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766B1 -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766B1
KR101643766B1 KR1020100092088A KR20100092088A KR101643766B1 KR 101643766 B1 KR101643766 B1 KR 101643766B1 KR 1020100092088 A KR1020100092088 A KR 1020100092088A KR 20100092088 A KR20100092088 A KR 20100092088A KR 101643766 B1 KR101643766 B1 KR 101643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rument panel
grommet
integral connecting
connecting memb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2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9944A (ko
Inventor
오영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2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766B1/ko
Publication of KR20120029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instrument panel or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4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passenger compartment fittings, e.g. seats, linings, trim, instrument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일체로 형성되는 그로멧부, 및 이 그로멧부의 하측에 접한 상태로 차체에 지지됨에 따라 완충 역할을 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인스트루먼트패널 하측에 그로멧을 일체로 형성하여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보행자와 설정치 이상으로 충격시 파손되도록 함으로써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지지장치{INSTRUMENT-PANEL SUPPORTING APPARATUS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스트루먼트패널 하측에 그로멧을 일체로 형성하여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보행자와 설정치 이상으로 충격시 파손되도록 함으로써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상단을 보디에 체결할 때에는 카울 패널에 브래킷을 설치하여 이 브래킷에 볼트의 선단이 상향되도록 용접 고정하고, 볼트 대응위치에 체결공을 형성하여 그로멧을 삽입한 다음 작업자가 인스트루먼트패널을 들어 올려서 그로멧을 볼트에 삽입하여 인스트루먼트패널을 카울 패널에 체결한 후 인스트루먼트패널에 글로브 박스, 센터 페시어 패널, 전장품 등을 조립하고 있다.
한편, 자동차는 수많은 부품으로 조립되어 있음으로 생산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단위부품을 조립한 모듈화 조립방법을 채용하고 있는 추세이며, 인스트루먼트패널에 글로브 박스 등을 미리 조립한 후 카울 패널에 체결하고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그로멧은 가이드핀이 카울 패널에 용접되어 있어 가이드핀 용접 강도와 별도의 그로멧 강성이 합쳐져 필요 이상으로 강성이 커짐에 따라 차량 충돌안전성에 불리한 문제점이 있다. 기존 그로멧은 인스트루먼트패널 상단에 3~5개의 부품이 적용됨에 따라 부품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 그로멧은 카울 패널에 조립되기 위해 조립용 보스가 있어야 하고,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조립되는 부품의 금형각도 상이함으로 인해 부품의 공용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기존 그로멧은 별도의 PA66 재질로 이루어져 재료비의 원가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 그로멧은 여러 개로 구비되어 조립됨에 따라 조립 과정에서 조립 누적 공차 발생으로 인해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차체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의 그로멧은 부품과 부품간의 조립으로 인해 다양한 종류의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체에 대해 인스트루먼트패널을 지지하는 그로멧을 인스트루먼트패널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부품수를 줄여 제조단가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그로멧이 차체에 대해 인스트루먼트패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함에 따라 주행 중 이음이나 래틀 노이즈(rattle noise)의 발생을 방지하고자 하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인스트루먼트패널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그로멧을 차체의 전방유리에 보행자가 일정 힘 이상으로 부딪힐 때 파손되도록 설계됨으로써 보행자를 보호하고자 하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지지장치는: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일체로 형성되는 그로멧부, 및 상기 그로멧부의 하측에 접한 상태로 차체에 지지됨에 따라 완충 역할을 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그로멧부는, 상기 인스트루먼트패널의 하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일체연결부재, 상기 완충부재의 상측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지지부재, 상기 일체연결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동일한 전측을 연결하며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상기 일체연결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전측탄성부재, 및 상기 일체연결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동일한 후측을 연결하며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상기 일체연결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후측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그로멧부의 하부 후측에 접하는 부위를 상향 경사진 경사면부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스트루먼트패널과 전방유리 사이에는 완충용폼재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지지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차체에 대해 인스트루먼트패널을 지지하는 그로멧을 인스트루먼트패널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부품수를 줄여 제조단가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그로멧이 차체에 대해 인스트루먼트패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함에 따라 주행 중 이음이나 래틀 노이즈(rattle noise)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인스트루먼트패널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그로멧을 차체의 전방유리에 보행자가 일정 힘 이상으로 부딪힐 때 파손되도록 설계됨으로써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지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지지장치의 완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지지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지지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지지장치의 완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지지장치는 그로멧부(100) 및 완충부재(200)를 포함한다.
그로멧부(100)는 차체(30)에 대해 인스트루먼트패널(1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이로 인해, 인스트루먼트패널(10)이 차량의 전방유리(20)와 접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래틀 노이즈 등 이음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그로멧부(100)는 인스트루먼트패널(10)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는, 부품수를 줄여 조립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여기서, 그로멧부(100)는 인스트루먼트패널(10)에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인스트루먼트패널(1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히, 그로멧부(100)는 인스트루먼트패널(10) 중 메인코어의 하측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완충부재(200)는 그로멧부(100)의 하측에 접한 상태로 차체(30)에 지지됨에 따라 완충 역할을 한다. 즉, 완충부재(200)는 차체(30)에 대해 인스트루먼트패널(10)을 지지하며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완충부재(200)는 폼(form)재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완충부재(200)는 차체(30)에 밀착된 상태로 그로멧부(100)와 단순히 접하여 고정될 수도 있고, 그로멧부(100)에 본딩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그로멧부(100)는 일체연결부재(110), 지지부재(120), 전측탄성부재(130) 및 후측탄성부재(140)를 포함한다.
일체연결부재(110)는 인스트루먼트패널(10)의 하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이고, 지지부재(120)는 완충부재(200)의 상측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부분이다.
아울러, 전측탄성부재(130)는 일체연결부재(110)와 지지부재(120)의 동일한 전측을 연결하며, 지지부재(120)에 대해 일체연결부재(11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후측탄성부재(140)는 일체연결부재(110)와 지지부재(120)의 동일한 후측을 연결하며, 지지부재(120)에 대해 일체연결부재(11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전측은 전방유리(20)에 가까운 일체연결부재(110)와 지지부재(120)의 가장자리를 말하고, 후측은 일체연결부재(110)와 지지부재(120)의 각 전측에 반대되는 부위를 말한다.
그리고, 전측탄성부재(130)와 후측탄성부재(140)는 각각 인스트루먼트패널(10)을 차체(30)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굴곡지게 형성된다. 편의상, 전측탄성부재(130)와 후측탄성부재(140)는 내측으로 볼록하게 굴곡진 것으로 도시한다. 물론, 전측탄성부재(130)와 후측탄성부재(14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전측탄성부재(130)와 후측탄성부재(140)는 대응되는 일체연결부재(110)와 지지부재(120)에 일체로 연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2에서처럼, 보행자가 전방유리(20)에 설정 충격력 이상으로 부딪힐 경우, 전측탄성부재(130)와 후측탄성부재(140)는 항복점을 벗어나기 때문에 파손된다. 이로 인해, 보행자는 보호된다.
또한, 완충부재(200)와 그로멧부(100)는 인스트루먼트패널(10)과 차체(30) 사이에 억지 끼움된다. 이때, 완충부재(200)가 차체(30) 상측으로 억지 끼움시 원활한 삽입을 위해 그로멧부(100) 특히 지지부재(120)의 하부 후측에 접하는 부위를 상향 경사진 경사면부(210)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지지부재(120)는 완충부재(200)의 경사면부(210)를 기준으로 변곡되어 양측으로 서로 반대되는 경사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완충부재(200)는 지지부재(120)와 전측탄성부재(130)에 걸쳐 그로멧부(100)를 감쌈으로써 그로멧부(100)와 함께 삽입 조립시 그로멧부(100)와 분리되지 않게 된다.
물론, 완충부재(200)는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나, 폼(form)재로 함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재질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인스트루먼트패널(10)과 전방유리(20) 사이에는 완충용폼재(30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그로멧부(100)가 완충력을 갖음에 따라 인스트루먼트패널(10)이 주행 중 전방유리(20)와 부딪힐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완충용폼재(300)는 인스트루먼트패널(10)과 전방유리(20)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인스트루먼트패널(10)과 전방유리(20)의 부딪힘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물론, 완충용폼재(30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인스트루먼트패널 20: 전방유리
30: 차체 100: 그로멧부
110: 일체연결부재 120: 지지부재
130: 전측탄성부재 140: 후측탄성부재
200: 완충부재 210: 경사면부
300: 완충용폼재

Claims (4)

  1. 인스트루먼트패널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그로멧부; 및
    상기 그로멧부에 접한 상태로 차체에 지지됨에 따라 완충 역할을 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그로멧부는, 상기 인스트루먼트패널의 하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일체연결부재;
    상기 완충부재의 상측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일체연결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동일한 전측을 연결하며,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상기 일체연결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전측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로멧부는, 상기 일체연결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동일한 후측을 연결하며,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상기 일체연결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후측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지지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그로멧부의 하부 후측에 접하는 부위를 상향 경사진 경사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지지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루먼트패널과 전방유리 사이에는 완충용폼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지지장치.
KR1020100092088A 2010-09-17 2010-09-17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지지장치 KR101643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088A KR101643766B1 (ko) 2010-09-17 2010-09-17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088A KR101643766B1 (ko) 2010-09-17 2010-09-17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944A KR20120029944A (ko) 2012-03-27
KR101643766B1 true KR101643766B1 (ko) 2016-07-29

Family

ID=46134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088A KR101643766B1 (ko) 2010-09-17 2010-09-17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76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8405A (ja) * 2004-12-13 2006-06-29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カウル部遮音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8405A (ja) * 2004-12-13 2006-06-29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カウル部遮音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944A (ko) 201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0320B2 (ja) 車体前部構造
JP5120409B2 (ja) 車両用センターピラー
US20160236720A1 (en) Vehicle cowl portion structure
US8491042B2 (en) Energy-absorbing cowl structure
WO2011093336A1 (ja) 車両用ブラケット
JP2012117561A (ja) 車両のエンジンマウント
JP2007533547A (ja) 自動車の前部構造
KR101643766B1 (ko)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지지장치
CN206307111U (zh) 一种副车架和车身连接结构
JP2016060394A (ja) 自動車のボンネット構造
KR101613470B1 (ko) 자동차용 로워암
KR101947686B1 (ko) 차량용 캐리어
CN103587397A (zh) 发动机悬置软垫
KR101666985B1 (ko) 하이브리드 범퍼빔
KR101754001B1 (ko) 프레임 타입 자동차의 바디와 프레임 결합구조
KR20050004577A (ko) 하이브리드 수지성형품의 보강구조
KR101601326B1 (ko) 어시스트 핸들 마운팅 구조
JP2016060398A (ja) 自動車のボンネット構造
KR20190113221A (ko) 자동차용 필러트림과 루프 접합부의 보강구조
KR101439439B1 (ko) 차량용 리어범퍼의 결합구조
KR101318110B1 (ko) 차량용 범퍼
KR101427923B1 (ko) 차량용 카울 톱 아웃터패널
KR101272034B1 (ko) Fem캐리어의 보강구조
KR101566696B1 (ko) 자동차용 범퍼빔
JP4740745B2 (ja) 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