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7672A -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 - Google Patents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7672A
KR20110067672A KR1020090124364A KR20090124364A KR20110067672A KR 20110067672 A KR20110067672 A KR 20110067672A KR 1020090124364 A KR1020090124364 A KR 1020090124364A KR 20090124364 A KR20090124364 A KR 20090124364A KR 20110067672 A KR20110067672 A KR 20110067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pillar
crossbar
fence
swi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0072B1 (ko
Inventor
김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강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강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강산
Priority to KR1020090124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072B1/ko
Publication of KR20110067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65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rails being supported within blind or through holes of the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지면이나 설치 경로가 꺾어지는 장소에서 휀스의 시공이 편리하게 하도록 하는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휀스는 기둥(20), 가로대(40) 및 각도 변환 유니트(50)를 구비한다. 이때, 기둥(20)은 설치방향으로 정해진 두께로 형성되므로써 좌면(22)과 우면(24)을 갖고, 좌면(22)과 우면(24)의 적어도 한 방향으로 개구되는 조립홀(21)이 형성된다. 가로대(40)는 기둥(20)의 사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각도 변환 유니트(50)는 일측에서 가로대(40)와 접속되고 타측에서 기둥(20)의 조립홀(21)에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써, 가로대(40)가 기둥(20)에 지지되도록 하고, 기둥(20)에 대해 가로대(40)의 설치각도를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에 따르면, 기둥(20)에 형성되는 조립홀(21)에 각도 변환 유니트(50)가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각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가로대(40)의 상하 및 전후 방향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므로, 경사지면이나 설치 경로가 꺾어지는 장소에 휀스를 시공할 때 지면의 각도나 설치 경로의 휨정도에 따라 가로대를 상하 또는/및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기울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각도 변환 유니트(50)의 구성을 최소화시키면서 외부로의 노출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므로, 휀스 외관의 미적 고려에 대한 휀스 디자이너의 의도를 최대한 살릴 수 있다. 특히, 가로대(40)의 각도변환이 기둥(20)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휀스가 설치되는 전체적인 경로로 보았을 때 가로대(40)의 각도 변환을 균일하게 가져갈 수 있어 휀스 디자이너의 미관적 고려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각도 변환 유니트(50)를 통해 기둥(20)과 가로대(5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기둥(20)과 기둥(20) 사이의 거리 또는 가로대(50)의 길이가 설계치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는 경우에도 별도의 2차 가공을 거치지 않고도 시공이 가능하므로, 작업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FENCE WITH CROSSBAR ADJUSTABLE ANGLE}
본 발명은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경사지면이나 설치 경로가 꺾어지는 장소에서 휀스의 시공이 편리하게 하도록 하는 동시에 휀스 디자이너의 고려를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하는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에 관한 것이다.
휀스(Fence; 울타리, 난간)는 사람들의 안정적인 통행을 위해 차도와 인도 사이에 설치되거나, 아파트, 공원, 산책로, 강변 등에서 경계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휀스는 울타리로서의 기능과 함께 미관을 고려해 시공되어야 한다.
이때, 휀스의 시공에 있어서 어려운 문제점 중 하나는 경사지면이나 휀스가 굴곡진 장소에 설치되는 경우 기둥과 기둥 사이의 가로대를 맞추는 작업이다. 즉, 경사지면이나 설치 경로가 꺾이는 장소에서는 가로대가 상하 또는/및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질 필요가 있는데, 이를 설계단계에서 완벽하게 맞추기는 사실상 불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휀스의 시공시 경사지면이나 설치 경로가 꺾이는 장소에서는 가로대의 맞춤위치와 길이를 재설정(재가공)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 맞춤위치가 불안전하게 되고, 외관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그리고,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02500호 "경사 지면에 시공되는 울타리를 위한 가로대 각도 조절장치"를 제안하여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본 출원인이 제안한 기술은 기둥과 가로대 사이에 결합되는 가로대 각도 조절장치를 매개로 하여 가로대의 조립각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기둥과 기둥 사이의 거리에 차이가 생겼을 경우에도 쉽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정한 방향으로 휘어지는 경사 지면에서도 휀스의 시공을 편리하게 시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이와 같은 본 출원인의 의도와 유사하게 가로대의 조립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안된 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82515호 "조립식 울타리", 제10-0760819호 "펜스용 프레임 연결구" 및 제10-0740856호 "각도조절 이 가능한 난간" 등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여전히 개선해야 할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 종래 기술들을 통해 제안된 가로대의 각도조절은 기둥과 가로대 사이에 가로대 각도 조절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므로, 미관적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휀스가 설치되는 전체적인 경로로 보았을 때 가로대의 각도 변환이 불균일한 형태를 띠게 되어 휀스 디자이너의 미관적 고려가 퇴색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경사지면이나 설치 경로가 꺾어지는 장소에 휀스를 시공할 때 지면의 각도나 설치 경로의 휨정도에 따라 가로대를 상하 또는/및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기울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휀스의 시공이 편리하게 하도록 하는 동시에 휀스 디자이너의 고려를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기둥과 가로대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가로대의 각도 변환을 탈피하여 기둥을 기준으로 가로대의 각도 변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휀스가 설치되는 전체적인 경로로 보았을 때 가로대의 각도 변환을 균일하게 가져갈 수 있도록 하고, 휀스의 시공 후 외관적으로 보았을 때 가로대의 각도 변환 장치가 미관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휀스 디자이너의 미관적 고려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설치방향으로 정해진 두께로 형성되므로써 좌면(22)과 우면(24)을 갖고, 상기 좌면(22)과 우면(24)의 적어도 한 방향으로 개구되는 조립홀(21)이 형성되며, 정해진 간격으로 지면에 고정되는 기둥(20)과; 상기 기둥(20)의 사이에 설치되는 가로대(40) 및; 일측에서 상기 가로대(40)와 접속되고 타측에서 상기 기둥(20)의 조립홀(21)에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써, 상기 가로대(40)가 상기 기둥(20)에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기둥(20)에 대해 상기 가로대(40)의 설치각도를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 변환 유니트(5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에서 상기 기둥(20)은 상기 조립홀(21)내의 중심에서 설치방향에 대해 수직되도록 설치되는 지지판(26)과, 상기 조립홀(21)의 내부에서 상기 지지판(26)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조립홀(21)의 둘레 방향에 정해진 개수로 형성되는 제 1 고정 돌기(28)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 변환 유니트(50)는 설치방향으로 정해진 두께로 형성되므로써 좌면(72)과 우면(74)을 갖고, 상기 좌면(72)과 우면(74)이 연통되도록 중공(71)이 형성되며, 외측 둘레에 상기 제 1 고정 돌기(28)와 맞물려 고정되는 제 2 고정 돌기(78)가 형성되어 상기 기둥(20)에 결합되는 고정 링(70)과, 상기 고정 링(70)의 중공(71)에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결합되는 헤드(63)를 갖고, 상기 헤드(63)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 링(70)에 상기 헤드(63)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고정 링(7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로드(64)를 갖는 스위블(60) 및, 상기 스위블(60)의 로드(64)에 접속되고, 상기 가로대(40)에 접속되어 상기 스위블(60)에 상기 가로대(40)가 지지되도록 하는 커넥팅 배럴(90)을 구비할 수 있 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에서 상기 스위블(60)은 상기 헤드(63)의 끝단 중심에 구형으로 형성되는 돌기(66)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둥(20)은 상기 지지판(26)의 중심에 상기 스위블(60)의 돌기(66)가 놓이도록 형성되는 홈(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에서 상기 각도 변환 유니트(50)는 상기 고정 링(70)과 커넥팅 배럴(70) 사이에서 상기 스위블(60)의 로드(64)에 결합되는 조절 링(8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스위블(60)의 로드(64)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 링(80)의 내주면(84)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조절 링(80)의 로드(64)에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기둥(20)과 가로대(4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에 따르면, 기둥(20)에 형성되는 조립홀(21)에 각도 변환 유니트(50)가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각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가로대(40)의 상하 및 전후 방향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므로, 경사지면이나 설치 경로가 꺾어지는 장소에 휀스를 시공할 때 지면의 각도나 설치 경로의 휨정도에 따라 가로대를 상하 또는/및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기울일 수 있 도록 함과 동시에 각도 변환 유니트(50)의 구성을 최소화시키면서 외부로의 노출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므로, 휀스 외관의 미적 고려에 대한 휀스 디자이너의 의도를 최대한 살릴 수 있다. 특히, 가로대(40)의 각도변환이 기둥(20)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휀스가 설치되는 전체적인 경로로 보았을 때 가로대(40)의 각도 변환을 균일하게 가져갈 수 있어 휀스 디자이너의 미관적 고려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각도 변환 유니트(50)를 통해 기둥(20)과 가로대(5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기둥(20)과 기둥(20) 사이의 거리 또는 가로대(50)의 길이가 설계치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는 경우에도 별도의 2차 가공을 거치지 않고도 시공이 가능하므로, 작업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의 시공 형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10)는 가로대의 각도조절을 위한 각도 변환 유니트가 기둥과 가로대 사이에 배치되는 종래기술과 달리 기둥(20)에 각운동을 위한 각도 변환 유니트(50)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정도를 감소시키고, 가로대(40)의 각도 변환이 기둥(20)의 수직축(설치방향에 대해 수직된 축)을 기점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써 휀스가 설 치되는 전체적인 경로로 보았을 때 가로대(40)의 각도 변환을 균일하게 가져 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10)의 기술적 구성은 기둥(20), 가로대(40) 및 각도 변환 유니트(50)의 구성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기둥(20)은 설치방향으로 정해진 두께로 형성되므로써 좌면(22)과 우면(24)을 갖고, 좌면(22)과 우면(24)의 적어도 한 방향으로 개구되는 조립홀(21)이 형성되며, 정해진 간격으로 지면에 고정된다. 가로대(40)는 기둥(20)의 사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각도 변환 유니트(50)는 일측에서 가로대(40)와 접속되고 타측에서 기둥(20)의 조립홀(21)에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써, 가로대(40)가 기둥(20)에 지지되도록 하고, 기둥(20)에 대해 가로대(40)의 설치각도를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기술적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10)는 기둥(20)의 수직축 상에서 각도 변환 유니트(50)에 의해 가로대(40)의 각도가 조절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종래 기술들은 기둥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가로대에 고정되는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부재를 적용하여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기둥과 무관하게 이루어졌지만, 본 발명은 각도 변환 유니트(50)가 기둥(2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기둥(20) 수직축상에서 가로대(40)의 각도가 변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술적 특징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사 지면에서 뿐만아니라 꺾이는 경로에서도 가로대(40)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9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9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본 발명의 배경기술에서 밝힌 종래 기술들,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재와 관련된 기술들 및 다양한 소재들을 원하는 형상으로 제조하는 기술 등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들의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특히,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의 주요 구성 요소들을 분해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의 조립형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 른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의 작동형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이때, 도 4는 도 3과 같이 기둥(20), 가로대(40) 및 각도 변환 유니트(50)의 스위블(60), 고정 링(70), 조절 링(80) 및 커넥팅 배럴(90)이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스위블(60)의 헤드(63)에 고정 링(70)이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조절 링(80)을 스위블(60)의 로드(64)에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각도 변환 유니트(50)의 커넥팅 배럴(90)에 가로대(40)를 결합시키고, 커넥팅 배럴(90)을 스위블(60)의 로드(64)에 끼운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10)가 평행한 상태로 설치되었을 때 기둥(20), 각도 변환 유니트(50) 및 가로대(40)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10)가 설치방향에 대해 전방향으로 최대로 기울였을 때 기둥(20), 각도 변환 유니트(50) 및 가로대(40)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10)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라 기둥(20), 가로대(40) 및 각도 변환 유니트(50)를 구비하여, 휀스(10)가 시공되는 지면이 경사지거나 꺾이는 경로를 갖는 경우에도 기둥(20)을 중심으로 가로대(40)의 상하 각도 및/또는 전후 각도(즉, 3차원적인 각도 변환)의 조절을 통해 효과적인 시공이 가능하게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10)에서 기둥(20)은 설치방향으로 정해진 두께로 형성되므로써 좌면(22)과 우면(24)을 갖고, 좌면(22)과 우면(24)의 적어도 한 방향으로 개구되는 조립홀(21)이 형성되며, 정해진 간격으로 지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기둥(20)은 조립홀(21)내의 중심에서 설치방향에 대해 수직되도록 설치되는 지지판(26)과, 조립홀(21)의 내부에서 지지판(26)으로부터 이격되어 조립홀(21)의 둘레 방향에 정해진 개수로 형성되는 제 1 고정 돌기(28)를 갖는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기둥(20)에 형성되는 조립홀(21)은 좌면(22)과 우면(24)으로 각각 개구되도록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기둥(20)은 휀스(10)의 중간에 설치되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대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휀스(10)의 양측에 설치되는 기둥의 경우에는 가로대(20)가 설치되는 방향에만 조립홀(21)이 형성될 것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조립홀(21)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 1 고정 돌기(28)는 조립홀(21)의 내측면 둘레로 정해진 개수가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4쌍의 제 1 고정 돌기(28)가 형성되도록 한 예를 보이고 있다. 이때, 제 1 고정 돌기(28)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은 후술하는 고정 링(70)에 형성되는 제 2 고정 돌기(78)가 삽입되는 통로를 제공하고, 제 1 고정 돌기(28)는 고정 링(70)의 제 2 고정 돌기(68)와 맞추어 졌을 때 고정 링(70)을 고정하므로써, 스위블(60), 고정 링(70), 조절 링(80) 및 커넥팅 배럴(90)로 이루어지는 각도 변환 유니트(50)가 기둥(20)에 고정되도록 한다. 물론, 각도 변환 유니트(50)의 커넥팅 배럴(90)은 스위블(60)의 로드(64)에 걸쳐진 상태에서 조절 링(80)에 의해 가로대(40)에 압박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기둥(20)의 지지판(26)에는 중심에 스위블(60)의 돌기(66)가 놓이도록 홈(3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지지판(26)은 스위블(6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면서 스위블(60)의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10)는 각도 변환 유니트(50)의 스위블(60)이 고정 링(70)에 의해 기둥(20)에 고정되도록 하고, 가로대(40)가 스위블(60)에 걸쳐진 상태에서 스위블(60)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 링(80)에 의해 가로대(40) 방향으로 압박을 받는 커넥팅 배럴(9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데, 지지판(26)은 이와 같은 지지구조에 따라 스위블(60)로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각운동되는 스위블(60)의 위치가 정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10)에서 기둥(20)은 전체적인 두께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좌면(22)과 우면(24)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플랜지(23, 25)를 부가하여 조립홀(21)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10)에서 가로대(40)는 기둥(20)에 각운동가능하도록 일단이 결합되는 각도 변환 유니트(50)에 결합되어 기둥(20) 사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가로대(40)는 이 분야에서 이미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형태를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본 실시예는 중공(41)이 형성되는 원형 파이프의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10)에 적용되는 가로대(40)는 단면 형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실시예는 중공(41)을 갖는 원형 단면의 가로대(40)를 기준을 도시하였으나, 이와 같은 단면 형상{가로대(40)와 커넥팅 배럴(90)의 결합홈(96)}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10)에서 각도 변환 유니트(50)는 스위블(60), 고정 링(70), 조절 링(80) 및 커넥팅 배럴(90)로 이루어져 일측에서 가로대(40)와 접속되어 가로대(40)를 지지하면서 타측에서 기둥(20)의 조립홀(21)에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써, 가로대(40)가 기둥(20)에 지지되도록 하고, 기둥(20)에 대해 가로대(40)의 설치각도를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고정 링(70)은 설치방향으로 정해진 두께로 형성되므로써 좌면(72)과 우면(74)을 갖고, 좌면(72)과 우면(74)이 연통되도록 중공(71)이 형성되며, 외측 둘레에 기둥(20)의 조립홀(21)에 형성되는 제 1 고정 돌기(28)와 맞물려 고정되는 제 2 고정 돌기(78)가 형성되어 기둥(20)에 결합된다.
그리고, 스위블(60)은 고정 링(70)의 중공(71)에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결합되는 헤드(63)를 갖고, 이 헤드(63)로부터 연장되어 고정 링(70)에 헤드(63)가 결합되었을 때 고정 링(7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로드(6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스위블(60)의 헤드(63)의 외주면은 구형으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각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3차원적인 각도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스위블(60)은 헤드(63)의 끝단 중심에 구형으로 돌기(66)가 형성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판(26)의 중심에 형성된 홈(30)에 맞춤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10)는 가로대(40)의 길이에 오차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효과적인 맞춤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특징을 갖는데, 이와 같은 기능은 스위블(60)의 로드(64)와 이에 결합되는 조절 링(80) 및 커넥팅 배럴(90)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스위블(60)의 로드(64)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된다. 조절 링(80)은 내주면(84)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고정 링(70)과 커넥팅 배럴(70) 사이에서 스위블(60)의 로드(64)에 결합된다. 그리고, 커넥팅 배럴(90)은 스위블(60)의 로드(64)에 접속되고, 가로대(40)에 접속되어 스위블(60)에 가로대(40)가 지지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팅 배럴(90)은 중공(41)을 갖는 가로대(40)에 대응되도록 헤드(92)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중공으로 삽입되는 삽입부(92)를 갖는다. 그리고, 헤드(92)에는 가로대(40)의 끝단이 삽입되는 홈(96)이 형성된다. 또한, 커넥팅 배럴(90)의 중심에는 중공(91)이 형성되어 스위블(60)의 로드(64)가 삽입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헤드(92)에는 조절 링(80)이 안치되는 홈(98)을 형성하여 조절 링(80)이 외부로 노출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조절 링(80)이 스위블(60)의 로드(64)에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기둥(20)과 가로대(4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10)는 먼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휀스의) 설치방향으로 설계된 간격에 따라 지면에 기둥(20)을 설치하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기둥(20)은 지면에 타설되는 앵커볼트 등에 고정될 것이다. 다음,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위블(60)의 헤드(63)에 고정 링(70)을 결합시킨다. 물론, 고정 링(70)은 스위블(60)의 로드(64) 방향에서 삽입시켜 스위블(60) 헤드(63)에 걸리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위블(60)의 로드(64)에 조절 링(80)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넥팅 배럴(90)에 가로대(40)의 일측을 끼우고 커텍팅 배럴(90)을 스위블(60)의 로드(64)에 결합시킨다. 다음, 기둥(20)의 조립홀(21)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 1 고정 돌기(28)와 고정 링(70)의 제 2 고정 돌기(78)가 서로 엇갈리도록 하여 고정 링(70)이 조립홀(21)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도 변환 유니트(50)를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조립홀(21)의 제 1 고정 돌기(28)와 고정 링(70)의 제 2 고정 돌기(78)가 일치된 위치를 갖도록 하면, 각도 변환 유니트(50)는 기둥(20)에 고정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1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둥(20)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양측의 각도 변환 유니트(50)가 대칭되는 형태로 설치되므로써, 가로대(40)의 각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로대(40)의 각도 변환은 가로대(40)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써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각도 변환은 스위블(60)이 고정 링(70)에 지지된 상태에서 스위블(60)의 슬라이딩면(62)이 미끄럼 운동되어 발생된다. 그리고, 스위블(60)의 각도는 스위블(60)을 지지하는 고정 링(70)에 의해 제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의 시공 형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의 주요 구성 요소들을 분해하여 보여주는 단면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의 조립형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의 작동형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
20 : 기둥 21 : 조립홀
22 : (기둥) 좌면 24 : (기둥) 우면
26 : 지지판 28 : 제 1 고정 돌기
30 : 홈 40 : 가로대
50 : 각도 변환 유니트 60 : 스위블(swivel)
63 : (스위블) 헤드(head) 64 : (스위블) 로드(rod)
66 : 돌기 70 : 고정 링(70)
71 : (고정 링(70)) 중공 72 : (고정 링(70)) 좌면
74 : (고정 링(70)) 우면 78 : 제 2 고정 돌기
80 : 조절 링 84 : (조절 링) 내주면
90 : 커넥팅 배럴

Claims (4)

  1. 설치방향으로 정해진 두께로 형성되므로써 좌면(22)과 우면(24)을 갖고, 상기 좌면(22)과 우면(24)의 적어도 한 방향으로 개구되는 조립홀(21)이 형성되며, 정해진 간격으로 지면에 고정되는 기둥(20)과;
    상기 기둥(20)의 사이에 설치되는 가로대(40) 및;
    일측에서 상기 가로대(40)와 접속되고 타측에서 상기 기둥(20)의 조립홀(21)에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써, 상기 가로대(40)가 상기 기둥(20)에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기둥(20)에 대해 상기 가로대(40)의 설치각도를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 변환 유니트(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20)은 상기 조립홀(21)내의 중심에서 설치방향에 대해 수직되도록 설치되는 지지판(26)과, 상기 조립홀(21)의 내부에서 상기 지지판(26)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조립홀(21)의 둘레 방향에 정해진 개수로 형성되는 제 1 고정 돌기(28)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 변환 유니트(50)는 설치방향으로 정해진 두께로 형성되므로써 좌면(72)과 우면(74)을 갖고, 상기 좌면(72)과 우면(74)이 연통되도록 중공(71)이 형 성되며, 외측 둘레에 상기 제 1 고정 돌기(28)와 맞물려 고정되는 제 2 고정 돌기(78)가 형성되어 상기 기둥(20)에 결합되는 고정 링(70)과,
    상기 고정 링(70)의 중공(71)에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결합되는 헤드(63)를 갖고, 상기 헤드(63)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 링(70)에 상기 헤드(63)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고정 링(7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로드(64)를 갖는 스위블(60) 및,
    상기 스위블(60)의 로드(64)에 접속되고, 상기 가로대(40)에 접속되어 상기 스위블(60)에 상기 가로대(40)가 지지되도록 하는 커넥팅 배럴(9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60)은 상기 헤드(63)의 끝단 중심에 구형으로 형성되는 돌기(66)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둥(20)은 상기 지지판(26)의 중심에 상기 스위블(60)의 돌기(66)가 놓이도록 형성되는 홈(3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변환 유니트(50)는 상기 고정 링(70)과 커넥팅 배럴(70) 사이에서 상기 스위블(60)의 로드(64)에 결합되는 조절 링(8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스위블(60)의 로드(64)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 링(80)의 내주면(84)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조절 링(80)의 로드(64)에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기둥(20)과 가로대(4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
KR1020090124364A 2009-12-15 2009-12-15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 KR101130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364A KR101130072B1 (ko) 2009-12-15 2009-12-15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364A KR101130072B1 (ko) 2009-12-15 2009-12-15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672A true KR20110067672A (ko) 2011-06-22
KR101130072B1 KR101130072B1 (ko) 2012-03-28

Family

ID=44400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364A KR101130072B1 (ko) 2009-12-15 2009-12-15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07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975B1 (ko) * 2015-03-27 2015-05-20 (주) 신담엔지니어링 울타리 조립체의 설치방법
KR101891109B1 (ko) * 2018-01-05 2018-08-23 신만석 건축용 난간 체결장치
CN111733738A (zh) * 2020-06-24 2020-10-02 四川路桥建设集团交通工程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新型隔离栅及其安装方法
CN114809807A (zh) * 2022-06-05 2022-07-29 陈未强 一种展开角度可调的快拆式城市道路维护用围栏杆
CN115142737A (zh) * 2022-06-16 2022-10-04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安全防护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498B1 (ko) 2020-08-07 2021-04-21 서해로프제강 주식회사 Led 휀스
KR102585851B1 (ko) 2022-12-30 2023-10-11 주식회사 케이피피 글로벌 Led 펜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500B1 (ko) * 2007-01-17 2008-02-14 주식회사강산 경사 지면에 시공되는 울타리를 위한 가로대 각도 조절장치
KR20090082550A (ko) * 2008-01-28 2009-07-31 형진랜드(주)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난간
KR20090111368A (ko) * 2008-04-22 2009-10-27 주식회사 쓰리에스 케미칼 체결부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및 울타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975B1 (ko) * 2015-03-27 2015-05-20 (주) 신담엔지니어링 울타리 조립체의 설치방법
KR101891109B1 (ko) * 2018-01-05 2018-08-23 신만석 건축용 난간 체결장치
CN111733738A (zh) * 2020-06-24 2020-10-02 四川路桥建设集团交通工程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新型隔离栅及其安装方法
CN114809807A (zh) * 2022-06-05 2022-07-29 陈未强 一种展开角度可调的快拆式城市道路维护用围栏杆
CN114809807B (zh) * 2022-06-05 2023-11-14 中煤隧道工程有限公司 一种展开角度可调的快拆式城市道路维护用围栏杆
CN115142737A (zh) * 2022-06-16 2022-10-04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安全防护装置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0072B1 (ko) 201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0072B1 (ko)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
KR101093094B1 (ko)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
US6752385B2 (en) Railing system
KR101271859B1 (ko) 녹색성장을 구현하기 위한 디자인 휀스
KR100905921B1 (ko) 경계 구조물의 선형부재 연결기구
US20140008597A1 (en) Railing system and tensioned posts used therein
NZ248436A (en) Post/rails coupling with pivotal parts for mounting each: fence
KR102011241B1 (ko) 경사지에 설치 가능한 조립식 울타리
KR200462170Y1 (ko) 조립성이 증진되고 자유로운 각도 형성이 가능한 조립형 펜스
KR102335852B1 (ko) 자유방향성을 가진 데크로드의 설치구조
KR200467788Y1 (ko) 난간 고정구
JP2021139262A (ja) フェンス装置
KR200451966Y1 (ko) 클린룸 패널의 조립구조
KR20070057106A (ko) 조립식 펜스
KR101533294B1 (ko) 조립식 파고라 기둥 구조체
KR20190114118A (ko) 목재 펜스용 하이브리드 브래킷
KR102484642B1 (ko) 디자인형 울타리용 기둥과 가로재의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연결 브라켓
US20100139192A1 (en) Spatial Truss
JP5660212B2 (ja) フェンス用の関節型ブラケット
KR101228988B1 (ko) 어닝 차양막용 더블 암 장치
KR102193738B1 (ko) 조립식 난간
KR101894464B1 (ko) 비볼트 체결방식의 전주 연결장치
AU2011205150A1 (en) A multi angle roof truss tie-down apparatus and method
US20130153520A1 (en) System to Manufacture Support Bases for Photovoltaic Units with a Special Multilink Made of Triangular Units
KR101145271B1 (ko) 슬라이드식 스파이더 브라켓 조정볼트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8