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6301A - 고화질 콘텐츠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고화질 콘텐츠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6301A
KR20150066301A KR1020130151680A KR20130151680A KR20150066301A KR 20150066301 A KR20150066301 A KR 20150066301A KR 1020130151680 A KR1020130151680 A KR 1020130151680A KR 20130151680 A KR20130151680 A KR 20130151680A KR 20150066301 A KR20150066301 A KR 20150066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
odd
dual
encoding
fram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1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국진
정원식
이광순
허남호
심주섭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51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6301A/ko
Priority to US14/560,459 priority patent/US20150163513A1/en
Publication of KR20150066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3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specially adapted for multi-view video sequence 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1Encoding,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different image sign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94Transmission of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39Format conversion, e.g. of frame-rate or s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고화질 콘텐츠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분을 3차원 TV 방송 시스템의 듀얼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듀얼 스트림을 통해 고화질 콘텐츠를 송신하는 송신 방법 및 장치와, 듀얼 스트림을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각 스트림을 조합하여 고화질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고화질 콘텐츠의 수신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고화질 콘텐츠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of high-definition contents}
본 발명은 고화질 콘텐츠를 듀얼 스트림을 이용하는 방송 시스템을 통해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듀얼 스트림을 이용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는 대표적으로 3DTV 방송 서비스가 있다. 그리고, 현재 추진 중인 3DTV 방송 시스템은, 기존의 디지털 TV(digital TV, DTV)와 역호환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3D 콘텐츠를 좌안용 영상 및 우안용 영상의 두 개 스트림으로 구성하고 있다. 듀얼 스트림 방식에서는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각각 다른 규격과 비트율(bit per second, bps)로 인코딩한다. 아래 표 1 내지 표 3은 미국 디지털 방송 표준화 위원회인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의 ATSC A/104 표준 및 ISO/IEC 13818-1:2013의 일부이다.
표 1 내지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ATSC A/104 표준에서는 ISO/IEC 13818-1:2013을 준용하여 스트림 타입의 기본 영상은 0x02(MPEG-2)로 정의하고, 부가 영상은 0x23(MPEG-4 AVC/H.264)로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스테레오스코픽 프로그램 정보 기술자(stereoscopic_program_info_descriptor)와,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정보 기술자(stereoscopic_video_info_descriptor)를 이용하여 3D 관련 정보를 식별하도록 하고 있다.
ATSC A104 표준
4.6.1 PSI
4.6.1.1 stream_type
The base view of SCHC service shall be signaled using stream_type value 0x02 and the additional
view of SCHC service shall be signaled using stream_type value 0x23 as defined in [9].
4.6.1.2 Program and Program Element Descriptors
The Stereoscopic_program_info_descriptor() and Stereoscopic_video_info_descriptor() as specified in [9]
shall be used in signaling of SCHC program. ATSC A/104:2012 3D-TV Terrestrial Broadcasting, Part 2 26 December 2012
10
4.6.1.2.1 Stereoscopic_program_info_descriptor
Stereoscopic_program_info_descriptor() as specified in [9] shall be present in the loop following
program_info_length field in the PMT to signal the existence of an SCHC program. For SCHC
service, the stereoscopic_service_type shall be set to '011'
The stereoscopic_service_type can be set to '011' to indicate that the base view and the
additional view video elementary streams of the SCHC program are carrying the same video.
4.6.1.2.2 Stereoscopic_video_info_descriptor
Stereoscopic_video_info_descriptor() as specified in [9] shall be present in the loop following
ES_info_length field in the PMT to identify the view component of an SCHC program; i.e., the base
view video stream and the additional view video stream.
The values of horizontal_upsampling_factor and vertical_upsampling_factor shall be used to signal the up-sampling factor of the additional view video.
ISO/IEC 13818-1:2013
Value Description
0x00 ITU-T | ISO/IEC Reserved
0x01 ISO/IEC 11172-2 Video
0x02 Rec. ITU-T H.262 | ISO/IEC 13818-2 Video or ISO/IEC 11172-2 constrained parameter video stream (see note 1)
0x03 ISO/IEC 11172-3 Audio
0x04 ISO/IEC 13818-3 Audio
0x05 Rec. ITU-T H.222.0 | ISO/IEC 13818-1 private_sections
0x06 Rec. ITU-T H.222.0 | ISO/IEC 13818-1 PES packets containing private data
0x07 ISO/IEC 13522 MHEG
0x08 Rec. ITU-T H.222.0 | ISO/IEC 13818-1 Annex A DSM-CC
0x09 Rec. ITU-T H.222.1
0x0A ISO/IEC 13818-6 type A
0x0B ISO/IEC 13818-6 type B
0x0C ISO/IEC 13818-6 type C
0x0D ISO/IEC 13818-6 type D
0x0E Rec. ITU-T H.222.0 | ISO/IEC 13818-1 auxiliary
0x0F ISO/IEC 13818-7 Audio with ADTS transport syntax
0x10 ISO/IEC 14496-2 Visual
0x11 ISO/IEC 14496-3 Audio with the LATM transport syntax as defined in ISO/IEC 14496-3
0x12 ISO/IEC 14496-1 SL-packetized stream or FlexMux stream carried in PES packets
0x13 ISO/IEC 14496-1 SL-packetized stream or FlexMux stream carried in ISO/IEC 14496_sections
0x14 ISO/IEC 13818-6 Synchronized Download Protocol
0x15 Metadata carried in PES packets
0x16 Metadata carried in metadata_sections
0x17 Metadata carried in ISO/IEC 13818-6 Data Carousel
0x18 Metadata carried in ISO/IEC 13818-6 Object Carousel
0x19 Metadata carried in ISO/IEC 13818-6 Synchronized Download Protocol
0x1A IPMP stream (defined in ISO/IEC 13818-11, MPEG-2 IPMP)
0x1B AVC video stream conforming to one or more profiles defined in Annex A of Rec. ITU-T H.264 | ISO/IEC 14496-10 or AVC video sub-bitstream as defined in 2.1.78 or MVC base view sub-bitstream as defined in 2.1.85 or AVC video sub-bitstream of MVC as defined in 2.1.88
0x1C ISO/IEC 14496-3 Audio, without using any additional transport syntax, such as DST, ALS and SLS
0x1D ISO/IEC 14496-17 Text
0x1E Auxiliary video stream as defined in ISO/IEC 23002-3
0x1F SVC video sub-bitstream of an AVC video stream conforming to one or more profiles defined in Annex G of Rec. ITU-T H.264 | ISO/IEC 14496-10
0x20 MVC video sub-bitstream of an AVC video stream conforming to one or more profiles defined in Annex H of Rec. ITU-T H.264 | ISO/IEC 14496-10
0x21 Video stream conforming to one or more profiles as defined in Rec. ITU-T T.800 | ISO/IEC 15444-1
0x22 Additional view Rec. ITU-T H.262 | ISO/IEC 13818-2 video stream for service-compatible stereoscopic 3D services (see note 2 and 3)
0x23 Additional view Rec. ITU-T H.264 | ISO/IEC 14496-10 video stream conforming to one or more profiles defined in Annex A for service-compatible stereoscopic 3D services (see note 2 and 3)
0x24-0x7E Rec . ITU -T H.222.0 | ISO / IEC 13818-1 Reserved
0x7F IPMP stream
0x80-0xFF User Private
프로그램 정보 기술자
Syntax No . of bits Format
Stereoscopic_program_info_descriptor() {
descriptor_tag
descriptor_length
reserved
stereoscopic_service_type
}

8
8
5
3

uimsbf
uimsbf
bslbf
bslbf
비디오 정보 기술자
Syntax No . of bits Format
Stereoscopic_ video_info_descriptor() {
descriptor_tag
descriptor_length
reserved
base_video_flag
if (base_video_flag) {
reserved
leftview_flag
} else {
reserved
usable_as_2D
horizontal_upsampling_factor
vertical_upsampling_factor
}

}

8
8
7
1

7
1

7
1
4
4

uimsbf
uimsbf
bslbf
bslbf

bslbf
bslbf

bslbf
bslbf
bslbf
bslbf
이와 같은 3DTV 방송 시스템은 DTV 이용자와 3DTV 이용자 모두에게 방송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DTV 이용자는 3DTV 방송 시스템의 듀얼 스트림을 수신하여 하나의 스트림만을 표시하거나, 듀얼 스트림에 같은 영상이 인코딩된 스트림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방송 시스템의 규격으로는 고화질 2D 콘텐츠를 송신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듀얼 스트림을 이용하는 방송 시스템을 통해 고화질 2D 콘텐츠를 송수신 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고화질 콘텐츠를 디지털 TV로 송신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고화질 콘텐츠를 송신하는 방법은, 고화질 콘텐츠를 두 부분으로 분할하는 단계, 두 부분을 방송 시스템의 듀얼 스트림(dual stream)으로 인코딩하는 단계, 그리고 인코딩된 듀얼 스트림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고화질 콘텐츠를 송신하는 방법에서, 두 부분은, 고화질 콘텐츠의 각 프레임 중 홀수 필드 및 짝수 필드이고, 인코딩하는 단계는, 홀수 필드 및 짝수 필드를 듀얼 스트림으로 각각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화질 콘텐츠를 송신하는 방법에서 인코딩하는 단계는, 홀수 필드를 듀얼 스트림 중 제1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단계, 그리고 짝수 필드를 듀얼 스트림 중 제2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화질 콘텐츠를 송신하는 방법에서 인코딩하는 단계는, 고화질 콘텐츠의 초당 프레임 수(frames per second, fps)가 N인 경우, 1/N초 동안에는 홀수 필드를 듀얼 스트림 중 제1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고 짝수 필드를 듀얼 스트림 중 제2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단계, 그리고 1/N초의 다음 1/N초 동안 짝수 필드를 제1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고 홀수 필드를 제2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화질 콘텐츠를 송신하는 방법에서 두 부분은, 고화질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중 홀수 번째 프레임 군 및 짝수 번째 프레임 군이고, 인코딩하는 단계는, 홀수 번째 프레임 군 및 짝수 번째 프레임 군을 듀얼 스트림으로 각각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화질 콘텐츠를 송신하는 방법에서 인코딩하는 단계는, 홀수 번째 프레임 군을 듀얼 스트림 중 제1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단계, 그리고 짝수 번째 프레임 군을 듀얼 스트림 중 제2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화질 콘텐츠를 송신하는 방법에서 인코딩하는 단계는, 고화질 콘텐츠의 초당 프레임 수(frames per second, fps)가 N인 경우, 1/N초 동안에는 홀수 번째 프레임 군을 듀얼 스트림 중 제1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고 짝수 번째 프레임 군을 듀얼 스트림 중 제2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단계, 그리고 1/N초의 다음 1/N초 동안에는 짝수 번째 프레임 군을 제1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고 홀수 번째 프레임 군을 제2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고화질 콘텐츠를 디지털 TV로 송신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고화질 콘텐츠를 송신하는 장치는, 고화질 콘텐츠를 두 부분으로 분할하는 분할 장치, 두 부분을 방송 시스템의 듀얼 스트림(dual stream)으로 인코딩하는 인코더, 그리고 인코딩된 듀얼 스트림을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화질 콘텐츠를 송신하는 장치에서 두 부분은, 고화질 콘텐츠의 각 프레임 중 홀수 필드 및 짝수 필드이고, 인코더는, 홀수 필드 및 짝수 필드를 듀얼 스트림으로 각각 인코딩할 수 있다.
상기 고화질 콘텐츠를 송신하는 장치에서 인코더는, 홀수 필드를 듀얼 스트림 중 제1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제1 인코더, 그리고 짝수 필드를 듀얼 스트림 중 제2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제2 인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화질 콘텐츠를 송신하는 장치에서 인코더는, 고화질 콘텐츠의 초당 프레임 수(frames per second, fps)가 N인 경우, 1/N초 동안에는 홀수 필드를 듀얼 스트림 중 제1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고 짝수 필드를 듀얼 스트림 중 제2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며, 1/N초의 다음 1/N초 동안에는 짝수 필드를 제1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고 홀수 필드를 제2 스트림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상기 고화질 콘텐츠를 송신하는 장치에서 두 부분은, 고화질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중 홀수 번째 프레임 군 및 짝수 번째 프레임 군이고, 인코더는, 홀수 번째 프레임 군 및 짝수 번째 프레임 군을 듀얼 스트림으로 각각 인코딩할 수 있다.
상기 고화질 콘텐츠를 송신하는 장치에서 인코더는, 홀수 번째 프레임 군을 듀얼 스트림 중 제1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제1 인코더, 그리고 짝수 번째 프레임 군을 듀얼 스트림 중 제2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제2 인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화질 콘텐츠를 송신하는 장치에서 인코더는, 고화질 콘텐츠의 초당 프레임 수(frames per second, fps)가 N인 경우, 1/N초 동안에는 홀수 번째 프레임 군을 듀얼 스트림 중 제1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고 짝수 번째 프레임 군을 듀얼 스트림 중 제2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며, 1/N초의 다음 1/N초 동안에는 짝수 번째 프레임 군을 제1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고 홀수 번째 프레임 군을 제2 스트림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고화질 콘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고화질 콘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은, 고화질 콘텐츠가 인코딩된 듀얼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듀얼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단계, 그리고 디코딩된 듀얼 스트림의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을 조합하여 고화질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고화질 콘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에서 제1 스트림은 고화질 콘텐츠의 각 프레임 중 홀수 필드를 포함하고, 제2 스트림은 고화질 콘텐츠의 각 프레임 중 짝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화질 콘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에서 고화질 콘텐츠의 초당 프레임 수(frames per second, fps)가 N인 경우, 1/N초 동안에는 제1 스트림이 고화질 콘텐츠의 각 프레임 중 홀수 필드를 포함하고 제2 스트림이 고화질 콘텐츠의 각 프레임 중 짝수 필드를 포함하며, 1/N초의 다음 1/N초 동안에는 제1 스트림이 짝수 필드를 포함하고 제2 스트림이 홀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화질 콘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에서 제1 스트림은 고화질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중 홀수 번째 프레임 군을 포함하고, 제2 스트림은 고화질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중 짝수 번째 프레임 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화질 콘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에서 고화질 콘텐츠의 초당 프레임 수(frames per second, fps)가 N인 경우, 1/N초 동안에는 제1 스트림이 고화질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중 홀수 번째 프레임 군을 포함하고 제2 스트림이 고화질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중 짝수 번째 프레임 군을 포함하며, 1/N초의 다음 1/N초 동안에는 제1 스트림이 짝수 번째 프레임 군을 포함하고 제2 스트림이 홀수 번째 프레임 군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방송 시스템의 듀얼 스트림을 활용하여 2D 고화질 영상을 디지털 TV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시청자는 기존의 디지털 TV를 통해서 2D 고화질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TV 방송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ATSC 표준에 따른 3DTV 방송 시스템에서 30프레임의 영상 신호를 TV에서 표시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화질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듀얼 스트림 방식의 방송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화질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듀얼 스트림 방식의 방송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소프트웨어나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TV 방송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TV 방송 시스템은 기본 영상 인코더(110), 부가 영상 인코더(120), 다중화부(200), 송신부(300), 그리고 DTV(400)를 포함한다.
기본 영상 인코더(110)는 기본 영상 신호(base view video)를 인코딩 하고, 부가 영상 인코더(120)는 부가 영상 신호(additional view video)를 인코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기본 영상 인코더와 부가 영상 인코더는 두 부분으로 나뉜 고화질 콘텐츠를 3DTV 방송 시스템의 듀얼 스트림으로 각각 인코딩 할 수 있다.
다중화부(200)는, 기본 영상 인코더와 부가 영상 인코더에서 인코딩된 듀얼 스트림을, 음성 신호(audio), 그리고 보조 데이터(auxiliary data)와 다중화한다.
송신부(300)는, 다중화된 스트림을 3DTV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송신한다.
DTV(400)는, 3DTV 방송 시스템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한다.
도 2는 ATSC 표준에 따른 3DTV 방송 시스템에서 30프레임의 영상 신호를 TV에서 표시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3DTV 방송 시스템에서는, 좌안용 30프레임(60i 또는 30p) 영상과 우안용 30프레임 영상을 각각 인코딩하여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종래 DTV는 좌안용 30프레임 영상을 그대로 재생하고, 편광식 3D 디스플레이에서는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한 프레임에 모두 삽입한 인터레이스 3D 영상을 초당 30 프레임의 프레임 수(frames per second, fps)로 재생하며, 셔터글라스 방식 3D 디스플레이에서는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한 프레임씩 번갈아가며 60fps로 재생할 수 있다.
즉, ATSC 표준에 따르면, 기본 영상 인코더와 부가 영상 인코더를 이용하여 듀얼 스트림으로 양안식 3D 영상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기본 영상 만을 스위칭 하여 제공하는 방식으로 2D 콘텐츠가 제공되면, 부가 영상 인코더를 정지시켜야 하므로 3D에서 2D 전환 시 화면 깜빡임이 발생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높은 프레임율의 고화질 콘텐츠를 듀얼 스트림을 이용하는 방송 시스템을 통해 DTV로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리고, 세로 해상도 1080, 초당 60프레임인 프로그레시브 방식(1080 60p)의 영상을 높은 프레임 전송율의 고화질 콘텐츠의 한 예로 들었다. 이때 세로 해상도 1080은 현재 고선명(high-definition, HD) 영상의 규격이며, 더 높은 해상도와 프레임 전송율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화질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듀얼 스트림 방식의 방송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1080 60p 영상이 고화질 콘텐츠로 획득되고, 분할 장치(10)에서 획득된 고화질 콘텐츠를 분할한다. 도 3에서는, 분할 장치(10)가 고화질 콘텐츠의 각 프레임을 홀수 필드 및 짝수 필드로 분할하였다.
다음, 인코더(110, 120)는 분할된 영상을 인터레이스 방식(60i)의 영상으로 인코딩한다. 인코더(110, 120)에서, 즉, 각 프레임 마다 홀수 번째 줄의 데이터(홀수 필드)와 짝수 번째 줄의 데이터(짝수 필드)로 분할된 고화질 콘텐츠가 각각 방송 시스템의 듀얼 스트림으로 인코딩된다.
이때, 분리된 두 개의 필드가 각각 하나의 스트림으로 인코딩될 수도 있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필드가 번갈아가며 각 스트림으로 인코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1/60초 동안에는 홀수 필드가 제1 스트림으로 인코딩되고 짝수 필드가 제2 스트림으로 인코딩되며, 다음 1/60초 동안에는 짝수 필드가 제1 스트림으로 인코딩되고 홀수 필드가 제2 스트림으로 인코딩 될 수 있다.
이후, 송신부(300)에서는 인코딩된 듀얼 스트림을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DTV로 송신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듀얼 스트림을 이용하는 방송 시스템은 두 개의 방송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 예의 홀수 필드 및 짝수 필드는 방송 시스템의 듀얼 스트림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후, 듀얼 스트림을 통해 1080 60i 영상을 수신한 DTV(400)는 수신한 듀얼 스트림을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각 스트림을 조합하여 하나의 1080 60p 영상을 생성한다. 수신된 1080 60i 영상 스트림을 조합하여 1080 영상 스트림을 조합하여 하나의 1080 60p 영상을 생성하는 것은 DTV(400)의 외부에 위치한 장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고, DTV(400)에 포함된 프로세서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화질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듀얼 스트림 방식의 방송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분할 장치(10)에서는 1080 60p의 고화질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을 홀수 번째 프레임 군 및 짝수 번째 프레임 군으로 분할한다. 이 경우, 각 프레임 군은 1080 30p의 영상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후, 인코더(110, 120)는, 분할된 각 프레임 군을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30p)의 듀얼 스트림으로 인코딩한다.
도 4의 실시 예와 같이, 각 프레임 군은 각각 하나의 스트림으로 인코딩될 수도 있고, 도 3의 실시 예와 유사하게 각 스트림을 번갈아가며 인코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60초 동안에는 홀수 번째 프레임 군이 제1 스트림으로 인코딩되고 짝수 번째 프레임 군이 제2 스트림으로 인코딩되며, 다음 1/60초 동안에는 짝수 번째 프레임 군이 제1 스트림으로 인코딩되고 홀수 번째 프레임 군이 제2 스트림으로 인코딩될 수 있다.
이후, 송신부(300)에서는 듀얼 스트림을 DTV(400)로 송신한다. 이후, 두 개의 스트림을 통해 1080 30p 영상을 수신한 DTV(400)는 수신한 듀얼 스트림을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각 스트림을 조합하여 1080 60p 영상을 생성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방송 시스템의 듀얼 스트림을 활용하여 2D 고화질 영상을 디지털 TV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시청자는 기존의 디지털 TV를 통해서 2D 고화질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9)

  1. 고화질 콘텐츠를 디지털 TV로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고화질 콘텐츠를 두 부분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두 부분을 방송 시스템의 듀얼 스트림(dual stream)으로 인코딩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인코딩된 듀얼 스트림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화질 콘텐츠 송신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두 부분은,
    상기 고화질 콘텐츠의 각 프레임 중 홀수 필드 및 짝수 필드이고,
    상기 인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홀수 필드 및 상기 짝수 필드를 상기 듀얼 스트림으로 각각 인코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화질 콘텐츠 송신 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인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홀수 필드를 상기 듀얼 스트림 중 제1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짝수 필드를 상기 듀얼 스트림 중 제2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화질 콘텐츠 송신 방법.
  4. 제2항에서,
    상기 인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고화질 콘텐츠의 초당 프레임 수(frames per second, fps)가 N인 경우, 1/N초 동안에는 상기 홀수 필드를 상기 듀얼 스트림 중 제1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고 상기 짝수 필드를 상기 듀얼 스트림 중 제2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1/N초의 다음 1/N초 동안 상기 짝수 필드를 상기 제1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고 상기 홀수 필드를 상기 제2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화질 콘텐츠 송신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두 부분은,
    상기 고화질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중 홀수 번째 프레임 군 및 짝수 번째 프레임 군이고,
    상기 인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홀수 번째 프레임 군 및 상기 짝수 번째 프레임 군을 상기 듀얼 스트림으로 각각 인코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화질 콘텐츠 송신 방법.
  6. 제5항에서,
    상기 인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홀수 번째 프레임 군을 상기 듀얼 스트림 중 제1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짝수 번째 프레임 군을 상기 듀얼 스트림 중 제2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화질 콘텐츠 송신 방법.
  7. 제5항에서,
    상기 인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고화질 콘텐츠의 초당 프레임 수(frames per second, fps)가 N인 경우, 1/N초 동안에는 상기 홀수 번째 프레임 군을 상기 듀얼 스트림 중 제1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고 상기 짝수 번째 프레임 군을 상기 듀얼 스트림 중 제2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1/N초의 다음 1/N초 동안에는 상기 짝수 번째 프레임 군을 상기 제1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고 상기 홀수 번째 프레임 군을 상기 제2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화질 콘텐츠 송신 방법.
  8. 고화질 콘텐츠를 디지털 TV로 송신하는 장치로서,
    상기 고화질 콘텐츠를 두 부분으로 분할하는 분할 장치,
    상기 두 부분을 방송 시스템의 듀얼 스트림(dual stream)으로 인코딩하는 인코더, 그리고
    상기 인코딩된 듀얼 스트림을 송신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고화질 콘텐츠 송신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두 부분은,
    상기 고화질 콘텐츠의 각 프레임 중 홀수 필드 및 짝수 필드이고,
    상기 인코더는,
    상기 홀수 필드 및 상기 짝수 필드를 상기 듀얼 스트림으로 각각 인코딩하는 고화질 콘텐츠 송신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인코더는,
    상기 홀수 필드를 상기 듀얼 스트림 중 제1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제1 인코더, 그리고
    상기 짝수 필드를 상기 듀얼 스트림 중 제2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제2 인코더
    를 포함하는 고화질 콘텐츠 송신 장치.
  11. 제9항에서,
    상기 인코더는,
    상기 고화질 콘텐츠의 초당 프레임 수(frames per second, fps)가 N인 경우, 1/N초 동안에는 상기 홀수 필드를 상기 듀얼 스트림 중 제1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고 상기 짝수 필드를 상기 듀얼 스트림 중 제2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며, 상기 1/N초의 다음 1/N초 동안에는 상기 짝수 필드를 상기 제1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고 상기 홀수 필드를 상기 제2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고화질 콘텐츠 송신 장치.
  12. 제8항에서,
    상기 두 부분은,
    상기 고화질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중 홀수 번째 프레임 군 및 짝수 번째 프레임 군이고,
    상기 인코더는,
    상기 홀수 번째 프레임 군 및 상기 짝수 번째 프레임 군을 상기 듀얼 스트림으로 각각 인코딩하는 고화질 콘텐츠 송신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인코더는,
    상기 홀수 번째 프레임 군을 상기 듀얼 스트림 중 제1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제1 인코더, 그리고
    상기 짝수 번째 프레임 군을 상기 듀얼 스트림 중 제2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제2 인코더
    를 포함하는 고화질 콘텐츠 송신 장치.
  14. 제12항에서,
    상기 인코더는,
    상기 고화질 콘텐츠의 초당 프레임 수(frames per second, fps)가 N인 경우, 1/N초 동안에는 상기 홀수 번째 프레임 군을 상기 듀얼 스트림 중 제1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고 상기 짝수 번째 프레임 군을 상기 듀얼 스트림 중 제2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며, 상기 1/N초의 다음 1/N초 동안에는 상기 짝수 번째 프레임 군을 상기 제1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고 상기 홀수 번째 프레임 군을 상기 제2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고화질 콘텐츠 송신 장치.
  15. 고화질 콘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고화질 콘텐츠가 인코딩된 듀얼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듀얼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디코딩된 듀얼 스트림의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을 조합하여 상기 고화질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화질 콘텐츠 수신 방법.
  16. 제15항에서,
    상기 제1 스트림은 상기 고화질 콘텐츠의 각 프레임 중 홀수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트림은 상기 고화질 콘텐츠의 각 프레임 중 짝수 필드를 포함하는 고화질 콘텐츠 수신 방법.
  17. 제15항에서,
    상기 고화질 콘텐츠의 초당 프레임 수(frames per second, fps)가 N인 경우, 1/N초 동안에는 상기 제1 스트림이 상기 고화질 콘텐츠의 각 프레임 중 홀수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트림이 상기 고화질 콘텐츠의 각 프레임 중 짝수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1/N초의 다음 1/N초 동안에는 상기 제1 스트림이 상기 짝수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트림이 상기 홀수 필드를 포함하는 고화질 콘텐츠 수신 방법.
  18. 제15항에서,
    상기 제1 스트림은 상기 고화질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중 홀수 번째 프레임 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트림은 상기 고화질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중 짝수 번째 프레임 군을 포함하는 고화질 콘텐츠 수신 방법.
  19. 제15항에서,
    상기 고화질 콘텐츠의 초당 프레임 수(frames per second, fps)가 N인 경우, 1/N초 동안에는 상기 제1 스트림이 상기 고화질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중 홀수 번째 프레임 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트림이 상기 고화질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중 짝수 번째 프레임 군을 포함하며, 상기 1/N초의 다음 1/N초 동안에는 상기 제1 스트림이 상기 짝수 번째 프레임 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트림이 상기 홀수 번째 프레임 군을 포함하는 고화질 콘텐츠 수신 방법.
KR1020130151680A 2013-12-06 2013-12-06 고화질 콘텐츠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5006630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680A KR20150066301A (ko) 2013-12-06 2013-12-06 고화질 콘텐츠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4/560,459 US20150163513A1 (en) 2013-12-06 2014-12-04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high-definition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680A KR20150066301A (ko) 2013-12-06 2013-12-06 고화질 콘텐츠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301A true KR20150066301A (ko) 2015-06-16

Family

ID=53272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1680A KR20150066301A (ko) 2013-12-06 2013-12-06 고화질 콘텐츠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163513A1 (ko)
KR (1) KR201500663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7042A (ko) 2021-05-20 2022-11-29 아이로랩 주식회사 멀티 컨텐츠 플레이 시스템 및 그의 멀티 컨텐츠 플레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4116B2 (en) 2016-11-24 2019-11-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conver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85652A1 (en) * 2007-05-14 2008-11-20 Horizon Semiconductors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optimization of image and motion picture memory access
US8643698B2 (en) * 2009-08-27 2014-02-04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 1080P60 video in 1080i format to a legacy 1080i capable video receiver without resolution loss
US9621892B2 (en) * 2009-12-18 2017-04-11 Sony Corporation Emulation of Bi predicted pictures using adjacent pictures for improved video
JP5995583B2 (ja) * 2012-07-26 2016-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装置、画像符号化方法、画像復号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7042A (ko) 2021-05-20 2022-11-29 아이로랩 주식회사 멀티 컨텐츠 플레이 시스템 및 그의 멀티 컨텐츠 플레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63513A1 (en) 201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4198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method providing two-dimensional image and 3D image integration service, and digital broadcast receiving device using the same
US9036700B2 (en) Simulcast of stereoviews for 3D TV
US9756380B2 (en) Broadcast receiver and 3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US86659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3D video coding using SVC spatial scalability
US201101816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data stream for providing 3-dimensional multimedia ser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the data stream
US20110134214A1 (en) Method and system for 3d video coding using svc temporal and spatial scalabilities
US20150195587A1 (e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device, and reception method
KR20120026026A (ko) 방송 수신기 및 3d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20036848A (ko) 방송 송신기, 방송 수신기 및 3d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20013974A (ko) 방송 송신기, 방송 수신기 및 3d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US20120044324A1 (en) Method for providing 3d video in a 3dtv
US20140071232A1 (en) Image data transmission device, image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image data reception device
Kim et al. A study on feasibility of dual‐channel 3DTV service via ATSC‐M/H
US9544661B2 (en) Cable broadcast receiver and 3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WO2013161442A1 (ja) 画像データ送信装置、画像データ送信方法、画像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受信方法
KR101844227B1 (ko) 방송 수신기 및 3d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977260B1 (ko) 입체영상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방법 및 수신장치
KR20120097372A (ko) 방송 수신기 및 3d 방송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40000136A (ko) 화상 데이터 송신 장치, 화상 데이터 송신 방법, 화상 데이터 수신 장치 및 화상 데이터 수신 방법
US20140232823A1 (e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device and reception method
US201501635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high-definition contents
KR20150047864A (ko) 고화질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102204830B1 (ko) 비-실시간 서비스 기반 지상파 3차원 방송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