터 분리되어 후방으로 전개하면서 주행도로면에 세워지는 전개형 삼각대(300);를 구비하되, 상기 전개형 삼각대(300)는, 자동차(10) 내부에서 탑승자의 작동 조작이 있거나 또는 주행하는 자동차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자동으로 주행 자동차(10)의 후방 하부의 보관함(200)으로부터 분리되어 전개되는 구조를 갖추고 자동차의 이상 상태를 경보하기 위해 설치하는 삼각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개형 삼각대(300)는, 삼각대의 일측이 상기 연결용 와이어(wire)(210)에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홈(321)을 가지는 삼각형상의 본체(320)와, 상기 본체(320)와 분리되어 덮개를 형성하는 상판(35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삼각형상의 본체(320)는, 그 내부에 조명 또는 빛 반사를 위한 제2보조판(322)과, 상기 와이어 연결홈(321)과 대향하는 면에 중심을 잡기 위한 직선형의 철구조로 되는 제1 본체축(324)과, 상기 제1본체축(324)과는 다른 일측에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덮개를 형성하는 상판(350)을 끼워결합하기 위한 돌출부(326)를 구비하고,
    상기 상판(350)은,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측이 상기 본체(320)와 끼움 결합되고, 그 내부에 조명 또는 빛 반사를 위한 제1보조판(352)과, 상기 본체(320)에 형성된 제1본체축(324)과 축 결합되는 직선형의 철구조로 되는 제2 상판축(354)과, 상기 본체(320)에 형성된 돌출부(326)와 끼워 맞춤되어 고정 및 분리하기 위한 구조의 오목홈부(356),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판(352)과 제2보조판(322)은 그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 결합을 견고하게 하도록하고,
    삼각대의 전개시에는 충격에 의해 상기 상판(350)에 설치되는 제1보조판(352)이 먼저 전개 된 후, 상기 본체(320)에 설치되는 제2보조판(322)이 전개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1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축(324)과 상기 제2 상판축(354)은 탄성력을 가진 스프링부(358)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충격시 도로상에 전개할 때는 상기 상판(350)에 설치되는 제1보조판(352)이 먼저 개방 된 후, 그 충격을 받아 상기 상판(350)이 개방되고,
    상기 제1보조판(352)이 전개하면서 상기 스프링부(358)의 탄성작용에 의해 상기 제2보조판(322)을 지지하는 고정장치(357)를 해제하여 순차전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100).
KR1020150025060A 2015-02-23 2015-02-23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 KR101654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060A KR101654745B1 (ko) 2015-02-23 2015-02-23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060A KR101654745B1 (ko) 2015-02-23 2015-02-23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684A KR20160102684A (ko) 2016-08-31
KR101654745B1 true KR101654745B1 (ko) 2016-09-06

Family

ID=56877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060A KR101654745B1 (ko) 2015-02-23 2015-02-23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7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691B1 (ko) * 2021-10-13 2023-09-06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삼각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312B1 (ko) * 2011-06-13 2013-05-0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이식 안전표지 삼각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0467007Y1 (ko) * 2011-08-29 2013-05-20 이봉길 안전표시대가 내장된 자동차 리어 범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684A (ko) 201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7607B2 (en) Horizontal retractable running board with high load capacity
US11110889B2 (en) Parking enforcement system
RU2641574C2 (ru) Устройство оповещения об аварийной ситуаци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4199207B2 (ja) 盗難車両奪回支援装置および盗難車両奪回支援方法
US10407853B1 (en) Wrong-way vehicle prevention system
KR101838882B1 (ko) 자동차용 자동 안전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
KR101519839B1 (ko) 차량용 안전 삼각대
KR101558105B1 (ko) 차량 내장형 비상 삼각대
KR20170016622A (ko)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
JP2016016708A (ja) 非常停止表示器設置装置
KR101654745B1 (ko) 자동차용 투하형 삼각대 장치
KR20050041574A (ko) 자동차의 비상사태 표출방법 및 그 장치
KR101170968B1 (ko) 차량비상안전장치
KR101463336B1 (ko) 자동차사고 경고용 에어백 결합체
KR20140079278A (ko) 차량사고시 연막과 불꽃을 이용한 자동 경고장치
JP2008176249A (ja) 空気注入型三角表示器
CN211663151U (zh) 汽车防追尾警示装置
JP6676074B2 (ja) セルカ棒を利用した車両非常安全装置
KR101848599B1 (ko) 자동차용 비상상황 알림장치
CN101195329A (zh) 汽车行驶中轮胎应急充气装置
KR101294483B1 (ko) 차량용 트렁크를 이용한 경고알림 구조
KR20200085666A (ko) 교통 신호봉 겸용 차량용 알림 장치 수납케이스
KR102068695B1 (ko) 차량의 긴급상황 알림장치
KR101343927B1 (ko) 차량 경고표지대
TWI593580B (zh) 車輛及其車輛安全防護機構和防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