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287B1 - 메탈지퍼이송 텐션조절·하중센싱을 통한 스마트 메탈지퍼 엉킴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메탈지퍼이송 텐션조절·하중센싱을 통한 스마트 메탈지퍼 엉킴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287B1
KR101645287B1 KR1020150034806A KR20150034806A KR101645287B1 KR 101645287 B1 KR101645287 B1 KR 101645287B1 KR 1020150034806 A KR1020150034806 A KR 1020150034806A KR 20150034806 A KR20150034806 A KR 20150034806A KR 101645287 B1 KR101645287 B1 KR 101645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zipper
weight
load
zipp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봉
Original Assignee
(주)유닉스지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닉스지퍼 filed Critical (주)유닉스지퍼
Priority to KR1020150034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2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42Making by processes not fully provided for in one other class, e.g. B21D53/50, B21F45/18, B22D17/16, B29D5/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종래 연마용브러쉬장치의 경우에, 수납용기에 수납된 메탈지퍼끼리 엉켜서 하중이 발생되어 연마용브러쉬장치내에서 정지된 메탈지퍼만을 잡고 고속연마시키기 때문에, 지퍼티스의 연마두께가 상이하고, 연마된 지퍼티스형상이 불균형해져서, 제품불량지퍼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과, 고속 회전되는 연마롤러 사이에 정지된 메탈지퍼가 같이 말아져 엉켜버려서, 연마용브러쉬장치 자체에 고장을 자주 일으키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텐션조절서브브라켓(100), 트윈형 가이드봉(200), 고정형 웨이트추(300), 가변형 웨이트추(400), 리미트근접센서부(500), 하중감지형 이송롤러부(600)로 구성됨으로서, 연마용 브러쉬장치와 수납부 사이의 상층이송롤러 라인상에 탈부착구조로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수납용기에 수납된 메탈지퍼가 엉켜서 하중이 발생되면, 상승되는 웨이트추를 센싱하여 연마용 브러쉬장치의 전원부를 순간오프시켜 연마용브러쉬장치의 구동을 일시멈춤시킬 수 있어, 작업자 직접 확인을 통해 엉켜있는 메탈지퍼를 풀어준 후, 다시 연마용브러쉬장치의 전원부를 눌러 재가동시킬 수 있고, 메탈지퍼의 제품불량율을 기존에 비해 80%로 떨어뜨릴 수 있고, 연마용 브러쉬장치에 발생되는 과부하와 고장발생율을 기존에 비해 70%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 연마시 발생되는 에러와 결함을 사전체크할 수가 있어, 지퍼완성품에 관한 크레임사고를 기존에 비해 80% 이하로 떨어뜨릴 수 있는 메탈지퍼이송 텐션조절·하중센싱을 통한 스마트 메탈지퍼 엉킴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메탈지퍼이송 텐션조절·하중센싱을 통한 스마트 메탈지퍼 엉킴방지장치{THE APPARATUS OF SMART METAL ZIPPER}
본 발명에서는 연마용 브러쉬장치의 상층이송롤러 라인상에 설치되어, 수납용기에서 이송되는 메탈지퍼의 이송텐션을 조절할 수 있고, 수납용기에 수납된 메탈지퍼가 엉켜서 하중이 발생되면, 상승되는 웨이트추를 센싱하여 연마용 브러쉬장치의 전원부를 순간오프시켜 연마용브러쉬장치의 구동을 일시멈춤시킬 수 있는 메탈지퍼이송 텐션조절·하중센싱을 통한 스마트 메탈지퍼 엉킴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탈지퍼(Metal Zipper)는 가장 기본적인 구조의 지퍼로서 이빨이 금속재료로 되어 있어 다른 지퍼에 비해 강도가 월등해 사용 범위가 넓다.
특히 고급자켓, 가죽코트등 고급 의류에 많이 사용된다.
메탈 지퍼의 종류로는 알루미늄,단동,안티크브라스,니켈,옥시드 칼라등이 있으며, 그 밖에도 여러가지로 응용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메탈지퍼는 지퍼티스 표면의 금속파편을 마모시키고, 고급스럽게 광택효과를 주기 위해, 연마용 브러쉬장치를 통해 지퍼티스(Teeth) 표면을 고속연마시킨다.
상기 연마용브러쉬장치는 지퍼티스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고속연마시킨다.
즉, 수납용기에 수납된 메탈지퍼를 상층지지프레임에 설치된 복수개의 상층이송롤러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텐션을 주면서 연마용브러쉬장치쪽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수납용기에 수납된 메탈지퍼는 50m~500m의 길이로 이루어져 있어, 상층이송롤러를 통해 연마용브러쉬장치쪽으로 이송시, 수납용기에 수납된 메탈지퍼끼리 엉켜서 하중이 발생되어, 정상적으로 연마용브러쉬장치쪽으로 이송되지 않고, 일시멈춤현상이 발생된다.
이로 인해, 연마용브러쉬장치에서는 다음으로 연속이송되는 메탈지퍼가 공급되지 않으면, 하나의 메탈지퍼만을 집중공략해서 연속적으로 고속연마시키기 때문에, 지퍼티스의 연마두께가 상이하고, 연마된 지퍼티스형상이 불균형해져서, 지터티스와 지터티스 사이가 잘 맞지 않아, 제품불량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마용브러쉬장치로 연속으로 이송되는 메탈지퍼의 공급이 단절된 채, 메탈지퍼가 정지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고속 회전되는 연마롤러 사이에 메탈지퍼가 같이 말아져 엉켜버려서, 연마용브러쉬장치 자체에 고장을 자주 일으키는 요인이 되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17746호(2005년02월23일)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연마용 브러쉬장치와 수납부 사이의 상층이송롤러 라인상에 탈부착구조로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수납용기에 수납된 메탈지퍼가 엉켜서 하중이 발생되면, 상승되는 웨이트추를 센싱하여 연마용 브러쉬장치의 전원부를 순간오프시켜 연마용브러쉬장치의 구동을 일시멈춤시킬 수 있으며, 연마시 발생되는 에러와 결함을 사전체크할 수가 있는 메탈지퍼이송 텐션조절·하중센싱을 통한 스마트 메탈지퍼 엉킴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메탈지퍼이송 텐션조절·하중센싱을 통한 스마트 메탈지퍼 엉킴방지장치는
상층이송롤러, 상층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연마용 브러쉬장치의 상층이송롤러 라인상에 설치되고, 수납용기에 수납된 메탈지퍼가 엉켜서 하중이 발생되어, 웨이트추가 상승되면, 상승되는 웨이트추를 센싱하여 연마용 브러쉬장치의 전원부를 순간오프시켜 연마용브러쉬장치의 구동을 일시멈춤시키도록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상기 스마트 메탈지퍼 엉킴방지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마용 브러쉬장치로 이송되는 상층이송롤러들을 지지하는 상층지지프레임 일측에 위치되어, 외압에 의해 각 기기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이송되는 메탈지퍼의 이송텐션을 조절시키는 텐션조절서브브라켓(100)과,
상단 일측이 텐션조절서브브라켓에 위치되고, 직립의 길이방향을 갖는 트윈구조로 형성되어, 고정형 웨이트추, 가변형 웨이트추, 리미트근접센서부를 지지하면서, 가변형 웨이트추가 고정형 웨이트추까지 상하방향으로 구동되도록 가이드역할을 하는 트윈형 가이드봉(200)과,
트윈형 가이드봉의 중단 부위에 위치되어, 가변형 웨이트추가 구동될 때 상승높이의 기준점을 설정시킴과 동시에, 지지용브라켓과 트윈형 가이드봉이 외압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무게중심역할을 하는 고정형 웨이트추(300)와,
트윈형 가이드봉의 하단 부위에 위치되어, 전면방향의 동일선상에 형성된 하중감지형 이송롤러부의 하중에 의해 트윈형 가이드봉을 따라 리미트근접센서부까지 상승운동시키는 가변형 웨이트추(400)와,
트윈형 가이드봉의 후단 일측에 위치되어, 가변형 웨이트추가 상승운동되어 접근시 전자계의 힘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센싱시킨 후, 센싱신호를 연마용 브러쉬장치의 PLC제어모듈로 전달시키는 리미트근접센서부(500)와,
가변형 웨이트추의 전면방향의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이웃하는 상층이송롤러로부터 메탈지퍼를 전달받아 연마용 브러쉬장치쪽으로 이송시키면서, 수납용기에 수납된 메탈지퍼가 엉켜서 하중이 발생되면, 발생된 하중을 가변형 웨이트추쪽으로 전달시키는 하중감지형 이송롤러부(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연마용 브러쉬장치와 수납부 사이의 상층이송롤러 라인상에 탈부착구조로 손쉽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가 용이하고, 연마용 브러쉬장치 이외에도, 엉킴현상으로 인해 기기 고장을 일으키는 지퍼형성공정장치에 응용시킬 수 있어, 응용범위가 넓으며, 연마용브러쉬장치를 통한 메탈지퍼의 제품불량율을 기존에 비해 80%로 떨어뜨릴 수 있고, 연마용 브러쉬장치에 발생되는 과부하와 고장발생율을 기존에 비해 70%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 연마시 발생되는 에러와 결함을 사전체크할 수가 있어, 지퍼완성품에 관한 크레임사고를 기존에 비해 80% 이하로 떨어뜨릴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탈지퍼이송 텐션조절·하중센싱을 통한 스마트 메탈지퍼 엉킴방지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탈지퍼이송 텐션조절·하중센싱을 통한 스마트 메탈지퍼 엉킴방지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탈지퍼이송 텐션조절·하중센싱을 통한 스마트 메탈지퍼 엉킴방지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마용 브러쉬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PLC제어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PLC제어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PLC제어모듈의 입력부가 리미트근접센서부에 연결되고, 출력부가 연마용브러쉬장치의 전원부에 연결되어, 리미트근접센서부로부터 엉켜서 하중이 감지되었다는 하중감지 센싱신호가 입력되면, PLC제어모듈의 순간오프신호를 전원부로 전달시키는 동작을 도시한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메탈지퍼 엉킴방지장치가 연마용 브러쉬장치로 이송되는 상층이송롤러들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메탈지퍼 엉킴방지장치의 구성요소 중 하중감지형 이송롤러부에서 이웃하는 상층이송롤러로부터 메탈지퍼를 전달받아 연마용 브러쉬장치쪽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메탈지퍼 엉킴방지장치의 구성요소 중 하중감지형 이송롤러부에서 수납용기에 수납된 메탈지퍼가 엉켜서 하중이 발생되면, 발생된 하중을 가변형 웨이트추쪽으로 전달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본 발명에서는 단방향 지퍼, 갭지퍼, 완성형지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이루어진 메탈지퍼가 수납용기에 수납된 상태에서 엉켜서 하중발생시, 상승되는 웨이트추를 센싱하여 연마용 브러쉬장치의 전원부를 순간오프시켜 연마용브러쉬장치의 구동을 일시멈춤시키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탈지퍼이송 텐션조절·하중센싱을 통한 스마트 메탈지퍼 엉킴방지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에 관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탈지퍼이송 텐션조절·하중센싱을 통한 스마트 메탈지퍼 엉킴방지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상층이송롤러, 상층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연마용 브러쉬장치의 상층이송롤러 라인상에 설치되고, 수납용기에 수납된 메탈지퍼가 엉켜서 하중이 발생되어, 웨이트추가 상승되면, 상승되는 웨이트추를 센싱하여 연마용 브러쉬장치의 전원부를 순간오프시켜 연마용브러쉬장치의 구동을 일시멈춤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 메탈지퍼 엉킴방지장치(1)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텐션조절서브브라켓(100), 트윈형 가이드봉(200), 고정형 웨이트추(300), 가변형 웨이트추(400), 리미트근접센서부(500), 하중감지형 이송롤러부(6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텐션조절서브브라켓(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텐션조절서브브라켓(100)은 연마용 브러쉬장치로 이송되는 상층이송롤러들을 지지하는 상층지지프레임 일측에 위치되어, 외압에 의해 각 기기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이송되는 메탈지퍼의 이송텐션을 조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
Figure 112015024607144-pat00001
"형상의 브라켓본체로 형성되고, 브라켓본체의 표면상에 높이차를 갖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그 홀에 삽입되는 볼트와 너트 체결을 통해 상층지지프레임에 체결되는 높이차를 조절해서, 하중감지형 이송롤러부를 통해 이송되는 메탈지퍼의 이송 텐션을 조절시킨다.
상기 홀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cm~5cm 간격의 높이차를 가지면서, 제1홀(101), 제2홀(102), 제3홀(103) 순서로 층상구조로 형성된다. 제1홀의 높이가 가장 낮고, 제3홀의 높이가 가장 높게 설정된다.
이때, 메탈지퍼의 이송 텐션을 조절시킨다는 것은 트윈형 가이드봉과 하중감지형 이송롤러부의 높낮이를 조절시켜, 이송되는 메탈지퍼에 탄력성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말한다.
즉, 기존의 제3홀에서 제1홀에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면, 상층지지프레임에 체결된 브라켓본체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이와 맞물려서 트윈형 가이드봉과 하중감지형 이송롤러부의 높낮이가 길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하중감지형 이송롤러부에 접촉된 메탈지퍼 또한 탄력성이 증가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트윈형 가이드봉(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트윈형 가이드봉(200)은 상단 일측이 텐션조절서브브라켓에 위치되고, 직립의 길이방향을 갖는 트윈구조로 형성되어, 고정형 웨이트추, 가변형 웨이트추, 리미트근접센서부를 지지하면서, 가변형 웨이트추가 고정형 웨이트추까지 상하방향으로 구동되도록 가이드역할을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개의 일자형봉이 나란히 형성되어, 상단 일측에는 텐션조절서브브라켓이 연결되고, 중단 일측에는 고정형 웨이트추가 형성되며, 하단 일측에는 가변형 웨이트추가 형성된다.
그리고, 후면 방향에 리미트근접센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트윈형 가이드봉이 두개의 일자형봉으로 나란히 형성되는 이유는 하중감지형 이송롤러를 통해 하중이 감지되면, 가변형 웨이트추가 상하방향으로 정위치상에서 가이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정형 웨이트추(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고정형 웨이트추(300)는 트윈형 가이드봉의 중단 부위에 위치되어, 가변형 웨이트추가 구동될 때 상승높이의 기준점을 설정시킴과 동시에, 지지용브라켓과 트윈형 가이드봉이 외압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무게중심역할을 한다.
이는 2kg~15kg의 중량을 가지는 사각블럭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형 웨이트추가 상승높이의 기준점을 설정시킨다는 것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15024607144-pat00002
즉, 트윈형 가이드봉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되는 가변형 웨이트추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자체중량을 가지는 가변형 웨이트추에다가, 가변형 웨이트추와 고정형 웨이트 추사이의 높이차를 통한 중력하중까지 고려하여, 엉킴현상시, 발생되는 메탈지퍼의 하중을 설정시키는 것을 말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웨이트추(4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가변형 웨이트추(400)는 트윈형 가이드봉의 하단 부위에 위치되어, 전면방향의 동일선상에 형성된 하중감지형 이송롤러부의 하중에 의해 트윈형 가이드봉을 따라 리미트근접센서부까지 상승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2kg~15kg의 중량을 가지는 사각블럭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공간에 두개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트윈형 가이드봉에 삽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변형 웨이트추는 전면방향의 동일선상에 하중감지형 이송롤러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리미트근접센서부(5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리미트근접센서부(500)는 트윈형 가이드봉의 후단 일측에 위치되어, 가변형 웨이트추가 상승운동되어 접근시 전자계의 힘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센싱시킨 후, 센싱신호를 연마용 브러쉬장치의 PLC제어모듈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지지브라켓(510), 리미트근접센서(520), 센서케이블(530)로 구성된다.
상기 센서지지브라켓(510)은 트윈형 가이드봉의 후단 일측에 "
Figure 112015024607144-pat00003
"구조로 설치되고, 표면상에 복수개의 높이차를 갖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그 삽입홀에 리미트근접센서를 장착시킨 상태에서 외압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리미트근접센서(520)는 센서지지브라켓의 삽입홀에 장착되어 특정 삽입홀에 위치된 상태에서, 가변형 웨이트추가 상승운동되어 접근시 전자계의 힘을 센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센서케이블(530)은 리미트근접센서로부터 센싱된 하중감지 센싱신호를 PLC제어모듈의 입력부쪽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하중감지형 이송롤러부(6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하중감지형 이송롤러부(600)는 가변형 웨이트추의 전면방향의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이웃하는 상층이송롤러로부터 메탈지퍼를 전달받아 연마용 브러쉬장치쪽으로 이송시키면서, 수납용기에 수납된 메탈지퍼가 엉켜서 하중이 발생되면, 발생된 하중을 가변형 웨이트추쪽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원통형드럼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중감지형 이송롤러부는 하단방향에 메탈지퍼를 구름접촉시키면서 연마용 브러쉬장치쪽으로 안내 이송시키다가, 수납용기에 수납된 메탈지퍼가 엉켜서 하중이 발생되면, 발생된 하중을 가변형 웨이트추쪽으로 전달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연마용 브러쉬장치(2)는 수납용기에 수납된 메탈지퍼를 공급받아, 메탈지퍼의 상단면 지퍼티스와 하단면 지퍼티스를 연마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층지지프레임(2a), 상층이송롤러(2b), PLC제어모듈(2c), 연마롤러(2d), 전원부(2e)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상층지지프레임(2a)은 연마용 브러쉬장치의 입구쪽 상층 부위에 위치되어, 복수개의 상층이송롤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층이송롤러(2b)는 상층지지프레임 상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수납용기에 수납된 메탈지퍼를 텐션을 주면서 연마용 브러쉬장치의 입구쪽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수납용기에 수납된 메탈지퍼에 텐션을 주는 이유는 수납용기에 수납된 메탈지퍼가 엉키지 않고, 연마용 브러쉬장치의 입구쪽으로 탄력성있게 전달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PLC제어모듈(2c)은 연마용브러쉬장치의 전체적인 구동을 순차적으로 제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부(2c-1), 메모리부(2c-2), 마이크로프로세서부(2c-3), 출력부(2c-4)로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2c-1)는 연마용브러쉬장치에 구성된 입력기기(푸시버튼스위치, 선택스위치, 리미트근접센서부)의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부의 연산부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단자 RY1에 리미트근접센서부가 연결되어, 리미트근접센서부로부터 엉켜서 하중이 감지되었다는 하중감지 센싱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메모리부(2c-2)는 연마용브러쉬장치의 전체적인 구동에 관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부(2c-3)는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해독하여 연산시켜 출력부쪽으로 출력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전원스위치구동모드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전원스위치구동모드는 리미트근접센서부로부터 메탈지퍼가 엉켜서 하중이 감지되었다는 하중감지 센싱신호가 입력되면, 연마용 브러쉬장치의 전원부와 접점된 전원스위치를 순간오프시켜 연마용브러쉬장치의 구동을 일시멈춤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출력부(2c-4)는 연마용브러쉬장치에 구성된 출력기기(파일럿램프, 부저, 전자밸브, 전원부, 전자개폐기)와 연결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부의 제어하에 출력기기쪽으로 출력신호를 출력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단자 OUT1에 연마용브러쉬장치의 전원부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즉, 출력단자 OUT1쪽으로 순간오프신호를 출력시켜, 연마용브러쉬장치의 전원부를 순간오프시킨다.
상기 연마롤러(2d)는 PLC제어모듈의 제어하에 구동되어, 이송되는 메탈지퍼의 상단면 지퍼티스 및 하단면 지퍼티스를 고속회전을 통해 연마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원부(2e)는 각 기기에 전원을 공급시키는 곳으로, PLC 제어모듈의 순간오프신호에 따라 순간오프된다.
이때, PLC제어모듈의 순간오프신호에 따라 순간오프되면, 연마용브러쉬장치의 구동이 일시멈추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메탈지퍼는 지퍼테이프상에 한줄의 지퍼티스만이 형성된 단방향 지퍼와;, 제1 단방향지퍼, 갭간격, 제2 단방향지퍼가 연속으로 일렬로 나열되어 형성된 갭지퍼와;, 제1 단방향지퍼와 제2 단방향지퍼가 하나로 결합되어 형성된 완성형지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메탈지퍼이송 텐션조절·하중센싱을 통한 스마트 메탈지퍼 엉킴방지장치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텐션조절서브브라켓을 연마용 브러쉬장치로 이송되는 상층이송롤러들을 지지하는 상층지지프레임 일측에 설치시킨다.
이때, 이송되는 메탈지퍼의 텐션이 느슨하면, 메탈지퍼의 이송텐션을 조절시킨다.
즉, 제3홀에서 제1홀에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면, 상층지지프레임에 체결된 브라켓본체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이와 맞물려서 트윈형 가이드봉과 하중감지형 이송롤러부의 높낮이가 길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하중감지형 이송롤러부에 접촉된 메탈지퍼 또한 탄력성이 증가하게 된다.
다음으로, 수납용기에 수납된 메탈지퍼를 상층지지프레임에 설치된 복수개의 상층이송롤러를 지나, 하중감지형 이송롤러부를 거쳐, 연마용브러쉬장치의 입구쪽으로 전달시킨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중감지형 이송롤러부에서 이웃하는 상층이송롤러로부터 메탈지퍼를 전달받아 연마용 브러쉬장치쪽으로 이송시킨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중감지형 이송롤러부에서 수납용기에 수납된 메탈지퍼가 엉켜서 하중이 발생되면, 발생된 하중을 가변형 웨이트추쪽으로 전달시킨다.
다음으로, 가변형 웨이트추에서 전면방향의 동일선상에 형성된 하중감지형 이송롤러부의 하중에 의해 트윈형 가이드봉을 따라 리미트근접센서부까지 상승운동시킨다.
다음으로, 리미트근접센서부에서 가변형 웨이트추가 상승운동되어 접근시 전자계의 힘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센싱시킨 후, 센싱신호를 연마용 브러쉬장치의 PLC제어모듈로 전달시킨다.
끝으로, PLC제어모듈의 전원스위치구동모드가 구동되어, 리미트근접센서부로부터 메탈지퍼가 엉켜서 하중이 감지되었다는 하중감지 센싱신호가 입력되면, 연마용 브러쉬장치의 전원부와 접점된 전원스위치를 순간오프시켜 연마용브러쉬장치의 구동을 일시멈춤시킨다.
1 : 스마트 메탈지퍼 엉킴방지장치
100 : 텐션조절서브브라켓 200 : 트윈형 가이드봉
300 : 고정형 웨이트추 400 : 가변형 웨이트추
500 : 리미트근접센서부 600 : 하중감지형 이송롤러부

Claims (7)

  1. 상층이송롤러, 상층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연마용 브러쉬장치의 상층이송롤러 라인상에 설치되고, 수납용기에 수납된 메탈지퍼가 엉켜서 하중이 발생되어, 웨이트추가 상승되면, 상승되는 웨이트추를 센싱하여 연마용 브러쉬장치의 전원부를 순간오프시켜 연마용브러쉬장치의 구동을 일시멈춤시키도록 구성되는 메탈지퍼이송 텐션조절·하중센싱을 통한 스마트 메탈지퍼 엉킴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탈지퍼 엉킴방지장치는
    연마용 브러쉬장치로 이송되는 상층이송롤러들을 지지하는 상층지지프레임 일측에 위치되어, 외압에 의해 각 기기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이송되는 메탈지퍼의 이송텐션을 조절시키는 텐션조절서브브라켓(100)과,
    상단 일측이 텐션조절서브브라켓에 위치되고, 직립의 길이방향을 갖는 트윈구조로 형성되어, 고정형 웨이트추, 가변형 웨이트추, 리미트근접센서부를 지지하면서, 가변형 웨이트추가 고정형 웨이트추까지 상하방향으로 구동되도록 가이드역할을 하는 트윈형 가이드봉(200)과,
    트윈형 가이드봉의 중단 부위에 위치되어, 가변형 웨이트추가 구동될 때 상승높이의 기준점을 설정시킴과 동시에, 지지용브라켓과 트윈형 가이드봉이 외압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무게중심역할을 하는 고정형 웨이트추(300)와,
    트윈형 가이드봉의 하단 부위에 위치되어, 전면방향의 동일선상에 형성된 하중감지형 이송롤러부의 하중에 의해 트윈형 가이드봉을 따라 리미트근접센서부까지 상승운동시키는 가변형 웨이트추(400)와,
    트윈형 가이드봉의 후단 일측에 위치되어, 가변형 웨이트추가 상승운동되어 접근시 전자계의 힘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센싱시킨 후, 센싱신호를 연마용 브러쉬장치의 PLC제어모듈로 전달시키는 리미트근접센서부(500)와,
    가변형 웨이트추의 전면방향의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이웃하는 상층이송롤러로부터 메탈지퍼를 전달받아 연마용 브러쉬장치쪽으로 이송시키면서, 수납용기에 수납된 메탈지퍼가 엉켜서 하중이 발생되면, 발생된 하중을 가변형 웨이트추쪽으로 전달시키는 하중감지형 이송롤러부(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지퍼이송 텐션조절·하중센싱을 통한 스마트 메탈지퍼 엉킴방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조절서브브라켓(100)은
    직사각형 판넬로 이루어진 브라켓본체의 표면상에 높이차를 갖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그 홀에 삽입되는 볼트와 너트 체결을 통해 상층지지프레임에 체결되는 높이차를 조절해서, 하중감지형 이송롤러부를 통해 이송되는 메탈지퍼의 이송 텐션을 조절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지퍼이송 텐션조절·하중센싱을 통한 스마트 메탈지퍼 엉킴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LC제어모듈은
    연마용브러쉬장치에 구성된 입력기기(푸시버튼스위치, 선택스위치, 리미트근접센서부)의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부의 연산부로 전달시키는 입력부(2c-1)와,
    연마용브러쉬장치의 전체적인 구동에 관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시키는 메모리부(2c-2)와,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해독하여 연산시켜 출력부쪽으로 출력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시키는 마이크로프로세서부(2c-3)와,
    연마용브러쉬장치에 구성된 출력기기(파일럿램프, 부저, 전자밸브, 전원부, 전자개폐기)와 연결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부의 제어하에 출력기기쪽으로 출력신호를 출력시키는 출력부(2c-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지퍼이송 텐션조절·하중센싱을 통한 스마트 메탈지퍼 엉킴방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부(2c-3)는
    연마용 브러쉬장치의 상단 일측에 위치되어, 리미트근접센서부로부터 메탈지퍼가 엉켜서 하중이 감지되었다는 하중감지 센싱신호가 입력되면, 연마용 브러쉬장치의 전원부와 접점된 전원스위치를 순간오프시켜 연마용브러쉬장치의 구동을 일시멈춤시키는 전원스위치구동모드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지퍼이송 텐션조절·하중센싱을 통한 스마트 메탈지퍼 엉킴방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근접센서부(500)은
    트윈형 가이드봉의 후단 일측에 "
    Figure 112016023312552-pat00004
    "구조로 설치되고, 표면상에 복수개의 높이차를 갖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그 삽입홀에 리미트근접센서를 장착시킨 상태에서 외압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센서지지브라켓(510)과,
    센서지지브라켓의 삽입홀에 장착되어 특정 삽입홀에 위치된 상태에서, 가변형 웨이트추가 상승운동되어 접근시 전자계의 힘을 센싱시키는 리미트근접센서(520)와,
    리미트근접센서로부터 센싱된 하중감지 센싱신호를 PLC제어모듈의 입력부쪽으로 전달시키는 센서케이블(5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지퍼이송 텐션조절·하중센싱을 통한 스마트 메탈지퍼 엉킴방지장치.
  7. 삭제
KR1020150034806A 2015-03-13 2015-03-13 메탈지퍼이송 텐션조절·하중센싱을 통한 스마트 메탈지퍼 엉킴방지장치 KR101645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806A KR101645287B1 (ko) 2015-03-13 2015-03-13 메탈지퍼이송 텐션조절·하중센싱을 통한 스마트 메탈지퍼 엉킴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806A KR101645287B1 (ko) 2015-03-13 2015-03-13 메탈지퍼이송 텐션조절·하중센싱을 통한 스마트 메탈지퍼 엉킴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287B1 true KR101645287B1 (ko) 2016-08-05

Family

ID=56711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806A KR101645287B1 (ko) 2015-03-13 2015-03-13 메탈지퍼이송 텐션조절·하중센싱을 통한 스마트 메탈지퍼 엉킴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2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1012A (ja) * 1993-10-27 1995-07-11 Ykk Kk 彎曲ファスナーチェーンの製造装置
KR19980072352A (ko) * 1997-03-04 1998-11-05 조성대 엘레멘트 사출성형 부착기의 테이프 조절 공급장치
KR20050017746A (ko) 2003-08-08 2005-02-23 김한혁 방수 지퍼 생산 시스템 및 생산 방법
KR20070121151A (ko) * 2006-06-21 2007-12-27 이정덕 테이프와 벨벳 겸용 열가공장치
KR101415209B1 (ko) * 2013-07-11 2014-07-04 (주)유닉스지퍼 지퍼테이프 결함용 은박지매듭 체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1012A (ja) * 1993-10-27 1995-07-11 Ykk Kk 彎曲ファスナーチェーンの製造装置
KR19980072352A (ko) * 1997-03-04 1998-11-05 조성대 엘레멘트 사출성형 부착기의 테이프 조절 공급장치
KR20050017746A (ko) 2003-08-08 2005-02-23 김한혁 방수 지퍼 생산 시스템 및 생산 방법
KR20070121151A (ko) * 2006-06-21 2007-12-27 이정덕 테이프와 벨벳 겸용 열가공장치
KR101415209B1 (ko) * 2013-07-11 2014-07-04 (주)유닉스지퍼 지퍼테이프 결함용 은박지매듭 체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3370B2 (en) Article sorting apparatus
US11332313B2 (en) Conveyor belt monitoring system
TW476869B (en) Conveyer device
WO2016075981A1 (ja) コンベヤベルトの摩耗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CN104326236B (zh) 用于矿物运输器的分级自动纠偏装置
JP2000318825A (ja) 搬送装置
JP6885741B2 (ja) 仕分けコンベヤ
US10875028B2 (en) Stock level detector for roll machine for milling
KR101645287B1 (ko) 메탈지퍼이송 텐션조절·하중센싱을 통한 스마트 메탈지퍼 엉킴방지장치
KR10122578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
EP2687328B1 (en) Sanding machine for sanding wood panels or alike
US20160276701A1 (en) Laminating apparatus
CN109715341A (zh) 加工设备和加工方法
CN113928892A (zh) 恒张力调节机构及恒张力调节机构的控制方法
JP6968400B2 (ja) 電動式ベルト蛇行調整装置
JP2008505034A (ja) 袋またはチューブ切片用の保管装置
KR101398355B1 (ko) 트리퍼카 위치 검출 시스템
KR101940036B1 (ko)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파이프 자동 벤딩장치
JP2012503548A (ja) 帯状圧延材を圧延する圧延装備
KR101204434B1 (ko) 캐리어 벨트 손상 검출 장치
KR20160065699A (ko) 트롤리 이송용 와이어 로프의 장력 조절장치 및 그 장력 조절방법
KR20030008165A (ko)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
JP2003252503A (ja) ベルトコンベヤー装置
KR20130088409A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JP2000335730A (ja) 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