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6801A - 화질 향상을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화질 향상을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6801A
KR20150086801A KR1020140006877A KR20140006877A KR20150086801A KR 20150086801 A KR20150086801 A KR 20150086801A KR 1020140006877 A KR1020140006877 A KR 1020140006877A KR 20140006877 A KR20140006877 A KR 20140006877A KR 20150086801 A KR20150086801 A KR 20150086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dtv
data
video
image data
addi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숙희
최진수
김진웅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06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6801A/ko
Publication of KR20150086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8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화질 향상을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화질 향상을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 송신 방법은 기존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한 제1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기존 HDTV 영상 데이터에 기반하여 화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한 제2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제1 영상 부호화 데이터 및 제2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멀티플렉싱하여 최종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질 향상을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DDITIONAL VIDEO DATA FOR IMPROVEMENT OF IMAGE QUALITY}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질 향상을 위해 영상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날로그 방송에서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 방송으로 전환이 완료되면서, 아날로그 방송은 종료되었다. 그러나, UHDTV(ultra high definition television) 서비스는 신규 서비스로 도입되더라도, HDTV 방송은 병행하여 서비스될 뿐 종료되지는 않을 것이다. 이에 차세대 방송으로 대두되고 있는 UHDTV 서비스가 실시되면, 대형의 UHDTV에서 HDTV 방송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이는 시청자로 하여금 HD 화질의 열화 정도를 심하게 느끼게 할 수 있다. 특히, 기존 HDTV는 한국, 일본, 미국의 경우는 30p, 60i의 프레임율을 지원하고, 유럽에서는 25p, 50i를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TV 크기가 커질수록 저프레임율은 시청자에게 화질열화, 시청피로를 느끼게 하는 가장 큰 요인이다. 이에 따라,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EBU(European broadcasting union) 등에서는 HDTV에서도 120p의 프레임율을 지원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HDTV의 4배 해상도를 갖는 UHDTV의 경우는 ITU-R BT.2020에서는 60P, 120P 프레임율까지 포함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Full HD 해상도라고 할 수 있는 1980x1080 해상도에, 60i 프레임율로 방송되고 있다. 60i 프레임율과 30p 프레임율은 데이터량은 동일하지만, 객체의 움직임 측면에서 30p보다는 60i 프레임율이 더 나은 화질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질 향상을 위해 부가 영상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질 향상을 위해 부가 영상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질 향상을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 송신 방법은 기존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한 제1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존 HDTV 영상 데이터에 기반하여 화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한 제2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영상 부호화 데이터 및 상기 제2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멀티플렉싱하여 최종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질 향상을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UHDTV에서 기존의 HDTV방송 프로그램에 대하여 부가 비디오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더욱 고품질의 HDTV를 시청할 수 있다. 또한, 부가 비디오 송수신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기존 HDTV 방송과의 호환성을 제공하고 있어, 기존 HDTV 시청자는 기존의 HDTV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부호화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60p로 촬영된 HDTV 영상 데이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기존의 HDTV 영상 데이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HDTV 비디오 신호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복호화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특정 구성을 “포함”한다고 기술하는 내용은 해당 구성 이외의 구성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추가적인 구성이 본 발명의 실시 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포함한 것으로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일부의 구성 요소는 본 발명에서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고 단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택적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 요소를 제외한 본 발명의 본질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구성부만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선택적 구성 요소를 제외한 필수 구성 요소만을 포함한 구조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 방송 데이터에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가 영상 데이터를 추가하여 기존의 HDTV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HDTV보다 고화질의 데이터인 UHDTV(ultra high definition television)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기존의 HDTV 1채널에서 HDTV와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60p 또는 120p의 고프레임율을 지원하는 부가 비디오 신호를 추가로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부호화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 HDTV 방송 시스템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HDTV 화질 개선을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를 추가로 부호화하기 위하여 도 1과 같은 방송 부호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방송 부호화 시스템은 비디오 부호화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부호화부는 HDTV 부호화기(103) 및 부가 부호화기(106)를 포함할 수 있다.
HDTV 부호화기(103)는 외부로부터 기존의 HDTV 영상 데이터인 1920x1080 해상도의 60i또는 30p 신호를 입력받아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부가 부호화기(106)는 HDTV 화질 개선을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고압축률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가 부호화기(106)는 AVC(advanced videon coding) 또는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과 같은 부호화 기술을 기반으로 부가 영상 신호에 대한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지상파 HDTV에서는 부가 영상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기술로 HEVC를 사용할 경우 기존 HDTV 비디오 신호에는 약 15Mbps(mega bit per second)를 할당하여 부호화하고, 부가 영상 데이터는 HEVC 부호화기를 이용하여 3Mbps를 할당하여 부호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부가 영상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기술로 AVC를 사용할 경우, 3DTV 방송과 유사하게, 기존 HDTV 비디오 신호에는 12Mbps, 부가 비디오 신호에는 6Mbps를 할당하여 부호화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HDTV 비디오 신호에 할당하는 비트율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부가 비디오 신호에 최신 비디오 부호화 기술인 HEVC를 사용할 수 있다.
오디오 부호화부(130)는 외부로부터 특정 파일 포맷(예를 들어, wav)의 오디오 데이터를 AC(audio coding)-3 또는 AAC(advanced audio coding) 오디오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PSI(program-specific information) 생성부(170)는 외부로부터 UI(user interface)를 통하여 미디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및 PMT(program map table)을 생성할 수 있다.
MPEG-2 시스템 부호화부(150)는 부호화된 ES(elementary stream)를 PES 패킷화부를 통해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PES는 TS 생성부를 통해 및 TS(transport stream) 패킷화 하고, PSI 정보를 TS 패킷화 하여 이들을 다중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HDTV 영상 데이터와 부가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도 2는 60p로 촬영된 HDTV 영상 데이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60p로 촬영된 HDTV 영상 데이터는 1초에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의 프레임이 60개가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프레임은 가로는 1920 화소수, 세로는 1080 화소수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60p로 촬상된 HDTV 영상 데이터 중 일부의 데이터만이 기존의 HDTV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도 3과 같이 MPEG-2 인코더로 입력될 수 있다.
도 3은 기존의 HDTV 영상 데이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p는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 i는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주사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에서는 기존 HDTV 방송을 위해서 MPEG-2 인코더로 입력되는 기존 HDTV 영상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3(a)는 기존 HDTV 영상 데이터가 30p 비디오 포맷으로 생성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30p 비디오 데이터는 홀수번째 프레임만을 HDTV 비디오 신호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b)와 도 3(c)는 기존 HDTV 방송이 60i 비디오 포맷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3(b)는 기존 HDTV 영상 데이터가 60p 프레임의 매 프레임의 홀수 라인에 해당하는 픽셀만으로 구성되어 인터레이스 신호로 생성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반면 도 3(c)는 기존 HDTV 영상 데이터가 60p 프레임의 홀수번째 프레임에서는 홀수 라인에 해당하는 픽셀을, 짝수번째 프레임에서는 짝수 라인에 해당하는 픽셀만으로 구성하여 인터레이스 신호로 생성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기존의 HDTV 영상 데이터는 전술한 부가 영상 데이터를 추가하여 60p 또는 120p의 고프레임율을 지원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HDTV 비디오 신호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60p로 촬영된 HDTV 비디오에서 기존 HDTV 방송을 위해서 MPEG-2 인코더로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제외한 부가 영상 데이터를 나타낸다. 부가 영상 데이터는 HDTV 방송을 위해서 MPEG-2 인코더로 입력되는 기존 HDTV 영상 데이터와 합쳐져서 UHDTV와 같은 HDTV보다 높은 화질을 가진 비디오 포맷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a)는 도 3(a)와 같이 기존 HDTV 영상 데이터가 30p 비디오 포맷인 경우, 생성되는 부가 비디오 신호를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면, 짝수번째 프레임만으로 구성된 30p 비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a)에서 생성된 기존 HDTV 영상 데이터는 도 4(a)에서 생성된 부가 영상 데이터와 합쳐져서 기존 HDTV 방성에서 제공되던 화질보다 높은 화질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도 3(a)에서 전술한 홀수번째 프레임만으로 구성된 30p 비디오 포맷을 기반으로 생성한 영상 데이터(기존 HDTV 영상 데이터)와 도 4(a)의 부가 영상 데이터가 방송 부호화 시스템의 비디오 부호화부에서 합쳐져 UHDTV와 같은 HDTV보다 높은 해상도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b)는 도 3(b)와 같이 기존 HDTV 영상 데이터가 모든 프레임에서 홀수번째 라인의 픽셀로 구성된 60i 비디오 포맷인 경우, 생성되는 부가 영상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4(b)를 참조하면, 모든 프레임에서 짝수번째 라인의 픽셀로 구성된 60i 비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b)에서 생성된 기존 HDTV 영상 데이터는 도 4(b)에서 생성된 부가 영상 데이터와 합쳐져서 기존 HDTV 방성에서 제공되던 화질보다 높은 화질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도 3(b)에서 개시된 모든 프레임에서 짝수번째 라인의 픽셀로 구성된 60i 비디오 신호(기존 HDTV 영상 데이터)와 도 4(b)의 부가 영상 데이터가 방송 부호화 시스템에서 합쳐져 UHDTV와 같은 HDTV보다 높은 해상도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c)는 도 3(c)와 같이 기존 HDTV 방송이 홀수 프레임의 홀수번째 라인의 픽셀과 짝수 프레임의 짝수번째 라인의 픽셀로 구성된 60i 비디오 포맷인 경우, 생성되는 부가 영상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4(c)를 참조하면, 모든 프레임에서 홀수번째 프레임의 짝수번째 라인의 픽셀과 짝수번째 프레임의 홀수번째 라인의 픽셀로 구성된 60i 비디오 포맷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c)에서 생성된 기존 HDTV 영상 데이터는 도 4(c)에서 부가 영상 데이터와 합쳐져서 기존 HDTV 방성에서 제공되던 화질보다 높은 화질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도 3(c)에서 개시된 기존 HDTV 방송이 홀수 프레임의 홀수번째 라인의 픽셀과 짝수 프레임의 짝수번째 라인의 픽셀로 구성된 60i 비디오 신호(기존 HDTV 영상 데이터)와 도 4(c)의 신호(부가 영상 데이터)가 방송 부호화 시스템에서 합쳐져 UHDTV와 같은 HDTV보다 높은 해상도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PSI 생성 모듈은 기존 HDTV 방송에서 필요로 하는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PMT(Program Map Table), NIT(Network Information Table), CAT(Conditional Access Table)의 4가지 테이블과 같은 PSI를 생성하는 모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되는 영상 데이터 대한 정보는 PSI를 기반으로 다양하게 부호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화질 개선을 위한 HDTV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PMT 내에서 추가로 정의할 수 있다.
Enhanced_HDTV_program_info_descriptor()는 화질 개선을 위한 HDTV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Enhanced_HDTV_program_info_descriptor()를 영상 데이터 서술자라는 용어로 정의하여 사용한다.
아래의 표 1은 영상 데이터 서술자에 대한 정의를 나타낸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descriptor_tag가 현재 MPEG-2 시스템 표준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는 임의의 값 0x37로 정의되어 현재 전송되는 정보가 영상 데이터 서술자에 관련된 정보임을 나타낼 수 있다.
HDTV_service_type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한 비디오 데이터 포맷이 기존 방송에서 지원하는 비디오 포맷인지, 60p 비디오 포맷인지, 120p 비디오 포맷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의 표 2는 HDTV_service_type을 나타낸 표이다.
<표 2>
Figure pat00002
표 2를 참조하면, HDTV_service_type이 ‘001’인 경우, 부호화된 비디오 포맷이 기존의 HDTV 영상 데이터, ‘010’인 경우, 부호화된 비디오 포맷이 60p HDTV, ‘011’인 경우, 부호화된 비디오 포맷이 120p HDTV인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표 1의 영상 데이터 서술자를 참조하면 HDTV_service_type이 ‘010’이므로 현재 부호화된 비디오 포맷은 60p HDTV 비디오 포맷임을 나타내고 있다.
비디오 복호화기는 영상 데이터 서술자를 수신하고 복호화하여 현재 수신한 비디오 포맷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기반으로 수신한 데이터 중에 부가 영상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부가 영상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기반으로 수신한 데이터를 복호할 수 있다.
방송 복호화 시스템에 포함된, MPEG-2 시스템 해석부는 다중화된 비디오, 오디오, 부가 비디오 및 PSI 데이터를 역다중화하여, 비디오, 오디오 및 부가 비디오에 대한 ES를 복호화하고, PSI 정보를 해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복호화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방송 복호화 시스템은 MPEG-2 시스템 해석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MPEG-2 시스템 해석부(100)에 포함된 비디오 복호화 모듈은 수신한 방송 데이터(예를 들어, MPEG-2 TS)를 디멀티플레서를 기반으로 디멀티플렉싱하여 비디오 신호(기존 HDTV 데이터와 부가 영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PSI 데이터에 대한 TS를 생성할 수 있다.
기존 HDTV 영상 데이터, 부가 영상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는 MPEG-2 시스템 해석부(100)에 포함된 TS 디패킷화부 및 PES 디패킷화부를 거쳐서 각각의 ES로 생성될 수 있다.
PSI 파서(parser)는 PSI에 포함된 정보를 복호화하여 다른 복호화를 수행하는 구성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복호화부(160)는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여 출력할 수 있다.
AV 생성부(140)는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동기화하여 출력한다.
기존 HDTV 영상 데이터에 대한 ES 및 부가 영상 데이터에 대한 ES는 비디오 복호화부로 전달되어 기존 HDTV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 및/또는 부가 영상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비디오 복호화는 부가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기존 HDTV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한 복호화 데이터 및 부가 영상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한 복호화 데이터를 합성하여 하나의 비디오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방송 복호화 시스템에서는 만약, 부가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기존 HDTV 데이터와 부가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 서술자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방송 복호화 시스템에서 영상 합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복호화 시스템에 포함된 데이터 서술자에 포함된 HDTV_service_type 정보를 기반으로 부가 비디오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방송 복호화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어 부호화된 데이터가 기존 HDTV 방송인 경우(예를 들어, HDTV_service_type 정보가 ‘001’)는 부가 영상 데이터가 없음을 인지하여 비디오 합성 기능 없이 바로 출력한다. 반대로 기존 HDTV 보다 고화질의 비디오 데이터인 경우(예를 들어, HDTV_service_type 정보가 ‘010, 011’), 부가 영상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복호화하여 기존 HDTV 영상 데이터와 합성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p HDTV 서비스 또는 120p HDTV 서비스인 경우는 기존 HDTV 영상 데이터와 부가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60p HDTV 서비스 또는 120p HDTV 서비스인 경우 신호를 합성함에 있어서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디오 신호 구성 방법이 복수개가 존재할 경우는, 비디오 신호 구성 방법에 대한 표 3과 같이 PMT 내 ES 레벨에서 별도의 서술자(descriptor)를 정의하여, 정의된 서술자 정보를 기반으로 비디오 복호화 모듈이 복호화된 비디오 신호를 합성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부가 비디오 신호가 도 4(a), 도 4(b) 또는 도 4(c) 등이라는 정보를 Additional_HDTV_video_format과 같은 추가 서술자를 정의하여 부가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저보를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_HDTV_video_format은 추가 비디오 포맷 서술자라는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표 3은 부가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정의한 영상 데이터 서술자를 나타낸다.
<표 3>
Figure pat00003
표 3을 참조하면, 추가 비디오 포맷 서술자가 정의되어 부가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의 표 4는 추가 비디오 포맷 서술자의 정의를 나타낸 표이다.
<표 4>
Figure pat00004

표 4를 참조하면, ‘001’인 경우, 부가 영상 데이터가 짝수번째 프레임으로 구성된 비디오 데이터, ‘010’인 경우, 부가 영상 데이터가 모든 프레임에서 짝수번째 라인의 픽셀로 구성된 60i 비디오 데이터, ‘011’인 경우, 홀수번째 프레임의 짝수번째 라인의 픽셀과 짝수번째 프레임의 홀수번째 라인의 픽셀로 구성된 60i 비디오 데이터임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질개선을 지원하는 HDTV 송수신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양안식 3DTV 방송과는 달리, 가상 채널을 사용하지 않고, 1 채널 내에서 2개의 비디오 신호를 구성할 수 있다. 양안식 3DTV 방송은 시청자의 선호도에 따라, HDTV 방송과 3DTV 방송을 선택할 수 있도록 HDTV 방송 채널과 3DTV 방송 채널을 별도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질 개선을 지원하는 HDTV의 경우는 시청자의 선택권이 필요가 없으므로, 시청자에게는 1개의 HDTV 채널이 존재하도록 채널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차세대 방송으로 대두되고 있는 UHDTV 서비스가 본격화되면서, TV 크기가 대형화되고 있다. 이는 UDHTV에서 HDTV 방송을 시청하게 되면 HD 화질의 열화 정도를 심하게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을 사용하여 UHDTV에서 기존의 HDTV 및 기존의 HDTV 방송 프로그램에 부가 영상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송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더욱 고품질의 HDTV를 시청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 영상 데이터 송신 및 수신 방법은 기존 HDTV 방송과의 호환성을 제공하고 있어, 기존 HDTV 시청자는 기존의 HDTV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화질 향상을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 송신 방법에 있어서,
    기존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한 제1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존 HDTV 영상 데이터에 기반하여 화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한 제2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 부호화 데이터 및 상기 제2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멀티플렉싱하여 최종 영상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질 향상을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 송신 방법.
KR1020140006877A 2014-01-20 2014-01-20 화질 향상을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500868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877A KR20150086801A (ko) 2014-01-20 2014-01-20 화질 향상을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877A KR20150086801A (ko) 2014-01-20 2014-01-20 화질 향상을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801A true KR20150086801A (ko) 2015-07-29

Family

ID=53876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877A KR20150086801A (ko) 2014-01-20 2014-01-20 화질 향상을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68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6700B2 (en) Simulcast of stereoviews for 3D TV
US201801158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receiving broadcast signal for panorama service
JP6280212B2 (ja) Hevcベースのip放送サービスの提供のための放送信号送受信方法及び装置
KR100689507B1 (ko) 픽쳐 인 픽쳐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신호 정합시스템 및 방법
US201203201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the provision of a plurality of transport interactive 3dtv broadcasting services
US8982186B2 (en) Method for providing and recognizing transmission mode in digital broadcasting
US9635344B2 (en) Method for service compatibility-type transmitting in digital broadcast
EP34393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ignals
US201200271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xtended broadcast service in digital broadcasting
CN106060647A (zh) 采用字幕处理模块的超高清数字电视接收机的工作方法
US91437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ereoscopic video
WO2009136681A1 (en)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image,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KR102139532B1 (ko) 비디오 스트림 송/수신 장치 및 비디오 스트림 송/수신 방법
KR20150086801A (ko) 화질 향상을 위한 부가 영상 데이터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277267B1 (ko) 3차원 방송을 위한 데이터 코덱 방법 및 장치
KR20150066301A (ko) 고화질 콘텐츠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40076487A (ko) 멀티화면을 제공하는 방송 시스템 및 방송 방법
KR20120087869A (ko) 3차원 방송을 위한 데이터 코덱 방법 및 장치
KR20120139643A (ko) 3차원 방송을 위한 데이터 코덱 방법 및 장치
KR20210085932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부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20121831A (ko)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