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999B1 - 스위치 핀 - Google Patents

스위치 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999B1
KR101647999B1 KR1020150191319A KR20150191319A KR101647999B1 KR 101647999 B1 KR101647999 B1 KR 101647999B1 KR 1020150191319 A KR1020150191319 A KR 1020150191319A KR 20150191319 A KR20150191319 A KR 20150191319A KR 101647999 B1 KR101647999 B1 KR 101647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plunger
insert
spring
end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1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하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안오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안오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안오토테크
Priority to KR1020150191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9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6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switch has more than two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positions, e.g. multi-position push-button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치 핀에 관한 것으로,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중공부로 형성된 몸체 하우징과, 상기 몸체 하우징의 중공부 내의 일측부에 삽입 설치되어 좌우 이동하고 일부분은 외부로 노출되며 전도체로 이루어진 플런저 핀과, 상기 플런저 핀의 전방 외측으로 삽입 설치되고 전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런저 핀과 당접된 코일형의 제1 탄력 스프링과, 상기 탄력 스프링의 전방으로 고정되게 설치되고 전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일형의 제1 탄력 스프링과 당접된 인서트 하우징과, 상기 인서트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고 좌우 이동되며 상기 플런저 핀과 당접되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인서트 플런저와, 상기 인서트 하우징의 전방으로 고정되게 삽입 설치되고 절연체로 이루어진 앤드 캡과, 상기 인서트 플런저와 인서트 하우징의 전방으로 삽입 설치되어 당접되고 그리고 상기 앤드 캡 내에 삽입 설치되어 좌우 이동되며 전도체로 이루어진 스프링 스톱퍼와, 상기 스프링 스톱퍼의 전방으로 삽입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앤드 캡 내에 삽입 설치되며 전도체로 이루어진 코일형의 제2 탄력 스프링과, 상기 코일형의 제2 탄력 스프링의 전방으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2 탄력 스프링과 당접되고 또한 일부분은 상기 앤드 캡 내에 삽입 설치되고 다른 일 부분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구성되며 전도체로 이루어진 단자 핀을 포함하여서 된 스위치 핀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상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 통전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커넥터의 리어 리테이너(rear retainer) 조립 상태 등에 대한 불량 여부는 물론이고 각종 조립 제품의 정품 여부 체크를 신뢰감 있게 판별할 수 있고, 스위치 핀으로서의 소형화를 이루어 부피를 최소화하였으며, 정밀한 기계적 접점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많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위치 핀{Switch pin}
본 발명은 스위치 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오프 기능을 갖는 스위치 핀으로서 상시 전기적인 접속이 되어 통전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외부로부터의 작동 실행으로 작동 시 전기적인 접속을 단선시켜 비 통전되게 하는 스위치 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오프 기능을 갖는 스위치 핀은 상시 전원이 단선되어 오프(OFF)되어 있다가 작동시 온(ON)이 되어 통전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위치는 외부로부터 동작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온(ON)이 되는 것이어서 상시 온(O)이 되어 통전이 요구되는 곳에는 사용이 불가하다.
예컨대, 검사 장치 등에서 상시 통전이 된 상태에서는 자동차 등에서 전기 접속 등으로 사용되는 커넥터의 정품 체크가 불가하고 상시 비 통전에서만 정품 체크를 해야하는데 이 경우 조립 불량으로 된 커넥터만 통전이 되어 판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대한민국 특허청에 본 출원인(발명자)이 실용신안으로 출원하여 등록된 등록번호 20-0366392호(2004년11월10일 공고)(인용참증 1이라 함)에서 자동차 등에서 전기 접속 등으로 사용되는 커넥터에 구성되어 있는 터미널을 뒤로 밀리거나 빠지지 않도록 로크해 주는 리어 리테이너(rear retainer)의 조립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 핀이 제시되어 있고 이 검사 핀은 검사 핀 유니트로서 외측으로 하우징이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내에는 플랜지를 갖고 전방으로 좌, 우 이동가능하게 이동핀을 삽입 설치하며 후방에는 플랜지를 갖는 단자핀을 삽입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 중간부에는 절연체로 되고 관통공을 갖는 디스크를 삽입 설치하며, 상기 디스크의 좌측부에는 플랜지를 갖는 접점핀과 절연체를 삽입 설치고, 상기 디스크와 이동핀의 플랜지 간에는 탄력 스프링을 삽입 설치하며, 상기 접점 핀의 플랜지와 단자 핀의 플랜지 간에는 완충 스프링을 삽입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인용참증 1은 상시 비 통전의 상태로 있다가 커넥터의 불량으로 조립된 리어 리테이너(rear retainer)에 의해서 통전되게 하는 것이고 정품으로 조립된 경우에는 비 통전의 상태로 있게 하는 것이어서 불량과 정품의 체크가 작업자로 하여금 혼선을 주게 한다.
즉, 커넥터의 조립 불량 여부에서 정품에 비해 불량품의 비율이 극히 적은 관계로 항시 비 통전의 상태로 정품으로 판별되는 것보다 상시 검사 핀의 통정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정품으로 판별함이 더욱 신뢰를 주게 된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92613호(2000. 08. 16자 공고)(인용참증 2)에서는 컨넥터와 연결된 배선의 단선, 단자의 교체 등 불량상태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컨넥터 검사장치용 접속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 또한 상시 전기적인 단선의 비 통전의 상태로 있다가 작동 시 전기적인 접속으로 통전 상태로 변환되는 것이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31071호(2003. 10. 22자 공고)(인용참증 3)은 커넥터와 연결된 배선의 단선 등 불량상태를 검사하는 커넥터 검사장치용 검사핀 조립체에 관한 것이 제시되어 조립상태에서 플러그, 검사핀 및 스프링이 상시 통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비 통전의 기능이 없는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66392호(2004. 11. 10자 공고).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92613호(2000. 08. 16자 공고).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31071호(2003. 10. 22자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온/오프 기능을 갖는 스위치 핀으로서 상시 전기적인 접속이 되어 통전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외부로부터의 작동 실행으로 작동 시 전기적인 접속을 단선시켜 비 통전되게 하는 스위치 핀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중공부로 형성된 몸체 하우징과,
상기 몸체 하우징의 중공부 내의 일측부에 삽입 설치되어 좌우 이동하고 일부분은 외부로 노출되며 전도체로 이루어진 플런저 핀과,
상기 플런저 핀의 전방 외측으로 삽입 설치되고 전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런저 핀과 당접된 코일형의 제1 탄력 스프링과,
상기 탄력 스프링의 전방으로 고정되게 설치되고 전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일형의 제1 탄력 스프링과 당접된 인서트 하우징과,
상기 인서트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고 좌우 이동되며 상기 플런저 핀과 당접되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인서트 플런저와,
상기 인서트 하우징의 전방으로 고정되게 삽입 설치되고 절연체로 이루어진 앤드 캡과,
상기 인서트 플런저와 인서트 하우징의 전방으로 삽입 설치되어 당접되고 그리고 상기 앤드 캡 내에 삽입 설치되어 좌우 이동되며 전도체로 이루어진 스프링 스톱퍼와,
상기 스프링 스톱퍼의 전방으로 삽입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앤드 캡 내에 삽입 설치되며 전도체로 이루어진 코일형의 제2 탄력 스프링과,
상기 코일형의 제2 탄력 스프링의 전방으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2 탄력 스프링과 당접되고 또한 일부분은 상기 앤드 캡 내에 삽입 설치되고 다른 일 부분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구성되며 전도체로 이루어진 단자 핀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상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 통전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커넥터의 리어 리테이너(rear retainer) 조립 상태 등에 대한 불량 여부는 물론이고 각종 조립 제품의 정품 여부 체크를 신뢰감 있게 판별할 수 있고, 스위치 핀으로서의 소형화를 이루어 부피를 최소화하였으며, 정밀한 기계적 접점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많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핀"의 전체 구성 단면도로서, 상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 통전 상태를 유지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핀"의 전체 구성 단면도로서, 외부의 동작 실행으로 전기적 접속이 단선되어 비 통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이나 형태 등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는, 도 1에서와 같이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중공부로 형성된 몸체 하우징(1)을 구성한다.
상기 몸체 하우징(1)의 중공부 내의 일측부에 삽입 설치되어 좌우 이동하고 일부분은 외부로 노출되며 전도체로 이루어진 플런저 핀(2)과, 상기 플런저 핀(2)의 전방 외측으로 삽입 설치되고 전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런저 핀(2)과 당접된 코일형의 제1 탄력 스프링(3)을 구성한다.
상기 플런저 핀(2)은 그 소재를 황동으로 하고 외표면에 금(Gold) 도금으로 하여 전도체로써 그 기능을 극대화한다.
상기 제1 탄력 스프링(3)의 전방으로 고정되게 설치되고 전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일형의 제1 탄력 스프링(3)과 당접된 인서트 하우징(4)과, 상기 인서트 하우징(4)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고 좌우 이동되며 상기 플런저 핀(2)과 당접되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인서트 플런저(5)를 구성한다.
상기 인서트 하우징(4)은 그 소재를 황동으로 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인서트 플런저(5)는 그 소재를 아세탈(Asetal)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서트 하우징(4)의 전방으로 고정되게 삽입 설치되고 절연체로 이루어진 앤드 캡(7)과, 상기 인서트 플런저(5)와 인서트 하우징(4)의 전방으로 삽입 설치되어 당접되고 그리고 상기 앤드 캡(7) 내에 삽입 설치되어 좌우 이동되며 전도체로 이루어진 스프링 스톱퍼(6)를 구성한다.
상기 앤드 캡(7)은 그 소재를 아세탈(Asetal)로 함이 바람직하고, 스프링 스톱퍼(6)는 그 소재를 황동으로 하고 외표면에 금(Gold) 도금으로 하여 전도체로써 그 기능을 극대화한다.
상기 스프링 스톱퍼(6)의 전방으로 삽입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앤드 캡(7) 내에 삽입 설치되며 전도체로 이루어진 코일형의 제2 탄력 스프링(8)과, 상기 코일형의 제2 탄력 스프링(8)의 전방으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2 탄력 스프링(8)과 당접되고 또한 일부분은 상기 앤드 캡(8) 내에 삽입 설치되고 다른 일 부분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구성되며 전도체로 이루어진 단자 핀(9)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단자 핀(9)은 그 소재를 황동으로 하고 외표면에 금(Gold) 도금으로 하여 전도체로써 그 기능을 극대화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몸체 하우징(1)의 길이는 26㎜이고 외경 직경은 3㎜이며 조립된 전체 길이는 42㎜로서 소형화를 이룬 스위치 핀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위치 핀은 도 1에서와 같이 플런저 핀(2)과 당접된 코일형의 제1 탄력 스프링(3)과 상기 제1 탄력 스프링(3)과 당접된 인서트 하우징(4)과 상기 인서트 하우징(4)과 당접된 스프링 스톱퍼(6)와 상기 스프링 스톱퍼(6)와 당접된 코일형의 제2 탄력 스프링(8)과 상기 제2 탄력 스프링(8)과 당접된 단자 핀(9)은 모두 전도체이고 상시 전체가 당접(접속)된 상태이어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 통전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에서와 같이 외부로부터의 작동 대상 기구 물(100)에 의해 플런저 핀(2)을 전진시키면 플런저 핀(2)은 제1 탄력 스프링(3)을 압축시키면서 절연체로 된 인서트 플런저(5)를 전진 이동시킨다.
이 경우 전도체의 인서트 하우징(4)에 당접되어 있던 스프링 스톱퍼(6)를 인서트 하우징(4)으로부터 이격시켜 전기적 접속을 단선시켜 비 통전 상태가 된다.
이후 다시 플런저 핀(2)으로부터 작동 대상 기구 물(100)을 제거하면 압축되어 있던 제1 탄력 스프링(3) 및 제2 탄력 스프링(8)의 반발력에 의해 원상복귀가 이루어지고 다시 상시 통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플런저 핀(2)을 전진시켜 전기적 접속을 단선시켜 비 통전 상태로 할 경우 전진 길이(L)는 0.3㎜ 이상 전진하면 비 통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 대상 기구 물(100)은 커넥터의 불량으로 조립된 리어 리테이너(rear retainer)일 수도 있고, 각종 조립 제품의 불량 여부를 체크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전기적 통전 및 비 통전이 필요한 곳이라면 어디든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상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 통전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커넥터의 리어 리테이너(rear retainer) 조립 상태 등에 대한 불량 여부는 물론이고 각종 조립 제품의 정품 여부 체크를 신뢰감 있게 판별할 수 있고, 스위치 핀으로서의 소형화를 이루어 부피를 최소화하였으며, 정밀한 기계적 접점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많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1: 몸체 하우징 2: 플런저 핀
3: 제1 탄력 스프링 4: 인서트 하우징
5: 인서트 플런저 6: 스프링 스톱퍼
7: 앤드 캡 8: 제2 탄력 스프링
9: 단자 핀

Claims (4)

  1.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중공부로 형성된 몸체 하우징과,
    상기 몸체 하우징의 중공부 내의 일측부에 삽입 설치되어 좌우 이동하고 일부분은 외부로 노출되며 전도체로 이루어진 플런저 핀과,
    상기 플런저 핀의 전방 외측으로 삽입 설치되고 전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런저 핀과 당접된 코일형의 제1 탄력 스프링과,
    상기 탄력 스프링의 전방으로 고정되게 설치되고 전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일형의 제1 탄력 스프링과 당접된 인서트 하우징과,
    상기 인서트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고 좌우 이동되며 상기 플런저 핀과 당접되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인서트 플런저와,
    상기 인서트 하우징의 전방으로 고정되게 삽입 설치되고 절연체로 이루어진 앤드 캡과,
    상기 인서트 플런저와 인서트 하우징의 전방으로 삽입 설치되어 당접되고 그리고 상기 앤드 캡 내에 삽입 설치되어 좌우 이동되며 전도체로 이루어진 스프링 스톱퍼와,
    상기 스프링 스톱퍼의 전방으로 삽입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앤드 캡 내에 삽입 설치되며 전도체로 이루어진 코일형의 제2 탄력 스프링과,
    상기 코일형의 제2 탄력 스프링의 전방으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2 탄력 스프링과 당접되고 또한 일부분은 상기 앤드 캡 내에 삽입 설치되고 다른 일 부분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구성되며 전도체로 이루어진 단자 핀을 포함하여서 된 스위치 핀.
  2. 제1항에 있어서, 플런저 핀과 스프링 스톱퍼 및 단자 핀은 그 소재를 황동으로 하고 외표면에 금(Gold) 도금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핀.
  3. 제1항에 있어서, 인서트 플런저와 앤드 캡은 그 소재를 아세탈(Asetal)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핀.
  4. 제1항에 있어서, 플런저 핀이 0.3㎜ 이상 전진하면 비 통전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핀.
KR1020150191319A 2015-12-31 2015-12-31 스위치 핀 KR101647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319A KR101647999B1 (ko) 2015-12-31 2015-12-31 스위치 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319A KR101647999B1 (ko) 2015-12-31 2015-12-31 스위치 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999B1 true KR101647999B1 (ko) 2016-08-12

Family

ID=56715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319A KR101647999B1 (ko) 2015-12-31 2015-12-31 스위치 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99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988A (ja) * 1994-06-22 1996-01-12 S K Koki:Kk 多段ピンスイッチ
KR200192613Y1 (ko) 2000-03-16 2000-08-16 양기선 컨넥터 검사장치용 접속핀 조립체
KR20020039229A (ko) * 2000-11-20 2002-05-25 토마스 앤드 베츠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경선동축케이블용 커넥터
KR200331071Y1 (ko) 2003-04-23 2003-10-22 주식회사 세원이씨에스 커넥터 검사장치용 검사핀 조립체
KR200366392Y1 (ko) 2004-08-05 2004-11-10 주식회사 신안오토테크 커넥터용 리어 리테이너의 조립 검사 장치
JP2005056699A (ja) * 2003-08-05 2005-03-03 S K Koki:Kk 端子固定状態検査用棒状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988A (ja) * 1994-06-22 1996-01-12 S K Koki:Kk 多段ピンスイッチ
KR200192613Y1 (ko) 2000-03-16 2000-08-16 양기선 컨넥터 검사장치용 접속핀 조립체
KR20020039229A (ko) * 2000-11-20 2002-05-25 토마스 앤드 베츠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경선동축케이블용 커넥터
KR200331071Y1 (ko) 2003-04-23 2003-10-22 주식회사 세원이씨에스 커넥터 검사장치용 검사핀 조립체
JP2005056699A (ja) * 2003-08-05 2005-03-03 S K Koki:Kk 端子固定状態検査用棒状スイッチ
KR200366392Y1 (ko) 2004-08-05 2004-11-10 주식회사 신안오토테크 커넥터용 리어 리테이너의 조립 검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045Y1 (ko) 이중접점스위치 및 이중접점스위치를 갖는 마그네틱 커넥터
US11355881B2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09155493B (zh) 连接器
US7632121B2 (en) Coaxial connector
CN104009341A (zh) 具有直插式电线触头的电连接器
TW200614604A (en) Coaxial connector with switch
NO20020049D0 (no) Testsonde og kontakt
EP3406000A1 (en) Highspeed board connector
JP2014513391A (ja) ばね部材による先行して行われる接地接続
US20170069980A1 (en) Electrical terminal block
US8573993B2 (en) Connector
US20190157780A1 (en) Electrical conductor connection
CN104183953A (zh) 电连接器
JP2007503591A (ja) 同軸プローブインタフェース
JP5770547B2 (ja) コネクタ
CN102365790A (zh) 检查用同轴连接器
KR101647999B1 (ko) 스위치 핀
WO2007111953A3 (en) Connector activated rf switch
US10164372B1 (en) Electrical connecting assembly
JP6051921B2 (ja) コネクタ検査装置
US10535960B2 (en) Plug connector module having spring links
US10950966B2 (en) Safety stab technology
CN207116857U (zh) 一种带自短路机构的连接器
JP5223767B2 (ja) 電気コネクタ
US20240106165A1 (en) Housing Assembly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s well as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