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377B1 -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377B1
KR101644377B1 KR1020140168038A KR20140168038A KR101644377B1 KR 101644377 B1 KR101644377 B1 KR 101644377B1 KR 1020140168038 A KR1020140168038 A KR 1020140168038A KR 20140168038 A KR20140168038 A KR 20140168038A KR 101644377 B1 KR101644377 B1 KR 101644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adhesive
fixing member
support plate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4435A (ko
Inventor
정은오
Original Assignee
정은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은오 filed Critical 정은오
Priority to KR1020140168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377B1/ko
Publication of KR20160064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84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surface profiling of the supporting carrier
    • G02B6/3696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surface profiling of the supporting carrier by moulding, e.g. injection moulding, casting, embossing, stamping, stenciling, printing, or with metallic mould insert manufacturing using LIGA or MIGA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의 파지와 접착제의 주입을 동시에 진행하면서 일정한 량으로 접착제를 주입할 수 있는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소정형상의 테이블(1)과; 테이블의 일측에 위치하며 커넥터의 하단이 위를 향하도록 이송시키는 파츠피더(100)와; 테이블에서 왕복 이동하는 제1받침판(220)을 구비하는 제1구동부재(200)와; 제1받침판(220)의 상부에서 제1구동부재(200)와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제2받침판(320)을 구비하는 제2구동부재(300)와; 커넥터가 하단이 노출되도록 안착시키는 다수의 커넥터안착부(410)를 갖으며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하는 커넥터 고정부재(400)와; 커넥터 고정부재(400)의 상부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위치하며 파츠피더(100)의 이송라인 끝단까지 왕복 이동하는 구비하는 수직가이드부재(500)와; 수직가이드부재(500)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파츠피더(100)의 끝단으로 이송된 커넥터를 파지하고, 커넥터 고정부재(400)의 커넥터안착부(410)에 안착시키는 커넥터 파지부재(600)와; 커넥터 고정부재(400)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커넥터 고정부재(400)에 안착된 커넥터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접착제 주입부재(700)와; 각 부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부재(800);를 포함하며, 커넥터 고정부재(400)는 제2받침판(32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ADHENSIVE INJECTION APPARATUS FOR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의 파지와 접착제의 주입을 동시에 진행하면서 일정한 량으로 접착제를 주입할 수 있는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는 직경이 짧고, 대역이 넓고, 저손실등의 여러 항목에 걸친 특징을 갖는 것으로 통신신호를 전달하는 매체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광섬유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종단을 커넥터로 연결하여 접속장비로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커넥터에 광섬유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광섬유가 연결되는 커넥터의 끝단을 형성하고 끝단 내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광섬유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광섬유의 직경이 짧기 때문에 커넥터의 끝단의 직경도 작아 주사기와 같은 도구에 접착제를 놓은 후에 수작업으로 커넥터 끝단에 접착제를 주입하지만, 수작업으로 인하여 접착제의 수입속도가 늦어질 뿐만아니라 작업자가 접착제에 의한 독성에 노출되는 피해가 발생하고, 또한 커넥터 끝단에 주입되는 접착제의 량이 일정하지 않아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07-0011330(공개일 2007.01.24)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커넥터의 파지와 접착제의 주입을 동시에 진행하면서 일정한 량으로 접착제를 주입할 수 있는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접착제가 주입되는 커넥터가 안착되는 다수의 커넥터안착부를 갖는 커넥터 고정부재를 전후좌우로 이동시켜 연속적으로 커넥터에 접착제를 주입할 수 있는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해결과제는 커텍터를 커넥터 고정부재에 안착시킬 때에 접착제 주입부재의 표면에 묻은 접착제를 제거하여 원활하게 접착제시의 불량을 제거할 수 있는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는, 소정형상의 테이블(1)과; 테이블의 일측에 위치하며 커넥터의 하단이 위를 향하도록 이송시키는 파츠피더(100)와; 테이블에서 왕복 이동하는 제1받침판(220)을 구비하는 제1구동부재(200)와; 제1받침판(220)의 상부에서 제1구동부재(200)와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제2받침판(320)을 구비하는 제2구동부재(300)와; 커넥터가 하단이 노출되도록 안착시키는 다수의 커넥터안착부(410)를 갖으며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하는 커넥터 고정부재(400)와; 커넥터 고정부재(400)의 상부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위치하며 파츠피더(100)의 이송라인 끝단까지 왕복 이동하는 구비하는 수직가이드부재(500)와; 수직가이드부재(500)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파츠피더(100)의 끝단으로 이송된 커넥터를 파지하고, 커넥터 고정부재(400)의 커넥터안착부(410)에 안착시키는 커넥터 파지부재(600)와; 커넥터 고정부재(400)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커넥터 고정부재(400)에 안착된 커넥터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접착제 주입부재(700)와; 각 부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부재(800);를 포함하며, 커넥터 고정부재(400)는 제2받침판(32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는 제1구동부재(200)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제3받침판(540)을 따라 이동한 접착제 주입부재(700)의 표면에 묻은 접착제를 제거하는 접착이물질 제거부재(9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는 커넥터의 파지와 접착제의 주입을 동시에 진행하면서 일정한 량으로 접착제를 주입할 수 있기 때문에 접착제에 의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착제가 주입되는 커넥터가 안착되는 다수의 커넥터안착부(410)를 갖는 커넥터 고정부재(400)를 전후좌우로 이동되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커넥터를 안착시키고 접착제를 주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텍터를 커넥터 고정부재(400)에 안착시킬 때에 접착제 주입부재(700)의 표면에 묻은 접착제를 제거하여 원활하게 접착제시의 불량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의 후면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파지부재의 작동상태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이물질 제거부재의 작동상태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의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는, 소정형상의 테이블(1)과, 테이블의 일측에 위치하며 커넥터의 하단이 위를 향하도록 이송시키는 파츠피더(100)와, 테이블에서 왕복 이동하는 제1받침판(220)을 구비하는 제1구동부재(200)와, 제1받침판(220)의 상부에서 제1구동부재(200)와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제2받침판(320)을 구비하는 제2구동부재(300)와, 제2받침판(32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커넥터가 하단이 노출되도록 안착시키는 다수의 커넥터안착부(410)를 갖는 커넥터 고정부재(400)와, 커넥터 고정부재(400)의 상부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위치하며 파츠피더(100)의 이송라인 끝단까지 왕복 이동하는 제3받침판(540)을 구비하는 수직가이드부재(500)와, 제3받침판(540)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파츠피더(100)의 끝단으로 이송된 커넥터를 파지하고, 제3받침판(540)을 따라 이동하여 커넥터 고정부재(400)에 안착시키는 커넥터 파지부재(600)와, 제3받침판(540)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커넥터 고정부재(400)에 안착된 커넥터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접착제 주입부재(700), 각 부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부재(800)를 구비한다. 또한,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는 제1구동부재(200)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제3받침판(540)을 따라 이동한 접착제 주입부재(700)의 표면에 묻은 접착제를 제거하는 접착이물질 제거부재(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테이블(100)은 바닥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위치한다.
파츠피더(100)는 테이블의 일측에 위치하며 내부에 적재된 커넥터를 하단이 위를 향하도록 이송라인을 따라 낱개로 열을 지어 공급한다. 이러한 파츠피더(100)는 통상의 진동 파츠피더(100)와 같이 적재통에 커넥터를 다량 수용하여 진동 등에 의해 커넥터를 이송라인에 정렬하면서 공급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구동부재(200)는 테이블에서 파츠피더(100)의 이송라인 방향으로 고정된 제1받침대(210)와, 제1받침대(2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1받침대(210)를 따라 이동하는 제1받침판(220)과, 제1받침판(220)을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2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받침대(210)는 한쌍의 ML레일을 사용하고, 제1받침판(220)의 하부에 형성된 ML블록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구동부(230)는 모터(231)에 의해 구동되는 볼스크류(232)를 사용하고 제1받침판(220)의 하부에 형성된 너트(미도시)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구동부재(200)에 의해서 제1구동부(23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제1구동부(230)에 연결된 제1받침판(220)이 제1받침대(210)를 따라 왕복 이동하게 된다. 즉, 제1구동부(230)의 모터(23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볼스크류(232)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너트에 고정된 제1받침판(220)이 제1받침대(210)를 따라 예를 들면, 파츠피더(100)의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제2구동부재(300)는 제1받침판(220)의 상부면에 제1받침대(210)와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된 제2받침대(310)와, 제2받침대(3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2받침대(310)를 따라 이동하는 제2받침판(320)과, 제2받침판(320)을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3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2받침대(310)는 한쌍의 ML레일을 사용하고, 제2받침판(320)의 하부에 형성된 ML블록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구동부(330)는 모터(331)에 의해 구동되는 볼스크류(332)를 사용하고 제2받침판(320)의 하부에 형성된 너트(미도시)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구동부재(300)에 의해서 제2구동부(33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제2구동부(330)에 연결된 제2받침판(320)이 제2받침대(310)를 따라 왕복 이동하게 된다. 즉, 제2구동부(330)의 모터(33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볼스크류(332)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너트에 고정된 제2받침판(320)이 제2받침대(310)를 따라 왕복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커넥터 고정부재(400)는 제2받침판(3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부면에는 커넥터의 상단이 삽입되면서 하단이 노출되도록 고정하는 커넥터안착부(410)가 형성된다. 이때, 커넥터안착부(410)는 격자형상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커넥터 고정부재(400)는 제1구동부재(200)와 제2구동부재(300)에 의해서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비어있는 커넥터안착부(410)가 커넥터가 안착되고, 접착제가 주입되는 작업라인에 위치하게 된다. 즉, 제1구동부재(200)의 제1받침판(220)의 이동에 의해서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 함께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다시 제2구동부재(300)의 제2받침판(320)이 제1받침판(220)에 대하여 수식방향인 좌우 또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 함께 하기 때문에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비어있는 커넥터안착부(410)가 항상 작업라인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수직가이드부재(500)는 커넥터 고정부재(400)의 상부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위치한다. 수직가이드부재(500)는 하단이 테이블(100)에 고정되고 상부로 연장된 제1지지대(510)와 제2지지대(520), 커넥터 고정부재(400)의 상부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는 위치에서 양단이 각각 제1지지대(510)와 제2지지대(520)에 체결되는 지지판(530), 지지판(530)의 전면에 위치하면서 지지판(5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표면에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로 제1수직받침대(541)와 제2수직받침대(542)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3받침판(540)과, 제3받침판(540)을 지지판(5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구동부(550)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지지대(510)와 제2지지대(520)는 제1구동부재(200)의 외측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고, 제1수직받침대(541)는 파츠피더(100)의 이송라인 끝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판(530)은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한쌍의 ML레일을 사용하고, 제3받침판(540)의 후면에 형성된 ML블록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구동부(550)는 지지판(530)을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551)과, 제3받침판(540)의 후면에서 돌출되어 관통홀(551)에 삽입되어 지지판(530)의 후면으로 연장되는 돌출부(552)와, 돌출부(552)에 연결되어 지지판(530)의 길이방향으로 신축하는 실린더(553)를 포함한다. 이때, 실린더(553)는 에어실린더(553)인 것을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직가이드부재(500)는 제3구동부(55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제3구동부(550)에 연결된 제3받침판(540)이 지지판(53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커넥터 파지부재(600)와 접착제 주입부재(700)를 작업라인으로 안내하게 된다.
커넥터 파지부재(600)는 수직가이드부재(500)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파츠피더(100)의 이송라인 끝단으로 이송된 커넥터를 파지하고, 수직가이드부재(500)의 제3받침판(540)과 함께 이동하여 커넥터 고정부재(400)에 안착시킨다. 커넥터 파지부재(600)는 제3받침판(540)의 제1수직받침대(541)에 체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가이드부(610)와, 제1가이드부(610)의 상단에 체결되면서 제1가이드부(6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4구동부(620)와, 제1가이드부(610)의 하단에 위치하며 커넥터의 상부를 파지하는 커넥터파지부(630)를 포함한다. 이때, 제1수직받침대(541)는 ML레일을 사용하고, 제1가이드부(610)는 ML블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파지부(630)는 좌측 커넥터파지부(631)와 우측 커넥터파지부(632)로 이루어지며 각각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에어에 의해서 벌어지거나 좁혀지면서 커넥터를 파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커넥터 파지부재(600)는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가이드부재(500)의 제3받침판(540)과 함께 파츠피더(100)의 이송라인 끝단에 이르게 되면 커넥터파지부(630)가 하강하면서 커넥터를 파지하고, 다시 상승한 상태에서 수직가이드부재(500)의 제3받침판(540)을 따라 작업라인인 커넥터 고정부재(400)로 이동한 후에 하강하면서 커넥터를 커넥터안착부(410)에 안착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광고케이블 커넥터가 파츠피더(100)에서 수평하게 커넥터 고정부재(400)의 커넥터안착부(410)로 이동하게 된다.
접착제 주입부재(700)는 수직가이드부재(500)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커넥터 고정부재(400)에 안착된 커넥터에 접착제를 주입한다. 접착제 주입부재(700)는 제3받침판(540)의 제2수직받침대(542)에 체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상하로 관통공(711)이 형성된 제2가이드부(710)와, 제2가이드부(710)의 상단에 체결되면서 제2가이드부(7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5구동부(720)와, 제2가이드부(710)의 관통공(711)에 삽입되며 접착제를 커넥터에 주입하는 접착제 주입부(730)를 포함한다. 이때, 제2수직받침대(542)는 ML레일을 사용하고, 제2가이드부(710)는 ML블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 주입부(730)는 원통형상으로 내부에 접착제가 저장되고 상단으로 에어를 공급받고 하단에 형성된 바늘을 통해 접착제를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착제 주입부재(700)는 커넥터 파지부재(600)와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하면서 커넥터 파지부재(600)가 커넥터 고정부재(400)에 커넥터를 안착시킨 후에 다시 파츠피더(100)의 이송라인 끝단으로 이동하면 제3받침판(540)을 따라 작업라인으로 이동하고 하강하면서 커넥터 고정부재(400)에 안착된 커넥터에 접착제를 주입하게 된다.
접착이물질 제거부재(900)는 제1구동부재(200)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접착제 주입부재(700)가 하강하게 되면 접착제 주입부(730)에 묻은 접착제를 제거한다. 접착이물질 제거부재(900)는 제1구동부재(200)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돌출된 제4받침판(910)와, 제4받침판(910)의 하부에서 각각 외측면으로 연장된 제4받침대(920)와, 제4받침대(920)의 끝단에 회전되도록 위치하는 클리너(930)와, 제4받침판(91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클리너(930)를 상부에서 하부로 안내하는 한쌍의 탄성부(940)와, 탄성부(940)의 하부로 안내된 클리너(930)를 다시 감는 회수대(950)와, 회수대(950)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960)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4받침대(920)는 제1구동부재(200)의 제2지지대(52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수대(950)와 회전모터(960)는 테이블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이물질 제거부재(900)의 탄성부(940) 중앙과 파츠피더(100)의 이송라인 끝단 사이의 거리는 커넥터 파지부재(600)의 커넥터파지부(630)와 접착제 주입부재(700)의 접착제 주입부(730) 사이의 거리의 2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착이물질 제거부재(900)는 도 4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파지부가 커넥터를 파지한 상태에서 커넥터안착부(410)에 상부에 위치하면 접착제 주입부(730)도 접착이물질 제거부재(900)의 탄성부(940)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커넥터 파지부가 커넥터를 안착하기 위하여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에 접착제 주입부(730)도 함께 탄성부(940) 사이로 하강하게 되고, 다시 상승하면서 탄성부(940)의 탄성력과 클리너(930)에 의해서 커넥터 주입부의 외부에 묻어있는 접착제가 닦이게 된다.
제어부재(800)는 각 부재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의 작동상태를 자세히 살펴본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재에 의해서 파츠피더(100)의 적재통에 커넥터를 수용하여 작동시키면 커넥터가 하단이 위로 향하도록 정렬되면서 이송라인을 따라 공급되게 된다. 이때, 커넥터 고정부재(400)의 제1커넥터안착부(410)는 작업라인에 위치하게 된다.
그 후, 커넥터 파지부재(600)를 수직가이드부재(500)의 제3받침판(540)과 함께 파츠피더(100)의 이송라인 끝단에 위치시키고, 커넥터 파지부재(600)를 하강시켜 커넥터파지부(630)로 제1커넥터를 파지한 후에 커넥터 파지부재(600)를 다시 상승시킨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가이드부재(500)의 제3받침판(540)을 이동시키면 커넥터 파지부재(600)가 함께 이동하면서 커넥터파지부(630)가 작업라인에 위치하는 커넥터 고정부재(400)의 제1커넥터안착부(410) 상부에 놓이게 된다. 이때, 접착제 주입부재(700)는 커넥터 파지부재(600)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제3받침판(540)에 함께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접착이물질 제거부재(900)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커넥퍼 파지부재를 다시 하강시켜 커넥터파지부(630)에 파지된 제1커넥터를 커넥터안착부(410)의 제1커넥터안착부(410)에 안착시키게 된다. 이때, 접착제 주입부재(700)를 하강시키면 접착제 주입부(730)가 탄성부(940) 사이로 하강하면서 탄성부(940)의 탄성력과 클리너(930)에 의해서 커넥터 주입부의 외부에 묻어있는 접착제가 제거된다.
그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파지부재(600)를 수직가이드부재(500)의 제3받침판(540)과 함께 파츠피더(100)의 이송라인 끝단에 위치시키면 접착제 주입부재(700)는 제3받침판(540)에 이동하여 접착제 주입부(730)가 작업라인에 위치하는 제1커넥터안착부(410)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접착제 주입부재(700)를 하강시키면 접착제 주입부(730)가 제1커넥터에 삽입되고, 접착제 주입부(730) 내의 접착제가 커넥터에 주입되게 된다. 이때, 커넥터 파지부재(600)를 하강시켜 커넥터파지부(630)로 다시 제2커넥터를 파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 주입부재(700)를 상승시켜 접착제 주입부(730)가 제1커넥터의 상부에 위치하면 다른 제2커넥터안착부(410)가 작업라인에 위치하도록 커넥터 고정부재(400)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때, 커넥터 고정부재(400)는 제1구동부재(200)와 제2구동부재(300)에 의해서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비어 있는 제2커넥터안착부(410)가 작업라인에 일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격자형태로 이루어진 커넥터 고정부재(400)의 커넥터안착부(410)에 커넥터를 놓으면서 접착제 주입부(730)의 표면에 묻은 접착제를 닦아낼 수 있고, 다른 커넥터를 파지하면서 접착제를 주입하면서 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테이블 100 : 파츠피더
200 : 제1구동부재 210 : 제1받침대
220 : 제1받침판 230 : 제1구동부
300 : 제2구동부재 310 : 제2받침대
320 : 제2받침판 330 : 제2구동부
400 : 커넥터 고정부재 410 : 커넥터안착부
500 : 수직가이드부재 510 : 제1지지대
520 : 제2지지대 530 : 지지판
540 : 제3받침판 550 : 제3구동부
600 : 커넥터 파지부재 610 : 제1가이드부
620 : 제4구동부 630 : 커넥터파지부
700 : 접착제 주입부재 710 : 제2가이드부
720 : 제5구동부 730 : 접착제 주입부
800 : 제어부재 900 : 접착이물질 제거부재
910 : 제4받침판 920 : 제4받침대
930 : 클리너 940 : 탄성부
950 : 회수대 960 : 회전모터

Claims (13)

  1. 테이블의 일측에 위치하며 커넥터의 하단이 위를 향하도록 이송시키는 파츠피더(100)와;
    테이블에서 왕복 이동하는 제1받침판(220)을 구비하는 제1구동부재(200)와;
    제1받침판(220)의 상부에서 제1구동부재(200)와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제2받침판(320)을 구비하는 제2구동부재(300)와;
    커넥터가 하단이 노출되도록 안착시키는 다수의 커넥터안착부(410)를 갖으며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하는 커넥터 고정부재(400)와;
    커넥터 고정부재(400)의 상부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위치하며 파츠피더(100)의 이송라인 끝단까지 왕복 이동하는 구비하는 수직가이드부재(500)와;
    수직가이드부재(500)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파츠피더(100)의 끝단으로 이송된 커넥터를 파지하고, 커넥터 고정부재(400)의 커넥터안착부(410)에 안착시키는 커넥터 파지부재(600)와;
    커넥터 고정부재(400)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커넥터 고정부재(400)에 안착된 커넥터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접착제 주입부재(700)와;
    각 부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부재(800);를 포함하며,
    커넥터 고정부재(400)는 제2받침판(32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구동부재(200)는 테이블에서 파츠피더(100)의 이송라인 방향으로 고정된 제1받침대(210)와, 제1받침대(2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1받침대(210)를 따라 이동하는 제1받침판(220)과, 제1받침판(220)을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구동부재(300)는 제1받침판(220)의 상부면에 제1받침대(210)와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된 제2받침대(310)와, 제2받침대(3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2받침대(310)를 따라 이동하는 제2받침판(320)과, 제2받침판(320)을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커넥터 고정부재(400)의 커넥터안착부(410)는 격자형상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
  6. 테이블의 일측에 위치하며 커넥터의 하단이 위를 향하도록 이송시키는 파츠피더(100)와;
    커넥터가 하단이 노출되도록 안착시키는 다수의 커넥터안착부(410)를 갖으며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하는 커넥터 고정부재(400)와;
    커넥터 고정부재(400)의 상부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위치하며 파츠피더(100)의 이송라인 끝단까지 왕복 이동하는 구비하는 수직가이드부재(500)와;
    수직가이드부재(500)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파츠피더(100)의 끝단으로 이송된 커넥터를 파지하고, 커넥터 고정부재(400)의 커넥터안착부(410)에 안착시키는 커넥터 파지부재(600)와;
    커넥터 고정부재(400)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커넥터 고정부재(400)에 안착된 커넥터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접착제 주입부재(700)와;
    각 부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부재(800);를 포함하며,
    수직가이드부재(500)는 하단이 테이블에 고정되고 상부로 연장된 제1지지대(510)와 제2지지대(520), 커넥터 고정부재(400)의 상부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는 위치에서 양단이 각각 제1지지대(510)와 제2지지대(520)에 체결되는 지지판(530), 지지판(530)의 전면에 위치하면서 지지판(5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표면에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로 제1수직받침대(541)와 제2수직받침대(542)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3받침판(540)과, 제3받침판(540)을 지지판(5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구동부(5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제3구동부(550)는 지지판(530)을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551)과, 제3받침판(540)의 후면에서 돌출되어 관통홀(551)에 삽입되어 지지판(530)의 후면으로 연장되는 돌출부(552)와, 돌출부(552)에 연결되어 지지판(530)의 길이방향으로 신축하는 실린더(5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
  8. 테이블의 일측에 위치하며 커넥터의 하단이 위를 향하도록 이송시키는 파츠피더(100)와;
    커넥터가 하단이 노출되도록 안착시키는 다수의 커넥터안착부(410)를 갖으며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하는 커넥터 고정부재(400)와;
    커넥터 고정부재(400)의 상부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위치하며 파츠피더(100)의 이송라인 끝단까지 왕복 이동하는 구비하는 수직가이드부재(500)와;
    수직가이드부재(500)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파츠피더(100)의 끝단으로 이송된 커넥터를 파지하고, 커넥터 고정부재(400)의 커넥터안착부(410)에 안착시키는 커넥터 파지부재(600)와;
    커넥터 고정부재(400)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커넥터 고정부재(400)에 안착된 커넥터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접착제 주입부재(700)와;
    각 부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부재(800);를 포함하며,
    커넥터 파지부재(600)는 수직가이드부재(500)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가이드부(610)와, 제1가이드부(610)의 상단에 체결되면서 제1가이드부(6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4구동부(620)와, 제1가이드부(610)의 하단에 위치하며 커넥터의 상부를 파지하는 커넥터파지부(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커넥터파지부(630)는 좌측 커넥터파지부(631)와 우측 커넥터파지부(632)로 이루어지며 각각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에어에 의해서 벌어지거나 좁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접착제 주입부재(700)는 수직가이드부재(500)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상하로 관통공(711)이 형성된 제2가이드부(710)와, 제2가이드부(710)의 상단에 체결되면서 제2가이드부(7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5구동부(720)와, 제2가이드부(710)의 관통공(711)에 삽입되며 접착제를 커넥터에 주입하는 접착제 주입부(7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접착제 주입부(730)는 원통형상으로 내부에 접착제가 저장되고 상단으로 에어를 공급받고 하단에 형성된 바늘을 통해 접착제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
  12. 테이블의 일측에 위치하며 커넥터의 하단이 위를 향하도록 이송시키는 파츠피더(100)와;
    커넥터가 하단이 노출되도록 안착시키는 다수의 커넥터안착부(410)를 갖으며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하는 커넥터 고정부재(400)와;
    커넥터 고정부재(400)의 상부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위치하며 파츠피더(100)의 이송라인 끝단까지 왕복 이동하는 구비하는 수직가이드부재(500)와;
    수직가이드부재(500)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파츠피더(100)의 끝단으로 이송된 커넥터를 파지하고, 커넥터 고정부재(400)의 커넥터안착부(410)에 안착시키는 커넥터 파지부재(600)와;
    커넥터 고정부재(400)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커넥터 고정부재(400)에 안착된 커넥터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접착제 주입부재(700)와;
    각 부재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부재(800); 및
    제1구동부재(200)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제3받침판(540)을 따라 이동한 접착제 주입부재(700)의 표면에 묻은 접착제를 제거하는 접착이물질 제거부재(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접착이물질 제거부재(900)는 제1구동부재(200)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돌출된 제4받침판(910)과, 제4받침판(910)의 하부에서 각각 외측면으로 연장된 제4받침대(920)와, 제4받침대(920)의 끝단에 회전되도록 위치하는 클리너(930)와, 제4받침판(91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클리너(930)를 상부에서 하부로 안내하는 한쌍의 탄성부(940)와, 탄성부(940)의 하부로 안내된 클리너(930)를 다시 감는 회수대(950)와, 회수대(950)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9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
KR1020140168038A 2014-11-28 2014-11-28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 KR101644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038A KR101644377B1 (ko) 2014-11-28 2014-11-28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038A KR101644377B1 (ko) 2014-11-28 2014-11-28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435A KR20160064435A (ko) 2016-06-08
KR101644377B1 true KR101644377B1 (ko) 2016-08-01

Family

ID=56193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038A KR101644377B1 (ko) 2014-11-28 2014-11-28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37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0294A (ja) * 2000-07-21 2002-02-06 Ykk Corp 光コネクタ部品の光ファイバ挿入孔内に接着剤を注入する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7412B2 (ja) * 1998-04-07 2003-03-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電子部品実装方法
US7147384B2 (en) 2004-03-26 2006-12-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mall form factor optical connector with thermoplastic adhesive
KR20050097628A (ko) * 2004-04-02 2005-10-10 (주)신흥산업 스터드 코킹프레스의 스터드자동공급설비
KR100998595B1 (ko) * 2008-10-10 2010-12-07 한국영상기술(주) 부품 실장 장치 및 부품 실장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0294A (ja) * 2000-07-21 2002-02-06 Ykk Corp 光コネクタ部品の光ファイバ挿入孔内に接着剤を注入する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435A (ko)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039B1 (ko) 반도체패키지의 비전검사 및 마킹시스템
KR100777784B1 (ko) 패키지 핸들러
JP6503187B2 (ja) ノズル洗浄装置
CN106881326B (zh) 用于光学镜头的除尘装置及其除尘方法
KR101262836B1 (ko) 기판 비전 검사시스템
CN103962319A (zh) 擦拭机构及具有擦拭机构的自动清洗装置
KR101644377B1 (ko) 커넥터용 접착제 주입장치
CN105563262B (zh) 一种薄玻璃磨削加工装置
CN113787426A (zh) 一种半导体柔性材料生产用打磨装置及其使用方法
CN111224056A (zh) 锂电池擦拭装置
KR101720594B1 (ko) 렌즈와 브이씨엠 엑츄에이터 조립장비
CN105501864A (zh) 一种医用组装机中导管的供料装置
CN207642647U (zh) 切管倒角机及其推送型上料结构
CN109648284A (zh) 车内门拉手组装装置
CN109228735A (zh) 笔芯分离装置及其笔芯入笔套设备
KR101295339B1 (ko) 도금장치
CN214161774U (zh) 一种磁性元件自动上下料激光标刻装置
CN208140984U (zh) 光纤连接器端面的清洁装置以及集成式清洁及检测装置
CN210778804U (zh) 锂电池擦拭装置
CN104097800A (zh) 一种全自动针盘插针机
CN207909850U (zh) 石墨舟装片机构
CN109079460B (zh) 一种弹簧上料装置
CN113135415A (zh) SMT加工用Tray盘自动供料机构
CN104368725A (zh) 打点工装
JP4475204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のノズルのクリーニング方法、電子部品実装装置及び電子部品実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