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428B1 - Dmb 연동형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 및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Dmb 연동형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 및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428B1
KR100993428B1 KR1020070129343A KR20070129343A KR100993428B1 KR 100993428 B1 KR100993428 B1 KR 100993428B1 KR 1020070129343 A KR1020070129343 A KR 1020070129343A KR 20070129343 A KR20070129343 A KR 20070129343A KR 100993428 B1 KR100993428 B1 KR 100993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eoscopic
descriptor
program information
recognizing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2216A (ko
Inventor
윤국진
이봉호
이현
허남호
김진웅
이수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29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428B1/ko
Priority to EP13176237.9A priority patent/EP2651141A1/en
Priority to PCT/KR2008/002610 priority patent/WO2009075418A1/en
Priority to EP20080753406 priority patent/EP2229785A4/en
Priority to US12/808,136 priority patent/US20100277568A1/en
Priority to EP13176231.2A priority patent/EP2651139A1/en
Priority to EP13176236.1A priority patent/EP2651140A1/en
Publication of KR20090062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specially adapted for multi-view video sequence 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7Synchronising or controll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04N13/178Metadata, e.g. disparit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94Transmission of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04N13/359Switching between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6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directed to de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15DVB-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4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DMB 연동형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를 서비스하기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 및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장치가 개시된다.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은 외부로부터 프로그램 맵 테이블을 포함하는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그램 맵 테이블 내의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 내의 정의된 비트 값들을 인식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맵 테이블, 디스크립터,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3D 방송, 단말 제어, 엠펙 4, 객체기술자

Description

DMB 연동형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 및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tereoscopic data processing based o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본 발명은 DMB 연동형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를 서비스하기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 및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7-S-004-01, 과제명: 무안경 개인형 3D 방송기술개발].
종래의 방송 서비스에서는 사용자가 수신측의 방송 서비스 장치를 별도로 설정하여 방송 프로그램 제공 모드를 직접 전환하는 방법과 송신측에서 3차원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데이터 내 특정 위치에 3차원 방송 프로그램의 인식코드를 부가적으로 삽입하여 제공하면, 수신측의 방송 서비스 장치가 이를 분석하여 3차원 방송 프로그램 제공 모드로 변환하는 방법을 통해 사용자에게 3차원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사용자가 직접 방송 프로그램 제공 모드 전환을 입력하는 경우, 서 비스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제공 모드와 상관없이 사용자가 임의로 제공 모드를 선택하게 되므로 비효율적이며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한다. 또한, 3차원 방송 프로그램의 인식 코드를 영상 데이터 내에 삽입하는 방법은 영상 데이터 내에서 인식 코드를 추출하고 해당 인식 코드를 분석하는 방법의 복잡성으로 인해 방송 서비스 장치에 별도의 모듈을 추가해야 하고 그로 인해 방송 서비스 장치의 복잡도가 증가한다.
본 발명은 DMB 연동형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를 포함하여 서비스하기 위한 프로그램 맵 테이블 구조 및 객체 기술자 구조를 이용한 DMB 연동형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 및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 맵 테이블 내에 디스크립터를 정의하여 실제 서비스되는 방송형태가 2D방송 또는 3D 방송인지 구분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맵 테이블 구조를 이용하는 DMB 연동형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 및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 맵 테이블 내의 디스크립터를 통해 3D DMB단말에서의 자동 베리어 전환 및 단말의 세부모듈을 쉽게 제어할 수 있는 DMB 연동형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 및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 맵 테이블 내의 제안한 디스크립터의 서비스타입과 객체기술자 내 독립/종속 스트림 개념을 정의하여 기존 DMB 단말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스테레오스코픽 콘텐츠를 기술할 수 있는 DMB 연동형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은, 외부(ex. 방송 서버)로부터 프로그램 맵 테이블을 포함하는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그램 맵 테이블 내의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 내의 정의된 비트 값들을 인식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 내의 정의된 비트 값들을 인식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 내의 3D 서비스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3D 컨텐츠 플래그 값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 결과에 따라 패럴랙스 베리어를 온(on)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은 프로그램 맵 테이블 내에 수신 단말에 대한 제어 정보 및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를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가 정의된 상기 프로그램 맵 테이블을 외부(ex.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를 정의하는 단계는,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 내에 디스크립터 태그(descriptor tag) 값을 정의하고 상기 디스크립터 태그 값을 사용자 값(user private)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장치는, 외부(ex. 방송 서버)로부터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전송 스트림에 포함된 프로그램 맵 테이블을 파싱하는 프로그램 맵 테이블 파싱부, 상기 프로그램 맵 테이블 내의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를 인식하기 위한 디스크립터 인식부 및 상기 디스크립터 인식부에서 인식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의 비트 값에 따라 방송 컨텐츠 또는 프로그램이 3D 서비스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3D 서비스 포함 여부에 따라 수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그램 맵 테이블 내의 새로운 디스크립터를 통하여 실제 서비스되는 방송형태가 2D 방송 또는 3D 방송인지 구분할 수 있으며, 특정장면에 모노스코픽 데이터와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가 혼용되어 재생되는 경우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를 쉽게 구분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3D 단말의 경우 자동 베리어 전환 및 세부 모듈 제어를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는 비디오 또는 오디오와 연동되어 서비스되며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가 포함되어 서비스되는 프로그램의 경우 이를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3D) 방송서비스라 한다. 또한 3D 방송서비스는 특정시간에서만 방송되는 경우와 전 시간 동안 방송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는 스테레오스코픽 텍스트 및 스테레오스코픽 정지영상을 포함한다. 또한, 모노스코픽 데이터는 종래의 2D 정지영상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 DMB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서비스라 함은 지상파/위성 DMB 망을 통해 제공되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서비스를 말하며 기존의 DMB(2D) 비디 오 서비스와 양방향(forward/backward) 호환성을 갖는 서비스를 말한다.
DMB 비디오 연동형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서비스는 스테레오스코픽 텍스트, 스테레오스코픽 정지영상을 비디오와 연동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DMB 오디오 연동형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서비스는 스테레오스코픽 텍스트, 스테레오스코픽 정지영상 또는 저속 프레임율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오디오와 연동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DMB 프로그램 비연동형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서비스는 스테레오스코픽 텍스트, 스테레오스코픽 정지영상을 오디오 및 비디오와 독립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DMB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서비스는 비디오 연동형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서비스, 오디오 연동형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서비스 및 프로그램 비연동형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서비스를 통칭한다.
또한 DMB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는 상기 DMB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서비스와 DMB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서비스를 통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장치의 블록도이다.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다중화된 TS 패킷의 형태로 전송된다. 수신 단말(100)은 상기 전송된 TS 패킷을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TS 패킷에 포함된 프로그램 맵 테이블을 파싱하기 위한 프로그램 맵 테이블 파싱부(11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 맵 테이블은 표준에 정의되어 있는 프로그램 맵 테이블뿐만 아니라,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설계변경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맵 테이블을 의미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프로그램 맵 테이블은 500ms를 주기로 전송이 이루어 지며, 수신된 프로그램 맵 테이블의 버전이 종래 프로그램 맵 테이블 버전과 다른 경우에는 새로운 버전의 프로그램 맵 테이블로 갱신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맵 테이블은 장면 구성을 위해 가장 먼저 전송되어야 하는 IOD(Initial Object Descriptor), 미디어 데이터 기초 스트림에 대한 PID(Packet Identifier) 및 디스크립터를 포함함으로써 실제적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파싱된 프로그램 맵 테이블 내에 정의된 새로운 디스크립터인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Stereoscopic_ProgramInfo_Descriptor)를 구하고 해당 비트를 인식하기 위해 수신 단말(100)은 또한 디스크립터 인식부(120)를 갖는다.
또한 수신 단말(100)은 디스크립터 인식부(120)에서 인식된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Stereoscopic_ProgramInfo_Descriptor)의 정의된 비트를 통해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를 처리하고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부(130)를 구비하고 동작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수신 단말의 세부모듈제어, 베리어 전환 등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프로그램 맵 테이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프로그램 맵 테이블 내 Stereoscopic_ProgramInfo_Descriptor(210)는 실제 서비스되는 방송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2D 방송 또는 3D 방송임을 구분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맵 테이블 내 Program_Info_Legnth 다음에 위치한다. 또한, Stereoscopic_ProgramInfo_Descriptor(210)내의 descriptor_tag를 user private로 설정함으로써 기존 단말(셋탑)은 이를 해석하지 못하고 무시하도록 함으로써 기존 단말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Stereoscopic_ProgramInfo_Descriptor(210)를 통한 방송서비스의 구분은 3D DMB 단말에서의 자동 베리어 전환 및 단말의 세부 모듈 제어를 쉽게 할 수 있는 장점도 함께 가진다.
제안한 프로그램 맵 테이블구조는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서비스 외에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서비스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DMB외 다른 디지털방송(지상파, 케이블, IPTV, 위성 등)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디스크립터 구조내의 Descriptor_tag(211)는 태그 값(value)을 나타내는 것으로 8비트가 할당되고, 그 값으로 User private 영역의 값을 참조함으로써 기존 단말과의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기존의 2D단말은 상기 Descriptor_tag의 User private 값을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를 인식하지 못하게 되어 기존 단말과도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Descriptor_length(212)는 이후 길이 정보를 나타내며 여기에는 8비트가 할당된다. 3D_Contents_flag(213)는 방송 콘텐츠 또는 프로그램이 2D 또는 3D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며 여기에는 1비트가 할당된다. 예를 들면 3D_Contents_flag가 ‘0’일 경우 2D 방송 콘텐츠 또는 프로그램을 나타내며 ‘1’인 경우 3D 방송 콘텐츠 또는 프로그램을 나타낸다. 이 때 3D DMB 단말은 3D_Contents_flag의 값에 따라 패럴랙스 베리어를 on/off한다. 즉, 3D_Contents_flag가 ‘1’인 경우는 3D 방송 콘텐츠 또는 프로그램을 나타내므로 베리어는 on 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3D_Contents_flag가 ‘1’인 경우, 즉 3D 방송 콘텐츠 또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디스크립터 내의 IF문이 실행되게 되며, IF문 내의 각 값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처리되게 된다.
우선, Stereoscopic_Service_Type(214)은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또는 데이터 서비스임을 나타내고 1비트가 할당된다. 즉, ‘0’인 경우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서비스가, ‘1’인 경우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나타내게 된다. 이때 서비스 타입은 실제 미디어 스트림 정보를 기술하는 MPEG-4 OD(Object Descriptor)와 관련이 된다. 즉, ‘0’일 때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를 기술하기 위한 MPEG-4 OD는 독립/종속 형태의 ES 구조를 가짐을 나타낸다. ‘1’일 때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기술하기 위한 MPEG-4 OD는 독립/종속 형태의 ES 구조를 가짐을 나타낸다.
이때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방송서비스는 기본적으로 기본 AV는 기존 2D DMB와 동일하며 데이터(정지영상)만 스테레오스코픽으로 재생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에, 기본 AV의 OD구조는 기존 2D DMB와 동일하다. 그러나, 스테레오스코픽으로 재생되는 정지영상의 경우 기본적으로 좌우영상 데이터로 구성된다. 일실시예로써 기준 정지영상의 경우 2D DMB 단 단말과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동일하게 “StreamType=0x04”, “ObjectTypeIndication=0x6C”(JPEG의 경우)로 설정한다. 부가 정지영상의 경우 기준 정지영상의 종속형태로써 존재하며 (StreamDependenceFlag, DependsOn_ES_ID의 사용), “StreamType=0x04”, “ObjectTypeIndication=0xA0”로 설정한다. 2D DMB 단말은 부가 정지영상의 ObjectType를 인식하지 못하고 관련 TS 패킷을 무시하게 된다. 표 1은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부가 정지영상을 정의하기 위하여 제안한 ObjectTypeIndication를 나타낸다.
표 1. 부가 정지영상에 대한 ObjectTypeIndication value
Type Value
SAdditional JPEG 0xA0
SAdditional PNG 0xA1
MNG 0xA2
SAdditional MNG 0xA3
또한 표 1에 정의된 ObjectType을 통하여 특정장면에 모노스코픽 데이터와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가 혼용되어 제공되는 경우 이를 구분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즉,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의 경우 하나의 OD아래 두 개의 ESD(Elementary Stream Descriptor)가 각각 독립/종속 형태로 존재하는데 표 1에 정의된 ObjectType를 포함하는 경우 이는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임을 나타내고 포함하지 않는 경우 이는 모노스코픽 데이터임을 나타낸다.
MNG(Multiple-image Network Graphics)포맷은 2D DMB 방송서비스에서 포함되지 않는 규격으로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새롭게 추가되는 부분으로써 상기와 마찬가지로 2D DMB 단말은 ObjectTypeIndication를 인식하지 못함으로 써 호환성을 만족하게 된다.
표 2는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OD 구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기본적으로 BIFS는 2D DMB 단말과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동일하게 사용된다.
표 2.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방송서비스를 위한 OD 구조 일실시예
ES_ID OD_ID BIFS URL
오디오 스트림 4 3 3
비디오 스트림 3 2 2
기준 정지영상 스트림 8 4 4
부가 정지영상 스트림 9
비트수 필드명
ObjectDescriptor ( video )
8 ObjectDescriptor tag 0x01
10
ObjectDescriptorID
2
ES _Descriptor( video )
8 ES_Descriptor tag 0x03
16
ES_ID
3
DecoderConfigDescriptor( video )
8 DecoderConfigDescriptor tag 0x04
8 ObjectTypeIndication 0x21
6
StreamType
0x04
DecoderSpecificInfo( video )
8
DecoderSpecificInfo tag
0x05
SLConfigDescriptor( video )
8
SLConfigDescriptor tag
0x06
ObjectDescriptor( audio )
8 ObjectDescriptor tag 0x01
10
ObjectDescriptorID
3
ES _Descriptor( audio )
8 ES_Descriptor tag 0x03
16
ES_ID
4
DecoderConfigDescriptor( audio )
8 DecoderConfigDescriptor tag 0x04
8 ObjectTypeIndication 0x40
6
StreamType
0x05
DecoderSpecificInfo( audio )
8
DecoderSpecificInfo tag
0x05
SLConfigDescriptor( audio )
8
SLConfigDescriptor tag
0x06
ObjectDescriptor (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8 ObjectDescriptor tag 0x01
10
ObjectDescriptorID
4
ES _ Descriptor (기준 정지영상)
8 ES_Descriptor tag 0x03
16
ES_ID
8
DecoderConfigDescriptor (기준 정지영상)
8 DecoderConfigDescriptor tag 0x04
8 ObjectTypeIndication 0x6C
6
StreamType
0x04
DecoderSpecificInfo (기준 정지영상)
8
DecoderSpecificInfo tag
0x05
SLConfigDescriptor (기준 정지영상)
8
SLConfigDescriptor tag
0x06
ES _ Descriptor (부가 정지영상)
8 ES_Descriptor tag 0x03
16
1
16
ES_ID
StreamDependenceFlag
DependsOn_ES_ID
9
1
8
DecoderConfigDescriptor (부가 정지영상)
8 DecoderConfigDescriptor tag 0x04
8 ObjectTypeIndication 0xA0(user private)
6
StreamType
0x04
DecoderSpecificInfo (부가 정지영상)
8
DecoderSpecificInfo tag
0x05
SLConfigDescriptor (부가 정지영상)
8
SLConfigDescriptor tag
0x06
상기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의 경우 두 개의 OD에 각각 ES_Descriptor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OD아래 두 개의 ES_Descriptor가 존재하고 있으며, DecoderConfigDescriptor(부가 정지영상)의 ObjectTypeIndication를 “0xA0”(user private)으로 할당하여 종래의 2D DMB 단말은 ObjectTypeIndication를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호환성을 만족하게 된다.
LR_first(215)는 기준영상을 판별하기 위한 것으로 1비트가 할당된다. 즉, ‘0’인 경우 left 영상이 기준영상으로, ‘1’인 경우 right 영상이 기준영상으로 정의 될 수 있다. 또한, LR_first는 실제 전송 스트림(TS)상에서 기준영상 스트림을 구분하는데도 사용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좌우영상으로 구성된 두개의 스트림에 대하여 LR_first가 ‘0’인 경우 left 영상이 기준영상인데 실제 스트림상에서 어떤 스트림이 left 스트림인지 인식하지 못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LR_first와 객체기술자를 연관하여 어떤 스트림이 left 영상임을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즉, 본 발명에서 제안한 객체기술자 구조에서 하나의 OD 구조아 래 정의된 독립/종속 기초 스트림 중에서 2D DMB 단 단말과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StreamType” 및 “ObjectTypeIndication”을 동일하게 할당한 독립 스트림을 left 스트림이라고 하고 관련 ES_ID를 통하여 실제 전송 스트림(TS)상에서 어떤 스트림이 left 스트림인지 인식하게 된다. 즉, 전송 스트림상에서 각 미디어 스트림 구분은 PID를 통하여 하게 되는데 상기 ES_ID는 바로 PID와 연관을 가진다. 이에 ES_ID를 알면 PID를 알수 있게 된다.
CompositionType(216)은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구성 형태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2비트가 할당된다. 이때, ‘00’은 side by side 형태임을 ‘01’의 경우two images 즉, 좌우영상 데이터를 ‘10’~‘11’은 reserved bit임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CompositionType은 향후 데이터 구성 형태에 따라 확장가능 하게 된다.
이러한 디스크립터의 구조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데이터 수신측의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S410)는 다중화된 TS 패킷 형태로 전송되는 TS 패킷을 DMB 단말기가 수신하게 된다.
단계(S420)는 상기 수신된 TS 패킷으로부터 프로그램 맵 테이블을 파싱하게 된다. 이때 일정한 주기에 따라 수신된 프로그램 맵 테이블은 종래 프로그램 맵 테이블과 버전이 다른 경우에 갱신되는 과정을 함께 거치게 된다.
단계(S430)는 상기 프로그램 맵 테이블내의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를 구하여 인식하게 된다. 이때 종래의 2D 단말기의 경우 user private 값으로 설정된 descriptor_tag(211)를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종래의 단말과도 호환성을 유지하게 된다.
단계(S440)는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에 정의된 각 비트 값들을 인식하고 할당된 비트 값에 따라 3D 방송 콘텐츠 또는 프로그램 포함 여부를 인식하고 패럴랙스 베리어 제어 및 단말 세부 모듈 제어 등을 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할당된 비트 값에 따라 3D 방송 콘텐츠 또는 프로그램 포함 여부를 인식하고 패럴랙스 베리어 제어 및 단말 세부 모듈을 제어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도3에 개시된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의 비트 값들에 대응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디스크립터에 정의된 비트 중 3D_Contents_flag(213)는 방송 콘텐츠 또는 프로그램이 2D 또는 3D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데 예를 들면 3D_Contents_flag가 ‘0’일 경우 2D 방송 콘텐츠를 나타내며 ‘1’인 경우 3D 방송 콘텐츠를 나타낸다. 이 때 3D DMB 단말은 3D_Contents_flag의 값에 따라 패럴랙스 베리어를 on/off한다. 즉, 3D_Contents_flag가 ‘1’인 경우는 3D 방송 콘텐츠를 나타내므로 베리어는 on 되도록 제어된다.
이때 상기 3D_Contents_flag의 값이 ‘1’인 경우, 즉, 3D 방송 콘텐츠가 포 함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Stereoscopic_Service_Type(214)을 참고하게 되고, 이에 할당된 비트 값이 ‘0’인 경우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서비스가, ‘1’인 경우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으로 인식한다.
다음으로 LR_first(215)을 기준영상을 판별하기 위해 참고하고 해당 비트 값이 ‘0’인 경우 left 영상이 기준영상으로, ‘1’인 경우 right 영상이 기준영상으로 인식 된다.
다음으로 CompositionType(216)을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구성 형태를 구분하기 위해 참고하고 해당 비트 값이 ‘00’이면 side by side 형태임을 인식하고 ‘01’에 해당하면 two images 형태, 즉, 좌우영상 데이터인 것으로 인식하며 ‘10’~‘11’에 해당한다면 reserved bit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인식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측의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를 참고하여 방송 데이터 송신 서버측의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을 설명하면, 단계(S510)는 외부(ex. 수신 단말)로 전송될 프로그램 맵 테이블 내에 새로운 디스크립터, 즉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를 정의하는 과정을 거친다.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할당된 비트 값에 따라 3D 방송 콘텐츠 또는 프로그램 포함 여부를 인식하고 패럴랙스 베리어 제어 및 단말 세부 모듈 제어 등을 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 내에 디스크립터 태그(descriptor tag) 값을 정의하고, 상기 디스크립터 태그 값을 사용 자 값(user private)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 값을 가지는 디스크립터 태그가 포함된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를 종래 단말기가 수신하는 경우 종래 단말기가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를 인식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종래 단말과의 호환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 내에 3D 컨텐츠 플래그 값을 정의할 수 있다. 이는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 내의 3D 컨텐츠 플래그를 수신 단말이 인식하는 경우 상기 3D 컨텐츠 플래그 값에 따라 3D 서비스가 포함된 것으로 인식하게 하고, 3D 서비스가 포함된 경우에는 패럴랙스 베리어를 on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 내에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 타입 비트 값을 정의할 수 있다. 이는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 내의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 타입 비트 값을 수신 단말이 인식하는 경우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 타입 비트 값에 따라 수신되는 데이터가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또는 데이터 서비스와 관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함이다. 현재 DMB 상에서 각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어, 상기와 같이 서비스 타입의 비트를 할당하여 각 서비스를 구분할 수 있으며 이는 향후 다양한 3차원 서비스가 있을 경우 서비스 타입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 내에 기준영상 비트 값을 정의할 수 있다. 이는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 내의 기준영상 비트 값을 수신 단말이 인식하는 경우 상기 기준영상 비트 값에 따라 수신되는 데이 터의 기준영상이 좌영상 또는 우영상임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또한,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 내에 데이터 형태 비트 값을 정의할 수 있다. 이는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 내의 데이터 형태 비트 값을 수신 단말이 인식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형태 비트 값에 따라 수신되는 데이터의 형태를 구분하기 위함이다.
이어 단계(S520)는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가 포함된 프로그램 맵 테이블을 TS패킷 형태로 외부(ex. 수신 단말)로 송신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프로그램 맵 테이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데이터 수신측의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측의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신 단말
110 : 프로그램 맵 테이블 파싱부
120 : 디스크립터 인식부
130 : 동작 제어부
210 :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

Claims (16)

  1. 외부로부터 프로그램 맵 테이블을 포함하는 전송 스트림(TS)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그램 맵 테이블 내의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 내의 정의된 비트 값들을 인식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 내의 3D 서비스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값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플래그 값에 의해 방송 컨텐츠 또는 프로그램이 3D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패럴랙스 베리어를 온(on)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 내의 정의된 비트 값들을 인식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 내의 서비스 타입을 나타내는 서비스 타입 비트 값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서비스 타입 비트 값에 따라 서비스 타입을 인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 내의 정의된 비트 값들을 인식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의 기준영상이 좌영상 또는 우영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기준영상 비트 값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기준영상 비트 값에 따라 기준영상이 좌영상 또는 우영상인지 인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기준영상 비트 값에 따라 기준영상이 좌영상 또는 우영상인지 인식한 후,
    객체 기술자 구조 아래 정의된 기초 스트림의 “StreamType”값 및 “ ObjectTypeIndication”값을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값에 따라 기준영상 기초 스트림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기준영상 기초 스트림의 기초 스트림 ID에 상응하는 전송 스트림 상의 기준영상 스트림을 기준영상인 좌영상 또는 우영상으로 인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 내의 정의된 비트 값들을 인식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의 구성형태를 구분하기 위한 데이터 형태 비트 값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데이터 형태 비트 값에 따라 상기 데이터의 구성형태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
  7. 프로그램 맵 테이블 내에 수신 단말에 대한 제어 정보 및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를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가 정의된 상기 프로그램 맵 테이블을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를 정의하는 단계는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 내에 디스크립터 태그(descriptor tag) 값을 새롭게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를 정의하는 단계는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 내에 3D 서비스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3D 컨텐츠 플래그 값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3D 컨텐츠 플래그 값이 3D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는 경우, 상기 수신 단말의 패럴랙스 베리어를 온(on)하고, 상기 3D 컨텐츠 플래그 값이 3D 서비스를 포함하지 않은 것을 의미하는 경우, 상기 수신 단말의 패럴랙스 베리어를 오프(off)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를 정의하는 단계는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 내에 송신되는 데이터가 복수의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 중 하나의 서비스와 관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 타입 비트 값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를 정의하는 단계는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 내에 송신되는 데이터의 기준영상이 좌영상 또는 우영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기준영상 비트 값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를 정의하는 단계는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 내에 송신되는 데이터의 구성형태를 구분하기 위한 데이터 형태 비트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
  14. 외부로부터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전송 스트림에 포함된 프로그램 맵 테이블을 파싱하는 프로그램 맵 테이블 파싱부;
    상기 프로그램 맵 테이블 내의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를 인식하기 위한 디스크립터 인식부; 및
    상기 디스크립터 인식부에서 인식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디스크립터의 비트 값에 따라 방송 컨텐츠 또는 프로그램이 3D 서비스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3D 서비스 포함 여부에 따라 수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디스크립터 인식부가 인식한 비트 값에 의해 방송 컨텐츠 또는 프로그램이 3D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패럴랙스 베리어를 온(o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장치.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디스크립터 인식부가 인식한 비트 값에 의해 방송 컨텐츠 또는 프로그램이 3D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수신 단말기의 세부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장치.
KR1020070129343A 2007-12-12 2007-12-12 Dmb 연동형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 및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장치 KR100993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343A KR100993428B1 (ko) 2007-12-12 2007-12-12 Dmb 연동형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 및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장치
EP13176237.9A EP2651141A1 (en) 2007-12-12 2008-05-09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eoscopic data processing based o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CT/KR2008/002610 WO2009075418A1 (en) 2007-12-12 2008-05-09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eoscopic data processing based o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EP20080753406 EP2229785A4 (en) 2007-12-12 2008-05-09 METHOD AND DEVICE FOR STEREOSCOPIC DATA PROCESSING BASED ON DIGITAL MULTIMEDIA RADIATION
US12/808,136 US20100277568A1 (en) 2007-12-12 2008-05-09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eoscopic data processing based o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EP13176231.2A EP2651139A1 (en) 2007-12-12 2008-05-09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eoscopic data processing based o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EP13176236.1A EP2651140A1 (en) 2007-12-12 2008-05-09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eoscopic data processing based o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343A KR100993428B1 (ko) 2007-12-12 2007-12-12 Dmb 연동형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 및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216A KR20090062216A (ko) 2009-06-17
KR100993428B1 true KR100993428B1 (ko) 2010-11-09

Family

ID=40755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343A KR100993428B1 (ko) 2007-12-12 2007-12-12 Dmb 연동형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 및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00277568A1 (ko)
EP (4) EP2229785A4 (ko)
KR (1) KR100993428B1 (ko)
WO (1) WO20090754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1844B2 (en) * 2008-01-18 2013-06-25 Sony Corporation Streaming geometry for use in displaying and editing 3D imagery
US8520057B2 (en) * 2008-11-04 2013-08-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receiving 3-dimensional broadcasting service
US8156237B2 (en) * 2008-12-09 2012-04-10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cessing non-real time service and broadcast receiver
EP2384585A4 (en) * 2009-02-01 2017-03-15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receiver and 3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US8730303B2 (en) * 2009-04-27 2014-05-20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transmitter, broadcast receiver and 3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110011000A (ko) 2009-07-27 201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영상 재생을 위한 부가 정보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스트림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3차원 영상 재생을 위한 부가 정보가 삽입된 3차원 영상 데이터스트림 수신 방법 및 그 장치
CA2770861A1 (en) * 2009-08-12 2011-02-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iagnosing 3d state information, and broadcast receiver
WO2011028024A2 (en) * 2009-09-03 2011-03-10 Lg Electronics Inc. Cable broadcast receiver and 3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EP2489197A4 (en) * 2009-10-13 2014-03-05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PROCESSING 3D VIDEO DATA THEREFOR
US9049430B2 (en) * 2009-10-13 2015-06-02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receiver and 3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110088334A (ko) * 2010-01-28 2011-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스트림 생성 방법 및 장치, 3차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스트림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694821B1 (ko) * 2010-01-28 201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시점 비디오스트림에 대한 링크 정보를 이용하는 디지털 데이터스트림 전송 방법와 그 장치, 및 링크 정보를 이용하는 디지털 데이터스트림 전송 방법과 그 장치
KR101838071B1 (ko) 2010-04-30 2018-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WO2012036464A2 (ko) * 2010-09-19 2012-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 및 3d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EP2629529A4 (en) * 2010-10-13 2014-07-02 Korea Electronics Telecomm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TEREOSCOPIC VIDEO INFORMATION
CN103262548B (zh) * 2010-10-28 2016-05-11 Lg电子株式会社 用于在移动环境中接收三维广播信号的接收器装置和方法
JP2013545361A (ja) * 2010-12-13 2013-12-19 エレクトロニクス アンド 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リサーチ インスチチュート ステレオスコピックビデオサービスのためのシグナリング方法及びその方法を使用する装置
CN102571551A (zh) * 2010-12-30 2012-07-11 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业务识别方法
KR101869103B1 (ko) 2011-01-26 2018-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의 기준 영상과 부가 영상간의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송수신 시스템
JP6192902B2 (ja) * 2011-11-11 2017-09-06 サターン ライセンシング エルエルシーSaturn Licensing LLC 画像データ送信装置、画像データ送信方法、画像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受信方法
WO2013069608A1 (ja) 2011-11-11 2013-05-16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8199A (en) * 1995-12-20 1998-05-05 Synthonic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 two dimensional motion picture into a three dimensional motion picture
WO2005083637A1 (es) * 2004-02-27 2005-09-09 Td Vision Corporation, S.A. De C.V. Método y sistema de decodificación digital de imágenes de video 3d estereoscópicas
KR100585966B1 (ko) * 2004-05-21 2006-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방송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100697972B1 (ko) * 2004-11-16 2007-03-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입체 방송 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 및 그 방법
US20060139448A1 (en) * 2004-12-29 2006-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3D displays with flexible switching capability of 2D/3D viewing modes
WO2007010779A1 (ja) * 2005-07-15 2007-01-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パケット送信装置
JP4717728B2 (ja) * 2005-08-29 2011-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テレオ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321550B2 (ja) * 2005-08-31 2009-08-2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記録媒体製造装置、情報記録媒体、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818933B1 (ko) * 2005-12-02 2008-04-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방송 기반 3차원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747598B1 (ko) * 2005-12-09 2007-08-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방송 기반의 3차원 입체영상 송수신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137347B1 (ko) * 2006-05-11 2012-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표출 방법
KR100885917B1 (ko) * 2007-03-16 2009-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선형 변환기를 이용하여 오차를 효율적으로 분산할 수 있는디더링 시스템 및 그에 적합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29785A1 (en) 2010-09-22
US20100277568A1 (en) 2010-11-04
EP2229785A4 (en) 2012-10-31
EP2651139A1 (en) 2013-10-16
EP2651141A1 (en) 2013-10-16
EP2651140A1 (en) 2013-10-16
WO2009075418A1 (en) 2009-06-18
KR20090062216A (ko)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428B1 (ko) Dmb 연동형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 및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장치
US202101678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media service
US9204187B2 (en) Parameterized services descriptor for advanced television services
US1046250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services information in different types of broadcasting networks and unit for processing said information
KR101691266B1 (ko)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 및 방송 서비스 수신 장치
DE112011104029B4 (de) Rundfunkdienst-Sendeverfahren, Rundfunkdienst-Empfangsverfahren und Rundfunkdienst- Empfangsgerät
KR101737843B1 (ko) 비실시간 방송 서비스 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KR20100050426A (ko) 3차원 방송 서비스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CN103168473B (zh) 数字接收机以及用于处理数字接收机中的3d 内容的方法
CN1623330B (zh) 创建音频/视频流的方法和发送、接收音频/视频流的设备
KR20050014275A (ko) 디지털 tv에서의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30069582A (ko) 인터넷 기반 컨텐츠 송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CN101388738B (zh) 广播接收机和传送/接收广播信号的方法
KR20130084972A (ko) 인터넷 기반 컨텐츠 송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KR20130084971A (ko) 인터넷 기반 컨텐츠 송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KR102252402B1 (ko) 멀티미디어 서비스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10068821A (ko) 송, 수신 장치 및 송, 수신 방법
CN103535045A (zh) 用于传送立体视频信息的方法和设备
KR20000040201A (ko) 제공되는프로그램가이드방식에대응하는디스플레이모드자동설정방법
KR100658883B1 (ko) 디지털 영상 기기와 셋탑박스의 채널 정보 인터페이스 방법
Standard Delivery of IP Multicast Sessions over ATSC Data Broadcast
Mai et al. DVB-MHP iTV to Blu-ray system information transco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