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556B1 - 호스 커넥터 - Google Patents

호스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556B1
KR101647556B1 KR1020140141676A KR20140141676A KR101647556B1 KR 101647556 B1 KR101647556 B1 KR 101647556B1 KR 1020140141676 A KR1020140141676 A KR 1020140141676A KR 20140141676 A KR20140141676 A KR 20140141676A KR 101647556 B1 KR101647556 B1 KR 101647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lock member
annular
engaging
connect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1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8043A (ko
Inventor
모토하루 다카이
츠요시 오카자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50048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8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5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a sleeve being movable ax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과제)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간단하고 쉬운 조작으로 호스를 연결할 수 있는 호스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호스 커넥터(10)는 커넥터 본체(12)와, 커넥터 본체(12)에 바깥에서 끼우는 로크부재(14)를 구비한다. 호스 커넥터(10)는 로크부재(14)를 커넥터 본체(12)에 대해서 둘레 방향으로 좌회전 또는 우회전했을 때에, 로크부재(14)가 커넥터 본체(12)에서 축선 방향으로 로크 위치와 비로크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하는 캠기구를 구비한다. 호스는 로크부재(14)를 커넥터 본체(12)와 조합하여 비로크 위치로 한 상태에서, 커넥터 본체(12) 및 로크부재(14) 사이의 환 형상 공극(80) 내로 돌입된다. 로크부재(14)를 회전시켜서 로크 위치로 하면, 커넥터 본체(12)의 환 형상 확경부(24)와 로크부재(14)의 환 형상 축경부가 근접하기 때문에, 호스를 고정함과 아울러 호스를 흐르는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호스 커넥터{HOSE CONNECTOR}
본 발명은 호스가 접속되는 호스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자동차의 프론트 윈도우나 헤드램프를 향하여 세정제를 수송하는 호스를 접속하기 위한, 세정제 탱크, 세정제 분출기구 또는 다른 호스에 장착되는 호스 커넥터나, 자동차의 블로바이가스(Blow-by Gas)를 수송하는 호스의 호스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호스 커넥터에는 호스를 고정함과 아울러, 호스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파이프와 고무호스를 연결할 경우, 원환 형상의 금속밴드가 이용되는 일이 있다. 이 경우, 우선, 금속밴드의 내주면이 호스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금속밴드를 호스의 일단측에 장착하고, 그 후, 호스의 내주면이 파이프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호스에 파이프를 삽입한다. 그리고 호스와 파이프가 겹쳐져 있는 위치까지 금속밴드를 슬라이딩시키고, 공구를 이용하여 금속밴드를 체결해서 호스를 파이프와 금속밴드로 협지(挾持)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호스와 파이프의 접속 및 밀봉이 실행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공정수가 많고, 공구가 필요하며, 금속밴드의 감합(嵌合)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에서는 더욱 간단하고 쉽게 고무호스를 파이프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조(고정지그)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장착구조는, 상기의 금속밴드에 대신하여, 체결 슬리브가 이용되며, 파이프 및 체결 슬리브에 서로를 걸어 맞추는 걸어맞춤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걸어맞춤수단은, 파이프에 설치된 걸어맞춤돌기와, 체결 슬리브에 설치된 걸어맞춤홈으로 이루어지며, 걸어맞춤홈은 체결 슬리브를 회전 운동시키면, 체결 슬리브가 파이프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파이프의 선단에는 외측에 원환 형상으로 부풀어 오른 팽출부가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체결 슬리브의 선단에는, 내경이 선단을 향하여 축소된 압압부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 슬리브를 호스의 단부에 장착한 후, 호스를 파이프에 장착하고, 체결 슬리브를 파이프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며, 또한 체결 슬리브를 회전시켜서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압압부가 팽출부에 접근하여, 압압부와 팽출부가 호스를 밀봉상태로 또한 빠짐방지상태로 압박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6-300127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착 구조에서는, 체결 슬리브를 호스에 장착하고나서 호스와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해, 걸어맞춤돌기와 걸어맞춤홈의 위치를 맞출 필요가 있으며, 거듭되는 시공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간단하고 쉽게 호스를 장착할 수 있는 호스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호스 커넥터의 일측면은, 호스를 접속하는 호스 커넥터 (10)로서, 내통부(18, 118)를 구비하고, 상기 내통부의 기단측의 외주에 제 1 걸어맞춤부(20, 120)가 형성된 커넥터 본체(12, 112, 190)와, 상기 내통부에 바깥에서 끼워져, 상기 내통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환 형상 공극을 형성하는 내주면이 형성된 외통부(34, 134)를 구비하며, 상기 외통부에 상기 제 1 걸어맞춤부와 걸어 맞춤 가능한 제 2 걸어맞춤부(38, 138)가 형성된 로크부재(14, 82, 88, 94, 114)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걸어맞춤부가, 상기 로크부재가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서 둘레 방향으로 좌회전 또는 우회전했을 때에, 상기 로크부재가 상기 커넥터 본체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로크 위치와 비(非)로크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하는 캠기구를 형성하며, 상기 내통부는 환 형상 직경 확대[이하, “확경(擴徑)이라고 하는 일도 있다.]부(24)를 그 외주면에 구비하고, 상기 외통부는 환 형상 직경 축소[이하, “축경(縮徑)이라고 하는 일도 있다.]부(42, 142)를 그 내주면에 구비하며, 상기 로크부재가 비로크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환 형상 확경부 및 상기 환 형상 축경부가 축선 방향으로 서로 이반(離反)한 위치에 있고, 상기 로크부재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환 형상 확경부 및 상기 환 형상 축경부가 축선 방향으로 서로 근접한 위치에 있도록, 상기 환 형상 확경부 및 상기 환 형상 축경부의 축선 방향 위치가 정해지며, 상기 로크부재가 비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외통부 사이의 환 형상 공극(80) 내로 호스의 선단부를 돌입시키고, 상기 로크부재를 둘레 방향으로 좌회전 또는 우회전시켜서 로크 위치로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호스의 선단부를 상기 환 형상 확경부 및 상기 환 형상 축경부의 사이에 협지(挾持)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호스를 호스 커넥터에 연결할 수 있음과 아울러, 현장에서 실시하는 작업이, 호스를 돌입시켜서 로크부재를 회전시킬 뿐이기 때문에, 간단하고 쉽게 신속히 호스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스냅 결합에 의해서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비로크 위치에 배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호스의 접속작업의 준비단계에서, 로크부재를 용이하게 커넥터 본체에 장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로크부재가 커넥터 본체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외통부의 내주면에는, 유단(遊端)측을 향하여 직경을 확대하는 테이퍼단부(4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내통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유단측에 대응하는 전단측을 향하여 직경을 축소하는 테이퍼단부(26, 12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용이하게 호스를 커넥터 본체와 로크부재 사이의 환 형상 공극에 돌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캠기구는, 상기 제 1 걸어맞춤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 2 걸어맞춤부의 내주면의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된 캠홈(68, 168)과, 상기 제 1 걸어맞춤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 2 걸어맞춤부의 내주면의 어느 하나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캠홈에 수용되는 종동(從動)돌기(70, 170)를 구비하고, 상기 캠홈은 둘레 방향에 대해서 축선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간단하고 쉬운 구조로 캠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걸어맞춤부(20)의 외주면과 상기 제 2 걸어맞춤부(38)의 내주면의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고정돌기(64)와, 상기 제 1 걸어맞춤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 2 걸어맞춤부의 내주면의 어느 하나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로크 위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고정돌기를 걸림 고정하는 오목부(72)를 구비하는 디텐트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로크부재를 회전시킬 때에 가하는 힘이나, 로크부재가 로크 위치로 들어갈 때에 발생하는 충돌음에 의해서, 로크부재가 로크 위치에 있는 것의 절도감(節度感)을 작업원에게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캠기구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또한 상기 로크 위치에 있어서 상기 종동돌기(170)를 수용하여 상기 종동돌기의 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둘레홈(195)을 더 구비하며, 상기 둘레홈은, 상기 종동돌기의 둘레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걸림고정벽(201)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고정벽은 상기 종동돌기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로크부재에 소정의 회전력을 가하면, 파단 또는 절곡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작업원이 로크부재가 파단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 로크부재(114)는 공전하여 전후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더욱더 로크부재를 파괴할 때까지는, 호스의 고정 및 밀봉은 유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14)는 둘레 방향 및 축선 방향의 적어도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또한 상기 로크 위치에 있어서 소정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 파단되도록 구성된 파단부(49, 86, 92, 9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로크부재가 파괴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었을 때에, 작업원이 로크부재가 파단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파단부를 설치한 경우는, 호스를 떼어내기 위한 로크부재(88, 94)의 파괴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는 상기 비로크 위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에 해제 가능하게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사전에 로크부재를 비로크 위치에 가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작업 공정수를 줄일 수 있다. 또, 로크부재를 로크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작업원에게 절도감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에는, 상기 환 형상 축경부의 후방에, 상기 호스의 돌입상태를 눈으로 확인(이하, “시인(視認)”이라고 하는 일도 있다) 가능한 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커넥터 본체는, 유단측을 향하여, 또한 상기 호스의 돌입상태에 있어서 상기 호스의 선단이 맞닿음 가능한 어깨면(29)을 구비하고, 상기 창은, 비로크 위치에 있어서 상기 어깨면에 직경 방향으로 정합(整合)하는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호스의 선단이 환 형상 확경부 및 환 형상 축경부를 넘어 돌입되어 있는지 아닌지, 호스의 선단이 어깨면까지 돌입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는, 외측으로 돌출된 조작편(36, 13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작업원이 손가락으로 로크부재를 회전시킬 때에, 로크부재에 회전력을 가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한 구성의 호스 커넥터에, 호스를 접속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로크부재를 상기 커넥터 본체에 유지시켜서 상기 비로크 위치에 배치하는 스텝과,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외통부 사이의 환 형상 공극 내로 호스의 선단부를 돌입시키고, 상기 호스의 선단을 상기 확경부 및 상기 축경부보다도 후방의 소정의 위치에 이르게 하는 스텝과, 상기 로크부재를 회전시켜서 상기 로크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확경부와 상기 축경부에서 상기 호스를 협지시키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적은 공정수로 호스를 호스 커넥터에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간단하고 쉽게 호스를 호스 커넥터에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호스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호스 커넥터의 커넥터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호스 커넥터의 커넥터 본체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선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호스 커넥터의 로크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호스 커넥터의 로크부재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호스 커넥터의 로크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호스 커넥터의 비로크 위치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호스 커넥터의 로크 위치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형태에 관련되는 호스 커넥터의 로크부재의 (a) 횡단면도 (b)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형태에 관련되는 호스 커넥터의 로크부재의 (a) 횡단면도 (b)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3 변형형태에 관련되는 호스 커넥터의 로크부재의 (a) 횡단면도 (b)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호스 커넥터의 커넥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호스 커넥터의 로크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변형형태에 관련되는 호스 커넥터의 커넥터 본체의 (a) 횡단면도 (b)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호스 커넥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 나타내는 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을 축선 방향이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호스 커넥터(10)의 사시도이다. 호스 커넥터(10)는 후방의 기단측이 다른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고, 전방의 유단측이 호스(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는 커넥터 본체(12)와, 유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호스를 커넥터 본체(12)에 고정하는 로크부재(14)를 구비한다. 호스 커넥터 (10)에 장착되는 호스는 가요성 내지 탄성을 가지는 호스로서, 예를 들면, 고무, 플라스틱, 천, 또는 이들의 복합재료를 소재로 한다. 또, 예를 들면, 호스는 차량의 헤드 램프에 세정액을 수송하는 헤드 램프 워셔 호스, 냉각 배관, 캐니스터 퍼지 호스, 블로바이가스 호스, 수도 호스 등이라도 좋다.
도 2∼도 4를 참조하여 커넥터 본체(12)를 설명한다. 도 2∼도 4는 각각, 커넥터 본체(12)의 정면도, 좌측면도 및 횡단면도이다. 커넥터 본체(12)는 수지를 소재로 하는 성형품으로서, 축선 방향을 따라서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관 형상의 부재이다. 커넥터 본체(12)는 후방의 기단측에 형성되어 다른 부재에 장착되는 연결부(16)와, 전방의 유단측에 형성되어 호스가 장착되는 내통부(18)를 구비한다.
연결부(16)는 유로를 구비하는 다른 부재, 예를 들면, 파이프, 유체의 저류조 또는 유체의 토출기구 등에 연결되고, 유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호스 커넥터(10)의 유로와 다른 부재의 유로를 연통시킨다.
내통부(18)는 기단측으로부터 차례로 제 1 걸어맞춤부(20)와, 중간부(22)와, 환 형상 확경부(24)와, 외주 테이퍼단부(26)를 구비한다.
제 1 걸어맞춤부(20)는 커넥터 본체(12)와 로크부재(14)의 걸어맞춤수단을 제공하는 부분이며, 그 외주면은 호스의 외경보다 큰 원통면의 일부를 제거하여 홈이나 요철이 형성된 형상을 나타낸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중간부(22)는 외경이 대략 일정한 원통 형상의 부분이며, 그 외주면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다수의 리브(28)가 설치되어 있다. 중간부(22)의 리브 선단 외경은 호스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을 가진다. 중간부(22)의 외경은 제 1 걸어맞춤부의 유단측의 외경보다도 작기 때문에, 제 1 걸어맞춤부의 유단측 단면은 유단측을 향한 환 형상의 어깨면(29)으로 되어 있다.
환 형상 확경부(24)는 중간부(22)보다도 큰 대략 일정한 외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부분이다. 환 형상 확경부(24)의 기단측 단면은 기단측을 향한 원환 형상의 어깨면(30)을 형성한다. 환 형상 확경부(24)의 외주면은 리브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매끄러운 표면이다. 환 형상 확경부(24)의 외경은 부하가 걸려 있지 않은 상태의 호스의 내경보다도 크다. 단, 호스는, 그 내경이 환 형상 확경부(24)의 외경 이상으로 될 때까지 탄성 변형할 수 있다.
외주 테이퍼단부(26)의 외주면에는 기단측과 유단측의 사이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리브(32)가 설치되어 있다. 외주 테이퍼단부(26)는 그 기단측의 외경[리브(32)의 산을 연결하는 외경]이 환 형상 확경부(24)의 외경에 일치하고, 그 유단의 외경이 호스의 내경 이하가 되도록, 외주면이 유단측을 향하여 직경을 축소하는 테이퍼를 구비한다.
다음에, 도 5∼도 9를 참조하여 로크부재(14)를 설명한다. 도 5, 도 6 및 도 7은 각각, 로크부재(14)의 정면도, 우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로크부재(14)가 호스를 고정하지 않는 비로크 위치 및 호스를 고정하는 로크 위치에 있을 때의 호스 커넥터(10)의 종단면도이다. 로크부재(14)는 커넥터 본체(12)의 내통부(18)에 느슨하게 바깥에서 끼워지는 외통부(34)와, 외통부(34)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2장의 조작편(36)을 구비한다.
외통부(34)는 그 내주면이 커넥터 본체(12)의 내통부(18)의 외주면에 대향하고 있다. 외통부(34)는 후단측으로부터 차례로 제 2 걸어맞춤부(38)와, 창(窓)부 (40)와, 환 형상 축경부(42)와, 내주 테이퍼단부(44)를 구비한다.
제 2 걸어맞춤부(38)는 제 1 걸어맞춤부(20)와 함께, 커넥터 본체(12)와 로크부재(14)의 걸어맞춤수단을 제공하는 부분이며,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창부(40)는 그 내주면이 대체로 커넥터 본체(12)의 중간부(22)에 대향하고 있으며, 원통 형상의 둘레벽을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에 의해서 형성된 2개의 창(46)을 구비한다. 2개의 창(46)은 둘레 방향을 따라서 서로 180°어긋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원 형상을 나타낸다. 창(46)을 통해서 커넥터 본체(12)의 중간부(22)를 시인할 수 있다. 또, 제 2 걸어맞춤부(38)와 창부(40)의 경계에는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둘레 방향에 가늘고 긴 2개의 긴 구멍(48)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긴 구멍(48)은 서로 둘레 방향으로 180°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둘레 방향 폭은 창(46)의 둘레 방향 폭보다도 길고, 축선 방향의 길이는 창(46)의 축선 방향 길이보다도 짧다. 제 2 걸어맞춤부(38)와 창부(40)의 경계의 긴 구멍(48)이 없는 부분은, 둘레 방향으로 전단력이 가해졌을 때에 우선적으로 파단되는 파단부(49)로 되어 있다.
환 형상 축경부(42)는 전단측에서 후단측에 걸쳐서 내경이 축소되어 있으며, 기단측의 내경은 창부(40)의 내경에 일치한다. 환 형상 축경부(42)의 내주면에는 둘레 방향에 정합한 복수의 축경돌기(50)가 직경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축경돌기(50)에는 전후 방향에 관통구멍(52)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축경돌기(50)는 그 관통구멍(52)이 깨져서 축경돌기(50)의 선단에 의해서 형성되는 내경이 넓어지도록 탄성 변형한다. 또, 축경돌기(50)의 전단면은 직경 방향 내측으로 진행함에 따라, 후방으로 경사져 있다. 환 형상 축경부(42)는 비로크 위치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12)의 환 형상 확경부(24)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로크 위치에 있어서 환 형상 확경부(24)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위치가 정해진다.
내주 테이퍼단부(44)는 내주면이 전단측을 향하여 확경하는 테이퍼를 구비하고, 후단측의 내경이 환 형상 축경부(42)의 전단측 내경에 일치하며, 전단의 내경이 호스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2개의 조작편(36)은 서로 180°둘레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조작편(36)은 주벽(主壁, 54)과, 주벽(54)과 로크부재(14)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4개의 리브(56)를 구비한다. 주벽(54)의 표면은 로크부재(14)의 외주면과 약 70°∼90°의 각도를 이루며, 축선 방향에 평행한 평면이다. 4개의 리브(56)는 각각, 평면에서 보는 것[이하, “평면시(平面視)라고 하는 일도 있다.]으로 삼각형 형상을 나타내며, 한 변이 주벽(54)의 이면을 따르고, 한 변이 로크부재(14)의 외주면을 따른 판 형상의 부분이다.
다음에, 도 2∼도 7을 참조하여 커넥터 본체(12)의 제 1 걸어맞춤부(20)와 로크부재(14)의 제 2 걸어맞춤부(38)의 걸어맞춤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걸어맞춤부(20)와 제 2 걸어맞춤부(38)의 걸어맞춤구조는, 로크부재(14)를 비로크 위치(도 8 참조)에서 커넥터 본체(12)에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기구와, 로크부재(14)를 비로크 위치에서 로크 위치(도 9 참조)로 이동시키는 캠기구와, 로크부재(14)를 로크 위치에 고정함과 아울러, 로크부재(14)를 로크 위치까지 움직인 것의 절도감을 사용자에게 주기 위한 디텐트기구를 제공한다. 제 1 걸어맞춤부(20) 및 제 2 걸어맞춤부(38)는 각각, 축 주위로 180°회전하면, 원의 형상과 대체로 일치하는 회전대칭성을 구비한다. 이하, 제 1 걸어맞춤부(20) 또는 제 2 걸어맞춤부(38)의 1쌍의 구성요소 중, 일측을 설명하지만, 타측도 마찬가지의 구조 및 기능을 가진다.
유지기구는 제 1 걸어맞춤부(20)에 형성된 볼록부(58) 및 볼록부(58)의 후방의 유지오목부(60)와, 제 2 걸어맞춤부(38)에 형성된 탄성편(62) 및 탄성편(62)에서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고정돌기(64)에 의해서 구성된다. 볼록부(58)는 제 1 걸어맞춤부(20)의 외주면의 볼록 형상으로 돌출된 부분이다. 볼록부(58)의 전면은 직경 방향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후방으로 경사져 있으며, 볼록부(58)의 후면은 축선 방향에 직교하고 있다. 유지오목부(60)의 전면은 볼록부(58)의 후면에 일치하고, 유지오목부(60)의 후면은 축선 방향에 직교하고 있다. 유지오목부(60)의 일측의 측면(도 2의 지면 상측)은 개방되어 있다. 탄성편(62)은 제 2 걸어맞춤부 (38)의 전체 둘레의 약 4분의 1의 둘레 방향 길이를 가지는 가늘고 긴 부분이며, 긴 구멍(48)에 의해서 창부(40)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양쪽 지지 들보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탄성을 가진다. 양쪽 지지 들보 형상의 탄성편(62)의 양단부는 제 2 걸어맞춤부(38)의 긴 구멍(48)에 면하고 있지 않은 부분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으로 부풀어 올라 있다. 그로 인해, 걸림고정돌기(64)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압압되어 탄성편(62)이 탄성 변형해도, 탄성편(62)은 제 1 걸어맞춤부(20)에 접촉하지 않는다. 걸림고정돌기(64)의 전면은 축선 방향에 직교하고 있다. 걸림고정돌기(64)는 가로 단면에서 보는 것[이하, “횡단면시(橫斷面視)”라고 하는 일도 있다.]으로 장방형의 1개의 코너가 빠진 형상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측의 둘레 방향면에서 내측면에 걸쳐서 노치면(66)이 형성되어 있다. 노치면(66)과 인접하는 둘레 방향면은, 걸림고정돌기(64)가 유지오목부(60)에 수용되었을 때에, 유지오목부(60)의 개방면과 동일측의 둘레 방향면이다. 타측의 둘레 방향면에는 노치는 없으며, 탄성편 (62)의 내주면에 직교하고 있다.
캠기구는 제 1 걸어맞춤부(20)에 형성된 캠홈(68)과, 제 2 걸어맞춤부(38)에 형성되어 캠홈(68)에 수용되는 종동돌기(70)에 의해서 구성된다. 캠홈(68)은 볼록부(58) 및 유지오목부(60)로부터 약 90°둘레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도입홈(72)과, 도입홈(72)의 후단측으로부터 유지오목부(60)의 개방측면과 동일 둘레 방향(도 2의 좌측 방향)의 경사진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되는 경사홈(74)과, 경사홈(74)의 전단측으로부터 둘레 방향(도 2의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종단홈(76)을 구비한다. 캠홈(68)의 바닥면의 전후 방향 중심축으로부터의 높이는, 중간부(22)의 외경에 일치하며, 도입홈(72)에서 종단홈(76)에 이르기까지 일정하다. 도입홈(72)의 전단은 개방되어 있다. 종동돌기(70)는 제 2 걸어맞춤부(38)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이며, 걸림고정돌기(64)와 둘레 방향으로 약 90°어긋나 있다.
디텐트기구는 상기의 탄성편(62), 걸림고정돌기(64) 및 도입홈(72), 그리고 제 1 걸어맞춤부(20)에 형성된 슬라이드 이동면(78)에 의해서 구성된다. 슬라이드 이동면(78)은 횡단면시로 제 1 걸어맞춤부(20)의 외부 원의 현(弦)을 구성하는 평면이며, 유지오목부(60)의 개방면측에서 도입홈(72)의 가장자리에 걸쳐서 형성된다. 즉, 도입홈(72)에서 보아 경사홈(74)과 둘레 방향의 반대측에 형성된다.
다음에, 유지기구, 캠기구 및 디텐트기구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는 종동돌기(70)와 도입홈(72)을 축선 방향에 정합시킴과 아울러, 볼록부(58) 및 유지오목부(60)와 걸림고정돌기(64)를 축선 방향에 정합시켜서 로크부재(14)를 커넥터 본체(12)의 선단측으로부터 삽입한다. 그러면, 종동돌기(70)는 도입홈(72)을 따라서 이동한다. 한편, 걸림고정돌기(64)는 볼록부(58)의 경사진 전면을 슬라이드 이동하고, 탄성편(62)을 외측을 향하여 탄성 변형시키며, 그 후, 유지오목부(60)에 이르고, 탄성편(62)은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걸림고정돌기(64)가 유지오목부(60)에 스냅 결합한다. 이때, 볼록부(58)의 후면과 걸림고정돌기(64)의 전면이 맞닿도록 볼록부(58)와 걸림고정돌기(64)가 걸어 맞춤하여 로크부재(14)가 전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 로크부재(14)의 후방으로의 이동은, 유지오목부(60)의 후면이 걸림고정돌기(64)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규제된다. 이 위치(비로크 위치)로부터, 사용자가 로크부재(14)를 평면시로 우회전(도 7의 저면도에서 좌회전)시키면, 종동돌기(70)는 경사홈(74)의 형상을 따라서 둘레 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전방 방향으로 이동하며, 그 후, 종단홈(76)에 이른다. 한편, 이때, 걸림고정돌기(64)는 유지오목부(60)로부터 이탈하고, 노치면(66)이 슬라이드 이동면(78)을 슬라이드 이동한 후, 도입홈(72)에 수용된다. 걸림고정돌기(64)가 도입홈(72)에 수용되면, 걸림고정돌기(64)의 노치면(66)이 없는 측의 둘레 방향면이 도입홈(72)에 걸림 고정되기 때문에, 로크부재(14)의 역회전이 방지된다. 또, 걸림고정돌기(64)가 유지오목부(60)로부터 이탈할 때, 및 걸림고정돌기(64)가 도입홈 (72)에 수용되기 직전에는, 걸림고정돌기(64)가 외측으로 압출(押出)되어 탄성편 (62)이 외측으로 탄성 변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로크부재(14)를 회전시키는데에 사용자는 한층 큰 회전력을 가할 필요가 있다. 또한, 걸림고정돌기(64)가 도입홈 (72)에 수용될 때, 탄성편(62)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탄성편(62)이 제 1 걸어맞춤부[20, 도입홈(72)의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있는 부분]에 충돌하여 충돌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로크부재(14)가 로크 위치에 배치된 것의 절도감을 부여한다.
다음에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호스 커넥터(10)를 이용해서 호스를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미리 커넥터 본체(12)에 로크부재(14)를 장착하여 두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부재(14)를 비로크 위치에 배치하여 둔다. 구체적으로는, 커넥터 본체(12)에 로크부재(14)를 장착하려면, 종동돌기(70) 및 걸림고정돌기(64)가 각각 도입홈(72) 및 유지오목부(60)와 축선 방향에 정합하도록, 로크부재(14)와 커넥터 본체(12)의 위치를 정하고, 로크부재(14)를 커넥터 본체(12)의 선단측에서 커넥터 본체(12)에 삽입하며, 걸림고정돌기(64)가 유지오목부(60)에 수용될 때까지 로크부재(14)를 커넥터 본체(12)의 기단측으로 슬라이딩시킨다. 또한, 커넥터 본체 (12)의 기단측의 다른 부재로의 장착은, 상기 작업 전후의 어느 한쪽에서 실행해도 좋다. 로크부재(14)는 비로크 위치에 있을 때, 걸림고정돌기(64)가 유지오목부(60)의 벽에 의해서 걸림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후 방향 및 평면시로 좌회전의 둘레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탄성편(62)의 탄성력에 의해서, 소정의 크기를 초과하는 회전력을 로크부재(14)에 부여하지 않는 한, 평면시로 우회전의 둘레 방향으로의 움직임도 규제된다.
다음에, 사용자는 커넥터 본체(12)의 내통부(18)와 로크부재(14)의 외통부 (34) 사이의 환 형상 공극(80) 내로 호스의 선단부를 돌입시킨다. 이때, 커넥터 본체(12)의 유단에는 외주 테이퍼단부(26)가 형성되고, 로크부재(14)의 전단에는 내주 테이퍼단부(4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환 형상 공극(80)의 입구는, 유단측이 넓혀져 있어 호스가 돌입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 커넥터 본체(12)의 환 형상 확경부(24)와 로크부재(14)의 환 형상 축경부(42)는 서로 이반(離反)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내통부(18)와 외통부(34)의 직경 방향 거리는, 호스의 두께 이상으로 된다. 그로 인해, 사용자는 호스를 용이하게 환 형상 공극(80)에 돌입시킬 수 있다. 또, 축경돌기(50)는 전단측이 경사져 있음과 아울러 내측을 향한 선단이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탄성 변형하기 때문에, 호스의 돌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커넥터 본체(12)의 외주 테이퍼단부(26) 및 중간부(22)에는 리브(28, 3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호스의 내주면과의 접촉 면적이 작아져, 마찰력에 의한 돌입 저항이 억제되어 있다. 호스 커넥터(10)가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환 형상 확경부 (24)와 호스의 내주면의 마찰력이 호스를 돌입시킬 때의 저항력으로 되지만, 사용자는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호스를 환 형상 공극(80)에 용이하게 돌입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호스의 선단부가 환 형상 확경부(24)를 넘어 돌입되어 어깨면(29)에 맞닿고 있는 것을 창(46)을 통해서 확인한다.
다음에, 사용자는 로크부재(14)를 평면시로 우회전시켜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부재(14)를 로크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도 9에서는 호스를 생략하고 있다. 사용자가 로크부재(14)를 비로크 위치로부터 평면시로 우회전시키면, 종동돌기(70)가 캠홈(68)의 경사홈(74)을 따라서 이동하고, 로크부재(14)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종동돌기(70)가 종단홈(76)에 이르고, 걸림고정돌기(64)가 도입홈 (72)에 걸림 고정됨으로써, 로크부재(14)는 로크 위치에 고정된다. 이때, 환 형상 확경부(24)와 환 형상 축경부(42)가 직경 방향에 대향하도록 근접하고 있으며, 양자의 직경 방향 거리는 호스의 두께보다 작기 때문에, 양자가 호스를 협지하고, 호스를 고정함과 아울러 호스를 흐르는 유체의 누설을 방지한다. 또한, 환 형상 확경부(24)와 축경돌기(50)의 거리가 호스의 두께보다 작기 때문에, 축경돌기(50)가 호스를 환 형상 확경부(24)에 압박하여 호스를 고정해서 호스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로크 위치에 있어서, 로크부재(14)는 걸림고정돌기(64) 및 종동돌기(70)가 각각 도입홈(72) 및 종단홈(76)에 수용되어 있는 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지만, 종단홈(76)은 경사져 있지 않기 때문에 전후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는다. 또, 로크부재(14)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은, 걸림고정돌기(64)와 도입홈(72)의 걸림 고정에 의해서 방지되지만, 로크부재(14)에 과대한 회전력이 가해지면, 로크부재(14)가 파괴됨으로써, 로크부재(14)가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걸어맞춤부 (38)와 창부(40)의 사이에는 긴 구멍(48)이 있기 때문에, 제 2 걸어맞춤부(38)와 창부(40)의 경계의 긴 구멍(48)이 없는 파단부(49)에 둘레 방향의 전단력이 집중되고, 상기 부분이 둘레 방향으로 파괴된다. 또한, 파단부(49)가 우선적으로 파단되도록, 둘레 방향의 홈 또는 노치를 설치하여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파괴되었을 때, 로크부재(14)의 창부(40)보다 전방의 부분은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로크부재(14)가 파괴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제 2 걸어맞춤부 (38)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로크부재(14)의 창부(40)보다 전방 부분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때문에, 호스의 고정 및 밀봉 상태는 유지된다.
다음에, 도 10∼도 12를 참조하여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호스 커넥터 (10)의 변형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 부분은 상위점으로서 설명한 부분을 제외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이다. 이들의 변형형태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12)는 표준형태와 공통된다.
도 10은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로크부재(82)를 나타내는 (a) 횡단면도 및 (b) 정면도이다. 로크부재(82)는 창부(40)의 창(46)보다도 후방에, 4개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4개의 긴 구멍(84)과, 긴 구멍(84)에 의해서 분리된 4개의 기둥(86)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의 표준형태와 상위하다. 4개의 긴 구멍(84)은 둘레 방향 길이는, 원둘레의 약 80°∼89˚의 범위로 연장되게 형성되기 때문에, 기둥(86)의 둘레 방향 길이는 짧다. 따라서, 로크 위치에 있어서, 로크부재(82)에 회전력이 가해지면, 기둥(86)에 둘레 방향의 전단력이 집중되고, 기둥(86)에서 로크부재(82)가 파단된다. 파괴되었을 때, 제 1 실시형태의 표준형태와 마찬가지로, 로크부재(82)의 긴 구멍(84) 및 기둥 (86)보다 전방의 부분은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로크부재(82)가 파괴된 것을 알 수 있지만, 제 2 걸어맞춤부(38)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로크부재(82)의 긴 구멍(84) 및 기둥(86)보다 전방 부분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때문에, 호스의 고정 및 밀봉 상태는 유지된다.
도 11은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로크부재(88)를 나타내는 (a) 횡단면도 및 (b) 정면도이다. 로크부재(88)는 창부(90)의 외주면에 축선 방향의 다수의 노치(92)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의 표준형태와 상위하다. 인접하는 노치(92) 사이의 외주면은, 횡단시로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비로크 위치에서 로크 위치로 로크부재(88)를 회전시킬 때는, 로크부재(88)는 변형하지 않고 횡단면시로 대략 원환 형상을 유지한 채 회전한다. 그러나, 로크 위치 등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는 상태에서, 로크부재(88)를 회전시키려고 하면, 회전력을 가하고 있는 조작편(36)과 그 조작편(36)으로부터 회전시키려고 하고 있는 방향은 반대측에 있는 걸림고정돌기(64)와의 사이에, 과대한 인장력이 가해져 노치 (92)가 파단된다. 축선 방향을 따라서 로크부재(88)가 파괴되기 때문에, 호스의 고정 및 밀봉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파단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로크부재(88)가 파괴된 것 및 호스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로크부재(88)를 교환할 필요가 있는 것을 알린다. 또, 로크부재(88)를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치 등의 공구로 끼우는 것에 의해서도, 로크부재(88)를 변형시켜서 과대한 인장력을 노치(92)에게 부여하여 파단시킬 수 있다.
도 12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로크부재(94)를 나타내는 (a) 횡단면도 및 (b) 정면도이다. 로크부재(94)는 창부(40)에서 내주 테이퍼단부(44)에 걸친 내주면의 서로 대향하는 2개소에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얇은 두께부(96)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의 표준형태와 상위하다. 얇은 두께부(96)는 창(46)에 정합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창(46)보다도 전방에만 설치해도 좋고, 창(46)의 전방 및 후방의 쌍방에 설치해도 좋다. 얇은 두께부(96)와 대략 90˚ 둘레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존재하는 조작편(36)의 주위를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치 등의 공구로 끼움으로써, 얇은 두께부(96)에 응력을 집중시키고, 로크부재(94)를 얇은 두께부(96)로 파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파단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로크부재(94)가 파괴된 것 및 호스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로크부재(94)를 교환할 필요가 있는 것을 알린다.
다음에,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호스 커넥터를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 부분은 상위점으로서 설명한 부분을 제외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이다. 도 13 및 도 14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호스 커넥터의 커넥터 본체(112) 및 로크부재(114)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커넥터 본체(112)는 유단측의 내통부(118)를 구비한다. 기단측에는 다른 부재로의 연결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된다. 커넥터 본체(112)와 연결부재는 일체로 성형되어도 좋고, 별체(別體)로서 성형되어도 좋다.
내통부(118)는 기단측부터 차례로, 제 1 걸어맞춤부(120)와, 중간부(22)와, 환 형상 확경부(24)와, 외주테이퍼단부(126)를 구비한다. 중간부(22)와 환 형상 확경부(24)는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며, 외주 테이퍼단부 (126)는 테이퍼의 형상이 기단측의 경사가 큰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위하지만, 그 밖의 부분은 제 1 실시형태의 구성과 대략 일치한다. 제 1 걸어맞춤부(120)는 제 1 실시형태의 볼록부(58) 및 유지오목부(60)에 상당하는 구성이 캠홈(168)에 설치되어 있는 점이나, 걸림고정판(181)이 설치되어 있는 점 등에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위하지만,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로크부재(114)는 커넥터 본체(112)의 내통부(118)에 느슨하게 바깥에서 끼워지는 외통부(134)와, 외통부(134)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2조의 조작편 (136)을 구비한다.
외통부(134)는 그 내주면이 커넥터 본체(112)의 내통부(118)의 외주면에 대향하고 있다. 외통부(134)는 후단측부터 차례로, 제 2 걸어맞춤부(138)와, 창부 (140)와, 환 형상 축경부(142)와, 내주 테이퍼단부(44)를 구비한다.
제 2 걸어맞춤부(138)는 제 1 걸어맞춤부(120)과 함께, 커넥터 본체(112)와 로크부재(114)의 걸어맞춤수단을 제공하는 부분이며,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창부(140)는 그 내주면이 대체로 커넥터 본체(112)의 중간부(22)에 대향하고 있으며, 원통 형상의 둘레벽을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에 의해서 형성된 2개의 창(146)을 구비한다. 2개의 창(146)은 둘레 방향을 따라서 서로 180°어긋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원 형상을 나타낸다. 창(146)을 통해서 커넥터 본체(112)의 중간부(22)를 시인할 수 있다. 또, 창(146)은 제 2 걸어맞춤부(138)와 창부(140)의 경계로 되어 있으며, 제 2 걸어맞춤부(138)와 창부 (140)는 조작편(136)이 형성되는 위치에서 연결하고 있다.
환 형상 축경부(142)는 축경돌기(5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조작편(136)이 형성되는 둘레벽 내면의 2개소라고 하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다르지만, 다른 점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내주 테이퍼단부(44)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진다.
2조의 조작편(136)은 서로 180°둘레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1조의 조작편(136)은 서로 둘레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축선 방향으로 평행한 2장의 판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에, 커넥터 본체(112)의 제 1 걸어맞춤부(120)와 로크부재(114)의 제 2 걸어맞춤부(138)의 걸어맞춤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걸어맞춤부(120)와 제 2 걸어맞춤부(138)의 걸어맞춤구조는, 로크부재(114)를 비로크 위치에서 커넥터 본체 (112)에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기구와, 로크부재(114)를 비로크 위치에서 로크 위치로 이동시키는 캠기구와, 로크부재(14)를 로크 위치에 고정하는 로크기구를 제공한다. 제 1 걸어맞춤부(120) 및 제 2 걸어맞춤부(138)는 각각, 축 주위로 180°회전하면, 원래의 형상과 대체로 일치하는 회전대칭성을 구비한다. 이하, 제 1 걸어맞춤부(120) 또는 제 2 걸어맞춤부(138)의 1쌍의 구성요소 중, 일측을 설명하지만, 타측도 마찬가지의 구조 및 기능을 가진다.
유지기구는 제 1 걸어맞춤부(120)에 형성된 걸림고정판(181)의 오목부(183)와, 제 2 걸어맞춤부(138)에 형성된 볼록부(185)에 의해서 구성된다. 걸림고정판 (181)은, 제 1 걸어맞춤부(120)의 기단측에 형성되어 평면시로 원환 형상을 나타내며, 그 외경은, 로크부재(114)의 외경에 대략 일치한다. 걸림고정판(181)은, 그 외주면의 서로 180°어긋난 위치에 직경 방향으로 움푹 팬 2개의 오목부(183)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걸어맞춤부(138)에는, 그 후단에 있어서, 서로 둘레 방향으로 180°어긋난 위치에 후방으로 돌출되는 2개의 볼록부(185)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85)의 외주면의 형상은, 후방이 가늘게 된 산형(山形)을 나타낸다. 오목부 (183)는 볼록부(185)를 수용한다. 볼록부(185)가 산형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볼록부(185)가 오목부(183)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소정의 값 이상의 회전력을 로크부재(114)에 가하면, 볼록부(185)는, 그 산형의 경사면이 오목부(183)를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오목부(183)로부터 이탈한다.
캠기구는, 제 1 걸어맞춤부(120)에 형성된 캠홈(168)과, 제 2 걸어맞춤부 (138)에 형성되어 캠홈(168)에 수용되는 종동돌기(170)에 의해서 구성된다. 캠홈 (168)은,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도입홈(172)과, 도입홈(172)의 후단측으로부터 일방의 둘레 방향(도 13의 좌측 방향)의 경사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되는 경사홈(174)과, 경사홈(174)의 전단측으로부터 둘레 방향(도 13의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종단홈(176)을 구비한다. 도입홈(172)의 기단측에는, 바닥면이 돌출된 볼록부(173)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73)의 돌출단의 높이는, 도입홈(172)의 홈 가장자리보다도 낮다. 볼록부(173)의 전면은, 직경 방향 외측으로 진행됨에 따라 후방으로 진행되도록 경사져 있다. 볼록부(173)의 후면은, 경사홈(174) 측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도입홈(172)의 전단은 개방되어 있다. 캠홈(168)의 경사홈(174) 및 종단홈 (176)의 바닥면의 전후 방향 중심축으로부터의 높이는, 중간부(22)의 외경에 대략 일치하며, 일정하다. 종동돌기(170)는 제 2 걸어맞춤부(138)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이다. 제 2 걸어맞춤부(138)는, 종동돌기(170)가 둘레 방향의 중심에 형성된 양쪽 지지 들보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종동돌기(170)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탄성 변형한다.
로크기구는, 종단홈(176)에 형성된 어깨면(177)과, 종동돌기(170)에 의해서 제공된다. 어깨면(177)은 종단홈(176)의 기단측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주면(主面)이 경사홈(174)이 존재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의 둘레 방향을 향하고 있다.
다음에, 유지기구, 캠기구 및 로크기구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는, 종동돌기(170)와 도입홈(172)을 축선 방향에 정합시켜서, 로크부재(114)를 커넥터 본체(112)의 선단측으로부터 삽입한다. 그러면, 종동돌기(170)는, 도입홈 (172)을 따라서 이동할 때에, 볼록부(173)의 경사진 전면을 슬라이드 이동하고, 제 2 걸어맞춤부(138)를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탄성 변형시키며, 그 후, 경사홈 (174)의 기단측에 이르고, 제 2 걸어맞춤부(138)는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종동돌기(170)가 경사홈(174)에 스냅 결합한다. 이때, 볼록부(173)의 후면이기도 한 경사홈(174)의 측면과 종동돌기(170)의 전면이 맞닿도록 볼록부 (173)와 종동돌기(170)가 걸어 맞추어, 로크부재(114)가 전방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 로크부재(114)의 후방으로의 이동은, 경사홈(174)의 기단측 측면이 종동돌기(170)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규제된다. 또, 로크부재(114)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소정의 값보다도 작은 경우는, 볼록부(185)가 오목부(183)에 수용되어 걸림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로크부재(114)의 회전은 규제된다. 이 위치(비로크 위치)로부터, 로크부재(114)에 소정의 값 이상의 회전력을 가하여 로크부재 (114)를 평면시로 우회전시키면, 볼록부(185)가 오목부(183)로부터 이탈함과 아울러, 종동돌기(170)가, 경사홈(174)의 형상을 따라서 둘레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방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후, 종단홈(176)에 이른다. 또한, 종동돌기(170)가 어깨면(177)에 걸림 고정되면, 로크부재(114)의 역회전이 방지된다.
다음에, 제 2 실시형태의 호스 커넥터를 이용하여 호스를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미리 커넥터 본체(112)에 로크부재(114)를 장착하여 두고, 로크부재(114)를 비로크 위치에 배치하여 둔다. 커넥터 본체(112)에 로크부재(114)를 장착하려면, 사용자는 종동돌기(170) 및 볼록부(185)가 각각 도입홈(172) 및 오목부 (183)와 축선 방향에 정합하도록, 로크부재(114)와 커넥터 본체(112)의 위치를 정하고, 로크부재(114)를 커넥터 본체(112)의 선단측에서 커넥터 본체(112)에 삽입하며, 종동돌기(170)가 경사홈(174)에 수용될 때까지 로크부재(114)를 커넥터 본체 (112)의 기단측으로 슬라이딩시킨다. 또한, 커넥터 본체(112)의 기단측의 다른 부재로의 장착은, 상기 작업 전후의 어느 한쪽에서 실행해도 좋다. 이때, 로크부재 (114)는 종동돌기(170)가 경사홈(174)의 측면에 의해서 걸림 고정되기 때문에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볼록부(185)가 오목부(183)에 수용되어 걸림 고정되기 때문에 둘레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다음에, 사용자는 커넥터 본체(112)의 내통부(118)와 로크부재(114)의 외통부(134) 사이의 환 형상 공극(80) 내로 호스의 선단부를 돌입시킨다.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이유에 의해,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호스를 환 형상 공극(80)에 용이하게 돌입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호스의 선단부가 환 형상 확경부(24) 및 환 형상 축경부(142)를 넘어서 돌입되어 어깨면(29)에 맞닿고 있는 것을 창(146)을 통해서 확인한다.
다음에, 사용자는 로크부재(114)를 평면시로 우회전시켜서 로크 위치로 이동시킨다. 사용자가 비로크 위치에서 로크부재(114)를 평면시로 우회전시키면, 볼록부(185)가 오목부(183)로부터 이탈하고, 종동돌기(170)가 캠홈(168)의 경사홈(174)을 따라서 이동하며, 로크부재(114)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종동돌기(170)가 종단홈 (176)에 이르면, 로크부재(114)는 호스의 탄성에 의해 후방으로 압압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더욱더 로크부재(114)를 회전시키면, 어깨면(177)에 있어서, 로크부재(114)는 후방으로 약간 이동하고, 종동돌기(170)가 어깨면(177)에 걸림 고정된다. 이에 따라, 로크부재(114)가 로크 위치에 고정된다. 이때, 환 형상 확경부 (24)와 환 형상 축경부(42)가 직경 방향에 대향하도록 근접하고 있으며, 양자의 직경 방향 거리는 호스의 두께보다 작기 때문에, 양자가 호스를 협지하고, 호스를 고정함과 아울러 호스를 흐르는 유체의 누설을 방지한다. 또한, 환 형상 확경부(24)와 축경돌기(50)의 거리가 호스의 두께보다 작기 때문에, 축경돌기(50)가 호스를 환 형상 확경부(24)에 압박하여 호스를 고정해서 호스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경사홈(174) 및 어깨면(177)의 축선 방향 길이는, 어깨면(177)을 따른 로크부재(114)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호스의 고정 및 밀봉이 불완전하게 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로크를 해제하여 호스를 떼어내고 싶을 때는, 사용자는 로크부재(114)를 어깨면(177)으로부터 이간시키도록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평면시로 좌회전시킨다. 그러면, 경사홈(174)의 형상을 따라서 종동돌기(170)가 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로크부재(114)는 비로크 위치로 이동한다. 환 형상 확경부(24)와 환 형상 축경부 (42)가 이간하여, 환 형상 공극(80)의 직경 방향 거리가 호스의 두께 이상으로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호스를 떼어낼 수 있다.
다음에, 도 15를 참조하여 제 2 실시형태의 변형형태를 설명한다. 도 15는 커넥터 본체(190)의 (a) 횡단면도 및 (b) 정면도이다. 커넥터 본체(190)는 제 2 실시형태의 표준형태와 비교하면, 내통부(191)의 제 1 걸어맞춤부(192)에 있어서 상위하지만, 그 밖의 부분은 동일하다. 제 1 걸어맞춤부(192)는 축 주위로 180°회전하면, 원래의 형상과 대체로 일치하는 회전대칭성을 구비한다. 또, 로크부재 (114)는 제 2 실시형태의 표준형태와 동일하다.
비로크 위치에서 로크부재(114)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기구는, 제 2 실시형태의 표준형태와 같이, 제 1 걸어맞춤부(192)에 형성된 걸림고정판(181)의 오목부 (183)와, 제 2 걸어맞춤부(138)에 형성된 볼록부(185)에 의해서 구성된다.
로크부재(114)가 회전했을 때에 로크부재(114)를 비로크 위치에서 로크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캠기구, 및 로크부재(114)를 로크 위치에 유지하는 로크기구는, 제 1 걸어맞춤부(192)에 형성된 캠홈(193)과, 제 2 걸어맞춤부(138)에 형성되어 캠홈(193)에 수용되는 종동돌기(170)에 의해서 구성된다. 캠홈(193)은 일측의 둘레 방향(도 15의 좌측 방향)의 경사진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되는 1쌍의 경사홈 (194)과, 경사홈(194)의 전단측과 인접하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1개의 둘레홈 (195)을 구비한다.
둘레홈(195)은 외경이 중간부(22)의 외경과 일치하는 둘레홈 바닥면(196)과, 둘레홈 바닥면(196)의 전방측에서 직경 방향으로 돌출된 전방측 원환벽(197)과, 둘레홈 바닥면(196)의 후방측에서 직경 방향으로 돌출된 후방측 원환벽(198)에 의해서 구성되고, 제 1 걸어맞춤부(192)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존재하는 1개의 홈이다. 전방측 원환벽(197)은 서로 180˚ 어긋난 위치에 있어서, 그 외주면에서 직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된 2개의 전방측 오목부(199)를 가진다. 후방측 원환벽(198)은 서로 180°어긋난 위치에 있어서, 그 외주면에서 직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전방측 오목부(199)와 축선 방향에 정합하는 2개의 후방측 오목부(200)를 가진다. 또, 둘레홈(195)에는 전방측 오목부(199) 및 후방측 오목부(200)와 축선 방향에 정합하는 위치에, 둘레홈 바닥면(196)에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고정벽(201)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고정벽(201)의 직경 방향 높이는, 전방측 오목부(199) 및 후방측 오목부(200)의 직경 방향 높이 이하이다. 걸림고정벽(201)의 전단면은 직경 방향 외측으로 진행됨에 따라, 후방으로 진행되도록 경사져 있다. 걸림고정벽(201)은 둘레 방향에 소정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 파단되도록, 밑에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고정벽(201)과 전방측 오목부(199) 및 후방측 오목부(200)의 측면의 둘레 방향 거리는, 종동돌기 (170)의 둘레 방향 폭보다도 작다.
1쌍의 경사홈(194)은 둘레홈(195)의 후단측에 인접하고 있으며, 서로 180°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경사홈(194)은 외경이 중간부(22)의 외경과 일치하는 경사홈 바닥면(202)과, 경사홈 바닥면(202) 및 후방측 원환벽(198)에 직교하는 측벽(203)과, 측벽(203)의 후단에서 일측의 둘레 방향(도 15의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후방측 벽(204)과, 후방측 벽(204)의 측벽(203)은 반대측의 단부에서 일측의 둘레 방향(도 15의 좌측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전방으로 진행하도록 경사진 경사벽(205)과, 후방측 원환벽(198)의 일부에 의해서 형성된다. 측벽(203), 후방측 벽(204) 및 경사벽(205)의 직경 방향 높이는, 후방측 원환벽(198)의 후방측 오목부(20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직경 방향 높이에 일치한다. 경사홈(194)을 형성하는 부분의 후방측 원환벽(198)은 경사벽(205)과 인접하는 부분에 있어서, 후면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진행됨에 따라 전방으로 진행하는 테이퍼부(206)를 가진다.
다음에, 유지기구, 캠기구 및 로크기구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는 종동돌기(170)와, 전방측 오목부(199), 걸림고정벽(201) 및 후방측 오목부(200)를 축선 방향에 정합시켜서 로크부재(114)를 커넥터 본체(190)의 선단측으로부터 삽입한다. 그러면, 종동돌기(170)는 전방측 오목부(199)를 통과한 후, 걸림고정벽(201)의 경사진 전면을 슬라이드 이동하고, 제 2 걸어맞춤부(138)를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탄성 변형시킨다. 종동돌기(170)가 걸림고정벽(201)을 넘으면, 제 2 걸어맞춤부(138)는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고, 그 후, 후방측 오목부(200)를 통과하여 경사홈(194)에 수용된다. 이때, 걸림고정벽(201)의 후면에 종동돌기(170)가 맞닿도록 걸림고정벽(201)과 종동돌기(170)가 걸어 맞춤으로써, 로크부재(114)가 전방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 로크부재(114)의 후방으로의 이동은, 후방측 벽 (204)의 전면이 종동돌기(170)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규제된다. 또, 로크부재(114)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소정의 값보다도 작은 경우는, 볼록부(185)가 오목부(183)에 수용되어 걸림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로크부재(114)의 회전은 규제된다. 이 위치(비로크 위치)로부터, 로크부재(114)에 소정의 값 이상의 회전력을 가해서 로크부재(114)를 평면시로 우회전시키면, 볼록부(185)가 오목부(183)로부터 이탈함과 아울러, 종동돌기(170)는 경사벽(205)을 슬라이드 이동하여 둘레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방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테이퍼부(206)에 있어서, 전방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제 2 걸어맞춤부(138)를 탄성 변형시킨다. 종동돌기(170)가 테이퍼부(206)를 넘으면, 제 2 걸어맞춤부(138)가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고, 종동돌기(170)가 둘레홈(195)에 수용된다. 이때, 로크부재 (114)는 종동돌기(170)가 둘레홈(195) 내의 2개의 걸림고정벽(201)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지만, 종동돌기(170)가 전방측 원환벽(197) 및 후방측 원환벽(198)에 걸림 고정되기 때문에,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로크 위치에 유지된다. 로크부재(114)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가 로크부재(114)에 과대한 회전력을 가하면, 걸림고정벽(201)의 노치가 설치된 밑이 파단 또는 절곡되고, 사용자에게 로크부재(114)의 파손을 인식시킬 수 있다. 또, 이때, 로크부재(114)는 공전하지만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은 규제되기 때문에, 호스의 고정 및 밀봉은 유지된다. 호스를 떼어낼 때는, 로크부재(114)를 파괴한다.
이상으로 구체적 실시형태의 설명을 끝내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일없이 폭넓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로를 분기시켜서 2개 이상의 유단측의 구조를 형성시켜도 좋다. 또, 호스 커넥터의 기단측을 유단측과 같은 구조로 하여 2개의 호스를 연결시켜도 좋다. 또, 로크부재의 전부 또는 일부를 투명 또는 반투명성의 소재에 의해서 형성하고, 투명 또는 반투명성 부분을 창으로 해도 좋다. 또, 환 형상 축경부가 비로크 위치에 있어서 환 형상 확경부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도록, 환 형상 축경부 및 환 형상 확경부의 위치를 정하고, 로크부재의 비로크 위치에서 로크 위치로의 변위가, 로크부재의 전방에서 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실행되도록, 호스 커넥터를 구성해도 좋다. 또, 환 형상 확경부 및 환 형상 축경부는, 쌍방이 테이퍼에 의해서 형성되어 서로 축선에 대한 경사 각도가 동일한 경사면에 의해서 구성되는 형상으로 해도 좋으며, 쌍방 또는 일방이 환 형상의 돌조에 의해서 형성되어도 좋다.
10: 호스 커넥터 12, 112: 커넥터 본체
14, 82, 88, 94, 114: 로크부재 20, 120: 제 1 걸어맞춤부
24: 환 형상 확경부 26: 외주 테이퍼단부
36, 136: 조작편 38, 138: 제 2 걸어맞춤부
42, 142: 환 형상 축경부 44: 내주 테이퍼단부
46, 146: 창 58: 볼록부
60: 유지오목부 62: 탄성편
64: 걸림고정돌기 68, 168: 캠홈
70, 170: 종동돌기 80: 환 형상 공극

Claims (14)

  1. 호스를 접속하는 호스 커넥터로서,
    내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통부의 기단측의 외주에 제 1 걸어맞춤부가 형성된 커넥터 본체와,
    상기 내통부에 바깥에서 끼워져 상기 내통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환 형상 공극을 형성하는 내주면이 형성된 외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통부에 상기 제 1 걸어맞춤부와 걸어 맞춤 가능한 제 2 걸어맞춤부가 형성된 로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걸어맞춤부가, 상기 로크부재가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서 둘레 방향으로 좌회전 또는 우회전했을 때에, 상기 로크부재가 상기 커넥터 본체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로크 위치와 비(非)로크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하는 캠기구를 형성하며,
    상기 내통부는 환 형상 확경부를 그 외주면에 구비하고, 상기 외통부는 환 형상 축경부를 그 내주면에 구비하며,
    상기 로크부재가 비로크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환 형상 확경부 및 상기 환 형상 축경부가 축선 방향으로 서로 이반(離反)한 위치에 있고, 상기 로크부재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환 형상 확경부 및 상기 환 형상 축경부가 축선 방향으로 서로 근접한 위치에 있도록, 상기 환 형상 확경부 및 상기 환 형상 축경부의 축선 방향 위치가 정해지며,
    상기 로크부재가 비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외통부 사이의 환 형상 공극 내로 호스의 선단부를 돌입시키고, 상기 로크부재를 둘레 방향으로 좌회전 또는 우회전시켜서 로크 위치로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호스의 선단부를 상기 환 형상 확경부 및 상기 환 형상 축경부의 사이에 협지(挾持)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스냅 결합에 의해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통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유단측에 대응하는 전단측을 향하여 확경하는 테이퍼단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커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의 외주면에는, 유단측을 향하여 축경하는 테이퍼단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커넥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캠기구는, 상기 제 1 걸어맞춤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 2 걸어맞춤부의 내주면의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된 캠홈과, 상기 제 1 걸어맞춤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 2 걸어맞춤부의 내주면의 어느 하나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캠홈에 수용되는 종동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캠홈은 둘레 방향에 대해서 축선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커넥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걸어맞춤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 2 걸어맞춤부의 내주면의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고정돌기와, 상기 제 1 걸어맞춤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 2 걸어맞춤부의 내주면의 어느 하나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로크 위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고정돌기를 걸림 고정하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디텐트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커넥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캠기구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또한 상기 로크 위치에 있어서 상기 종동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종동돌기의 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둘레홈을 더 구비하며,
    상기 둘레홈은, 상기 종동돌기의 둘레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걸림고정벽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고정벽은 상기 종동돌기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로크부재에 소정의 회전력을 가하면, 파단 또는 절곡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커넥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는 둘레 방향 및 축선 방향의 적어도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또한 상기 로크 위치에 있어서 소정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 파단되도록 구성된 파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커넥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는 상기 비로크 위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에 해제 가능하게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커넥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에는, 상기 환 형상 축경부의 후방에, 상기 호스의 돌입 상태를 시인 가능한 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커넥터.
  11. 삭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유단측을 향하여, 또한 상기 호스의 돌입 상태에 있어서 상기 호스의 선단이 맞닿음 가능한 어깨면을 구비하고,
    상기 창은, 비로크 위치에 있어서 상기 어깨면의 시인 가능한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커넥터.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는, 외측으로 돌출된 조작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커넥터.
  14.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3, 청구항 4, 청구항 5, 청구항 6, 청구항 7, 청구항 8, 청구항 9, 청구항 10,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호스 커넥터에, 상기 호스를 접속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로크부재를 상기 커넥터 본체에 유지시켜서 상기 비로크 위치에 배치하는 스텝과,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외통부 사이의 환 형상 공극 내로 호스의 선단부를 돌입시키고, 상기 호스의 선단을 상기 환 형상 확경부 및 상기 환 형상 축경부보다도 후방의 소정의 위치에 이르게 하는 스텝과, 상기 로크부재를 회전시켜서 상기 로크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환 형상 확경부와 상기 환 형상 축경부에서 상기 호스를 협지시키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40141676A 2013-10-25 2014-10-20 호스 커넥터 KR1016475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21941 2013-10-25
JP2013221941A JP6216210B2 (ja) 2013-10-25 2013-10-25 ホース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043A KR20150048043A (ko) 2015-05-06
KR101647556B1 true KR101647556B1 (ko) 2016-08-10

Family

ID=52994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676A KR101647556B1 (ko) 2013-10-25 2014-10-20 호스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10006B2 (ko)
JP (1) JP6216210B2 (ko)
KR (1) KR1016475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8646A (ko) 2020-02-03 2021-08-11 이정호 특정 배관 연결용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84895B2 (ja) 2014-03-28 2017-08-23 株式会社ニフコ ホースコネクタ及びホースコネクタを一体的に備えた自動車部品
CN107052769B (zh) * 2016-12-27 2023-08-22 宣城市建林机械有限公司 旋转组件的锁紧装置
JP2019002462A (ja) * 2017-06-14 2019-01-10 株式会社カネカ チューブ用継手
KR102230795B1 (ko) 2019-04-03 2021-03-22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3390A (ja) 2001-04-06 2002-10-18 Tokai Rubber Ind Ltd クィックコネクタ
JP2010054041A (ja) 2007-12-19 2010-03-11 Nifco Inc 結合確認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1030U (ko) * 1975-08-25 1977-03-04
US4278279A (en) * 1979-06-07 1981-07-14 Zimmerman Harry M Cam-lock fitting
US4577894A (en) * 1983-08-01 1986-03-25 Wake Harold E Axial compression hose coupling
US4750764A (en) * 1985-06-20 1988-06-14 Gibellina Michael C Floating hose coupling
US4903995A (en) * 1988-09-30 1990-02-27 Colder Products Company Self-tightening soft tubing fitting and method of use
ATE97215T1 (de) * 1989-05-29 1993-11-15 Autobrevets Vorrichtung zum dichten verbinden eines rohres mit einem schlauch.
US5284368A (en) * 1991-07-25 1994-02-08 Hans Oetiker Ag Maschinen- Und Apparatefabrik Connection for flexible and stretchable tubes, especially silicon tubes
JP3925567B2 (ja) * 1997-02-13 2007-06-06 株式会社ニフコ パイプコネクター
US6231085B1 (en) * 1997-04-21 2001-05-15 Irrigation Development Company Tubing coupling and hose end combination, and related method
IT1309925B1 (it) * 1999-10-27 2002-02-05 Irritec S R L Elemento di raccordo per tubi, in particolare per tubi di materiaplastica.
US6871880B1 (en) * 2001-08-20 2005-03-29 Olson Irrigation Systems Irrigation adaptor
US7497476B2 (en) * 2002-04-22 2009-03-03 Mahle Technology, Inc. Positive locking connector for vehicle component
JP2006300127A (ja) 2005-04-18 2006-11-02 Togo Seisakusho Corp 止め具
JP2008256012A (ja) * 2007-04-02 2008-10-23 Mirai Ind Co Ltd 合成樹脂製流体管用の継手
JP5570320B2 (ja) * 2010-06-29 2014-08-13 株式会社ニフコ 燃料タンクの配管構造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3390A (ja) 2001-04-06 2002-10-18 Tokai Rubber Ind Ltd クィックコネクタ
JP2010054041A (ja) 2007-12-19 2010-03-11 Nifco Inc 結合確認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8646A (ko) 2020-02-03 2021-08-11 이정호 특정 배관 연결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043A (ko) 2015-05-06
JP6216210B2 (ja) 2017-10-18
US9310006B2 (en) 2016-04-12
US20150115599A1 (en) 2015-04-30
JP2015083851A (ja)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7556B1 (ko) 호스 커넥터
KR101429557B1 (ko) 파이프 조인트
JP2006313010A (ja) 配管継手装置
US20050046178A1 (en) Tube joint
MXPA03006136A (es) Dispositivo conector de tuberia.
JP2004347074A (ja) 管継手
JP2004144173A (ja) 管継手
JP2010196782A (ja) クイックコネクタの解除器具
JP4088922B2 (ja) 継手
CN103982726A (zh) 联接单元
CN112049996A (zh) 连接器以及连接器的组装方法
JP2592358B2 (ja) 管継手
JP2004092903A (ja) 管接続装置
US20050161940A1 (en) False insertion protection top hat for fluid quick connectors
US10041617B2 (en) Hose connector and automotive component part incorporated with hose connector
JP2018017336A (ja) 継手
JP2006300127A (ja) 止め具
JP2006017296A (ja) パネル貫通の配管部材のホルダ
JP2019123499A (ja) 自転車及びタイヤ構造
JP2018115739A (ja) 管継手
US20190344067A1 (en) Coupling Component And Fluid Coupling
US20220403959A1 (en) Fitting, pipe connecting structure and liquid chromatograph
JP2018059578A (ja) 防水管継ぎ手
JP7006817B2 (ja) 継手
JP6174919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