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8026A - 지주 기초 시공공법 - Google Patents

지주 기초 시공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8026A
KR20180088026A KR1020170012536A KR20170012536A KR20180088026A KR 20180088026 A KR20180088026 A KR 20180088026A KR 1020170012536 A KR1020170012536 A KR 1020170012536A KR 20170012536 A KR20170012536 A KR 20170012536A KR 20180088026 A KR20180088026 A KR 20180088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foundation
wedge
groove
inflow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7274B1 (ko
Inventor
조영휘
Original Assignee
조영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휘 filed Critical 조영휘
Priority to KR1020170012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274B1/ko
Publication of KR20180088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 데크 및 휀스의 지주를 상하 2중으로 지지고정하면서 지주의 고정구조를 매립 마감하여 외관상 미려함을 유지함과 동시에 안정적인 고정력을 갖는 지주 기초를 효율적으로 시공함을 제공하도록, (1)지주 기초시공을 위한 시공영역을 확보하여 지반 또는 기초블록에 상부유입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2)상기 상부유입홈 상에 지주를 기립상태로 세워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반 또는 기초블록에 하부유입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3)상기 하부유입홈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쐐기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4)상기 하부유입홈에 지주의 하부가 수용되게 지주를 세워 설치하는 단계와; (5)상기 하부유입홈 내 위치한 지주를 압착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쐐기홈 내 고정쐐기를 끼움 결합하는 단계와; (6)상기 상부유입홈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워 지주 기초를 마감토록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주 기초 시공공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주 기초 시공공법 {Construction Method for Foundation Pillar}
본 발명은 지주 기초 시공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목재 데크 및 휀스의 지주를 상하 2중으로 지지고정하면서 지주의 고정구조를 매립 마감하여 외관상 미려함을 유지함과 동시에 안정적인 고정력을 갖는 지주 기초를 효율적으로 시공하는 것이 가능한 지주 기초 시공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주는 데크로드나 휀스, 가로등 등의 구조물을 시공장소에서 지중에 고정하기 위한 기둥이며, 사각형 또는 원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관이나 봉 형태로 적용하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공원, 호수, 산 등과 같이 사람들의 원활한 보행을 요하는 산책로나 등산로에서 주변의 자연 경관에 맞춰 자연친화적인 미려한 환경을 조성하거나 보행자의 보행이 어려운 지형에서 보행자의 안전 및 편의를 도모하므로 보행자들에게 최적의 보행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데크로드의 시공에 지주를 활용하여 설치하게 되고, 통상적인 울타리 휀스는 물론 데크로드 상의 휀스에도 지주를 활용하여 지중에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지주의 경우 데크로드나 휀스 등 구조물의 하중을 견디면서 지중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다양한 연결구조 및 그에 따른 시공공법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지주 연결구조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43142호(2016.07.21.)에는 바닥에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플레이트 고정단계; 상기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며, 가로폭 또는 세로폭 중 긴 길이를 갖는 폭보다 3배 이상의 높이를 갖도록 이루어진 연결구가 각관의 연결홀에 끼워지도록 일정 길이의 각관을 끼움 결합하고, 상기 연결구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제1연결공과 각관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제2연결공 각각을 볼트 결합하여 각관을 결합시키는 각관 고정단계; 및 상기 연결구가 연결홀에 끼워져 각관의 하측단이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접촉되면, 상기 각관의 하측단이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의 모따기부를 통해 상기 플레이트와 각관이 접촉되는 부분을 용접하는 각관 용접단계;로 이루어짐에 따라 지주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지주의 연결구조 시공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의 경우 지주를 고정하기 위한 기본구성인 플레이트를 콘크리트 블록 상에 볼트 결합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우며 외력에 따른 지지효율이 미흡하고, 외부에 노출상태인 볼트가 시간이 지날수록 부식 및 훼손되어 지주의 수명을 단축시키며 주변과의 지주 미관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3142호 (2016.07.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주가 끼움 접촉에 따른 고정과 함께 마감 타설하도록 시공하므로, 지주 기초의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다중 지지구조로부터 지주에 대한 고정효율 및 시공성을 높이고, 외관상 미려함을 도모하면서 부식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지주 기초 시공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주 기초 시공공법은 (1)지주 기초시공을 위한 시공영역을 확보하여 지반 또는 기초블록에 상부유입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2)상기 상부유입홈 상에 지주를 기립상태로 세워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반 또는 기초블록에 하부유입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3)상기 하부유입홈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쐐기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4)상기 하부유입홈에 지주의 하부가 수용되게 지주를 세워 설치하는 단계와; (5)상기 하부유입홈 내 위치한 지주를 압착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쐐기홈 내 고정쐐기를 끼움 결합하는 단계와; (6)상기 상부유입홈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워 지주 기초를 마감토록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6)단계에서는, 상기 고정쐐기에 따른 상기 지주와 상기 하부유입홈 간의 틈새에 콘크리트를 충입토록 1차 타설하고, 상기 상부유입홈 내 콘크리트를 충입하되 지면 또는 기초블록의 상면에 맞춰 콘크리트를 2차 타설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5)단계에서 고정쐐기를 끼움 결합한 다음 상기 지주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고정쐐기를 누름 고정하기 위한 마감고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주 기초 시공공법에 의하면 지주 기초의 시공을 위하여 고정쐐기를 끼움 결합하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마감하는 다중 지지구조를 구현토록 시공하므로, 시공이 간편함은 물론 지주를 향한 우수한 지지효율에 따른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을 증진시키고, 지주의 고정구조가 지표면 상에 노출되지 않아 구조물의 미관을 향상시키며 지주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적용하여 시공된 지주 기초 구조물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고정쐐기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4)~(5)단계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적용하여 시공된 지주 기초 구조물을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은 (1)지주 기초시공을 위한 시공영역을 확보하여 지반 또는 기초블록에 상부유입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2)상기 상부유입홈 상에 지주를 기립상태로 세워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반 또는 기초블록에 하부유입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3)상기 하부유입홈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쐐기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4)상기 하부유입홈에 지주의 하부가 수용되게 지주를 세워 설치하는 단계와; (5)상기 하부유입홈 내 위치한 지주를 압착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쐐기홈 내 고정쐐기를 끼움 결합하는 단계와; (6)상기 상부유입홈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워 지주 기초를 마감토록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주 기초 시공공법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주 기초 시공공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지주 기초 시공공법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상부유입홈(10) 형성단계(S10)와, (2)하부유입홈(20) 형성단계(S20)와, (3)쐐기홈(30) 형성단계(S30)와, (4)지주(40) 설치단계(S40)와, (5)고정쐐기(50) 결합단계(S50)와, (6)콘크리트(60) 마감 타설단계(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유입홈(10) 형성단계(S10)에서는 지주(40) 기초시공을 위한 시공영역을 확보할 수 있게 지주(40)를 시공할 지점의 주변영역 즉 지주 지름의 3~4배 정도 해당하는 영역을 가공하므로, 지반 또는 기초블록에 상부유입홈(10)을 형성토록 시공한다.
상기에서 상부유입홈(10)은 150~300㎜의 깊이로 형성하므로, 추후 콘크리트 마감 타설단계(S60)에서 자재소비량을 최대한 줄이면서 지주(40)를 향한 적정 지지효율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유입홈(10)을 시공함에는 바닥면이 지면과 평행을 이루어 평탄한 평면을 이루도록 작업하며, 상기 상부유입홈(10)의 측 벽면은 사면 즉 내측으로 하향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토록 시공한다.
상기 하부유입홈(20) 형성단계(S20)에서는 상기 상부유입홈(10) 상에 지주(40)를 기립상태로 세워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작업으로서, 상기 상부유입홈(10)의 바닥면 중심을 드릴링하여 지반 또는 기초블록에 하부유입홈(20)을 형성토록 시공한다.
상기 하부유입홈(20)은 지반 또는 기초블록 상에 수직직선방향으로 연장하여 홈 형태 또는 천공 형태를 이루도록 시공한다.
예를 들면, 지반에 직접 매립된 구조를 이루게 지주 기초를 시공하는 경우 상기 하부유입홈(20)을 충분한 깊이로 굴착하여 홈 형태로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기초블록에 매립된 구조를 이루게 지주(40) 기초를 시공하는 경우 기초블록에 지주(40)가 수용될 수 있게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하부유입홈(20)이 천공된 형태를 이루도록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부유입홈(20)은 지주의 단면형상(예를 들면, 사각형, 원형 등)에 대응되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토록 시공한다.
상기에서 하부유입홈(20)은 시공대상인 지주(40)의 단면적 크기 대비 소폭(5~10㎜) 크게 형성하거나, 지주(40)의 단면적과 동일하되 상기 하부유입홈(20)의 상단에 지주(40)의 원활한 유입을 도모할 수 있게 모따기하여 형성한다.
상기 쐐기홈(30) 형성단계(S30)에서는 상기 하부유입홈(20)의 상단부에 내측으로 오목한 쐐기홈(30)을 형성토록 시공한다.
상기 쐐기홈(30)은 고정쐐기(50)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쐐기(50)가 상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하부유입홈(20) 내 위치한 지주(40)에 접촉 지지될 수 있도록 상측 및 내측이 개방된 구조를 이룬다. 즉 상기 쐐기홈(30)은 상기 하부유입홈(20)을 기준으로 바깥쪽으로 소폭 연장하여 상기 고정쐐기(50)가 삽입 상태로 끼움 결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쐐기홈(30)을 형성함에는 상기 고정쐐기(50)를 유입가능한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쐐기홈(30)의 상측에 상기 하부유입홈(20)을 향해 하향경사진 쐐기지지면(31)을 형성한다. 즉 상기 쐐기홈(30)에는 상단에서 하향할수록 상기 하부유입홈(20)을 향해 내측으로 완만하게 경사진 구조를 갖는 쐐기지지면(31)을 형성한다.
상기 쐐기홈(30)에서 상기 쐐기지지면(31)을 형성함에는 상기 하부유입홈(20)의 내주면을 기준으로 5~8°의 경사각도(α1)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상기에서 쐐기홈(30) 중 쐐기지지면(31)의 경사각도(α1)는 상기 고정쐐기(50) 중 경사면(51)의 경사각도(α2)보다 2~3°가 작은 경사각도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쐐기(50)의 경사면(51)에 대한 경사각도(α2)가 10°인 경우에 상기 쐐기홈(30)의 쐐기지지면(31)에 대한 경사각도(α1)는 7~8°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상기 쐐기홈(30)은 상기 하부유입홈(20)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복수 개(도 4에는 4개)를 구비토록 형성한다.
상기한 (1)~(3)단계를 형성토록 진행함에 있어서, 지반에 직접 지주(40)를 매립시공할 경우에는 순차적으로 굴착시공하여 상기 상부유입홈(10) 및 상기 하부유입홈(20), 상기 쐐기홈(30)을 구분 형성토록 시공하고, 기초블록에 지주(40)를 매립시공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유입홈(10) 및 상기 하부유입홈(20), 상기 쐐기홈(30)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되 별도의 기초블록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작업이 일괄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지주(40) 설치단계(S40)에서는 상기 하부유입홈(20)에 지주(40)의 하부가 수용될 수 있게 지주(40)를 세워 설치한다.
상기 고정쐐기(50) 결합단계(S50)에서는 상기 하부유입홈(20) 내 위치한 지주(40)를 압착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쐐기홈(30) 내 고정쐐기(50)를 끼움 결합한다.
상기에서 고정쐐기(50)를 끼움 결합함에는 별도의 해머나 망치 등의 작업도구를 사용하여 상부를 두들겨 압력을 가하므로 상기 쐐기홈(30) 내 상기 고정쐐기(50)가 박힘 고정되고, 상기 고정쐐기(50)에 압력을 가할 때마다 상기 쐐기홈(30)의 좁은 공간으로 상기 고정쐐기(50)가 유입되면서 지주(40)의 외주면 상에 접촉함에 따라 고정지지할 수 있게 시공한다.
상기 고정쐐기(5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부는 상기 쐐기홈(30)을 향해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핀 형상을 이루며, 상기 쐐기홈(30)의 쐐기지지면(31)에 대응하여 면 접촉가능한 경사면(51)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유입홈(20) 내 위치한 지주에 면 접촉가능한 지주지지면(53)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쐐기(50)를 결합하기 전 상기 지주(40)를 설치하는 단계(S40)에서 상기 고정쐐기(50)에 대응하여 상기 지주(40)의 외주면 상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재(45)를 고정 설치하도록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지주(40)에 걸림부재(45)를 적용하여 시공할 경우에는 상기 고정쐐기(50) 상에 걸림홈(55)을 형성토록 적용한 후 상기 쐐기홈(30)에 상기 고정쐐기(50)를 끼움 결합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쐐기(50)를 끼움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쐐기(50)의 걸림홈(55)이 상기 걸림부재(45)와 결속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도록 시공한다.
상기와 같이 걸림부재(45)와 걸림홈(55)을 형성토록 시공하게 되면, 상기 고정쐐기(50)의 끼움 결합상태를 고착화하므로 지주(40)를 향한 지지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콘크리트(60) 마감 타설단계(S60)에서는 상기 고정쐐기(50)에 따른 지주(40)의 지지고정에 이어 재차 지주(40)를 지지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유입홈(10)의 내부에 콘크리트(60)를 채워 지주(40) 기초를 마감토록 타설한다.
상기 콘크리트(60) 마감 타설단계(S60)에서는 두 차례에 걸쳐 구분하여 콘크리트(60)를 타설하되, 상기 고정쐐기(50)에 따른 상기 지주(40)와 상기 하부유입홈(20) 간의 틈새에 콘크리트(60)를 충입토록 1차 타설하고, 상기 상부유입홈(10) 내 콘크리트(60)를 충입하여 2차 타설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콘크리트(60)를 1차 타설함에는 시간을 두고 2~3차례에 걸쳐 타설작업을 반복하도록 시공하므로, 상기 지주(40)와 상기 하부유입홈(20) 간의 틈새가 효율적으로 메워질 수 있게 시공한다.
상기에서 콘크리트(60)를 2차 타설한 후에는 지면 또는 기초블록의 상면에 맞춰 콘크리트(60)를 평평하게 마무리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 기초 시공공법에 의하면 지주 기초의 시공을 위하여 고정쐐기(50)를 끼움 결합하면서 콘크리트(60)를 타설하여 마감하는 다중 지지구조를 구현토록 시공하므로, 시공이 간편함은 물론 지주(40)를 향한 우수한 지지효율에 따른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을 증진시키고, 지주(40)의 고정구조가 지표면 상에 노출되지 않아 구조물의 미관을 향상시키며 지주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지주 기초 시공공법의 다른 실시예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5)단계에서 고정쐐기(50)를 끼움 결합한 다음 상기 지주(40)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고정쐐기(50)를 누름 고정하기 위한 마감고정부재(70)를 설치하는 단계(S5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마감고정부재(70)는 서로 대칭되게 2개가 한 쌍으로 이분된 구조로서, 한 개씩 순차적으로 설치한다.
상기에서 마감고정부재(70)를 설치함에는 상기 지주(40) 및 상기 상부유입홈(10)의 측 벽면에 걸림돌기(71)를 고정 설치한다. 즉 상기 마감고정부재(70)로부터 상기 지주(40)와 접촉상태를 유지함은 물론 상기 마감고정부재(70)를 누름 접촉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상기 마감고정부재(70)가 상기 걸림돌기(71) 상에 걸리도록 시공한다.
상기 마감고정부재(70)는 수직관통된 다공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쐐기(50)를 향해 연장형성되는 누름단부(73)와, 상기 상부유입홈(10)의 측 벽면에 접촉지지하는 경사단부(75)를 형성한다.
상기에서 마감고정부재(70)의 누름단부(73)는 끝단이 한쪽으로 휘어진 곡선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고정쐐기(50)를 탄력적으로 누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한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면, 지주(40)를 지지효율을 보강하면서 고정쐐기(50)의 결합상태를 효율적으로 유지시켜 전체적인 구조물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 기초 시공공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상부유입홈 20 : 하부유입홈
30 : 쐐기홈 31 : 쐐기지지면
40 : 지주 45 : 걸림부재
50 : 고정쐐기 51 : 경사면
53 : 지주지지면 55 : 걸림홈
60 : 콘크리트 70 : 마감고정부재
71 : 걸림돌기 73 : 누름단부
75 : 경사단부
α1 : 쐐기홈의 쐐기지지면 경사각도
α2 : 고정쐐기의 경사면 경사각도

Claims (3)

  1. (1)지주 기초시공을 위한 시공영역을 확보하여 지반 또는 기초블록에 상부유입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2)상기 상부유입홈 상에 지주를 기립상태로 세워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반 또는 기초블록에 하부유입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3)상기 하부유입홈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쐐기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4)상기 하부유입홈에 지주의 하부가 수용되게 지주를 세워 설치하는 단계와;
    (5)상기 하부유입홈 내 위치한 지주를 압착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쐐기홈 내 고정쐐기를 끼움 결합하는 단계와;
    (6)상기 상부유입홈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워 지주 기초를 마감토록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주 기초 시공공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6)단계에서는, 상기 고정쐐기에 따른 상기 지주와 상기 하부유입홈 간의 틈새에 콘크리트를 충입토록 1차 타설하고, 상기 상부유입홈 내 콘크리트를 충입하되 지면 또는 기초블록의 상면에 맞춰 콘크리트를 2차 타설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주 기초 시공공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5)단계에서 고정쐐기를 끼움 결합한 다음 상기 지주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고정쐐기를 누름 고정하기 위한 마감고정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주 기초 시공공법.
KR1020170012536A 2017-01-26 2017-01-26 지주 기초 시공공법 KR101967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536A KR101967274B1 (ko) 2017-01-26 2017-01-26 지주 기초 시공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536A KR101967274B1 (ko) 2017-01-26 2017-01-26 지주 기초 시공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026A true KR20180088026A (ko) 2018-08-03
KR101967274B1 KR101967274B1 (ko) 2019-04-09

Family

ID=63250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536A KR101967274B1 (ko) 2017-01-26 2017-01-26 지주 기초 시공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2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61103A (zh) * 2022-05-19 2022-08-30 湖南有色金属职业技术学院 一种钢桁架钢管混凝土组合柱连体结构
CN115324093A (zh) * 2022-07-21 2022-11-11 中交武汉港湾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泡沫轻质土浅基础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1357A (ja) * 2004-12-06 2006-06-22 Yamajin Sangyo Kaihatsu Kk 建柱基礎構造
KR100912805B1 (ko) * 2008-09-17 2009-08-19 (주)범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폐 합성수지를 이용한 지주 기초대
KR20120105093A (ko) * 2011-03-15 2012-09-25 주식회사 천지콘텍 울타리 설치용 기초콘크리트의 울타리지주 고정구조
KR101643142B1 (ko) 2016-01-05 2016-07-27 (주)엠에스티통상 지주의 연결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1357A (ja) * 2004-12-06 2006-06-22 Yamajin Sangyo Kaihatsu Kk 建柱基礎構造
KR100912805B1 (ko) * 2008-09-17 2009-08-19 (주)범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폐 합성수지를 이용한 지주 기초대
KR20120105093A (ko) * 2011-03-15 2012-09-25 주식회사 천지콘텍 울타리 설치용 기초콘크리트의 울타리지주 고정구조
KR101643142B1 (ko) 2016-01-05 2016-07-27 (주)엠에스티통상 지주의 연결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61103A (zh) * 2022-05-19 2022-08-30 湖南有色金属职业技术学院 一种钢桁架钢管混凝土组合柱连体结构
CN114961103B (zh) * 2022-05-19 2023-08-04 湖南有色金属职业技术学院 一种钢桁架钢管混凝土组合柱连体结构
CN115324093A (zh) * 2022-07-21 2022-11-11 中交武汉港湾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泡沫轻质土浅基础结构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7274B1 (ko) 201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435B1 (ko) 연약지반용 시설물 설치 지주
KR101967274B1 (ko) 지주 기초 시공공법
KR102286225B1 (ko) 무지주 탑다운 지하구조물 pc복합화 시공공법
KR101707170B1 (ko) 지주 연결 구조물
KR200212743Y1 (ko) 기초공사용 강관의 상단부 보강구조
JP2004100157A (ja) 擁壁構造およびそのための施工方法
CN210216483U (zh) 地基及其基础承台
KR20190010947A (ko) 베이스플레이트 상부매립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EP1561874A1 (en) Connecting device and node for buildings with prefabricated elements
KR100323112B1 (ko) 기초공사용 강관의 상단부 보강구조
KR101518210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콘크리트 인도교 및 그 시공방법
CN114263187B (zh) 一种基坑底板传力结构及其施工方法
CN106401613B (zh) 隧洞钢架支护施工方法
KR101624706B1 (ko) 지주용 기초구조 및 이의 설치방법
JP7275844B2 (ja) 壁状構造物及び壁状構造物の構築方法
KR101129250B1 (ko) 가물막이와 취수탑의 외벽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취수탑용 거푸집을 사용한 취수탑 시공공법
JP2013011053A (ja) コンクリート基礎用アンカーボルト保持具と、アンカーボルト付き保持具
KR200428941Y1 (ko) 지하 합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흙막이벽의 역타 지지구조
CN111434858A (zh) 一种预制地基承台及地基结构
JP3050130U (ja) 擁 壁
JPH08144581A (ja) フェンスの基礎構造
CN105951980A (zh) 混凝土模块拼装式框架房屋结构
KR20030067763A (ko) 관통 연결부가 형성된 기성콘크리트기둥 및 그를 이용한지하건축물의 시공방법
CN211200342U (zh) 一种软土地基处理结构
JPH0589532U (ja) 基礎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基礎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