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337B1 - 직물 체결을 위한 버튼 - Google Patents

직물 체결을 위한 버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337B1
KR101647337B1 KR1020157035365A KR20157035365A KR101647337B1 KR 101647337 B1 KR101647337 B1 KR 101647337B1 KR 1020157035365 A KR1020157035365 A KR 1020157035365A KR 20157035365 A KR20157035365 A KR 20157035365A KR 101647337 B1 KR101647337 B1 KR 101647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edge
attachment means
extending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295A (ko
Inventor
죠셉 프란시스쿠스 어거스트 알프레드 모센
Original Assignee
마이티 스타일리 에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티 스타일리 에쓰엘 filed Critical 마이티 스타일리 에쓰엘
Publication of KR20160003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41F1/02Buttonholes; Eyelets for buttonho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08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44B1/20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attached by thread visible to the fro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6Button with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6Button with fastener
    • Y10T24/3689Thread or wire through apertured but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직물, 예를 들어 의류를 체결하기 위한 버튼(1)으로서, 버튼(1)이 본체(10)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재봉하는 것에 의해서, 버튼(1)을 직물에 대해서 부착하기 위해서 배열된, 본체(10)의 중앙 위치(5)에서의 부착 수단(2)을 구비하고, 버튼(1)의 본체(10)가, 본체(10)의 하부 표면(13)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볼 때, 테이퍼링 폭(w)을 가지며, 버튼(1)이 본체(10)의 외주방향 연부(11)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부착 수단(3)을 추가로 구비하고, 본체(10)의 폭(w)이 연부(11)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부착 수단(3)의 위치(6)를 향해서 테이퍼링된다.

Description

직물 체결을 위한 버튼{BUTTON FOR FASTENING FABRICS}
본 발명은 직물, 예를 들어 의류를 체결하기 위한 버튼에 관한 것이고, 그러한 버튼은 본체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재봉에 의한, 버튼의 직물에 대한 부착을 위해서 배열된 부착 수단을 구비한다.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물로부터 제조된 제품, 예를 들어 의류에 관한 것이다.
그와 같은 직물의 섹션들을 체결하기 위한 버튼이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의류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전형적으로, 버튼은 그러한 버튼을 직물에 연결하기 위해서, 재봉실(threading)을 수용하기 위한 관통 홀과 같은 부착 수단을 구비하는 평면형 본체를 갖는다. 비록 상이한 형상들을 가지는 버튼들이 이용될 수 있지만, 대부분의 버튼의 본체가 디스크 형상을 갖는다.
JP2002330802A는 그 중앙 위치에 근접한 부착 수단을 가지는 전제부(preamble)에 따른 버튼을 개시하고, 그러한 버튼은 중앙 부착 수단으로부터 소정 거리에서 선단 부분(tip part)으로 종료되는 테이퍼링되는(tapering) 폭을 가지는 본체를 구비한다.
DE37327C는, 둘레 연부에서 복수의 버튼을 상호 록킹하는 것(interlocking)에 의해서 장식용 스트링(string)을 형성하기 위한 버튼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버튼은 다른 버튼의 링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하고, 그러한 링은 스트링을 형성하기 위해서 재봉실을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US1232633A는, 하나의 가장자리(margin)에 부착되는 버튼에 의해서 중첩되고 버튼체결되며(buttoned) 반대쪽 가장자리 상의 버튼 홀로 체결되는 대신에, 모닝 코트(cut-away coat) 및 드레스 코트와 같은, 의복의 가장자리로 링크되도록 배열된 버튼을 개시한다. 그러한 버튼은, 의복의 버튼-홀을 통해서 삽입될 수 있고 버튼의 가장자리에서 재료에 대해서 클램핑될 수 있게 형성된 중앙 생크(shank)를 구비하고, 엣지에 근접하여 버튼 자체로 부착되고 의복의 반대쪽 가장자리 상의 버튼 위로 고리화되도록(looped) 구성된 가요성 링크를 갖는다.
JP2004173732A는 다리부(leg)를 구비한 둥근 또는 디스크 형상의 본체 및 부착 수단을 구비하는 베이스 부분을 가지는 버튼을 개시한다.
US2543056A는 부착 수단으로서 중앙 홀을 구비하는 하단 평면을 가지는 둥근 본체 및 그러한 본체의 외주방향 연부에 보다 근접한 입구 개구부를 가지는 버튼을 개시한다.
직물들 사이의 상호 연결은, 버튼을 상응하게 성형된 버튼 홀 내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달성된다. 직물의 섹션들을 느슨하게 하기 위해서, 버튼을, 슬릿 성형된 버튼 홀을 다시 통과시킨다. 그러나, 특히, 이러한 버튼해제(unbuttoning) 작용은, 특히 직물의 섹션들을 체결하기 위해서 복수의 버튼이 이용될 때, 성가신 것으로 간주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효율적으로 버튼해제될 수 있는 효율적이고 사용이 용이한 버튼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목적은, 제1항에 따른 버튼에 의해서 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특히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전제부에 따른 버튼은, 그러한 버튼이 본체의 외주방향 연부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부착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체결된 상태에서 이러한 연결 수단이 다른 직물 섹션 상의 슬릿 성형된 버튼 홀 상에서 또는 그에 근접하여 위치되도록, 버튼을 그러한 버튼의 연부에 근접한 위치에서 직물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서, 2개의 섹션들을 멀리 당기는 것에 의해서 버튼이 효율적으로 버튼해제될 수 있다. 부착 수단은 당김 버튼해제 작용의 인가시에 버튼 홀을 통해서 버튼을 안내한다.
바람직하게, 연부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부착 수단이, 이러한 안내 기능을 위해서, 버튼의 연부를 직물을 향해서 지역적으로 지향시키도록(locally direct) 또는 편향시키도록 배열된다. 바람직하게, 부착 수단은 하나의 절반부, 특히 버튼의 절반부를, 버튼 홀을 통해서, 의도된 당김 작용의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배열된다. 이와 관련하여 부착 수단은 바람직하게 버튼의 하나의 절반부에서 연장한다.
비록 연부 상의 복수의 위치를 따라서 부착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버튼이 외주방향 연부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단일 위치에서 부착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버튼해제가 용이한 효율적인 디자인을 초래한다.
버튼은 본체의 중앙 위치에서 부착 수단을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이러한 중앙 부착은, 예를 들어, 버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연결 수단에 상응하고 복수의 관통 홀 또는 생크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서, 통상적인 부착부가, 예를 들어 규칙적인 패턴으로, 버튼의 중심 내에 또는 그 주위에 위치되는 한편, 연부에 근접하는 또는 연부에 위치되는 부착 수단은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에서 반경방향 외향으로의 위치로, 바람직하게 단일 위치로 연장한다.
버튼해제 중에 버튼 홀을 통해서 버튼을 추가적으로 안내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 본체가 버튼 홀을 통해서 버튼을 안내하기 위해서 배열된 연부에 근접하는 부착 수단을 향해서 테이퍼링된 형상을 갖는다. 그에 대해서, 테이퍼링되는 즉, 감소되는 폭 및/또는 높이가, 바람직하게, 체결된 위치에서 슬릿 성형된 버튼 홀의 길이 방향으로 배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버튼의 본체가, 본체의 하부 표면의 평면에 대해서 평행한 방향으로 볼 때, 연부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부착 수단의 위치를 향해서 테이퍼링되는 폭을 갖는다. 다시 말해서, 본체의 폭이 본체의 연부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부착 수단을 향해서 감소된다. 통상적인 버튼이 디스크 형상이고 외측 연부가 원형인 반면, 발명에 따른 버튼은 테이퍼링된 외측 연부를 가지고, 그러한 외측 연부의 테이퍼링된 섹션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직선적으로 연장한다.
버튼의 하단이 일반적으로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가짐에 따라, 버튼의 폭이 이러한 표면에 대해서 규정된다. 그러나, 보다 일반적으로, 버튼의 본체가 높이, 폭 및 길이를 가지고, 그 높이는 폭 및 길이 보다 그 크기가 실질적으로 작다. 길이는 본체의 중심 및 본체의 연부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부착 수단을 통해서 연장되는 라인을 따라서 규정된다. 폭은 길이에 수직으로 연장한다.
추가적인 안내 개선을 위해서, 추가적으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버튼의 본체가, 본체의 하부 표면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볼 때, 연부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부착 수단의 위치를 향해서 테이퍼링되는 높이를 갖는다. 다시 말해서, 본체의 높이가 연부에 근접한 부착 수단을 향해서 더 낮아진다.
본체의 길이의 적어도 절반을 따라서, 바람직하게 길이의 절반 초과를 따라서 본체가 테이퍼링되는 경우에 안내가 추가적으로 개선되고, 그러한 길이는 본체의 중심 및 본체의 연부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부착 수단을 통해서 연장되는 라인을 따라서 측정된다. 본체가 실질적으로 직선형으로 또는 평면형으로 테이퍼링될 때, 보다 더 양호한 안내가 달성된다.
버튼이 본체를 통해서 연장되는 홀을 이용하여 직물로 효율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추가적인 바람직하게 실시예에 따라서, 외주방향 연부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부착 수단이, 버튼의 본체의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을 포함한다. 관통 홀이 재봉실을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본체가, 버튼의 연부에서 또는 그에 근접하여, 2개의 인접하여 위치되는 관통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버튼의 용이한 재봉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또한, 본체가 외주방향 연부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단일 관통 홀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버튼을 직물로 부착하기 위한 재봉실의 루프가 홀을 통해서 그리고 버튼의 외측 연부를 따라서 연장한다. 이는, 당김 모션으로 버튼해제를 하는 동안, 버튼이 상응하여 배향된 버튼 홀을 통해서 보다 효율적으로 지향됨에 따라, 버튼해제 효율을 더 향상시킨다.
버튼의 외측 연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재봉실의 가시성(visibility)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관통 홀에 근접한 본체의 외주방향 연부가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함몰부(recess)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의해서, 함몰부가 재봉실을 수용하도록 배열되고 그에 상응하여 성형되며, 그에 따라 바람직하게 재봉실이 함몰부 내에 묻힌다(countersunk).
발명에 따른 버튼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외주방향 연부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부착 수단이 본체를 통해서 연장되는 2개의 단부를 가지는 통로를 포함하고, 그러한 단부는 본체의 하부 표면 및/또는 외주방향 연부에 위치된다. 그에 의해서, 상부 표면이 단부를 포함하지 않고, 그에 따라 연부에 근접하는 부착 수단이 보이지 않거나 거의 보이지 않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통로가 적절하게 곡선화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본체가, 그러한 본체의 중심 및 본체의 연부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부착 수단을 통해서 연장되는 라인에 수직인 횡방향 평면에서 볼 때, 다른 표면과의 측방향 연부를 향해서 높이가 감소되는 하나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퍼링 표면을 갖는다. 버튼이 슬릿을 통해서 안내되도록, 테이퍼링 표면은 버튼해제시에 버튼의 회전 이동을 유도한다. 테이퍼링 표면이 다른 표면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90°보다 작은, 바람직하게 45°보다 작은 각도를 바람직하게 이룬다. 바람직하게, 테이퍼링 표면이 라인으로부터, 특히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연부를 향해서 연장되고, 보다 바람직하게, 테이퍼링 표면이 측방향 연부와 라인 사이의 거리의 적어도 절반을 따라서 연장한다.
버튼해제를 더 돕기 위해서, 본체가 제2 표면과의 측방향 연부를 향해서 높이가 감소되면서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테이퍼링 표면 및 제1 표면과의 대향하는 측방향 연부를 향해서 높이가 감소되면서 제2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테이퍼링 표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의해서, 버튼이 2개의, 대향하여 배향된, 테이퍼링 표면을 갖는다. 그에 의해서, 2개의 표면의 평면은, 횡단면 내의 지점을 따라서 볼 때,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다시 말해서, 표면이 다른 표면에 대해서 연장되는 각도가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버튼해제를 위해서 버튼을 당길 때, 2개의 테이퍼링 표면이 회전 이동을 유도하고, 그러한 회전 이동은 버튼이 슬릿을 통과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횡단면적 평면 내에서 볼 때, 테이퍼링 표면이 다른 표면에 대해서 각도를 이루는 경우에 매끄러운 버튼해제 작용이 얻어지고, 그러한 각도는 부착 수단을 가지는 연부에 근접한 제1의 작은 값으로부터 부착 수단을 가지는 연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2의 큰 값까지 증가된다. 부가적인 부착 수단의 위치에 근접하여, 즉 테이퍼링 본체의 선단부에서, 각도가 작고, 예를 들어 5 내지 15°, 바람직하게 10°이고, 그러한 지점으로부터 멀리 측방향 연부를 따르는 방향으로 예를 들어 40 내지 50°, 바람직하게 약 45°의 각도까지 증가된다. 슬릿을 통한 버튼의 이동시에, 버튼이 증가하는 각도를 따라서 점진적으로 회전되고, 이는 효율적인 버튼해제 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발명에 따른 버튼이, 본체의 테이퍼링 폭에 따라서 배향되는, 버튼해제 방향으로 당기는 것에 의해서 효율적으로 버튼해제될 수 있다. 그러나, 2개의 반대되는 방향으로 당기는 동안 용이한 버튼해제를 허용하기 위해서, 버튼이 본체의 제1 연부에서 제1 부착 수단에 실질적으로 대향하여 외주방향 연부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제2 부착 수단을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러한 본체의 폭이 또한 연부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제2 부착 수단의 위치를 향해서 테이퍼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의해서, 바람직하게 중심 및 연부에서의 2개의 부착 수단을 통해서 연장되는 라인을 따라서 볼 때, 본체가 2개의 방향으로 테이퍼링된다. 그에 의해서, 버튼이, 중심을 통해서 연장되는 대칭 축에 대해서 바람직하게 거울 대칭적이 된다. 그러한 버튼이 부가적인 부착 수단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고, 본체 자체의 형상이 이미 버튼해제를 용이하게 하는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버튼해제를 돕기 위해서 양 방향으로 당길 때 회전 이동을 유도하기 위해서, 양 테이퍼링 단부, 즉 폭의 테이퍼링이 회전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테이퍼링 표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가 4개의 측방향 연부 섹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개의 제1 측방향 연부 섹션이 제1 연부에서 제1 부착 수단을 향해서 연장되고, 2개의 측방향 연부 섹션이 제1 연부에서의 제2 부착 수단을 향해서 연장되고, 본체가 2개의, 바람직하게 대향하는, 본체의 측방향 연부 섹션들에서 테이퍼링 표면들을 포함한다. 그에 의해서, 본체가 적어도 제1 측방향 연부 섹션에서의 그리고 그러한 제1 측방향 연부 섹션에 대향하는 제2 측방향 연부 섹션에서의 테이퍼링 표면들을 포함한다.
2개의 테이퍼링 표면이 상기의 라인을 통해서 연장되고 버튼 표면에 수직인 평면에 대해서 거울 대칭적인 경우에, 추가적으로 개선된 버튼해제 작용이 얻어진다. 다른 제1 또는 제2 측방향 연부의 각각이 또한 테이퍼링 표면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고, 제1 측방향 연부 섹션에서의 테이퍼링 표면들의 평면들이 평행하도록 그리고 제2 측방향 연부 섹션들에서의 테이퍼링 표면들의 평면들이 평행하도록, 이러한 표면들이 배향된다.
테이퍼링 표면이 연부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부가적인 부착 수단을 가지지 않는 버튼에서, 또는 하부 표면의 평면 내에서 테이퍼링 폭을 가지지 않는 버튼에서, 즉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바와 같은 둥근 버튼에서 또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문제점은, 이러한 버튼이 버튼해제하기 어렵다는 것이고, 특히 그러한 버튼을 수용하는 슬릿을 통해서 버튼을 안내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에 따라, 발명은 또한 직물, 예를 들어 의류를 체결하기 위한 버튼에 관한 것이고, 그러한 버튼은 본체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재봉하는 것에 의해서 버튼을 직물에 부착하기 위해서 배열되는, 본체의 중앙 위치에서의 부착 수단을 구비하며, 본체의 하부 표면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 내에서 부착 수단을 통해서 연장되는 라인에 수직한 횡단면적 평면 내에서 볼 때, 본체가 다른 표면과의 측방향 연부를 향해서 높이가 감소하는 하나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퍼링 표면을 가지며, 테이퍼링 표면이 측방향 연부와 라인 사이의 거리의 적어도 절반을 따라서 연장한다. 테이퍼링 표면은 본체의 회전 이동을 유도하고, 그러한 회전 이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버튼해제를 돕는다. 그에 의해서 버튼이 둥글 수 있거나, 예를 들어, 테이퍼링 폭을 가지는 본체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며, 그러한 본체가 중심을 통해서 연장되는 상기의 라인의 방향으로 테이퍼링된다. 전술한 이유로, 본체가 제2 표면과의 측방향 연부를 향해서 높이가 감소되면서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테이퍼링 표면 및 제1 표면과의 대향하는 측방향 연부를 향해서 높이가 감소되면서 제2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테이퍼링 표면을 갖는 것이 다시 바람직하다. 전술한 이유로, 횡단면적 평면 내에서 볼 때, 테이퍼링 표면이 다른 표면에 대해서 각도를 이루는 것이 추가적으로 다시 바람직하고, 그러한 각도는 부착 수단을 가지는 연부에 근접한 제1의 작은 값으로부터 부착 수단을 가지는 연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2의 큰 값까지 증가된다.
효율적으로 버튼해제될 수 있는 사용이 용이한 버튼을 제공하기 위해서, 당김력이 가해질 때, 버튼이 상응하는 슬릿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게 함으로써 버튼해제를 돕는다는 생각을 기초로 하는 다른 해결책은,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직물, 예를 들어 의류를 체결하기 위한 버튼을 제공하는 것이며, 그러한 버튼은 본체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재봉하는 것에 의해서 버튼을 직물에 부착하기 위해서 배열된 부착 수단을 구비하고, 버튼의 본체가 테이퍼링 폭을 가지며, 그러한 폭은, 본체의 하부 표면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볼 때, 테이퍼링 방향을 따라서 감소되고, 부착 수단은 상기의 라인을 따라서 본체의 연부를 향해서 중앙 위치로부터 이동 가능하다. 부착 수단이 연부를 향해서 이동 가능함에 따라, 버튼이 슬릿을 통해서 효율적으로 압박될(urged) 때, 버튼이 용이하게 버튼해제될 수 있다. 부착 수단은, 인가된 버튼해제 당김력으로 인해서, 바람직하게 이동 가능하다. 당김시에, 부착부가 연부를 향해서 천이되고(shift), 그에 의해서 연부를 슬릿을 향해 강제하고 추가적인 당김 작용 시에 버튼을 슬릿을 통해서 안내한다.
예를 들어 링 형상의 부재 형태의, 부착 수단이, 버튼의 본체의 하부 표면 상에서 또는 그에 평행한 평면 내에서 바람직하게 이동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하부 표면이, 부착 수단을 수용 및 안내하기 위한 안내 수단, 예를 들어 홈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부착 수단이 그러한 부착 수단을 중앙 위치를 향해서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하를 받지 않는(unloaded) 상태에서, 부착 수단이 중앙 위치에서 연장하여 우발적인 버튼해제를 방지하고, 그에 의해서 당김력 인가시에, 부착 수단이 연부를 향해서 천이된다. 당김력을 해제할 때, 부착 수단이 중심으로 다시 천이된다. 부착 수단이, 예를 들어 부착 수단을 중심을 향해서 편향시키기 위한 스프링 형태의, 탄성 수단을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재봉실을 수용하기 위한 링 형태의 부착 수단이, 예를 들어, 특히 스프링 형태의, 편향 수단을 통해서 본체와 연결된다. 또한, 부착부가 재봉실을 수용하기 위해서 스프링 내에 배열되는 홀의 형태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스프링 형태의 편향 수단이 홈 형태의 안내 수단 내에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은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물로 제조된, 제품, 특히 의류에 관한 것이고, 그러한 직물은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구비한다.
발명에 따른 제품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버튼을 수용하도록 배열되는 슬릿을 더 포함하고, 버튼의 본체의 외주방향 연부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부착 수단이 슬릿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도록, 그러한 버튼 및 상응하는 슬릿이 배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는, 효율적인 버튼해제 작용을 향상시킨다.
버튼해제시에 버튼 홀의 방향으로 버튼을 추가적으로 지향시키기 위해서,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연부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부착 수단의 위치에서 버튼과 직물 사이의 거리가 버튼의 중앙 위치에서의 이러한 거리 보다 짧다.
제품 내에 제공된 슬릿을 통한 버튼해제 시에 버튼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버튼의 용이한 버튼해제를 위해서, 슬릿의 일부, 예를 들어 슬릿의 단부 부분을 확장하기 위한 확장 수단을 슬릿이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버튼해제시에 버튼이 슬릿을 통과하는 이러한 위치에 확장 수단이 제공된다. 확장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슬릿, 바람직하게 복수의 슬릿이 바람직하게 주(main) 슬릿 보다 좁다. 확장 수단의 슬릿의 길이가 주 슬릿의 길이의 바람직하게 5 내지 30% 범위의, 보다 바람직하게 5 내지 15% 범위의 길이를 갖는다. 비록 슬릿이 주 슬릿과 일치되게(in line with) 제공될 수 있지만, 슬릿이, 확장 수단으로서, 슬릿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서 각도를 이루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체가, 그 폭의 관점에서, 슬릿을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우발적인 버튼해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제품이, 그 폐쇄 위치에서 확장 수단을 편향시키기 위해서 확장 수단과 연관되는 탄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튼해제시에 버튼이 통과할 수 있게 허용하기 위해서 슬릿을 확장시키도록, 확장 수단이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슬릿 형태의 확장 수단과 연관된 탄성 수단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서, 탄성 수단의 편향력에 대항하여(against) 당김력이 가해지고, 그에 의해서 슬릿을 개방하여 주 슬릿을 확장할 때까지, 슬릿이 폐쇄되어 유지된다. 탄성 수단이, 예를 들어 슬릿 형태의 확장 수단을 둘러싸도록 제공된 탄력적인(elastic) 직물을 예를 들어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확장 수단을 구비하는 버튼을 위한 슬릿을 구비하는 제품이 또한 통상적인 버튼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그에 따라, 발명이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물로 제조된, 제품, 특히 의류에 관한 것이고, 그러한 직물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 및 그러한 버튼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구비하고, 슬릿은, 버튼의 용이한 버튼해제를 위해서 슬릿의 일부, 예를 들어 단부 부분을 확장하기 위한 확장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이 이하의 도면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설명되고, 그러한 도면은 발명에 따른 버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어떠한 방식으로도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버튼의 제1 실시예를 상면도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버튼을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3 내지 도 5b는 추가적인 실시예를 상면도로 도시한다.
도 6은 추가적인 실시예를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7은 버튼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저면도로 도시한다.
도 8 및 도 9는 버튼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버튼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상면도로 도시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라인 A 및 B를 따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버튼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의 버튼에 상응한다.
도 13a 및 13b는 각각 라인 A 및 라인 B를 따른 도 12의 버튼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4 내지 도 16은 슬릿의 상이한 실시예를 구비하는 제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7은 발명에 따른 버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8은 버튼의 다른 실시예를 저면도로 도시한다.
도 19는 라인 C를 따른 도 18의 버튼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버튼의 다른 실시예를 저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체(10)에 의해서 형성된 발명에 따른 버튼(1)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중심(5)에서, 본체(10)가 버튼(1)을 직물에 대해서 재봉하기 위한 4개의 통상적인 홀(2)을 구비한다. 버튼의 연부(11)에 근접하여 여분의(extra) 홀(3)이 제공되고, 그러한 여분의 홀은 본체(10)를 통해서 상부 표면(12)으로부터 하부 표면(13)까지 연장되고,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관통 홀(3)을 가지는 영역이 도 2에서 '6'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2는, 본체(10)가 여분의 홀(3)을 구비하는 연부(11)를 향해서 테이퍼링되는 것을 추가적으로 보여준다. 홀(3)의 위치에서의 본체(10)의 높이(h)가, '4'로 표시된 대향 측부에서의 위치 보다 낮다. 본체(10)가, 그러한 본체(10)의 길이(l)의 절반 초과를 따라서 테이퍼링된다.
이러한 길이(l)가, 버튼(1)의 중심(5)과 여분의 홀(3)을 통해서 연장되는 라인(100)을 따라서 측정되고, 이에 대해서는 도 1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폭(w)이 테이퍼링된다. 본체(10)가 버튼(1)의 길이(l)의 적어도 절반을 따라서 또한 연장되는 2개의 선형 섹션(14a 및 14b)을 구비한다. 그에 의해서, 외측 연부(11)가 원호 형상의 섹션(15), 2개의 선형 섹션(14a, 14b), 및 도 11에서 참조 번호 '11' 에 근접하는, 다시 여분의 홀(3)에 근접하는 원호형 섹션에 의해서 형성된다. 본체(10)의 이러한 형상은, 버튼해제를 돕는 버튼 홀을 통한 향상된 안내를 허용한다.
도 3에서, 버튼(1)이 여분의 홀(3)을 직물로 부착하기 위한 재봉실(7)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당연하게, 홀(2)이 또한 적절한 재봉실을 구비한다. 버튼(1)이 연부 영역에서 단일 홀(3) 만을 구비함에 따라, 재봉실(7)의 루프가 외측 연부(11)를 따라서 연장한다. 재봉실이 연부(11) 내에 묻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의 연부(11)가 재봉실을 수용하기 위한 함몰부(8)를 구비한다.
도 5a 및 도 5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대안으로서, 본체(10)가 버튼(1)을 직물에 고정하기 위한 2개의 여분의 홀(3)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a에서 홀(3)이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인접하여 연장되는 반면, 도 5b의 실시예에서 홀(3)이 본체(10)의 길이를 따라서 인접하여 연장한다.
발명에 따라서 버튼(1)의 여분의 연결을 은폐하기 위해서, 연부(11) 자체가 곡선형 통로(3a)를 구비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할 수 있다. 이러한 통로(3a)를 통해서 연장되는 재봉실을 상단 측면(12)으로부터 보기 어렵도록, 통로(3a)가 연부(11)를 형성하는 표면 사이에서 연장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안으로서, 통로(3b)가 하부 표면(13) 사이에서 연장되고, 통로(3b)의 양 단부가 하부 표면(13) 상에 위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통로(3b)가 또한 적절하게 곡선화된다.
도 8에서, 버튼(1)이, 도 8에서 평면(100a)으로서 도시된, 도 1의 라인(100)에 수직한 평면에서 취한 횡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단 표면(13)이 테이퍼링 표면(13a)을 구비하고, 그러한 테이퍼링 표면이 측방향 연부(14a)를 향해서 감소되는 높이(h)를 갖는다. 그에 의해서, 테이퍼링 표면(13a)이 연부 표면을 형성하고, 이러한 표면이 하부 표면(13)과 약 45°의 각도(α)를 이룬다. 그에 의해서, 상단 표면(12)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테이퍼링 표면(13a)이 실질적으로 상부 표면(12)의 평면을 향해서 하부 표면(13)의 평면으로부터 테이퍼링된다. 이러한 예에서, 테이퍼링 표면(13a)이 라인(100)에 근접한 위치로부터 측방향 연부(14a)를 향해서 연장한다. 그러나, 낮은 높이를 가지는 버튼의 경우에, 표면이 약 45°의 각도로 연장되는 경우에, 표면이 라인(100)까지 연장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표면(13a)이 버튼해제시에 회전 이동을 유도하고, 이는 버튼해제를 보다 용이하게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측방향 연부(14b)가 수직(normal) 연부(14b)이고 종래 기술에서 일반적인 바와 같이 다소 둥글게 가공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회전 이동을 추가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 다른 측방향 연부(14b)가, 제1 테이퍼링 표면(13a)의 테이퍼링에 대향하는 테이퍼링을 가지는 테이퍼링 표면(12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실상, 도 9에서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단 표면(12)이 또한, 하부 표면(13)의 평면 내에서 연부(14b)를 향해서 아래쪽으로 상부 표면(12)으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퍼링 표면(12a)을 구비한다. 표면(12a)이 상부 표면(12)의 거의 절반을 다시 커버하고, 이는 횡단면에서 확인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버튼(1)이 라인(100)을 따라서 임의 방향으로 당기는 것에 의해서 용이하게 버튼해제될 수 있다. 그에 더하여, 본체가 2개의 테이퍼링된 단부 즉, 부가적인 부착 수단(3d)을 가지는 연부(11a)를 향한 그리고 부가적인 부착 수단(3e)을 가지는 연부(11b)를 향한 2개의 테이퍼링된 단부를 구비한다. 적어도 상면도에서, 버튼이, 또한 중심(101)을 통해서 연장되는, 평면(101)을 따라서 거울 대칭적이다. 버튼(1)이, 그러한 버튼(1)의 외측 연부를 형성하는 4개의 측방향의, 테이퍼링 연부(14c, 14d)를 포함한다. 도 10의 라인 A을 따른 횡단면을 도시하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측방향 연부(14c)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면에 유사한 테이퍼링 표면(13a)을 구비한다. 표면(13a)이 하부 표면(13)의 평면을 향해서 상단 표면(12)의 평면으로부터 연장한다. 도 10의 라인 A을 따른 횡단면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횡단면에 상응하도록,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우측 측방향 연부(14c)가 도 9에서 '12a'로 표시된 바와 같은 테이퍼링 표면을 또한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도 10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은 하부의, 즉 평면(101)에 대향하는, 버튼의 하부 측면 상의 우측 측방향 연부(14d)가 상단 표면(12)에서 테이퍼링 표면(12a)을 적어도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또한 좌측 연부(14d)가 표면(13a)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테이퍼링 표면(13a)의 형상이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추가적으로 명료화될 것이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버튼(1)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버튼(1)에 상응한다. 도 13a는, 도 A에서 선 A를 따른 즉, 부가적인 부착 수단(3)을 가지는 연부 또는 지점으로부터 먼 위치에서의, 라인(100)에 수직인 횡단면을 도시한다. 그러한 위치에서의 표면(13a)이, 표면(13a)이 연부(11)에 근접한 위치 B에서 만드는 각도(α1) 보다 큰 45°의 각도(α2)를 이룬다. 그에 따라, 표면(13a)이 상부 표면(12)에 대해서 연장되는 각도가 연부(11)를 향해서 감소된다. 이는, 버튼해제시에 버튼의 매끄러운 회전 이동을 유도하고, 이는 버튼해제를 돕는다. 상단 표면(12)에 제공된 테이퍼링 표면(12a)이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도 8, 도 9 및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테이퍼링 표면이 또한, 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둥근 버튼과 같이 다른 외주방향 형상을 가지는 버튼에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제1 측방향 연부 섹션(14a)이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면(13a)과 유사한 제1 테이퍼링 표면(13a)을 구비할 수 있는 한편, 중심(5)을 통해서 연장되는 평면(100a)에 대향하는 제2 측방향 연부 섹션(14b)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면(12a)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버튼이 연부(11)에서 부착 수단(3)을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제품(20), 특히 의류의 단편(piece)이 버튼을 수용하기 위한 슬릿(21)을 구비한다. 그러한 슬릿은 이전의 도면, 또는 후술되는 도 18 및 도 19 중 임의의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버튼 중 임의의 버튼과 협력하는데 있어서 특히 적합하나, 통상적으로 성형된 버튼과 함께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버튼해제시에 버튼의 용이한 통과를 허용하기 위해서, 슬릿(21)은, 당김력이 제품 상으로 및/또는 슬릿(21) 내에 수용된 버튼 상으로 가해질 때 개방되는 여분의 슬릿(22a 및 22b)을 구비한다. 슬릿(22a, 22b)이 슬릿(21)의 양 측면에서 그리고 슬릿(21)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서 수직으로 연장한다.
이어서, 슬릿(22a, 22b)이 도 14의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개방되고, 이는 버튼의 통과를 위한 면적을 증가시킨다. 우발적인 버튼해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탄성 직물(23a 및 23b)이 슬릿(21)의 양 측면 상에서 슬릿(22a 및 22b)의 뒤쪽에 배열된다. 탄성 직물(23a 및 23b)이 슬릿(22a, 22b)의 외측 주변부를 따라서 그리고 주변부들을 따라서 재봉선(24)으로 재봉된다. 탄성 직물(23a, 23b)이 슬릿의 폐쇄 위치로, 즉 도 14에 도시된 화살표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슬릿(22a 및 22b)을 편향시킨다. 바람직하게, 재봉선(24)이 어떠한 지점에서도 슬릿과 교차하지 않아야 한다.
도 15의 제품(20)이, 슬릿(21)의 양 단부가 확장 수단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4의 제품과 상이하고, 2개의 작은 슬릿(22a 및 22b) 형태의 확장 수단의 각각이 슬릿(21)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서 각도를 이루어 연장한다. 우발적인 버튼해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슬릿(22a, 22b)의 각각이, 제품(20)으로 재봉된(24) 탄력적인 시트(23)에 의해서 다시 덧대어진다(backed). 특히, 이러한 실시예가 또한 탄력적인 시트(23) 없이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어서, 슬릿(22a, 22b)의 길이가 바람직하게 주 슬릿(21)의 길이의 5 내지 15% 범위이다.
여분의 슬릿(22a, 22b)이 반드시 슬릿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서 각도를 이루어 연장할 필요는 없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슬릿(21)의 단부에 제공되는 바와 같은 여분의 슬릿(22)이 주 슬릿(21)과 동일한 방향으로 즉, 예를 들어 수평 또는 수직일 수 있는 주 슬릿의 배향에 의존하여 연장한다. 탄력적인 시트(23)가 다시 제공된다.
용이한 버튼해제를 허용하기 위해서 버튼의 중심(5)에서 중앙 부착 수단에 더하여 제공되는 부착 수단(3)에 대한 대안으로서, 버튼(1b)의 본체(10b)에 대해서 이동 가능한 부착 수단(21)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할 수 있으며, 도 19는, 저면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버튼(1b)을, 라인 C을 따른 횡단면도로 도시한다.
부착 수단이, 특히 도 19를 참조할 수 있는, 링 형상이고, 돌출부(21)를 구비하며, 그러한 돌출부는 버튼(1b)의 길이방향(100)을 따라서 버튼(10b)의 하부 표면(13) 내에 제공된 홈(16) 내에서 활주되도록 수용되고 배열된다.
부착 수단(2a)이 길이방향 축(100) 상의 대향 단부들 상의 단부들(11a, 11b)에 근접하는 스프링(15a 및 15b)과 연결된다. 스프링(15a, 15b)은 부착 수단을 중심(5)을 향해서 편향시킨다. 또한, 단일 스프링을 이용할 수 있고, 부착 수단이 그 중앙 섹션으로 연결된다. 버튼(1b)의 본체(10b)가, 도 10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추가적으로 2차례 테이퍼링된다.
버튼해제력을 인가할 때, 부착 수단(2a)이, 당김력의 방향에 의존하여, A 또는 B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이동할 것이고, 그에 의해서 부착 수단을 버튼(1b)의 본체(10b)의 연부(11a, 11b)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위치에서, 버튼(1b)이 용이한 버튼해제를 위해서 슬릿으로 용이하게 안내된다. 버튼(1b)을 해제할 때, 스프링(15a, 15b)이 부착 수단(2a)을 초기의, 즉 중앙의 위치를 향해서 강제할 것이다.
도 20에서, 이동 가능한 부착 수단(2a)에 대한 대안이 도시되어 있다. 버튼의 본체(10b)의 하단의 일부를 도시한 이러한 도면에서, 링 형상의 부재(2b)가 스프링(15)의 중앙 섹션으로 부착된다. 스프링(15)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퍼링된 연부(11a 및 11b)일 수 있는, 연부(11a 및 11b)를 통한 라인(100) 상에서 보여지는 서로로부터 거리를 둔 지점들 사이에서 연장한다. 버튼이 링(2b)을 통한 재봉선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는 한편, 스프링(15)이 본체(10b) 내에 묻히도록, 스프링(15)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홈(16)과 유사한, 홈 내에 배열된다. 그러한 스프링은 다시 부착 수단의 이동을 허용하고, 부착 수단(2b)은 초기의, 즉 중앙의 위치를 향해서 편향된다.
본 발명이 도시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고, 또한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까지 확장된다.

Claims (29)

  1. 직물을 체결하기 위한 버튼(1)으로서, 상기 버튼(1)은 본체(10)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1)을 직물에 부착하기 위해서 상기 본체(10)의 중앙 위치(5)에 배치된 부착 수단(2)을 구비하고,
    상기 버튼(1)의 본체(10)는 상기 본체(10)의 하부 표면(13)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볼 때 테이퍼링되는 폭(w)을 가지고,
    상기 버튼(1)은 상기 본체(10)의 외주방향 연부(11)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부착 수단(3)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본체(10)의 폭(w)은 상기 연부(11)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부착 수단(3)의 위치(6)를 향해서 테이퍼링되는, 버튼(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1)은 상기 외주방향 연부(11)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단일 위치(6)에서 상기 부착 수단(3)을 구비하는, 버튼(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1)의 본체(10)는, 상기 본체(10)의 하부 표면(13)의 평면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볼 때, 상기 연부(11)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부착 수단(3)의 위치(6)를 향해서 테이퍼링되는 높이(h)를 가지는, 버튼(1).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본체(10)의 길이(l)의 적어도 절반을 따라서 테이퍼링되고, 상기 길이(l)는 상기 본체(10)의 중심(5) 및 상기 본체(10)의 연부(11)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부착 수단(3)을 통해서 연장되는 라인(100)을 따라서 측정되는, 버튼(1).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실질적으로 직선형으로 또는 평면형으로 테이퍼링되는, 버튼(1).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방향 연부(11)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부착 수단(3)은, 상기 버튼(1)의 본체(10)의 상부 표면(12)과 하부 표면(13)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을 포함하는, 버튼(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외주방향 연부(11)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단일 관통 홀을 구비하는, 버튼(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홀에 근접한 상기 본체(10)의 외주방향 연부(11)는 상기 상부 표면(12)과 상기 하부 표면(13) 사이에서 연장되는 함몰부(8)를 포함하는, 버튼(1).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방향 연부(11)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부착 수단(3)은 상기 본체를 통해서 연장되는 2개의 단부(3a, 3b)를 구비하는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3a, 3b)는 상기 본체(10)의 하부 표면(13) 및/또는 외주방향 연부(11)에 위치되는, 버튼(1).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중심(5) 및 상기 본체(10)의 연부(11)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부착 수단(3)을 통해서 연장되는 라인(100)에 수직인 횡단면에서 볼 때, 상기 본체는 다른 표면(12, 13)과의 측방향 연부를 향해서 높이가 감소되는 하나의 표면(12, 13)으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퍼링 표면(12a, 13a)을 가지는, 버튼(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2 표면(12)과의 측방향 연부를 향해서 높이가 감소되면서 제1 표면(13)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테이퍼링 표면(13a) 및 제1 표면(13)과의 반대편 측방향 연부를 향해서 높이가 감소되면서 제2 표면(12)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테이퍼링 표면(12a)을 구비하는, 버튼(1).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면에서 볼 때, 상기 테이퍼링 표면(12a, 13a)은 상기 다른 표면(12, 13)에 대해서 각도를 이루고, 상기 각도는 상기 부착 수단(3)을 가지는 연부(11)에 근접하는 제1의 더 작은 값(α1)으로부터 상기 부착 수단(3)을 가지는 연부(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2의 더 큰 값(α2)까지 증가되는, 버튼(1).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1)은 상기 본체(10)의 제1 연부(11a)에서의 제1 부착 수단(3d)에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제2 연부(11b)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제2 부착 수단(3e)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본체(10)의 폭(w)은 또한 상기 제2 연부(11b)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제2 부착 수단(3e)의 위치를 향해서 테이퍼링되는, 버튼(1).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4개의 측방향 연부 섹션(14c, 14d)을 포함하고, 2개의 제1 측방향 연부 섹션(14c)은 제1 연부(11a)에서의 제1 부착 수단(3d)을 향해서 연장되고, 2개의 제2 측방향 연부 섹션(14d)은 제2 연부(11b)에서의 제2 부착 수단(3e)을 향해서 연장되고, 상기 본체는 적어도, 상기 제1 측방향 연부 섹션(14c)에서 그리고 상기 제1 측방향 연부 섹션(14c)과 대향하는 제2 측방향 연부 섹션(14d)에서 테이퍼링 표면(13a, 12a)을 포함하는, 버튼(1).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테이퍼링 표면(12a, 13a)은 상기 라인(100)을 통해서 그리고 상기 하부 표면(13)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면에 대해서 거울 대칭적인, 버튼(1).
  16.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물로 제조된 제품(20)으로서, 상기 직물은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구비하는, 제품(20).
  17. 제16항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버튼(1)을 수용하도록 배열되는 슬릿(21)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의 본체(5)의 외주방향 연부(11)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부착 수단(3)이 상기 슬릿(21)의 길이방향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버튼과 슬릿(21)이 대응하여 배향되는, 제품(20).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부(11)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한 부착 수단(3)의 위치에서의 상기 직물과 상기 버튼(1) 사이의 거리는, 상기 버튼의 중앙 위치(5)에서의 거리보다 짧은, 제품(20).
  19. 제16항에 있어서,
    슬릿(21)을 구비하고, 상기 슬릿(21)은 버튼의 용이한 버튼해제를 위해서 슬릿(21)의 일부를 확장하기 위한 확장 수단(22, 22a, 22b)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슬릿(22a, 22b)을 구비하고, 상기 제품은 상기 확장 수단(22, 22a, 22b)과 연관된 탄성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수단은 상기 확장 수단의 폐쇄 위치에서 상기 확장 수단(22a, 22b)을 편향시키기 위해서 상기 확장 수단(22, 22a, 22b)의 후방에 배치된 탄성 직물(23a, 23b)을 포함하는, 제품(20).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KR1020157035365A 2013-05-16 2014-04-03 직물 체결을 위한 버튼 KR101647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68005.0A EP2803285B8 (en) 2013-05-16 2013-05-16 Button for fastening fabrics
EP13168005.0 2013-05-16
PCT/EP2014/056733 WO2014183922A1 (en) 2013-05-16 2014-04-03 Button for fastening fabric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295A KR20160003295A (ko) 2016-01-08
KR101647337B1 true KR101647337B1 (ko) 2016-08-10

Family

ID=48463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365A KR101647337B1 (ko) 2013-05-16 2014-04-03 직물 체결을 위한 버튼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10004299B2 (ko)
EP (2) EP2803285B8 (ko)
JP (1) JP6147917B2 (ko)
KR (1) KR101647337B1 (ko)
CN (1) CN105246364B (ko)
AU (1) AU2014267625A1 (ko)
BR (1) BR112015028539A2 (ko)
CA (1) CA2912482A1 (ko)
CY (1) CY1116712T1 (ko)
DK (1) DK2803285T3 (ko)
ES (1) ES2551401T3 (ko)
HK (1) HK1214101A1 (ko)
HR (1) HRP20150981T1 (ko)
HU (1) HUE025967T2 (ko)
MX (1) MX2015015646A (ko)
PL (1) PL2803285T3 (ko)
PT (1) PT2803285E (ko)
RS (1) RS54287B1 (ko)
SG (1) SG11201509162PA (ko)
SI (1) SI2803285T1 (ko)
SM (1) SMT201500256B (ko)
WO (1) WO20141839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9718B2 (en) * 2012-11-21 2019-12-10 Richard Q LI Cooler bag with a detachable liner and liner base
KR101894146B1 (ko) 2016-10-20 2018-08-31 윤홍식 콘센트 안전 커버
WO2018080340A1 (ru) * 2016-10-24 2018-05-03 Андр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АРБУЗИН Пуговица быстро расстегивающаяся
CN108851372A (zh) * 2018-07-03 2018-11-23 嘉善万得隆服饰辅料厂(普通合伙) 一种连接可靠的纽扣
CN108903143A (zh) * 2018-07-03 2018-11-30 嘉善万得隆服饰辅料厂(普通合伙) 一种稳固型纽扣
US11219277B1 (en) 2021-03-19 2022-01-11 Jezekiel Ben-Arie Fast button attachment by resilient flaps trapping
US11622605B2 (en) * 2021-03-19 2023-04-11 Jezekiel Ben-Arie Button attachment by resilient gates trapping mechanism
US11375776B1 (en) 2021-12-27 2022-07-05 Jezekiel Ben-Arie Button fastening kit
US11766096B1 (en) 2022-06-01 2023-09-26 Jezekiel Ben-Arie Button fastening kit-III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3341B2 (ja) 1991-10-16 2000-11-27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の測光装置
JP2012050656A (ja) 2010-09-01 2012-03-15 Gunze Ltd 衣類用のボタン及び衣類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327C (de) * ELSAS & BOCKS in Barmen Knopfschuppenband
FR423434A (fr) 1910-12-08 1911-04-18 Johan Harrsen Boutonnière pour étoffes raides
GB191223106A (en) 1912-10-10 1913-07-24 Henry John Taylor Improvements in the Making of Buttonholes for Stiff Collars of Wearing Apparel where a Stud is used.
US1232633A (en) * 1917-03-31 1917-07-10 Loren W Webber Button.
US1407406A (en) * 1921-03-23 1922-02-21 Thomas L Glazebrook Hay-sling take-up
US2633618A (en) * 1944-12-11 1953-04-07 Better Products Inc Buttonhole and method of making buttonholes
US2543056A (en) * 1945-11-27 1951-02-27 Maurice D Pollack Button
DE823958C (de) * 1949-01-22 1951-12-06 Hans Reye Waescheknopf
US4034443A (en) * 1972-09-13 1977-07-12 Turner Roland P Knot-tying device
JPS641505U (ko) * 1987-06-24 1989-01-06
JPH0311809U (ko) * 1989-06-20 1991-02-06
JPH03113341A (ja) * 1989-09-28 1991-05-14 Mazda Motor Corp リークテスト方法
KR200193772Y1 (ko) * 2000-03-13 2000-08-16 김세기 의복을 위한 단추 결합 및 분리구조
KR100356269B1 (ko) * 2000-06-28 2002-10-31 김수영 단추
JP4904445B2 (ja) * 2001-05-08 2012-03-28 株式会社アイリス ユニバーサル釦
JP2004173732A (ja) * 2002-11-25 2004-06-24 Kotoku Button:Kk ボタン
US7722644B2 (en) * 2003-06-11 2010-05-25 Medicine Lodge, Inc. Compact line locks and methods
JP4171409B2 (ja) * 2003-12-25 2008-10-22 Ykk株式会社 ボタン
JP3103824U (ja) * 2004-03-05 2004-08-26 正治 浦畑 ボタン簡易取付け型ボタンホールの構造
CN201294924Y (zh) 2008-11-20 2009-08-26 李启涵 一种钮扣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3341B2 (ja) 1991-10-16 2000-11-27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の測光装置
JP2012050656A (ja) 2010-09-01 2012-03-15 Gunze Ltd 衣類用のボタン及び衣類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14101A1 (zh) 2016-07-22
ES2551401T3 (es) 2015-11-19
PT2803285E (pt) 2015-10-21
BR112015028539A2 (pt) 2017-07-25
CY1116712T1 (el) 2017-03-15
SI2803285T1 (sl) 2016-01-29
EP2803285B8 (en) 2015-09-09
JP6147917B2 (ja) 2017-06-14
MX2015015646A (es) 2016-07-20
JP2016518210A (ja) 2016-06-23
EP2803285A1 (en) 2014-11-19
SMT201500256B (it) 2016-01-08
HRP20150981T1 (hr) 2015-10-23
KR20160003295A (ko) 2016-01-08
CN105246364B (zh) 2018-12-18
WO2014183922A1 (en) 2014-11-20
EP2996510A1 (en) 2016-03-23
CA2912482A1 (en) 2014-11-20
DK2803285T3 (en) 2015-11-16
RS54287B1 (en) 2016-02-29
HUE025967T2 (en) 2016-05-30
SG11201509162PA (en) 2015-12-30
PL2803285T3 (pl) 2016-02-29
EP2803285B1 (en) 2015-08-05
US10004299B2 (en) 2018-06-26
US20160100655A1 (en) 2016-04-14
AU2014267625A1 (en) 2015-12-24
CN105246364A (zh) 2016-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7337B1 (ko) 직물 체결을 위한 버튼
US9750285B2 (en) Shirt collar locking system and apparatus
US7512994B2 (en) Shirts having neck size adjusting function
CA2510374C (en) Shirts having neck size adjusting function
CN109219713A (zh) 绳锁定件
EP3773038B1 (en) Lower body garment comprising a micro hook-and-loop closure system
JP4223198B2 (ja) ウエストサイズ調節機構付衣服
KR200493454Y1 (ko) 매듭 없는 타이
KR100387408B1 (ko) 의복의 허리사이즈가 조절가능한 걸림부재, 훅크구성체, 고리구성체 및 허리사이즈 조절기구가 부착된 의복
US440371A (en) Joseph w
US20190008223A1 (en) Button and button hole structure
KR102650743B1 (ko) 실리콘 타이를 이용한 허리 밴드와 이를 구비한 허리 부위 구조 및 바지
RU175139U1 (ru) Пуговица быстро расстегивающаяся
US1697271A (en) Garter
JP3086437U (ja) 止め糸上移動式釦
JP6583910B2 (ja) 上衣
CA2879647A1 (en) Tie garment article
US970427A (en) Body-garment.
JPWO2011030427A1 (ja) ボタン
KR20170004109U (ko) 의류용 단추
KR20150017992A (ko) 장식용 브로치
WO2007058413A1 (en) Necktie
JPH0268003A (ja) 織地を結合するホツ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