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142B1 - 지주의 연결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지주의 연결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142B1
KR101643142B1 KR1020160000734A KR20160000734A KR101643142B1 KR 101643142 B1 KR101643142 B1 KR 101643142B1 KR 1020160000734 A KR1020160000734 A KR 1020160000734A KR 20160000734 A KR20160000734 A KR 20160000734A KR 101643142 B1 KR101643142 B1 KR 101643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nection
pipe
floo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순
Original Assignee
(주)엠에스티통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에스티통상 filed Critical (주)엠에스티통상
Priority to KR1020160000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는 바닥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상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측면에 다수 개의 제1연결공이 형성된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가 끼워지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공에 대응되는 제2연결공이 다수 개 형성된 각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결구가 연결홀에 끼워져 각관의 하측단이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접촉되면, 상기 제1연결공과 제2연결공을 볼트결합하고, 상기 플레이트와 각관이 접촉되는 부분을 용접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 시공방법은 바닥에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플레이트 고정단계; 상기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연결구가 각관의 연결홀에 끼워지도록 일정 길이의 각관을 끼움결합하고, 상기 연결구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제1연결공과 각관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제2연결공 각각을 볼트결합하여 각관을 결합시키는 각관 고정단계; 및 상기 연결구가 연결홀에 끼워져 각관의 하측단이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접촉되면, 상기 플레이트와 각관이 접촉되는 부분을 용접하는 각관 용접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주의 연결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CONNECTION STRUCTURE OF PILLA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구조물에 구비되는 지주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연결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지주의 하중을 지탱하는 연결구조 시공시, 바닥에 결합되는 플레이트와 지주의 중심이 되는 각관을 볼트결합을 통해 임시로 고정한 후, 용접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지주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지주의 연결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친환경적인 분위기 연출을 위하여 난간, 교량, 보도, 산책로, 수변, 등산로, 주택 및 펜션 등에 목재 바닥 데크를 활용한 데크로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데크로드는 바닥면 상측에 지주를 활용한 울타리를 설치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하부에 지주를 연장하여 설치함으로써, 교량의 역할도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에, 지주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다양한 연결구조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연결구조 중 하나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3073호에 심신단련 시스템용 펜스지주 결속구가 개시되었다.
도 1은 종래 심신단련 시스템용 펜스지주 결속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 그 구성은 상부에 펜스지주(2100)가 끼워 결합되는 결합관체(1000)를 구비하고, 하부에는 심신단련 시스템의 바닥부(3100)에 천공형성된 결합공(3200)에 끼워 결합되어 수축되며 결합되는 펜스지주(2100)에 의하여 확장 결속되는 확장결속부(2000)를 구비하며, 중앙부위에 바닥부(3100)와 접하여 굽힘 지지력을 유지하는 지지플랜지(3000)를 구비하여 구성하되, 상기 결합관체(1000)와 확장결속부(2000)는 그 내부가 끼워 결합되는 펜스지주(2100)가 확장결속부(2000)까지 끼워 결합될 수 있게 연통되게 형성하고, 상기 확장결속부(2000)는 시스템 바닥부(3100)의 결합공(3200)에 끼워 결합됨에 있어서 관체가 수축될 수 있게 지지플랜지(3000) 측에서 단부까지 개구되게 절개되는 2 개 신축절개부(2200)를 형성하며, 상기 확장결속부(2000)의 단부 측 외면에는 결합공(3200)에 끼움 결합시 수축되게 하는 결속돌기(2100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종래 심신단련 시스템용 펜스지주 결속구는 결합관체(1000)와 확장결속부(2000) 및 지지플랜지(3000)로 구성됨으로써, 시스템 바닥부에 천공 형성한 결합공(3200)에 지지플랜지(3000)를 끼우고, 상기 결합관체(1000)에 펜스지주(2100)를 끼워 박음으로써, 상기 끼움 결합을 통해 결속돌기(2100a)가 확장 결속되어 확장결속부(2000)에 지지플랜지(3000)가 설치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심신단련 시스템용 펜스지주 결속구는 확장결속부(2000)에 형성된 결속돌기(2100a)가 바닥부에 형성된 결합공(3200)에 끼워져 확장됨으로써, 억지끼움 원리를 이용해 펜스지주(2100)를 상기 바닥부로부터 세워지도록 하는 점은 긍정적이나, 확장결속부(2000)의 결속돌기(2100a)가 억지끼움되기 위해서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지주를 지지하기 위한 끼움부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게되면, 지주의 사용빈도가 늘어남에 따라 상기 탄성력이 저하되어 끼움부의 끼움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울타리(난간)를 형성하기 위한 펜스 지주(2100)는 사용 용도에 따라, 등산로와 같이 낭떠러지 등에 설치되어 안전시설 기능을 수행하는데, 끼움력 저하에 의해 지주가 흔들리게 되고, 안전사고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3073호(2006.12.0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주의 하중을 지탱하는 연결구조 시공시, 바닥에 결합되는 플레이트와 지주의 중심이 되는 각관을 볼트결합을 통해 임시로 고정한 후, 용접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지주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지주의 연결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는 바닥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상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측면에 다수 개의 제1연결공이 형성된 연결구; 및 연결구가 끼워지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제1연결공에 대응되는 제2연결공이 다수 개 형성된 각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연결구가 연결홀에 끼워져 각관의 하측단이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접촉되면, 제1연결공과 제2연결공을 볼트결합하고, 플레이트와 각관이 접촉되는 부분을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의 연결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 시공방법은 바닥에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플레이트 고정단계;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연결구가 각관의 연결홀에 끼워지도록 일정 길이의 각관을 끼움결합하고, 연결구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제1연결공과 각관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제2연결공 각각을 볼트결합하여 각관을 결합시키는 각관 고정단계; 및 연결구가 연결홀에 끼워져 각관의 하측단이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접촉되면, 플레이트와 각관이 접촉되는 부분을 용접하는 각관 용접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의 연결구조 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지주의 하중을 지탱하는 연결구조 시공시, 바닥에 결합되는 플레이트와 지주의 중심이 되는 각관을 볼트결합을 통해 임시로 고정한 후, 한번 더 용접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지주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구조에 의해 시공되는 지주 구조물에서 한 쌍의 세로재 사이에 설치되는 가로재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연결구조에 구비되는 플레이트를 용이하게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어, 세로재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세로재의 기울어짐에 의한 결합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심신단련 시스템용 펜스지주 결속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에 의해 데크로드가 시공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 연결구조에서 측면판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플레이트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 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 시공방법에서 플레이트 용접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은 지주의 하중을 지탱하는 연결구조 시공시, 바닥에 결합되는 플레이트와 지주의 중심이 되는 각관을 볼트결합을 통해 임시로 고정한 후, 용접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지주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지주의 연결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지주의 연결구조는 바닥에 설치되어 기둥의 기능을 수행하는 지주를 지탱할 수 있는 구조의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지주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에서 플레이트(100)의 상측에 결합되는 기둥 또는 동바리(40)를 의미하며, 바닥은 플레이트(100)가 결합되는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동바리(40) 설치시 플레이트(100)가 설치되는 콘크리트 블록(50) 또는 기둥 설치시 플레이트(100)가 설치되며 아연도금 각관으로 이루어지는 장선(20)이나 멍에(30) 등을 의미한다.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에 의해 데크로드가 시공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데크로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목재 또는 천연목재로 이루어지며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바닥판(10), 상기 바닥판(10)의 하측에 좁은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바닥판(10)을 나사로 각각 고정하여 수평으로 지지하는 장선(20), 상기 장선(20)의 하측에 폭과 갈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장선(20)을 고정하며 수평으로 지지하는 멍에(30) 및 수직 방향으로 입설되어 상기 멍에(30)와 지면에 매설되는 콘크리트 블록(50) 사이를 고정하는 동바리(40)로 이루어진다.
또한 바닥판(10)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장선(20)에 결합되는 기둥이 구비되고, 상기 기둥을 구성하는 세로재(400)에 가로재(500)가 설치되어 울티리 형태의 난간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기둥과 동바리(40)의 구성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겉면이 목재로 이루어져, 데크로드 전체적으로 친환경적인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둥은 한 쌍의 세로재(400)가 후술되는 각관(300)의 겉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상기 각관(300)이 삽입되는 중공부(410)가 형성되고, 측면에 다수 개의 관통홀(420)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420)에 가로재(500)가 설치됨으로써, 울타리 형태의 난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기둥과 동바리(40)는 장선(20)이나 멍에(30) 또는 콘크리트 블록(50)으로 이루어진 바닥에 결합되는데, 이때, 세로재(400)로 이루어진 기둥과 장선(20), 멍에(30) 및 동바리(40)와
세로재(400)로 이루어진 기둥이 상기 바닥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지주의 연결구조가 사용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는 콘크리트 블록(50)에 동바리(40)를 설치하기 위한 연결구조 및 아연도금 각관으로 이루어진 장선(20) 또는 멍에(30)에 기둥을 설치하기 위한 연결구조로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를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9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 중,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지주의 연결구조는 동바리(40)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 즉 콘크리트 블록(50)에 지주를 설치하기 위한 연결구조로 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지주의 연결구조는 세로재(400)로 구성된 기둥을 설치하기 위한 구조, 즉 아연도금 각관으로 이루어진 장선(20) 또는 멍에(30)에 지주를 설치하기 위한 연결구조로 주로 사용될 수 있는 한편, 설계조건에 따라,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지주의 연결구조는 동바리(40) 또는 기둥 설치시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는 세로재(400)로 구성된 기둥 또는 동바리(40)가 바닥에 결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플레이트(100), 연결구(200) 및 각관(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레이트(100)는 바닥에 결합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100)는 바닥이 콘크리트 블록(50)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측과 하측을 관통하는 다수 개의 삽입공(1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공(110)과 바닥의 볼트결합을 통해 바닥에 플레이트(100)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볼트결합되는 볼트는 볼트 머리가 삽입공(110)의 상측에 걸림되고, 하측으로 연장되어 콘크리트 블록(50) 내측으로 인입되어 고정된다. 이에, 플레이트(100)는 콘크리트 블록(50) 상측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00)는 바닥이 아연도금 각관으로 이루어진 장선(20) 또는 멍에(30)인 경우, 아연도금 각관의 상측면에 접촉되고, 플레이트(100)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아연도금 각관과 접촉되는 부분을 용접하여, 플레이트(100)가 아연도금 각관의 상측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삽입공(110)과 아연도금 각관은 볼트결합을 통해 임시로 고정한 후, 용접을 통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볼트결합은 볼트나 피스 등을 이용하거나 또는 나사못을 이용하여 아연도금 각관에 플레이트(100)가 임시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플레이트(100) 용접시, 볼트결합을 통해 플레이트(100)를 임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플레이트(100)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플레이트(100)에 설치되는 지주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아연도금 각관에 플레이트(100) 결합을 위한 용접시, 플레이트(100)의 테두리를 따라 용접되는 부분, 즉 아연도금 각관으로 이루어진 장선(20) 또는 멍에(30)의 겉면 일부분에 염산을 도포하여 도금된 아연이 제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아연과 염산이 염화아연과 수소로 변하는 화학반응을 통해 도금된 아연이 제거되면서, 철이 노출된다.
이때, 노출된 철 부분과 플레이트(100)가 접촉되는 부분을 용접하고, 도금된 아연이 제거된 부분에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도포된 아연이 제거된 부분의 부식을 방지하고, 노출된 철 부분과 플레이트(100)가 용접되어, 아연도금 각관에 플레이트(100)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연결구(200)는 플레이트(100)의 상측면에 상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측면에 다수 개의 제1연결공(210)이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구(200)는 후술되는 각관(300)에 끼워져 상기 각관(300)이 지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200)의 높이(h)는 가로폭(a) 또는 세로폭(b) 중 긴 길이를 갖는 폭보다 3배 이상의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연결구(200)의 가로폭(a) 또는 세로폭(b)에 비해 현저하게 긴 길이를 갖는 연결구(200)의 높이(h)에 의해 각관(300)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연결구(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설계조건에 따라, 원형, 타원형 또는 다양한 각을 갖는 도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관(300)은 그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연결홀(310)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200)와 대응되는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측면에 상기 제1연결공(210)에 대응되는 제2연결공(320)이 다수개 형성된다.
이때, 연결구(200)가 연결홀(310)에 끼워져 각관(300)의 하측단이 플레이트(100)의 상측면에 접촉되면, 상기 제1연결공(210)과 제2연결공(320)을 볼트결합하여 연결구(200)와 각관(300)을 임시로 고정하고, 상기 플레이트(100)와 각관(300)이 접촉되는 부분을 용접하여, 용접부(150)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플레이트(100)에 각관(300)이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각관(300)의 하측단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모따기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각관(300)의 하측단이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플레이트(100)의 상측면에 각관(300)의 하측단이 접촉되면, 상기 모따기부(330)를 통해 용접부(150)가 형성되도록 용접함으로써, 용접에 의해 형성되는 불규칙 형태의 비드(weld bead)가 모따기부(330)가 형성된 부분에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비드가 각관(30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각관(300)의 겉면에 세로재(400) 결합시, 비드가 각관(300) 외측으로 노출될 경우 상기 비드와 세로재(400)가 상호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세로재(4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바닥에 플레이트(100), 연결구(200) 및 각관(300)이 견고하게 결합되면, 상기 각관(300)의 겉면을 감싸도록 한 쌍의 세로재(400)를 결합함으로써, 기둥 또는 동바리(40)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판 형태로 이루어진 플레이트(100)가 바닥의 상측면에 면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도 2에서와 같이, 측면을 갖는 장선(20) 및 콘크리트 블록(50)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장선(20) 및 콘크리트 블록(50)의 측면 일부를 감싸도록 플레이트(100)가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5에서 이미 서술한 내용 중에서 중복되는 부분은 서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는 플레이트(100), 연결구(200) 및 각관(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플레이트(100)에 측면판(220)이 더 구비된다.
측면판(220)은 플레이트(100)의 좌,우측단 중 선택된 하나에 하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단면이 하측으로 개구된 'Π' 형태 또는 'ㄱ' 형태로 이루어지고, 좌,우측면을 관통하는 체결공(221)이 형성된다.
이러한 측면판(220)은 플레이트(100)를 바닥에 결합시, 장선(20), 멍에(30) 또는 콘크리트 블록(50)의 측면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플레이트(100)가 보다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측면판(220)이 구비된 플레이트(100)의 결합은 바닥이 콘크리트 블록(50)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콘크리트 블록(50)의 상측과 측면 일부를 감싸도록 플레이트(100)가 구비되고, 체결공(221)과 콘크리트 블록(50)의 볼트결합을 통해 바닥에 측면판(220)이 구비된 플레이트(100)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측면판(220)이 구비된 플레이트(100)는 바닥이 아연도금 각관으로 이루어진 장선(20) 또는 멍에(30)인 경우, 상기 아연도금 각관의 상측과 측면 일부를 감싸도록 플레이트(100)가 구비되고, 측면판(220)에 형성된 체결공(221)과 아연도금 각관은 볼트결합을 통해 임시로 고정한 후, 도 6에서와 같이, 플레이트(100), 측면판(220)과 아연도금 각관이 접촉되는 부분을 용접하여, 용접부(150)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측면판(220)이 구비된 플레이트(100)가 아연도금 각관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측면판(220)이 구비된 플레이트(100)와 아연도금 각관의 용접은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에서 플레이트(100)와 아연도금 각관을 용접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플레이트(100)에 설치되며 한 쌍의 세로재(400)로 이루어진 기둥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 설치되고, 상기 기둥 사이사이에 가로재(500)가 구비되어 울타리 형태의 난간이 형성되는데, 데크로드가 설치되는 지형이 경사진 경우, 가로재(500)를 경사지도록 한 쌍의 기둥 사이에 배치된다.
후술되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세로재(400) 사이에 구비되는 가로재(500)를 경사지도록 설치하는 경우, 도 9에서와 같이, 세로재(400)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홀(420)에 가로재(500)의 끝단 일부분을 절단하고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가로재(500)가 경사지도록 설치됨에 따라 상기 가로재(500) 양 끝단에 구비되는 세로재(400) 사이의 간격이 변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세로재(400)를 지탱하도록 바닥에 설치되는 플레이트(100)를 용이하게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가로재(500)의 기울기 변화에 따른 세로재(400)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시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 연결구조에서 측면판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서 플레이트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측면판(220)에 형성되는 체결공(221)은 플레이트(100)가 결합되는 바닥과 수평되도록 장방향을 갖는 긴타원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바닥에 플레이트(100) 결합시, 상기 체결공(221)과 바닥을 볼트결합에 의해 임시로 고정하고, 가로재(500)가 기울어짐에 따라 변화하는 세로재(400) 사이의 간격을 긴타원형 형태의 체결공(221)에 의해 플레이트(10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조절함으로써, 시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는 바닥에 결합되는 플레이트(100)와 지주의 중심이 되는 각관(300)을 볼트결합을 통해 임시로 고정한 후, 한번 더 용접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지주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연결구조에 의해 시공되는 지주 구조물에서 한 쌍의 세로재(400) 사이에 설치되는 가로재(500)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연결구조에 구비되는 플레이트(100)를 용이하게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어, 세로재(40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세로재(400)의 기울어짐에 의한 결합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 플레이트(100)의 좌,우측단 중 선택된 하나에 하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측면판(220)이 형성되어 그 단면이 'ㄱ' 형태로 이루어진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10에서와 같이, 'ㄱ' 형태를 갖는 플레이트(100)를 멍에(30)의 상측과 측면 일부를 감싸도록 한 후, 측면판(220)에 형성된 체결공(221)과 멍에(30)의 볼트결합을 통해 플레이트(100)가 멍에(30)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앞서 설명한 플레이트(100)를 결합하기 위한 동일한 과정을 통해, 플레이트(100)와 멍에(30)가 접촉되는 부분을 용접하여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10에서 이미 서술한 내용 중에서 중복되는 부분은 서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 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주의 연결구조 시공방법은 플레이트 고정단계(S100), 각관 고정단계(S200) 및 각관 용접단계(S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레이트 고정단계(S100)는 바닥에 플레이트(100)를 견고하게 결합하는 단계로, 바닥이 콘크리트 블록(50)으로 이루어진 경우,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다수 개의 삽입공(110)과 콘크리트 블록(50)의 볼트결합을 통해 플레이트(100)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바닥이 아연도금 각관으로 이루어진 장선(20)인 경우, 플레이트(100)의 측면에 하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 측면판(220)과 상기 플레이트(100)의 바닥면이 장선(20)의 상측과 측면 일부를 감싸도록 하고, 측면판(220)에 형성된 체결공(221)과 장선(20)을 볼트결합을 통해 임시로 고정한 후, 플레이트(100)와 측면판(220) 및 장선(20)이 접촉되는 부분을 용접하여 용접부(150)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측면판(220)이 구비된 플레이트(100)가 장선(20)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각관 고정단계(S200)는 플레이트(100)의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연결구(200)가 각관(300)의 연결홀(310)에 끼워지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각관(300)을 끼움결합하고, 상기 연결구(200)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제1연결공(210)과 각관(300)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제2연결공(320) 각각을 볼트결합하여 플레이트(100)에 각관(300)을 결합하는 단계이다.
각관 용접단계(S300)는 연결구(200)가 연결홀(310)에 끼워져 각관(300)이 플레이트(100)에 임시 고정되면, 각관(300)의 하측단과 플레이트(100)의 상측면이 접촉되는 부분을 용접하는 단계이다.
이에, 바닥에 결합되는 플레이트(100)와 지주의 중심이 되는 각관(300)을 볼트결합을 통해 임시로 고정한 후, 한번 더 용접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지주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플레이트(100)에 결합된 각관(300)의 겉면을 감싸도록 세로재(400)를 결합함으로써, 기둥 또는 동바리(40)를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다.
이때, 세로재(400) 사이에 설치되는 가로재(500)를 경사지도록 설치하는 경우, 바닥과 수평되도록 장방향을 갖는 긴 타원형 형태의 체결공(221)과 바닥의 볼트결합을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221)에 의해 플레이트(100)를 슬라이드 이동시킨 후, 볼트를 견고하게 조여 바닥에 플레이트(10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세로재(400)를 지탱하도록 바닥에 설치되는 플레이트(100)를 용이하게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가로재(500)의 기울기 변화에 따른 세로재(400)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효율적인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 고정단계(S100)에서 바닥에 플레이트(100)를 결합한 후, 상기 아연도금 각관과 플레이트(100)가 접촉되는 부분을 용접하는 플레이트 용접단계(S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플레이트 용접단계(S15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연도금 각관으로 이루어진 장선(20)에 플레이트(100)를 볼트결합을 통해 임시로 고정하고, 상기 장선(20)과 플레이트(100)가 접촉되는 부분을 용접하여 장선(20)에 플레이트(100)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로, 아연도금 제거단계(S151), 용접단계(S152) 및 코팅단계(S1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연도금 제거단계(S151)는 아연도금 각관으로 이루어진 장선(20)에서 플레이트(100)의 테두리 부분과 접촉되는 일부분에 염산을 도포하여 도금된 아연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이때, 염산을 도포하는 과정은 헝겊 등에 묻힌 후 바르는 방식 또는 스프레이 건 등을 이용하여 분사하는 방식 또는 붓이나 스펀지 등을 이용하여 도포하는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금된 아연을 제거하면 장선(20)의 철 부분이 노출되는데, 이때, 부식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설계조건에 따라, 염산을 도포하는 과정에서 부식방지제가 도포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부식방지제는 염산과 혼합하여 도포되거나 또는 염산을 도포한 다음 도포될 수 있다.
용접단계(S152)는 아연도금 제거단계(S151)에서 아연도금이 제거된 부분과 플레이트(100)의 테두리 부분, 즉 장선(20)과 플레이트(100)가 접촉되는 부분을 용접하는 단계이다.
이에, 아연도금이 제거된 부분과 플레이트(100)가 용접을 통해 결합됨으로써, 도금에 의해 용접된 부분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코팅단계(S153)는 용접단계(S152)에서 용접된 부분에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이때, 도포되는 도료는 페인트, 금속 산화 방지 도료 및 에나멜 중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100)와 유사한 질감을 갖는 도료가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도료를 도포하는 과정은 헝겊 등에 묻힌 후 바르는 방식 또는 스프레이 건 등을 이용하여 분사하는 방식 또는 붓이나 스펀지 등을 이용하여 도포하는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장선(20)과 플레이트(100)는 서로 다른 재질의 결합에 의한 이질감을 최소화하여 미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바닥판 20 : 장선
30 : 멍에 40 : 동바리
50 : 콘크리트 블록 100 : 플레이트
110 : 삽입공 150 : 용접부
200 : 연결구 210 : 제1연결공
220 : 측면판 221 : 체결공
300 : 각관 310 : 연결홀
320 : 제2연결공 330 : 모따기부
400 : 세로재 410 : 중공부
420 : 관통홀 500 : 가로재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바닥에 플레이트(100)를 결합하는 플레이트 고정단계(S100);
    상기 플레이트(100)의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며, 가로폭(a) 또는 세로폭(b) 중 긴 길이를 갖는 폭보다 3배 이상의 높이(h)를 갖도록 이루어진 연결구(200)가 각관(300)의 연결홀(310)에 끼워지도록 일정 길이의 각관(300)을 끼움결합하고, 상기 연결구(200)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제1연결공(210)과 각관(300)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제2연결공(320) 각각을 볼트결합하여 각관(300)을 결합시키는 각관 고정단계(S200); 및
    상기 연결구(200)가 연결홀(310)에 끼워져 각관(300)의 하측단이 플레이트(100)의 상측면에 접촉되면, 상기 각관(300)의 하측단이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의 모따기부(330)를 통해 상기 플레이트(100)와 각관(300)이 접촉되는 부분을 용접하는 각관 용접단계(S300);로 이루어지되,
    상기 바닥이 아연도금 각관으로 이루어진 장선(20) 또는 멍에(30)인 경우,
    상기 플레이트 고정단계(S100)는
    플레이트(100)의 좌,우측단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하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 측면판(220)의 내측면과 상기 플레이트(100)의 바닥면이 상기 아연도금 각관의 겉면을 감싸도록 한 후, 상기 측면판(220)에 형성된 체결공(221)과 바닥의 볼트결합을 통해 바닥에 플레이트(100)를 임시로 결합하고,
    측면판(220)에 형성된 체결공(221)과 바닥의 볼트결합을 통해 바닥에 임시로 플레이트(100)를 결합한 후, 각관(300)의 겉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세로재(400)와 상기 세로재(400) 사이사이에 설치되는 가로재(500) 시공시, 상기 가로재(500)의 기울기가 달라져 한 쌍의 세로재(400) 사이의 간격이 변화함에 따라, 세로재(400)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홀(420)에 가로재(500)의 끝단 일부분을 절단하여 설치하고, 바닥과 수평되도록 장방향을 갖는 긴 타원형 형태의 체결공(221)과 바닥의 볼트결합을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221)에 의해 플레이트(100)를 슬라이드 이동시킨 후, 볼트를 견고하게 조여 바닥에 플레이트(100)가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플레이트 고정단계(S100)에서 바닥에 플레이트(100)를 임시로 고정한 후, 상기 아연도금 각관과 플레이트(100)가 접촉되는 부분을 용접하는 플레이트 용접단계(S150)가 더 구비되되,
    상기 플레이트 용접단계(S150)는
    상기 아연도금 각관에서 상기 플레이트(100)의 테두리 부분과 접촉되는 아연도금 각관의 일부분에 염산을 도포하여 도금된 아연을 제거하는 아연도금 제거단계(S151);
    상기 아연도금이 제거된 부분과 플레이트(100)의 테두리 부분을 용접하는 용접단계(S152); 및
    상기 플레이트(100)의 테두리 부분과 용접된 아연도금 각관에 도료를 도포하는 코팅단계(S15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의 연결구조 시공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60000734A 2016-01-05 2016-01-05 지주의 연결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43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734A KR101643142B1 (ko) 2016-01-05 2016-01-05 지주의 연결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734A KR101643142B1 (ko) 2016-01-05 2016-01-05 지주의 연결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142B1 true KR101643142B1 (ko) 2016-07-27

Family

ID=56617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734A KR101643142B1 (ko) 2016-01-05 2016-01-05 지주의 연결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14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376B1 (ko) * 2016-08-10 2017-03-06 (주)평강 아연각관을 심재로 하는 목재난간지주
KR20180088026A (ko) 2017-01-26 2018-08-03 조영휘 지주 기초 시공공법
KR102136540B1 (ko) * 2020-03-30 2020-07-22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데크로드 울타리용 알루미늄제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울타리
KR20220001834A (ko) * 2020-06-30 2022-01-06 신승 주식회사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
KR102565872B1 (ko) * 2022-03-08 2023-08-11 에스와이우드(주) 목재 데크의 난간 결합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609252B1 (ko) * 2023-07-11 2023-12-05 장근환 방향에 따라 심미감이 변화되는 매직 울타리
KR102630113B1 (ko) * 2023-05-31 2024-01-30 (주)제이엠에스씨 'ㄷ'자 브라켓이 구비된 난간용 기둥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073Y1 (ko) 2006-09-27 2006-12-07 배대환 심신단련 시스템용 펜스지주 결속구
KR101235188B1 (ko) * 2011-05-18 2013-03-05 주식회사 태양전자 가로등 지주
KR101567412B1 (ko) * 2015-04-15 2015-11-13 주식회사 로드파크 데크로드의 지지대 결속용 지주 결속구
KR101571707B1 (ko) * 2014-11-10 2015-11-25 주식회사 블랙스미스 스틸 체결구가 용접된 유체 배관용 아연도금강관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073Y1 (ko) 2006-09-27 2006-12-07 배대환 심신단련 시스템용 펜스지주 결속구
KR101235188B1 (ko) * 2011-05-18 2013-03-05 주식회사 태양전자 가로등 지주
KR101571707B1 (ko) * 2014-11-10 2015-11-25 주식회사 블랙스미스 스틸 체결구가 용접된 유체 배관용 아연도금강관 제조방법
KR101567412B1 (ko) * 2015-04-15 2015-11-13 주식회사 로드파크 데크로드의 지지대 결속용 지주 결속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376B1 (ko) * 2016-08-10 2017-03-06 (주)평강 아연각관을 심재로 하는 목재난간지주
KR20180088026A (ko) 2017-01-26 2018-08-03 조영휘 지주 기초 시공공법
KR102136540B1 (ko) * 2020-03-30 2020-07-22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데크로드 울타리용 알루미늄제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울타리
KR20220001834A (ko) * 2020-06-30 2022-01-06 신승 주식회사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
KR102381821B1 (ko) * 2020-06-30 2022-04-05 신승 주식회사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
KR102565872B1 (ko) * 2022-03-08 2023-08-11 에스와이우드(주) 목재 데크의 난간 결합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630113B1 (ko) * 2023-05-31 2024-01-30 (주)제이엠에스씨 'ㄷ'자 브라켓이 구비된 난간용 기둥
KR102609252B1 (ko) * 2023-07-11 2023-12-05 장근환 방향에 따라 심미감이 변화되는 매직 울타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142B1 (ko) 지주의 연결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05858B1 (ko) 데크로드 난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EP0847471B1 (en) Bridge platform
US6523644B2 (en) Scaffolding for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KR101681022B1 (ko) 데크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18682B1 (ko) 탈형 데크
JP5050228B2 (ja) 方杖部材付きラーメン橋施工方法
US11306492B2 (en) Load bearing components and safety deck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WO2014189962A1 (en) Work platform system including suspended paneled portion and method of implementing same
JP2006176951A (ja) 法面の作業床構築システムと作業床構築装置及び作業床パネル
CN107227814A (zh) 一种大悬挑混凝土结构分段施工方法
WO2012157812A1 (ko) 친환경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RU2412301C1 (ru) Разборная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эстакада
US20090313937A1 (en) Steel beams and related assemblies and methods
US20060135005A1 (en) Snappy structural system
RU2606730C2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опор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эстакада)
KR101875476B1 (ko) 생물권 보전을 위한 목재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343678Y1 (ko) 조립식 데크패널의 조립구조
KR101954362B1 (ko) 시공이 용이한 데크 로드
KR101673070B1 (ko) 연속화 강관 소켓 정착장치를 통한 경사지 확장보도
US3675385A (en) Method of constructing parking garage structures
KR102156689B1 (ko) 트러스 인도교
JP2005127066A (ja) 既設橋梁の拡幅歩道構造及び拡幅歩道構造の施工方法
US20140027940A1 (en) Form,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concrete diaphragms
JP2003530497A (ja) アイランド型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