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232B1 -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232B1
KR101651232B1 KR1020130030513A KR20130030513A KR101651232B1 KR 101651232 B1 KR101651232 B1 KR 101651232B1 KR 1020130030513 A KR1020130030513 A KR 1020130030513A KR 20130030513 A KR20130030513 A KR 20130030513A KR 101651232 B1 KR101651232 B1 KR 101651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mage
service
stream
descrip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0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4264A (ko
Inventor
윤국진
정원식
임영권
이봉호
이광순
허남호
이수인
김규헌
박광훈
서덕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30044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94Transmission of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04N13/178Metadata, e.g. disparit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04N21/2353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specifically adapted to content descriptors, e.g. coding, compressing or processing of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2Generation or processing of Service Information [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using pulse code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디지털 방송을 기반으로 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 전송 방법은 스트림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테이블을 구성하는 단계 및 시그널링 테이블 정보와 영상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MEHT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TEREOSCOPIC IMAGE INFORMATION}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3D 영상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는, UDTV서비스와 함께, HDTV에 이은 차세대 방송 서비스로 주목 받고 있으며, 고화질의 상용 스테레오스코픽 디스플레이의 출시 등과 같은 관련 기술의 발달을 바탕으로, 각 가정에서 3D 영상을 즐길 수 있는 3DTV 서비스가 수년 내에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상용 서비스 또는 시범 서비스 되고 있는 3D 방송 서비스는 주로 좌영상 및 우영상으로 구성되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이용한 서비스이다. 또한,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서비스 방식으로서, 사이드-바이-사이드(side-by-side), 탑 앤 바텀(top and bottom) 등의 포맷을 이용하여 좌/우 영상을 하나의 화면으로 만들어서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프레임-컴패터블(frame compatible) 방식 및 좌/우 영상을 별도로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서비스-컴패터블(service compatible)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디지털 방송에 관한 프로토콜에는, 예를 들어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등이 있을 수 있다. PSIP는 기본적으로 MPEG 시스템의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PSIP 또는 PSI는 동일한 목적을 가진 테이블(table)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테이블들은 여러 섹션(section)으로 나뉘어져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형태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형태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 전송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디지털 방송을 기반으로 한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영상 정보 전송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 방식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림 타입(stream type)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테이블(signaling table)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시그널링 테이블 정보 및 영상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림 타입 정보는 서비스-컴패터블(service-compatible) 기반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구성하는 부가 영상의 스트림 타입을 포함한다.
상기 시그널링 테이블은 PSI의 PMT(Program Map Table), PSIP의 VCT(Virtual Channel Table) 또는 PSIP의 EIT(Event Information Table)일 수 있다.
상기 시그널링 테이블은 현재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의 타입이 2D(모노스코픽) 방송 서비스인지 또는 3D 방송 서비스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그널링 테이블은 상기 디지털 방송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 타입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레벨 디스크립터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의 타입이 2D(모노스코픽) 방송 서비스인지 또는 3D 방송 서비스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는 상기 프로그램 레벨 디스크립터 내에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시그널링 테이블은 현재 스트림(stream)이 좌영상에 대응하는 스트림인지 우영상에 대응하는 스트림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그널링 테이블은 상기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기본 스트림(Elementary Stream)의 특성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림 레벨 디스크립터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스트림(stream)이 좌영상에 대응하는 스트림인지 우영상에 대응하는 스트림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는 상기 스트림 레벨 디스크립터 내에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시그널링 테이블은 현재 스트림이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스트림인지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스트림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그널링 테이블은 상기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기본 스트림(Elementary Stream)의 특성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림 레벨 디스크립터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스트림이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스트림인지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스트림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는, 상기 스트림 레벨 디스크립터 내에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디지털 방송을 기반으로 한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영상 정보 전송 장치이다. 상기 장치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 방식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림 타입(stream type)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테이블(signaling table)을 구성하는 영상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시그널링 테이블 정보 및 영상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림 타입 정보는 서비스-컴패터블(service-compatible) 기반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구성하는 부가 영상의 스트림 타입을 포함한다.
상기 시그널링 테이블은 현재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의 타입이 2D(모노스코픽) 방송 서비스인지 또는 3D 방송 서비스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그널링 테이블은 상기 디지털 방송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 타입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레벨 디스크립터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의 타입이 2D(모노스코픽) 방송 서비스인지 또는 3D 방송 서비스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는 상기 프로그램 레벨 디스크립터 내에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시그널링 테이블은 현재 스트림(stream)이 좌영상에 대응하는 스트림인지 우영상에 대응하는 스트림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그널링 테이블은 상기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기본 스트림(Elementary Stream)의 특성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림 레벨 디스크립터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스트림(stream)이 좌영상에 대응하는 스트림인지 우영상에 대응하는 스트림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는 상기 스트림 레벨 디스크립터 내에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시그널링 테이블은 현재 스트림이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스트림인지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스트림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그널링 테이블은 상기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기본 스트림(Elementary Stream)의 특성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림 레벨 디스크립터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스트림이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스트림인지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스트림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는, 상기 스트림 레벨 디스크립터 내에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 전송 방법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 전송 장치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의 전송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위한 PMT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추가되는 스트림 타입 구성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프레임-컴패터블 기반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에 사용되는 디스크립터 구조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프레임-컴패터블 기반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에 사용되는 디스크립터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서비스-컴패터블 기반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에 사용되는 디스크립터 구조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서비스-컴패터블 기반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에 사용되는 디스크립터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 전송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특정 구성을 "포함" 한다고 기술하는 내용은 해당 구성 이외의 구성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추가적인 구성이 본 발명의 실시 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포함한 것으로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일부의 구성 요소는 본 발명에서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고 단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택적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 요소를 제외한 본 발명의 본질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구성부만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선택적 구성 요소를 제외한 필수 구성 요소만을 포함한 구조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의 전송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 전송 방법은 디지털 방송 기반의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영상 서비스에 적용될 수 있다.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에는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레임-컴패터블(frame-compatible (frame-packing)) 방식, 서비스-컴패터블(service-compatible) 방식 및 프레임-컴패터블-컴패터블(frame-compatible-compatible) 방식 등이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컴패터블 방식은 하나의 프레임 내에 좌/우 영상을 모두 포함하여 부호화, 전송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 방식이다. 프레임-컴패터블 방식에 사용되는 영상 포맷에는 다양한 유형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영상 포맷에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 탑 앤 다운(top and down) 포맷, 체크 보드(check board) 포맷 등이 있을 수 있다.
프레임-컴패터블 방식에서는 기존 2D 방송 등에 사용되는 기존 매체, 방송 장비 및 단말을 사용하여 영상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그러나, 기존의 2D 단말을 통한 영상 정보의 수신, 재생의 경우에는 한 화면에 좌/우 영상이 동시에 반씩 재생되므로 기존의 2D 방송에서와 동일한 형태의 2D 영상이 재생되지 않을 수 있다.
서비스-컴패터블 방식은, 기존의 2D 단말에서도 기존의 2D 방송에서와 동일한 형태의 2D 영상 시청을 가능하게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 방식이다. 예를 들어, 서비스-컴패터블 방식에서는 좌/우 영상이 각각 별도의 스트림으로 부호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좌영상 및 우영상 중 하나는 기준(base) 영상, 다른 하나는 부가(additional) 영상이라 하며, 기준 영상에 대해서는 기존 2D 방송에서 사용되는 부호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기준 영상은 MPEG-2 비디오 부호화 방식을 통해 부호화되어 전송될 수 있고, 부가 영상은 AVC 등을 통해 부호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서비스-컴패터블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는 기존의 2D 매체 또는 2D 방송과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다.
프레임-컴패터블-컴패터블 방식은 프레임-컴패터블 방식에서 제공되는 영상 스트림과 함께 별도의 향상 스트림(enhancement stream)을 제공하여 영상의 해상도(resolution)을 높이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 방식이다. 이 때, 전자의 영상 스트림 및 후자의 향상 스트림은 각각 기준 프레임-컴패터블 스트림 및 부가 프레임-컴패터블 스트림으로 불릴 수 있다.
프레임-컴패터블-컴패터블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는, 프레임-컴패터블 방식에 의해 제공되는 3D 디스플레이와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고, 프레임-컴패터블 방식에 비해 향상된 해상도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의 전송 방법은 상술한 다양한 방식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 전송 장치는 시그널링 테이블을 구성한다(S110). 상기 시그널링 테이블에서는, 영상 정보 수신 장치에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영상을 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들, 예를 들어 프로그램 타입을 지시하는 정보,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부호화 스트림의 특성을 지시하는 정보 등이 정의될 수 있다.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영상을 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 및/또는 프로토콜에는 예를 들어 PSI, PSIP 등이 있을 수 있다.
PSI는 MPEG-2에서 TS(Transport Stream)의 역다중화 및 영상 정보 재현에 필요한 정보를 테이블 형식으로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의미한다. 영상 정보 수신 장치는 예를 들어, 기본 스트림(ES: Elementary Stream)의 전환, 채널 선택 등에 필요한 TS 패킷의 판별을 위하여 PSI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PSI는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CAT(Conditional Access Table), PMT(Program Map Table) 및 NIT(Network Information Table) 등과 같은 테이블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PMT는 하나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프로그램 요소(element) 및/또는 프로그램 내의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영상 스트림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PSIP는 디지털 방송에 관한 프로토콜로서, 전송 스트림의 각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이다. PSIP는 시간 정보를 전달하는 STT(System Time Table), 전송 테이블을 관리하는 MGT(Master Guide Table), 가상 채널 정보를 제공하는 VCT(Virtual Channel Table) 및 각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EIT(Event Information Tabl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PSIP는 PSI와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시그널링 테이블은 PSI의 PMT 및/또는 PSIP의 VCT 또는 EIT일 수 있다. 시그널링 테이블에 포함된 각 정보들은, PMT의 스트림 타입(stream_type) 및/또는 디스크립터(descriptor)에서 정의될 수 있고, VCT의 스트림 타입(stream_type) 및/또는 디스크립터(descriptor)에서 정의될 수도 있으며, EIT의 디스크립터(descriptor)에서 정의될 수도 있다. 또한 PSIP와 PSI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이하 시그널링 테이블은 편의상 PMT를 중심으로 서술된다.
디지털 방송을 위한 PMT의 구성 및 이에 포함되는 정보의 상세는 후술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 제공 장치는 구성된 시그널링 테이블 정보 및 영상 데이터 정보를 포함한 영상 정보를 영상 정보 수신 장치로 전송한다(S120).
도 2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위한 PMT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PMT는, 디지털 방송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 타입을 지시하는 정보가 정의되는 프로그램 레벨 디스크립터(program level descriptor),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기본 스트림(ES: Elementary Stream)의 특성을 지시하는 정보가 정의되는 스트림 레벨 디스크립터(stream level descriptor) 및/또는 스트림 타입(stream_typ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PMT는 프로그램의 식별을 위한 정보 및 부호화 스트림의 특성에 관한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프로그램 레벨 디스크립터 및 스트림 레벨 디스크립터를 총칭하여 디스크립터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로그램 레벨 디스크립터들은 PMT 구문 내에서 ‘가’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스트림 레벨 디스크립터들은 PMT 구문 내에서 ‘나’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추가되는 스트림 타입 구성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트림 타입(stream_type)은 부호화 스트림의 코덱 타입을 정의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의 형태 및/또는 방식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는 프레임-컴패터블 방식, 서비스-컴패터블 방식 및 프레임-컴패터블-컴패터블 방식 등을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으므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가 어떤 방식으로 제공되는지를 구별하기 위해 도 3의 실시예에서 정의된 스트림 타입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프레임-컴패터블 기반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를 위한 부호화 스트림 타입에는 0x90의 값이 할당되고, 서비스-컴패터블 기반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를 위한 부가영상의 스트림 타입에는 0x91의 값이 할당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스트림 타입에 할당된 값(value)들은 0x90, 0x91 등에 한하지 않으며, 설정에 따라 달리 정해질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새로운 스트림 타입이 설정되는 경우, 기존 수신기는 새로운 스트림 타입을 인식할 수 없다. 따라서, 새로운 스트림 타입의 설정은 기존 수신기에서 새로운 스트림 타입에 대응하는 영상이 재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다른 실시예로 추가되는 스트림 타입은 서비스 방식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코덱 타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되는 서비스 방식이 동일한 경우에도 사용되는 코덱 타입이 다른 경우에는, 서로 다른 스트림 타입이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디스크립터에 코덱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가 정의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에 대해 새로운 스트림 타입의 할당 없이 기존의 스트림 타입이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디스크립터에 코덱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가 정의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크립터에 코덱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가 정의되는 경우의 실시예는 후술된다.
도 4는 프레임-컴패터블 기반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에 사용되는 디스크립터 구조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프레임-컴패터블 기반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는 도 3의 실시예에서 스트림 타입의 값이 0x90인 경우에 해당한다. 프레임-컴패터블 방식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립터를 통해 영상의 형태, 구성 등이 식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립터들은 그 명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는 디스크립터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또한 이하, 디스크립터에 포함된 각각의 구문 요소(syntax element)들은 필드(field)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의되는 필드들은 그 명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동일 또는 유사한 정보를 지시하는 필드라면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정의된 필드들은 모두 사용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사용되거나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디스크립터는 현재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의 타입이 2D(모노스코픽) 방송 서비스인지 또는 3D 방송 서비스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디스크립터 내에 stereoMono_service_flag라는 필드가 정의될 수 있다.
2D 방송 서비스와 3D 방송 서비스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현재 프로그램이 2D 방송 프로그램인지 또는 3D 방송 프로그램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가 요구된다. 현재 프로그램이 2D(모노스코픽) 방송 프로그램인지 또는 3D 방송 프로그램인지 여부 및/또는 현재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의 타입이 2D(모노스코픽) 방송 서비스인지 또는 3D 방송 서비스인지 여부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stereoMono_service_flag에 의해 구별될 수 있으며, 도 3의 실시예에서 정의된 스트림 타입 또는 관련 디스크립터의 존재 유무에 의해서도 구별될 수 있다. 2D 방송 서비스와 3D 방송 서비스를 구별하기 위한 정보는 예를 들어, 2D 방송과 3D 방송이 시간에 따라 혼용되는 서비스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크립터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구성하는 영상 포맷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정보에 따라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탑 앤 다운(top and down) 및 레프트/라이트 뷰 시퀀스(left/right view sequence) 등의 영상 포맷들 중 어떤 영상 포맷이 사용되는지 여부가 판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디스크립터 내에 Stereoscopic_composition_type이라는 필드가 정의될 수 있다.
디스크립터는 좌우 영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현재 영상이 기준 영상인지 부가 영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디스크립터 내에 LR_first라는 필드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필드는 영상 포맷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구문 요소의 값 및 영상 포맷에 따른 좌우 영상 위치 정보 할당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13024715243-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이 사용되고 LR_first 값이 1인 경우, 3차원 영상 프레임의 좌측 영역에 좌영상, 우측 영역에 우영상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이 사용되고 LR_first 값이 0인 경우, 3차원 영상 프레임의 좌측 영역에 우영상, 우측 영역에 좌영상이 위치할 수 있다.
탑 앤 다운 포맷이 사용되고 LR_first 값이 1인 경우, 3차원 영상 프레임의 상단 영역에 좌영상, 하단 영역에 우영상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탑 앤 다운 포맷이 사용되고 LR_first 값이 0인 경우, 3차원 영상 프레임의 상단 영역에 우영상, 하단 영역에 좌영상이 위치할 수 있다.
디스크립터는 부호화 및 복호화 수행을 위한 코덱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스트림 타입에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를 위한 코덱 타입이 정의되지 않는 경우, 디스크립터에 코덱 타입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경우에도 스트림 타입은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의 형태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디스크립터 내에 CodecType이라는 필드가 정의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립터는 예를 들어 도 2의 PMT 구문 내에서 ‘나’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스크립터는 스트림 레벨 디스크립터로도 불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의되는 디스크립터들은 상술한 정보들을 포함하면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필드들은 하나의 디스크립터 내에서 정의되지 않고 각각 별도의 디스크립터 내에서 정의될 수 있으며, 또한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레벨 디스크립터에서는 stereoMono_service_flag, Stereoscopic_composition_type가, 스트림 레벨 디스크립터에서는 LR_first, CodecType이 정의될 수도 있다.
도 5는 프레임-컴패터블 기반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에 사용되는 디스크립터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필드들이 별도의 디스크립터 내에서 정의되는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Sterepscopic_program_descriptor는 현재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의 타입이 2D(모노스코픽) 방송 서비스인지 또는 3D 방송 서비스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stereoMono_service_flag), 영상 포맷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Stereoscopic_composition_type), 좌우 영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현재 영상이 기준 영상인지 부가 영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LR_firs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Frame_packing_identifier_descriptor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를 위한 코덱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CodecType)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디스크립터들은 이에 포함되는 필드의 특성에 따라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PMT 내에서 각각 다른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terepscopic_program_descriptor는 도 2의 PMT 구문 내에서 ‘가’ 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 때 Sterepscopic_program_descriptor는 프로그램 레벨 디스크립터로 불릴 수 있다. 또한 Frame_packing_identifier_descriptor는 도 2의 PMT 구문 내에서 ‘나’ 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 때 Frame_packing_identifier_descriptor는 스트림 레벨 디스크립터로 불릴 수 있다.
상기 필드들은 그 특성에 따라, 다른 디스크립터에서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LR_first 필드는 스트림 레벨 디스크립터에서 정의될 수도 있다.
도 6은 서비스-컴패터블 기반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에 사용되는 디스크립터 구조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립터는 프레임-컴패터블-컴패터블 기반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는 후술한다.
서비스-컴패터블 기반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에서 기준 영상 스트림 타입은 0x02(MPEG-2 비디오 스트림)일 수 있고, 부가 영상 스트림 타입은 도 3의 실시예에 따라 0x91일 수 있다. 서비스-컴패터블 기반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는 기존의 2D 매체 또는 2DTV 수신 장치와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다. 서비스-컴패터블 방식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립터를 통해 영상의 형태, 구성 등이 식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립터들은 그 명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는 디스크립터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또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의되는 필드들은 그 명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동일 또는 유사한 정보를 지시하는 필드라면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정의된 필드들은 모두 사용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사용되거나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디스크립터는 현재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의 타입이 2D(모노스코픽) 방송 서비스인지 또는 3D 방송 서비스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디스크립터 내에 stereoMono_service_flag라는 필드가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디스크립터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구성하는 영상 포맷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정보에 따라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탑 앤 다운(top and down) 및 레프트/라이트 뷰 시퀀스(left/right view sequence) 등의 영상 포맷 중 어떤 영상 포맷이 사용되는지 여부가 판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디스크립터 내에 Stereoscopic_composition_type이라는 필드가 정의될 수 있다.
디스크립터는 현재 스트림이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스트림인지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스트림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디스크립터 내에 LR_first라는 필드가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R_first의 값이 1인 경우 기준 영상을 나타내고 LR_first의 값이 0인 경우 부가 영상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로, LR_first의 값이 1인 경우 좌영상이 기준 영상임을 나타낼 수 있고 또는 LR_first의 값이 0인 경우 우영상이 부가 영상임을 나타낼 수 있다.
디스크립터는 현재 스트림이 좌영상에 대응하는 스트림인지 우영상에 대응하는 스트림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디스크립터 내에 View_info_flag라는 필드가 정의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립터가 프레임-컴패터블-컴패터블 기반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에 사용되는 경우, 상기 View_info_flag는 현재 스트림이 기준 프레임-컴패터블 스트림인지 또는 부가 프레임-컴패터블 스트림인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디스크립터는 기준 영상 스트림에 대한 ES_PID(Elementary Stream Packet IDentification)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 영상 스트림이 기준 영상과 다른 별개의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정보는 채널간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기준 영상의 채널 ID를 나타낼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디스크립터 내에 Dependency_view_ID라는 필드가 정의될 수 있다.
디스크립터는 부호화 및 복호화 수행을 위한 코덱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스트림 타입에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를 위한 코덱 타입이 정의되지 않는 경우, 디스크립터에 코덱 타입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경우에도 스트림 타입은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의 형태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코덱 타입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디스크립터 내에 CodecType이라는 필드가 정의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립터는 예를 들어 도 2의 PMT 구문 내에서 ‘나’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스크립터는 스트림 레벨 디스크립터로도 불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의되는 디스크립터들은 상술한 정보들을 포함하면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필드들은 하나의 디스크립터 내에서 정의되지 않고 각각 별도의 디스크립터 내에서 정의될 수 있으며, 또한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레벨 디스크립터에서는 stereoMono_service_flag, Stereoscopic_composition_type가, 스트림 레벨 디스크립터에서는 LR_first, View_info_flag, Dependency_view_ID, CodecType이 정의될 수도 있다.
도 7은 서비스-컴패터블 기반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에 사용되는 디스크립터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필드들이 별도의 디스크립터 내에서 정의되는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Sterepscopic_program_descriptor는 현재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의 타입이 2D(모노스코픽) 방송 서비스인지 또는 3D 방송 서비스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stereoMono_service_flag), 영상 포맷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Stereoscopic_composition_type), 현재 스트림이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스트림인지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스트림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LR_firs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ervice_compatible_identifier_descriptor는 현재 스트림이 좌영상에 대응하는 스트림인지 우영상에 대응하는 스트림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View_info_flag), 기준영상 스트림에 대한 ES_PID(Elementary Stream Packet IDentification)를 나타내는 정보(Dependency_view_ID),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를 위한 코덱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CodecType)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디스크립터들은 이에 포함되는 필드의 특성에 따라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PMT 내에서 각각 다른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terepscopic_program_descriptor는 도 2의 PMT 구문 내에서 ‘가’ 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 때 Sterepscopic_program_descriptor는 프로그램 레벨 디스크립터로 불릴 수 있다. 또한 Service_compatible _identifier_descriptor는 도 2의 PMT 구문 내에서 ‘나’ 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 때 Service_compatible _identifier_descriptor는 스트림 레벨 디스크립터로 불릴 수 있다.
상기 필드들은 그 특성에 따라, 다른 디스크립터에서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LR_first 필드는 스트림 레벨 디스크립터에서 정의될 수도 있다.
프레임-컴패터블-컴패터블 기반의 스테레오 스코픽 영상 서비스에서 기준 프레임-컴패터블 스트림의 스트림 타입은 도 3의 실시예에서의 0x90, 부가 프레임-컴패터블 스트림의 스트림 타입은 도 3의 실시예에서의 0x91일 수 있다. 프레임-컴패터블-컴패터블 기반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는 프레임-컴패터블 기반의 3D 매체 또는 3DTV 수신기와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다. 프레임-컴패터블-컴패터블 방식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도 6 또는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립터를 통해 영상의 형태, 구성 등이 식별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립터가 프레임-컴패터블-컴패터블 기반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에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디스크립터는 예를 들어 도 2의 PMT 구문 내에서 ‘나’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스크립터는 스트림 레벨 디스크립터로도 불릴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필드들은 하나의 디스크립터 내에서 정의되지 않고 각각 별도의 디스크립터 내에서 정의될 수 있으며, 또한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립터가 프레임-컴패터블-컴패터블 기반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서비스에 사용되는 경우, 상기 디스크립터는 포함된 필드의 특성에 따라 분리될 수 있고, 분리된 디스크립터들은 도 7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각 PMT 구문 내에서 ‘가’및 ‘나’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가’부분에 위치한 디스크립터는 프로그램 레벨 디스크립터, ‘나’부분에 위치한 디스크립터는 스트림 레벨 디스크립터로 불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의되는 디스크립터들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 또는 도 7의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컴패터블-컴패터블 기반의 스테레오 스코픽 영상 서비스에 사용되는 디스크립터들은 그 명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는 디스크립터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의되는 필드들은 그 명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동일 또는 유사한 정보를 지시하는 필드라면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정의된 필드들은 모두 사용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사용되거나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 전송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 전송 장치(810) 및 영상 정보 수신 장치(820)를 포함한다.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 전송 장치(810)는 영상 정보 생성부(812) 및 전송부(8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영상 정보 생성부(812)는 시그널링 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시그널링 테이블에서는, 영상 정보 수신 장치에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영상을 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들, 예를 들어 프로그램 타입을 지시하는 정보,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부호화 스트림의 특성을 지시하는 정보 등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시그널링 테이블은 PSI의 PMT, PSIP의 VCT 및/또는 PSIP의 EIT일 수 있다. 시그널링 테이블에 포함된 각 정보들은, PMT의 스트림 타입 및/또는 디스크립터에서 정의될 수 있고, VCT의 스트림 타입 및/또는 디스크립터에서 정의될 수도 있으며, EIT의 디스크립터에서 정의될 수도 있다. 시그널링 테이블에 포함되는 스트림 타입 및 디스크립터의 상세는 도 2 내지 도 8의 실시예에서 상술된 바와 같다.
전송부(814)는 영상 정보 생성부(812)에서 구성된 시그널링 테이블 정보 및 영상 데이터 정보를 포함한 영상 정보를 영상 정보 수신 장치(82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정보 수신 장치(820)는 상기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시그널링 테이블 정보 및 영상 데이터 정보를 기반으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서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난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들을 나타내기 위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술할 수는 없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조합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서비스를 식별하는 타입정보를 가지는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시그널링 정보 및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가 좌영상에 대응하는 컴포넌트인지 우영상에 대응하는 컴포넌트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 코덱 타입정보 및 상기 방송 신호의 전송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타입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의 타입은 프레임 컴패터블 방식 또는 서비스 컴패터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 전송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PSI의 PMT(Program Map Table), PSIP의 VCT(Virtual Channel Table) 또는 PSIP의 EIT(Event Information Table)인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 전송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기본 스트림(Elementary Stream)의 특성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 전송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현재 스트림이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스트림인지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스트림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 전송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30030513A 2010-10-13 2013-03-21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6512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9689 2010-10-13
KR1020100099689 2010-10-1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848A Division KR20120038385A (ko) 2010-10-13 2011-10-13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264A KR20130044264A (ko) 2013-05-02
KR101651232B1 true KR101651232B1 (ko) 2016-08-26

Family

ID=461391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848A KR20120038385A (ko) 2010-10-13 2011-10-13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0130030513A KR101651232B1 (ko) 2010-10-13 2013-03-21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848A KR20120038385A (ko) 2010-10-13 2011-10-13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182074A1 (ko)
EP (1) EP2629529A4 (ko)
JP (1) JP2013545344A (ko)
KR (2) KR20120038385A (ko)
CN (1) CN103329544A (ko)
WO (1) WO201205038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35045A (zh) * 2010-12-02 2014-01-22 韩国电子通信研究院 用于传送立体视频信息的方法和设备
US20150109413A1 (en) * 2013-10-21 2015-04-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Video reception apparatus to provide hybrid service based on transport stream system target decoder model
EP3110159B1 (en) * 2014-02-21 2020-09-16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device and broadcast signal receiving device
WO2016047985A1 (ko) * 2014-09-25 2016-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3d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19209B1 (ko) 2015-06-17 2023-04-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mmt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7621A2 (en) * 2009-01-28 2010-08-05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receiver an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7497B2 (ja) * 2001-01-22 2010-07-07 日本テレビ放送網株式会社 立体映像信号の伝送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4190357B2 (ja) * 2003-06-12 2008-12-03 シャープ株式会社 放送データ送信装置、放送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放送データ受信装置
JP2005094168A (ja) * 2003-09-12 2005-04-07 Sharp Corp ファイル構造及びそれを用いる画像記録装置並びに画像再生装置
KR100585966B1 (ko) * 2004-05-21 2006-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방송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100818933B1 (ko) * 2005-12-02 2008-04-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방송 기반 3차원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MX2008012382A (es) * 2006-03-29 2008-11-18 Thomson Licensing Metodos y aparatos para usarse en un sistema de codificacion de video de multiples vistas.
KR101450145B1 (ko) * 2007-06-11 2014-10-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비트스트림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0993428B1 (ko) * 2007-12-12 2010-1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mb 연동형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 및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장치
KR20100095464A (ko) * 2007-12-18 2010-08-30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체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
KR101396619B1 (ko) * 2007-12-20 2014-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3d 영상에 관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3d 영상파일을생성 및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506219B1 (ko) * 2008-03-25 2015-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재생 방법, 그 장치 및 그기록매체
ES2428921T3 (es) * 2008-06-26 2013-11-12 Panasonic Corporation Medio de grabación, dispositivo de reproducción, dispositivo de grabación, procedimiento de reproducción, procedimiento de grabación y programa
US8520057B2 (en) * 2008-11-04 2013-08-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receiving 3-dimensional broadcasting service
KR100972792B1 (ko) * 2008-11-04 2010-07-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동기화하는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10212948A (ja) * 2009-03-10 2010-09-24 Sony Corp 再生装置、再生方法、記録装置、記録方法、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構造
US8854428B2 (en) * 2009-03-19 2014-10-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three dimensional (3D) video signal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1838071B1 (ko) * 2010-04-30 2018-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7621A2 (en) * 2009-01-28 2010-08-05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receiver an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50381A3 (ko) 2012-06-07
EP2629529A4 (en) 2014-07-02
CN103329544A (zh) 2013-09-25
JP2013545344A (ja) 2013-12-19
KR20130044264A (ko) 2013-05-02
KR20120038385A (ko) 2012-04-23
EP2629529A2 (en) 2013-08-21
US20130182074A1 (en) 2013-07-18
WO2012050381A2 (ko) 201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332B1 (ko) 3차원 디지털 컨텐츠의 제공 방법, 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101529932B1 (ko) 이차원 영상과 3d 영상의 통합 서비스가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JP5775884B2 (ja) 多視点ビデオストリームに係わるリンク情報を利用するデジタルデータストリーム伝送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リンク情報を利用するデジタルデータストリーム伝送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970649B1 (ko) 수신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20120033039A1 (en) Encoding method, display device, and decoding method
KR101653319B1 (ko) 3d 영상을 위한 영상 컴포넌트 송수신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30077827A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WO2012081874A2 (ko)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서비스 위한 시그널링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20110123658A (ko) 3차원 방송 서비스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101651232B1 (ko)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US89530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trea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tream
US9473759B2 (en) Transmission device, reception and playback device, transmission method, and reception and playback method
CN104247413A (zh) 用于3d服务的信号处理设备和方法
EP34393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ignals
KR20150049686A (ko)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531240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다시점 프로그램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91437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ereoscopic video
KR20110068821A (ko) 송, 수신 장치 및 송, 수신 방법
KR20120060771A (ko)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EP264840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tereoscopic video information
KR20130046404A (ko) 디지털 단말에서의 2d 모드 재생을 위한 송신 장치, 디지털 단말에서의 2d 모드 재생 장치 및 그 방법들
KR20120121831A (ko)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