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995B1 -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995B1
KR101653995B1 KR1020140192584A KR20140192584A KR101653995B1 KR 101653995 B1 KR101653995 B1 KR 101653995B1 KR 1020140192584 A KR1020140192584 A KR 1020140192584A KR 20140192584 A KR20140192584 A KR 20140192584A KR 101653995 B1 KR101653995 B1 KR 101653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ccident
unit
sub
follow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9131A (ko
Inventor
이기동
여인주
이종훈
김상동
진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화신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화신,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화신
Publication of KR20160039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6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V2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27Post collision measures, e.g. notifying emergency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13Means for detecting collision, impending collision or roll-over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사고를 감지하면 후속 차량을 탐지하여 라디오 방송을 통해 후속 차량으로 사고 사실을 전달하고 경고 명령을 출력하는 메인 디바이스; 및 메인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통신으로 경고 명령을 전달받아 후속 차량이 접근 중임을 경고하는 서브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ACCIDENT INFORMING APPARATUS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고 차량으로 접근 중인 후속 차량을 탐지하여 후속 차량의 운전자에게 사고 사실을 전달하고 사고 차량의 운전자에게는 후속 차량이 접근 중임을 경고하는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사고 발생시, 사고 차량은 도로에 정차해 있을 수 있다. 이때, 후방에서 접근하는 후속 차량의 운전자가 정차해 있는 사고 차량을 미처 발견하지 못하여 추가적인 2차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특히, 야간 등 운전자의 시야가 제대로 확보되지 않는 상황에서 전방에서 발생한 사고로 인해 추가로 대형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2차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주간에는 사고 차량의 후방 100m 지점에 삼각대를 설치하고, 야간에는 사고 차량의 후방 200m 지점에 삼각대를 설치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그러나, 차량 사고가 발생한 상황에서 사고 차량의 운전자가 사고 차량의 100m 또는 200m 후방에 삼각대를 설치하는 것은 빠른 시간 내에 이루어지기 힘들며, 삼각대를 설치하기 전에 후속 차량은 전방의 사고 상황을 알지 못한 채 주행하게 되어 추가사고의 발생 위험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전방의 사고 상황을 후속 차량들에게 더욱 신속하게 알려주고, 또한 현재 후속 차량이 존재함을 사고 차량의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2차 사고를 방지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9278호(2014.06.26)의 '차량사고시 연막과 불꽃을 이용한 자동 경고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고 차량으로 접근 중인 후속 차량을 감지하여 후속 차량의 운전자에게 사고 사실을 전달하고 사고 차량의 운전자에게는 후속 차량이 접근 중임을 경고하는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고 차량으로 접근 중인 후속 차량으로 사고 사실을 전달하여 후속 차량의 운전자가 전방의 사고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후속 차량의 운전자가 사고 차량 및 사고 차량의 운전자에 대한 회피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고 차량의 운전자에게 후속 차량이 접근 중임을 경고하여 사고 차량의 운전자가 안전하게 사고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고 차량으로 접근 중인 후속 차량의 운전자에게 사고 사실을 전달하여 후속 차량의 운전자 등이 사고 차량에 대한 구호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는 차량 사고를 감지하면 후속 차량을 탐지하여 라디오 방송을 통해 상기 후속 차량으로 사고 사실을 전달하고 경고 명령을 출력하는 메인 디바이스; 및 상기 메인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통신으로 경고 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후속 차량이 접근 중임을 경고하는 서브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 디바이스는 차량 사고를 감지하는 사고 감지부; 상기 후속 차량을 탐지하는 차량 탐지 모듈; 라디오 방송으로 사고 사실을 전달하는 라디오 송출부; 상기 서브 디바이스로 상기 경고 명령을 전달하는 무선 송신부; 및 상기 사고 감지부에 의해 차량 사고가 감지되면, 상기 차량 탐지 모듈을 통해 상기 후속 차량을 탐지하고, 상기 라디오 송출부를 통해 라디오 방송으로 상기 후속 차량에게 사고 사실을 전달하며, 상기 경고 명령을 상기 무선 송신부를 통해 상기 서브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고 감지부는 차량 속도의 속도 변화량, 에어백 전개 여부, 및 차량의 충격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토대로 차량 사고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량 탐지 모듈은 전자기파를 방사하는 송신 안테나;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 방사되어 상기 후속 차량에 의해 반사된 전자기파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 및 상기 송신 안테나를 통해 전자기파를 방사하고 상기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전자기파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후속 차량에 대한 탐지 정보를 생성하는 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탐지 정보는 상기 후속 차량과의 거리 및 상기 후속 차량의 속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탐지 정보를 상기 라디오 송출부를 통해 상기 후속 차량으로 전달하여 상기 후속 차량에게 사고 사실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서브 디바이스는 상기 메인 디바이스로부터 경고명령을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사고 차량의 운전자에게 상기 후속 차량이 접근 중임을 경고하는 경고 출력부; 및 상기 메인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통신으로 경고 명령을 전달받으면, 상기 경고 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후속 차량이 접근 중임을 경고하는 서브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경고 출력부는 상기 후속 차량이 접근 중임을 영상과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상기 서브 디바이스를 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고 차량으로 접근 중인 후속 차량을 감지하여 후속 차량의 운전자에게 사고 사실을 전달하고 사고 차량의 운전자에게는 후속 차량이 접근 중임을 경고한다.
본 발명은 사고 차량으로 접근 중인 후속 차량의 운전자에게 사고 사실을 전달하여 후속 차량의 운전자가 전방의 사고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후속 차량의 운전자가 사고 차량 및 사고 차량의 운전자에 대한 회피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사고 차량의 운전자에게 후속 차량이 접근 중임을 경고하여 사고 차량의 운전자가 안전하게 사고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사고 차량으로 접근 중인 후속 차량으로 사고 사실을 전달하여 후속 차량의 운전자 등이 사고 차량에 대한 구호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의 동작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디바이스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디바이스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의 동작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디바이스(10)의 블럭 구성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디바이스(20)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는 메인 디바이스(10) 및 서브 디바이스(20)를 포함한다.
메인 디바이스(10)는 차량 사고 발생시 후속 차량(40)을 감지하여 라디오 방송을 통해 후속 차량(40)으로 사고 사실을 전달하고 서브 디바이스(20)로 경고 명령을 전달한다. 메인 디바이스(10)는 차량에 설치되거나 차량과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디바이스(1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고 감지부(11), 차량 탐지 모듈(12), 라디오 송출부(13), 무선 송신부(14), 및 메인 제어부(15)를 포함한다.
사고 감지부(11)는 차량 사고를 감지한다. 사고 감지부(11)로는 차속 센서(미도시), 에어백 센서(미도시) 및 충격량 센서(미도시)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고 감지부(11)는 차량 속도의 변화량, 에어백 전개 여부 및 차량의 충격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토대로 차량 사고를 감지하는데, 예를 들어 차량 속도의 변화량이 속도 설정값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크게 변경되거나, 에어백이 전개되거나 또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량이 충격량 설정값 이상이면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차량 탐지 모듈(12)은 후속 차량(40)을 탐지하는 것으로서, 레이더 센서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탐지 모듈(12)은 송신 안테나(121), 수신 안테나(122) 및 탐지부(123)를 포함한다.
송신 안테나(121)는 전자기파를 방사한다. 송신 안테나(121)는 차량의 후방 등에 설치되어 전자기파를 방사함으로써, 사고 차량(30)의 후방에서 접근 중인 후속 차량(40)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사고 차량(30)은 사고가 발생한 차량이며, 후속 차량(40)은 사고 차량(30)의 후방에서 사고 차량(30)으로 접근 중인 차량이다.
수신 안테나(122)는 송신 안테나(121)에 의해 방사된 후 후속 차량(40)에 의해 반사된 전자기파를 수신한다.
여기서, 송신 안테나(121)와 수신 안테나(122)는 하나의 모듈 내부에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탐지부(123)는 송신 안테나(121)를 통해 전자기파를 방사하고 수신 안테나(122)를 통해 수신된 전자기파를 신호 처리하여 후속 차량(40)에 대한 탐지 정보를 획득한다. 탐지 정보에는 후속 차량(40)의 존재 여부, 후속 차량(40)과의 거리, 및 후속 차량(40)의 속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레이더 변조 방식으로는 주파수연속변조방식(Frequency Modulation Continous Wave;FMCW) 또는 펄스변조방식(Pulse Modulation)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라디오 송출부(13)는 라디오 방송으로 사고 사실을 전달한다. 라디오 송출부(13)는 그 출력을 제어하여 사고 차량(30)으로부터 일정한 거리 이상으로 사고 사실을 전달한다. 라디오 송출부(13)는 상기한 사고 사실을 FM 라디오가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주파수 채널 예를 들어, FM 88.0MHz 또는 88.2MHz 등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후속 차량(40)의 운전자는 후속 차량(40)에 설치된 라디오 등을 통해 전방의 사고 사실을 인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고 차량(30), 및 사고 차량(30)의 운전자를 회피할 수 있어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무선 송신부(14)는 메인 제어부(15)의 제어신호에 따라 서브 디바이스(20)로 경고 명령을 전달한다. 여기서, 무선 송신부(14)는 상기한 경고 명령을 서브 디바이스(20)로 다양한 통신망을 통해 전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통신망으로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3G, LTE 등과 같이 다양한 통신망이 채용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5)는 사고 감지부(11)에 의해 차량 사고가 감지되면, 차량 탐지 모듈(12)을 통해 후속 차량(40)을 감지하고, 라디오 송출부(13)를 통해 후속 차량(40)으로 사고 사실을 전달하며, 무선 송신부(14)를 통해 경고 명령을 서브 디바이스(20)로 전달한다.
이 경우, 메인 제어부(15)는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 탐지 모듈(12)에 통해 후속 차량(40)이 감지되면 상기한 탐지 정보에 따라 라디오 송출부(13)를 통해 후속 차량(40)으로 사고 사실을 전달한다. 이때 메인 제어부(15)는 상기한 탐지 정보를 후속 차량(40)으로 전달하여 사고 차량(30)의 운전자와 후속 차량(40)의 운전자 모두 탐지 정보를 동시에 인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후속 차량(40)으로 전방에 사고 차량(30)이 있음을 안내하는 문자나 이미지 또는 음성 등을 전송할 수도 있다.
경고 명령에는 상기한 탐지 정보가 포함되거나 또는 후속 차량(40)이 접근 중임을 안내하는 문자나 이미지 또는 음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서브 디바이스(20)는 메인 디바이스(10)로부터 무선 통신으로 경고 명령을 전달받아 후속 차량(40)이 접근 중임을 사고 차량(30)의 운전자에게 경고한다.
서브 디바이스(2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수신부(21), 경고 출력부(22) 및 서브 제어부(23)를 포함한다.
무선 수신부(21)는 메인 디바이스(10)의 무선 송신부(14)로부터 경고명령을 전달받는다.
경고 출력부(22)는 사고 차량(30)의 운전자에게 후속 차량(40)이 접근 중임을 경고한다. 경고 출력부(22)는 후속 차량(40)이 접근 중임을 안내하는 영상과 음성을 각각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221)와 음성 출력부(222), 및 서브 디바이스(20)를 진동시키는 진동부(223)를 포함한다.
여기서, 후속 차량(40)이 접근 중임을 안내하는 영상과 음성은 상기한 바와 같이 경고명령에 포함되어 있는 탐지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사고 차량(30)의 운전자는 후속 차량(40)의 속도 및 후속 차량(40)과의 거리 등을 인지하거나 또는 영상이나 음성 등으로 후속 차량(40)이 접근 중임을 안내받을 수 있다.
서브 제어부(23)는 무선 수신부(21)를 통해 경고 명령을 전달받고, 이 경고 명령에 따라 경고 출력부(22)를 제어하여 사고 차량(30)의 운전자에게 후방에서 차량이 접근 중임을 경고한다. 이 경우, 서브 제어부(23)는 후속 차량(40)과의 거리 및 후속 차량(40)의 속도 등을 출력하거나, 또는 영상이나 음성 등으로 후속 차량(40)이 접근 중임을 출력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 4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먼저 사고 감지부(11)가 차량 사고를 감지한다(S10). 사고 감지부(11)로는 차속 센서, 에어백 센서 및 충격량 센서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고 감지부(11)는 차량 속도의 변화량이 속도 설정값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크게 변경되거나, 에어백이 전개되거나 또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량이 충격량 설정값 이상이면 차량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고 감지부(11)에 의해 차량 사고가 감지되면, 메인 디바이스(10)의 메인 제어부(15)는 차량 탐지 모듈(12)을 제어하여 후속 차량(40)을 탐지한다(S20). 즉, 차량 탐지 모듈(12)의 송신 안테나(121)가 전자기파를 방사하고, 수신 안테나(122)가 송신 안테나(121)에 의해 방사된 후 후속 차량(40)에 의해 반사된 전자기파를 수신하고, 이때 탐지부(123)는 수신 안테나(122)를 통해 수신된 전자기파를 신호 처리하여 후속 차량(40)에 대한 탐지 정보를 생성한다. 이 경우, 탐지 정보에는 후속 차량(40)의 존재 여부, 후속 차량(40)과의 거리, 및 후속 차량(40)의 속도가 포함될 수 있다.
이어, 메인 디바이스(10)의 메인 제어부(15)는 라디오 송출부(13)를 제어하여 방송 주파수 채널을 통해 후속 차량(40)으로 사고 사실을 방송한다(S30). 이때, 라디오 송출부(13)는 출력을 조절하여 사고 차량(30)으로부터 일정한 거리 이상으로 사고 사실을 전달할 수 있으며, 방송 주파수 채널로는 FM 88.0MHz 또는 88.2MHz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이때, 후속 차량(40)의 라디오 수신기로는 사고 차량(30)과의 거리 및 후속 차량(40)의 속도 등이 출력되거나 또는 전방에 사고 사량(30)이 있음을 안내하는 문자나 이미지 또는 음성 등이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속 차량(40)의 운전자는 후속 차량(40)에 설치된 라디오 수신기 등을 통해 전방의 차량 사고를 인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고 차량(30), 및 사고 차량(30)의 운전자를 회피할 수 있어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어 메인 디바이스(10)의 메인 제어부(15)는 무선 송신부(14)를 제어하여 서브 다비이스의 무선 수신부(21)로 경고 명령을 전달한다(S40).
이에 따라, 서브 디바이스(20)의 무선 수신부(21)는 메인 디바이스(10)의 무선 송신부(14)로부터 경고명령을 전달받고, 서브 디바이스(20)의 서브 제어부(23)는 해당 경고명령에 따라 경고 출력부(22)를 통해 사고 차량(30)의 운전자에게 후속 차량(40)이 접근 중임을 경고한다(S50). 이때, 경고 출력부(22)는 사고 차량(30)의 운전자는 후속 차량(40)의 속도 및 후속 차량(40)과의 거리 등을 출력하거나, 서브 디바이스(20)를 진동시킴으로써, 사고 차량(30)의 운전자가 후속 차량(40)이 접근 중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는 사고 차량(30)으로 접근 중인 후속 차량(40)을 감지하여 후속 차량(40)으로 사고 사실을 전달하고 사고 차량(30) 운전자에게는 후속 차량(40)이 접근 중임을 경고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사고 차량(30)으로 접근 중인 후속 차량(40)의 운전자에게 사고 사실을 전달하여 후속 차량(40)의 운전자가 전방의 사고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후속 차량(40)의 운전자가 사고 차량(30) 및 사고 차량(30)의 운전자에 대한 회피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사고 차량(30)의 운전자에게도 후속 차량(40)이 접근 중임을 경고하여 사고 처리 과정에서의 2차 사고를 방지한다.
게다가, 본 실시예는 사고 차량(30)의 운전자가 안전하게 사고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사고 차량(30)으로 접근 중인 후속 차량(40)의 운전자에게 사고 사실을 전달하여 후속 차량(40)의 운전자 등이 사고 차량(30)에 대한 구호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사고 감지부(11)가 차량 사고를 감지하면 사고 차량(30)으로 접근 중인 후속 차량(40)을 탐지하여 후속 차량(40)의 운전자에게 사고 사실을 전달하고 사고 차량(30)의 운전자에게는 후속 차량이 접근 중임을 경고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인 디바이스(10)에 버튼이 설치되고 사고 차량(30)의 운전자에 의해 해당 버튼이 입력될 경우 사고 차량(30)으로 접근 중인 후속 차량(40)을 탐지하여 후속 차량(40)의 운전자에게 사고 사실을 전달하고 사고 차량(30)의 운전자에게는 후속 차량이 접근 중임을 경고하는 것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메인 디바이스
11: 사고 감지부
12: 차량 탐지 모듈
121: 송신 안테나
122: 수신 안테나
123: 탐지부
13: 라디오 송출부
14: 무선 송신부
15: 메인 제어부
20: 서브 디바이스
21: 무선 수신부
22: 경고 출력부
221: 영상 출력부
222: 음성 출력부
223: 진동부
30: 사고 차량
40: 후속 차량

Claims (8)

  1. 차량 사고를 감지하면 후속 차량을 탐지하여 라디오 방송을 통해 상기 후속 차량으로 사고 사실을 전달하고 경고 명령을 출력하는 메인 디바이스; 및
    상기 메인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통신으로 경고 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후속 차량이 접근 중임을 경고하는 서브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디바이스는 상기 메인 디바이스로부터 경고명령을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사고 차량의 운전자에게 상기 후속 차량이 접근 중임을 경고하는 경고 출력부; 및 상기 메인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통신으로 경고 명령을 전달받으면, 상기 경고 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후속 차량이 접근 중임을 경고하는 서브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바이스는
    차량 사고를 감지하는 사고 감지부;
    상기 후속 차량을 탐지하는 차량 탐지 모듈;
    라디오 방송으로 사고 사실을 전달하는 라디오 송출부;
    상기 서브 디바이스로 상기 경고 명령을 전달하는 무선 송신부; 및
    상기 사고 감지부에 의해 차량 사고가 감지되면, 상기 차량 탐지 모듈을 통해 상기 후속 차량을 탐지하고, 상기 라디오 송출부를 통해 라디오 방송으로 상기 후속 차량에게 사고 사실을 전달하며, 상기 경고 명령을 상기 무선 송신부를 통해 상기 서브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감지부는
    차량 속도의 속도 변화량, 에어백 전개 여부, 및 차량의 충격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토대로 차량 사고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탐지 모듈은
    전자기파를 방사하는 송신 안테나;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 방사되어 상기 후속 차량에 의해 반사된 전자기파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 및
    상기 송신 안테나를 통해 전자기파를 방사하고 상기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전자기파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후속 차량에 대한 탐지 정보를 생성하는 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탐지 정보는
    상기 후속 차량과의 거리 및 상기 후속 차량의 속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탐지 정보를 상기 라디오 송출부를 통해 상기 후속 차량으로 전달하여 상기 후속 차량에게 사고 사실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출력부는
    상기 후속 차량이 접근 중임을 영상과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상기 서브 디바이스를 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
KR1020140192584A 2014-09-30 2014-12-29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 KR1016539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2057 2014-09-30
KR1020140132057 2014-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131A KR20160039131A (ko) 2016-04-08
KR101653995B1 true KR101653995B1 (ko) 2016-09-06

Family

ID=55907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584A KR101653995B1 (ko) 2014-09-30 2014-12-29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9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686B1 (ko) 2018-07-27 2019-07-01 (주)로프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사고 알림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457B1 (ko) 2018-03-16 2020-06-09 주식회사 이너링크랩 구직자 및 구인대행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구인구직 채용방법
CN109561394B (zh) * 2018-11-16 2021-09-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警告信息广播方法及终端
KR102131151B1 (ko) * 2020-04-01 2020-07-07 김영권 저속차량 비상등 점멸 유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9861A (ja) 2005-03-15 2006-09-28 Toyota Motor Corp ハザードウォーニングシステム
KR101416368B1 (ko) 2012-12-07 2014-07-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 사고 데이터 처리장치, 차량 사고 중계서버 및 차량 사고 알림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804B1 (ko) * 2006-10-04 2008-06-05 옥은호 자동차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무선 송수신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9861A (ja) 2005-03-15 2006-09-28 Toyota Motor Corp ハザードウォーニングシステム
KR101416368B1 (ko) 2012-12-07 2014-07-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 사고 데이터 처리장치, 차량 사고 중계서버 및 차량 사고 알림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686B1 (ko) 2018-07-27 2019-07-01 (주)로프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사고 알림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131A (ko) 2016-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1572B2 (en) Rear collision warning system
KR101653995B1 (ko)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
JP5765326B2 (ja) 車車間通信装置および隊列走行制御装置
KR102129340B1 (ko) 주차 제어 방법 및 주차 제어 장치
US799155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side-impact collision status of a nearby vehicle
JP6540689B2 (ja) レーダーモジュール、輸送機器、及び物体識別方法
JP2014078171A (ja) 周辺車両認識装置
EP3258455B1 (en) Warning system for an automated vehicle
KR20120059816A (ko) 지능형 차량경보 장치 및 그 방법
JP2008257582A (ja) 運転支援装置
JP2009075703A (ja) 通信システム
JP2005242943A (ja) 交通取締り警告装置
JP2017161430A (ja) 他車両の位置検出装置
US11808876B2 (en) Vehicular radar system with vehicle to infrastructure communication
JP2015134556A (ja) 車載機器および車載機器における操作の抑制方法
KR101472051B1 (ko) 차량 사고 경보 장치 및 사고 알림 정보를 송수신하는 브로드 캐스터
JP2006072725A (ja) 車載装置
JP2016099831A (ja) 車載機
KR20160036755A (ko) 버스의 하차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766960B1 (ko) 도플러 주파수에 기반한 차량 충돌 방지방법 및 장치
JP4836245B2 (ja) 接触回避システムおよび接触回避装置
JP2006209478A (ja) 車両用人物検出装置および車両用人物検出方法
CN111344763B (zh) 车对外界信息交互(v2x)通信系统
JP3925412B2 (ja) 車両走行支援装置
JP2014013215A (ja) 車載レー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