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1831A -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1831A
KR20120121831A KR1020120032902A KR20120032902A KR20120121831A KR 20120121831 A KR20120121831 A KR 20120121831A KR 1020120032902 A KR1020120032902 A KR 1020120032902A KR 20120032902 A KR20120032902 A KR 20120032902A KR 20120121831 A KR20120121831 A KR 20120121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ideo
additional
reduced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순
김찬
윤국진
신홍창
정원식
허남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32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1831A/ko
Priority to US13/455,089 priority patent/US9143757B2/en
Publication of KR20120121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8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1Encoding,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different image sign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94Transmission of imag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수신 방법은, 영상 정보를 포함한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비트스트림으로부터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기준 영상 스트림 및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부가 영상 스트림을 추출하는 단계, 기준 영상 스트림 및 부가 영상 스트림을 각각 복호화하여, 기준 영상 및 부가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기준 영상 및 부가 영상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좌영상 및 우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2D/3D 방송 서비스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TEREOSCOPIC VIDEO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3D 영상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는, UDTV서비스와 함께, HDTV에 이은 차세대 방송 서비스로 주목 받고 있으며, 고화질의 상용 스테레오스코픽 디스플레이의 출시 등과 같은 관련 기술의 발달을 바탕으로, 각 가정에서 3D 영상을 즐길 수 있는 3DTV 서비스가 수년 내에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상용 서비스 또는 시범 서비스 되고 있는 3D 방송 서비스는 주로 좌영상 및 우영상으로 구성되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이용한 서비스이다. 또한,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서비스 방식으로서, 사이드-바이-사이드(side-by-side), 탑 앤 바텀(top and bottom) 등의 포맷을 이용하여 좌/우 영상을 하나의 화면으로 만들어서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프레임-컴패터블(frame compatible) 방식 및 좌/우 영상을 별도로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서비스-컴패터블(service compatible)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2D/3D 방송 서비스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송신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2D/3D 방송 서비스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수신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2D/3D 방송 서비스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3DTV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1.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비디오 송신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좌영상 및 우영상을 이용하여, 기준(base) 영상 및 부가(additional)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부가 영상을 각각 부호화하여, 상기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기준 영상 스트림 및 상기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부가 영상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준 영상 스트림 및 상기 부가 영상 스트림에 대한 다중화를 수행하여 단일 스트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일 스트림 정보를 포함한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부가 영상은 소정의 영상 포맷에 기반하여, 상기 좌영상에 대응하는 축소된 좌영상 및 상기 우영상에 대응하는 축소된 우영상으로 구성된 영상이다.
2. 1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영상 포맷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by-side) 포맷 또는 탑 앤 바텀(top-and-bottom) 포맷일 수 있다.
3. 1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기준 영상 스트림 및 상기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부가 영상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축소된 좌영상 및 상기 축소된 우영상을 서로 다른 비트율로 부호화할 수 있다.
4. 3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의 서비스 타입이 서비스 컴패터블(service-compatible) 서비스인 경우, 상기 기준 영상은 상기 좌영상 및 상기 우영상 중 하나이고, 상기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기준 영상 스트림 및 상기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부가 영상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축소된 좌영상 및 상기 축소된 우영상 중에서, 상기 기준 영상에 대응되지 않는 하나의 영상을 다른 하나의 영상에 비해 높은 비트율로 부호화할 수 있다.
5. 1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의 서비스 타입이 프레임 컴패터블(frame-compatible) 서비스인 경우,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부가 영상은 서로 다른 별개의 컨텐츠(contents)를 가질 수 있다.
6. 1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의 서비스 타입을 지시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 타입 정보, 상기 부가 영상의 영상 포맷 타입을 지시하는 영상 포맷 타입 정보 및 상기 기준 영상이 상기 좌영상인지 또는 상기 우영상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7.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비디오 송신 장치이다. 상기 장치는, 좌영상 및 우영상을 이용하여, 기준(base) 영상 및 부가(additional)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포맷 처리부,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부가 영상을 각각 부호화하여, 상기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기준 영상 스트림 및 상기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부가 영상 스트림을 생성하는 부호화기, 상기 기준 영상 스트림 및 상기 부가 영상 스트림에 대한 다중화를 수행하여 단일 스트림을 생성하는 다중화부 및 상기 단일 스트림을 포함한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부가 영상은 소정의 영상 포맷에 기반하여, 상기 좌영상에 대응하는 축소된 좌영상 및 상기 우영상에 대응하는 축소된 우영상으로 구성된 영상이다.
8.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는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비디오 수신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영상 정보를 포함한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기준 영상 스트림 및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부가 영상 스트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기준 영상 스트림 및 상기 부가 영상 스트림을 각각 복호화하여,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부가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부가 영상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좌영상 및 우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부가 영상은 소정의 영상 포맷에 기반하여, 상기 좌영상에 대응하는 축소된 좌영상 및 상기 우영상에 대응하는 축소된 우영상으로 구성된 영상이다.
9. 8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영상 포맷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by-side) 포맷 또는 탑 앤 바텀(top-and-bottom) 포맷일 수 있다.
10. 8에 있어서, 상기 부가 영상 스트림은 상기 축소된 좌영상에 대응되는 제1 부분 스트림 및 상기 축소된 우영상에 대응되는 제2 부분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부가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부분 스트림 및 상기 제2 부분 스트림을 서로 다른 비트율로 복호화할 수 있다.
11. 10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의 서비스 타입이 서비스 컴패터블(service-compatible) 서비스인 경우, 상기 기준 영상은 상기 좌영상 및 상기 우영상 중 하나일 수 있고,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부가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부분 스트림 및 상기 제2 부분 스트림 중에서, 상기 기준 영상에 대응되지 않는 부분 스트림을 다른 부분 스트림에 비해 높은 비트율로 복호화할 수 있다.
12. 11에 있어서, 상기 좌영상 및 우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기준 영상이 상기 좌영상인 경우, 상기 기준 영상으로부터 상기 좌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축소된 우영상을 확대하여 상기 우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13. 11에 있어서, 상기 좌영상 및 우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기준 영상이 상기 우영상인 경우, 상기 기준 영상으로부터 상기 우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축소된 좌영상을 확대하여 상기 좌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14. 8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의 서비스 타입이 프레임 컴패터블(frame-compatible) 서비스인 경우, 상기 좌영상 및 우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축소된 좌영상을 확대하여 상기 좌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축소된 우영상을 확대하여 상기 우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15. 14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부가 영상은 서로 다른 별개의 컨텐츠(contents)를 가질 수 있다.
16. 8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의 서비스 타입을 지시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 타입 정보, 상기 부가 영상의 영상 포맷 타입을 지시하는 영상 포맷 타입 정보 및 상기 기준 영상이 상기 좌영상인지 또는 상기 우영상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정보를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7.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는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비디오 수신 장치이다. 상기 장치는, 영상 정보를 포함한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기준 영상 스트림 및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부가 영상 스트림을 추출하는 역다중화부, 상기 기준 영상 스트림 및 상기 부가 영상 스트림을 각각 복호화하여,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부가 영상을 생성하는 복호화기 및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부가 영상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좌영상 및 우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렌더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부가 영상은 소정의 영상 포맷에 기반하여, 상기 좌영상에 대응하는 축소된 좌영상 및 상기 우영상에 대응하는 축소된 우영상으로 구성된 영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송신 방법에 의하면, 2D/3D 방송 서비스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수신 방법에 의하면, 2D/3D 방송 서비스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DTV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하면, 2D/3D 방송 서비스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스테레오 스코픽 비디오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는 영상 포맷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듀얼 스트림 방식 기반의 서비스 컴패터블 3DTV 방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준 영상 및 부가 영상 구성 방법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DTV 방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방송 시스템에 포함된 영상 렌더링부 동작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4의 방송 시스템에 포함된 영상 렌더링부 동작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및 채널 구성 방법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송신 방법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수신 방법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특정 구성을 “포함”한다고 기술하는 내용은 해당 구성 이외의 구성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추가적인 구성이 본 발명의 실시 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포함한 것으로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일부의 구성 요소는 본 발명에서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고 단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택적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 요소를 제외한 본 발명의 본질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구성부만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선택적 구성 요소를 제외한 필수 구성 요소만을 포함한 구조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스테레오 스코픽 비디오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는 영상 포맷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의 110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by-side) 포맷을 도시하고, 도 1의 120은 탑 앤 바텀(top-and-bottom) 포맷을 도시한다.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서비스에는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레임 컴패터블(frame-compatible) 방식, 서비스 컴패터블(service-compatible) 방식 등이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서비스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 컴패터블 방식은 하나의 프레임 내에 좌영상 및 우영상을 모두 포함하여 부호화, 전송 및/또는 복호화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서비스 방식이다. 프레임 컴패터블 방식의 3DTV에 사용되는 영상 포맷에는 다양한 유형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영상 포맷에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 탑 앤 바텀 포맷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의 110을 참조하면,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이 사용되는 경우, 3차원 영상 프레임의 좌측 영역에 수평 방향으로 1/2 크기로 축소된 좌영상이 위치할 수 있고, 우측 영역에 수평 방향으로 1/2 크기로 축소된 우영상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원본 좌영상을 L, 원본 우영상을 R이라 하면, 수평 방향으로 축소된 좌영상은 L’, 수평 방향으로 축소된 우영상은 R’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좌영상 및 우영상의 좌우 배치 순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하지 않고, 프레임의 좌측 영역에 수평 방향으로 축소된 우영상(R’)이 위치하고 우측 영역에 수평 방향으로 축소된 좌영상(L’)이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의 120을 참조하면, 탐 앤 바텀 포맷이 사용되는 경우, 3차원 영상 프레임의 상단 영역에 수직 방향으로 1/2 크기로 축소된 좌영상이 위치할 수 있고, 하단 영역에 수직 방향으로 1/2 크기로 축소된 우영상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원본 좌영상을 L, 원본 우영상을 R이라 하면, 수직 방향으로 축소된 좌영상은 L’, 수직 방향으로 축소된 우영상은 R’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좌영상 및 우영상의 상하 배치 순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하지 않고, 프레임의 상단 영역에 수직 방향으로 축소된 우영상(R’)이 위치하고 하단 영역에 수평 방향으로 축소된 좌영상(L’)이 위치할 수도 있다.
프레임 컴패터블 3DTV 서비스를 위해, 3DTV 전용 방송용 포맷으로 상술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 및 탑 앤 바텀 포맷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두 포맷은 역방향 호환성 보장이라는 측면에서 문제점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 컴패터블 방식에서는 기존 2D(2-dimensional) 방송에 사용되는 기존 매체, 방송 장비 및 단말 등을 이용하여 영상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즉, 프레임 컴패터를 방식에서는 기존의 2D 방송 시스템을 사용하여 부호화, 전송, 복호화 등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2D 단말, 예를 들어 기존의 DTV 수신기를 통한 영상 정보의 수신, 재생의 경우에는 한 화면에 좌영상 및 우영상이 동시에 반씩 재생되므로 기존의 2D 방송에서와 동일한 형태의 2D 영상이 재생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3D 단말을 통해 영상 정보의 부호화, 전송, 복호화 등이 수행되는 경우에도, 축소 및/또는 보간 등의 과정이 수행되므로, 3D 영상 재생 시에 화질의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도 2는 듀얼 스트림 방식 기반의 서비스 컴패터블 3DTV 방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듀얼 스트림(dual stream) 방식 기반의 서비스 컴패터블(service-compatible) 3DTV 방송 시스템은,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송신 장치, 전송망(250) 및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수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송신 장치는 기준영상 부호화기(210), 부가영상 부호화기(220), 시그널링 정보 생성기(230), 다중화 및 전송부(24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수신 장치는 수신 및 역다중화부(260), 시그널링 정보 해석기(270), 기준영상 복호화기(280) 및 부가영상 복호화기(29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컴패터블 방식은, 기존의 2D 단말에서도 기존의 2D 방송에서와 동일한 형태의 2D 영상 시청을 가능하게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서비스 방식이다. 예를 들어, 서비스 컴패터블 방식에서는 원본 좌영상 및 원본 우영상이 각각 별개의 듀얼 스트림으로 부호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컴패터블 방식에서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포맷에서 발생되는 역방향 호환성 관련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좌영상(L) 및 우영상(R) 중 하나는 기준(base) 영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부가(additional) 영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영상은 기존의 2D 영상과 호환성을 갖는 영상을 의미할 수 있으며, 기준 영상에 대해서는 기존 2D 방송에서 사용되는 부호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부가 영상은 기준 영상과 쌍 및/또는 세트를 이루어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영상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영상(L)이 기준 영상으로 사용되는 경우,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우영상(R), 깊이(depth) 영상 및 변이(disparity) 영상 등이 부가 영상에 해당될 수 있다.
기준 영상 부호화기(210)는 기준 영상을 부호화하기 위한 일반적인 비디오 부호화기에 해당될 수 있다. 즉, 기준 영상 부호화기(210)는 기존 2D 방송에서 사용되는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기준 영상에 대한 부호화를 수행함으로써, 기준 영상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부가 영상 부호화기(220)는 부가 영상에 대한 부호화를 수행하여 부가 영상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부가 영상 부호화기(220)는 부가 영상을 독립적으로 부호화할 수도 있고, 기준 영상 부호화기(210)와의 상호 참조를 통해 부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도 2의 서비스 컴패터블 방송 시스템에서는, 원본 좌영상 및 원본 우영상이 독립적으로 부호화될 수도 있고, 상호 참조를 통해 부호화될 수도 있다. 도 2에서 기준 영상 부호화기(210) 및 부가 영상 부호화기(220) 사이의 점선은 상호 참조 부호화를 의미할 수 있다.
시그널링 정보 생성기(230)는 3DTV 서비스의 종류, 부가 영상의 영상 포맷, 기준 영상이 좌영상인지 우영상인지 여부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시그널링 정보(signaling information)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시그널링 테이블에서 정의될 수 있고, 다중화 및 전송부(240)를 통해 비트스트림에 포함되어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수신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그널링 테이블은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의 PAT, PSI의 PMT,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의 VCT 및/또는 PSIP의 EIT 등을 의미할 수 있다.
PSI는 TS(Transport Stream)의 역다중화 및 영상 재현에 필요한 정보를 테이블 형식으로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수신 장치는 예를 들어, 기본 스트림(ES: Elementary Stream)의 전환, 채널 선택 등에 필요한 TS 패킷의 판별을 위하여 PSI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PSI는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CAT(Conditional Access Table), PMT(Program Map Table) 및 NIT(Network Information Table) 등과 같은 테이블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PMT는 하나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프로그램 요소(element) 및/또는 프로그램 내의 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영상 스트림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PSIP는 디지털 방송에 관한 프로토콜로서, 전송 스트림의 각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이다. PSIP는 시간 정보를 전달하는 STT(System Time Table), 전송 테이블을 관리하는 MGT(Master Guide Table), 정보를 제공하는 VCT(Virtual Channel Table) 및 각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EIT(Event Information Tabl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PSIP는 PSI와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시그널링 테이블에 포함된 시그널링 정보는, PMT의 스트림 타입(stream_type) 및/또는 디스크립터(descriptor)에서 정의될 수 있고, VCT의 스트림 타입(stream_type) 및/또는 디스크립터(descriptor)에서 정의될 수도 있으며, EIT의 디스크립터(descriptor)에서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TTA, MPEG 등 국내외에서 표준화 중인 3DTV 방송 표준에 따르면, PMT 내의 디스크립터 루프에서는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 타입 정보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 타입 정보는, 현재 제공되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의 서비스의 타입을 지시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노스코픽 서비스(monoscopic service), 프레임 컴패터블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frame compatible stereoscopic service) 및 서비스 컴패터블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service compatible stereoscopic service) 등의 서비스 타입 각각에는 소정의 값이 할당될 수 있고,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 타입 정보는 각 서비스 타입에 할당된 값 중에서 현재 제공되는 3DTV 방송 서비스의 타입에 대응되는 값을 지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테레오 서비스 타입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디스크립터 내에는 stereoscopic_service_type이라는 필드가 정의될 수 있다. 또한, PMT 내의 디스크립터 루프에서는 영상 포맷 타입 정보가 정의될 수도 있다. 상기 영상 포맷 타입 정보는, 부가 영상의 영상 포맷을 지시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레오 사이드 바이 사이드(stereo side by side), 스테레오 탑 앤 바텀(stereo top and bottom) 및 2D 비디오(2D video) 각각에는 소정의 값이 할당될 수 있으며, 상기 영상 포맷 타입 정보는 상기 할당된 값들 중에서 현재 영상 포맷에 대응되는 값을 지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영상 포맷 타입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디스크립터 내에 stero_video_format_type이라는 필드가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다중화 및 전송부(240)는 부호화된 기준 영상 스트림 및 부호화된 부가 영상 스트림에 대한 다중화를 수행함으로써 단일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단일 스트림은 채널 부호화, 변조 등의 과정을 거쳐 전송망(250)을 통해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수신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수신 및 역다중화부(260)는 전송망(250)을 통해 전송된 3DTV 신호, 즉 비트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 및 역다중화부(260)는 수신된 비트스트림에 대해 복조, 채널 복호화, 역다중화 등의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기준 영상 스트림 및 부가 영상 스트림을 추출할 수 있다.
시그널링 정보 해석기(270)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시그널링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시그널링 정보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기준 영상 복호화기(28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기준 영상 스트림에 대해 복호화를 수행함으로써, 기준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부가 영상 복호화기(29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부가 영상 스트림에 대해 복호화를 수행함으로써, 부가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부가 영상 복호화기(290)는 부가 영상 스트림을 독립적으로 복호화할 수도 있고, 기준 영상 복호화기(280)와의 상호 참조를 통해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기준 영상 및 부가 영상 중 하나는 좌영상(L)에 해당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우영상(R)에 해당될 수 있다. 일례로 기준 영상이 좌영상(L)인 경우, 상기 좌영상(L)은 2D 영상에 해당될 수 있다. 생성된 기준 영상 및/또는 부가 영상은 2D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3D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현재 도 1의 영상 포맷이 적용된 프레임 컴패터블 3DTV 수신기는 상용화되고 있으나, 이는 역방향 호환성 측면에서 문제점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서비스 컴패터블 3DTV 방송 시스템이 사용되는 경우, 기존의 DTV 단말은 기준 영상 스트림만을 복호화하여 일반적인 화면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컴패터블 방송 시스템은 2D 방송 시스템과의 역방향 호환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서비스 컴패터블 3DTV 방송 시스템은 프레임 컴패터블 방식의 서비스에는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DTV에는 2D 서비스를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탑 앤 바텀 등의 영상 포맷이 적용되는 프레임 컴패터블 방식의 3DTV에는 기본적인 3D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듀얼 스트림 방식 기반의 서비스 컴패터블 3DTV에는 고화질의 3D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3DTV 서비스 제공 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듀얼 스트림 방식 기반의 서비스 컴패터블 3DTV 방송 시스템을 통해, 서비스 컴패터블 방식 및 프레임 컴패터블 방식의 서비스를 모두 지원하고 고화질의 3D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3DTV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준 영상 및 부가 영상 구성 방법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의 310은 기준 영상, 도 3의 320 및 330은 부가 영상을 나타낸다.
상술한 도 2의 듀얼 스트림 방식에 기반한 서비스 컴패터블 방송 시스템에서는, 좌영상 및 우영상이 원본 크기의 해상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의 서비스 컴패터블 방송 시스템은 프레임 컴패터블 3DTV 수신기와 역방향 호환성을 가질 수 없다. 따라서, 2D 방송 수신기 및 프레임 컴패터블 3DTV 수신기와 동시에 역방향 호환성을 가질 수 있도록, 기준 영상으로는 원본 크기의 좌영상 또는 원본 크기의 우영상이 사용되고 부가 영상으로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또는 탑 앤 바텀 등의 영상 포맷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준 영상은 원본 크기의 좌영상(L, 310)에 해당될 수 있다. 기준 영상의 구성 방법은 상기 실시예에 한하지 않으며, 기준 영상은 원본 크기의 우영상(R)에 해당될 수도 있다.
부가 영상은 프레임 컴패터블 방식의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영상 포맷 중에서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가 영상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의 영상(320) 또는 탑 앤 바텀 포맷의 영상(330)일 수 있다. 도 3의 320을 참조하면,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이 사용되는 경우, 3차원 영상 프레임의 좌측 영역에 수평 방향으로 1/2 크기로 축소된 좌영상(L’)이 위치할 수 있고, 우측 영역에 수평 방향으로 1/2 크기로 축소된 우영상(R’)이 위치할 수 있다. 좌영상 및 우영상의 좌우 배치 순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하지 않고, 프레임의 좌측 영역에 수평 방향으로 축소된 우영상(R’)이 위치하고 우측 영역에 수평 방향으로 축소된 좌영상(L’)이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의 330을 참조하면, 탑 앤 바텀 포맷이 사용되는 경우, 3차원 영상 프레임의 상단 영역에 수직 방향으로 1/2 크기로 축소된 좌영상(L’)이 위치할 수 있고, 하단 영역에 수직 방향으로 1/2 크기로 축소된 우영상(R’)이 위치할 수 있다. 좌영상 및 우영상의 상하 배치 순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하지 않고, 프레임의 상단 영역에 수직 방향으로 축소된 우영상(R’)이 위치하고 하단 영역에 수평 방향으로 축소된 좌영상(L’)이 위치할 수도 있다.
상술한 기준 영상 및 부가 영상은 서로 동일한 컨텐츠(contents)로 구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컨텐츠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준 영상 및 부가 영상이 서로 동일한 컨텐츠를 갖는 경우, 부가 영상(320, 330)의 축소된 좌영상(L’)에 대응되는 원본 좌영상은 기준 영상의 원본 좌영상(L)과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기준 영상 및 부가 영상이 서로 다른 컨텐츠를 갖는 경우, 부가 영상(320, 330)의 축소된 좌영상(L’)에 대응되는 원본 좌영상은 기준 영상의 원본 좌영상(L)과 서로 다를 수 있다. 이 때, 서로 동일한 컨텐츠를 갖는 기준 영상 및 부가 영상은 고화질 3DTV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컨텐츠를 갖는 기준 영상 및 부가 영상은 프로그램의 다양성 제공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의 서비스 타입이 서비스 컴패터블 서비스인 경우, 기준 영상 및 부가 영상은 서로 동일한 컨텐츠로 구성될 수 있고,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의 서비스 타입이 모노스코픽 서비스 또는 프레임 컴패터블 서비스인 경우, 기준 영상 및 부가 영상은 서로 다른 별개의 컨텐츠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DTV 방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3DTV 방송 시스템은,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송신 장치, 전송망(450) 및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수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송신 장치는 영상 포맷 처리부(410), 기준 영상 부호화기(423), 부가 영상 부호화기(426), 시그널링 정보 생성기(430), 다중화 및 전송부(44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수신 장치는 수신 및 역다중화부(460), 시그널링 정보 해석기(470), 기준 영상 복호화기(483), 부가 영상 복호화기(486) 및 영상 렌더링부(49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포맷 처리부(410)는 원본 좌영상(L) 및 원본 우영상(R)을 이용하여, 기준 영상 및 부가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영상 포맷 처리부(410)는 기준 영상 및 부가 영상을 상술한 도 3의 실시예에서와 같은 스테레오 영상 포맷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부가 영상은 프레임 컴패터블 방식의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영상 포맷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의 영상 또는 탑 앤 바텀 포맷의 영상일 수 있다. 도 4는 부가 영상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인 경우의 실시에를 도시한다.
기준 영상 부호화기(423)는 기존 2D 방송에서 사용되는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기준 영상에 대한 부호화를 수행함으로써, 기준 영상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영상 부호화기(423)는 도 2의 서비스 컴패터블 방송 시스템의 기준 영상 부호화기(210)와 동일한 방식으로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부가 영상 부호화기(426)는 부가 영상에 대한 부호화를 수행하여 부가 영상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부가 영상 부호화기(426)는 부가 영상을 독립적으로 부호화할 수도 있고, 기준 영상 부호화기(423)와의 상호 참조를 통해 부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도 4의 서비스 컴패터블 방송 시스템에서는, 기준 영상 및 부가 영상이 독립적으로 부호화될 수도 있고, 상호 참조를 통해 부호화될 수도 있다. 도 4에서 기준 영상 부호화기(423) 및 부가 영상 부호화기(426) 사이의 점선은 상호 참조 부호화를 의미할 수 있다.
부가 영상 부호화기(426)는 영상 압축 과정에서, 부가 영상을 구성하는 축소된 좌영상(L’) 및 축소된 우영상(R’)에 서로 다른 비트율을 할당할 수 있다. 이 때, 축소된 좌영상(L’) 및 축소된 우영상(R’)은 서로 다른 화질을 가질 수 있고, 후술되는 영상 렌더링 과정을 거쳐 부가 영상으로부터 도출되는 좌영상 및 우영상도 서로 다른 화질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부가 영상 부호화기(426)는 축소된 좌영상(L’) 및 축소된 우영상(R’)에 적용되는 양자화 스텝(및/또는 양자화 파라미터)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축소된 좌영상(L’) 및 축소된 우영상(R’)에 할당되는 비트율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축소된 좌영상(L’) 및 축소된 우영상(R’)에는 서로 다른 양자화 스텝(및/또는 양자화 파라미터)의 크기가 적용될 수 있고, 이 때 축소된 좌영상(L’) 및 축소된 우영상(R’)은 서로 다른 비트율로 부호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영상이 좌영상이고, 부가 영상의 영상 포맷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이라 가정한다. 이 때, 부가 영상 부호화기(426)는 축소된 우영상(R’)에 더 많은 비트율이 할당할 수 있다. 축소된 우영상(R’)에 많은 비트율이 할당되는 경우, 시스템에서 설정된 전체 비트율을 유지하기 위해, 축소된 좌영상(L’)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비트율이 할당될 수 있다. 이 때, 후술되는 영상 렌터링 과정을 거쳐 부가 영상으로부터 도출되는 좌영상의 화질은 상대적으로 우영상에 비해 낮을 수 있다. 다른 예로 기준 영상이 우영상인 경우, 부가 영상 부호화기(426)는 축소된 좌영상(L’)에 더 많은 비트율을 할당할 수도 있다. 즉, 부가 영상 부호화기(426)는 축소된 좌영상 및 축소된 우영상 중에서, 기준 영상에 대응되지 않는 영상을 다른 영상에 비해 높은 비트율로 부호화할 수 있다.
상술한 비트율 할당 방법은 서비스 컴패터블 방식 및 프레임 컴패터블 방식의 서비스를 모두 지원함과 동시에 고화질의 3D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적용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시그널링 정보 생성기(430)는 3DTV 서비스의 종류, 부가 영상의 영상 포맷, 기준 영상이 좌영상인지 우영상인지 여부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시그널링 정보(signaling information)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시그널링 테이블에서 정의될 수 있고, 다중화 및 전송부(440)를 통해 비트스트림에 포함되어 스테레오스코픽 수신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그널링 테이블은 PSI의 PAT, PSI의 PMT, PSIP의 VCT 및/또는 PSIP의 EIT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그널링 테이블에 포함된 시그널링 정보는, PMT의 스트림 타입(stream_type) 및/또는 디스크립터(descriptor)에서 정의될 수 있고, VCT의 스트림 타입(stream_type) 및/또는 디스크립터(descriptor)에서 정의될 수도 있으며, EIT의 디스크립터(descriptor)에서 정의될 수도 있다.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 타입 정보 및 영상 포맷 타입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 타입 정보는, 현재 제공되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의 서비스 타입을 지시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 타입 정보는 stereoscopic_service_type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영상 포맷 타입 정보는, 부가 영상의 영상 포맷을 지시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부가 영상 포맷 타입 정보는 stereo_video_format_type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 타입 정보 및 영상 포맷 타입 정보는, PMT 내의 디스크립터 루프에서 정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준 영상 및 부가 영상은 서로 동일한 컨텐츠로 구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컨텐츠로 구성될 수도 있다. 기준 영상이 좌영상(L)인 경우를 가정하면, 기준 영상 및 부가 영상이 서로 동일한 컨텐츠를 갖는 경우, 부가 영상의 축소된 좌영상(L’)에 대응되는 원본 좌영상은 기준 영상의 원본 좌영상(L)과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기준 영상 및 부가 영상이 서로 다른 컨텐츠를 갖는 경우, 부가 영상의 축소된 좌영상(L’)에 대응되는 원본 좌영상은 기준 영상의 원본 좌영상(L)과 서로 다를 수 있다.
기준 영상 및 부가 영상이 서로 동일한 컨텐츠로 구성된 경우, 일 실시예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 타입 정보는 서비스 컴패터블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service compatible stereoscopic service)를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부가 영상의 영상 포맷은 영상 포맷 타입 정보(예를 들어, stereo_video_format_type)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영상 포맷 타입 정보는 부가 영상의 영상 포맷에 따라, 스테레오 사이드 바이 사이드(stereo side by side) 또는 스테레오 탑 앤 바텀(stereo top and bottom)을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 포맷 타입 정보(예를 들어, stereo_video_format_type)는 도 2의 실시예에서와 달리, 현재 MPEG-2 비디오 스트림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유형의 부호화 스트림에 적용될 수 있다.
기준 영상 및 부가 영상이 서로 다른 컨텐츠로 구성된 경우, 즉 2D 프로그램과 3D 프로그램이 별도로 제작되거나 및/또는 제공되는 경우, 일 실시예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 타입 정보는 프레임 컴패터블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frame compatible stereoscopic service)를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부가 영상의 영상 포맷은 상술한 영상 포맷 타입 정보(예를 들어, stereo_video_format_type)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으며, 2D 프로그램 및 3D 프로그램은 각각 종래의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을 제외한 시그널링 정보 생성기(430)의 동작은 도 2의 시그널링 정보 생성기(230)에서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다중화 및 전송부(440), 전송망(450), 수신 및 역다중화부(460)의 동작은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시그널링 정보 해석기(470)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시그널링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시그널링 정보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기준 영상 복호화기(483)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기준 영상 스트림에 대해 복호화를 수행함으로써, 기준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부가 영상 복호화기(486)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부가 영상 스트림에 대해 복호화를 수행함으로써, 부가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2D 방송이 아닌 3DTV 방송을 선택하는 경우, 기준 영상 복호화기(483) 및 부가 영상 복호화기(486)는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부가 영상 복호화기(486)는 기준 영상 복호화기(483)와의 상호 참조를 통해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즉, 기준 영상 복호화기(483) 및 부가 영상 복호화기(486)는 상호 종속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도 4에서 기준 영상 복호화기(483) 및 부가 영상 복호화기(486) 사이의 점선은 상호 참조 부호화를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부가 영상의 축소된 좌영상(L’) 및 축소된 우영상(R’)은 서로 다른 비트율로 압축되거나 부호화될 수 있다. 이 경우, 부가 영상 스트림 내의 축소된 좌영상(L’)에 대응되는 부분 및 축소된 우영상에 대응되는 부분(R’)은 서로 다른 비트율로 복호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복호화된 부가 영상에서 축소된 좌영상(L’) 및 축소된 우영상(R’)은 서로 다른 화질을 가질 수 있다.
복호화된 기준 영상 및 부가 영상은 영상 렌더링부(490)에 제공될 수 있다. 영상 렌더링부(490)는 기준 영상 및/또는 부가 영상을 이용하여, 좌영상(L) 및 우영상(R)을 생성할 수 있다. 기준 영상이 좌영상(L)인 경우, 상기 좌영상(L)은 2D 영상에 해당될 수 있다. 생성된 좌영상 및/또는 우영상은 2D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3D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영상 렌더링부(490)의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4의 방송 시스템에 포함된 영상 렌더링부 동작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4의 3DTV 방송 시스템이 서비스 컴패터블 방식의 3DTV에 적용되는 경우의 실시예에 해당될 수 있다.
도 5에서, 기준 영상은 좌영상(L)이고, 부가 영상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의 영상이라 가정한다. 또한, 부가 영상의 축소된 우영상(R’)은 축소된 좌영상(L’)보다 높은 비트율로 부호화, 복호화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때, 상기 축소된 우영상(R’)은 축소된 좌영상(L’)보다 높은 화질을 가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상 렌더링부(490)는 기준 영상을 이용하여 원본 크기의 좌영상(L)을 획득하거나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렌더링부(490)는 부가 영상을 구성하는, 축소된 우영상(R’) 및 축소된 좌영상(L’) 중에서 높은 비트율로 부호화된, 즉 더 고화질로 처리된 1/2 영상만을 확대하여 원본 크기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기준 영상이 좌영상(L)이므로 축소된 우영상(R’)이 더 높은 비트율로 부호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축소된 우영상(R’)이 더 높은 화질을 가지므로, 영상 렌더링부(490)는 상기 축소된 우영상(R’)을 확대함으로써, 원본 크기 우영상(R)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원본 크기 우영상(R)은 축소된 좌영상(L’)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화질을 갖는, 축소된 우영상(R’)으로부터 생성되므로, 상기 원본 크기 좌영상(L) 및 원본 크기 우영상(R)을 이용하여 3D 영상이 구성되는 경우, 고화질의 3D 영상이 재생될 수 있다.
한편,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를 포함한 대부분의 디지털 방송은 기존 DTV 방송의 고화질 유지를 기본적인 요구 사항으로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한정된 2D 방송을 위해 사용되는 기준 영상에는 많은 비트율이 할당되므로, 기준 영상(예를 들어, 좌영상, L)은 고화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부가 영상을 구성하는 축소된 우영상(R’) 및 축소된 좌영상(L’) 중에서 상대적으로 고화질이 유지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원본 크기 영상(예를 들어, 우영상, R)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방법에 의해 도출된 좌영상 및 우영상의 조합으로 3D 영상이 구성되는 경우, 고화질의 3DTV 방송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기준 영상이 좌영상(L)인 경우를 기준으로 서술되었으나, 본 발명은 기준 영상이 우영상(R)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영상이 우영상(R)인 경우, 부가 영상을 구성하는 축소된 우영상(R’) 및 축소된 좌영상(L’) 중에서 축소된 좌영상(L’)이 더 높은 비트율로 부호화될 수 있다. 이 때, 영상 렌더링부(490)는 기준 영상을 이용하여 원본 크기의 우영상(R)을 생성하고, 부가 영상의 축소된 좌영상(L’)을 이용하여 원본 크기의 좌영상(L)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축소된 좌영상(L’)은 축소된 우영상(R’)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화질을 가지므로, 상술한 방법에 의해 도출된 원본 크기의 우영상(R) 및 원본 크기의 좌영상(L)으로 3D 프로그램이 구성되는 경우, 고화질의 3DTV 방송이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방송 시스템에 포함된 영상 렌더링부 동작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에서, 부가 영상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의 영상이라 가정한다.
프레임 컴패터블 방식의 서비스만을 지원하는 프레임 컴패터블 3DTV 수신기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상술한 도 4의 방송 시스템은 기본적인 3DTV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4의 3DTV 방송 시스템에서, 수신 및 역다중화부(460)는 부가 영상 스트림을 추출하고, 부가 영상 복호화기(486)는 부가 영상 스트림을 복호화함으로써, 부가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 컴패터블 3DTV 수신기가 사용되는 경우, 영상 렌더링부(490)는 부가 영상을 이용하여, 원본 크기의 좌영상(L) 및 원본 크기의 우영상(R)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영상 렌더링부(490)는 축소된 좌영상(L’)을 2배로 확대하여 원본 크기의 좌영상(L)을 생성하고, 축소된 우영상(R’)을 2배로 확대하여 원본 크기의 우영상(R)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원본 크기의 좌영상(L) 및 원본 크기의 우영상(R)이 3D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되면, 3D 영상이 재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도 4의 방송 시스템은 듀얼 스트림 방식 기반의 서비스 컴패터블 3DTV 뿐만 아니라, 프레임 컴패터블 3DTV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부가 영상을 구성하는 축소된 좌영상(L’) 및 축소된 우영상(R’)은 서로 다른 비트율로 부호화될 수도 있다. 이 때, 확대된 원본 크기의 좌영상(L) 및 원본 크기의 우영상(R)은 서로 다른 화질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좌영상(L) 및 우영상(R)의 화질에 어느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인간의 시각은 이를 크게 인지하지 못 하므로, 상술한 도 4의 방송 시스템은 프레임 컴패터블 3DTV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가용한 3D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및 채널 구성 방법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의 실시예에서, 기준 영상은 좌영상(L)이고, 부가 영상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의 영상이라 가정한다. 도 7은 일례로, ATSC를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 및 채널 구성에 해당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존의 2D DTV 방송과 호환성을 유지하는 2D 프로그램은 기준 영상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시스템은 MPEG-2 비디오를 이용하여 기준 영상을 12Mbps의 비트율로 압축함으로써, 2D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시스템은 서비스 컴패터블 방식 기반의 3D 프로그램 및 프레임 컴패터블 방식 기반의 3D 프로그램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컴패터블 방식 기반의 3D 프로그램 및 프레임 컴패터블 방식 기반의 3D 프로그램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서비스 컴패터블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시스템은 부가 영상을 구성하는 영상 중에서 축소된 우영상(R’)에 상대적으로 큰 비트율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소된 좌영상(L’)에는 2Mbps가 할당되고 축소된 우영상(R’)에는 4Mbps가 할당되어, 총 6Mbps의 비트율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축소된 좌영상(L’) 및 축소된 우영상(R’)은 일 실시예로 MPEG-4 AVC를 이용하여 압축될 수 있다. 이 때, 3D 프로그램은 기준 영상인 좌영상(L) 및 부가 영상의 축소된 우영상(R’)의 부호화된 스트림을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기준 영상인 좌영상(L) 및 부가 영상의 축소된 우영상(R’)은 상대적으로 높은 비트율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고화질의 3D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프레임 컴패터블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시스템은 부가 영상의 축소된 우영상(R’) 및 축소된 좌영상(L’)에 동일한 비트율을 할당하여 압축할 수 있다. 이 때, 3D 프로그램은 부가 영상의 축소된 우영상(R’) 및 축소된 좌영상(L’)의 부호화된 스트림을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 컴패터블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기준 영상 및 부가 영상은 서로 다른 컨텐츠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부가 영상만을 이용하여 3D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기준 영상 및 부가 영상에 할당되는 비트율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준 영상과 부가 영상에 할당되는 비트율은 변경될 수 있으며, 부가 영상의 축소된 좌영상 및 축소된 우영상에 대한 비트율 할당 비율도 구현 및/또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방송 채널을 통해 실제로 전송되는 전송 비트스트림은, 기준 영상 스트림 및 부가 영상 스트림을 포함하는 듀얼 스트림이 다중화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영상 스트림은 기준 영상을 부호화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으며, 부가 영상 스트림은 부가 영상을 부호화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또한, 2D 프로그램 및/또는 3D 프로그램의 구성 방법은 시그널링 테이블에 포함된 테이블 정보 및/또는 시그널링 정보에 의해 상위 레벨에서 논리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그널링 테이블에는 PSIP의 VCT, PSI의 PAT 및/또는 PSI의 PMT 등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2D 프로그램 및 3D 프로그램은 각각 별도의 가상 채널(virtual channel)에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D 프로그램 및 3D 프로그램은 단일 가상 채널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상 채널 구성 방법은 서비스 요구 사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기준 영상이 좌영상(L)인 경우를 기준으로 서술되었으나, 본 발명은 기준 영상이 우영상(R)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컴패터블 방식 기반의 3D 프로그램에서 기준 영상이 우영상(R)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시스템은 부가 영상을 구성하는 영상 중에서 축소된 좌영상(L’)에 상대적으로 큰 비트율을 할당할 수 있다. 이 때, 3D 프로그램은 기준 영상인 우영상(R) 및 부가 영상의 축소된 좌영상(L’)의 부호화된 스트림을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기준 영상인 우영상(R) 및 부가 영상의 축소된 좌영상(L’)은 상대적으로 높은 비트율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고화질의 3D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송신 방법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송신 장치는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810).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3DTV 서비스의 종류, 부가 영상의 영상 포맷 및 기준 영상이 좌영상인지 우영상인지 여부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그널링 정보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송신 장치는 원본 좌영상(L) 및 원본 우영상(R)을 이용하여, 기준 영상 및 부가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S820).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부가 영상은 프레임 컴패터블 방식의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영상 포맷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의 영상 또는 탑 앤 바텀 포맷의 영상일 수 있다.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송신 장치는, 생성된 기준 영상 및 부가 영상을 각각 부호화함으로써, 기준 영상 스트림 및 부가 영상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S830). 이 때, 기준 영상 및 부가 영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부호화될 수도 있고, 상호 참조를 통해 부호화될 수도 있다. 또한, 부가 영상의 축소된 좌영상(L’) 및 축소된 우영상(R’)은 서로 다른 비트율로 부호화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송신 장치는, 기준 영상 스트림 및 부가 영상 스트림에 대한 다중화를 수행하여 단일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단일 스트림은 채널 부호화, 변조 등의 과정을 거쳐, 비트스트림의 형태로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수신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S840). 이 때, 상기 생성된 시그널링 정보가 비트스트림에 포함되어 스테레오스코픽 수신 장치로 함께 전송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수신 방법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수신 장치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송신 장치로부터 비트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S910).
비트스트림이 수신되면,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수신 장치는 수신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시그널링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S920). 시그널링 정보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수신 장치는, 수신된 비트스트림에 대해 복조, 채널 복호화, 역다중화 등의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기준 영상 스트림 및 부가 영상 스트림을 추출할 수 있다(S930).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수신 장치는, 기준 영상 스트림 및 부가 영상 스트림 각각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하여, 기준 영상 및 부가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S940). 이 때, 기준 영상 및 부가 영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복호화될 수도 있고, 상호 참조를 통해 복호화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부가 영상 스트림 내의 축소된 좌영상(L’)에 대응되는 부분 및 축소된 우영상에 대응되는 부분(R’)은 서로 다른 비트율로 복호화될 수 있다.
기준 영상 및 부가 영상이 생성되면,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수신 장치는 상기 생성된 기준 영상 및/또는 부가 영상을 이용하여, 좌영상(L) 및 우영상(R)을 생성할 수 있다(S950). 이 때, 일례로 상기 도출된 시그널링 정보가 좌영상 및 우영상 생성에 사용될 수 있다. 생성된 좌영상 및/또는 우영상은 2D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3D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좌영상 및 우영상 생성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에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본 발명은 듀얼 스트림 방식 기반의 서비스 컴패터블 3DTV 방송 시스템을 통해, 원본 좌영상 또는 원본 우영상 등의 원본 영상뿐만 아니라, 사이드 바이 사이드 또는 탑 앤 바텀 등의 영상 포맷을 갖는 종래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컨텐츠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3DTV 방송 시스템은 기존의 DTV에는 2D 서비스를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탑 앤 바텀 등의 영상 포맷이 적용되는 프레임 컴패터블 방식의 3DTV에는 기본적인 3D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듀얼 스트림 방식 기반의 서비스 컴패터블 3DTV에는 고화질의 3D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서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난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들을 나타내기 위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술할 수는 없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조합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7)

  1. 좌영상 및 우영상을 이용하여, 기준(base) 영상 및 부가(additional)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부가 영상을 각각 부호화하여, 상기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기준 영상 스트림 및 상기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부가 영상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준 영상 스트림 및 상기 부가 영상 스트림에 대한 다중화를 수행하여 단일 스트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일 스트림 정보를 포함한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부가 영상은 소정의 영상 포맷에 기반하여, 상기 좌영상에 대응하는 축소된 좌영상 및 상기 우영상에 대응하는 축소된 우영상으로 구성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비디오 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영상 포맷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by-side) 포맷 또는 탑 앤 바텀(top-and-bottom) 포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송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기준 영상 스트림 및 상기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부가 영상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축소된 좌영상 및 상기 축소된 우영상을 서로 다른 비트율로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송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의 서비스 타입이 서비스 컴패터블(service-compatible) 서비스인 경우,
    상기 기준 영상은 상기 좌영상 및 상기 우영상 중 하나이고,
    상기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기준 영상 스트림 및 상기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부가 영상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축소된 좌영상 및 상기 축소된 우영상 중에서, 상기 기준 영상에 대응되지 않는 하나의 영상을 다른 하나의 영상에 비해 높은 비트율로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송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의 서비스 타입이 프레임 컴패터블(frame-compatible) 서비스인 경우,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부가 영상은 서로 다른 별개의 컨텐츠(contents)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송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의 서비스 타입을 지시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 타입 정보, 상기 부가 영상의 영상 포맷 타입을 지시하는 영상 포맷 타입 정보 및 상기 기준 영상이 상기 좌영상인지 또는 상기 우영상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송신 방법.
  7. 좌영상 및 우영상을 이용하여, 기준(base) 영상 및 부가(additional)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포맷 처리부;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부가 영상을 각각 부호화하여, 상기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기준 영상 스트림 및 상기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부가 영상 스트림을 생성하는 부호화기;
    상기 기준 영상 스트림 및 상기 부가 영상 스트림에 대한 다중화를 수행하여 단일 스트림을 생성하는 다중화부; 및
    상기 단일 스트림을 포함한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부가 영상은 소정의 영상 포맷에 기반하여, 상기 좌영상에 대응하는 축소된 좌영상 및 상기 우영상에 대응하는 축소된 우영상으로 구성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비디오 송신 장치.
  8. 영상 정보를 포함한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기준 영상 스트림 및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부가 영상 스트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기준 영상 스트림 및 상기 부가 영상 스트림을 각각 복호화하여,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부가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부가 영상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좌영상 및 우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부가 영상은 소정의 영상 포맷에 기반하여, 상기 좌영상에 대응하는 축소된 좌영상 및 상기 우영상에 대응하는 축소된 우영상으로 구성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비디오 수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영상 포맷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by-side) 포맷 또는 탑 앤 바텀(top-and-bottom) 포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수신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영상 스트림은 상기 축소된 좌영상에 대응되는 제1 부분 스트림 및 상기 축소된 우영상에 대응되는 제2 부분 스트림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부가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부분 스트림 및 상기 제2 부분 스트림을 서로 다른 비트율로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수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의 서비스 타입이 서비스 컴패터블(service-compatible) 서비스인 경우,
    상기 기준 영상은 상기 좌영상 및 상기 우영상 중 하나이고,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부가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부분 스트림 및 상기 제2 부분 스트림 중에서, 상기 기준 영상에 대응되지 않는 부분 스트림을 다른 부분 스트림에 비해 높은 비트율로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수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좌영상 및 우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기준 영상이 상기 좌영상인 경우, 상기 기준 영상으로부터 상기 좌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축소된 우영상을 확대하여 상기 우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수신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좌영상 및 우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기준 영상이 상기 우영상인 경우, 상기 기준 영상으로부터 상기 우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축소된 좌영상을 확대하여 상기 좌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수신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의 서비스 타입이 프레임 컴패터블(frame-compatible) 서비스인 경우,
    상기 좌영상 및 우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축소된 좌영상을 확대하여 상기 좌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축소된 우영상을 확대하여 상기 우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수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부가 영상은 서로 다른 별개의 컨텐츠(contents)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수신 방법.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의 서비스 타입을 지시하는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 타입 정보, 상기 부가 영상의 영상 포맷 타입을 지시하는 영상 포맷 타입 정보 및 상기 기준 영상이 상기 좌영상인지 또는 상기 우영상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정보를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수신 방법.
  17. 영상 정보를 포함한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기준 영상 스트림 및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부가 영상 스트림을 추출하는 역다중화부;
    상기 기준 영상 스트림 및 상기 부가 영상 스트림을 각각 복호화하여,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부가 영상을 생성하는 복호화기; 및
    상기 기준 영상 및 상기 부가 영상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좌영상 및 우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렌더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부가 영상은 소정의 영상 포맷에 기반하여, 상기 좌영상에 대응하는 축소된 좌영상 및 상기 우영상에 대응하는 축소된 우영상으로 구성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비디오 수신 장치.
KR1020120032902A 2011-04-27 2012-03-30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12183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902A KR20120121831A (ko) 2011-04-27 2012-03-30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US13/455,089 US9143757B2 (en) 2011-04-27 2012-04-24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ereoscopic vide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674 2011-04-27
KR1020120032902A KR20120121831A (ko) 2011-04-27 2012-03-30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831A true KR20120121831A (ko) 2012-11-06

Family

ID=47508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902A KR20120121831A (ko) 2011-04-27 2012-03-30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18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3505B2 (en) Broadcast receiver and 3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1342294B1 (ko) 3d tv를 위한 스테레오뷰들의 사이멀캐스트
Chen et al. Overview of the MVC+ D 3D video coding standard
KR101889459B1 (ko) 입체영상-호환 비디오 스트림을 생성하고 재구성하기 위한 방법, 및 관련 코딩 및 디코딩 디바이스들
US20120044324A1 (en) Method for providing 3d video in a 3dtv
KR20160123216A (ko) 3d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20013974A (ko) 방송 송신기, 방송 수신기 및 3d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US9030527B2 (en) Method for providing and recognizing transmission mode in digital broadcasting
KR101797506B1 (ko)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
TWI555383B (zh) 用於編碼及解碼數位視訊之方法及其相關編碼及解碼裝置
JP2016537847A (ja) Hevcベースのip放送サービスの提供のための放送信号送受信方法及び装置
US20130250051A1 (en) Signaling method for a stereoscopic video service and apparatus using the method
US9635344B2 (en) Method for service compatibility-type transmitting in digital broadcast
US89530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trea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tream
KR101977260B1 (ko) 입체영상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방법 및 수신장치
KR20130038792A (ko) 융합형 3dtv에서 컨텐츠 스트림에 접근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1651232B1 (ko)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US91437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ereoscopic video
KR20120121831A (ko)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46404A (ko) 디지털 단말에서의 2d 모드 재생을 위한 송신 장치, 디지털 단말에서의 2d 모드 재생 장치 및 그 방법들
KR101277267B1 (ko) 3차원 방송을 위한 데이터 코덱 방법 및 장치
KR20140002853A (ko) 3d 영상 신호의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20087869A (ko) 3차원 방송을 위한 데이터 코덱 방법 및 장치
KR20120139643A (ko) 3차원 방송을 위한 데이터 코덱 방법 및 장치
KR20150086801A (ko) 화질 향상을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