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6175B1 - 수소 수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수소 수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175B1
KR101646175B1 KR1020140044711A KR20140044711A KR101646175B1 KR 101646175 B1 KR101646175 B1 KR 101646175B1 KR 1020140044711 A KR1020140044711 A KR 1020140044711A KR 20140044711 A KR20140044711 A KR 20140044711A KR 101646175 B1 KR101646175 B1 KR 101646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water
hydrogen
reaction structure
pos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7077A (ko
Inventor
김길재
Original Assignee
김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재 filed Critical 김길재
Publication of KR20150087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4Seals, conne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4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itcher or ju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 전기 분해방식을 이용한 휴대용 수소 수 생성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수소 수 생성장치는 용수가 저수되는 바닥에 전해를 위한 양ㆍ음전극들이 구비된 포트를 가지며, 포트의 보관과 상기 양ㆍ음전극들에 전원공급을 위한 양ㆍ음전원공급단자들이 구비되는 홀더로 이룬 수소 수 생성장치로써, 양분되어 나사결합방식으로 조립되는 상ㆍ하부재로 이루고, 이 상ㆍ하부재의 사이에 개재시킨 이온막을 중앙에 두고 상ㆍ하 측으로 음전극과 양전극을 배치하여 이룬 수소 수 생성을 위한 반응구조 및 반응구조를 포트의 바닥에서 상하로 관통되어 구비되는 결속부와 나사결합방식으로 조립시키어서, 포트 내측에는 상기 반응구조의 음전극이 배치되고, 상기 양전극은 포트 외 측 대기 측에 배치되게 하여 순수 수소 수를 얻게 된다.

Description

수소 수 생성장치{Hydrogen water produce device}
본 발명은 전기 분해방식을 이용한 휴대용 수소 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소 수 생성을 위한 반응구조의 전극 중 양극을 대기중에 배치되게 하여 순수 수소 수를 얻을 있도록 한 수소 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소 수의 제조는 통상 물을 전기 분해하여 수소가스를 생성시키고 있는데, 그러한 수소 수 생성기는 현재까지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전해방식을 이용한 수소 수 생성장치는, 대략 용수의 전기 분해에 의해 수소를 생성하고 생성된 수소를 다시 용수에 용해시켜서 수소 수를 제조하는 것으로, 용수가 저수되는 바닥에 전해를 위한 전극들이 구비된 포트와, 이 포트의 보관과 포트의 전극들에 전원공급을 위한 공급단자들이 구비되는 홀더로 이루고 있다.
이러한 수소 수 생성장치에서 포트의 바닥에 구비되는 수소 생성을 위한 양ㆍ음극의 전극구조들을 보면, 양분되어 상ㆍ하부재로 이루는 전극 지지체의 내에 띠 형상으로 이루는 양ㆍ음전극들을 동일평면에서 원주 상으로 교호적이고 중복 배치하여 이루고, 그리고 전극 지지체의 저면에 구비시킨 숫형의 삽입돌기를 이용하여 포트의 바닥에 삽입식으로 조립 설치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포트에 구비되는 수소 생성을 위한 양ㆍ음극의 전극구조는 용수가 저장되는 포트의 바닥에서 양ㆍ음극 2종의 전극 모두가 노출되어 용수와 반응이 동시적으로 이루어서 음극의 전극에서는 수소가스가, 그리고 양극의 전극에서는 오존가스가 함께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음용수로는 부적합하고 또 그 오존에서 발생하는 비린내로 수소 수의 음용이 용이하지 못함과 아울러, 불쾌감이 따르는 결함이 있었다.
또한 수소 생성을 위한 양ㆍ음극의 전극구조는 반원형의 소폭 판재들을 이용해 동일평면상에서 교호적이고 중복적으로 배치하여 그 구조가 복잡하고, 포트 바닥과의 결합구조가 안정되지 못하며 따라서, 내구성은 물론 누수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등 제품성을 떨뜨리는 많은 문제점이 따르고 있는 것이다.
국내 특허 10-1320463호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수소 생성을 위한 반응구조가 상ㆍ하부재로 분리구성되고, 그 사이에서 이온막을 이용해 양전극이 음전극과 격리되어 대기 측으로 노출되게 함으로서, 순수 수소 수를 얻고 구조적으로 안정과 내구성 향상으로 제품성을 향상시킨 수소 수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소 생성을 위한 반응구조의 구조 혁신, 즉 포트의 저면에 결속부를 구비하고 이 결속부와 반응구조 사이에 밀폐부재를 개재하여 나사조립시킴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과 내구성, 그리고 누수를 방지시키어 제품성을 향상시킨 수소 수 생성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응구조의 직 하부에 연이어 탈취부를 구비하여 대기 중으로 노출된 양전극으로부터 발생하는 오존가스의 비린내가 흡착처리 되게 함으로서, 불쾌감을 제거하고 수소 수의 음용이 용이한 수소 수 생성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기 분해방식을 이용한 휴대용 수소 수 생성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수소 수 생성장치는 용수가 저수되는 바닥에 전해를 위한 양ㆍ음전극들이 구비된 포트를 가지며, 포트의 보관과 상기 양ㆍ음전극들에 전원공급을 위한 양ㆍ음전원공급단자들이 구비되는 홀더로 이룬 수소 수 생성장치로써, 양분되어 나사결합방식으로 조립되는 상ㆍ하부재로 이루고, 이 상ㆍ하부재의 사이에 개재시킨 이온막을 중앙에 두고 상ㆍ하 측으로 음전극과 양전극을 배치하여 이룬 수소 수 생성을 위한 반응구조 및 반응구조를 포트의 바닥에서 상하로 관통되어 구비되는 결속부와 나사결합방식으로 조립시키어서, 포트 내측에는 상기 반응구조의 음전극이 배치되고, 상기 양전극은 포트 외 측 대기 측에 배치되게 하여 순수 수소 수를 얻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소 수 생성장치에 의하면, 수소 생성을 위한 반응구조가 상ㆍ하부재로 분리구성되고, 그 사이에서 이온막을 이용해 양전극이 음전극과 격리되어 대기 측으로 노출되게 구성함으로써, 종래 포트 내에서 양ㆍ음극 전극이 동시적으로 배치됨에 따랐던 오존을 대기 측으로 방출하여 해결시키어 중성수소가 아닌 순수 수소 수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수소 생성을 위한 반응구조의 구조 혁신, 즉 포트의 저면에 결속부를 구비하고 이 결속부와 반응구조 사이에 밀폐부재를 개재하여 나사조립시킴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과 내구성, 그리고 누수를 방지시키어 제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응구조의 직 하부에 연이어서 대기 중으로 노출된 양전극으로부터 발생하는 오존가스를 강제적으로 흡인하여 비린내를 흡착처리시키는 탈취부를 구비함으로써, 주위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소 수소 수 음용 시 불쾌감을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수소 수 생성장치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 수소 수 생성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단면도로써,
도 2는 포트가 홀더로부터 이탈된 모습을 보인 설명도이고,
도 3은 홀더에 포트가 탑재된 모습을 보인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수소 수 생성을 위한 반응구조를 보여주는 요부확대 단면도.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겠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 수 생성장치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전해방식을 이용한 수소 수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용수의 전기 분해에 의해 수소를 생성하고 생성된 수소를 다시 용수에 용해시켜서 수소 수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 수소 수 생성장치는 크게 나누어 홀더(10)와 수소 수 생성을 위한 용수가 저장되는 포트(20)로 이루고 있다.
먼저, 홀더(10)는 포트(20)가 탈착방식으로 설치되는 받침대(12)와, 이 받침대(12)의 주위 일부분에서 상부 측으로 연장되어 받침대(12) 상에서 보관되는 포트(20)를 안정되게 보지시키는 지지대(14)로 구성된다.
또 홀더(10)의 받침대(12)에는 그 받침대(12) 상에 탑재되는 포트(20)의 저면이 접촉하는 기저판(12a)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기저판(12a)에는 스프링(13)을 이용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포트(20)의 탑재 시 이후에 설명할 반응구조와 확고한 전기적 접촉을 이루어 반응작용을 위한 전원을 공급시키는 양ㆍ음극전원 공급단자들(12a-1,12a-2)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포트(20)는 상면이 뚜껑(22)으로 복개되고, 바닥에는 반응구조(24)가 그 바닥에서 구비되는 결속부(26)를 이용해 나사조립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반응구조(24)는 양분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상ㆍ하부재들(24a,24b)로 이루고, 이 상ㆍ하부재들(24a,24b)의 사이에서 개재시킨 이온막(24c)을 중앙에 두고 포트(20)의 내ㆍ외 측에서 서로 격리되어 음전극(24a-1)과 양전극(24b-1)이 배치된다. 다시 설명하면, 포트(20) 내측에는 반응구조(24)의 음전극(24a-1)이 배치되고, 양전극(24b-1)은 포트(20)의 외 측인 대기 측에 배치될 것이다.
한편 반응구조(24)의 상부재(24a)에는 음전극(24a-1)과 포트(20) 내의 용수와의 접촉을 위한 망형의 통수부(2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반응구조(24)와 포트(20)의 결속부(26) 사이에는 포트(20) 내의 용수 누출을 방지시키기 위한 밀폐요소(30)를 갖는다.
그리고 홀더(10) 내에는 포트(20)의 저면 직 하부에서 부가적으로 구비되어 반응구조(24)의 양전극(24b-1)에서 발생하는 오존가스를 흡착처리시키는 탈취부(40)를 갖는다.
이러한 탈취부(40)는 포트(20)의 저면 외 측에서 대기 중으로 노출되어 설치되는 양전극(24b-1)으로부터 발생하는 오존가스를 도 4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기저판(12a)의 배출공을 통해 강제적으로 끌어당기는 흡인팬(42)과, 이 흡인팬(42)을 이용해 흡인된 오존가스를 통과시키면서 오존가스를 흡착처리시키는 필터(44)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이 수소 수 생성과정에서 양전극(24b-1)으로부터 발생하는 오존가스가 탈취부(40)를 통해 흡착처리되어 주위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킴과 동시, 수소 수 음용 시 불쾌감을 제거하고 음용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홀더 12 :받침대
14 :지지대 20 :포트
22 :뚜껑 24 :반응구조
24a :상부재 24b :하부재
24a-1 :음전극 24b-1 :양전극
26 :결속부 30 :밀폐요소
40 :탈취부 42 :흡인팬
44 :필터

Claims (5)

  1. 용수가 저수되는 바닥에 전해를 위한 양·음전극들이 구비된 포트를 가지며, 상기 포트가 탈착방식으로 설치되는 받침대와, 이 받침대 일부분에서 상부 측으로 연장되어 받침대 상에서 보관되는 포트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받침대에 탑재되어 포트의 저면이 접촉하는 기저판과, 상기 기저판에 포트의 탑재 시, 스프링을 이용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반응구조와 전기적 접촉을 이루어 반응 작용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양·음극전원 공급단자들이 양·음전극들과 밀접되게 하는 홀더가 구성되고, 상기 음전극과 포트 내의 용수와의 접촉을 위하여 반응구조의 상부재에 망형의 통수부로 이룬 수소 수 생성장치로써,
    상면이 뚜껑으로 복개되면서 바닥에는 반응구조가 나사조립방식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속부와;
    양분되어 나사결합방식으로 조립되는 상ㆍ하부재로 이루고, 이 상ㆍ하부재 사이에 개재시킨 이온막을 중앙에 두고 포트 내·외측에서 음전극과 양전극이 격리되어 배치되는 반응구조와;
    상기 반응구조와 상기 포트의 결속부 사이에 구비되어 포트 내의 용수 누출을 방지시키기 위한 밀폐요소와;
    상기 포트의 저면 직 하부의 홀더 내에 구비되어 상기 반응구조의 양전극에서 발생하는 오존가스를 흡착처리하도록 기저판의 배출공을 통해 강제적으로 끌어당기는 흡입팬이 구비되고, 상기 흡입팬을 이용해 흡입된 오존가스를 흡착처리하는 필터로 구비된 탈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수 생성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044711A 2014-01-20 2014-04-15 수소 수 생성장치 KR1016461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448 2014-01-20
KR20140006448 2014-0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077A KR20150087077A (ko) 2015-07-29
KR101646175B1 true KR101646175B1 (ko) 2016-08-08

Family

ID=53876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711A KR101646175B1 (ko) 2014-01-20 2014-04-15 수소 수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1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3819A1 (ko) * 2016-09-02 2018-03-08 김일봉 휴대가 편리한 수소수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5997B2 (ja) * 1993-06-25 2001-06-11 松下電工株式会社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制御用端末器
JP2009269015A (ja) * 2008-04-08 2009-11-19 Iris Ohyama Inc 銀イオン発生装置
KR101036381B1 (ko) * 2011-02-23 2011-05-23 주식회사 이온팜스 알칼리 이온수기
KR200459135Y1 (ko) * 2010-05-03 2012-03-19 김일봉 포터블 수소풍부수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0209B2 (ja) * 1989-12-05 1999-04-05 栄研化学株式会社 総ビリルビンの定量法及びそれに用いる試薬
KR101320463B1 (ko) 2011-12-23 2013-10-23 주식회사 아루이 수소수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5997B2 (ja) * 1993-06-25 2001-06-11 松下電工株式会社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制御用端末器
JP2009269015A (ja) * 2008-04-08 2009-11-19 Iris Ohyama Inc 銀イオン発生装置
KR200459135Y1 (ko) * 2010-05-03 2012-03-19 김일봉 포터블 수소풍부수 제조장치
KR101036381B1 (ko) * 2011-02-23 2011-05-23 주식회사 이온팜스 알칼리 이온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077A (ko)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9135Y1 (ko) 포터블 수소풍부수 제조장치
JP3175997U (ja) ポータブル型飲料用水素水の生成器
JP6250596B2 (ja) 水素水製造用の水素発生ユニット
JP5932798B2 (ja) 酸素濃縮器および方法
JP2016098410A5 (ko)
RU2019114843A (ru) Саморегулируемый электролитический газогенератор и содержащая его имплант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JP3198357U (ja) 耐熱式簡易電解式水素水生成器
RU2608760C2 (ru) Энергоблок с безопасным и надеж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хранения водорода
CN105525658A (zh) 一种水离子集成水槽
JP2016000376A (ja) ガス溶存水生成装置
JP3198704U (ja) ポータブル型電解装置
KR101646175B1 (ko) 수소 수 생성장치
KR20170063361A (ko) 기능수 생성 장치
JP6338648B2 (ja) ポータブル型電解装置
KR20130027817A (ko) 산성이온수 제조장치
KR101695673B1 (ko)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
WO2007072098A3 (en) Ozone generating electrolysis cell
CN204126018U (zh) 一种水离子集成水槽
JP3198341U (ja) 簡易電解式水素水生成器
TW200640065A (en) Fuel cell
KR101036381B1 (ko) 알칼리 이온수기
KR101867370B1 (ko) 휴대형 수소수 제조 장치
JP6216967B2 (ja) 電極、および、ガス生成装置
CN207130343U (zh) 一种可自动添加电解液的电解式臭氧发生装置
TWI410526B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