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283B1 -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283B1
KR101654283B1 KR1020150012109A KR20150012109A KR101654283B1 KR 101654283 B1 KR101654283 B1 KR 101654283B1 KR 1020150012109 A KR1020150012109 A KR 1020150012109A KR 20150012109 A KR20150012109 A KR 20150012109A KR 101654283 B1 KR101654283 B1 KR 101654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shutter
tray
cassette
sta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1693A (ko
Inventor
김우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Priority to KR1020150012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283B1/ko
Priority to PCT/KR2016/000775 priority patent/WO2016122176A1/ko
Priority to CN201680000530.3A priority patent/CN106068529B/zh
Publication of KR20160091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D11/0021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0006
    • G07D11/0084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매체를 집적하는 카세트부; 및 상기 카세트부에 이송될 상기 매체를 임시로 저장하는 스태커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태커부는, 상기 매체를 지지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와 일정한 경사각도로 벌어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트레이와 함께 상기 매체를 지지하는 가압판; 상기 매체를 상기 카세트부로 이송하는 반송벨트; 및 상기 트레이에서 상기 가압판의 반대측에 마련되어 회전 시 상기 트레이가 일단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트레이 캠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판은, 상기 트레이 캠에 의한 상기 트레이의 회전 시 상기 트레이와의 경사각도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An apparatus for treating bank notes and a method for treating bank notes}
본 발명은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폐, 수표, 유가증권 등과 같이 일정 금액의 가치를 갖는 매체는 안전하고 정확한 처리가 필요하다. 특히 은행이나 상점 등에서 매체를 처리할 경우, 매체의 금액이나 매체의 매수가 맞는지 정확하게 확인하여야 한다.
매체의 수가 많지 않다면, 사람이 직접 손으로 매체를 한 장씩 넘겨가면서 금액을 카운트할 수 있다. 그러나 매체는 얇은 종이 형태를 가지므로, 수동으로 매체를 카운트할 경우 두 장 이상의 매체가 서로 겹쳐짐에 따라, 금액이 불일치하게 되어 분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비교적 적은 매수의 매체를 카운트할 때에는, 2회 이상 카운트하여 정확도를 높이게 된다. 그러나 많은 매수의 매체를 수동으로 카운트하는 것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불편하므로, 매체를 자동으로 카운트해줄 수 있는 계수기를 이용하게 된다.
계수기는 매체의 투입을 허용하는 호퍼(hopper)가 마련되며, 매체가 호퍼에 한꺼번에 투입되면, 롤러가 마찰에 의해 매체를 한 장씩 넘겨가면서 매체의 수를 정확하게 카운트하는 장치이다.
그런데 계수기로 카운트된 매체는, 사람이 다시 계수기에서 꺼내어 처리하게 되는데, 사람이 매체를 꺼내고 옮기는 과정에서 매체가 분실될 우려가 있고, 심하게는 의도적으로 매체를 탈취할 수 있다는 위험이 존재한다.
즉 종래에 사용되는 수동 또는 자동 매체 카운트 방식은, 정확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안전 역시 보장되지 못함에 따라, 거래 간 불만이나 분쟁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서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계수된 매체가 카세트부로 자동 집적되도록 하여, 계수된 매체를 중간에서 탈취할 수 없게 해 안전한 거래를 보장할 수 있는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레이 캠을 이용하여 스태커부에서의 트레이와 가압판의 동작이 하나의 모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게 함으로써, 구성을 단순화하고 제어를 용이하게 한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태커부에서 스태커셔터의 고정과 스태커셔터의 개폐가 하나의 모터에 의해 구현되도록 하여, 구성을 간략히 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구동 동작을 줄여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금고부에 마련되는 금고셔터의 잠금과 개폐를 구현하는 구조를 개선하여, 금고셔터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세트부의 카세트셔터를 개폐하는 카세트셔터 구동부가 카세트의 외부에 마련되도록 하여 카세트의 구조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카세트셔터 구동부와 카세트셔터 간의 결합 형태를 특수한 형태로 가공하여 보안성을 강화한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세트부에서 카세트셔터가 1회 개방되었다가 폐쇄되면, 카세트셔터 구동부만으로는 카세트셔터의 재개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잠금을 구현하는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금고부의 금고 도어가 닫힌 것을 감지하면 금고 도어가 잠기고(Lock), 금고 도어의 잠김이 감지되면 카세트셔터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매체 분실 등의 문제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세트부의 매체 경로 상에 매체가 잔류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매체 감지부를 카세트의 외부에 마련하여 카세트에 별도의 전력이 공급될 필요가 없도록 하되, 카세트에 마련되는 프리즘부를 통해 매체 감지부로 매체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매체가 담긴 매체봉투를 스태커부에 직접 투입하여 카세트부에 집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매체 입금과 매체봉투 입금 두 가지로 입금 거래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는, 매체를 집적하는 카세트부; 및 상기 카세트부에 이송될 상기 매체를 임시로 저장하는 스태커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태커부는, 상기 매체를 지지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와 일정한 경사각도로 벌어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트레이와 함께 상기 매체를 지지하는 가압판; 상기 매체를 상기 카세트부로 이송하는 반송벨트; 및 상기 트레이에서 상기 가압판의 반대측에 마련되어 회전 시 상기 트레이가 일단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트레이 캠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판은, 상기 트레이 캠에 의한 상기 트레이의 회전 시 상기 트레이와의 경사각도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판은, 일단에 베어링이 마련되며, 트레이의 회전 시 상기 베어링이 상기 트레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판은, 이동하는 회전 중심을 갖도록 움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판은, 상기 베어링이 마련되는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상기 트레이에서 멀어지는 경사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판은, 상기 타단이 상기 트레이에 밀착되고 상기 일단이 상기 트레이에서 멀어지는 경사각도가 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레이는, 상기 반송벨트를 회전시키는 반송롤러의 롤러축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롤러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송벨트는, 상기 트레이가 매체를 지지할 시 상기 매체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격되고, 상기 트레이 캠의 회전에 의해 상기 트레이가 회전할 시 상기 매체와 전체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매체를 이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레이 캠을 회전시키는 트레이 구동모터; 및 상기 반송벨트를 회전시키는 반송벨트 구동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판은, 상기 매체와 접촉하는 일면에 상기 매체의 이송 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체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판은, 타단에 상기 매체의 이송을 보조하는 아이들 롤러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은, 호퍼부에 투입된 매체가 계수된 후 스태커부로 이동되고, 확인 버튼 등이 눌리면 스태커부에서 카세트부로 매체가 자동 집적되도록 하여 보안성을 강화하고 분쟁의 소지를 미연에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은, 매체 이송 시 스태커부에서 트레이 및 가압판이 트레이 캠에 의해 단일 모터에 의하여 동작하도록 하여,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은, 호퍼부에서 전달된 매체가 임시로 저장되는 스태커부에 스태커셔터를 마련하여 외부로부터 임시 저장된 매체로의 접근을 차단하며, 스태커셔터의 잠금과 개폐가 단일 모터로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은, 카세트부를 내부에 수용하되 스태커부와 카세트부 사이의 매체 경로를 형성하는 금고부에서, 매체의 이송 경로를 개폐하는 금고셔터의 이동과 잠금이 간단한 구조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은, 매체를 집적하는 카세트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카세트부에 대해서, 금고셔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카세트셔터의 구동이, 카세트와 별도로 마련되어 카세트와 결합해 작동하는 카세트셔터 구동부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카세트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고, 카세트셔터 구동부와 카세트 간 결합 구조를 특수한 형태로 한정해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은, 카세트부에 마련되는 카세트셔터가 개방 후 폐쇄되었을 때, 별도의 잠금을 해제하지 않는 한 카세트셔터의 개방이 다시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하여 카세트가 불필요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은, 금고부에서 카세트부의 인출을 위해 마련되는 금고 도어의 잠금과 카세트셔터의 개방을 연동시켜서, 카세트셔터가 금고 도어의 잠금 시에만 개방되도록 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은, 카세트부에 매체가 남아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하여 매체 감지부를 마련하되, 매체 감지부를 카세트 외부에 마련하여 카세트에 전력 공급이 필요없도록 하며, 카세트에는 프리즘부를 두어 매체 감지부에 의한 감지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은, 매체가 호퍼부를 통해 카세트부로 집적되는 매체 입금과, 복수 매의 매체가 담겨 있는 매체봉투가 스태커부를 통해 카세트부로 집적되는 매체봉투 입금이 모두 구현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카세트부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카세트부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카세트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카세트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카세트부의 메인축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카세트부의 메인기어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카세트부의 사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카세트부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카세트부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스태커부의 사시도이다.
도 21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스태커부의 측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스태커부의 사시도이다.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스태커부의 측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금고부의 사시도이다.
도 30 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금고부의 측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카세트부의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카세트부의 사시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카세트부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카세트부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카세트부의 메인축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카세트부의 메인기어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카세트부의 사시도이며,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카세트부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카세트부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스태커부의 사시도이고, 도 21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스태커부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스태커부의 사시도이고,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스태커부의 측면도이다.또한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금고부의 사시도이고, 도 30 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금고부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1)는, 호퍼부(10), 카세트부(20), 스태커부(30), 감별부(40), 반송부(50), 금고부(60), 입출력부(70), 제어부(80)를 포함한다.
호퍼부(10)는, 매체가 투입되는 구성이다. 호퍼부(10)에 투입되는 매체는 지폐, 수표, 유가증권 등과 같이 일정하게 고정된 금액적 가치를 갖는 모든 지류를 의미할 수 있다.
호퍼부(10)에는 적어도 1매 이상의 매체가 투입될 수 있으며, 후술할 스태커부(30)에는 복수의 매체가 수용된 매체봉투가 투입될 수 있다. 매체봉투의 투입을 통한 거래에 대해서는 도 35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매체봉투와 매체를 모두 포괄하여 매체로 설명하며, 매체로 기재되어 있더라도 매체봉투를 의미할 수 있음을 알려둔다.
호퍼부(10)는 매체의 투입을 허용하기 위하여 입구가 벌어져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호퍼부(10)에 투입되는 매체는 피드롤러 등과 같이 이미 널리 알려진 각종 롤러들을 통하여 스태커부(30)로 반송될 수 있다.
카세트부(20)는, 매체가 집적된다. 카세트부(20)는 호퍼부(10) 또는 스태커부(30)에 투입된 매체가 집적되도록 할 수 있으며, 호퍼부(10)에 투입되는 매체는 감별부(40), 스태커부(30), 반송부(50)를 거쳐 카세트부(20)로 전달될 수 있다.
카세트부(20)는 후술할 금고부(6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금고부(60)의 금고도어(67)가 개방되면 카세트부(20)는 금고부(60)에서 인출될 수 있다. 이는 카세트부(2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카세트부(20)는, 카세트(21), 카세트셔터(22), 카세트셔터 구동부(23), 카세트셔터 동력전달부(24)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12를 토대로 설명하도록 한다.
카세트(21)는,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며 내부에 매체를 수용한다. 카세트(21)에 수용되는 매체는 매체 또는 매체봉투일 수 있다. 카세트(21)는 일정한 수량의 매체를 집적할 수 있으며, 카세트(21)에 충분한 양의 매체가 집적되면 카세트(21)의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카세트(21)에는 각각 식별인자(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고, 카세트부(20) 또는 금고부(60)에는 카세트(21)의 식별인자를 인식하는 인식기(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됨으로써, 카세트(21)의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식별인자는 바코드, QR코드, RFID 등과 같은 다양한 표식일 수 있다.
카세트(21)의 식별은 카세트(21)가 불법적으로 사용될 여지가 있는 카세트(21)가 아닌 적법하게 사용 가능한 카세트(21)인지를 인식하거나, 카세트부(20)마다 카세트(21)가 할당되었을 때 적합한 카세트(21)에 해당하는지를 인식하거나, 또는 카세트(21)에 인입되는 권종이 적절하게 설정되었는지 등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카세트(21)에는 카세트셔터(22)가 마련될 수 있다. 카세트셔터(22)는 카세트(21)로 매체가 인입되기 위한 이송 경로를 개폐할 수 있으며, 카세트셔터(22)는 카세트(21)마다 마련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카세트(21)의 입구 전단에 마련되어 카세트셔터(22)의 하류에서 매체가 분리될 수 있다.
카세트셔터(22)는, 카세트(21)에 마련되어 매체의 이송 경로를 개폐한다. 카세트셔터(22)는 카세트(21)가 카세트부(20)에 설치되었을 때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일정 기간별로(일례로 1일) 거래가 모두 종료되면 폐쇄될 수 있다.
카세트셔터(22)는 평판 형태 또는 요철이 형성되는 굴곡진 판 형태일 수 있으며, 일정한 방향으로 병진운동하여 매체의 이송 경로를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세트셔터(22)의 움직임을 위해서는 구동원이 필요한데, 본 발명에서 구동원은 카세트(21)에 마련되지 않고 카세트(21)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카세트(21)에는 카세트셔터(22)가 마련되지만 카세트셔터(22)의 움직임을 위한 구동원은 구비되지 않으므로, 카세트(21)는 전력 등을 공급받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세트(21)의 구조가 단순화되고 카세트(21)의 제조 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다.
카세트셔터 구동부(23)는, 카세트(21)와 탈착되도록 마련된다. 카세트셔터 구동부(23)는 카세트(21)의 외부에 마련되어 카세트셔터(22)를 구동한다. 즉 카세트(21)는 카세트셔터(22)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외부로부터 공급받지 않아도 되므로, 카세트(21)의 구성은 간소화될 수 있다.
또한 카세트(21)에는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카세트(21)의 고장 발생 확률이 대폭 저감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카세트(21)의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이나 시간 등이 절약될 수 있다.
카세트셔터 구동부(23)는, 자체 전원을 사용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발생된 동력은 카세트셔터 동력전달부(24)를 거쳐 카세트셔터(22)로 전달될 수 있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세트셔터 구동부(23)가 카세트(21)의 외부에 마련됨에 따라, 카세트(21)에는 외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불필요할 수 있다. 즉 카세트셔터(22)는, 카세트셔터 구동부(23)의 동력을 카세트셔터 동력전달부(24)를 통해 전달받아 개폐될 뿐, 카세트(21) 내에 마련되는 구동원에 의해 동작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카세트셔터 구동부(23)는, 메인축(231)을 포함한다. 메인축(231)에 대해서는 카세트셔터 동력전달부(24)를 설명한 이후 도 11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카세트셔터 동력전달부(24)는, 카세트(21)에 마련된다. 카세트셔터 동력전달부(24)는 카세트셔터 구동부(2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카세트셔터(22)에 전달할 뿐,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지 않을 수 있다. 즉 카세트셔터 동력전달부(24)가 구비되더라도 카세트(21)는 전력 공급이 불필요하다.
카세트셔터 동력전달부(24)는, 메인기어(241)를 포함한다. 메인기어(241)는 메인축(231)과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메인기어(24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구(2411)와, 결합돌기(2412)를 구비할 수 있다.
함몰구(2411)는, 원기둥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메인축(231)의 인입을 허용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인축(231)은, 메인기어(241)의 함몰구(2411) 내부에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축(231)의 외측이 함몰구(2411)에 인입되어 함몰구(2411)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
함몰구(2411)의 내부에는 결합돌기(2412)가 마련되는데, 결합돌기(2412)는 함몰구(2411)에 돌출되며 오각형의 단면을 갖는다. 다만 결합돌기(2412)의 외면과 함몰구(2411)의 내면은 이격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함몰구(2411)의 내면과 결합돌기(2412) 사이의 공간에 메인축(231)이 삽입될 수 있다.
카세트셔터 구동부(23)의 메인축(231)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 인입구(231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돌기 인입구(2311)는, 오각형의 단면을 가진다. 따라서 돌기 인입구(2311)의 내측에 결합돌기(2412)의 인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돌기 인입구(2311)와 결합돌기(2412)가 각각 오각형의 단면을 가짐에 따라, 메인축(231)이 회전하게 되면 결합돌기(2412)는 돌기 인입구(2311)에 맞물린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즉 메인축(231)의 회전이 오각형의 단면을 갖는 돌기 인입구(2311)와 결합돌기(2412)를 통해 메인기어(241)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결합돌기(2412)는 함몰구(2411)의 내부에 위치하고, 함몰구(2411)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즉 결합돌기(2412)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외측이 함몰구(2411)의 내면에 인입되면서 내측에 결합돌기(2412)와 맞물리는 돌기 인입구(2311)를 갖는 메인축(231)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메인축(231)의 형상은, 돌기 인입구(2311)를 오각형으로 한정함에 따라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너트 등의 형상과 차별화될 수 있다. 따라서 카세트셔터(22)의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한 메인축(231)은, 복제의 난이도가 상당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오각형이라는 형상을 이용하여 메인기어(241)의 회전을 위한 도구를 별도로 제작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발생하도록 해, 카세트셔터(22)가 불법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카세트셔터 구동부(23)의 메인축(231)이 회전하는 경우, 카세트셔터 동력전달부(24)의 메인기어(241)의 회전이 카세트셔터(22)에 어떻게 전달되는지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한다.
메인축(231)에는 메인기어(241)가 연결될 수 있고, 메인기어(241)는 메인축(231)에 고정되어 메인축(231)이 회전될 때 함께 회전된다. 이때 메인기어(241)는 웜기어일 수 있으며, 메인기어(241)에는 헬리컬기어(242)가 맞물려 있을 수 있다.
헬리컬기어(242)는, 메인기어(241)에 맞물려 회전한다. 다만 메인기어(241)가 웜기어이므로, 헬리컬기어(242)의 회전 평면은 메인기어(241)의 회전평면과 수직이 될 수 있다.
헬리컬기어(242)에는 제1 구동축(244)이 연결되며, 카세트셔터(22)에는 제2 구동축(245)이 마련되는데, 제1 구동축(244)과 제2 구동축(245)은 카세트셔터 구동벨트(243)로 연결된다. 메인기어(241)의 회전이 헬리컬기어(242)로 전달되면, 제1 구동축(244)이 회전하고 제1 구동축(244)의 회전은 카세트셔터 구동벨트(243)를 따라 제2 구동축(245)으로 전달된다.
이때 제2 구동축(245)이 회전하면, 카세트셔터(22)가 개폐될 수 있다. 제2 구동축(245)의 회전에 의하여 카세트셔터(22)가 개폐되는 원리는, 랙(부호 도시하지 않음)과 랙기어(부호 도시하지 않음) 등과 같이 다양한 연결 구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카세트셔터(22)는, 메인기어(241), 헬리컬기어(242), 제1 구동축(244), 카세트셔터 구동벨트(243), 제2 구동축(245)을 따라 전달되는 동력을 통해 개폐되며, 이때 카세트셔터 구동벨트(243)는 헬리컬기어(242)와 연결되어 카세트셔터(22)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카세트셔터 동력전달부(24)는, 카세트셔터 구동부(23)의 메인축(231)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그대로 카세트셔터(22)에 전달할 뿐이어서, 카세트(21)에 별도로 전력 등의 공급이 필요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카세트부(20)는, 잔류매체 제거부(2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잔류매체 제거부(246)는, 매체의 이송 경로에 돌출되도록 움직일 수 있다. 매체의 이송 경로 상에 매체가 잔류해있다면, 잔류매체 제거부(246)는 잔류한 매체를 직접 가압하여 제거할 수 있다.
즉 잔류매체 제거부(246)는 매체의 이송 경로 상에 잔류될 수 있는 매체를 밀어내며, 카세트셔터(22)와 연동하여 같은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세트셔터 동력전달부(24)는 잔류매체 제거부(246)와 연결되는 제3 구동축(247)과, 제1 구동축(244)의 회전을 제3 구동축(247)에 전달하는 잔류매체 제거용벨트(248)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잔류매체 제거용벨트(248)는 메인기어(241)에 의한 제1 구동축(244)의 회전을 제3 구동축(247)에 그대로 공급함으로써, 잔류매체 제거부(246)가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잔류매체 제거용벨트(248)는, 일단이 제1 구동축(244)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3 구동축(247)에 연결되어, 제1 구동축(244)의 회전력을 제3 구동축(247)에 전달할 수 있다. 잔류매체 제거용벨트(248)는 카세트셔터 구동벨트(243)와 간섭 없이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카세트셔터 구동벨트(243)와 대비할 때 총 길이가 상이할 수 있다. 이는 제2 구동축(245)과 제3 구동축(247)의 위치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카세트셔터 구동부(23)가 카세트셔터 동력전달부(24)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고, 회전력이 여러 구성을 통해서 카세트셔터(22)로 전달됨으로써 카세트셔터(22)의 개방 또는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카세트(21)에는 전력의 공급이 필요없게 해 카세트(2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잔류매체 제거부(246)가 카세트셔터(22)의 폐쇄 시 매체의 이송 경로를 가리는 방향으로 움직여서, 이송 경로 상에 잔류할 수 있는 매체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카세트부(20)는, 도 13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셔터락(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카세트셔터락(25)은, 카세트셔터(22)의 이동을 제한하며, 구체적으로는 카세트셔터(22)가 1회 개방되었다가 폐쇄되었을 때, 다시 개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카세트셔터락(25)은, 움직이는 카세트셔터(22)에 의하여 가압되어 회전할 수 있다.
카세트셔터락(25)을 통한 카세트셔터(22)의 잠금을 위해, 카세트셔터(22)는 일면에 가이드면(221)이 돌출되고 일단에 걸림면(2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면(221)은, 카세트셔터(22)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카세트셔터(22)의 일면과 수직하게 돌출될 수 있고, 걸림면(222)은 카세트셔터(22)의 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카세트셔터(22)의 일면과 수직하게 돌출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면(221) 및 걸림면(222)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ㄱ"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즉 도면을 기준으로 가이드면(221)과 걸림면(222)은 좌우로 뒤집어진 "ㄱ"자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카세트셔터락(25)은, 매체의 이송 경로의 개방을 위해 카세트셔터(22)가 일방향으로 움직이면, 일단이 카세트셔터(22)에 의해 밀림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카세트셔터락(25)은 고정된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하므로, 일단이 회전하면 타단 역시 회전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카세트셔터락(25)의 타단은, 가이드면(22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가이드면(2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후 이송 경로의 폐쇄를 위해 카세트셔터(22)가 타방향으로 움직이면, 카세트셔터락(25)의 타단이 가이드면(221)을 지나 걸림면(222)에 안착된다. 그런데 가이드면(221)은 카세트셔터(22)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이지만, 걸림면(222)은 카세트셔터(22)의 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걸림면(222)에 안착된 카세트셔터락(25)의 타단은 걸림면(222)에 걸리게 되며, 이송 경로의 재개방을 위한 카세트셔터(22)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과정에 대해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셔터(22)가 폐쇄되어 있으면, 카세트셔터락(25)은 회전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셔터(22)가 도면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움직이면, 카세트셔터락(25)의 일단이 상방으로 밀림에 따라, 카세트셔터락(25)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카세트셔터락(25)의 타단은 카세트셔터(22)의 가이드면(221)에 밀착될 수 있다.
이후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셔터(22)가 지속적으로 움직이면, 카세트셔터락(25)의 타단은 가이드면(22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카세트셔터(22)와 상대운동할 수 있다. 이때 카세트셔터락(25)의 일단은 가이드면(221)에서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카세트셔터(22)는 이송 경로를 개방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후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셔터(22)가 이송 경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게 카세트셔터락(25)의 타단은 가이드면(22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셔터(22)에 의한 이송 경로의 폐쇄가 완료되면, 카세트셔터락(25)의 타단은 가이드면(221)을 벗어나게 된다. 이때 카세트셔터락(25)은, 타단이 걸림면(22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카세트셔터락(25)의 타단은 가이드면(221)을 벗어나 걸림면(222)에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세트셔터락(25)의 타단이 걸림면(222)에 걸려있으면, 카세트셔터(22)가 이송 경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한다. 즉 카세트셔터(22)의 재개방이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카세트셔터락(25)의 일단을 도면 기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야만, 카세트셔터락(25)의 타단이 걸림면(222)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즉 카세트셔터락(25)은, 카세트셔터(22)가 일방향으로 움직이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카세트셔터(22)가 타방향으로 움직이면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카세트셔터락(25)은, 초기 상태인 잠금 해제 상태에서 카세트셔터(22)의 1회 개방은 허용하되, 카세트셔터(22)의 1회 개방 후 잠금 상태로 전환되어 카세트셔터(22)의 움직임을 차단하여, 카세트셔터(22)의 재개방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카세트셔터(22)가 무분별하게 개폐되는 것을 차단하고, 카세트(21)를 사용할 시 카세트셔터(22)의 개방 상태가 유지되었다가, 카세트(21) 인출 등을 위해 카세트셔터(22)가 폐쇄되었을 때 다시 카세트셔터(22)를 개방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되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대폭 강화할 수 있다.
다만 카세트셔터락(25)은, 카세트셔터락(25)에 연결되며 카세트셔터락(25)의 회전에 연동하여 움직여서 카세트셔터(22)의 이동 제한 여부를 표시하는 락 표시부(251)를 구비할 수 있다.
락 표시부(251)는 카세트셔터락(25)이 잠금 해제 상태에 있는지, 또는 잠금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주는 것으로, 외부에서 확인 가능한 위치에 노출되거나 비교적 확인이 용이한 위치에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카세트부(2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체 감지부(26), 프리즘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매체 감지부(26)는, 카세트셔터 구동부(23)에 마련된다. 매체 감지부(26)는 후술하겠으나 전자기파의 방출을 위하여 전력을 사용해야 하는 구성인바, 카세트(21)가 아닌 카세트셔터 구동부(23)에 마련됨으로써, 카세트(21)에 전력 공급이 필요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매체 감지부(26)는, 전자기파를 방출 및 감지하여 매체의 잔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방출된 전자기파가 되돌아온다면 매체의 잔류가 없는 것이며, 방출된 전자기파가 되돌아오지 않는다면 매체가 잔류한 것이다. 이를 감지하기 위해 전자기파는 매체를 관통하지 못하는 가시광선 등일 수 있다.
매체 감지부(26)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매체 감지부(26)는, 매체의 이송 경로 상에서 매체가 잔류하고 있는지를 감지하며, 다른 하나의 매체 감지부(26)는, 카세트(21)의 입구단에 매체가 잔류함에 따라 카세트(21)에 충분한 양의 매체가 집적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즉 매체 감지부(26)는, 매체의 잔류 문제를 감지하거나 또는 카세트(21)의 여유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매체 감지부(26)는, 전자기파를 방출하는 발광부(261)와, 되돌아오는 전자기파를 감지하는 수광부(262)를 구비할 수 있다. 발광부(261)는 실시간 또는 일정시간 간격 또는 원하는 시간에 전자기파를 방출할 수 있으며, 수광부(262)는 전자기파를 감지할 수 있다. 만약 수광부(262)가 전자기파를 감지하면, 매체의 잔류가 없는 것을 의미하며, 수광부(262)가 전자기파를 감지하지 못하면, 매체가 잔류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매체 감지부(26)는, 매체의 이송 경로에 매체가 잔류할 경우 전자기파가 수광부(262)에 감지되지 않음을 통하여 매체가 잔류하였음을 파악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발광부(261)와 수광부(262)는, 서로 마주하는 것이 아니라, 측방향으로 나란히 놓여있을 수 있다. 즉 발광부(261) 및 수광부(262)는 전자기파의 방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261)에서 방출되는 전자기파는, 직진성을 갖는 이상 별다른 조치 없이는 수광부(262)로 전달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후술할 프리즘부(27)를 이용하여 전자기파를 되돌려 줌으로써, 발광부(261)와 수광부(262)를 인접하게 배치하면서도 전자기파를 이용한 매체의 감지를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프리즘부(27)는, 카세트(21)에 마련되고 매체 감지부(26)와 이격 배치된다. 프리즘부(27)는 매체 감지부(26)에서 방출된 전자기파가 매체 감지부(26)로 되돌아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프리즘부(27)는, 전자기파가 매체의 이송 경로를 거쳐 매체 감지부(26)로 되돌아가도록 함으로써, 매체의 이송 경로 상에 매체가 잔류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프리즘부(27)는, 발광부(261)로부터 방출된 전자기파를 절곡시킨 후, 발광부(261) 및 수광부(262)가 이격 배치된 간격만큼 전자기파의 전달을 허용한 뒤, 전자기파를 다시 절곡시켜 수광부(262)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리즘부(27)는 사다리꼴 등의 단면을 갖는 형태일 수 있으며, 전자기파가 두 번의 경사면에 부딪히도록 하여, 전자기파를 수광부(262)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리즘부(27)는, 전자기파를 90도로 2회 절곡시키며, 발광부(261)로부터 방출된 전자기파와 수광부(262)로 전달되는 전자기파가 평행하도록 전자기파를 절곡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카세트셔터 구동부(23)에 전자기파의 방출을 위한 전력을 받아야 하는 매체 감지부(26)를 두고, 카세트(21)에는 프리즘부(27)만을 구비함으로써, 카세트(21)에 전력 공급을 하지 않더라도 카세트(21) 내부의 매체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물론 이때 매체 감지부(26)와 프리즘부(27) 사이, 구체적으로는 발광부(261)와 프리즘부(27) 사이 및 프리즘부(27)와 수광부(262) 사이에는, 전자기파의 전달을 허용할 수 있는 구조(일례로 빈 공간 등)가 마련될 수 있다.
스태커부(30)는, 카세트(21)에 이송될 매체를 임시로 저장한다. 스태커부(30)는 호퍼부(10)에 투입된 매체가 반송부(50)를 거쳐 카세트부(20)로 전달되기 전에 매체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스태커부(30)를 두어 매체를 임시로 저장하는 이유는, 고객이 거래를 취소할 수 있고, 카세트부(20)에 이미 집적된 매체를 인출하는 것은 불가능하거나 번거롭기 때문이다. 즉 스태커부(30)는, 매체가 반송부(50)를 거쳐 카세트부(20)로 인출되어도 좋은지 확인을 받기 위한 시간을 버는 구성이다.
스태커부(30)는, 임시로 저장해두는 매체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즉 스태커부(30)에서 매체가 임시로 저장되는 공간은 외부와 차폐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스태커부(30)는 스태커셔터(31) 등을 포함하므로, 필요할 경우에는 스태커부(30)의 내부 공간이 개방될 수 있다.
또는 매체봉투의 입금 거래 시에는, 스태커부(30)의 내부 공간이 개방되어 매체봉투가 호퍼부(10) 대신 스태커부(30)에 직접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스태커부(30)의 기본 상태는 내부 공간이 폐쇄된 상태일 수 있다.
스태커부(30)는, 스태커셔터(31), 스태커셔터락(32), 스태커 회전기어(33), 스태커 구동모터(3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태커셔터(31)는, 회전에 의해 매체의 임시 저장 공간을 개폐한다. 스태커부(30)의 내부 공간인 매체의 임시 저장 공간을 개방하는 경우는, 매체가 리젝트(reject)되는 경우이거나, 입금이 취소되는 경우이거나, 또는 매체봉투의 투입이 필요한 경우일 수 있다.
스태커셔터(31)는 고정된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때 회전중심은 후술할 스태커셔터 회전기어(33)의 회전중심일 수 있다. 다만 스태커셔터 회전기어(33)가 회전하더라도, 스태커셔터(31)가 반드시 함께 회전하는 것은 아니다.
스태커셔터(31)는 양측에 스태커셔터 돌기(311)가 마련될 수 있다. 스태커셔터 돌기(311)는 스태커셔터 회전기어(33)에 의해 가압될 수 있으며, 스태커셔터 돌기(311)가 스태커셔터 회전기어(33)에 의해 가압될 때에만 스태커셔터(31)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스태커셔터(31)는 스태커셔터 회전기어(33)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지만, 스태커셔터 돌기(311)가 가압되지 않는 동안에는 스태커셔터 회전기어(33)가 회전하더라도 스태커셔터(31)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스태커셔터(31)는, 불필요하게 회전되지 않아야 한다. 이는 호퍼부(10)에 투입된 매체가 스태커부(30)를 거쳐 반송부(50)를 통해 카세트부(20)로 집적될 때, 스태커셔터(31)가 쉽게 열려서 스태커부(30)의 내부 공간으로의 접근이 용이하다면, 매체의 이송과정에서 매체가 도난 또는 분실될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태커셔터(31)는 스태커셔터락(32)에 의해 회전이 제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스태커셔터 회전기어(33)에 의한 스태커셔터(31)의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스태커셔터락(32)은, 스태커셔터(31)의 일단을 지지하여 스태커셔터(31)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 스태커셔터(31)는 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임시 저장 공간을 개방시킬 수 있는데, 스태커셔터락(32)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태커셔터(31)의 좌측 하단을 지지함으로써, 스태커셔터(31)의 반시계방향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스태커셔터락(32)은, 스태커셔터 회전기어(33)에 의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태커셔터락(32)은, 스태커셔터(31)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321)와, 지지부(321)에 연결되는 링크부(322)로 구성될 수 있는데, 링크부(322)는 일단이 지지부(321)에 연결되고 타단이 스태커셔터 회전기어(33)에 맞물릴 수 있다. 이때 스태커셔터 회전기어(33)가 움직이면, 링크부(322)가 회전하면서 지지부(321)가 움직이게 되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21)에 의한 스태커셔터(31)의 지지가 해제되어 스태커셔터(31)의 반시계방향 회전이 허용될 수 있다.
스태커 회전기어(33)는, 회전에 의해 스태커셔터락(32)을 회전시켜 스태커셔터(31)의 회전 잠금을 해제한 후에 이어서 스태커셔터(31)를 회전시켜 임시 저장 공간을 개방할 수 있다.
스태커 회전기어(33)는, 스태커셔터락 가압부(331)와, 스태커셔터 가압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태커셔터락 가압부(331)는, 스태커셔터락(32)에 밀착되어 회전에 의해 스태커셔터락(32)을 가압하며, 구체적으로는 스태커셔터락(32)의 링크부(322)를 회전시켜서 지지부(321)의 지지를 해제할 수 있다.
스태커셔터 가압부(332)는, 스태커셔터락 가압부(331)에 의한 스태커셔터락(32)의 가압 후에 이어서 스태커셔터(31)에 밀착되어 회전에 의해 스태커셔터(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스태커셔터 가압부(332)는 스태커셔터락 가압부(331)와 함께 스태커 회전기어(33)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각도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스태커셔터 회전기어(33)가 회전하게 되면, 순차적으로 스태커셔터락 가압부(331)에 의한 가압이 이루어진 후, 스태커셔터 가압부(332)에 의한 가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스태커셔터락 가압부(331)에 의한 가압은, 스태커셔터 회전기어(33)가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동안 충분히 이루어져야만 스태커셔터락(32)의 잠금 해제가 가능하다. 따라서 스태커셔터락 가압부(331)에 의한 가압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스태커셔터 가압부(332)에 의한 가압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스태커 회전기어(33)는, 함몰부(333)를 가질 수 있다. 함몰부(333)는 스태커셔터(31)에 마련되는 스태커셔터 돌기(311)가 내측에 수용되도록 하는 구성이며, 함몰부(333)의 양측에는 한 쌍의 스태커셔터 가압부(332)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함몰부(333)의 양측에는 각각 제1 스태커셔터 가압부(3321)와 제2 스태커셔터 가압부(3322)가 마련되며, 제1 스태커셔터 가압부(3321)는, 스태커셔터 돌기(311)의 상측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스태커셔터(3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 저장 공간을 개방하는 구성일 수 있다.
반면 제2 스태커셔터 가압부(3322)는, 스태커셔터 돌기(311)의 하측을 상방으로 가압하여 스태커셔터(31)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임시 저장 공간을 폐쇄하는 구성일 수 있다. 즉 스태커셔터 돌기(311)가 제1 스태커셔터 가압부(3321) 또는 제2 스태커셔터 가압부(3322)에 의해 가압되면, 스태커셔터(31)가 회전될 수 있으며, 이는 반대로 스태커셔터 돌기(311)가 제1 스태커셔터 가압부(3321)와 제2 스태커셔터 가압부(3322) 사이인 함몰부(333) 내에서 위치가 변경되는 동안에는 스태커셔터(31)가 회전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스태커셔터(31)가 회전되지 않는 동안에는, 스태커셔터락(32)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즉 함몰부(333)는, 스태커 회전기어(33)가 일정 각도만큼 회전 시 스태커셔터 돌기(311)가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스태커셔터 돌기(311)의 위치가 스태커셔터 가압부(332)에 의한 가압 없이 내측에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스태커셔터 가압부(332)는, 스태커 회전기어(33)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함몰부(333)의 내측에서 스태커셔터 돌기(311)의 위치가 변경되는 동안 스태커셔터 돌기(311)를 가압하지 않게 된다.
그런데 스태커셔터락 가압부(331)는, 스태커 회전기어(33)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함몰부(333)의 내측에서 스태커셔터 돌기(311)의 위치가 변경되는 동안, 스태커셔터락(32)을 가압하여 스태커셔터(31)의 회전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스태커셔터(31)의 개방은, 스태커셔터락 가압부(331)에 의한 스태커셔터락(32)의 잠금 해제 이후, 스태커셔터 가압부(332)에 의한 스태커셔터(31)의 회전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스태커셔터 회전기어(33) 하나만으로 스태커셔터(31)의 잠금을 해제하면서 스태커셔터(31)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반면 스태커셔터 회전기어(33)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태커셔터(31)는 임시 저장 공간을 밀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스태커셔터(31)가 끝까지 움직인 후 스태커셔터락(32)이 스태커셔터(31)의 회전을 다시 잠그게 된다.
이를 위해 스태커셔터(31)는, 임시 저장 공간을 폐쇄하는 방향으로의 회전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즉 스태커셔터(31)는 별도의 외력이 없다면 임시 저장 공간을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태커셔터(31)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태커셔터락 가압부(331)에 의한 스태커셔터락(32)의 가압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회전 탄성력에 의해 스태커셔터 돌기(311)가 제1 스태커셔터 가압부(3321)를 밀어내도록 하여, 스태커 회전기어(33)의 타방향 회전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스태커셔터락(32)은, 스태커셔터(31)의 회전 잠금을 설정하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가질 수 있는데, 스태커셔터락(32)은 스태커셔터락 가압부(331)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탄성력에 의해 움직여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태커셔터(31)의 회전 잠금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스태커셔터(31)의 회전 탄성력이나 스태커셔터락(32)의 탄성력은,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비될 수 있다.
스태커 구동모터(34)는, 스태커 회전기어(33)를 회전시킨다. 스태커 구동모터(34)는 스태커 회전기어(33)의 회전을 위하여 스태커 회전기어(33)와 맞물리는 스태커 구동기어(341)를 구비할 수 있다.
스태커 구동모터(34)가 스태커 구동기어(341)를 회전시켜서 스태커 회전기어(33)가 회전하면, 스태커 회전기어(33)의 총 회전각도 중 0 부터 임계값까지의 회전에서는, 스태커셔터락(32)이 해제되고 스태커셔터(31)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후 임계값부터 총 회전각도까지의 회전에서는, 스태커셔터락(32)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스태커셔터(31)가 회전할 수 있다.
즉 스태커 구동모터(34)는, 스태커셔터락(32)과 함께 스태커셔터(31)를 구동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모터로 잠금과 개폐를 모두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성의 단순화가 가능하다.
스태커부(30)는,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35), 가압판(36), 반송벨트(37), 트레이 캠(38), 트레이 구동모터(351), 반송벨트 구동모터(3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35)는, 매체를 지지한다. 트레이(35)는 매체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으며, 트레이(35)에 지지되는 매체는 트레이(35)와 가압판(36) 사이에 놓이게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트레이(35)는 매체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트레이(35)의 높이는 매체가 기울어져서 인입되었을 때에도 충분히 매체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트레이(35)는 평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후술할 반송롤러(371)의 롤러축(372)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트레이(35)는 매체를 지지할 수 있지만, 트레이(35)가 회전하게 되면 매체는 트레이(35)가 아닌 반송벨트(37)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이때 매체는 반송벨트(37)에 의하여 후술할 반송부(50)로 반송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35)는 반송되기 이전 상태인 매체를 지지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트레이(35)는, 회전 시 반송벨트(37)가 매체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트레이(35)의 형태가 "U", "W" 또는 "|||" 형태 등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의미한다. 트레이(35)가 회전하면, 반송벨트(37)는 트레이(35)에서 벌어진 부분을 통하여 노출될 수 있고, 반송벨트(37)가 매체에 접촉하면 트레이(35)가 매체에 접촉한 면적은 감소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매체는 트레이(35)에 지지되어 있다가 반송벨트(37)에 의해 반송될 수 있다.
트레이(35)는, 후술할 트레이 캠(38)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트레이(35)의 일단이 반송벨트(37)를 회전시키는 반송롤러(371)의 롤러축(372)에 연결되고, 타측 또는 중간측에 트레이 캠(38)이 밀착되는데, 트레이 캠(38)이 회전함에 따라 트레이(35)를 밀어내는 정도가 달라지므로, 트레이(35)는 롤러축(372)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가압판(36)은, 트레이(35)와 일정한 경사각도로 벌어지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트레이(35)와 가압판(36)은 "<" 형태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벌어진 공간으로 매체의 투입이 허용될 수 있다.
가압판(36)은 매체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즉 매체는 가압판(36)의 상면에 수직하게 적재되거나, 또는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적재될 수 있으며, 매체는 가압판(36)과 평행하지 않게 놓여있을 수 있다.
가압판(36)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데, 트레이(35)의 회전은 롤러축(372)을 기준으로 이루어지는 반면, 가압판(36)의 회전은 이동하는 회전 중심을 갖도록 움직일 수 있다. 이때 가압판(36)이 움직이면, 가압판(36)과 트레이(35) 사이의 벌어진 각도가 감소하게 된다.
즉 가압판(36)은, 트레이(35)와의 경사각도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때 가압판(36)에 의해 지지되는 매체는 가압판(36)과 이루는 경사각이 점차 낮아지게 된다.
가압판(36)이 충분히 회전하면, 가압판(36)은 트레이(35)와 평행하게 놓일 수 있고, 매체는 가압판(36)과 트레이(35) 사이에서 압착될 수 있다. 이후 트레이(35)가 더 회전하면, 가압판(36)과 트레이(35)는 트레이(35)가 회전되기 이전에 벌어졌던 각도와는 반대로 벌어져서, 반송벨트(37)와 가압판(36) 사이에 매체가 놓이게 되며, 매체는 반송벨트(37)에 의해 반송될 수 있다.
가압판(36)은 트레이 캠(38)에 의해 트레이(35)가 회전될 때, 트레이(35)의 회전에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압판(36)은, 일단에 베어링(361)이 마련되며, 트레이(35)의 회전 시 베어링(361)이 트레이(35)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즉 가압판(36)은, 도 27에 나타난 바와 같이 "/" 상태로 위치해 있으며, 하단에 마련된 베어링(361)이 트레이(35)에 밀착되어 있다. 이때 베어링(361)은 트레이(35)와 밀착될 뿐, 트레이(35)에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캠(38)의 회전에 의해 트레이(35)가 회전하면, 가압판(36)의 하단에 마련된 베어링(361)은 트레이(35)에 밀착된 상태에서 트레이(35)의 면을 따라 하강하게 되므로, 가압판(36)은 "\"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가압판(36)은 고정된 회전중심을 두고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로 마련되는 탄성부재(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하여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밀려서 회전하게 되며, 가압판(36)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좌측으로 움직이게 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판(36)과 트레이(35) 사이의 경사각도는 감소하며, 매체에 접촉하는 구성은 트레이(35)에서 반송벨트(37)로 변환될 수 있고, 가압판(36)은 반송벨트(37)에 의해 매체가 반송될 때 매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가압판(36)은, 베어링(361)이 마련되는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트레이(35)에서 멀어지는 경사각도를 형성하였다가, 이후 타단이 트레이(35)에 밀착되고 일단이 트레이(35)에서 멀어지는 경사각도가 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이때 가압판(36)은, 매체와 접촉하는 일면에 매체의 이송 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돌출되는 매체 지지돌기(363)가 마련될 수 있다. 매체 지지돌기(363)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며, 매체와 가압판(36) 사이의 접촉 면적을 줄여서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가압판(36)은, 베어링(361)이 마련되는 일단의 반대편인 타단에 매체의 이송을 보조하는 아이들 롤러(362)가 마련될 수 있다. 아이들 롤러(362)는 별도의 회전력을 받지 않고 자연스럽게 회전되는 구성이며, 매체의 반송 시 매체의 움직임을 가이드해 줄 수 있다.
반송벨트(37)는, 매체를 카세트부(20)로 이송한다. 반송벨트(37)는 아이들 롤러(362)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비교적 광폭인 벨트일 수 있다. 반송벨트(37)에 의해 이송되는 매체는 1매이거나 복수 매일 수 있다.
반송벨트(37)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반송벨트(37)는 서로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서로 간의 간섭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이들 롤러(362) 역시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나의 반송벨트(37)는 하나의 아이들 롤러(362)와 매체를 사이에 두고 밀착될 수 있다.
반송벨트(37)는, 트레이(35)가 매체를 지지할 시 매체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반송벨트(37)는 회전하더라도 매체의 반송을 구현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트레이 캠(38)의 회전에 의해 트레이(35)가 회전할 시, 반송벨트(37)는 매체와 전체적으로 밀착되어 매체를 이송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매체에 트레이(35)가 밀착되어 매체의 반송을 대기할 수 있고, 매체에 반송벨트(37)가 밀착되어 매체의 반송을 수행할 수 있다.
트레이(35)의 회전에 의해 반송벨트(37)가 노출되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트레이(35)가 "W" 형태 또는 "|||" 등과 같이 벌어진 공간을 갖는 형태로 마련되기 때문이며, 물론 트레이(35)는 이러한 형태 외에도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반송벨트(37)는 반송롤러(371)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으며, 반송롤러(371)는 후술할 반송벨트 구동모터(373)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반송롤러(371)는 반송벨트 구동모터(373)에 의하여 직접 회전력을 전달받아 능동적으로 회전하여 반송벨트(37)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또는 반송벨트 구동모터(373)가 직접 반송벨트(37)를 회전시키고 반송롤러(371)는 아이들 상태로 놓여있을 수 있다.
반송롤러(371)의 롤러축(372)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트레이(35)의 회전중심이 될 수 있으며, 반송벨트(37)의 구동과 트레이(35)의 회전은 연동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35)가 회전하면 반송벨트(37)는 매체에 접촉됨과 동시에 매체를 반송시킬 수 있다.
트레이 캠(38)은, 트레이(35)에서 가압판(36)의 반대측에 마련되어 회전한다. 트레이 캠(38)은 회전 시 트레이(35)가 일단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27의 경우 트레이 캠(38)은 트레이(35)를 최대한 우측으로 밀어내는 상태이며, 도 28의 경우 트레이 캠(38)은 트레이(35)를 최대한 좌측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트레이 캠(38)의 회전 시 트레이(35)가 트레이 캠(38)에 의해 가압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트레이 캠(38)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어 타방향으로 회전하므로, 트레이(35)는 필요에 따라 반송벨트(37)를 매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회전하여 매체의 반송을 구현할 수 있다.
트레이 캠(38)은, 트레이 구동모터(351)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이때 트레이 구동모터(351)와 트레이 캠(38)은 벨트로 연결될 수 있으며, 물론 벨트 외의 다양한 구성을 통하여 동력이 트레이 캠(38)으로 전달될 수 있다.
트레이 캠(38)이 트레이(35)를 회전시키게 되면, 반송벨트(37)가 트레이(35)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매체를 반송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트레이 캠(38)의 회전과 반송벨트(37)의 구동은 연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트레이 구동모터(351)와 반송벨트 구동모터(373)의 연동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트레이 구동모터(351)는, 트레이 캠(38)을 회전시킨다. 트레이 구동모터(351)는 트레이 캠(38)을 회전시켜서 트레이 캠(38)에 의해 트레이(35)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트레이 구동모터(351)는 반송벨트(37)가 트레이(35)를 대신하여 매체에 밀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트레이 구동모터(351)는 벨트 등의 연결을 통해 트레이 캠(38)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트레이 구동모터(351)와 후술할 반송벨트 구동모터(373)는 동시에 동작하거나 또는 시간차를 두고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반송벨트 구동모터(373)는, 반송벨트(37)를 회전시킨다. 반송벨트 구동모터(373)는 반송벨트(37)를 직접 회전시키거나, 별도로 마련되는 풀리 등을 사용하여 반송벨트(37)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반송롤러(371)를 강제로 회전시켜 반송벨트(37)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트레이 구동모터(351)와 반송벨트 구동모터(373)는 동시에 동작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트레이 구동모터(351)의 작동에 의하여 반송벨트(37)가 트레이(35)의 외측으로 노출됨과 동시에 매체가 반송벨트(37)를 따라 이송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매체가 트레이(35)를 벗어남과 동시에 반송되면 매체가 구겨지거나 잼(jam)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바, 트레이 구동모터(351)와 반송벨트 구동모터(373)는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트레이(35)가 회전하면서 반송벨트(37)가 매체에 접촉한 뒤 반송벨트(37)가 매체를 반송하여, 매체 이송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감별부(40)는, 매체를 감별한다. 감별부(40)는 화상 촬영, 자기장 인식 등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통해 매체를 감별하여, 매체의 진위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감별부(40)는 호퍼부(10)에 투입된 매체를 확인한 후 스태커부(30)로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스태커부(30)에 매체봉투가 투입되는 경우에는, 감별부(40)는 감별을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후술할 화면부(74)에 입력하는 금액을 신뢰하여 감별 없이 카세트부(20)에 매체봉투가 집적될 수 있다.
물론 감별부(40)는, 스태커부(30)에서 카세트부(20)로 매체봉투가 전달되는 동안 매체봉투에 마련되는 식별인자를 인식하여 매체봉투의 진위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매체봉투가 적법하게 사용가능한 것인지가 감별부(40)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또한 매체봉투가 적합한 사용자에 의해 투입되었는지 여부도 감별부(40)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다만 감별부(40)는 매체봉투의 내부에 위치한 매체들의 총 금액을 카운트하지 못할 수 있다. 이는 현실적으로 매체봉투를 투시하여 겹겹이 집적된 매체들을 낱장으로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반송부(50)는, 매체를 반송한다. 반송부(50)는 스태커부(30)에서 카세트부(20)로 매체를 이송할 수 있으며, 피드롤러(도시하지 않음) 등 다양하게 널리 알려진 공지의 롤러 구조들을 사용하여 매체를 이송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매체봉투를 반송할 수 있으며, 매체봉투는 1~200매의 매체가 수용된 두께일 수 있으므로, 반송부(50)는 매체의 이송 경로를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이는 반송부(50)에 마련되는 벨트 또는 롤러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금고부(60)는,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부(50)와 카세트부(20)를 연결한다. 금고부(60)는 내부에 카세트부(2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카세트부(20)의 입구와 반송부(50)의 출구를 연결하여 매체가 반송부(50)를 거쳐 카세트부(20)로 집적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금고부(60)는, 도 29 내지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고셔터(61),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 금고셔터 잠금조절부(63), 금고셔터 개폐조절부(64), 걸림부(65), 금고셔터 구동부(66), 금고도어(67)를 포함할 수 있다.
금고셔터(61)는, 매체의 이송 경로를 개폐한다. 금고셔터(61)는 카세트셔터(22)와 유사한 구성이며, 카세트셔터(22)와 마찬가지로 병진 운동을 통해 매체의 이송 경로를 개폐할 수 있다.
금고셔터(61)와 카세트셔터(22)는,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즉 금고셔터(61)에 의해 개방되는 이송 경로는, 카세트셔터(22)에 의해 개방되는 이송 경로와 연통될 수 있다. 이는 반대로 말하면 이송 경로가 카세트셔터(22) 및 금고셔터(61)에 의해 이중으로 막힐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금고셔터(61)는, 매체의 입금 시마다 이송 경로를 개폐할 수 있다. 카세트셔터(22)는 카세트(21)가 분리되지 않는 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반면, 금고셔터(61)는 거래마다 이송 경로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다.
금고셔터(61)의 개방은 반송부(50)의 동작이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즉 반송부(50)에 의해 매체가 반송되면 금고셔터(61)가 자동으로 개방되며, 매체는 개방된 금고셔터(61) 및 이미 개방되어 있는 카세트셔터(22)를 지나 카세트(21)로 전달될 수 있다.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는, 금고셔터(61)의 이동을 잠그거나 금고셔터(61)를 이동시킨다. 즉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는 금고셔터(61)의 잠금과 함께 금고셔터(61)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는, 일측에서 볼 때 "ㅅ"모양을 가질 수 있다. 즉 하단이 양측으로 벌어져 있고, 상단이 모여있는 형태이다. 이때 하단이 양측으로 벌어지는 각도는 가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는, 하단의 벌어진 각도에 따라 금고셔터(61)의 이동 잠금을 설정 또는 해제할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의 높이가 일정값 이상이 되도록 하단의 벌어진 각도가 작아지면,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의 일단(상단)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65)에 걸릴 수 있다. 이는 금고셔터(61) 잠금개페부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므로, 결국 금고셔터(61)의 이동이 잠긴다.
반면 양측의 벌어진 각도가 커지면,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의 높이는 일정값 미만이 되며,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의 일단(상단)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65)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이는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의 이동을 허용하게 되므로, 이로 인해 금고셔터(61)의 이동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의 높이는, 금고셔터 잠금조절부(63)에 의하여 가변될 수 있다. 또한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의 이동이 허용되는 상태에서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의 이동은, 금고셔터 개폐조절부(64)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금고셔터 잠금조절부(63)는,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의 벌어진 양단 중 일측을 기준으로 타측을 움직여서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의 벌어진 양단 중 일측(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은 금고셔터 개폐조절부(64)에 고정되어 있는데, 금고셔터 잠금조절부(63)는 금고셔터 개폐조절부(64)를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금고셔터 잠금조절부(63)가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의 벌어진 양단 중 타측(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을 고정한 상태에서 일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의 양단의 벌어진 각도가 점차 커지게 된다.
이 경우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의 높이는 차츰 감소하게 되므로,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의 일단은 걸림부(65)에서 벗어나 이동이 허용될 수 있다.
이때 금고셔터 잠금조절부(63)는, 금고셔터 개폐조절부(64)에 형성되는 경로부(641)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경로부(641)는 함몰 또는 관통되고 금고셔터 잠금조절부(63)의 이동 거리만큼 연장된 형태를 갖는 구성이며, 금고셔터 잠금조절부(63)의 양측을 이동 가능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금고셔터 잠금조절부(63)는, 경로부(641)를 따라 일방향(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움직인 후 금고셔터 개폐조절부(64)를 밀어서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를 이동시켜 금고셔터(61)를 개방할 수 있다. 반면 금고셔터(61)를 폐쇄하고자 할 경우 금고셔터 잠금조절부(63)는, 경로부(641)를 따라 타방향(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금고셔터 개폐조절부(64)의 경로부(641)의 일단(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에 의해 가압되어 움직일 수 있다.
즉 개방 위치에 놓여있는 금고셔터(61)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경우,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고셔터 잠금조절부(63)는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의 높이를 증가시키지 않도록 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금고셔터 잠금조절부(63)는, 금고셔터 구동부(66)에 의해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금고셔터 개폐조절부(64)는, 금고셔터 잠금조절부(63)의 이동을 가이드하거나 또는 금고셔터 잠금조절부(63)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금고셔터 개폐조절부(64)는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의 벌어진 양단 중 적어도 일측을 움직여서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를 이동시켜 금고셔터(61)를 개폐할 수 있다.
금고셔터 잠금조절부(63)에 의해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의 높이가 낮아지면, 금고셔터(61)의 이동이 준비된다. 이후 금고셔터 개폐조절부(64)는,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를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에 연결된 금고셔터(61)가 이송 경로를 개방시키게 된다.
금고셔터 개폐조절부(64)는, 금고셔터 잠금조절부(63)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 금고셔터 잠금조절부(63)가 경로부(641)를 따라 움직일 때 경로부(641)의 끝단이 금고셔터 잠금조절부(63)에 의해 가압되면, 금고셔터 개폐조절부(64)는 금고셔터 잠금조절부(63)에 의해 움직이면서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이는 금고셔터(61)의 개방을 위한 경우이며, 반대로 금고셔터(61)의 폐쇄를 위한 경우에 금고셔터 개폐조절부(64)는 금고셔터 잠금조절부(63)에 의해 움직이는 것보다, 금고셔터 잠금조절부(63)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금고셔터 잠금조절부(63)가 움직이게 되면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의 높이가 다시 높아져 걸림부(65)에 의해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이다.
걸림부(65)는,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의 일단이 걸려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금고셔터 잠금조절부(63)가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의 높이를 축소하게 되면,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의 일단이 걸림부(65)를 벗어남에 따라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의 이동이 허용될 수 있다.
이때 걸림부(65)는 금고셔터(61)가 개방 위치 및/또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각각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금고셔터(61)를 폐쇄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의 높이가 일정값 이상이라면 걸림부(65)에 의해 금고셔터 잠금개폐부(62)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금고셔터 구동부(66)는, 금고셔터 잠금조절부(63)의 이동을 구현한다. 금고셔터 구동부(66)는 금고셔터 잠금조절부(63)의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해 금고셔터 구동모터(661), 금고셔터 구동모터(661)에 연결되는 금고셔터 구동기어(662), 금고셔터 구동기어(662)에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는 금고셔터 구동풀리(663), 금고셔터 구동기어(662)와 금고셔터 구동풀리(663)에 감겨 회전하여 금고셔터 잠금조절부(63)를 이동시키는 금고셔터 구동벨트(66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금고셔터 구동부(66)는, 금고셔터 구동기어(662)의 동력을 금고셔터 잠금조절부(63)에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금고셔터 구동부(66)의 구성이 상기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금고도어(67)는, 금고부(60)의 일측을 개폐한다. 이때 일측이라 함은 카세트부(20)의 인입 또는 인출을 허용하는 일측을 의미한다. 금고도어(67)는 잠금이 구현될 수 있으며, 금고도어(67)가 닫히고 잠기면, 금고부(60)에 수납된 카세트부(20)의 카세트셔터(22)가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즉 금고도어(67)의 잠금 여부는, 카세트셔터 구동부(23)에 전달될 수 있으며, 카세트셔터 구동부(23)는 카세트셔터(22)의 개방을 구현하여 카세트(21)가 매체의 인입을 허용하는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후술하는 제어부(8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입출력부(70)는,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정보를 출력한다. 입출력부(70)는 카드 리더기(71), 바코드 리더기(72), 키패드(73), 화면부(74), 프린터(7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정보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한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카드 리더기(71)는, 사용자의 정보를 카드로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본인 확인을 위한 카드를 카드 리더기(71)에 삽입하고 거래를 지속할 수 있으며, 카드 리더기(71)에 의한 본인 확인은 일정 시간마다 또는 거래 마다 이루어질 수 있다.
바코드 리더기(72)는, 카드 리더기(71)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의 정보는 바코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바코드를 바코드 리더기(72)에 접근시켜서 바코드의 인식을 가능케 할 수 있다.
또는 바코드 리더기(72)는, 매체봉투를 인식할 수 있다. 매체봉투에는 바코드가 마련될 수 있으며, 바코드 리더기(72)는 매체봉투에 마련되는 바코드를 인식하고 저장함으로써, 어떠한 매체봉투가 투입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키패드(73)는, 키 입력을 통해 정보를 입력받는다. 사용자는 직접 키패드(73)를 이용해 거래 관련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키패드(73)는 보안을 위해 주변 부분이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키패드(73)로 입력하는 정보는 외부에서 확인이 어려울 수 있다.
화면부(74)는, 각종 거래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화면부(74)는 호퍼부(1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부(74)의 각도를 적정하게 조절하여 편안한 상태로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화면부(74)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키패드(73)는 생략될 수 있다. 다만 화면부(74)는 상부로 돌출되어 있고 화면부(74)를 통한 정보의 입력 등은 외부에서 접근이 용이하므로, 보안성을 위해 화면부(74)를 터치스크린으로 두더라도 비밀번호 입력 등은 키패드(73)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프린터(75)는, 명세표 등을 프린트한다. 프린터(75)는 거래 정보를 보유한 명세표를 인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매체의 집적이 정확히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프린터(75)는, 매체봉투를 프린트할 수 있다. 프린터(75)가 인쇄하는 매체봉투에는 바코드, QR코드 등의 식별인자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화면부(74) 또는 키패드(73)를 이용하여 매체봉투 생성을 위한 정보(매체 종류, 매체 금액 등)를 입력하면, 프린터(75)는 매체봉투를 인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매체봉투 생성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 단순히 매체봉투 인쇄 신호만을 입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카드 등을 통해 인식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식별인자가 찍힌 매체봉투가 자동으로 인쇄될 수 있다. 따라서 스태커부(30)를 통해 카세트부(20)에 투입되는 매체봉투는, 어떠한 사용자에 의해 투입된 것인지를 기록으로 남길 수 있다.
제어부(80)는, 각종 구성들을 제어한다. 제어부(80)는 앞서 설명한 각종 모터들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반송부(50)를 구동하거나, 입출력부(7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80)는 통합적으로 모든 구성들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는, 후술할 매체 처리 방법에서의 각 단계들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제어부(80)는 본 발명에 의해 매체가 효율적이고 원활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모든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4는 매체의 입금을 위한 것이고, 도 35는 매체봉투의 입금을 위한 것이다. 이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방법은, 거래 종류로 매체 입금이 선택되는 단계(S110), 호퍼부(10)에 매체가 투입되는 단계(S120), 감별부(40)가 매체를 감별하는 단계(S130), 스태커부(30)가 매체를 임시 수납하는 단계(S140), 거래 진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50), 카세트부(20)에 매체가 집적되는 단계(S160), 스태커부(30)가 개방되는 단계(S170), 스태커부(30)에서 매체가 빠져나간 후 스태커부(30)가 폐쇄되는 단계(S180)를 포함한다.
즉 매체는, 호퍼부(10)에 투입된 후 감별부(40)를 거쳐 스태커부(30)에 임시로 수납되며, 이때 사용자로부터 화면부(74) 또는 키패드(73) 등의 입력을 통해 거래 진행 여부가 확인되면, 매체가 카세트부(20)에 집적되어 매체의 입금 거래가 종료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또는 고객으로부터 거래 진행 여부가 확인되지 않거나 거래의 중단 또는 중지가 확인되면, 스태커부(30)가 개방되어 매체는 스태커부(30)를 통해 빠져나가서 입금 거래의 취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방법은, 거래 종류로 매체봉투 입금이 선택되는 단계(S210), 스태커부(30)가 개방되는 단계(S220), 스태커부(30)에 매체봉투가 투입되는 단계(S230), 스태커부(30)가 폐쇄되는 단계(S240), 카세트부(20)에 매체봉투가 집적되는 단계(S250)를 포함한다.
물론 매체 처리 방법은, 프린터(75)가 매체봉투를 프린트하는 단계를 사전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감별부(40)가 매체봉투를 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매체는 개별이 아닌 매체봉투에 담긴 상태로 카세트(21)에 수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호퍼부(10)가 아닌 스태커부(30)를 통해 투입되어 반송될 수 있다. 매체봉투에 담겨 투입되는 경우는, 매체의 손상이 심해 감별부(40)에 의한 감별이 어려운 경우이거나 매체가 외화인 경우 등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서는 매체의 인식이 가능하나 감별부(40) 등에 의한 인식이나 반송부(50)에 의한 반송에는 어려움이 있고, 고객은 입금을 요청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매체 또는 매체봉투를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입금하며, 보안성을 대폭 높이는 동시에 구성을 단순화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매체 처리 장치
10: 호퍼부
20: 카세트부 21: 카세트
22: 카세트셔터 221: 가이드면
222: 걸림면 23: 카세트셔터 구동부
231: 메인축 2311: 돌기 인입구
24: 카세트셔터 동력전달부 241: 메인기어
2411: 함몰구 2412: 결합돌기
242: 헬리컬기어 243: 카세트셔터 구동벨트
244: 제1 구동축 245: 제2 구동축
246: 잔류매체 제거부 247: 제3 구동축
248: 잔류매체 제거용벨트 25: 카세트셔터락
251: 락 표시부 26: 매체 감지부
261: 발광부 262: 수광부
27: 프리즘부
30: 스태커부 31: 스태커셔터
311: 스태커셔터 돌기 32: 스태커셔터락
321: 지지부 322: 링크부
33: 스태커 회전기어 331: 스태커셔터락 가압부
332: 스태커셔터 가압부 3321: 제1 스태커셔터 가압부
3322: 제2 스태커셔터 가압부 333: 함몰부
34: 스태커 구동모터 341: 스태커 구동기어
35: 트레이 351: 트레이 구동모터
36: 가압판 361: 베어링
362: 아이들 롤러 363: 매체 지지돌기
37: 반송벨트 371: 반송롤러
372: 롤러축 373: 반송벨트 구동모터
38: 트레이 캠
40: 감별부
50: 반송부
60: 금고부 61: 금고셔터
62: 금고셔터 잠금개폐부 63: 금고셔터 잠금조절부
64: 금고셔터 개폐조절부 641: 경로부
65: 걸림부 66: 금고셔터 구동부
661: 금고셔터 구동모터 662: 금고셔터 구동기어
663: 금고셔터 구동풀리 664: 금고셔터 구동벨트
67: 금고도어
70: 입출력부 71: 카드 리더기
72: 바코드 리더기 73: 키패드
74: 화면부 75: 프린터
80: 제어부

Claims (10)

  1. 매체를 집적하는 카세트부; 및
    상기 카세트부에 이송될 상기 매체를 임시로 저장하는 스태커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태커부는,
    상기 매체를 지지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와 일정한 경사각도로 벌어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트레이와 함께 상기 매체를 지지하는 가압판;
    상기 매체를 상기 카세트부로 이송하는 반송벨트; 및
    상기 트레이에서 상기 가압판의 반대측에 마련되어 회전 시 상기 트레이가 일단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트레이 캠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판은, 상기 트레이 캠에 의한 상기 트레이의 회전 시 상기 트레이와의 경사각도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은,
    일단에 베어링이 마련되며, 트레이의 회전 시 상기 베어링이 상기 트레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은,
    이동하는 회전 중심을 갖도록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처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은,
    상기 베어링이 마련되는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상기 트레이에서 멀어지는 경사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은,
    상기 타단이 상기 트레이에 밀착되고 상기 일단이 상기 트레이에서 멀어지는 경사각도가 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처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반송벨트를 회전시키는 반송롤러의 롤러축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롤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처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벨트는,
    상기 트레이가 매체를 지지할 시 상기 매체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격되고,
    상기 트레이 캠의 회전에 의해 상기 트레이가 회전할 시 상기 매체와 전체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매체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처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캠을 회전시키는 트레이 구동모터; 및
    상기 반송벨트를 회전시키는 반송벨트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처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은,
    상기 매체와 접촉하는 일면에 상기 매체의 이송 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체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처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은,
    타단에 상기 매체의 이송을 보조하는 아이들 롤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처리 장치.
KR1020150012109A 2015-01-26 2015-01-26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 KR101654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109A KR101654283B1 (ko) 2015-01-26 2015-01-26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
PCT/KR2016/000775 WO2016122176A1 (ko) 2015-01-26 2016-01-25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
CN201680000530.3A CN106068529B (zh) 2015-01-26 2016-01-25 媒介处理装置及利用此的媒介处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109A KR101654283B1 (ko) 2015-01-26 2015-01-26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693A KR20160091693A (ko) 2016-08-03
KR101654283B1 true KR101654283B1 (ko) 2016-09-22

Family

ID=56708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109A KR101654283B1 (ko) 2015-01-26 2015-01-26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2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231B1 (ko) * 2018-10-12 2020-03-30 주식회사 푸른기술 에스크로 기능을 갖는 입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8234A (ja) 1998-07-27 2000-02-18 Hitachi Ltd 紙葉類収納機構
JP2011123538A (ja) 2009-12-08 2011-06-23 Glory Ltd 紙幣入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1093B2 (ja) * 1993-03-19 1998-07-02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出金装置
JP4925662B2 (ja) * 2005-12-28 2012-05-0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処理機及び紙幣入出金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8234A (ja) 1998-07-27 2000-02-18 Hitachi Ltd 紙葉類収納機構
JP2011123538A (ja) 2009-12-08 2011-06-23 Glory Ltd 紙幣入金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231B1 (ko) * 2018-10-12 2020-03-30 주식회사 푸른기술 에스크로 기능을 갖는 입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693A (ko)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7575B2 (ja) 紙葉収納払出装置
RU2299466C2 (ru) Устройство кассеты для денежных купюр,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й для банкомата
US8251281B1 (en) Automated banking system controlled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JP5188167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4556309B2 (ja) 紙幣入出金装置
US8245830B2 (en) Paper currency handling device
KR101654291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
JP2014170386A (ja) 貨幣処理装置および貨幣処理方法
JP5184062B2 (ja) 紙葉類処理装置
KR101654283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
KR101666189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
KR101637474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
KR101654295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
KR101654286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
JP5789562B2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20160091702A (ko)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매체 처리 방법
JP2015225622A (ja) 紙幣取扱装置
JP2013127805A (ja) 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葉類処理システム
JP6711775B2 (ja) 媒体取扱装置
JP6834248B2 (ja)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4311309B2 (ja) 金銭処理装置、紙幣処理装置および硬貨処理装置
WO2017221530A1 (ja)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2576652Y2 (ja) 紙幣自動支払装置
JP4311311B2 (ja) 紙幣処理装置および金銭処理装置
JP3754620B2 (ja) 紙葉取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