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254B1 -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254B1
KR102372254B1 KR1020210006704A KR20210006704A KR102372254B1 KR 102372254 B1 KR102372254 B1 KR 102372254B1 KR 1020210006704 A KR1020210006704 A KR 1020210006704A KR 20210006704 A KR20210006704 A KR 20210006704A KR 102372254 B1 KR102372254 B1 KR 102372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groove
vacuum
core
vacuum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정훈
이재용
이동기
오세훈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6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6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 B29C33/1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against the mould wall
    • B29C33/1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against the mould wall us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021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04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ovabl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0Isostatic pressing, i.e. using non-rigid pressure-exerting members against rigid part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4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 several steps
    • B29C43/146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 several steps for making 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20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3/203Making 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2043/3602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means for positioning, fastening or clamping the material to be formed or preforms inside the mould
    • B29C2043/3605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means for positioning, fastening or clamping the material to be formed or preforms inside the mould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2043/3665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res or inserts, e.g. pins, mandrels, sli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6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 B29C2043/561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under vacuum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은, 접착제로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코어의 전면에 표피재를 접착하여 차량 내장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진공홀이 형성된 하부금형에 코어를 안착시키는 세팅단계; 표피재를 상부 금형에서 진공 흡입하는 흡입단계; 및 하부 금형과 상부 금형을 형폐하고, 진공홀을 통해 진공 흡입하는 압착단계를 포함하고, 접착제의 가스가 진공홀로 이동하도록, 하부 금형의 상면에 관통홀과 진공홀을 연결하는 복수의 그루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 금형에 형성된 진공홀을 통해 배출되는 접착제의 증발성분이 최대화되도록 이루어지는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AR INTERIOR MATERIAL}
본 발명은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형에 진공압력을 가하여 코어와 표피재를 접착하도록 이루어지는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크래시패드는 내장 부품 중 승객의 손이 가장 많이 닿는 부위이다. 자동차 회사들은 고급 차종을 중심으로 하드 판넬 재질의 딱딱한 느낌 및 이로 인한 칩 필링(Cheep Feeling) 문제를 해결하고자, 크래시패드 상단 부품의 시각적 및 촉각적 느낌에 따른 차량 내장의 고급감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표면처리 공법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크래시패드 표면 고급화를 이룰 수 있는 표면 처리 기술로는 한 금형 안에서 이종 재질을 층을 이루며 성형하는 기술인 오버 몰딩(Over-molding) 공법, 소프트 스킨 감싸기를 대체할 수 있는 IMX(In Mold Anything) 공법, 그리고 금형 안에서 이종 재질을 층을 이루며 성형하는 기술인 IMG(In Mold Grain) 공법 등이 있다.
IMG(In Mold Grain) 공법은 표피재를 예열하고 전면 본딩된 기재를 건조하여 하금형에 세팅한 후, 상금형에서 1차 진공 흡입하여 표피재의 형상을 잡고 상하금형에 2차 진공압력을 가해 원단과 기판을 접착시키는 공법이다.
금형에 표피재와 기재를 세팅하기 전에, 표피재의 후면 또는 기재의 전면에 접착제가 도포된다. 핫멜트 접착제가 사용되는 경우, 접착제는 표피재의 후면에 도포된다. 스프레이 접착제가 사용되는 경우, 접착제는 기재의 전면에 도포된다.
진공성형시 표피재는 연신되며 크래시패드의 형태를 형성한다. 표피재는 연신율이 향상되도록 금형에 세팅하기 전에 예열된다. 접착제의 일부는 원단과 기판의 접착과정에서 열에너지에 의해 기화되어 하금형에 형성된 진공홀을 통해 배출된다.
접착제의 증발성분이 원단과 기판 사이에 잔존하면, 원단과 기판의 접착력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접착제의 증발성분이 하금형에 형성된 진공홀로 쉽게 이동하도록 기재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상하금형에 2차 진공압력을 가하게 되면, 기재의 저면은 하금형의 상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기재에 관통홀을 형성하더라도 접착제의 증발성분이 관통홀에서 진공홀로 쉽게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접착제의 증발성분이 하금형에 형성된 진공홀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원단과 기판 사이에 잔존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하금형에 2차 진공압력을 가하는 동안, 접착제는 기재의 전면과 표피재의 후면 사이에 갇히는 형태를 형성한다. 따라서 기재에 관통홀을 형성하더라도 관통홀과 떨어진 영역에서 접착제의 증발성분이 관통홀로 쉽게 이동하지 못하고 원단과 기판 사이에 잔존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 금형에 형성된 진공홀을 통해 배출되는 접착제의 증발성분이 최대화되도록 이루어지는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접착제의 증발성분이 하부 금형에 형성된 진공홀을 통해 배출되는 속도가 증가하도록 이루어지는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접착제로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코어의 전면에 표피재를 접착하여 차량 내장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진공홀이 형성된 하부금형에 상기 코어를 안착시키는 세팅단계; 상기 표피재를 상부 금형에서 진공 흡입하는 흡입단계; 및 상기 하부 금형과 상기 상부 금형을 형폐하고, 상기 진공홀을 통해 진공 흡입하는 압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의 가스가 상기 진공홀로 이동하도록, 상기 하부 금형의 상면에 상기 관통홀과 상기 진공홀을 연결하는 복수의 그루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복수의 그루브는 서로 나란한 제1 그루브와 제2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진공홀은, 상기 제1 그루브의 일단이 연결되는 제1 진공홀; 및 상기 제1 그루브의 타단이 연결되는 제2 진공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상기 제1 진공홀과 상기 제2 진공홀 사이에서 상기 제1 그루브에 연결되는 제1 관통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진공홀은, 상기 제2 그루브의 일단이 연결되는 제3 진공홀; 및 상기 제2 그루브의 타단이 연결되는 제4 진공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상기 제3 진공홀과 상기 제4 진공홀 사이에서 상기 제2 그루브에 연결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의 후면에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관통홀을 연결하는 제1 연결홈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그루브는, 상기 제1 진공홀과 상기 제3 진공홀을 연결하는 제3 그루브; 및 상기 제2 진공홀과 상기 제4 진공홀을 연결하는 제4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상기 제1 진공홀과 상기 제3 진공홀 사이에서 상기 제3 그루브에 연결되는 제3 관통홀; 및 상기 제2 진공홀과 상기 제4 진공홀 사이에서 상기 제4 그루브에 연결되는 제4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의 후면에 상기 제3 관통홀과 상기 제4 관통홀을 연결하는 제2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홈과 상기 제2 연결홈은 서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어의 후면에 상기 제1 연결홈과 나란하고, 상기 제1 그루브, 상기 제2 연결홈 및 상기 제2 그루브를 연결하는 보조연결홈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상기 표피재의 후면에 도포되고, 상기 접착제의 가스가 상기 관통홀로 이동하도록, 상기 코어의 전면에 상기 복수의 관통홀을 연결하는 복수의 전면연결홈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접착제로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코어의 전면에 표피재를 접착하여 차량 내장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표피재를 상측 금형과 하측 금형에서 압착하는 프리포밍단계; 상기 코어를 복수의 진공홀이 형성된 하부금형에 안착시키는 세팅단계; 및 상기 하부 금형과 상부 금형을 형폐하고, 상기 진공홀을 통해 진공 흡입하는 압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의 가스가 상기 관통홀로 이동하는 유로가 상기 표피재의 저면에 형성되도록, 상기 하측 금형의 상면에 엠보 형태의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 금형의 상면에 관통홀과 진공홀을 연결하는 복수의 그루브를 형성하고, 코어의 후면에 제1 관통홀과 제2 관통홀을 연결하는 제1 연결홈을 형성함으로써, 하부 금형에 형성된 진공홀을 통해 배출되는 접착제의 증발성분이 최대화되도록 이루어지는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코어의 후면에 보조연결홈을 형성하고, 코어의 전면에 복수의 관통홀을 연결하는 복수의 전면연결홈을 형성함으로써, 접착제의 증발성분이 하부 금형에 형성된 진공홀을 통해 배출되는 속도가 증가하도록 이루어지는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의 세팅단계 및 흡입단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의 압착단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A 영역의 평면 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A 영역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3의 A 영역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 투시도이다.
도 9는 도 3의 A 영역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코어의 전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의 프리포밍단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표피재의 배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4는 표피재의 배면을 확대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은, 하부 금형에 형성된 진공홀을 통해 배출되는 접착제의 증발성분이 최대화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접착제의 증발성분이 하부 금형에 형성된 진공홀을 통해 배출되는 속도가 증가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S100)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S100)의 세팅단계(S110) 및 흡입단계(S120)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S100)의 압착단계(S130)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S100)은 크래쉬 패드, 도어 트림, 가니쉬, 콘솔 등 다양한 차량의 내장재(100)의 제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차량 내장재(100)의 일 예로서 크래쉬 패드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재(100)는 코어(110) 및 표피재(120)를 포함한다.
코어(110)는 사출성형으로 제조된다. 코어(110)는 PP+GF, PP+LGF, PP+EPR+Filler 등 폴리프로필렌계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코어(110)는 PC/ABS, ABS+GF, SMA+GF 등 ABS계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코어(110)는 천연섬유 복합소재, LFI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내장재(100)는 소프트 타입(Soft Type) 내장재일 수 있다. 소프트 타입 내장재는 외관 및 촉감으로 부드러운 쿠션감을 느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표피재(120)는 스킨(121) 및 발포폼(122)을 포함한다.
스킨(121)은 천연가죽, 인조가죽, 합성수지 또는 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포폼(122)은 폴리우레탄 발포체(polyurethane foam)로 이루어진다. 발포폼(122)은 소프트 필(Soft Feel) 특성 부여를 통한 감성 품질 및 상품성 향상, 충돌 시의 운전자 및 승객의 보호를 위한 쿠션 역할, 스킨(121)과 코어(110)를 일체화시키는 바인더(Binder) 역할을 한다.
반면, 하드 타입(Hard Type) 내장재는 단면이 1개 층(Core)인 플라스틱 사출물로 제작된다. 하드 타입은 소프트 타입에 비해 외관 및 촉감에 있어 부드러운 촉감은 저하된다.
IMG 공법은 표피재(120)를 예열하고 전면 본딩된 기재를 건조하여 하금형(2)에 세팅한 후, 상금형(3)에서 1차 진공 흡입하여 표피재(120)의 형상을 잡고 상하금형(1)에 2차 진공압력을 가해 원단과 기판을 접착시키는 공법이다. 본 발명의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S100)은 IMG(In Mold Grain) 공법을 개량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S100)은, 접착제(B)로 복수의 관통홀(111)이 형성된 코어(110)의 전면에 표피재(120)를 접착하여 차량 내장재(100)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세팅단계(S110), 흡입단계(S120) 및 압착단계(S13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단계(S110)는 복수의 진공홀(H)이 형성된 하부 금형(2)에 코어(110)를 안착시키는 단계이다. 하부 금형(2)의 상부 표면은 코어(110)의 후면에 대응된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1)은 진공성형용 금형일 수 있다. 금형(1)은 상부 금형(3)과 하부 금형(2)을 포함한다.
상부 금형(3)과 하부 금형(2) 각각에 온수가 흐르는 유로(W)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금형(2)은 유로(W)를 흐르는 온수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세팅단계(S110)에서 코어(110)는 하부 금형(2)에 의해 예열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단계(S120)는 표피재(120)를 상부 금형(3)에서 진공 흡입하는 단계이다. 흡입단계(S120)에서 표피재(120)의 원단을 상부 금형(3)에서 진공 흡입하여 코어(110) 전면에 대응된 형태로 프리포밍(preforming)할 수 있다.
흡입단계(S120)에서 상부 금형(3)은 유로(W)를 흐르는 온수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단계(S120)에서 표피재(120)는 상부 금형(3)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상부 금형(3)에 공기를 흡입하는 다수의 미세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진공홀(H)은 진공펌프(미도시)와 연결된 유로(S)와 연결될 수 있다.
흡입단계(S120)에서 표피재(120)의 원단은 이송장치(미도시)에 의해 상부 금형(3)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송장치는 산업용 로봇(industrial robot)일 수 있다. 즉, 이송장치는 공장의 제조설비 등과 같이 산업 자동화 분야에 이용되는 로봇을 의미할 수 있다.
표피재(120)의 원단은 예열기를 통과하며 가열된다. 표피재(120)의 원단은 예열기를 통과하며 연신율(elongation)이 향상된다.
그리고 나서 표피재(120)의 원단은 상부 금형(3)으로 이송되어, 진공을 이용하여 상부 금형(3)의 안쪽 면에 흡착된다. 이때 상부 금형(3)에 미리 가공한 엠보 형상이 스킨(121) 표면에 전사된다. 따라서 스킨(121)의 전면은 상부 금형(3)의 내측 형상대로 프리포밍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단계(S130)는 하부 금형(2)과 상부 금형(3)을 형폐하고, 진공홀(H)을 통해 진공 흡입하는 단계이다.
하부 금형(2)과 상부 금형(3)을 형폐하기 전에, 코어(110)의 전면 또는 표피재(120) 후면에 접착제(B)가 도포된다. 핫멜트 접착제(B)가 사용되는 경우, 접착제(B)는 표피재(120)의 후면에 도포된다. 스프레이 접착제(B)가 사용되는 경우, 접착제(B)는 코어(110)의 전면에 도포된다.
압착단계(S130)에서 코어(110)와 표피재(120)는 금형(1) 내에서 압착된다. 압착단계(S130)에서 상부 금형(3)과 하부 금형(2)은 유로(W)를 흐르는 온수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하부 금형(2)에 공기를 흡입하는 다수의 진공홀(H)이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진공홀(H)은 진공펌프(미도시)와 연결된 유로(S)와 연결될 수 있다. 상부 금형(3) 및 하부 금형(2)에 진공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코어(110)와 표피재(120)를 금형(1) 내에서 압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단계(S130)가 완료되면, 표피재(120)는 코어(110) 전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재단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A 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A 영역의 평면 투시도이다. 도 5는 상부 금형(3) 및 표피재(120)를 도시하지 않고 있다.
도 4 및 도 5의 실선 화살표는 접착제(B)의 가스성분이 이동하는 경로를 의미한다. 도 4의 점선은 상부 금형(3)의 미세홀에 형성된 진공 압력을 의미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110)에 복수의 관통홀(111)이 형성된다.
접착제(B)의 일부는 압착단계(S130)에서 열에너지에 의해 기화되어 하부 금형(2)에 형성된 진공홀(H)을 통해 배출된다.
접착제(B)의 증발성분이 코어(110)와 표피재(120) 사이에 잔존하면, 코어(110)와 표피재(120)의 접착력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접착제(B)의 증발성분이 하부 금형(2)에 형성된 진공홀(H)로 쉽게 이동하도록 코어(110)에 복수의 관통홀(111)이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금형(1)에 진공 압력을 가하게 되면, 코어(110)의 저면은 하부 금형(2)의 안쪽 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코어(110)에 관통홀(111)을 형성하더라도 접착제(B)의 증발성분은 관통홀(111)에서 진공홀(H)로 쉽게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IMG 공법은 접착제(B)의 증발성분이 하부 금형(2)에 형성된 진공홀(H)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코어(110)와 표피재(120) 사이에 잔존하는 문제가 있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금형(2)의 상면에 관통홀(111)과 진공홀(H)을 연결하는 복수의 그루브(G)가 형성된다. 복수의 관통홀(111)은 복수의 그루브(G)를 통해 복수의 진공홀(H)에 연결된다.
복수의 그루브(G)는 제1 그루브(G1), 제2 그루브(G2), 제3 그루브(G3) 및 제4 그루브(G4)를 포함한다.
제1 그루브(G1)와 제2 그루브(G2)는 서로 나란한 형태를 형성한다. 제3 그루브(G3)와 제4 그루브(G4)는 서로 나란한 형태를 형성한다. 제1 그루브(G1)와 제3 그루브(G3)는 서로 직각을 형성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진공홀(H)은 제1 진공홀(H1), 제2 진공홀(H2), 제3 진공홀(H3) 및 제4 진공홀(H4)을 포함한다.
제1 그루브(G1)의 일단은 제1 진공홀(H1)에 연결된다. 제1 그루브(G1)의 타단은 제2 진공홀(H2)에 연결된다. 제1 그루브(G1)는 제1 진공홀(H1)과 제2 진공홀(H2)을 연결한다.
제2 그루브(G2)의 일단은 제3 진공홀(H3)에 연결된다. 제2 그루브(G2)의 타단은 제4 진공홀(H4)에 연결된다. 제2 그루브(G2)는 제3 진공홀(H3)과 제4 진공홀(H4)을 연결한다.
제3 그루브(G3)의 일단은 제1 진공홀(H1)에 연결된다. 제3 그루브(G3)의 타단은 제3 진공홀(H3)에 연결된다. 제3 그루브(G3)는 제1 진공홀(H1)과 제3 진공홀(H3)을 연결한다.
제4 그루브(G4)의 일단은 제2 진공홀(H2)에 연결된다. 제4 그루브(G4)의 타단은 제4 진공홀(H4)에 연결된다. 제4 그루브(G4)는 제2 진공홀(H2)과 제4 진공홀(H4)을 연결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관통홀(111)은 제1 관통홀(111A), 제2 관통홀(111B), 제3 관통홀(111C) 및 제4 관통홀(111D)을 포함한다.
제1 관통홀(111A)은 제1 진공홀(H1)과 제2 진공홀(H2) 사이에서 제1 그루브(G1)에 연결된다. 제2 관통홀(111B)은 제3 진공홀(H3)과 제4 진공홀(H4) 사이에서 제2 그루브(G2)에 연결된다.
제3 관통홀(111C)은 제1 진공홀(H1)과 제3 진공홀(H3) 사이에서 제3 그루브(G3)에 연결된다. 제4 관통홀(111D)은 제2 진공홀(H2)과 제4 진공홀(H4) 사이에서 제4 그루브(G4)에 연결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관통홀(111)은 복수의 그루브(G)를 통해 복수의 진공홀(H)에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S100)은, 복수의 그루브(G)가 하부 금형(2)의 상면과 코어(110)의 저면 사이에서 접착제(B)의 가스가 진공홀(H)로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접착제(B)의 증발성분이 하부 금형(2)에 형성된 진공홀(H)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코어(110)와 표피재(120) 사이에 잔존하는 종래 IMG 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도 6은 도 3의 A 영역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3의 A 영역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 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110)의 후면에 관통홀(111)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홈(112)은 제1 연결홈(112A) 및 제2 연결홈(112B)을 포함한다.
제1 연결홈(112A)은 제1 관통홀(111A)과 제2 관통홀(111B)을 연결한다. 제2 연결홈(112B)은 제3 관통홀(111C)과 제4 관통홀(111D)을 연결한다. 그리고 제1 연결홈(112A)과 제2 연결홈(112B)은 서로 연결된다.
제1 연결홈(112A) 및 제2 연결홈(112B)은 관통홀(111), 진공홀(H) 또는 그루브(G) 중 일부가 막히더라도 접착제(B)의 증발성분이 우회하여 진공홀(H)로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코어(110)의 제조불량에 의해 복수의 관통홀(111) 중 일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차량 내장재(100)의 제조과정에서 복수의 진공홀(H) 중 일부가 막힐 수 있다. 또는, 차량 내장재(100)의 제조과정에서 복수의 그루브(G) 중 일부가 막힐 수 있다.
관통홀(111), 진공홀(H) 또는 그루브(G) 중 일부가 막히는 경우, 접착제(B)의 증발성분이 하부 금형(2)에 형성된 진공홀(H)을 통해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고 코어(110)와 표피재(120) 사이에 잔존할 수 있다.
도 7은 제1 그루브(G1)가 제1 관통홀(111A)의 양쪽에서 막힌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통홀(111A)에서 제1 그루브(G1)로 이동한 접착제(B)의 증발성분은 막히지 않은 제1 연결홈(112A)과 제2 연결홈(112B)을 통해 제2 관통홀(111B), 제3 관통홀(111C) 및 제4 관통홀(111D)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코어(110)의 후면에 관통홀(111)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홈(112)이 형성됨으로써, 관통홀(111), 진공홀(H) 또는 그루브(G) 중 일부가 막히더라도 접착제(B)의 증발성분이 하부 금형(2)에 형성된 진공홀(H)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110)의 후면에 그루브(G)와 연결홈(112)을 연결하는 보조연결홈(11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보조연결홈(113)은 제1 보조홈(113A) 및 제2 보조홈(113B)을 포함한다.
제1 보조홈(113A)은 제1 그루브(G1), 제2 연결홈(112B) 및 제2 그루브(G2)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보조홈(113A)은 제1 연결홈(112A)과 나란할 수 있다.
제2 보조홈(113B)은 제3 그루브(G3), 제1 연결홈(112A) 및 제4 그루브(G4)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보조홈(113B)은 제2 연결홈(112B)과 나란할 수 있다.
도 8은 제1 그루브(G1)가 제1 관통홀(111A)의 양쪽에서 막히고, 제2 연결홈(112B) 및 제1 보조홈(113A)이 막힌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통홀(111A)에서 제1 그루브(G1)로 이동한 접착제(B)의 증발성분은 막히지 않은 제1 연결홈(112A), 제2 연결홈(112B), 제1 보조홈(113A) 및 제2 보조홈(113B)을 통해 제2 관통홀(111B), 제3 관통홀(111C) 및 제4 관통홀(111D)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코어(110)의 후면에 그루브(G)와 연결홈(112)을 연결하는 보조연결홈(113)이 형성됨으로써, 관통홀(111), 진공홀(H), 그루브(G) 또는 연결홈(112) 중 일부가 막히더라도 접착제(B)의 증발성분이 하부 금형(2)에 형성된 진공홀(H)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9는 도 3의 A 영역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코어(110)의 전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B)가 표피재(120)의 후면에 도포되는 경우, 코어(110)의 전면에 복수의 관통홀(111)을 연결하는 복수의 전면연결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전면연결홈(114)은 가로홈(114A) 및 세로홈(1114B)을 포함한다. 가로홈(114A) 및 세로홈(1114B)은 격자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압착단계(S130)에서 접착재는 코어(110)의 전면과 표피재(120)의 후면 사이에 충전된다. 격자 형태의 전면연결홈(114)들은 코어(110)의 전면보다 접착제(B)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코어(110)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111)이 서로 멀리 떨어져 있거나, 복수의 관통홀(111) 중 일부가 막히더라도, 접착제(B)의 증발성분은 코어(110)의 전면과 표피재(120)의 후면 사이에서 전면연결홈(114)들을 통해 막히지 않은 관통홀(111)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의 프리포밍단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표피재의 배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4는 표피재의 배면을 확대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S200)은 크래쉬 패드, 도어 트림, 가니쉬, 콘솔 등 다양한 차량의 내장재(100)의 제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차량 내장재(100)의 일 예로서 크래쉬 패드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내장재(100)는 코어(110) 및 표피재(120)를 포함한다.
코어(110)는 사출성형으로 제조된다. 코어(110)는 PP+GF, PP+LGF, PP+EPR+Filler 등 폴리프로필렌계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코어(110)는 PC/ABS, ABS+GF, SMA+GF 등 ABS계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코어(110)는 천연섬유 복합소재, LFI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내장재(100)는 소프트 타입(Soft Type) 내장재일 수 있다. 소프트 타입 내장재는 외관 및 촉감으로 부드러운 쿠션감을 느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표피재(120)는 스킨(121) 및 발포폼(122)을 포함한다.
스킨(121)은 천연가죽, 인조가죽, 합성수지 또는 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포폼(122)은 폴리우레탄 발포체(polyurethane foam)로 이루어진다. 발포폼(122)은 소프트 필(Soft Feel) 특성 부여를 통한 감성 품질 및 상품성 향상, 충돌 시의 운전자 및 승객의 보호를 위한 쿠션 역할, 스킨(121)과 코어(110)를 일체화시키는 바인더(Binder) 역할을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S200)은 프리포밍단계(S210), 세팅단계(S220) 및 압착단계(S230)를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포밍단계(S210)는 표피재(120)를 상측 금형(5)과 하측 금형(4)에서 압착하는 단계이다. 표피재(120)의 원단은 예열기를 통과하며 가열된다. 표피재(120)의 원단은 예열기를 통과하며 연신율(elongation)이 향상된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피재(120)의 원단은 상측 금형(5)과 하측 금형(4) 사이로 이송된다. 표피재(120)의 원단은 이송장치(미도시)에 의해 상측 금형(5)과 하측 금형(4) 사이로 이송될 수 있다. 이송장치는 산업용 로봇(industrial robot)일 수 있다.
즉, 이송장치는 공장의 제조설비 등과 같이 산업 자동화 분야에 이용되는 로봇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금형(5)과 하측 금형(4)이 형폐되면, 표피재(120)의 원단은 상측 금형(5)과 하측 금형(4)에 의해 압착되어 코어(110) 전면에 대응된 형태로 프리포밍(preforming)된다.
이때 하측 금형(4) 상면에 미리 가공한 엠보 형태의 패턴이 발포폼(122)의 저면에 전사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보 형태의 패턴은 하측 금형(4)의 상면에 격자 형태로 돌출된 부분(P)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포밍단계(S210)가 완료되면, 접착제(B)의 가스가 관통홀(111)로 이동하는 유로(E)가 발포폼(122)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서로 다른 형태의 엠보 형태의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내장재(100)의 저면 투시도이다. 도 13은 코어(110)를 도시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표피재(120)의 원단의 안정적인 수축률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압착단계(S130)에서 코어(110)와 표피재(120)의 슬립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접착제(B)의 가스가 관통홀(111)로 이동하는 유로(E)가 발포폼(122)의 저면에 형성됨으로써, 압착단계(S130)에서 표피재(120) 배면의 보이드(void)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세팅단계(S220)는 복수의 진공홀(H)이 형성된 하부 금형(2)에 코어(110)를 안착시키는 단계이다. 하부 금형(2)의 상부 표면은 코어(110)의 후면에 대응된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금형(1)은 진공성형용 금형일 수 있다. 금형(1)은 상부 금형(3)과 하부 금형(2)을 포함한다. 상부 금형(3)과 하부 금형(2) 각각에 온수가 흐르는 유로(W)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금형(2)은 유로(W)를 흐르는 온수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세팅단계(S220)에서 코어(110)는 하부 금형(2)에 의해 예열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압착단계(S230)는 하부 금형(2)과 상부 금형(3)을 형폐하고, 진공홀(H)을 통해 진공 흡입하는 단계이다.
하부 금형(2)과 상부 금형(3)을 형폐하기 전에, 코어(110)의 전면 또는 표피재(120) 후면에 접착제(B)가 도포된다. 핫멜트 접착제(B)가 사용되는 경우, 접착제(B)는 표피재(120)의 후면에 도포된다. 스프레이 접착제(B)가 사용되는 경우, 접착제(B)는 코어(110)의 전면에 도포된다.
압착단계(S230)에서 코어(110)와 표피재(120)는 금형(1) 내에서 압착된다. 압착단계(S230)에서 상부 금형(3)과 하부 금형(2)은 유로(W)를 흐르는 온수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하부 금형(2)에 공기를 흡입하는 다수의 진공홀(H)이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진공홀(H)은 진공펌프(미도시)와 연결된 유로(S)와 연결될 수 있다. 상부 금형(3) 및 하부 금형(2)에 진공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코어(110)와 표피재(120)를 금형(1) 내에서 압착할 수 있다.
압착단계(S230)가 완료되면, 표피재(120)는 코어(110) 전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재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 금형의 상면에 관통홀과 진공홀을 연결하는 복수의 그루브를 형성하고, 코어의 후면에 제1 관통홀과 제2 관통홀을 연결하는 제1 연결홈을 형성함으로써, 하부 금형에 형성된 진공홀을 통해 배출되는 접착제의 증발성분이 최대화되도록 이루어지는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코어의 후면에 보조연결홈을 형성하고, 코어의 전면에 복수의 관통홀을 연결하는 복수의 전면연결홈을 형성함으로써, 접착제의 증발성분이 하부 금형에 형성된 진공홀을 통해 배출되는 속도가 증가하도록 이루어지는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S100,S200 : 내장재 제조방법
S110 : 세팅단계 S210 : 프리포밍단계
S120 : 흡입단계 S220 : 세팅단계
S130 : 압착단계 S230 : 압착단계
100 : 내장재 1 : 금형
110 : 코어 2 : 하부금형
111 : 관통홀 H : 진공홀
111A : 제1 관통홀 H1 : 제1 진공홀
111B : 제2 관통홀 H2 : 제2 진공홀
111C : 제3 관통홀 H3 : 제3 진공홀
111D : 제4 관통홀 H4 : 제4 진공홀
112 : 연결홈 G : 그루브
112A : 제1 연결홈 G1 : 제1 그루브
112B : 제2 연결홈 G2 : 제2 그루브
113 : 보조연결홈 G3 : 제3 그루브
113A : 제1 보조홈 G4 : 제4 그루브
113B : 제2 보조홈 3 : 상부 금형
114 : 전면연결홈 S : 유로
114A : 가로홈 W : 유1로
114B : 세로홈 4 : 하측 금형
120 : 표피재 5 : 상측 금형
121 : 스킨 P : 돌출된 부분
122 : 발포폼 E : 유로
B : 접착제

Claims (7)

  1. 접착제로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코어의 전면에 표피재를 접착하여 차량 내장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진공홀이 형성된 하부금형에 상기 코어를 안착시키는 세팅단계;
    상기 표피재를 상부 금형에서 진공 흡입하는 흡입단계; 및
    상기 하부 금형과 상기 상부 금형을 형폐하고, 상기 진공홀을 통해 진공 흡입하는 압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의 가스가 상기 진공홀로 이동하도록, 상기 하부 금형의 상면에 상기 관통홀과 상기 진공홀을 연결하는 복수의 그루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루브는 서로 나란한 제1 그루브와 제2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진공홀은,
    상기 제1 그루브의 일단이 연결되는 제1 진공홀; 및
    상기 제1 그루브의 타단이 연결되는 제2 진공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상기 제1 진공홀과 상기 제2 진공홀 사이에서 상기 제1 그루브에 연결되는 제1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홀은,
    상기 제2 그루브의 일단이 연결되는 제3 진공홀; 및
    상기 제2 그루브의 타단이 연결되는 제4 진공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상기 제3 진공홀과 상기 제4 진공홀 사이에서 상기 제2 그루브에 연결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의 후면에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관통홀을 연결하는 제1 연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루브는,
    상기 제1 진공홀과 상기 제3 진공홀을 연결하는 제3 그루브; 및
    상기 제2 진공홀과 상기 제4 진공홀을 연결하는 제4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상기 제1 진공홀과 상기 제3 진공홀 사이에서 상기 제3 그루브에 연결되는 제3 관통홀; 및
    상기 제2 진공홀과 상기 제4 진공홀 사이에서 상기 제4 그루브에 연결되는 제4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의 후면에 상기 제3 관통홀과 상기 제4 관통홀을 연결하는 제2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홈과 상기 제2 연결홈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후면에 상기 제1 연결홈과 나란하고, 상기 제1 그루브, 상기 제2 연결홈 및 상기 제2 그루브를 연결하는 보조연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표피재의 후면에 도포되고,
    상기 접착제의 가스가 상기 관통홀로 이동하도록, 상기 코어의 전면에 상기 복수의 관통홀을 연결하는 복수의 전면연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
  7. 접착제로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코어의 전면에 표피재를 접착하여 차량 내장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표피재를 상측 금형과 하측 금형에서 압착하는 프리포밍단계;
    상기 코어를 복수의 진공홀이 형성된 하부금형에 안착시키는 세팅단계; 및
    상기 하부 금형과 상부 금형을 형폐하고, 상기 진공홀을 통해 진공 흡입하는 압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의 가스가 상기 관통홀로 이동하는 유로가 상기 표피재의 저면에 형성되도록, 상기 하측 금형의 상면에 엠보 형태의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
KR1020210006704A 2021-01-18 2021-01-18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 KR102372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704A KR102372254B1 (ko) 2021-01-18 2021-01-18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704A KR102372254B1 (ko) 2021-01-18 2021-01-18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254B1 true KR102372254B1 (ko) 2022-03-14

Family

ID=80823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704A KR102372254B1 (ko) 2021-01-18 2021-01-18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2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132B1 (ko) * 2011-12-27 2012-05-02 박준남 친환경 합성 목재 제조 장치 및 방법
JP2015160484A (ja) * 2014-02-26 2015-09-07 日本Iac株式会社 自動車用内装品の製造方法及び自動車用内装品
KR101647411B1 (ko) * 2015-02-06 2016-08-10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레이저 빔을 이용한 유리 성형 장치 및 유리 성형 방법
JP2020116887A (ja) * 2019-01-25 2020-08-06 トヨタ車体株式会社 内装部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132B1 (ko) * 2011-12-27 2012-05-02 박준남 친환경 합성 목재 제조 장치 및 방법
JP2015160484A (ja) * 2014-02-26 2015-09-07 日本Iac株式会社 自動車用内装品の製造方法及び自動車用内装品
KR101647411B1 (ko) * 2015-02-06 2016-08-10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레이저 빔을 이용한 유리 성형 장치 및 유리 성형 방법
JP2020116887A (ja) * 2019-01-25 2020-08-06 トヨタ車体株式会社 内装部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9861B1 (ko) 복수의 장식용 특징부를 갖는 차량 트림 패널
US5509990A (en) Process for producing a multilayer molded article
US7108311B2 (en) Method of forming a vehicle panel assembly
US20100171333A1 (en) Localized deep soft area of a trim panel
KR101172211B1 (ko) 차량용 크래쉬 패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크래쉬 패드
KR102377731B1 (ko) 차량용 내장재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GB2398538A (en) Method of forming a vehicle component
KR20180061599A (ko)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및 방법
CN112243416A (zh) 车辆装饰部件
US20190389104A1 (en) Method of Making a Vehicle Interior Component Having an Integral Airbag Component
US20190389103A1 (en) Method of Making a Vehicle Interior Component Having an Integral Airbag Component and a Fibrous Decorative Covering
US20190389097A1 (en) Method of Making a Trim Component Having a Fibrous Decorative Covering
JP2009269190A (ja) 自動車用内装部品の製造方法
US20050140056A1 (en) Plastics moulding
JP2006528578A (ja) 防音用複合部材
KR102372254B1 (ko)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
JP3360121B2 (ja) 自動車用トリムパネルの製法
US20190389102A1 (en) Method of Making a Trim Component Having an Edge-Wrapped, Fibrous Decorative Covering
KR100945848B1 (ko) 표피재가 인서트 되는 다중 사출성형장치 및 그를 이용한사출성형방법
EP1963142A1 (en) A trim panel for the interior of a motor vehicle and a manufacturing process for such a trim panel
KR101926221B1 (ko) 자동차 인테리어 시트,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
US20050140168A1 (en) Door trim panel assembly having integrated soft-touch aesthetic fea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020121714A1 (en) Automobile interior components that satisfy impact standard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S63312249A (ja) 自動車用内装部品
KR102327976B1 (ko) 차량 내장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