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834A -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 - Google Patents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834A
KR20220001834A KR1020200080265A KR20200080265A KR20220001834A KR 20220001834 A KR20220001834 A KR 20220001834A KR 1020200080265 A KR1020200080265 A KR 1020200080265A KR 20200080265 A KR20200080265 A KR 20200080265A KR 20220001834 A KR20220001834 A KR 20220001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frame
bracket
external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1821B1 (ko
Inventor
김준영
하주환
Original Assignee
신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승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0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821B1/ko
Publication of KR20220001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 프레임; 제1 프레임을 가로지르도록 제1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 프레임; 제2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하고, 다수개의 마감재가 사각기둥 형상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둥; 외부기둥의 내부에 위치하고, 외주면이 외부기둥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위치하는 내부기둥; 및 수평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각각의 마감재 사이에 위치하고, 일측은 내부기둥에 맞닿도록 위치하며, 타측은 수평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각각의 마감재가 끼워져 고정되는 복수개의 제1 브라켓을 포함하는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LANDSCAPE FACILITIES WITH ASSEMBLY PILLAR}
본 발명은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과 분해가 간편하고, 기둥형상의 변형으로 인한 흔들림을 방지하는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외의 공원이나 놀이터, 휴양지나 관광지 등의 장소에서 휴게시설의 하나로 설치되는 데크나 정자, 파고라, 벤치 등의 조경 시설물에는 목재나 철재를 사용하여 기본적인 골조를 이룰 수 있게 조성하는 가장 기초적인 구조물인 기둥을 설치한다.
이러한 조경 시설물의 기둥은 원형이나 사각형 등의 단면형상을 갖는 목재 또는 금속재를 사용하여 조성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조경 시설물은, 목재로 조성된 기둥의 경우에, 자연친화적이지만 비를 맞고 햇빛을 받는 반복되는 과정에서 목재에 스며든 수분으로 인해 수축 과 팽창을 반복하기 때문에, 기둥의 자체적인 뒤틀림이나 휨현상에 따른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둥의 자체적인 뒤틀림이나 휨 현상에 따른 변형이 발생하기 때문에, 기둥에 유격이 발생하고, 유격으로 인해 기둥이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수개의 기둥이 서로간에 연결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위치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7327호(2019.06.17 공개, 발명의 명칭: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기둥)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립과 분해가 간편하고, 유지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며, 기둥의 형상변형에 따른 흔들림을 방지하는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 프레임; 각각의 상기 제1 프레임을 가로지르도록 각각의 상기 제1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 프레임; 각각의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하고, 다수개의 마감재가 사각기둥 형상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둥; 상기 외부기둥의 내부에 위치하고, 외주면이 상기 외부기둥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위치하는 내부기둥; 및 수평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각각의 상기 마감재 사이에 위치하고, 일측은 상기 내부기둥에 맞닿도록 위치하며, 타측은 수평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각각의 상기 마감재가 끼워져 고정되는 복수개의 제1 브라켓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내부기둥에 밀착되게 위치하고, 상기 내부기둥에 대응되도록 휘어지게 형성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각각의 상기 마감재 사이에 위치하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제1 고정부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인접한 상기 마감재 중 어느 하나에 맞닿도록 위치하는 제1 경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1 고정부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인접한 상기 마감재 중 다른 하나에 맞닿도록 위치하는 제2 경사부가 형성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다른 상기 제1 브라켓에 형성된 상기 중심부에 상기 마감재의 내측면 양측 모서리가 맞닿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경사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다른 상기 제1 브라켓에 형성된 상기 제2 경사부에 상기 마감재의 외측면이 맞닿도록 위치하여, 수평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각각의 상기 마감재가 상기 제1 브라켓에 끼어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단에는 복수개의 상기 외부기둥이 위치하고, 각각의 상기 외부기둥 사이에는, 일측이 각각의 상기 외부기둥 중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각각의 상기 외부기둥 중 다른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외부기둥이 상기 제2 프레임에서의 위치가 조절되면, 회전하면서 각각의 상기 외부기둥과의 연결상태가 유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각의 상기 외부기둥에는 연결 어셈블리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 어셈블리는, 상기 마감재에 밀착되어 결합되고, 중심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을 따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안착부가 형성된 연결판; 상기 관통홀을 관통되게 위치하고, 일측에는 제1 고리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연결판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연결부; 및 일측에는 상기 제1 고리부가 끼워져 상기 제1 고리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고리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타측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기둥의 하부에는,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결합부 체결홀이 형성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와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결합부와 상기 제2 프레임이 연결되는 제2 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브라켓은, 상면은 상기 결합부에 밀착되고, 하면은 상기 제2 프레임에 밀착되며, 상기 결합부 체결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수평판 체결홀이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상기 결합부 체결홀과 상기 수평판 체결홀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2 프레임에 연결되게 하는 수평판; 상기 수평판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측면에 밀착되게 위치하는 제1 측면판; 및 상기 제1 측면판으로부터 상기 수평판의 내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고, 상기 제2 프레임 중 상기 제1 측면판이 밀착되게 위치하는 측면의 반대방향의 측면에 밀착되게 위치하는 제2 측면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도록 제1 끼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다른 상기 연결 어셈블리에 구비된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도록 제2 끼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은, 제1 브라켓이 내부기둥에 밀착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인접한 마감재가 제1 브라켓의 양측에 끼워지도록 하여, 마감재의 교체가 용이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감재가 변형되어 유격이 발생하더라도 제1 브라켓으로부터 가해지는 텐션에 의해 유격에 의해 발생되는 마감재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브라켓이 휘어지는 제1 고정부와, 이를 연결하는 중심부 및 인접한 마감재가 끼워지는 제2 고정부로 구성되게 하여, 각 마감재의 탈부착이 용이해지고, 견고하게 결합될 뿐만 아니라 마감재에 의해 형성된 기둥형상이 오래유지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외부기둥 사이에 연결부재를 구비시키고, 연결부재가 각 외부기둥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게 하여, 각 외부기둥이 견고하게 연결되면서 동시에 외부기둥의 위치 변경시 연결부재도 쉽게 위치가 조절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 브라켓의 탈부착을 통해 외부기둥의 위치가 쉽게 조절되게 함으로써, 조경 시설물의 디자인이 다양화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기둥의 상단에 덮개부재가 구비되게 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외부기둥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서 외부기둥이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서외부기둥이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서 외부기둥의 내부에 내부기둥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서 외부기둥의 내부에 내부기둥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서 외부기둥의 상단에 위치하는 덮개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서 외부기둥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기둥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서 마감재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서 내부기둥이 연결되는 제2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서 외부기둥을 형성하는 마감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서 제1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서 제2 브라켓이 제2 프레임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서 외부기둥에 연결되는 연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서 연결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제1 연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서 연결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연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서 연결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제2 연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서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서 외부기둥이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서외부기둥이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서 외부기둥의 내부에 내부기둥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서 외부기둥의 내부에 내부기둥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서 외부기둥의 상단에 위치하는 덮개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서 외부기둥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기둥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서 마감재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서 내부기둥이 연결되는 제2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서 외부기둥을 형성하는 마감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서 제1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서 제2 브라켓이 제2 프레임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서 외부기둥에 연결되는 연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서 연결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제1 연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서 연결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연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서 연결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제2 연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에서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100)은, 제1 프레임(110), 제2 프레임(130), 외부기둥(150) 및 내부기둥(1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10)은 복수개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프레임(130)은 복수개가 제1 프레임(110)을 가로지르도록 제1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외부기둥(150)는 하나 또는 복수개가 제2 프레임(130)의 상단에 위치하고, 다수개의 마감재(151)가 사각기둥 형상으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기둥(150)은 4개의 마감재(151)가 사각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고, 다수개의 마감재(151)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사각형상을 이루도록 서로간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내부기둥(170)은, 원통형상의 기둥으로, 외부기둥(150)의 내부에 위치하고, 외주면이 외부기둥(150)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1 브라켓(190)은 사각기둥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마감재(151) 중에서, 수평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각각의 마감재(15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브라켓(190)은 수평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각각의 마감재(151) 사이에 외부기둥(150)의 상하방향으로 하나가 구비될 수 있고, 다수개가 순차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1 브라켓(190)의 일측은 외부기둥(150)의 내부에서 내부기둥(170)에 맞닿도록 위치하며, 타측은 수평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각각의 마감재(151)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브라켓(190)에 다수개의 마감재(151)가 손쉽게 부착되거나 탈착되면서 외부기둥(150)이 형성되거나 분해됨으로써, 마감재의 교체가 손쉽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마감재(151)가 변형되어 유격이 발생하더라도 제1 브라켓(190)으로부터 가해지는 텐션에 의해 유격에 의해 발생되는 마감재(151)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기둥(150)의 상단에는 덮개부재(270)가 구비될 수 있고, 덮개부재(270)를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외부기둥(15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라켓(190)은, 제1 고정부(191), 중심부(193), 제2 고정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191)는, 내부기둥(170)에 밀착되게 위치하고, 내부기둥(170)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휘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91)의 가장자리에는, 제1 고정부(191)가 내부기둥(170)에 연결되도록 제1 고정부 체결홀(191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고정부(191)가 내부기둥(170)에 맞닿은 상태에서 체결부재(미도시)가 제1 고정부 체결홀(191a)을 관통함으로써 제1 고정부(191)가 내부기둥(170)에 연결될 수 있다.
중심부(193)는, 제1 고정부(191)의 중심에서 연장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인접한 각각의 마감재(15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고정부(195)는 중심부(193)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고정부(195)의 일측에는 제1 경사부(195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사부(195a)는 제1 고정부(191)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인접한 마감재(151) 중 어느 하나에 맞닿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부(195)의 타측에는 제2 경사부(195b)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경사부(195b)는 제1 고정부(191)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인접한 마감재(151) 중 다른 하나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각각의 마감재(151), 즉 사각형상에서 꺽어지게 위치하는 두개의 마감재(151)는, 중심부(193)와 제1 고정부(191) 또는 중심부(193)와 제2 고정부(195) 사이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수평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각각의 마감재(151)를 제1 브라켓(190)에 끼워넣게 되면, 마감재(151)의 내측면은, 어느 하나의 제1 브라켓(190)에 형성된 중심부(193)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다른 제1 브라켓(190)에 형성된 중심부(193)에 내측면 양측 모서리가 맞닿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마감재(151)의 외측면은, 제1 브라켓(190)에 형성된 제1 경사부(195a)와, 제1 경사부(195a)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다른 제1 브라켓(190)에 형성된 제2 경사부(195b)에 맞닿도록 위치하여 제1 브라켓(190)에 끼워질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130)의 상단에는 복수개의 외부기둥(150)이 위치하고, 각각의 외부기둥(150) 사이에는, 연결부재(230)가 위치할 수 있다.
외부기둥(150)은 제2 프레임(130)의 상단에서 모서리 부근에 위치할 수도 있고, 제2 프레임(130)의 중심부(193)에 위치할 수도 있다.
연결부재(230)는 일측이 각각의 외부기둥(150) 중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각각의 외부기둥(150) 중 다른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230)는 후술한 제1 연결부(253)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360°회전할 수 있고, 후술할 제2 연결부(255)를 통해 직선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외부기둥(150)이 제2 브라켓(210)을 통해 제2 프레임(130)에 체결되면서 위치가 조절되는데, 외부기둥(150)의 위치가 조절되면, 연결부재(230)는 제제1 연결부(253)와 제2 연결부(255)를 통해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위치가 조절되고, 연결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외부기둥(150)에는 연결 어셈블리(250)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 어셈블리(250)는 각각의 외부기둥(150)에 구비되고, 연결부재(230)는 각각의 외부기둥(150)에 위치하는 연결 어셈블리(25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어셈블리(250)는, 연결판(251), 제1 연결부(253) 및 제2 연결부(255)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판(251)은, 판 형상으로 각각의 마감재(151)에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판(251)은 중심부(193)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도록 관통홀(251a)이 형성되며, 관통홀(251a) 주면에는 관통홀(251a)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안착부(251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연결판 체결홀(251c)이 형성되며, 체결부재(미도시)가 연결판 체결홀(251c)을 관통함으로써, 연결판(251)이 각각의 마감재(15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253)는, 관통홀(251a)을 관통되게 위치하고, 일측에는 제1 고리부(25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253)의 타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안착부(251b)에 안착되는 돌출부(253c)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부(253)가 연결판(251)에 끼워질 때, 관통홀(251a)을 관통한 상태에서 돌출부(253c)가 안착부(251b)에 안착되면서 제1 연결부(253)가 연결판(251)에 끼워지게 되고, 제1 연결부(253)는 연결판(251)에 끼워진 상태에서 360°회전할 수 있게 된다.
제2 연결부(255)는, 일측에는 제1 고리부(253)가 끼워져 제1 고리부(25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고리부(255a)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255)의 타측에는 연결부재(230)가 삽입되도록 삽입홈(255c)이 형성되며, 삽입홈(255c)의 내측에는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가이드 돌기(255b)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연결부(255)는 제1 고리부(253)가 한 쌍의 제2 고리부(255a)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부재가 제2 고리부(255a)와 제1 고리부(253)를 측면에서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끼워짐으로써 제2 연결부(255)는 직선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게 된다.
또한, 연결부재(230)의 일측에는 삽입홈(255c)에 끼워지도록 제1 끼움부(23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다른 외부기둥(150)에 구비된 삽입홈(255c)에 끼워지도록 제2 끼움부(23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230)는 제1 끼움부(231)가 제2 연결부(255)에 형성된 삽입홈(255c)에 가이드 돌기(255b)에 맞닿은 상태로 끼워지고, 제2 끼움부(233)는 다른 제2 연결부(255)의 삽입홈(255c)에 가이드 돌기(255b)에 맞닿은 상태로 끼워져 각각의 외부기둥(150)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기둥(150)을 서로간에 연결할 수 있다.
아울러, 연결부재(230)는 마감재(151)에 결합되는 연결 어셈블리(250)의 위치에 따라 회전하면서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외부기둥(150)이 마주보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하나의 연결 어셈블리(250)가 높게 위치하고, 다른 연결 어셈블리(250)가 낮게 위치하도록 설치되면, 연결부재(230)는 제2 연결부(255)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위치가 조절되게 된다.
또한, 제2 연결부(255)가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제1 연결부(253)가 360°회전하면서 제2 연결부(255)의 위치가 조절되게 된다.
한편, 도 7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기둥(170)의 하부에는 결합부(171)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71)는 내부기둥(170)과 제2 프레임(130)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결합부 체결홀(171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71)와 제2 프레임(130) 사이에는, 제2 브라켓(210)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브라켓(210)은 결합부(171)와 제2 프레임(130)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면은, 결합부(171)에 밀착되고, 하면은 제2 프레임(130)에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브라켓(210)은, 수평판(211), 제1 측면판(213) 및 제2 측면판(215)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판(211)은 상면이 결합부(171)에 밀착되고, 하면은 제2 프레임(130)에 밀착되며, 결합부 체결홀(171a)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수평판 체결홀(211a)이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결합부 체결홀(171a)과 수평판 체결홀(211a)을 관통함으로써 결합부(171)가 제2 프레임(1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측면판(213)은, 수평판(211)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고, 제2 프레임(130)의 측면에 밀착되게 위치한다.
제2 측면판(215)은, 제1 측면판(213)으로부터 수평판(211)의 내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고, 제2 프레임(130) 중 제1 측면판(213)이 밀착되게 위치하는 측면의 반대방향의 측면에 밀착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브라켓(210)은 제1 측면판(213)과 제2 측면판(215)에 제2 프레임(130)이 끼워진 상태로 제2 프레임(130)에 연결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브라켓(190)이 내부기둥(170)에 밀착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인접한 마감재(151)가 제1 브라켓(190)의 양측에 끼워지도록 하여, 마감재(151)의 교체가 용이해지고, 마감재(151)가 변형되어 유격이 발생하더라도 제1 브라켓(190)으로부터 가해지는 텐션에 의해 유격에 의해 발생되는 마감재(151)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또한, 제1 브라켓(190)이 일정각도 휘어지는 제1 고정부(191)와, 이를 연결하는 중심부(193) 및 인접한 마감재(151)가 끼워지는 제2 고정부(195)로 구성되게 함으로써, 각 마감재(151)가 견고하게 결합될 뿐만 아니라, 각 마감재(151)의 탈부착이 용이해지고, 각 마감재(151)에 의해 기둥형상이 오래 유지되게 한다.
또한, 각 외부기둥(150) 사이에 연결부재(230)를 구비시키고, 연결부재(230)가 각 외부기둥(15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게 함으로써, 연결부재(230)를 통해 각 외부기둥(150)이 견고하게 연결되면서 동시에 외부기둥(150)의 위치 변경시 연결부재(230)의 위치도 쉽게 조절되게 한다.
또한, 제2 브라켓(210)을 통해 외부기둥(150)의 위치가 쉽게 조절되게 함으로써, 조경 시설물의 디자인이 다양화되게 한다.
또한, 외부기둥(150)의 상단에 덮개부재(270)를 구비시킴으로써, 외부의 이물질이 외부기둥(15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0: 조경 시설물 110: 제1 프레임
130: 제2 프레임 150: 외부기둥
151: 마감재 170: 내부기둥
171: 결합부 171a: 결합부 체결홀
190: 제1 브라켓 191: 제1 고정부
191a: 제1 고정부 체결홀 193: 중심부
195: 제2 고정부 195a: 제1 경사부
195b: 제2 경사부 210: 제2 브라켓
211: 수평판 211a: 수평판 체결홀
213: 제1 측면판 215: 제2 측면판
230: 연결부재 231: 제1 끼움부
233: 제2 끼움부 250: 연결 어셈블리
251: 연결판 251a: 관통홀
251b: 안착부 251c: 연결판 체결홀
253: 제1 연결부 253a: 제1 고리부
253b: 돌출부 255: 제2 연결부
255a: 제2 고리부 255b: 가이드 돌기
255c: 삽입홈 270: 덮개부재

Claims (7)

  1.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 프레임;
    각각의 상기 제1 프레임을 가로지르도록 각각의 상기 제1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 프레임;
    각각의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하고, 다수개의 마감재가 사각기둥 형상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둥;
    상기 외부기둥의 내부에 위치하고, 외주면이 상기 외부기둥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위치하는 내부기둥; 및
    수평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각각의 상기 마감재 사이에 위치하고, 일측은 상기 내부기둥에 맞닿도록 위치하며, 타측은 수평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각각의 상기 마감재가 끼워져 고정되는 복수개의 제1 브라켓을 포함하는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내부기둥에 밀착되게 위치하고, 상기 내부기둥에 대응되도록 휘어지게 형성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각각의 상기 마감재 사이에 위치하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제1 고정부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인접한 상기 마감재 중 어느 하나에 맞닿도록 위치하는 제1 경사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제1 고정부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인접한 상기 마감재 중 다른 하나에 맞닿도록 위치하는 제2 경사부가 형성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다른 상기 제1 브라켓에 형성된 상기 중심부에 상기 마감재의 내측면 양측 모서리가 맞닿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경사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다른 상기 제1 브라켓에 형성된 상기 제2 경사부에 상기 마감재의 외측면이 맞닿도록 위치하여,
    수평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각각의 상기 마감재가 상기 제1 브라켓에 끼어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단에는 복수개의 상기 외부기둥이 위치하고,
    각각의 상기 외부기둥 사이에는,
    일측이 각각의 상기 외부기둥 중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각각의 상기 외부기둥 중 다른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외부기둥이 상기 제2 프레임에서의 위치가 조절되면, 회전하면서 각각의 상기 외부기둥과의 연결상태가 유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외부기둥에는 연결 어셈블리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 어셈블리는,
    상기 마감재에 밀착되어 결합되고, 중심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을 따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안착부가 형성된 연결판;
    상기 관통홀을 관통되게 위치하고, 일측에는 제1 고리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연결판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연결부; 및
    일측에는 상기 제1 고리부가 끼워져 상기 제1 고리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고리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타측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
  6.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기둥의 하부에는,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결합부 체결홀이 형성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와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결합부와 상기 제2 프레임이 연결되는 제2 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브라켓은,
    상면은 상기 결합부에 밀착되고, 하면은 상기 제2 프레임에 밀착되며, 상기 결합부 체결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수평판 체결홀이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상기 결합부 체결홀과 상기 수평판 체결홀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2 프레임에 연결되게 하는 수평판;
    상기 수평판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측면에 밀착되게 위치하는 제1 측면판; 및
    상기 제1 측면판으로부터 상기 수평판의 내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고, 상기 제2 프레임 중 상기 제1 측면판이 밀착되게 위치하는 측면의 반대방향의 측면에 밀착되게 위치하는 제2 측면판을 포함하는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도록 제1 끼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다른 상기 연결 어셈블리에 구비된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도록 제2 끼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
KR1020200080265A 2020-06-30 2020-06-30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 KR102381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265A KR102381821B1 (ko) 2020-06-30 2020-06-30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265A KR102381821B1 (ko) 2020-06-30 2020-06-30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834A true KR20220001834A (ko) 2022-01-06
KR102381821B1 KR102381821B1 (ko) 2022-04-05

Family

ID=79347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265A KR102381821B1 (ko) 2020-06-30 2020-06-30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8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142B1 (ko) * 2016-01-05 2016-07-27 (주)엠에스티통상 지주의 연결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05368B1 (ko) * 2017-07-28 2017-12-05 동방가로시설(주) 지주용 프레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142B1 (ko) * 2016-01-05 2016-07-27 (주)엠에스티통상 지주의 연결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05368B1 (ko) * 2017-07-28 2017-12-05 동방가로시설(주) 지주용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1821B1 (ko)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2238B2 (ja) モジューラフェンス
KR100933953B1 (ko) 프로파일을 이용한 조립식 캐노피
KR100868918B1 (ko) 장력의 분산조절이 이루어지게 한 천막조형물의 차양막고정설치구
US20210246647A1 (en) Outdoor structure
KR102252869B1 (ko)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목재 펜스
KR102381821B1 (ko) 조립식 기둥이 구비된 조경 시설물
KR101101348B1 (ko) 천막 조립체.
KR20110067672A (ko)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
KR20110067671A (ko)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
KR100823887B1 (ko) 원두막 프레임 연결 구조
KR102066784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행자 안전 휀스
JP3398737B2 (ja) ガードフェンス等のパネルの連結構造
US20100154352A1 (en) Structural column wrap assembly
JP6213892B2 (ja) 天井材落下防止構造
KR200153130Y1 (ko) 조립식 평상
KR102139820B1 (ko) 안전난간 구조체
JP2000027497A (ja) 防護柵のビーム取付構造
KR102251666B1 (ko) 천연소재를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기둥조립체
KR102144844B1 (ko) 경사지 시공이 용이한 펜스의 설치 조립체
KR102584370B1 (ko) 조립식 스크린 하우스 지붕 고정구조
RU2672293C1 (ru) Кровельная опора (варианты)
KR200443216Y1 (ko) 조립식 무대장치
JPH11141195A (ja) 竹垣の組立方法および構造
KR102151266B1 (ko) 가설이 용이한 조립식 무대
JP4112831B2 (ja) 柵用手摺ビーム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