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619B1 - 3d 영상에 관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3d 영상파일을생성 및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3d 영상에 관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3d 영상파일을생성 및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619B1
KR101396619B1 KR1020070133886A KR20070133886A KR101396619B1 KR 101396619 B1 KR101396619 B1 KR 101396619B1 KR 1020070133886 A KR1020070133886 A KR 1020070133886A KR 20070133886 A KR20070133886 A KR 20070133886A KR 101396619 B1 KR101396619 B1 KR 101396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data
image file
fil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6386A (ko
Inventor
이건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3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619B1/ko
Publication of KR20090066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8Adjusting depth or dispa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44Processing image signals for flicker reduction

Abstract

본 발명은 3D 입체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사용자의 눈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3D 영상파일 포맷과, 이를 이용한 3D 영상파일을 생성하고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1영상데이터와, 제1영상데이터와 동기화되어 3D 입체영상을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제2영상데이터와, 3D 입체영상의 시청시 사용자의 눈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영상처리에 이용되는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3D 영상파일을 생성하는 영상파일 생성장치와; 생성된 3D 영상파일이 입력되면, 3D 영상파일 내의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제1영상데이터 및 제2영상데이터를 합성함으로써 3D 입체영상 파일을 재생 및 표시하는 영상파일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3D 영상에 관한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3D 영상파일을 생성 및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가 본 발명의 3D 영상파일 포맷에 의한 3D 입체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눈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3D 영상파일, 부가정보, 양안시차정보

Description

3D 영상에 관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3D 영상파일을 생성 및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PLAYING THREE DIMENSIONAL IMAGE FILE INCLUDING ADDITIONAL INFORMATION ON THREE DIMENSIONAL IMAGE}
본 발명은 3D 입체영상의 시청시에 생기는 사용자의 눈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영상처리에 이용되는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3D 영상파일 포맷과, 이를 이용한 3D 영상파일을 생성하고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3D 영상파일 포맷은 2D 영상 미디어 표준(Two-Dimensional Image Media Standards)을 기반으로 하여 생성된 것으로서, 3D 입체영상을 위한 영상데이터 및 상기 부가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2D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파일 포맷의 표준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으나, 3D 입체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파일 포맷의 표준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멀티미디어 관련 국제 표준화 기구인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은 MPEG-1을 시작으로 하여 현재는 MPEG-2, MPEG-4, MPEG-7, MPEG-21의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처럼 여러 가지 표준이 개발됨에 따라 서로 다른 표준 기술을 조합하여 하나의 프로파일을 만들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으며, 이러한 움직임의 하나로서 MPEG-A(MPEG Application: ISO/ICE 230000) 멀티미디어 응용 표준화 활동이 있다. MPEG-A 활동의 하나로서 다양한 멀티미디어 응용 형식(Multimedia Application Format: MAF)을 만들고 있는데, 이러한 멀티미디어 응용 형식은 기존의 MPEG 표준들 뿐만 아니라 비 MPEG 표준들을 함께 조합하여 표준의 활용 가치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렇듯 별도의 표준을 새로 만드는 노력없이 이미 검증된 표준 기술을 쉽게 조합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응용 형식을 만들 수 있으며 그 효용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다. 현재까지는 DAB MAF(Digital Audio Broadcasting MAF), DMB MAF(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AF) 등의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으나, 3D 입체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파일 포맷에 관해서는 아직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지 않다.
특히,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에서 3D 입체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영상파일 포맷이나 이러한 영상파일 포맷을 이용하여 영상파일을 생성 및 재생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해 전혀 알려진 바 없다.
한편, 사용자가 이러한 3D 입체영상을 시청하는 경우엔 2D 영상에 비하여 눈의 피로를 쉽게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감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영상처리를 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3D 영상파일 포맷이나 이러한 포맷을 이용한 3D 영상파일의 생성 및 재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역시 알려져 있지 않다. 아울러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감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정보 외에도 기 존 표준에 의한 영상파일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는 저작권에 관한 정보만을 포함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영상파일을 원하는 대로 검색하고 분류하여 저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3D 입체영상을 생성, 저장 및 재생하기 위해 필요한 3D 영상파일 포맷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2D 영상을 생성, 저장 및 재생하기 위한 영상파일 포맷을 기반으로 하는 3D 입체영상을 위한 영상파일 포맷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3D 입체영상을 위한 영상파일 포맷을 이용하여 3D 영상파일을 생성 및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3D 영상파일 포맷은 사용자가 3D 입체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2D 영상에 비하여 쉽게 눈의 피로를 느끼므로, 눈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영상파일 재생장치에서 3D 입체영상에 필요한 처리를 할 수 있도록 이용되는 부가정보를 포함하도록 한다. 아울러 사용자의 3D 영상파일에 사용자나 컨텐츠에 관한 다양한 색인정보를 포함하도록 하여 3D 영상파일을 분류하여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영상데이터와, 제1영상데이터와 동기화되어 3D 입체영상을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제2영상데이터와, 3D 입체영상의 시청시 사용자의 눈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영상처리에 이용되는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3D 영상파일을 생성하는 영상파일 생성장치와; 생성된 3D 영상파일이 입력되면, 3D 영상파일 내의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제1영상데이터 및 제 2영상데이터를 합성함으로써 3D 입체영상 파일을 재생 및 표시하는 영상파일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3D 영상에 관한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3D 영상파일을 생성 및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영상데이터와, 제1영상데이터와 동기화되어 3D 입체영상을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제2영상데이터와, 생성되는 3D 입체영상의 색인 및 검색을 위한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3D 영상파일을 생성하는 영상파일 생성장치와; 생성된 복수의 3D 영상파일이 입력되면, 복수의 3D 영상파일에 포함된 부가정보를 참조하여 복수의 3D 영상파일을 저장 및 검색하고, 선택된 3D 영상파일을 재생 및 표시하는 영상파일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3D 영상에 관한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3D 영상파일을 생성 및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영상데이터와, 제1영상데이터와 동기화되어 3D 입체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제2영상데이터와, 3D 입체영상 시청시 사용자의 눈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영상파일에서, 제1영상데이터, 제2영상데이터 및 부가정보를 추출하는 파일분석 단계와; 추출된 제1영상데이터, 제2영상데이터 및 부가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 단계와;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영상데이터 및 상기 제2영상데이터를 합성하여 3D 입체영상을 재생하는 재생 단계와; 상기 재생되는 3D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3D 영상에 관한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3D 영상파일을 생성 및 재생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영상데이터와, 상기 제1영상데이터와 동기화되어 3D 입체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제2영상데이터와, 3D 입체영상의 색인 및 검색을 위한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파일에서, 제1영상데이터, 제2영상데이터 및 부가정보를 추출하는 파일분석 단계와; 추출된 제1영상데이터, 제2영상데이터 및 부가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 단계와; 복수의 3D 영상파일에 포함된 부가정보를 참조하여 복수의 3D 영상파일을 저장 및 검색하고, 선택된 3D 영상파일을 제1영상데이터와 제2영상데이터를 합성하여 재생하는 재생 단계와; 재생되는 3D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3D 영상파일을 생성 및 재생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해, 이미 검증된 2D 영상의 표준 기술을 이용하여 3D 영상파일 포맷을 규정함으로써, 새로운 표준으로서의 검증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본 발명의 3D 영상파일 포맷에 의한 3D 입체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눈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본 발명의 3D 영상파일에 포함된 색인정보를 이용하여 3D 영상파일의 저장 및 검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3D 입체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포맷을 설명하기 전에,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표준기술에 의한 2D 영상을 위한 영상파일의 저장 포맷에 대한 블록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ISO 14496-12에 따른 2D 영상 파일의 포맷(100)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르면, 2D 영상 파일 포맷(100)은 가장 상위 레벨이라 할 수 있는 파일박스(Ftyp)(110), 그리고 무브박스(Moov)(120)와 미디어데이터박스(Mdat)(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미디어데이터박스(130)는 파일 포맷 중 데이터영역으로서, 영상트랙(131)에 실제 영상데이터(132)가 포함되고, 음성트랙(133)에는 음성데이터(134)가 포함된다. 각 트랙에는 영상데이터(132)와 음성데이터(134)가 프레임 단위로 저장된다. 무브박스(120)는 파일 포맷 중 헤더영역에 해당하며, 객체 기반의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비트 레이트(Bit Rate), 이미지 크기 등의 컨텐츠 정보과 FF/REW 등의 재생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동기화 정보 등의 파일 재생을 위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영상데이터(132) 및 음성데이터(134)의 전체 프레임수, 각 프레임의 크기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재생 시에 무브박스(120)를 분석(Parsing)하여 영상데이터(132) 및 음성데이터(134)를 복원하여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도 1의 파일 2D 영상을 위한 영상파일의 저장 포맷(100)을 기반으로 3D 입체영상을 저장할 뿐만 아니라, 3D 입체영상의 시청시 눈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영상파일의 재생장치에서 필요한 영상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부가정보도 포함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사용자가 컨텐츠 및 사용자에 따라 3D 입체영상 파일을 분류하여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색을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포함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14에서는 본 발명의 각 실시 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도 1에 나타난 2D 영상 파일 포맷(100)을 기본적으로 이용하며, 필요한 변경이 가하여진 부분만 도면에 도시하였다. 그러므로 기존 2D 영상 파일 포맷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서는 중요한 변경없이 그대로 그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먼저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영상파일의 포맷에 대한 블록 구성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3D 영상파일의 포맷(200)은 최상위 레벨의 파일박스(210), 헤더영역에 속하는 무브박스(220), 데이터영역인 미디어데이터박스(240), 그리고 새롭게 추가되는 메타데이터박스(230)로 구성된다.
여기서 미디어데이터박스(240)는 입체영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트랙(241)과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성트랙(음성트랙에 관하여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미디어데이터박스(240) 내의 영상트랙(241)은 3D 입체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영상데이터가 저장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영상트랙(241)에는 2D 영상을 위한 제1영상데이터와, 제1영상데이터와 동기화되어 3D 입체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제2영상데이터가 저장된다. 여기서 제1영상데이터 및 제2영상데이터는 하나의 피사체에 대한 좌시점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좌시점 영상데이터와 우시점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우시점 영상데이터가 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피사체에 대해 양 시점에서 촬영하여 양 데이터를 인터리빙(Interleaving)하여 표시하면, 사용자로 하여금 입체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의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제1영상데이터와 제2영상데이터에 대한 별도의 영상트랙을 각각 만들지 않고, 하나의 영상트랙(241)에 저장되도록 한다. 여기서 하나의 기본 스트림(Elementary Stream: ES)으로 구성되는 영상트랙(241) 내에서 각 제1영상데이터 및 제2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방식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별도의 영상트랙(242)을 추가하여 보조영상데이터를 저장한다. 보조영상데이터는 3D 입체영상의 시청시 눈의 피로감을 줄이기 위해 영상파일 재생장치에서 데이터 처리를 하기 위해 필요한 부가정보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양안시차정보를 그 한 예로서 이용한다. 양안시차정보란 피사체에 대해 두 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경우 촬영 관측 지점의 변화에 따라서 생기는 각 촬영 영상의 겉으로 보이는 물체의 위치 변이(Shift) 정도이다. 이러한 양안시차정보가 사용자의 눈의 피로도를 더욱 심하게 느끼게 하므로, 이러한 양안시차정보를 이용하여 3D 입체영상 파일의 재생시 보정하여 줌으로써 사용자는 좀 더 자연스러운 3D 입체영상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양안시차정보 역시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MPEG-C의 표준을 이용한다. MPEG-C의 신텍스(Syntex)는 아래 표 1과 같다.
parallax_params(){ Descriptor
parallax_zero u(16)
parallax_scale u(16)
dref u(16)
wref u(16)
}
그리고 무브박스(220)는 각 영상데이터를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트랙(221), 보조영상데이터를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트랙(225) 등을 포함한다. 트랙(221)에서 'tref'(track reference container)(222) 박스(Box)에서 입체영상을 위한 영상트랙(241)을 참조할 수 있도록 영상트랙(241)을 지정한다. 이때 reference_type이 'auxv'(auxiliary video stream)이면, 보조영상데이터를 참조하도록 할 수 있으며, 지정하지 않으면 보조영상데이터를 참조하지 않게 된다. 그러면 눈의 피로감 감소와 관련이 없는 일반적인 3D 입체영상을 감상하게 될 것이다. 한편, 'mdia'(media information container)(223)(225) 안의 'hdlr'(handler reference box)(224)(226) 박스는 지정하는 영상트랙의 타입을 나타내는데, 'vide'이면 3D 입체영상을 위한 입체영상데이터를 나타내고, 'auxv'이면 눈의 피로감을 줄이기 위한 보조영상데이터임을 나타낸다.
한편, 메타데이터박스(230)는 'iloc'(item location box) 및 'iinf'(item information box)(231) 박스를 포함하며, 'iloc'는 실제 기본 스트림들의 ID 정보 및 오프셋(Offset) 정보, 그리고 길이(Length) 정보 등을 나타내는 박스들로서 이 박스들을 이용하여 입체영상데이터의 기본 스트림 및 보조영상데이터의 기본 스트림을 포인팅(Pointing)하고 복호(Decoding)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3D 영상파일의 포맷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의 실시 예는 도 2의 실시 예와 달리 미디어데이터박스(240)에서 한 개가 아닌 두 개의 영상트랙(351)(352)을 포함하여 기본적으로 두 개의 기본 스트림을 각각의 영상트랙(351)(352)에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는 좌시점 카메라에서 촬영된 제1입체영상데이터와 우시점 카메라에서 촬영된 제2입체영상데이터를 각 영상트랙(351)(352)에 저장할 수 있다. 나머지 무브박스(320) 및 메타데이터박스(340)에 관한 설명은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3D 영상파일 포맷에 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부가정보로서 양안시차정보가 아닌 카메라 정보 및 3D 영상파일의 재생시 후처리를 위한 정보를 이용하고 있다. 여기서 카메라 정보는 제1카메라 및 상기 제2카메라 간의 거리, 초점 거리, 피사체에 대한 카메라의 각도 등에 관한 정보이다. 그리고 후처리를 위한 정보는 사용자와 상기 3D 영상파일이 표시되는 스크린 간의 거리, 상기 스크린의 크기, 상기 3D 영상파일의 표시에 관한 정보와 같은 디스플레이(Display)에 관한 정보이다.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재생시 3D 입체영상을 보정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좀 더 부드러운 3D 입체영상을 즐길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기존의 2D 영상파일 포맷에 메타데이터박스(430)를 새롭게 추가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미디어데이터박스(440)가 하나의 기본 스트림으로서 하나의 영상트랙(441)을 포함하고 있으나, 도 5에서는 미디어데이터박스(540)가 두 개의 기본 스트림으로서 두 개의 영상트랙(541)(542)을 포함하고 있는 차이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scdi'의 정의, 신텍스, 시멘틱스(Semantics)를 각각 규정한다. 먼저 'scdi'는 아래 표 2와 같다.
[Definition]
Box Type: 'scdi'
Container: Meta Box('meta')
Mandatory: Yes
Quantity: Exantly one

[Syntax]
aligned(8) class StereoscopicCameraAndDisplayInformationBox extends
FullBox('scdi', version=0, 0)
{
// stereoscopic camera information
unsigned int(1) is_cam_params;
unsigned int(7) reserved;

if(is_cam_params)
{
unsigned int(32) baseline;
unsigned int(32) focal_length;
unsigned int(32) covergence_distance;
unsigned int(1) is_camera_cross;
unsigned int(7) reserved;

if(is_camera_cross)
{
unsigned int(32) camera_rotation[];
}
}
// stereoscopic display information
unsigned int(1) is_display_safety_info;
unsigned int(7) reserved;

if(is_display_safety_info)
{
unsigned int(16) viewing_distance;
unsigned int(16) display_size;
int(16) min_of_disparity;
int(16) max_of_disparity;
}
}

[Semantics]
is_cam_params: 카메라 파라미터 정보 포함 여부를 나타냄
baseline: 두 카메라 사이의 거리
focal_length: optical center로부터 image plane까지의 거리
convergence_distance: baseline의 중심으로부터 convergence point까지의 거리
is_camera_cross: 카메라 arrangement를 정의(0: parallel arrangement, 1: cross arrangement)
camera_rotation: 물체를 향한 카메라 위치각도
is_display_safety_info: 스테레오스코픽 디스플레이 정보 포함 여부 나타냄
viewing_distance: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device 사이의 거리
display_size: 디스플레이 device의 screen size
min_of_disparity: 좌영상과 우영상 사이의 mininum disparity
max_of_disparity: 좌영상과 우영상 사이의 maximun disparity
한편, 아래 표 3 및 표 4를 통해 일반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카메라 정보 및 후처리를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정의해서 추가한 부분을 보이고 있다.
meta metadata
hdlr handler
dinf data information box
dref data reference box
ipmc IPMP control box
iloc item location
ipro item protection
sinf protection scheme information box
frma original format box
imif IPMP information box
schm scheme type box
schi scheme information box
iinf item information
xml XML container
bxml binary item reference
pitm primary item reference
scdi stereoscopic camera and display information box
한편, 도 6 및 도 7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3D 영상파일 포맷을 도시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의 3D 영상파일 포맷은 미디어데이터영역(630)(730)에서 각각 한 개 및 두 개의 기본 스트림에 기초한 한 개의 영상트랙 및 두 개의 영상트랙을 포함하고 있는 차이를 갖고 있다. 이 실시 예에서는 각 영상트랙에서도 3D 입체영상을 위한 영상데이터와 2D 영상을 위한 영상데이터가 각 기본 스트림에 혼합되어 저장되는 특징을 가진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각 영상트랙에 저장되는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며, 여기서는 한 예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의 실시 예에서도 도 4 및 도 5의 실시 예에서 정의한 'scdi' 박스를 그대로 이용하고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의 실시 예와 다른 점은 'scdi' 박스가 무브박스 레벨이 아닌 트랙 레벨에 저장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에서 본 발명에 의한 3D 영상파일 포맷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이고 있다. 도 8 및 도 9의 실시 예에서는 각각 메타데이터박스(830)(930)에 'sdsi' 박스(831)(931)를 포함하고 있으며, 무브박스(820)(920)에 'scpi'박스(823)(923)(926)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sdsi'박스(831)(931)와 'scpi'박스(823)(923)(926)를 새로 규정하고 있다. 이는 도 3 내지 도 6에 규정한 'scdi'박스(623)(723)(726)의 각 정보를 변할 수 있는 정보와 변하지 않는 고정된 정보로 나누어 각각 'scpi'박스(823)(923)(926)와 'sdsi'박스(831)(931)로 나누어 정의하였다. 그리고 'scpi'박스(823)(923)(926)는 무브박스(820)(920)의 트랙 레벨에 포함하도록 하고, 고정된 정보에 관한 'sdsi'박스(831)(931)는 각각 메타데이터박스(830(930)에 포함되도록 하였다. 한편, 아래 표 4를 통해 일반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부가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정의해서 추가한 부분을 보이고 있다.
meta metadata
hdlr handler, declares the metadata(handler) type
iloc item location
iinf item information
xml XML container
bxml Binary XMl container
sdsi Stereoscopic display safety information
scpi Stereoscopic camera and parallax information
그리고 'sdsi'박스(831)(931)와 'scpi'박스(823)(923)(926)의 정의, 신텍스, 시맨틱스를 표 5 및 표 6을 구체적으로 규정한다.
[Definition]
Box Type: 'sdsi'
Container: Meta Box('meta')
Mandatory: Yes
Quantity: Exactly one

[Syntax]
aligned(8) class StereoscopicDisplaySafetyInformation extends
FullBox('sdsi', version=0, 0)
{
unsigned int(1) is_display_safety_info;
unsigned int(7) reserved;

in(is_display_safety_info)
{
unsigned int(16) expected_viewing_distance'
unsigned int(16) expected_display_size;
}
}

[Semantics]
expected_viewing_distance: 현재 스테레오 컨텐츠가 최적으로 재생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와 사용자와의 시청거리
expected_display_size: 현재 스테레오 컨텐츠가 최적으로 재생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사이즈
[Definition]
Box Type: 'scpi'
Container: Meta Box('meta')
Mandatory: Yes
Quantity: Exactly one

[Syntax]
aligned(8) class StereoscopicCameraAndParallaxInformationBox extends
{
//stereoscopic camera information
unsigned int(1) is_cam_params;
unsigned int(7) reserved;

if(is_cam_params)
{
unsigned int(32) baseline;
unsigned int(32) focal_length;
unsigned int(32) convergence_distance;
unsigned int(1) is_camera_cross;
unsigned int(7) reserved;

if(is_camera_cross)
{
unsigned int(32) camera_rotation[];
}
}

//stereoscopic parallax information
unsigned int(1) is_display_safety_info;
unsigned int(7) reserved;

if(is_display_safety_info)
{
int(16) min_of_disparity;
int(16) max_of_disparity;
}
}

[Semantics]
is_cam_params: 카메라 파라미터 정보 포함 여부를 나타냄
baseline: 두 카메라 사이의 거리
focal_length: optical center로부터 image plane까지의 거리
convergence_distance: baseline의 중심으로부터 convergence point까지의 거리
is_camera_cross: 카메라 arrangement를 정의(0: parallel arrangement, 1: cross
arrangement)
camera_rotation: 물체를 향한 카메라 위치각도
is_display_safety_info: 스테레오스코픽 디스플레이 정보 포함 여부 나타냄
viewing_distance: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device 사이의 거리
display_size: 디스플레이 device의 screen size
min_of_disparity: 좌영상과 우영상 사이의 mininum disparity
max_of_disparity: 좌영상과 우영상 사이의 maximun disparity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표 7을 통해 설명한다. 먼저 앞서 설명한 도 8을 보면, 하나의 영상트랙은 여러 개의 프랙먼트(Fragment)(841)(842)(843)를 포함하는데, 본 실시 예는 이들 프랙먼트(841)(842)(843) 각각을 다시 더 세부적으로 나누어 본 발명의 부가정보를 설정하도록 한 것이다. 즉 카메라 정보나 후처리를 위한 정보가 프랙먼트보다 더 작은 좀 더 세부적인 단위로 설정되도록 한 3D 영상파일 포맷에 관한 것이다. 이에 대해 표 7에서 필요한 부분을 추가하여 규정하였다.
[Syntax]
aligned(8) class StereoscopicCameraAndParallaxInformationBox extends FullBox('scpi', version=0, 0)
{
unsigned int(32) fragment_count;
for(i=0; i<fragment_count; i++)
{
unsigned int(1) is_prev_param_same;
unsigned int(7) reserved;

if(is_prev_param_same == 0)
{
//stereoscopic camera information
unsigned int(1) is_cam_params;
unsigned int(7) reserved;

if(is_cam_params)
{
unsigned int(32) baseline;
unsigned int(32) focal_length;
unsigned int(32) convergence_distance;
unsigned int(1) is_camera_cross;
unsigned int(7) reserved;

if(is_camera_cross)
{
unsigned int(32) camera_rotation[];
}
}

// stereoscopic parallax information
unsigned int(1) is_display_safety_info;
unsigned int(7) reserved;

if(is_display_safety_info)
{
int(16) min_of_disparity;
int(16) max_of_disparity;
}
}
else
{
unsigned int(16) fragment_ID;
}
}
}

[Semantics]
fragment_count: trak 내 스테레오스코픽 및 모노스코픽과 스테레오스코픽 혼합영상의 fragment의 개수
is_prev_param_same: 이전 fragment의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 정보 및 디스플레이 정보 등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관련 정보의 파라미터와 같은지 여부를 나타냄(0: 다름, 1: 같음)
fragment_ID: 현재 fragment의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 정보 및 디스플레이 정보 등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관련 정보가 같은 이전 fragment의 ID
한편, 본 발명에서는 3D 영상파일을 사용자가 쉽게 분류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색인정보에 관한 3D 영상파일 포맷을 제공한다. 기존의 2D 영상파일 포맷 즉, ISO/IEC 14496-12에 규정된 영상파일 포맷에서는 사용자 정보와 관련하여, 'udta'박스 내 'cprt'박스(copyright)에 관한 박스밖에 없다. 따라서 저작권에 관한 정보 외에는 사용자가 참조할 수 없었다. 이는 아래 표 8과 같다.
udta user-data
cprt copyright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컨텐츠를 만든 사람, 제작 일시, 변경 일시, 범주, 제작회사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담을 수 있는 새로운 영상파일 포맷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아래 표 9와 같다.
udta user-data
cprt copyright
saui stereoscopic additional user information
즉, 표 9의 'saui'박스를 더 추가하여, 위에서 언급한 정보들을 저장하게 된다. 그러면 3D 영상파일을 좀 더 쉽게 분류하고, 분류된 대로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검색하기에도 용이하다. 도 10에서와 같이 다양한 정보를 단말기 등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쉽게 조회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saui'박스의 정의, 신텍스, 시맨틱스를 표 10에서 규정하고 있다.
[Definition]
Box Type: 'saui'
Container: User data Box('udta')
Mandatory: Yes
Quantity: Zero or one

[Syntax]
aligned(8) class StereoscopicAdditionalUserInformationBox extends
FullBox('saui', version=0, 0)
{
string creator;
unsigned int(32) creation_time;
unsigned int(32) modification_time;
string category;
string manufacturer_information;
unsigned int(8) reserved_data[]; // reserved for future use
}

[Semantics]
creator: 현재 스테레오스코픽 컨텐츠 처음 만든 사람(null-terminated string in UTF-8 characters)
creation_time: 컨텐츠 만든 시간
modification_time: 컨텐츠가 에디팅을 위해 수정된 시간
category: 컨텐츠에 대한 장르(null-terminated string in UTF-8 characters)
manufacturer_information: 컨텐츠를 만든 회사 이름(null-terminated string in UTF-8 characters)
reserved_data[]: 미래 사용을 위해 예약된 영역
마지막으로, 이러한 다양한 3D 영상파일 포맷을 이용하여 3D 영상파일을 생성 및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영상파일 생성장치와 영상파일 재생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에서 보듯이 영상파일 생성장치는 제1카메라(1100), 제2카메라(1110), 입력부(1120), 영상신호처리부(1130), 부가정보생성부(1140), 부호부(1150), 파일생성부(1160)를 포함한다.
제1카메라(1100)는 소정의 피사체를 좌시점 또는 우시점에서 촬영하여 제1영상데이터를 출력하고, 제2카메라(1110)는 상기 피사체를 제1카메라(1100)와 다른 시점에서 촬영하여 제2영상데이터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1영상데이터 및 제2영상데이터 및 제3영상데이터는 영상신호처리부(1300)에 의해 전처리된다. 여기서 전처리 동작이란 외부의 영상값 즉 빛과 컬러 성분을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타입의 센서를 통해 인식된 아날로그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그리고 부가정보생성부(1140)에서는 영상신호처리부(1130)에 의해 전처리된 제1영상데이터와 제2영상데이터로부터 눈의 피로를 줄이기 위한 부가정보를 생성하는 구성부이다. 즉 예로서 양안시차정보와 같은 부가정보를 생성하여 부호부(1150)에 제공한다. 여기서 각 구성들 사이에 버퍼링을 해주는 저장 구성을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부호부(11500)는 제1영상데이터 및 제2영상데이터와 부가정보를 부호화한다. 부호부(1150)의 부호화 동작은 데이터의 인코딩에 관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서 생략될 수도 있다.
파일생성부(1160)는 부호부(1150)에서 부호화된 제1영상데이터와 제2영상데이터 그리고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3D 영상파일(1170)을 생성한다. 여기서 3D 영상파일(1170)의 포맷은 앞서 언급한 모든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3D 영상파일(1170)은 영상파일 재생장치로 입력되거나 전송되며, 영상파일 재생장치가 3D 영상파일(1170)로부터 3D 입체영상을 재생하여 표시한다. 이하 입체영상 파일 재생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파일 재생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영상파일 재생장치는 파일분석부(1210), 복호부(1220), 저장부(1230), 재생부(1240), 표시부(1250)를 포함한다.
파일분석부(1210)는 영상파일 생성장치의 파일생성부(1160)에서 생성한 영상 파일(1170)을 수신하여 분석하고 추출한다. 이는 앞서 실시 예에서 언급한 방법과 같다.
복호부(1220)는 추출된 제1영상데이터와 제2영상데이터 그리고 부가정보를 복호화한다. 이는 영상파일 생성장치에서 부호부(1150)를 사용하여 부호화한 경우에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저장부(1230)에 복호화된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재생부(1240)는 저장부(1230)에 저장된 제1영상데이터와 제2영상데이터 그리고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3D 입체영상을 합성하여 재생한다. 여기서 이용되는 부가정보에 의해 사용자는 눈의 피로감을 덜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250)는 재생되는 3D 입체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1250)는 배리어 LCD(Barrier Liquid Crystal Display)로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영상파일의 저장 포맷을 이용하여 영상파일을 생성하고 재생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크게 입력단계 및 전처리단계(S1310), 부가정보생성단계(S1320), 부호화단계(S1330), 파일생성단계(S13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입력단계(S1310)는 3D 입체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제1영상데이터 및 제2영상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소정의 피사체를 좌시점 또는 우시점에서 촬영하여 제1영상데이터와 제2영상데이터를 출력한다.
전처리단계(S1320)는 입력단계(S1310)에서 입력된 제1영상데이터와 제2영상데이터를 전처리하는 단계로서,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타입의 센서를 통해 인식된 제1영상데이터 및 제2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변환한다.
부가정보생성단계(S1320)는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줄이기 위한 부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양안시차정보 등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부호화단계(S1340)에서는 제1영상데이터와 제2영상데이터 그리고 부가정보를 부호화한다. 부호화단계(S1340)는 필요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파일생성단계(S1350)에서는 부호부(1150)에서 부호화된 제1영상데이터와 제2영상데이터 및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3D 영상파일을 생성한다. 여기서 역시 앞서 실시 예들에서 언급한 3D 영상파일 포맷들을 이용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영상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은 파일분석단계(S1410), 복호화단계(S1420), 재생단계(S1430), 표시단계(S1440)를 포함한다. 도 6의 방법은 도 5에서 생성된 영상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이다.
여기서 파일분석단계(S1410)는 영상파일 생성장치에서 생성된 3D 영상파일을 수신하여 분석하는 단계이다. 즉, 제1영상데이터와, 상기 제1영상데이터와 동기화되어 3D 입체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제2영상데이터와, 3D 입체영상 시청시 사용자의 눈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부가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복호화단계(S1420)에서 제1영상데이터와 제2영상데이터 그리고 부가정보를 복호화한다. 3D 영상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서 부호화단계(S1340)가 생략된 경우 복호화단계(S1420) 역시 생략된다.
재생단계(S1430)는 복호화단계(S1420)에서 복호화된 제1영상데이터와 제2영상데이터를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합성하여 재생한다. 이로서 사용자의 눈의 피로도를 줄인다. 그리고 표시단계(S1440)에서는 위 재생단계(S1430)에서 생성된 3D 입체영상을 표시부(1250)에 표시한다. 한편 표시단계(S1440)에서 표시부(1250)는 배리어 LCD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표준기술에 따른 2D 영상파일의 포맷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파일의 포맷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파일의 포맷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파일의 포맷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파일의 포맷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파일의 포맷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파일의 포맷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파일의 포맷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파일의 포맷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입체영상의 색인 및 검색을 위한 부가정보에 대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영상파일 생성장치에 대한 블록 구 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영상파일 재생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영상파일의 생성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영상파일의 재생방법에 대한 흐름도

Claims (25)

  1. 3D 영상파일 생성 장치에 있어서,
    제1영상데이터와, 상기 제1영상데이터와 동기화되어 3D 영상을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제2영상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제1영상데이터 및 제2영상데이터를 전처리하는 영상신호 처리부와;
    상기 3D 영상의 시청시 사용자의 눈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영상처리에 이용되는 부가정보를 생성하는 부가정보 생성부와;
    상기 제1영상데이터, 상기 제2영상데이터 및 상기 부가정보를 소정의 부호화 방식에 따라 부호화하는 부호부와;
    소정의 3D 영상파일 포맷에 따라 상기 부호화된 제1영상데이터, 제2영상데이터 및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3D 영상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3D 영상파일은, 3D 영상파일 재생장치에 의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3D 영상파일에 대해 미리 설정된 디스플레이와 상기 사용자간의 시청 거리와 상기 3D 영상파일에 대해 미리 설정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파일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가,
    상기 제1영상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제1카메라와 상기 제2영상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제2카메라 간의 양안시차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파일 생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가,
    상기 제1영상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제1카메라 및 상기 제2영상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제2카메라에 관한 카메라 정보와;
    상기 3D 영상파일의 재생시 후처리를 위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파일 생성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3D 영상파일이,
    ISO/IEC 14496-12의 영상파일 포맷에 상기 제2영상데이터, 상기 제2영상데이터의 재생에 관한 정보, 상기 부가정보를 위한 저장영역을 더 포함하는 3D 영상파일 포맷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파일 생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를 위한 저장영역이,
    상기 3D 영상파일 포맷 상에서 무브 레벨의 영역 또는 트랙 레벨의 영역임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파일 생성 장치.
  6. 3D 영상파일 재생 장치에 있어서,
    3D 영상파일이 입력되면, 상기 3D 영상파일의 포맷에 따라 상기 3D 영상파일을 분석하여 제1영상데이터, 상기 제1영상데이터와 동기화되어 3D 영상을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제2영상데이터 및 3D 영상의 시청시 사용자의 눈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영상처리에 이용되는 부가정보를 추출하는 파일분석부와;
    상기 추출된 제1영상데이터, 제2영상데이터 및 부가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부와;
    상기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영상데이터 및 상기 제2영상데이터를 합성함으로써 3D 영상을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재생되는 3D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3D 영상파일은, 상기 3D 영상파일에 대해 미리 설정된 디스플레이와 상기 사용자간의 시청 거리와 상기 3D 영상파일에 대해 미리 설정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를 포함하고,
    상기 3D 영상파일 재생 장치는 상기 시청 거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파일 재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3D 영상파일이,
    ISO/IEC 14496-12의 영상파일 포맷에 상기 3D 영상의 색인 및 검색을 위한 부가정보를 위한 저장영역을 더 포함하는 3D 영상파일 포맷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파일 재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가,
    상기 3D 영상의 제작자, 제작일시, 변경일시, 분류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파일 재생 장치.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3D 영상파일은 상기 제1영상데이터 및 상기 제2영상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영역 및 상기 부가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헤더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영역 및 상기 헤더영역은 각각 ISO/IEC 14496-12의 영상파일 포맷 상의 미디어데이터박스 및 무브박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파일 재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영역이,
    상기 제1영상데이터 및 제2영상데이터를 모두 포함하는 한 개의 영상트랙 또는 상기 제1영상데이터 및 제2영상데이터를 각각 포함하는 두 개의 영상트랙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파일 재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가,
    상기 제1영상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제1카메라와 상기 제2영상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제2카메라 간의 양안시차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파일 재생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가,
    상기 제1영상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제1카메라 및 상기 제2영상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제2카메라에 관한 카메라 정보와;
    상기 3D 영상파일의 재생시 후처리를 위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파일 재생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정보가,
    상기 제1카메라 및 상기 제2카메라 간의 거리, 초점 거리, 피사체에 대한 카메라의 각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파일 재생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3D 영상파일 생성 방법에 있어서,
    제1영상데이터와, 상기 제1영상데이터와 동기화되어 3D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제2영상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단계와;
    상기 입력된 제1영상데이터 및 제2영상데이터를 전처리하는 전처리 단계와;
    3D 영상 시청시 사용자의 눈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영상처리에 이용되는 부가정보를 생성하는 부가정보 생성단계와;
    상기 전처리된 제1영상데이터 및 제2영상데이터와 상기 부가정보를 소정의 부호화 방식에 따라 부호화하는 부호화 단계와;
    상기 부호화된 제1영상데이터, 제2영상데이터 및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3D 영상파일을 생성하는 파일생성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3D 영상파일은, 3D 영상파일 재생 장치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3D 영상파일에 대해 미리 설정된 디스플레이와 상기 사용자간의 시청 거리와 상기 3D 영상파일에 대해 미리 설정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파일 생성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생성단계에서 생성되는 부가정보가,
    상기 제1영상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제1카메라와 상기 제2영상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제2카메라 간의 양안시차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파일 생성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생성단계에서 생성되는 부가정보가,
    상기 제1영상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제1카메라 및 상기 제2영상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제2카메라에 관한 카메라 정보와;
    상기 3D 영상 파일의 재생시 후처리를 위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파일 생성 방법.
  23. 3D 영상파일 재생 방법에 있어서,
    제1영상데이터와, 상기 제1영상데이터와 동기화되어 3D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제2영상데이터와, 3D 영상 시청시 사용자의 눈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영상처리에 이용되는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영상파일에서, 상기 제1영상데이터, 제2영상데이터 및 부가정보를 추출하는 파일분석 단계와;
    상기 추출된 제1영상데이터, 제2영상데이터 및 부가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 단계와;
    상기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영상데이터 및 상기 제2영상데이터를 합성하여 3D 영상을 재생하는 재생 단계와;
    상기 재생되는 3D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3D 영상파일은, 상기 3D 영상파일에 대해 미리 설정된 디스플레이와 상기 사용자간의 시청 거리와 상기 3D 영상파일에 대해 미리 설정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를 포함하고,
    상기 시청 거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는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파일 재생 방법.
  24. 3D 영상파일 생성 방법에 있어서,
    제1영상데이터와, 상기 제1영상데이터와 동기화되어 3D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제2영상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단계와;
    상기 입력된 제1영상데이터 및 제2영상데이터를 전처리하는 전처리 단계와;
    상기 3D 영상의 색인 및 검색을 위한 부가정보를 생성하는 부가정보 생성단계와;
    상기 전처리된 제1영상데이터 및 제2영상데이터와 상기 부가정보를 소정의 부호화 방식에 따라 부호화하는 부호화 단계와;
    상기 부호화된 제1영상데이터, 제2영상데이터 및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3D 영상파일을 생성하는 파일생성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3D 영상파일은, 3D 영상파일 재생 장치에 의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3D 영상파일에 대해 미리 설정된 디스플레이와 상기 사용자간의 시청 거리와 상기 3D 영상파일에 대해 미리 설정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파일 생성 방법.
  25. 삭제
KR1020070133886A 2007-12-20 2007-12-20 3d 영상에 관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3d 영상파일을생성 및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396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886A KR101396619B1 (ko) 2007-12-20 2007-12-20 3d 영상에 관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3d 영상파일을생성 및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886A KR101396619B1 (ko) 2007-12-20 2007-12-20 3d 영상에 관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3d 영상파일을생성 및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386A KR20090066386A (ko) 2009-06-24
KR101396619B1 true KR101396619B1 (ko) 2014-05-16

Family

ID=40994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886A KR101396619B1 (ko) 2007-12-20 2007-12-20 3d 영상에 관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3d 영상파일을생성 및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6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000A (ko) 2009-07-27 201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영상 재생을 위한 부가 정보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스트림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3차원 영상 재생을 위한 부가 정보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스트림 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101414684B1 (ko) * 2010-06-29 2014-07-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방법
US20130182074A1 (en) * 2010-10-13 2013-07-18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tereoscopic video information
GB2488746B (en) * 2010-12-23 2016-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provements to subtitles for three dimensional video transmission
KR102551857B1 (ko) * 2020-11-30 2023-07-13 (주)오버다임케이 3 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2421A (ja) 2000-04-10 2001-10-19 Sony Corp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20070025632A (ko) * 2005-09-03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3d 입체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70034506A (ko) * 2004-06-25 2007-03-28 마사타카 키라 입체시 화상 작성 방법 및 장치
KR100716142B1 (ko) 2006-09-04 2007-05-11 주식회사 이시티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데이터의 전송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2421A (ja) 2000-04-10 2001-10-19 Sony Corp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20070034506A (ko) * 2004-06-25 2007-03-28 마사타카 키라 입체시 화상 작성 방법 및 장치
KR20070025632A (ko) * 2005-09-03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3d 입체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716142B1 (ko) 2006-09-04 2007-05-11 주식회사 이시티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데이터의 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386A (ko) 200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14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tereoscopic file
KR101362647B1 (ko) 2d 영상을 포함하는 3d 입체영상 파일을 생성 및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533114B1 (ko) 입체영상 데이터를 수록한 기록매체 및 상기 입체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KR101398168B1 (ko)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의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메타데이터구조 및 이를 이용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콘텐츠 파일의 저장방법
EP2158768B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regenerating 3d image files based on 2d image media standards
EP2071853B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reproducing image file including 2D image and 3D stereoscopic image
EP2001235B1 (en) MPEG-4 format extension for recording stereoscopic or synthetic 3D video data with related metadata
EP2088789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media files
AU20092109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media files
US20090208119A1 (en) Method for generating and playing image files for slideshows
US20080252719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stereo-scopic image file based on media standards
KR101480186B1 (ko) 2d 영상과 3d 입체영상을 포함하는 영상파일을 생성 및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396619B1 (ko) 3d 영상에 관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3d 영상파일을생성 및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434674B1 (ko) 스테레오스코픽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382618B1 (ko) 콘텐츠 정보 생성 방법 및 콘텐츠 정보를 이용한 콘텐츠처리 장치
KR101453084B1 (ko) 3d 영상 파일을 생성 및 재생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 및 방법
KR20080092810A (ko) 미디어 표준 기반의 입체영상 파일 생성 장치 및 방법과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