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641B1 - 이차전지용 전극의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용 전극의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641B1
KR101654641B1 KR1020160045651A KR20160045651A KR101654641B1 KR 101654641 B1 KR101654641 B1 KR 101654641B1 KR 1020160045651 A KR1020160045651 A KR 1020160045651A KR 20160045651 A KR20160045651 A KR 20160045651A KR 101654641 B1 KR101654641 B1 KR 101654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ckness measuring
roller
thickness
rotation angle
ac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하
유선준
김한준
백승근
이대락
백승철
허상구
이상현
이석희
Original Assignee
씨아이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아이에스(주) filed Critical 씨아이에스(주)
Priority to KR1020160045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6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2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는 이차전지용 활물질 압연장치의 후단에 설치되어 활물질의 코팅부의 두께를 측정하는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로서, 활물질이 코팅된 원단이 통과하는 두께 측정 롤러와, 상기 두께 측정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원단의 활물질 코팅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차전지용 전극의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Measuring apparatus for electrode of secondary cell}
본 발명은 두께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차전지의 전극을 구성하는 전극 기재 표면에 코팅된 활물질의 두께를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활물질을 알루미늄이나 구리의 금속박에 도포하고 분리막을 양 전극사이에 넣고 감아서, 금속 용기에 삽입하고, 전해액을 충진하고 밀봉하여 완성된다. 이차전지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 중 이차전지 전극 제조공정은 활물질, 도전재, 결착재 및 용제 등으로 구성된 슬러리를 혼합하여 금속 집전체 표면에 도포하고 건조하는 활물질 코팅공정, 코팅이 끝난 극판에 대해 활물질의 용량 밀도를 높이고 기재와 활물질 간의 결착력을 높이는 압연 공정, 제조하려는 전지 크기에 맞게 전극을 절단하여 리-와인더(re-winder)에 감는 슬리팅 공정, 및 리-와인딩(re-winding)된 전극을 풀면서 실제 사용될 전극 형상으로 전극을 타발하여 적재시키는 노칭(notching)과 펀칭(punching)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차전지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활물질 코팅 및 프레스 공정에서 극판의 활물질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차전지용 전극의 코팅부의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주로 비접촉식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방사선 동위원소를 이용하는 방식,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는 방식 등이 이용되고 있다. 이 중, 방사선 동위원소를 활용하는 방법은 해당 면허를 가지는 전담기사가 필요하고 비용이 과다한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는 방식에서는 롤 압연부의 편심이나 진원도에 따른 오차, 빛이 산란에 의한 오차, 진동에 의한 오차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 분야의 선행문헌으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15-0117122호가 있다. 상기 선행문헌은 이차전지의 음극 코팅층 두께를 측정하는 레이저측정부와, 상기 레이저측정부를 소정 측정조건에 따라 제어하고 상기 레이저측정부에 의한 측정값을 저장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와 연동되어 측정조건 및 측정값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음극 코팅층 두께 측정 시스템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문제점으로 지적된 오차의 원인을 해결하기에는 부족하다. 따라서 보다 신뢰성 있는 이차전지용 활물질 코팅부의 두께 측정장치 개발 필요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차전지 활물질의 압연속도, 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 롤러의 열팽창 등의 변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신뢰성 있는 두께 측정이 가능한 이차전지용 전극의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차전지용 활물질 압연장치의 후단에 설치되어 활물질의 코팅부의 두께를 측정하는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로서, 활물질이 코팅된 원단이 통과하는 두께 측정 롤러와, 상기 두께 측정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원단의 활물질 코팅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는 두께 측정 롤러의 측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회전각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는 두께 측정 롤러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닙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두께 측정 롤러의 표면에는 세라믹 코팅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두께 측정 롤러의 앞단에 적어도 하나의 냉각 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전극의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는 아래의 효과를 가진다.
1. 두께 측정 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다양한 위치에 복수개의 광 센서를 설치하여 원단의 폭 방향으로 다양한 위치에서 코팅부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2. 두께 측정 롤러의 서로 다른 특정 회전각 위치에서 코팅부의 두께를 수집하므로, 사전에 파악된 두께 측정 롤러의 편심 또는 진원도 차이에 따른 오차를 영점 보정하여 코팅부 두께 측정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3. 두께 측정 롤러의 앞단에 냉각롤러를 설치하여 롤러 또는 원단의 열 변형에 의한 두께 측정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4. 두께 측정 롤러의 표면에 세라믹층을 코팅하여 열 팽창에 의한 오차, 광의 산란에 의한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5. 두께 측정 롤러의 측부에 닙 롤러를 설치하여 에어 포켓 현상에 의한 두께 측정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6. 두께 측정 롤러를 포함하는 두께 측정부의 하부를 언와인더부, 리와인더 부, 압연부(메인 프레스부)와 분리된 지지대 위에 설치함으로서, 다른 파트에서 발생한 진동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분리된 지지대에 방진 패드를 설치함으로서 두께 측정부에서 발생한 진동에 의한 오차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가 포함된 이차전지용 활물질 압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에 적용되는 변위센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에 적용되는 회전각 센서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에 적용되는 냉각롤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에 적용되는 닙 롤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의 진동방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에서 타임 도메인(time domain)을 주파수 도메인(frequency domain, DFT)으로 변환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는 이차전지용 활물질 압연장치의 후단에 설치되어 활물질의 코팅부의 두께를 측정하는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로서, 활물질이 코팅된 원단이 통과하는 두께 측정 롤러와, 상기 두께 측정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원단의 활물질 코팅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가 포함된 이차전지용 활물질 압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차전지용 활물질 압연장치는 언와이더(10), 압연부(20), 두께 측정장치(100) 및 리와인더(30)로 이루어진다. 언와인더(10)에는 전극 기재인 원단이 권취되어 있고, 일정 속도로 원단을 풀어 코팅부로 공급한다. 압연부(20)는 상부 롤(21)과 하부 롤(22)이 마주보고 설치되어 활물질의 코팅이 이루어진다. 두께 측정장치(100)에는 가이드 롤러(102, 103), 두께 측정 롤러(101) 및 변위 센서(104)가 설치되어 있고, 두께 측정 롤러의 특정 위치에서 변위센서가 코팅부의 두께를 측정한다. 리와인더(30)는 코팅이 이루어지고 두께가 측정된 극판이 권취된다.
본 발명의 두께 측정장치는 레이저를 이용한 변위센서를 이용한다. 변위센서는 코팅부, 무지부 또는 두께 측정 롤러 표면의 위치를 감지하여 코팅부의 두께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에 적용되는 변위센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가)를 참조하면, 두께 측정 롤러(101)로 원단(200)이 공급되고, 두께 측정 롤러(201)의 양 쪽으로 이격된 광 센서(110)가 원단 및 롤러의 표면 위치를 감지한다. 광 센서(110)는 광 조사부(111)와 광 수집부(112)로 이루어지고, 광 조사부(111)에서 조사된 광의 일부는 원단에 막혀 광 수집부(112)로 입사하지 못한다. A는 원단이 통과하는 위치에 설치된 광 센서에서 감지된 광의 폭을 나타낸 것이고, B는 원단이 통과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 광 센서에서 감지된 광의 폭을 나타낸 것으로서, "B-A"의 길이는 원단의 두께가 된다.
도 2의 (나)를 참조하면, 두께 측정 롤러(101)로 원단(200)이 통과하는데, 왼쪽 3개의 광 센서는 원단의 코팅부(201) 위치에 설치되고, 가장 오른쪽의 광 센서는 코팅이 이루어지지 않은 원단의 무지부 위치에 설치된다. 광 센서들은 제1~제4광 조사부(111a, 111b, 111c, 111d)와 제1~제4 광 수집부(112a, 112b, 112c, 112d)로 이루어진다. 제1~제3광 조사부와 제1~제2광 수집부에서 측정된 변위는 각각의 위치에서 코팅부까지가 제외된 변위를 나타내고, 제4광 조사부와 제4광 수집부에서 측정된 변위는 무지부까지가 제외된 변위를 나타내므로, 전자의 변위에서 후자의 변위를 빼어주면 각각의 위치에서의 코팅부 두께를 도출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광 센서들을 코팅부와 무지부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치하였지만, 경우에 따라 광 센서들을 코팅부와 롤러 표면(원단이 통과하지 않는 영역)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측정된 두께는 원단과 코팅부를 포함하는 두께가 된다. 또한, 광 센서들은 모두 코팅부 영역에 설치될 수도 있는데, 이는 원단이 없을 때 측면 센서와 광 센서를 이용하여 영점을 셋팅하고, 그 후 원단이 흐르면 코팅부에 위치한 모든 광센서들에서 측정된 변위에서 무지부 포일의 두께를 빼면 코팅부의 두께가 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원단의 두께를 일정하다고 가정하여 상기 두께에서 원단의 두께를 빼면 코팅부 두께가 도출된다.
두께 측정 롤러는 완벽한 원의 단면을 가지지 못하고, 회전축도 일정 정도의 편심을 가지므로, 두께 측정 롤러의 회전각에 따라 변위센서에서 측정된 코팅부 두께는 오차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오차는 특히 광 센서들이 코팅부와 롤러 표면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치한 경우에 문제가 된다. 이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두께 측정 롤러의 측면에 회전각 센서를 설치하였고, 특정 회전각에서의 롤러의 편심, 진원도에 관련된 데이터를 미리 수집하여 이를 변위 센서의 측정값에서 영점 보정함으로써 롤러의 편심과 진원도 차이에 의한 오차를 보정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에 적용되는 회전각 센서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가)를 참조하면, 두께 측정 롤러(101)의 단면을 90도로 분할하면, 롤러의 회전각에 따라 제1회전각 위치(121a), 제2회전각 위치(121b), 제3회전각 위치(121c), 제4회전각 위치(121d)가 도출된다. 각각의 회전각 위치가 변위 센서(110)의 위치에 도달하는 순간에 변위 센서에서 측정된 두께는 원단의 해당 영역의 코팅부 두께가 된다. 이때, 제1회전각 위치(121a), 제2회전각 위치(121b), 제3회전각 위치(121c), 제4회전각 위치(121d)에서 측정된 변위 값들은 두께 측정 롤러의 편심 또는 진원도에 의한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러나, 회전수가 바뀌더라도 동일한 회전각 위치에서 측정된 변위값들은 동일한 편심 또는 진원도 오차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원단을 걸지 않은 상태에서 두께 측정 롤러만의 편심 또는 진원도 값을 미리 도출하여 변위 센서에서 측정된 변위 값을 회전각 위치별로 영점 보정하게 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은 도 3의 (나)와 같다. 도 3의 (나)를 참조하면, 두께 측정 롤러(101)의 측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의 회전각 센서가 설치된다. 제1회전각 센서(124a), 제2회전각 센서(124b), 제3회전각 센서(124c), 제4회전각 센서(124d)는 두께 측정 롤러의 원주에서 중심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두께 측정 롤러의 측부에는 회전각 인지부가 설치되어 있는데, 회전각 인지부는 각각의 회전각 센서(124a, 124b, 124c, 124d)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분하여 설치되어서, 롤러가 회전하면 제1~제4회전각 인지부(123a, 123b, 123c, 123d)가 각각 제1~제4회전각 센서(124a, 124b, 124c, 124d)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접촉 또는 비접촉식으로 반응하여 롤러의 회전각을 감지하게 된다. 회전각 센서가 회전각 인지부를 인식하면, 그 시간에서 변위 센서에서 측정된 변위 값을 매칭시킬 수 있고, 그 변위 값에서 미리 결정된 편심 또는 진원도 정보로 변위 센서에서 측정된 변위에 대하여 영점 보정을 하게 된다. 복수개의 변위 센서에서 무지부 또는 롤러 표면의 변위 값을 빼는 연산과, 회전각 센서에 의한 영점 보정은 별도의 제어부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회전각 센서에 의한 영점 보정은 단순히 회전각 위치에 다른 변화뿐 아니라, 회전 속도에 의한 변수도 반영할 수 있는데, 회전 속도에 따라 편심, 광의 산란도가 변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데이터는 원단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의 롤러 회전으로 사전에 수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에는 냉각 롤러가 적용된다. 압연부를 통과한 원단은 열을 받은 상태이고, 이때 열에 의하여 롤러 또는 원단이 팽창할 수 있으므로 열에 의한 광 센서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냉각 롤러는 상기의 오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에 적용되는 냉각 롤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두께 측정 롤러(101)의 하부 앞뒤에 가이드 롤러(102, 103)가 설치되어 있고, 두께 측정 롤러(101)의 앞단에 제1냉각 롤러(130a), 제2냉각 롤러(130b) 및 제3냉각 롤러(130c)가 설치되어 있다. 냉각 롤러의 개수는 원단의 온도, 냉각 롤러의 열 용량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냉각 롤러(130)는 내부에 냉매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130a)이 형성되어 있고, 냉매가 주입되고 빠져나오는 냉매 주입부(130b)와 냉매 배출부(130c)가 형성되어 있다. 냉각 롤러는 회전하므로 냉매 주입부와 냉매 배출부는 오-링 등을 이용한 회전가능한 밀폐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두께 측정 롤러의 표면에는 세라믹층이 코팅될 수 있다. 코팅부의 열간 프레스를 거친 원단은 두께 측정 롤러에서 열이 남아 열에 의한 롤러의 열 변형에 의하여 측정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두께 측정 롤러의 표면에 세라믹층을 형성하면, 세라믹은 롤러의 금속재질보다 열 팽창율이 낮으므로 열 변형에 의한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세라믹층의 색을 흑색으로 구현하면 광의 산란에 의한 오차도 함께 최소화할 수 있다. 세라믹층은 탄소계 세라믹, 알루미늄계 세라믹, 실리콘계 세라믹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탄소 입자가 분산된 형태일 수 있으며, 흑색의 염료 또는 안료 입자가 분산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압연부에서 열간 프레스가 진행되면 이송된 원단에는 에어 포켓 현상으로 두께 측정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두께 측정 롤러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닙 롤러(nip roller)를 설치하여 에어 포켓 현상에 의한 측정오차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에 적용되는 닙 롤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두께 측정 롤러(101)의 측부에 닙 롤러(140)가 설치되어 있다. 닙 롤러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두께 측정 롤러를 통과하는 원단의 코팅층을 소정의 압력으로 눌러주는 기능을 한다. 닙 롤러는 두께 측정 롤러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6의 (가)는 닙 롤러가 두께 측정 롤러와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고, (나)는 간격을 좁혀 원단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다.
광 센서에 의한 측정 오차를 발생시키는 다른 원인은 진동이다. 진동은 언와인더 롤러, 프레스 롤러, 리와인더 롤러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에서는 언와인더, 압연부 등의 하부 지지대와 독닙된 지지대를 두께 측정부에 설치하여 다른 파트의 진동 전달을 방지한다. 또한 지지대에 방진 패드를 설치하여 두께 측정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구성을 가지고, 진동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두께 측정부의 주변을 알루미늄 프레임으로 감싸 고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의 진동방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두께 측정부를 구성하는 두께 측정 롤러(101), 광 센서(110), 닙 롤러(140) 등은 다른 파트와 구분된 독닙 지지대(153) 위에 설치된다. 독닙 지지대(153) 위에는 방진 패드(152)가 설치되어 있고, 주변에는 알루미늄 프레임(151)이 설치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에서 타임 도메인(time domain)을 주파수 도메인(frequency domain)으로 변환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정밀한 두께 측정 데이터 값을 확보하기 위해 우선 시간에 따른 두께 측정 즉 타임 도메인(time domain) 값으로 데이터를 얻고, 이 데이터를 디스크리트 푸리에 트렌스폼(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을 이용하여 주파수 도메인(frequency domain)으로 변환한다. 디스크리트 푸리에 트렌스폼에 관련된 수식은 아래와 같다. 이때, 주파수 도메인 그래프에서 가장 큰 피크 값을 가지는 것이 두께에 대한 파형으로서 두께 측정 롤러의 편심 함수가 되고, 그 옆의 작은 피크는 경우 두께를 측정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외부 요인 즉 진동 등의 함수가 된다. 그 이후 주파수 도메인(frequency domain) 데이터에서 노이즈를 제거한 후 다시 타임 도메인(time domain)으로 데이터를 변환하면 편심과 진동에 의한 노이즈가 제거된 두께 값을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 구현예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으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설명된 구현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구현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언와인더 20 : 압연부
21 : 상부 롤 22 : 하부 롤
100 : 두께 측정장치 101 : 두께 측정 롤러
102, 103 : 가이드 롤러 104 : 변위 센서
110 : 광 센서 111 : 광 조사부
112 : 광 수집부 111a : 제1광 조사부
111b : 제2광 조사부 111c : 제3광 조사부
111d : 제4광 조사부 112a : 제1광 수집부
112b : 제2광 수집부 112c : 제3광 수집부
112d : 제4광 수집부 121a : 제1회전각 위치
121b : 제2회전각 위치 121c : 제3회전각 위치
121d : 제4회전각 위치 123a : 제1회전각 인지부
123b : 제2회전각 인지부 123c : 제3회전각 인지부
123d : 제4회전각 인지부 124a : 제1회전각 센서
124b : 제2회전각 센서 124c : 제3회전각 센서
124d : 제4회전각 센서 130a : 제1냉각 롤러
130b : 제2냉각 롤러 130c : 제3냉각 롤러
140 : 닙 롤러 151 : 알루미늄 프레임
152 : 방진 패드 153 : 독닙 지지대
200 : 원단 201 : 코팅부
202 : 무지부

Claims (5)

  1. 이차전지용 활물질 압연장치의 후단에 설치되어 활물질 코팅부의 두께를 측정하는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에 있어서,
    활물질이 코팅된 원단이 통과하고, 표면에 세라믹이 코팅된 두께 측정 롤러; 및
    상기 두께 측정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원단의 무지부 영역과 활물질 코팅부 영역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광 센서;
    상기 두께 측정 롤러의 측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회전각 센서;
    상기 두께 측정 롤러의 편심 또는 진원도 정보와 상기 회전각 센서에서 측정된 두께 측정 롤러의 회전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광 센서에서 측정된 전도성 재질의 활물질 코팅부 두께 정보를 보정하는 영점 보정부; 및
    두께 측정 롤러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닙 롤러;를 포함하는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두께 측정 롤러의 앞단에 적어도 하나의 냉각 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
KR1020160045651A 2016-04-14 2016-04-14 이차전지용 전극의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 KR101654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651A KR101654641B1 (ko) 2016-04-14 2016-04-14 이차전지용 전극의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651A KR101654641B1 (ko) 2016-04-14 2016-04-14 이차전지용 전극의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641B1 true KR101654641B1 (ko) 2016-09-22

Family

ID=57102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651A KR101654641B1 (ko) 2016-04-14 2016-04-14 이차전지용 전극의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6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228A (ko) * 2018-01-03 2019-07-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시트 압연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8425A (ja) * 1998-03-03 1999-09-17 Bridgestone Corp シート厚み計測装置
JPH11351856A (ja) * 1998-06-10 1999-12-24 Sumitomo Electric Ind Ltd シート厚さ測定装置
KR20100045631A (ko) * 2008-10-24 2010-05-04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디스플레이용 멀티필름 제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8425A (ja) * 1998-03-03 1999-09-17 Bridgestone Corp シート厚み計測装置
JPH11351856A (ja) * 1998-06-10 1999-12-24 Sumitomo Electric Ind Ltd シート厚さ測定装置
KR20100045631A (ko) * 2008-10-24 2010-05-04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디스플레이용 멀티필름 제조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228A (ko) * 2018-01-03 2019-07-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시트 압연 장치 및 방법
KR102538852B1 (ko) 2018-01-03 2023-06-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시트 압연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0025B1 (ko) 이차전지용 전극의 코팅부 두께 측정방법
JP6027701B1 (ja) しわ発生防止装置付ロールプレス機とロールプレス方法
US11103905B2 (en) Electrode rolling apparatus having heating unit for heating non-coated portion and electrode manufactur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N102271825B (zh) 涂敷膜的宽度的检查方法以及用于该检查方法的检查装置
WO20100235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wound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battery
KR101654641B1 (ko) 이차전지용 전극의 코팅부 두께 측정장치
JP2013218819A (ja) 蓄電装置及び二次電池並びに蓄電装置用電極体の製造方法
US10164234B2 (en) Separator roll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2014103068A (ja) 電極材料のプレス装置、および、プレス加工方法
JP2011042458A (ja) ウエブ搬送装置及びその方法と電池の製造方法
JP6705126B2 (ja) 電極板の製造方法
KR101913476B1 (ko) 전지용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및 전지용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
US20220278307A1 (en) Method for producing electrode
JP4264914B2 (ja) 塗布装置
KR101756501B1 (ko) 전극 시트 프레싱 장치
US2022015815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nd electrode paste coating device
KR20170009468A (ko) 이차전지 전극 제조 방법
JP2015018722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Wurba et al. Methodology for the characterization and understanding of longitudinal wrinkling during calendering of lithium-ion and sodium-ion battery electrodes
JP2018122233A (ja) グラビア塗工装置
US20220190306A1 (en) Web edge metrology
CN214234809U (zh) 应用于湿膜涂布设备的湿膜厚度检测系统
JP2016031812A (ja) 蓄電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蓄電装置の製造装置
JP2023178956A (ja) シート製造システムにおける機械方向位置プロファイル測定
CN115335304A (zh) 张力控制装置、张力控制程序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