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333B1 - 2차 전지용 충방전기 - Google Patents

2차 전지용 충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333B1
KR101649333B1 KR1020150111063A KR20150111063A KR101649333B1 KR 101649333 B1 KR101649333 B1 KR 101649333B1 KR 1020150111063 A KR1020150111063 A KR 1020150111063A KR 20150111063 A KR20150111063 A KR 20150111063A KR 101649333 B1 KR101649333 B1 KR 101649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lay
power
secondary battery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종국
Original Assignee
(주)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갑진 filed Critical (주)갑진
Priority to KR1020150111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3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03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차 전지의 규격에 맞춰 배전선에 인가되는 전류량 조정이 가능하고, 상기 전류량 조정을 자동으로 수행해서 전지 생산라인의 생산효율을 높이며, 제조 단가를 최소화하는 2차 전지용 충방전기에 관한 것으로, 전원유닛; 2차 전지의 충전을 위해 상기 전원유닛으로부터 전기를 수전하는 지그유닛;을 포함한 2차 전지용 충방전기에 있어서, 2차 전지의 충전을 위한 상기 전원유닛과 지그유닛 간의 통전이 병렬 배선된 배전선을 통해 이루어지고; 병렬 배선된 배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해서 스위칭하는 릴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2차 전지용 충방전기{CHARGE AND DISCHARGE DEVICE FOR CHARGING BATTERY}
본 발명은 2차 전지의 규격에 맞춰 배전선에 인가되는 전류량 조정이 가능하고, 상기 전류량 조정을 자동으로 수행해서 전지 생산라인의 생산효율을 높이며, 제조 단가를 최소화하는 2차 전지용 충방전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2차 전지는 작용물질의 화학변화가 끝나면 수명(壽命)을 다하여 재생할 수 없게 되는 1차 전지와는 달리, 전기에너지의 방출로 전지 내 작용물질이 모두 변화하면 전기에너지를 재공급(전기 충전)해서 전기에너지 방출을 위한 상기 작용물질을 재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장점에 의해서 2차 전지는 일반적으로 축전지로 널리 활용된다.
2차 전지(이하 '배터리')를 충방전하는 종래 충방전기를 도면을 참고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종래 충방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물리적 제작이 완료된 배터리는 충방전기를 이용해서 충방전 테스트 또는 충전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한 종래 충방전기는 외부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기를 정류 및 변압하는 전원유닛(100)과, 전원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수전해서 대상 배터리(B)를 충전시키는 지그유닛(200)과, 전원유닛(100)과 지그유닛(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00)와, 배터리(B)에 충전된 전기를 방전하는 부하모듈(400)을 포함한다.
전원유닛(100)은 외부전원의 공급 전기를 배터리(B)에 맞춰 정류 및 변압하며, 이를 위해서 전류변환모듈(110)과 전압변환모듈(120)를 포함한다. 전류변환모듈(110)은 외부전원으로부터 공급된 교류전기를 직류전기로 정류하고, 전압변환모듈(120)는 배터리(B) 충전을 위한 직류전기의 전압 크기를 조정한다. 또한, 배터리(B)의 방전을 위해서 전압변환모듈(120)는 배터리(B)로부터 수전한 직류전기의 전압 크기를 조정하고, 전류변환모듈(110)은 직류전기를 교류전기로 조정할 수도 있다.
지그유닛(200)은 배터리(B)를 기계적으로 지지하면서 전원유닛(100)으로부터 수전한 전기가 배터리(B)에 통전하도록 배터리(B)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를 위해서 지그유닛(200)은 배터리(B)를 지지하는 고정프레임(210)과, 배터리(B)와의 통전을 위해서 배터리(B)의 단자와 탈착하는 픽쳐(fixture; 220)를 포함한다.
컨트롤러(300)는 배터리(B)의 충전과 방전을 위해서, 전원유닛(100)과 지그유닛(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부하모듈(400)은 컨트롤러(30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B)의 충전이 중단되면, 배터리(B)에 충전된 전기를 수전해서 방전 처리한다.
한편,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전원유닛(100)과 지그유닛(200)은 자체 기능과 동작에 분명한 차이가 있으므로, 기계적으로 분리된 형태와 구조를 이룰 수밖에 없었다. 결국, 전원유닛(100)의 송전 전기를 지그유닛(200)이 수전하기 위해서는 전원유닛(100)과 지그유닛(200)을 잇는 별도의 배전선(CA)이 반드시 요구되며, 충방전기 제작을 위해 배전선(CA)의 제작 및 설치가 불가피했다. 하지만 배터리(B)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높은 전류의 전기를 발생시켜야 하고, 배전선(CA)은 높은 전류의 전기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용량(이하 '전류용량')을 갖추어야 한다. 그런데, 높은 전류를 수용할 수 있는 배전선(CA)은 단열과 절연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고가의 가공처리가 이루어져야 하고, 이 과정에서 배전선(CA)의 자체 사이즈 또한 커질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결국, 배전선(CA)의 설치 비용은 충방전기 제작을 위한 전체 비용에 적지않는 비율을 차지했다.
한편, 배터리(B)는 충전용량 및 출력전압 등(이하 '규격')에 따라 단자의 위치와 충전 세기가 다르다. 따라서 충방전기는 배터리(B)의 규격에 맞춰서 픽쳐(220)의 구조, 전원유닛(100)과 지그유닛(200)을 잇는 배전선(CA)의 전류용량이 달라질 수밖에 없었다. 결국, 종래 충방전기는 배터리(B)의 규격에 맞춰서 전류용량이 다른 배전선(CA)을 배선해 제작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 기술은 사업자가 다른 규격의 배터리(B) 생산을 위해서 다양한 종류의 충방전기를 제작 및 비치해야 하는 부담이 있었고, 특정 규격의 배터리(B)만을 생산해야 하는 경우에는 다른 규격의 배터리(B) 생산용 충방전기의 구동이 배제되므로, 충방전기 이용이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었다.
참고로, 도 1은 종래 충방전기를 설명하면서 +극과 -극을 갖는 배터리(B)로의 배전용 배전선(CA)을 1개만 도시했으나, 1개의 배전선(CA)은 배터리(B)의 +극과 -극으로 각각 배전하는 2개의 배전선을 포함해 도시한 것이며, 배터리(B)의 +극 단자 및 -극 단자와 탈착하는 픽쳐(220)의 단자 또한 +극과 -극 단자를 포함해 도시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충방전기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한 도 2 내지 도 8의 배전선 역시 1개의 배전선(CA1 내지 CA3)은 배터리(B)의 +극과 -극으로 각각 배전하는 2개의 배전선을 포함해 도시한 것이며, 배터리(B)의 +극 단자 및 -극 단자와 탈착하는 픽쳐(220)의 단자 또한 +극과 -극 단자를 포함해 도시한 것이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공개번호 제10-2007-0072825호(2007.07.05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배터리의 규격에 맞춰 배전선의 전류용량 조정을 가능하게 해서 다양한 규격의 배터리를 충,방전할 수 있고, 배선된 배전선의 길이를 최소화해서 충방전기 제작을 위한 비용적 부담을 최소화하는 2차 전지용 충방전기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유닛; 2차 전지의 충전을 위해 상기 전원유닛으로부터 전기를 수전하는 지그유닛;을 포함한 2차 전지용 충방전기에 있어서,
2차 전지의 충전을 위한 상기 전원유닛과 지그유닛 간의 통전이 병렬 배선된 배전선을 통해 이루어지고;
병렬 배선된 배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해서 스위칭하는 릴레이;를 더 포함하는 2차 전지용 충방전기이다.
상기 본 발명은, 다양한 규격의 배터리를 충,방전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고가의 배전선 구성을 최소화해서 충방전기의 생산 단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충방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방전기의 제1실시 모습과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방전기의 제2실시 모습과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방전기의 제3실시 모습과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충방전기의 지그유닛에 설치되는 핀 블록의 제1실시 모습과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는 상기 핀 블록의 제2실시 모습과, 지그유닛과의 조합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방전기의 제1실시 모습과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고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방전기는 전원유닛(100)과 지그유닛(200) 및 컨트롤러(300)로 구성되며, 전원유닛(100)에 구성되는 전류변환모듈(110)과 전압변환모듈(120)의 기능은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유닛(100)은 전압변환모듈(120)와 연결되는 채널모듈(130)을 더 포함한다. 채널모듈(130)은 전압변환모듈(120)로부터 전달된 전기가 병렬로 배전하도록, 다수의 배전선(이하 '제1,2배전선(CA1, CA1')')을 각 채널별로 병렬 배선하고, 해당 채널에 흐르는 전기를 컨트롤러(300)의 제어에 따라 특정 상태로 조정한다. 또한, 각 채널별 방전처리를 위해 부하유닛(400) 또는 자체 방전을 처리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채널모듈(130)은 제1배전선(CA1)과 제2배전선(CA1') 간의 전기적 연결을 여부를 스위칭하는 릴레이(SW)를 더 포함한다. 도 2에서 보인 바와 같이 릴레이(SW)를 열면 제1,2배전선(CA1, CA1', CA11, CA11', CA12, CA12', CA13, CA13'; 이하 'CA1, CA1'')의 전기적 연결이 해제되고,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릴레이(SW)를 닫으면 제1,2배전선(CA1, CA1')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계속해서, 제1배전선(CA1)과 제2배전선(CA1')은 릴레이(SW)를 통해 제3배전선(CA2, CA21, CA22, CA23; 이하 'CA2') 및 제4배전선(CA3, CA31, CA32, CA33; 이하 'CA3')과 각각 연결되고, 제3배전선(CA2) 및 제4배전선(CA3)은 지그유닛(200)의 픽쳐(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릴레이(R)가 닫히면, 제1배전선(CA1)에 흐르는 전기는 릴레이(SW)를 경유해서 제3배전선(CA2) 및 픽쳐(220)로 순차 통전하고, 제2배전선(CA1')의 전기는 릴레이(SW)를 경유해서 제4배전선(CA3) 및 픽쳐(220)로 순차 통전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예의 충방전기는, 채널모듈(130)이 전압변환모듈(120)로부터 송전된 전기를 수전 및 병렬 배전해서 제1,2배전선(CA1, CA1')으로 송전하고, 제1,2배전선(CA1, CA1')의 전기적인 연결을 스위칭하는 릴레이(SW)를 경유해서 제3,4배전선(CA2, CA3)을 통해 픽쳐(220)로 송전한다. 결국, 릴레이(SW)를 열면 도 2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1배전선(CA1)의 전기가 제3배전선(CA2)으로 통전하고, 제2배전선(CA1')의 전기가 제4배전선(CA3)으로 통전한다. 또한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릴레이(SW)를 닫으면 제1,2배전선(CA1, CA1')은 릴레이(SW)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제1배전선(CA1)에 흐르는 전기는 제3배전선(CA2) 또는 제4배전선(CA3)에 통전하고, 제2배전선(CA1')에 흐르는 전기도 제3배전선(CA2) 또는 제4배전선(CA3)에 통전한다. 참고로, 배터리(B)가 제3배전선(CA2, CA21, CA22, CA23)에 연결되면, 제1배전선 및 제2배전선(CA1, CA1')에 흐르는 전기를 제3배전선(CA2, CA21, CA22, CA23)를 통해 배터리(B)에 통전한다.
전술한 본 실시 예의 배선 구조를 응용하면, 제1,2,4배전선(CA1, CA1', CA3)의 전류용량 규격은 동일하게 하고, 제3배전선(CA2)의 전류용량 규격은 높여서, 충방전기가 다양한 규격의 배터리(B)를 충전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2,4배전선(CA1, CA1', CA3)의 전류용량은 30A의 소용량으로 하고, 제3배전선(CA2)의 전류용량은 60A의 대용량으로 한다. 이렇게 배선된 충방전기에 도 2에서 보인 전원유닛(100)의 릴레이(SW)를 열고, 30A 전용 규격의 배터리(B)를 지그유닛(200)의 픽쳐(220)를 매개로 제3,4배전선(CA2, CA3)과 각각 연결하면, 30A 전용 규격의 배터리(B)가 모두 충방전된다. 한편, 도 3에서 보인 전원유닛(100)의 릴레이(SW)를 닫고, 60A 전용 규격의 배터리(B')를 지그유닛(200)의 픽쳐(220)를 매개로 제3배전선(CA2)과 각각 연결하면, 60A 전용 규격의 배터리(B')가 모두 충방전된다. 결국, 릴레이(SW)를 조정해서 1대의 충방전기로 다양한 규격의 배터리(B, B')를 충,방전할 수 있다. 또한, 30A 전류용량의 배전선보다 고가인 60A 전류용량의 제3배전선(CA2)을 릴레이(SW)와 픽쳐(220) 사이에만 배선하면 되므로, 충방전기의 제작 단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방전기의 제2실시 모습과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고해 설명한다.
본 실시 예는 제1,2배전선(CA1, CA1')의 전기적인 연결을 스위칭하는 릴레이(SW)를 지그유닛(200)에 구성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전류용량 규격이 작은 저가의 제1,2,4배전선(CA1, CA1', CA3)을 전원유닛(100)으로부터 지그유닛(200)까지 배선할 수 있고, 전류용량 규격이 큰 고가의 제3배전선(CA2)은 지그유닛(200) 내에서 릴레이(SW)와 픽쳐(220) 사이의 단거리로 짧게 배선할 수 있으므로, 충방전기 제작 단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릴레이(SW)를 통한 배전 내용은 제1실시 모습과 동일하므로, 본 실시 예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방전기의 제3실시 모습과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충방전기의 지그유닛에 설치되는 핀 블록의 제1실시 모습과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인 바, 이를 참고해 설명한다.
본 실시 예는 릴레이(SW)를 픽쳐(220')에 내설해서, 제1,2실시 모습에서 개시한 전류용량 규격이 큰 고가의 제3배전선(CA2) 배선을 배제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픽쳐(220')는 전원유닛(100')으로부터 배선된 제1,2배전선(CA1, CA1')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은 물론 충방전 대상 배터리(B, B')가 탈착하는 핀 블록(221)을 포함한다. 핀 블록(221)은 연결단자(E1)를 매개로 제1,2배전선(CA1, CA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지지프레임(221a)과, 릴레이(SW)를 내설하며 지지프레임(221a)에 고정되는 본체(221b)와, 릴레이(SW)와 연결단자(E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라인(221c)과, 배선라인(221c)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릴레이(SW)를 매개로 연결되어 쌍을 이루면서 배터리(B, B')가 탈착하는 전극 핀(221d)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배터리(B)의 단자와 접하는 전극 핀(221d)의 단부면을 요철형태로 성형해서, 배터리(B)와의 전기적 연결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결국, 제1,2배전선(CA1, CA1')이 연결단자(E1)를 매개로 배선라인(221C)에 각각 연결되면, 제1,2배전선(CA1, CA1')의 전원 인가시 배선라인(221c)에 유입된 전기는 릴레이(SW)를 경유해서 전극 핀(221d)으로 통전하고, 전극 핀(221d)에 연결된 배터리(B, B')는 통전하는 전기에 의해 충전된다. 여기서 배선라인(221c)은 배전선일 수도 있고, 전도율이 높은 금속일 수도 있다.
한편, 도 7과 도 8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1,2배전선(CA1, CA1')과 연결된 해당 배선라인(221c)이 서로 통전하도록 릴레이(SW)를 닫고 쌍을 이루는 전극 핀(221d) 중 하나에 배터리(B')를 연결하면, 전류량이 증가한 전기가 전극 핀(221d)을 경유해 배터리(B')에 통전한다. 즉, 제1,2배전선(CA1, CA1')과 배선라인(221c)에 흐르는 각각의 30A의 전기는 닫힌 릴레이(SW)를 통해 1개의 전극 핀(221d)으로 집중해서, 60A 전용 규격의 배터리(B')를 충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예는 60A 전용 규격 배터리(B')에 60A의 전기를 흘리기 위한 60A 전류용량 배전선이 불필요하므로, 충방전기 제작을 위한 비용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충방전기의 단가를 줄일 수 있다.
도 9는 상기 핀 블록의 제2실시 모습과, 지그유닛과의 조합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고해 설명한다.
본 실시 예의 픽쳐(220')는 핀 블록(221')과 트레이(222)를 포함한다. 트레이(222)는 핀 블록(221')의 삽탈을 위해 개방 형성된 홀(222a)을 갖추며, 핀 블록(221')은 홀(22a)에 삽입되어 트레이(222)와 탈착한다. 이를 위해서 핀 블록(221')의 지지프레임(221a')에서 핀 블록(221')의 배면을 도시한 'A'에서와 같이 양측단이 돌출하여 걸림돌기(H)를 이루어서, 핀 블록(221')을 트레이(222)의 홀(222a)에 슬라이딩으로 삽입하면 지지프레임(221a')의 걸림돌기(H)가 홀(222a)의 가장자리에 걸려 결합하고, 브래킷(222b)을 매개로 핀 블록(221')과 트레이(222)의 상호 고정해서 핀 블록(221')과 트레이(222)를 일체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222)에 다수의 홀(222a)을 병렬로 형성시키고, 핀 블록(221')의 배선라인(221c)과 전극 핀(221d)을 일렬로 배열해서 길게 형성시키면, 1개의 트레이(222)가 다수의 핀 블록(221')을 수용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 예의 지지프레임(221a')은 절곡된 형상으로 되어서 핀 블록(221')의 점유공간을 줄였다. 이외에도 지지프레임(221a') 및 트레이(222)는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전원유닛 110; 전류변환모듈 120; 전압변환모듈
130; 채널모듈 200; 지그유닛 210; 고정프레임
220; 픽쳐 221, 221'; 핀 블록 221a; 지지프레임
221b; 본체 221c; 배선라인 221d; 전극 핀
222; 트레이 222a; 홀 300; 컨트롤러
B, B'; 2차 전지(배터리) CA; 배전선 H; 걸림돌기
R; 릴레이

Claims (7)

  1. 전원유닛; 2차 전지의 충전을 위해 상기 전원유닛으로부터 전기를 수전하는 지그유닛;을 포함한 2차 전지용 충방전기에 있어서,
    2차 전지의 충전을 위한 상기 전원유닛과 지그유닛 간의 통전이 병렬 배선된 배전선을 통해 이루어지고; 병렬 배선된 배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해서 스위칭하는 릴레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그유닛은 2차 전지가 접하는 전극 핀을 구비한 픽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는 픽쳐에 설치되며; 상기 릴레이는 전극 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편,
    상기 픽쳐는, 상기 배전선이 연결되는 연결단자를 구비한 지지프레임과, 상기 전극 핀과 릴레이가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하고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본체로 된 핀 블록; 상기 핀 블록을 탑재하는 트레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용 충방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전선 내 지점은 전원유닛 또는 지그유닛 내 배선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용 충방전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선에서 릴레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지점과 배전선 말단 사이에 배선된 전선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배전선 내 다른 전선들의 전류용량과 다른 전류용량의 전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용 충방전기.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개방된 홀을 갖추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핀 블록을 홀에 삽입하면 걸림돌기가 홀의 가장자리에 걸려서 트레이와 핀 블록이 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용 충방전기.
  7. 전원유닛; 2차 전지의 충전을 위해 상기 전원유닛으로부터 전기를 수전하는 지그유닛;을 포함한 2차 전지용 충방전기에 있어서,
    2차 전지의 충전을 위한 상기 전원유닛과 지그유닛 간의 통전이 병렬 배선된 배전선을 통해 이루어지고; 병렬 배선된 배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해서 스위칭하는 릴레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그유닛은 2차 전지가 접하는 전극 핀을 구비한 픽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는 픽쳐에 설치되며; 상기 릴레이는 전극 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편,
    2차 전지와 접하는 상기 전극 핀의 단부면은 요철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용 충방전기.
KR1020150111063A 2015-08-06 2015-08-06 2차 전지용 충방전기 KR101649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063A KR101649333B1 (ko) 2015-08-06 2015-08-06 2차 전지용 충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063A KR101649333B1 (ko) 2015-08-06 2015-08-06 2차 전지용 충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9333B1 true KR101649333B1 (ko) 2016-08-22

Family

ID=56854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063A KR101649333B1 (ko) 2015-08-06 2015-08-06 2차 전지용 충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3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5740A (ko) 2020-04-09 2021-10-19 주식회사 원익피앤이 모듈화 형태의 고정밀 충방전기 서브렉 조립구조
WO2022065869A1 (ko) * 2020-09-24 2022-03-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다중 전원 연결이 가능한 전지 셀 충방전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셀 충방전 시스템
KR102429765B1 (ko) 2022-02-11 2022-08-05 주식회사 원익피앤이 배터리 충방전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239A (ko) * 2000-07-12 2002-01-19 신동희 리튬폴리머 전지의 충,방전장치
JP2004222378A (ja) * 2003-01-10 2004-08-05 Sony Corp マルチチャンネル充電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72825A (ko) 2006-01-02 2007-07-05 (주)갑진 직류회생방식의 충방전 시스템
KR20080068305A (ko) * 2007-01-19 2008-07-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의 충방전용 지그
KR20120032742A (ko) * 2010-09-29 2012-04-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충방전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충방전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239A (ko) * 2000-07-12 2002-01-19 신동희 리튬폴리머 전지의 충,방전장치
JP2004222378A (ja) * 2003-01-10 2004-08-05 Sony Corp マルチチャンネル充電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72825A (ko) 2006-01-02 2007-07-05 (주)갑진 직류회생방식의 충방전 시스템
KR20080068305A (ko) * 2007-01-19 2008-07-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의 충방전용 지그
KR20120032742A (ko) * 2010-09-29 2012-04-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충방전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충방전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5740A (ko) 2020-04-09 2021-10-19 주식회사 원익피앤이 모듈화 형태의 고정밀 충방전기 서브렉 조립구조
WO2022065869A1 (ko) * 2020-09-24 2022-03-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다중 전원 연결이 가능한 전지 셀 충방전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셀 충방전 시스템
KR102429765B1 (ko) 2022-02-11 2022-08-05 주식회사 원익피앤이 배터리 충방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3363B2 (ja) 電源システム
JP5976633B2 (ja) ラック型の電源装置
KR101649333B1 (ko) 2차 전지용 충방전기
CN103717433A (zh) 蓄电池系统、具有该蓄电池系统的机动车及用于在具有该蓄电池系统的机动车中建立运行准备的方法
WO2017140270A1 (zh) 一种新能源汽车的充电系统
CN109962193B (zh) 电气设备
JP4875779B1 (ja) 電源システム、電源装置及び電力供給方法
KR20120020058A (ko) 리튬 이온 전지를 포밍하기 위한 장치
CN109927588A (zh) 对具有至少两个充电点的车辆充电的充电站的变压器装置
CN110869237A (zh) 电动汽车的充电布置以及用于操作充电布置的方法
JP3105032U (ja) 電池充電装置
CN110854973A (zh) 电动汽车的充电站
CN201008413Y (zh) 电气装置系统
KR101536690B1 (ko) 배터리 팩
KR101580627B1 (ko) 병렬형 인버터 스택을 이용한 전력변환장치
KR101731855B1 (ko) 2차 전지 충전용 무전선 제어형 충전단을 장착한 충전기
KR101730628B1 (ko) 무전선 제어형 배터리 충전기
US9862281B2 (en) Electrical connection line
US11626745B2 (en) Power supply unit having a housing and a rechargeable electrical store
TWI473385B (zh) 具充電平衡的充電裝置及其充電方法
US20160276850A1 (en) Charging Bus
KR20150091567A (ko) 전지 어셈블리
CN220483100U (zh) 一种交直流集成一体的充电系统
JP6102546B2 (ja) 収納装置、電源装置および電源装置の製造方法
CN220483104U (zh) 一种交直流集成一体的充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