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411B1 - 레이저 빔을 이용한 유리 성형 장치 및 유리 성형 방법 - Google Patents

레이저 빔을 이용한 유리 성형 장치 및 유리 성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411B1
KR101647411B1 KR1020150018883A KR20150018883A KR101647411B1 KR 101647411 B1 KR101647411 B1 KR 101647411B1 KR 1020150018883 A KR1020150018883 A KR 1020150018883A KR 20150018883 A KR20150018883 A KR 20150018883A KR 101647411 B1 KR101647411 B1 KR 101647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material
laser beam
vacuum
specific region
sha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Priority to KR1020150018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 C03B23/035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by suction or blowing out for providing the deformation force to bend the glass sheet
    • C03B23/0357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by suction or blowing out for providing the deformation force to bend the glass sheet by suction without blowing, e.g. with vacuum or by venturi effec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086H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forming shaped glass articles in general, e.g. bur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레이저 빔을 이용한 유리 성형 장치 및 유리 성형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유리 성형 장치는,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에 레이저빔을 국부적으로 조사하여 가열시키는 레이저 조사장치와, 상기 유리 소재가 적재되며, 상기 레이저빔에 의해 가열된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진공에 의해 흡착시키는 성형 몰드와, 상기 유리 소재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성형 몰드에 흡착된 유리 소재를 압착한 다음, 회전에 의해 상기 유리 소재를 성형하는 성형 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이저 빔을 이용한 유리 성형 장치 및 유리 성형 방법{Glass forming apparatus and glass forming method using laser beam}
본 발명은 유리 성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유리를 성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유연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발에 따라 유리 소재를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예전에는 유리 소재의 부품을 생산하게 위해서는 주로 연마법을 이용하였으나, 이러한 연마법으로는 생산할 수 있는 유리 부품의 크기, 형태 등이 제약을 받을 뿐만 아니라 양산성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근래에는 GMP(Glass Molding Press) 방식의 직접 프레스 성형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GMP 방식을 이용한 유리 성형 방법은 크게 3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성형 챔버(forming chamber) 내에 질소 가스를 흘려준 후, 성형용 몰드와 유리 소재를 성형 온도까지 가열한다. 그리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정밀 성형 및 서냉 과정으로서, 최적의 고온 고압 조건에서 성형 후 서냉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서냉 과정은 GMP 공정에서 잔류 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필수적인 단계이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유리의 형상 왜곡을 억제하고 전사성을 높이기 위해 가압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단계에서는 유리의 냉각이 이루어진 후 성형된 유리를 성형 챔버로부터 취출하게 된다. 이러한 GMP 방식의 유리 성형 공정은 유리를 성형 온도까지 올리기 위해 유리 전체를 가열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기소모량 및 후처리를 위한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유리를 성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있어서,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에 레이저빔을 국부적으로 조사하여 가열시키는 레이저 조사장치;
상기 유리 소재가 적재되며, 상기 레이저빔에 의해 가열된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진공에 의해 흡착시키는 성형 몰드(forming mold); 및
상기 유리 소재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성형 몰드에 흡착된 유리 소재를 압착한 다음, 회전에 의해 상기 유리 소재를 성형하는 성형 롤러(forming roller);를 포함하는 유리 성형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레이저빔은 상기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유리 전이 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와 용융 온도(melting temperature) 사이의 온도로 가열시길 수 있다.
상기 레이저빔 및 상기 유리 소재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레이저빔이 상기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따라 이동하면서 조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성형 롤러는 상기 레이저빔의 뒤를 따라 가면서 상기 유리 소재를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빔은 상기 유리 소재에 순차적으로 조사되는 예열용 레이저빔 및 성형용 레이저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조사장치는 상기 예열용 레이저빔을 방출하는 예열용 광원과, 상기 성형용 레이저빔을 방출하는 성형용 광원과, 상기 예열용 레이저빔을 복수개로 분할하는 제1 빔분리기와, 상기 성형용 레이저빔을 복수개로 분할하는 제2 빔 분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할된 예열용 레이저빔들은 상기 유리 소재에 동시에 조사되며, 상기 분할된 성형용 레이저빔들은 상기 분할된 예열용 레이저빔들을 따라 가면서 상기 유리 소재에 동시에 조사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조사 장치는 상기 레이저빔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빔 익스팬더(beam expander)와, 상기 레이저빔의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반사 미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형 몰드는 상기 레이저빔에 의해 가열된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진공 흡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진공홀(vacuum hole)과, 상기 성형 몰드의 내부에 상기 진공홀과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외부의 진공 시스템과 연결된 매니폴드(manifol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형 몰드는 상기 레이저빔에 의해 가열된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진공 흡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진공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진공홀과, 상기 성형 몰드의 내부에 상기 제1 진공홀과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외부의 진공 시스템과 연결된 제1 매니폴드와, 상기 성형 몰드의 내부에 상기 제2 진공홀과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진공 시스템과 연결된 제2 매니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형 몰드는 상기 레이저빔에 의해 가열된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진공 흡착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진공홀과, 상기 성형 몰드의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진공홀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진공 그루브(vacuum groove)와, 상기 성형 몰드의 내부에 상기 진공홀들과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외부의 진공 시스템과 연결된 매니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성형 몰드에 적재된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상기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가열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빔에 의해 가열된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진공에 의해 상기 성형 몰드에 흡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성형 롤러를 이용하여 성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 성형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레이저빔은 상기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유리 전이 온도와 용융 온도 사이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상기 가열된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은 상기 성형 몰드에 흡착되기 전에 자체 하중에 의해 상기 성형 몰드 쪽으로 움직이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빔 및 상기 유리 소재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레이저빔이 상기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따라 이동하면서 조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성형 롤러는 상기 레이저빔의 뒤를 따라 가면서 상기 유리 소재를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빔은 상기 유리 소재에 순차적으로 조사되는 예열용 레이저빔 및 성형용 레이저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열용 레이저빔 및 상기 성형용 레이저빔 각각은 복수개로 분할되어 상기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에 조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할된 예열용 레이저빔들은 상기 유리 소재에 동시에 조사되며, 상기 분할된 성형용 레이저빔들은 상기 분할된 예열용 레이저빔들을 따라 가면서 상기 유리 소재에 동시에 조사될 수 있다.
상기 성형 몰드는 상기 레이저빔에 의해 가열된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진공 흡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진공홀과, 상기 성형 몰드의 내부에 상기 진공홀과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외부의 진공 시스템과 연결된 매니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형 몰드는 상기 레이저빔에 의해 가열된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진공 흡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진공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진공홀과, 상기 성형 몰드의 내부에 상기 제1 진공홀과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외부의 진공 시스템과 연결된 제1 매니폴드와, 상기 성형 몰드의 내부에 상기 제2 진공홀과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진공 시스템과 연결된 제2 매니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형 몰드는 상기 레이저빔에 의해 가열된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진공 흡착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진공홀과, 상기 성형 몰드의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진공홀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진공 그루브와, 상기 성형 몰드의 내부에 상기 진공홀들과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외부의 진공 시스템과 연결된 매니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에 제1 레이저빔을 국부적으로 조사하여 가열하는 제1 광원과, 상기 제1 레이저빔이 조사된 상기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에 제2 레이저 빔을 국부적으로 재조사하여 가열하는 제2 광원을 포함하는 레이저 조사장치;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빔이 조사된 상기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진공에 의해 흡착시켜 성형하는 성형몰드; 및
상기 레이저 조사장치와 상기 유리 소재를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이송 유닛;을 포함하는 유리 성형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특정 영역은 복수개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상기 제1 레이저빔이 조사되는 동안, 상기 특정 영역 중 상기 제1 레이저빔이 조사된 다른 한 영역에는 상기 제2 레이저빔이 재조사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제1 광원으로부터 제1 레이저빔을 국부적으로 조사하여 가열하는 단계;
상기 제1 레이저빔의 조사후, 상기 유리 소재와 상기 제1 광원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레이저빔이 조사된 상기 특정 영역에 제2 광원으로부터 제2 레이저빔을 국부적으로 재조사하여 가열하는 단계; 및
성형 몰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빔이 조사된 상기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진공에 의해 흡착함으로써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 성형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레이저 조사장치를 이용하여 레이저빔을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에 조사하여 유리 소재를 국부적으로 가열하고, 이러한 가열에 의해 무른 상태로 변한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자체 하중, 진공 흡착 및 성형 롤러를 이용하여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성형 롤러의 접촉에 따른 성형 과정에서 성형 롤러와 유리 소재의 표면 사이의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으므로 성형 롤러에 의해 유리 소재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성형 롤러의 과도한 압력에 의해 유리 소재가 깨지거나 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리 소재의 성형하고자 하는 영역에만 레이저빔이 조사되어 가열됨으로써 유리 소재를 전체적으로 가열하여 성형하는 경우에 비해 열 손실이 줄일 수 있으므로 전기 소모량을 줄일 수 있고, 상온에서도 유리 소재의 성형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리 성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리 성형 장치를 이용한 성형 공정에서, 성형 몰드 위에 마련된 유리 소재에 예열용 레이저빔과 성형용 레이저빔이 조사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리 성형 장치에서 성형 몰드 및 성형 롤러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에 도시된 유리 성형 장치를 이용하여 유리 소재를 성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공정들에 의해 성형된 유리 소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성형 몰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성형 몰드를 이용하여 유리 소재를 성형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성형 몰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 예시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리 성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리 성형 장치를 이용한 성형 공정에서, 성형 몰드 위에 마련된 유리 소재에 예열용 레이저빔과 성형용 레이저빔이 조사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리 성형 장치에서 성형 몰드 및 성형 롤러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리 성형 장치(100)는 레이저 조사 장치와, 성형 몰드(forming mold,150)와, 성형 롤러(forming roller,161,162)를 포함한다. 레이저 조사장치는 유리 소재(G)에 레이저빔을 조사함으로써 소정 온도, 예를 들면, 유리 전이 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이상으로 가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레이저 조사장치는 성형하고자 하는 유리 소재(G)의 특정 영역에 레이저빔을 조사함으로써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만 국부적으로 가열시킨다. 여기서, 유리 소재(G)는 예를 들면, 모바일 기기나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사용되는 투명한 유리 재질의 기판이 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레이저 조사장치는 레이저 광원과, 빔분리기(beam splitter)와, 반사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이저 광원은 예열용 레이저빔(L1)을 방출하는 예열용 광원(101)과, 성형용 레이저빔(L2)을 방출하는 성형용 광원(10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빔 분리기는 예열용 광원(101)으로부터 출사된 예열용 레이저빔(L1)을 복수개로 분할하는 제1 빔분리기(111)와, 성형용 광원(102)으로부터 출사된 성형용 레이저빔(L2)을 복수개로 분할하는 제2 빔분리기(112)를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제1 빔분리기(111)에 의해 예열용 레이저빔(L1)이 2개의 제1 및 제2 예열용 레이저빔(L11,L12)으로 분할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예열용 레이저빔(L11)은 제1 빔분리기(111)를 투과하고 제2 예열용 레이저빔(L12)은 제1 빔분리기(111)에 의해 반사되는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서는 제2 빔분리기(112)에 의해 성형용 레이저빔(L2)이 2개의 제1 및 제2 성형용 레이저빔(L21,L22)으로 분할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성형용 레이저빔(L21)은 제2 빔분리기(112)를 투과하고 제2 성형용 레이저빔(L22)은 제2 빔분리기(112)에 의해 반사되는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예열용 레이저빔(L1) 및 성형용 레이저빔(L2)이 각각 제1 및 제2 빔분리기에 의해 2개로 분할되는 경우가 설명되었으나 이 경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리 소재(G)의 양측을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유리 소재가 성형되는 부분에 따라 예열용 레이저빔(L1) 및 성형용 레이저빔(L2) 각각이 분할되지 않거나 또는 3개 이상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예열용 레이저빔(L1) 및 성형용 레이저빔(L2) 각각이 2개로 분할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반사미러는 레이저빔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 예열용 레이저빔(L11)을 유리 소재(G) 쪽으로 반사시키는 제1 반사미러(121)와 제1 성형용 레이저빔(L21)을 유리 소재(G) 쪽으로 반사시키는 제2 반사미러(122)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예열용 광원(101)으로부터 방출되어 복수개로 분할된 제1 및 제2 예열용 레이저빔(L11,L12)은 유리 소재의 양측을 따라 조사될 수 있다. 그리고, 성형용 광원(102)으로부터 방출되어 복수개로 분할된 제1 및 제2 성형용 레이저빔(L21.L22)은 각각 제1 및 제2 예열용 레이저빔(L11,L12)과 시간차를 두고 유리 소재(G)의 양측을 따라 조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레이저 조사장치는 추가적인 광학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레이저 조사장치는 레이저빔의 경로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따라 레이저빔을 이동시키면서 조사할 수 있는 스캐너(scann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스캐너를 포함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유리 소재가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경우에는 스캐너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무방하다. 그리고, 레이저 조사장치는 레이저빔의 경로 상에 마려되는 것으로, 레이저빔의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한 빔 익스팬더(beam expand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빔 익스팬더는 레이저 광원과 스캐너 사이, 레이저 광원과 반사미러, 또는 반사미러와 유리 소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유리 소재(G)는 성형 몰드(150)에 적재될 수 있다. 여기서, 성형 몰드(150)는 성형 과정에서 레이저빔에 의해 가열된 유리 소재(G)의 특정 영역을 진공에 의해 흡착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성형 몰드(150)는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측이 라운드 형태로 굴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성형 몰드(15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성형 몰드(150)의 양측 각각에는 가열된 유리 소재(G)의 특정 영역을 흡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진공홀(171,17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성형 몰드(150)의 내부에는 진공홀들(171,172)과 연통하도록 매니폴드(manifold, 18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매니폴드(180)는 배기구를 통해 성형 몰드(150)의 외부에 마련된 진공 시스템(미도시)과 연결되어 있다.
성형 롤러(161,162)는 유리 소재(G)가 적재된 성형 몰드(150)의 양측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성형 롤러(161,16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열된 유리 소재(G)의 특정 영역을 성형 몰드(150) 쪽으로 압착시킨 다음, 회전에 의해 유리 소재(G)를 성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리 성형 장치를 이용한 성형 공정에서, 성형 몰드 위에 마련된 유리 소재에 예열용 레이저빔과 성형용 레이저빔이 조사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성형 공정에서는 예열용 및 성형용 레이저빔(L11,L12,L21,L22)과 유리 소재(G)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예열용 및 성형용 레이저빔(L11,L12,L21,L22)이 성형하고자 하는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P)에 조사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성형 공정에서 유리 소재(G)는 소정의 이송 장치(미도시)에 의해 제1 방향(예를 들면, -y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예열용 레이저빔(L11,L12)은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 예를 들면 y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성형하고자 하는 유리 소재(G)의 양측에 형성된 특정 영역에 조사된다. 또한, 제1 및 제2 성형용 레이저빔(L21,L22)은 시간차를 가지고 제1 및 제2 예열용 레이저빔(L11,L12)의 뒤를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에 조사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예열용 레이저빔(L11,L12)과, 제1 및 제2 성형용 레이저빔(L21,L22)의 조사에 의해 가열된 유리 소재(G)의 특정 영역을 따라 성형 롤러(161,162)가 제1 및 제2 성형용 레이저빔(L21,L22)의 뒤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유리 소재(G), 예열용 및 성형용 레이저빔(L11,L12,L21,L22) 및 성형 롤러(161,162) 모두가 움직이는 경우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다. 하지만, 유리 소재(G)는 고정되고 예열용 및 성형용 레이저빔(L11,L12,L21,L22) 및 성형 롤러(161,162)가 제2 방향(예를 들면, y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예열용 및 성형용 레이저빔(L11,L12,L21,L22) 및 성형 롤러(161,162)가 고정되고 유리 소재(G)가 제1 방향(예를 들면, -y방향)으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유리 성형 장치(100)를 이용하여 유리 소재를 성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유리 성형 장치(100)를 이용하여 유리 소재(G)를 성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d에는 유리 소재(G)의 양측을 성형하는 공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성형 몰드(150)에 유리 소재(G)를 적재한 다음,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성형하고자 하는 유리 소재(G)의 특정 영역(P), 즉 유리 소재의 양측을 소정 온도로 가열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도 1에 도시된 레이저 조사장치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예열용 레이저빔(L11,L12)을 성형하고자 하는 유리 소재(G)의 특정 영역(P)을 따라 유리 소재(G)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면서 조사한다. 여기서, 예열용 레이저빔(L11,L12)의 이동 속도는 예를 들면 대략 10mm/s 정도가 될 수 있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예열용 레이저빔(L11,L12)의 상대적인 이동은 예열용 레이저빔(L11,L12)과 유리 소재(G)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유리 소재(G) 양측의 특정 영역에는 제1 및 제2 예열용 레이저빔(L11,L12)이 동시에 조사될 수 있다.
유리 소재(G)에 입사되는 예열용 레이저빔(L11,L12)은 예를 들면, 대략 5mm ~ 15mm 정도의 빔 사이즈를 가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예열용 레이저빔(L11,L12)의 조사는 후술하는 성형용 레이저빔(L21,L22)이 조사되기 전에 미리 유리 소재(G)의 특정 영역(P)을 예열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제1 및 제2 성형용 레이저빔(L21,L22)을 제1 및 제2 예열용 레이저빔(L11,L12)의 뒤를 따라 시간차를 두고 성형하고자 하는 유리 소재(G)의 특정 영역(P)을 따라 유리 소재(G)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면서 조사한다. 여기서, 성형용 레이저빔(L21,L22)의 이동 속도는 예를 들면 대략 10mm/s 정도가 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성형용 레이저빔(L21,L22)의 상대적인 이동은 성형용 레이저빔(L21,L22)과 유리 소재(G)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유리 소재(G) 양측의 특정 영역(P)에는 제1 및 제2 성형용 레이저빔(L21,L22)이 동시에 조사될 수 있다.
유리 소재(G)에 입사되는 성형용 레이저빔(L21,L22)은 예열용 레이저빔(L11,L12)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대략 5mm ~ 15mm 정도의 빔 사이즈를 가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예열용 레이저빔(L11,L12)과 성형용 레이저빔(L21,L22) 사이의 간격은 예를 들면 대략 10mm ~ 40mm 정도가 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성형용 레이저빔(L21,L22)의 조사는 유리 소재(G)의 특정 영역(P)을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성형용 레이저빔(L21,L22)이 조사된 유리 소재(G)의 특정 영역(P)은 대략 유리 전이 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와 용융 온도(melting temperature) 사이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리 소재(G)의 특정 영역(P)이 유리 전이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게 되면 유리 소재(G)의 특정 영역(P)은 소정 점도를 가지는 무른 상태로 변화하게 된다. 성형용 레이저빔(L21,L22)의 조사에 의해 유리 소재(G)의 특정 영역은 예를 들면 대략 645℃ ~ 675℃ 정도로 가열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유리 소재(G)의 재질에 따라 가열 온도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예열용 레이저빔(L11,L12) 및 성형용 레이저빔(L21,L22)의 조사에 의해 가열되어 무른 상태로 변한 유리 소재(G)의 특정 영역(P)은 자체 하중에 의해 성형 몰드(150) 쪽으로 내려올 수 있다. 이러한 단계는 자체 하중에 의한 성형 단계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무른 상태로 변한 유리 소재(G)의 특정 영역(P)이 성형 몰드(150) 쪽으로 내려오지 않을 수도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성형 몰드(250)의 외부에 마련된 진공 시스템(미도시)을 구동시켜 무른 상태로 변한 유리 소재(G)의 특정 영역(P)을 진공에 의해 성형 몰드(150) 쪽으로 흡착시킨다. 구체적으로, 진공 시스템을 구동하게 되면 매니폴드(180)와 연결된 진공홀들(171,172)이 공기를 빨아들이게 되며, 이 과정에서 무른 상태로 변한 유리 소재(G)의 특정 영역(P)은 성형 몰드(150) 쪽으로 흡착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는 성형 몰드(150)의 진공 흡착에 의한 성형 단계로 볼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성형 몰드(150)에 흡착된 유리 소재(G)의 특정 영역(P)은 성형 롤러(161,162)에 의해 압착된 다음, 성형 롤러(161,162)가 회전하면서 유리 소재(G)를 성형하게 된다. 여기서, 성형 롤러(G)는 성형용 레이저빔(L21,L22)의 뒤를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함에 따라 성형용 레이저빔(L21,L22)의 조사에 의해 가열되어 무른 상태로 변한 유리 소재(G)의 특정 영역에 대한 성형을 완료하게 된다. 이러한 단계를 성형 롤러(162,162)에 의한 성형 단계로 볼 수 있다.
도 5에는 도 4a 내지 도 4d에서 설명된 성형 공정을 통해 성형이 완료된 유리 소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유리 소재(G')의 양측은 성형 몰드(150)의 양측에 대응하도록 라운드 형태의 굴곡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유리 소재(G)의 성형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유리 소재를 성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레이저 조사장치를 이용하여 레이저빔(구체적으로는 예열용 레이저빔(L11,L12)과 성형용 레이저빔(L21,L22))을 유리 소재(G)의 특정 영역(P)에 조사하여 유리 소재(G)를 국부적으로 가열하고, 이러한 가열에 의해 무른 상태로 변한 유리 소재(G)의 특정 영역(P)을 자체 하중, 진공 흡착 및 성형 롤러(161,162)를 이용하여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성형 롤러(161,162)의 접촉에 따른 성형 과정에서 성형 롤러(161,162)와 유리 소재(G)의 표면 사이의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으므로 성형 롤러(161,162)에 의해 유리 소재(G)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성형 롤러(161,162)의 과도한 압력에 의해 유리 소재(G)가 깨지거나 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리 소재(G)의 성형하고자 하는 영역에만 레이저빔이 조사되어 가열됨으로써 유리 소재(G)를 전체적으로 가열하여 성형하는 경우에 비해 열 손실이 줄일 수 있으므로 전기 소모량을 줄일 수 있고, 상온에서도 유리 소재(G)의 성형이 가능해진다.
한편, 이상에서는 예열용 레이저빔과 성형용 레이저빔을 각각 빔분리기에 이해 분리하고 분리된 레이저빔들을 유리 소재의 양측에 동시에 조사함으로써 유리 소재의 양측을 동시에 성형하는 경우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리 소재의 양측은 순차적으로 성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리 성형 장치는 레이저 조사 장치와, 성형 몰드와 이송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조사 장치는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에 제1 레이저빔(즉, 예열용 레이저빔)을 국부적으로 조사하여 가열하는 제1 광원(즉, 예열용 광원)과, 상기 제1 레이저빔이 조사된 상기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에 제2 레이저 빔(즉, 성형용 레이저빔)을 국부적으로 재조사하여 가열하는 제2 광원(즉, 성형용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레이저빔은 그 모양이 유리 소재에 국부적으로 조사될 수 있는 원형빔이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성형몰드는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빔이 조사된 상기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진공에 의해 흡착시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이송 유닛은 상기 레이저 조사장치와 상기 유리 소재를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송 유닛은 유리 소재 및/또는 성형 몰드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제1 및 제2 광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송 유닛은 스캐너를 이용하여 조사되는 제1 및 제2 레이저빔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유리 성형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제1 레이저빔이 조사되는 동안,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 중 이미 제1 레이저빔이 조사된 다른 한 영역에는 상기 제2 레이저빔이 재조사될 수 있다. 이러한 유리 성형 장치를 이용하여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성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제1 광원으로부터 제1 레이저빔을 국부적으로 조사하여 가열한다. 이어서, 제1 레이저빔이 조사된 후에는 이송 유닛에 의해 유리 소재와 제1 광원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제1 광원으로부터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 중 다른 영역에 제1 레이저빔이 조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레이저빔이 조사된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는 제2 광원으로부터 제2 레이저빔을 국부적으로 재조사함으로써 가열시킨다. 이어서, 성형 몰드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레이저빔이 조사된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성형한다. 이 과정에서 제1 및 제2 레이저빔이 조사된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은 진공에 의해 성형 몰드에 흡착됨으로써 성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성형 몰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성형 몰드(25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진공홀(271,272)과, 제1 진공홀(271)과 연통하는 제1 매니폴드(281)와, 제2 진공홀(272)과 연통하는 제2 매니폴드(28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진공홀(271,272)은 레이저빔에 의해 가열된 유리 소재(G)의 특정 영역(P)을 진공 흡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성형 몰드(25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매니폴드(281,282)는 성형 몰드(25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1 및 제2 매니폴드(281,282)는 각각 배기구를 통해 외부의 진공 시스템(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성형 몰드(250)를 이용하여 유리 소재(G)를 성형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빔(구체적으로는 예열용 레이저빔(L11,L12)과 성형용 레이저빔(L21,L22))을 유리 소재(G)의 특정 영역(P)에 조사하여 유리 소재(G)를 국부적으로 가열하고, 이러한 가열에 의해 무른 상태로 변한 유리 소재(G)의 특정 영역(P)은 하중에 의해 성형 몰드(25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제1 매니폴드(281)와 연결된 제1 진공홀들(271)이 공기를 빨아들이도록 진공 시스템을 구동하게 되면, 무른 상태로 변한 유리 소재(G)의 특정 영역(P)이 제1 진공홀들(271) 주위로 흡착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2 매니폴드(282)와 연결된 제2 진공홀들(272)이 공기를 빨아들이도록 진공 시스템을 구동하게 되면, 유리 소재(G)의 특정 영역(P)이 제2 진공홀들(272) 주위로 흡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진공 시스템의 구동에 의해 제1 및 제2 진공홀(271,272)이 순차적으로 공기를 빨아들이게 되면 유리 소재(G)의 특정 영역(P)이 순차적으로 성형 몰드(250)의 양측 아래 방향으로 흡착될 수 있으므로 진공 흡착에 의한 성형 단계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성형 몰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성형 몰드(35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진공홀(371,372)과, 이 제1 및 제2 진공홀(371,372)을 서로 연통하도록 성형 몰드(350)의 양측 표면에 형성된 진공 그루브(vacuum groove,390)와, 성형 몰드(350)의 내부에 제1 및 제2 진공홀(371,372)과 연통하도록 형성된 매니폴드(38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진공홀(371,372)은 레이저빔에 의해 가열된 유리 소재(G)의 특정 영역(P)을 진공 흡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성형 몰드(35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매니폴드(380)는 성형 몰드(35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매니폴드(380)는 배기구를 통해 외부의 진공 시스템(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성형 몰드(350)의 표면에 제1 및 제2 진공홀(371,372)을 서로 연통하도록 진공 그루브(39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진공 그루브(390)는 진공 시스템이 구동되면 제1 진공홀(371) 주변의 압력과 제2 진공홀(372) 주변의 압력을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레이저빔에 의해 가열되어 무른 상태로 변한 유리 소재(G)의 특정 영역(P)이 순차적으로 제1 진공홀(271)의 주위와 제2 진공홀(272)의 주위로 흡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진공 그루브(290)에 의해 진공 흡착에 의한 성형 단계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의하면, 성형 롤러의 접촉에 따른 성형 과정에서 성형 롤러와 유리 소재의 표면 사이의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으므로 성형 롤러에 의해 유리 소재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성형 롤러의 과도한 압력에 의해 유리 소재가 깨지거나 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리 소재의 성형하고자 하는 영역에만 레이저빔이 조사되어 가열됨으로써 유리 소재를 전체적으로 가열하여 성형하는 경우에 비해 열 손실이 줄일 수 있으므로 전기 소모량을 줄일 수 있고, 상온에서도 유리 소재의 성형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유리 성형 장치
101.. 예열용 광원
102.. 성형용 광원
111.. 제1 빔 분리기
112.. 제2 빔 분리기
121,, 제1 반사미러
122.. 제2 반사미러
150,250,350.. 성형 몰드
161,162.. 성형 롤러
171,271, 371.. 제1 진공홀
172,272, 372.. 제2 진공홀
180,380.. 매니폴드
281.. 제1 매니폴드
282.. 제2 매니폴드
390.. 진공 그루브

Claims (25)

  1.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에 레이저빔을 국부적으로 조사하여 가열시키는 레이저 조사장치;
    상기 유리 소재가 적재되며, 상기 레이저빔에 의해 가열된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진공에 의해 흡착시키는 성형 몰드(forming mold); 및
    상기 유리 소재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성형 몰드에 흡착된 유리 소재를 압착한 다음, 회전에 의해 상기 유리 소재를 성형하는 성형 롤러(forming roller);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빔 및 상기 유리 소재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레이저빔이 상기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따라 이동하면서 조사되며,
    상기 성형 롤러는 상기 레이저빔의 뒤를 따라 가면서 상기 유리 소재를 성형하는 유리 성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빔은 상기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유리 전이 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와 용융 온도(melting temperature) 사이의 온도로 가열시키는 유리 성형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빔은 상기 유리 소재에 순차적으로 조사되는 예열용 레이저빔 및 성형용 레이저빔을 포함하는 유리 성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사장치는 상기 예열용 레이저빔을 방출하는 예열용 광원과, 상기 성형용 레이저빔을 방출하는 성형용 광원과, 상기 예열용 레이저빔을 복수개로 분할하는 제1 빔분리기와, 상기 성형용 레이저빔을 복수개로 분할하는 제2 빔 분리기를 포함하는 유리 성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예열용 레이저빔들은 상기 유리 소재에 동시에 조사되며, 상기 분할된 성형용 레이저빔들은 상기 분할된 예열용 레이저빔들을 따라 가면서 상기 유리 소재에 동시에 조사되는 유리 성형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사 장치는 상기 레이저빔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빔 익스팬더(beam expander)와, 상기 레이저빔의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반사 미러를 더 포함하는 유리 성형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몰드는 상기 레이저빔에 의해 가열된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진공 흡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진공홀(vacuum hole)과, 상기 성형 몰드의 내부에 상기 진공홀과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외부의 진공 시스템과 연결된 매니폴드(manifold)를 포함하는 유리 성형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몰드는 상기 레이저빔에 의해 가열된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진공 흡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진공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진공홀과, 상기 성형 몰드의 내부에 상기 제1 진공홀과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외부의 진공 시스템과 연결된 제1 매니폴드와, 상기 성형 몰드의 내부에 상기 제2 진공홀과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진공 시스템과 연결된 제2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유리 성형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몰드는 상기 레이저빔에 의해 가열된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진공 흡착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진공홀과, 상기 성형 몰드의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진공홀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진공 그루브(vacuum groove)와, 상기 성형 몰드의 내부에 상기 진공홀들과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외부의 진공 시스템과 연결된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유리 성형 장치.
  12. 성형 몰드에 적재된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상기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가열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빔에 의해 가열된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진공에 의해 상기 성형 몰드에 흡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성형 롤러를 이용하여 성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빔 및 상기 유리 소재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레이저빔이 상기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따라 이동하면서 조사되며,
    상기 성형 롤러는 상기 레이저빔의 뒤를 따라 가면서 상기 유리 소재를 성형하는 유리 성형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빔은 상기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유리 전이 온도와 용융 온도 사이의 온도로 가열하는 유리 성형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된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은 상기 성형 몰드에 흡착되기 전에 자체 하중에 의해 상기 성형 몰드 쪽으로 움직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리 성형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빔은 상기 유리 소재에 순차적으로 조사되는 예열용 레이저빔 및 성형용 레이저빔을 포함하는 유리 성형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용 레이저빔 및 상기 성형용 레이저빔 각각은 복수개로 분할되어 상기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에 조사되는 유리 성형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예열용 레이저빔들은 상기 유리 소재에 동시에 조사되며, 상기 분할된 성형용 레이저빔들은 상기 분할된 예열용 레이저빔들을 따라 가면서 상기 유리 소재에 동시에 조사되는 유리 성형 방법.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몰드는 상기 레이저빔에 의해 가열된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진공 흡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진공홀과, 상기 성형 몰드의 내부에 상기 진공홀과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외부의 진공 시스템과 연결된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유리 성형 방법.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몰드는 상기 레이저빔에 의해 가열된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진공 흡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진공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진공홀과, 상기 성형 몰드의 내부에 상기 제1 진공홀과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외부의 진공 시스템과 연결된 제1 매니폴드와, 상기 성형 몰드의 내부에 상기 제2 진공홀과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진공 시스템과 연결된 제2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유리 성형 방법.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몰드는 상기 레이저빔에 의해 가열된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진공 흡착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진공홀과, 상기 성형 몰드의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진공홀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진공 그루브와, 상기 성형 몰드의 내부에 상기 진공홀들과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외부의 진공 시스템과 연결된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유리 성형 방법.
  23.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에 제1 레이저빔을 국부적으로 조사하여 가열하는 제1 광원과, 상기 제1 레이저빔이 조사된 상기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에 제2 레이저 빔을 국부적으로 재조사하여 가열하는 제2 광원을 포함하는 레이저 조사장치;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빔이 조사된 상기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진공에 의해 흡착시켜 성형하는 성형몰드;
    상기 레이저 조사장치와 상기 유리 소재를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이송 유닛; 및
    상기 유리 소재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 빔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성형 몰드에 흡착된 상기 유리 소재를 압착한 다음, 상기 유리 소재를 성형하는 성형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 빔이 상기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따라 이동하면서 조사되고,
    상기 성형 롤러는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 빔의 뒤를 따라 가면서 상기 유리 소재를 압착하여 성형하는 유리 성형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영역은 복수개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상기 제1 레이저빔이 조사되는 동안, 상기 특정 영역 중 상기 제1 레이저빔이 조사된 다른 한 영역에는 상기 제2 레이저빔이 재조사되는 유리 성형 장치.
  25.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 제1 광원으로부터 제1 레이저빔을 국부적으로 조사하여 가열하는 단계;
    상기 제1 레이저빔의 조사후, 상기 유리 소재와 상기 제1 광원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레이저빔이 조사된 상기 특정 영역에 제2 광원으로부터 제2 레이저빔을 국부적으로 재조사하여 가열하는 단계;
    성형 몰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빔이 조사된 상기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진공에 의해 흡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성형 롤러를 이용하여 성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 빔은 상기 유리 소재의 특정 영역을 따라 이동하면서 조사되고,
    상기 성형 롤러는 상기 제1 및 제2 레이저 빔의 뒤를 따라 가면서 상기 유리소재를 압착하여 성형하는 유리 성형 방법.
KR1020150018883A 2015-02-06 2015-02-06 레이저 빔을 이용한 유리 성형 장치 및 유리 성형 방법 KR101647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883A KR101647411B1 (ko) 2015-02-06 2015-02-06 레이저 빔을 이용한 유리 성형 장치 및 유리 성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883A KR101647411B1 (ko) 2015-02-06 2015-02-06 레이저 빔을 이용한 유리 성형 장치 및 유리 성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411B1 true KR101647411B1 (ko) 2016-08-10

Family

ID=56713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883A KR101647411B1 (ko) 2015-02-06 2015-02-06 레이저 빔을 이용한 유리 성형 장치 및 유리 성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4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254B1 (ko) * 2021-01-18 2022-03-14 덕양산업 주식회사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
KR20220146121A (ko) * 2021-04-23 2022-11-0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굴곡부를 갖는 유리 기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및 굴곡부를 갖는 유리 기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6680A (ko) * 2007-06-04 2008-12-09 (주)성현 테크놀로지 유리가공장치 및 유리가공방법
KR20110096455A (ko) * 2010-02-22 2011-08-30 우명성 일측 또는 양측에 곡면부를 갖는 핸드폰용 커버글래스 성형장치
KR20130003237A (ko) * 2011-06-30 2013-01-09 에이그라스 주식회사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장치
KR20140045006A (ko) * 2012-10-05 2014-04-16 크루셜텍 (주) 터치 스크린 패널용 강화 글라스의 곡면 성형장치 및 그의 성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6680A (ko) * 2007-06-04 2008-12-09 (주)성현 테크놀로지 유리가공장치 및 유리가공방법
KR20110096455A (ko) * 2010-02-22 2011-08-30 우명성 일측 또는 양측에 곡면부를 갖는 핸드폰용 커버글래스 성형장치
KR20130003237A (ko) * 2011-06-30 2013-01-09 에이그라스 주식회사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장치
KR20140045006A (ko) * 2012-10-05 2014-04-16 크루셜텍 (주) 터치 스크린 패널용 강화 글라스의 곡면 성형장치 및 그의 성형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254B1 (ko) * 2021-01-18 2022-03-14 덕양산업 주식회사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
KR20220146121A (ko) * 2021-04-23 2022-11-0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굴곡부를 갖는 유리 기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및 굴곡부를 갖는 유리 기판
KR102650288B1 (ko) * 2021-04-23 2024-03-27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굴곡부를 갖는 유리 기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및 굴곡부를 갖는 유리 기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08791A1 (en) Forming apparatus and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JP3130510B2 (ja) サングラス用偏光レンズの製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CN104556644A (zh) 玻璃成型品成型装置
KR101647411B1 (ko) 레이저 빔을 이용한 유리 성형 장치 및 유리 성형 방법
KR20100053517A (ko) 유리 벤딩 방법
KR102309386B1 (ko) 윈도우 가공 장치
US11111169B2 (en) Mold shuttle positioning system for a glass sheet forming system
KR101662584B1 (ko) 터치스크린용 커버글라스의 곡면 성형장치 및 그 방법
KR101678986B1 (ko) 레이저 빔을 이용한 유리 성형 장치 및 유리 성형 방법
US11745488B2 (en) Method for production of thin plate-like laminate having film-like resin layer
US8609201B2 (en) Infrared curing process for touch panel manufacturing
KR102650288B1 (ko) 굴곡부를 갖는 유리 기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및 굴곡부를 갖는 유리 기판
TWM545272U (zh) 氣密式連續熱壓成型裝置
KR102343108B1 (ko) 유리 기판 성형 장치 및 유리 기판 성형 방법
KR101618844B1 (ko) 판유리의 성형 방법 및 장치
KR20220110197A (ko) 성형 가능한 열가소성 연속 섬유 강화 복합 구조물, 그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CA3134110A1 (en) Method for producing thin plate-like laminate having film-like resin layer
JP2017530040A (ja) 熱可塑性材料の加熱成形方法および実施設備
JP3964939B2 (ja) 光学素子成形装置
KR20160081119A (ko) 판유리의 성형 방법 및 장치
TWM560387U (zh) 氣密式連續熱壓成型裝置之支撐裝置
KR101738411B1 (ko) 진공흡착이동식 유리성형장치
US20220161483A1 (en) Device for production of thin plate-like laminate having film-like resin layer
TW201934500A (zh) 移載板
KR20160082098A (ko) 판유리의 성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