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022B1 - 커버 및 커버 고정 고정 구조를 구비하는 차량용 제어 동력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커버 및 커버 고정 고정 구조를 구비하는 차량용 제어 동력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022B1
KR101654022B1 KR1020140159802A KR20140159802A KR101654022B1 KR 101654022 B1 KR101654022 B1 KR 101654022B1 KR 1020140159802 A KR1020140159802 A KR 1020140159802A KR 20140159802 A KR20140159802 A KR 20140159802A KR 101654022 B1 KR101654022 B1 KR 101654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otor
space
entrance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9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8411A (ko
Inventor
박석률
최동욱
김원식
Original Assignee
캄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캄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캄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9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022B1/ko
Publication of KR20160058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제어 동력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모터가 수용되어 있는 하우징에 커버를 보다 간편하게 결합 또는 고정시키는 한편, 안정적으로 결합또는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제어 동력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모터와; 상기 수용 공간의 입구를 폐쇄하며 상기 수용 공간 입구에 장착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의 테두리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 입구 영역에는 상기 걸림턱이 걸려서 상기 커버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차량용 제어 동력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커버 및 커버 고정 고정 구조를 구비하는 차량용 제어 동력 발생 장치{ A actuator for vechicle comprising a cover and a fixing structure of the cover}
본 발명은 차량용 제어 동력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모터가 수용되어 있는 하우징에 커버를 보다 간편하게 결합 또는 고정시키는 한편, 안정적으로 결합또는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제어 동력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터를 사용하는 액츄에이터 또는 밸브에는 모터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모터를 커버하는 커버가 마련된다.
이러한 구조는 미국 특허 US 6,871,529에 나타나는데, 여기서는 스로틀 밸브에 사용되는 하우징에 배치되는 모터와, 모터를 덮는 커버가 마련된다.
하우징과 커버는 나사에 의하여 체결됨으로써, 그 고정구조가 완성된다.
그런데 이 경우, 나사 체결에 따른 원가의 문제 및 체결 과정의 시간적 비용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하우징과 커버가 체결되어도, 그 내부 공간에서 모터가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주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모터가 약간만 흔들려도 모터의 회전축 및 이와 연결되는 기어요소들과의 결합관계가 불안전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터가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모터를 커버하는 커버가 하우징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차량용 제어 동력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은 용이하게 하되, 커버가 결합한 이후에는 그 이탈이 발생하지 않는 걸림턱 구조를 제공하는 차량용 제어 동력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가 장착된 이후에 커버의 일부가 모터의 표면과 접촉하고, 접촉한 부분이 모터를 가압함으로써, 하우징에서 모터가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제어 동력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모터와; 상기 수용 공간의 입구를 폐쇄하며 상기 수용 공간 입구에 장착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의 테두리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 입구 영역에는 상기 걸림턱이 걸려서 상기 커버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차량용 제어 동력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모터의 돌출부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제1변형부와; 상기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상기 커버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2변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와 접촉하여 상기 모터를 지지하여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모터의 접촉면 방향으로 변형되는 제3변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변형부는 상기 커버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3변형부는 상기 제1변형부와 제2변형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모터의 지지방향으로 돌출 구조 또는 엠보싱 구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변형부는 모터의 측면과 접촉하여 지지하며 상기 커버의 테두리 부근이 벤딩되어 형성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걸림홈에 걸릴 수 있는 상기 걸림턱을 형성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지지부와 연결되는 제3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턱은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걸림홈에 진입하기 전 상태에서 걸림홈에 진입한 이후로 전환되면, 상기 걸림홈 내부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모터와; 상기 수용 공간의 입구를 폐쇄하며 상기 모터와 접촉하여 상기 모터가 상기 수용 공간 내부를 향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에 압력을 가하고, 상기 수용 공간 입구에 장착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의 테두리에는 탄성 변형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 입구 근처에는 상기 걸림턱이 걸려서 상기 커버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홈이 포함되어,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걸림홈 외부에서 걸림홈 내부로 진입하는 경우, 탄성 변형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려 외부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동력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커버에는 모터와 접촉하여 상기 모터가 상기 수용 공간 내부로 향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돌기 또는 엠보싱 구조의 가압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커버의 테두리를 절곡 변형하여 형성하되, 상기 수용 공간 입구 테두리에 진입 후 상기 걸림홈 진입전에는 걸림턱이 내측 방향으로 오므라들었다가, 상기 걸림홈 진입 후 외측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여 수용 공간 입구 영역에는 걸림턱이 걸려서 상기 커버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홈이 마련되기 때문에, 커버가 일단 하우징에 고정되거나 결합된 이상 분리되는 것이 매우 어려워져서 결합 또는 고정 안정성이 확보된다.
특히, 걸림홈에 걸리는 제2지지부가 탄성 변형될 수 있어서, 커버가 수용 공간 입구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에는 오므라 들었다가, 걸림홈을 만나면 외곽으로 펴지면서 걸림홈으로 이동하여 걸림홈에 걸린다.
따라서, 커버가 외측으로 이탈하려는 힘을 받는 경우, 걸림홈과 제2지지부 간에 고정구조에 의하여 그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제2지지부의 끝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되기 때문에, 걸리홈의 표면을 파고들 수 있어서 고정 또는 결합 안정성이 높아진다.
한편, 모터가 수용 공간 내측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제3변형부를 구비하고, 제3변형부는 돌출구조 또는 엠보싱 구조로 형성되어, 모터가 수용 공간 내부에서 흔들림없이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1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제어 동력 발생 장치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2(a)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제어 동력 발생 장치에 사용되는 커버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2(b)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제어 동력 발생 장치에 사용되는 커버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2(c)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제어 동력 발생 장치에 사용되는 커버의 측단면도이다.
도3(a) 내지 도3(c)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제어 동력 발생 장치에서 커버가 하우징에 장착되는 과정을 순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용 액츄에이터나 밸브 등 모터(20)가 필요한 전기 작동 장치에 적용되며, 모터(20)가 수용되기 위한 하우징(10)이 마련된다.
하우징(10) 에는 모터(2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11)이 마련된다. 모터(20)는 수용 공간(11)에 그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원활한 삽입을 위해서 수용 공간(11)의 내면과 모터(20)의 측면은 약간 이격된다.
한편, 모터(20)의 전면(11a)은 수용 공간(11)의 내측에 마련되는 접촉 지지면(12)에 의하여 지지되고, 모터(20)의 후면(11b)은 후술할 커버(100)에 의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모터(20)가 전후방을 움직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모터(20)에는 회전축(21)이 마련되고 회전축(21) 옆에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접속부(미도시)가 마련된다.
접속부(미도시)는 접촉 지지면(12)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접속부(14)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회전축(21)에는 피니언 기어(31)가 마련되고, 피니언(31)기어는 중간 기어(32)에 맞물리며, 중간 기어(32)는 회동축(33)과 결합되어 하우징(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피니언 기어(31)와, 중간 기어(32)는 하우징 일측에 마련되는 기어룸(13)에 설치되며, 기어룸(13)은 하우징(10)과 하우징 커버 사이에 형성된다.
모터(20)의 후단부에는 후면(11b) 및 후면의 중심에 마련되는 돌출부(11c)가 형성된다. 돌출부(11c)는 회전축(21)이 후방까지 연장된 부분을 감싸고 있는 부분이다.
돌출부(11c)는 후면(11b)에 대해서 단차진 형태로 마련된다.
수용 공간(11)의 입구 부근에는 커버(10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구조가 마련된다.
수용 공간(11)의 입구에는 수용 공간(11)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입구 공간(15) 및 진입 안내 공간(19)이 마련되며, 입구 공간(15)과 진입 안내 공간(19) 사이에는 커버(100)의 테두리가 걸려서 고정되는 걸림홈(16)이 마련된다.
입구 공간(15)과 진입 안내 공간(19)은 수용 공간(11)의 입구 영역을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
걸림홈(16)은 그 인접 영역보다 더 파여진 홈이며, 걸림홈(16)의 앞에는 커버(100)의 테두리가 접하면서 커버(100)를 수용공간 내측 방향으로 미는 경우, 커버(100)의 테두리를 걸림홈(16)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면(17)이 마련된다.
안내 공간(15)는 수용 공간(11)과 단차진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의하여 단차면(18)이 형성된다.
커버(100)는 모터(20)의 후면에 위치하여, 모터(20)가 하우징(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모터(20)를 수용 공간(11) 내측 방향으로 밀어주어 모터(20)가 흔들리지 않도록 자세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커버(100)의 구성을 보면 플레이트(101)와 그 중심에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모터(20)의 돌출부(11c)를 수용하는 제1변형부(110)와, 플레이트부(101)의 테두리에 마련되어 걸림홈(16)에 끼워지는 구조를 구비하는 제2변형부(120)와, 제1변형부(110)와 제2변형부(120) 사이에 형성되어 모터(20)의 후면(11b)와 접촉하여 가압하는 가압부를 형성하는 제3변형부(130)를 포함한다.
제1변형부(110)의 경우, 그 내부에 모터의 돌출부(11c)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113)이 형성되며, 이 공간(113)은 돌출부(11c)의 측면과 면접하는 제1플랜지(111)과, 제1플랜지(111)와 연결되고, 제1플랜지(111)에 대해서 구부러지게 형성되는 제2플랜지(112)에 의하여 형성된다.
즉, 제1변형부(110)는 플레이트(101)의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솟아오른 '┏┓'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변형부(120)는 플레이트(101)의 테두리가 구부러지게 형성되는 제1지지부(121)와, 제1지지부(121)에서 연장되며, 제1지지부(121))에서 외곽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되는 제3지지부(123)와, 제3지지부(123)에서 다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부러진 제2지지부(1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지지부(122)는 걸림홈(16)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는 탄성 변형 가능한 걸림턱 구조를 제공한다.
제3변형부(130)은 모터 후면(11b)와 접촉하도록 돌출되는 구조로서, 커버(100)가 하우징(10)에 결합되는 경우, 특히, 제2지지부(122)가 걸림홈(16)에 완전하게 삽입되어 고정된 경우, 모터 후면(11b)을 가압하여 모터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 제3변형부(130)는 모터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 또는 엠보싱 구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는 커버(100)를 도시한 것이며, 도2(a)는 커버(100)의 상부 사시도, 도2(b)는 커버(100)의 하부 사시도, 도2(c)는 커버(100)의 측단면도이다.
커버(100)는 원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각 구성요소가 소성 변형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 커버(100)의 재질은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변형부(110)는 플레이트(101)의 중심부에 위로 솟아오른 돌출부의 형태라는 것은 이미 언급한 바 있다.
제1변형부(110)를 구성하는 제1플랜지(111)는 원통형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플랜지(112)는 제1플랜지(111)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플랜지(111)와 제2플랜지(112)의 경계는 직각으로 구부러지지 않고 경사지거나 라운드 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노치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2변형부(120)는 플레이트(101)의 테두리가 'U'자 형태로 변형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변형부(120)는 플레이트(101)의 테두리가 아래로 구부러지며 연장되는 제1지지부(121)와, 제1지지부(121)가 외곽 방향으로 구부러지며 연장되는 제3지지부(123)와, 제3지지부(123)이 위로 구부러지며 연장되는 제2지지부(122)를 포함한다.
제1지지부(121), 제2지지부(122), 제3지지부(123)에 의하여 오목홈(124)이 형성된다. 오목홈(124)은 제2지지부(122)가 내측으로 일시적으로 변형되는 경우, 그 변형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다만, 제2변형부(120)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제2지지부(122)이므로, 제2지지부(122)가 플레이트(101)의 테두리에 바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커버(100)가 하우징(10)에 결합되는 경우, 그 고정구조는 제2지지부(122) 및 하우징(10)에 마련되는 걸림홈(16) 간의 걸림에 의하여 구현되기 때문에, 걸림 동작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제2지지부(122)만으로도 커버(100)의 고정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2지지부(122)의 끝은 날카롭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2지지부(122)가 걸림홈(16) 내부에 안착되었을 때, 걸림홈(16)의 내측면에 대한 지지 또는 결합이 강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커버(100)는 금속 재질의 플레이트(101)가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소성 변형되었지만, 약간의 압력이 가해져도 다시 가압전 상태로 복귀하는 탄성 복원력을 보유한다. 이는 금속 재질 본연의 특성이다.
따라서, 제2지지부(122)가 다른 부분과 접촉하여 밀리는 경우, 제2지지부(122)는 오목홈(124)으로 일시적으로 이동하였다가, 미는 힘이 해제된 경우, 다시 원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제3변형부(130)는 엠보싱 또는 돌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변형부(110)를 둘러싸며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101) 및 제3변형부(130)의 하부에는 모터(20)의 후면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 공간(114)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커버(100)가 하우징(10)에 장착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3(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20)를 하우징(10)의 수용 공간(11)에 삽입 시킨 후, 진입 안내 공간(19)의 바깥 쪽에 커버(100)를 위치시킨다.
도3(b)와 같이, 이 상태에서 커버(100)를 잡고 진입 안내 공간(19)에 진입 시키면, 제2변형부(120)의 제2지지부(122)가 안내면(17)과 접촉한다.
커버(100)가 진입 안내 공간(19)에 진입하기 전(도3(a)참조)의 제2지지부(122)의 최외곽의 외경은 안내면(17)의 내경보다 크다.
그런데, 커버(100)가 진입 안내 공간(19)에 들어오면, 안내면(17)과 제2지지부(122)가 상호 간섭된다. 이 상태에서 제2지지부(122)가 밀려서 오목홈(124)쪽으로 오므라들거나 밀린다.
제2지지부(122)가 걸림홈(16)을 만나기 전까진 위와 같이 밀리거나 오므라든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내면(17)을 타고 이동한다.
도3(c)와 같이, 안내면(17)이 끝나고, 걸림홈(16)을 만나면 제2지지부(122)외측 방향으로 펴지면서 제2지지부(122)의 단부가 걸림홈(16) 내측으로 이동한다.
제2지지부(122)의 날카로운 단부는 걸림홈(16)의 내측벽에 닿게되고, 이탈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제2걸림홈(16)의 내측벽을 파고 들어서, 커버(100)의 이탈을 방지한다.
한편, 제2지지부(122)가 걸림홈(16)에 걸려서 커버(100)가 하우징(10)에 완전하게 고정된 경우, 제1지지부(121)가 모터(20)의 외주면과 닿아서 외주면 지지를 하게 된다.
그리고, 제3변형부(130)가 모터(20)의 후면(11b)에 닿아서, 후면(11b)을 가압하여 모터(20)가 수용 공간(11) 내측으로 힘을 받도록 한다.
이 경우, 모터(20)의 전면(11a)은 접촉 지지면(12)을 가압하고, 그 반작용으로 전면(11a) 또한 접촉 지지면(12)으로 부터 가압된다.
이에 의하여 모터(20)는 접촉 지지면(12)과 커버(100)의 제3변형부(130)에 의하여 그 전면과 후면이 동시에 가압되기 때문에, 수용 공간(11) 내부에서 흔들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커버(100)의 경우, 진입공간(19)를 통과하여 걸림홈(16)에 걸려서 고정되는 것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일단 걸림홈(16)에 제2지지부(122)가 걸려서 고정되는 이후에는 반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매우 어려워진다.
따라서, 커버(100)를 장착하는 과정은 용이해지면서, 장착 후 안정성은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하우징 11: 수용공간
16: 걸림홈 17: 안내면
19: 진입공간 100: 커버
110: 제1변형부 120: 제2변형부
121: 제1지지부 122: 제2지지부
123: 제3지지부 130: 제3변형부

Claims (8)

  1.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모터와;
    상기 수용 공간의 입구를 폐쇄하며 상기 수용 공간 입구에 장착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의 테두리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 입구 영역에는 상기 걸림턱이 걸려서 상기 커버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홈이 마련되되,
    상기 커버는 상기 모터의 돌출부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제1변형부와;
    상기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상기 커버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2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변형부는 모터의 측면과 접촉하여 지지하며 상기 커버의 테두리 부근이 벤딩되어 형성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걸림홈에 걸릴 수 있는 상기 걸림턱을 형성하며 탄성변형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지지부와 연결되는 제3지지부를 포함하고,
    수용 공간의 입구에는 입구 공간과 진입 안내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은 입구 공간과 진입 안내 공간 사이에 마련되며,
    진입 안내 공간의 테두리에는 상기 커버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제2변형부를 걸림홈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면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면과 상기 걸림홈은 단차지게 형성되고, 안내면의 내경은 상기 걸림홈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2변형부가 걸림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2변형부의 단부가 상기 안내면과 걸림홈 사이에 걸려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동력 발생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접촉하여 상기 모터를 지지하여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모터의 접촉면 방향으로 변형되는 제3변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변형부는 상기 커버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3변형부는 상기 제1변형부와 제2변형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모터의 지지방향으로 돌출 구조 또는 엠보싱 구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동력 발생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걸림홈에 진입하기 전 상태에서 걸림홈에 진입한 이후로 전환되면, 상기 걸림홈 내부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되며,
    상기 걸림턱의 단부는 날카롭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동력 발생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40159802A 2014-11-17 2014-11-17 커버 및 커버 고정 고정 구조를 구비하는 차량용 제어 동력 발생 장치 KR101654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9802A KR101654022B1 (ko) 2014-11-17 2014-11-17 커버 및 커버 고정 고정 구조를 구비하는 차량용 제어 동력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9802A KR101654022B1 (ko) 2014-11-17 2014-11-17 커버 및 커버 고정 고정 구조를 구비하는 차량용 제어 동력 발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411A KR20160058411A (ko) 2016-05-25
KR101654022B1 true KR101654022B1 (ko) 2016-09-05

Family

ID=56114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9802A KR101654022B1 (ko) 2014-11-17 2014-11-17 커버 및 커버 고정 고정 구조를 구비하는 차량용 제어 동력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0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311B1 (ko) * 2019-06-03 2020-10-28 캄텍주식회사 모터의 고정 플레이트 및 그 고정 플레이트를 갖는 차량용 밸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6007A (ja) * 2000-07-31 2002-05-31 Asmo Co Ltd ギヤードモータ
US20030094038A1 (en) * 2001-11-16 2003-05-22 Thomas Schroder Throttle valve adjustment un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6007A (ja) * 2000-07-31 2002-05-31 Asmo Co Ltd ギヤードモータ
US20030094038A1 (en) * 2001-11-16 2003-05-22 Thomas Schroder Throttle valve adjustment un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311B1 (ko) * 2019-06-03 2020-10-28 캄텍주식회사 모터의 고정 플레이트 및 그 고정 플레이트를 갖는 차량용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411A (ko) 201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4601B2 (ja) スナップファスナ
US7674129B1 (en) Clamping device for DIN rail
JP5631017B2 (ja) コネクタ用のメス端子
JP4903599B2 (ja) 電気的接続器具のロック構造
CN103707790B (zh) 部件的安装构造
JP2010067425A (ja) L型同軸コネクタ
JP2016048654A (ja) コネクタ組立体
US9099818B2 (en) Power feed socket and contact point unit used therein
US9356398B2 (en) Lock mechanism of shield connector
JP6601203B2 (ja)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JP6430997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組み付け方法
KR101654022B1 (ko) 커버 및 커버 고정 고정 구조를 구비하는 차량용 제어 동력 발생 장치
JP2014146459A (ja) 雌端子
JP2006228738A (ja) 電気コネクタ、電気差込み接続構造及び電気コネクタの組立方法
EP1143563B1 (en) Tandem screw type terminal device
EP1180820A2 (en) Battery terminal
JP5781360B2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端末固定装置
JP2017144906A (ja) フットブレーキスイッチ及びブレーキ作動検出装置
JP2007128789A5 (ko)
JP2006196226A (ja) バッテリターミナル
US20150104984A1 (en) Socket cover
KR200484128Y1 (ko) 커넥터의 터미널 고정 구조, 커넥터 하우징 및 커넥터
JP4031957B2 (ja) リテーナ付きハウジング構造
JPH10199627A (ja) アースジョイントコネクタの取付構造
KR101561263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모터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